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杜甫 類似連作詩 고찰

        강민호 한국중국어문학회 2015 中國文學 Vol.85 No.-

        . 杜甫의 시에는 같은 제목 하의 連作詩도 많으며 완전히 같은 제목은 아니지만 연작시와 비슷한 형태를 띠는 類似連作詩도 자주 볼 수 있다. 두보의 연작시는 개별 시가 독립성을 가지면서도 전체가 마치 하나의 작품 같은 엄밀한 장법을 구사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두보의 유사연작시도 이와 비슷한 면모가 있지만 개별 시의 독립성이 더욱 두드러지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래서 종래에 거의 독립적으로 취급되었는데 이를 유사연작시로 상호 관련지어 보면 또 다른 두보의 용심처를 발견할 수 있다. 두보의 유사연작시는 제목에 같은 글자가 있거나 색채나 상황 등이 대비를 이루는 詩題로 짝을 이루는 雙題연작시가 많다. 또한 多題연작시도 三吏三別처럼 같은 수량의 시가 대비되듯 짝을 이루는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에는 두보의 對偶 추구 심리가 확장되어 발현되었다고도 볼 수 있다. 대우의 추구는 중국 고전시의 중요한 미학의 하나이기에 시인들은 이에 민감하며 두보는 더욱 그렇다. 대우를 이룬 구는 개별적으로 감상하기보다 서로 대비하며 연관 지어 볼 때 더욱 깊은 맛이 우러나듯, 雙題나 多題로 짝을 이룬 두보의 유사연작시도 서로 연관 지어 보면 단독으로 볼 때의 시의 의문점이 해소되기도 하고 더욱 깊은 시의 함의를 느낄 수 있다.

      • KCI등재

        두보(杜甫) 유사연작시(類似連作詩) 고찰

        강민호 ( Kang Minho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5 中國文學 Vol.85 No.-

        杜甫의 시에는 같은 제목 하의 連作詩도 많으며 완전히 같은 제목은 아니지만 연작시와 비슷한 형태를 띠는 類似連作詩도 자주 볼 수 있다. 두보의 연작시는 개별 시가 독립성을 가지면서도 전체가 마치 하나의 작품 같은 엄밀한 장법을 구사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두보의 유사연작시도 이와 비슷한 면모가 있지만 개별 시의 독립성이 더욱 두드러지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래서 종래에 거의 독립적으로 취급되었는데 이를 유사연작시로 상호 관련지어 보면 또 다른 두보의 용심처를 발견할 수 있다. 두보의 유사연작시는 제목에 같은 글자가 있거나 색채나 상황 등이 대비를 이루는 詩題로 짝을 이루는 雙題연작시가 많다. 또한 多題연작시도 三吏三別처럼 같은 수량의 시가 대비되듯 짝을 이루는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에는 두보의 對偶 추구 심리가 확장되어 발현되었다고도 볼 수 있다. 대우의 추구는 중국 고전시의 중요한 미학의 하나이기에 시인들은 이에 민감하며 두보는 더욱 그렇다. 대우를 이룬 구는 개별적으로 감상하기보다 서로 대비하며 연관 지어 볼 때 더욱 깊은 맛이 우러나듯, 雙題나 多題로 짝을 이룬 두보의 유사연작시도 서로 연관 지어 보면 단독으로 볼 때의 시의 의문점이 해소되기도 하고 더욱 깊은 시의 함의를 느낄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신동문 전기시의 연작 형식

        노지영(Roh Ji Young)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서강인문논총 Vol.0 No.27

        50년대 시사에서 시적 형식에 대한 고민은 두 가지 분파에 대한 대응 속에서 이루어졌다. 첫째, 서정시의 적격을 강조하는 일련의 전통주의 집단에 대해 대립항으로서 존재하여야 했다. 청록파를 위시한 전통주의 집단이 보여주는‘닫힌 형식’으로서의 시학에 대응해야 했던 것이다. 둘째, 합리적 이성의 변종인 전란이라는 끔찍한 상황과 막연한 진보에의 믿음에 대해서도 경계하여야 했다. 전자와 같이 미적 체험의 응축된 형식으로 기능하는 서정시에 대응하기 위해 전후에는 시의 “장형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그러나 전란과 시대적 격변 속에서 적극적으로 생산된 장시와 연작시에는 서사적 실패와 질서에 대한 불안의식이 동시에 노출될 수밖에 없었다. 그리하여 장형화된 연작시를 표방하지만, 미래에 대한 연속성과 구조적 완결성을 거부하는 불연속적인 장형 연작시의 형태가 나타나게 되었다. 신동문의 시편들은 불연속적인 연작시의 양상을 보이는 전후시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시작 초기에 정력적으로 연작시를 창작했지만, 그의 연작시는 하나의 서사적 구조를 띠고서 처음과 시작을 갖추고 있는 완결된 형태의 연작시를 보여주지는 않는다. 이는 시의 생명으로서의 유기성이나, 진화적 시간관을 대변하는 다윈이즘을 철저하게 거부하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그리하여 신동문의 연작시는 기획적인 연작의 형태를 띠면서도, 그 시편들과의 인과관계와 필연성이 최대한 깨져있는 특이한 형태로 존재한다. 본고에서는 단형화와 장형화의 두 가지 이분법적 형식을 혁신하는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해 콩테의‘시리즈성’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콩테는 “요소들의 불연속성”을 주목하고 주제적인 연속성을 가진 인과적 시퀀스와 불연속적인 시리즈를 구별하고 있다. “이러한 시리즈들이란 서사시의 포함을 요구하지 않으며, 단일한 서정시의 완전함과는 분리되는”것으로서 “합산도 배제도 요구하지 않는” “소재들의 다양한 집합을 허용하는 결합적인 형식”이다. 이는 선조적 진행에 맞춘 서사적 형식을 지향하지 않은 채 이를 부정하면서 탄생했던 전후 시기 연작시를 설명할 수 있는 유효한 개념이 된다. 신동문의 연작시는 고전적 서정시를 늘여 쓴 형식과 같은 안정적이고 구심적인 연작시의 형식에서 벗어나 있다. 「풍선기(風船期)」와「제삼포복(第三匍匐)」이라는 제목하에 각각의 시편들이 이어져 있지만 연작마다의 필연성은 깨져있으며, 시편들 사이의 유기적인 진행 과정이 드러나 있지 않은 ‘시리즈’형식을 보여준다. 유기적인 순차적 연속물의 인과적 진행에 대한 대안으로 나타난 이러한 ‘시리즈 형식’은 “불연속적이며, 종종 하나의 사물이 다른 하나를 따르는 우연한 방식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불연속적인 연작시의 형식은 파편화되고 우연성에 지배되는 전후의 실재적 현실을 드러내는 하나의 방법적 전략이었다. 즉 기존의 인과적 연작시의 개념을 파괴하고 이를 변형하여 당대의 전후 현실을 드러내고자 했던 새로운 시적 도전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 history of poetry in ’50s, a worry about poetic form was solved by dealing with two factions. First, it should be existed as contrast against a chain of traditionalism group as well as Group of Blue Deer which emphasized competence of lyric and poetics as ‘closed form’, and second, It was necessary to be on the alert about terrible situation of war as variants of rational reason and faith for the future. Like a former, in order to deal with lyric which is functioning as condensed format of aesthetic experience, “long-form phenomenon” of poems appeared prominently after war. However, the long poems and serial poems produced positively in the contemporary upheavals of war couldn't help exposing narrative failure and anxiety about the order at the same time. Thus, the serial poems of long form which refuse continuity for the future and structural integrity appeared. The serial poems of Shin Dong-Moon can be said that the representative examples of Post-war poetry which shows aspects of discontinuous serial poems. He created serial poems vigorously in the early days of writing, but his serial poems don’t show the complete form observing the beginning and end of narrative structure. It appeared by the aspects to thoroughly reject organic as life of poems or Darwinism which is represented as a evolutional viewpoint of time. Therefore, the serial poems of Shin Dong-Moon have projective form of serial works and as unusual form with broken causality and inevitability with poems. This study introduced Conte’s ‘seriality’concept to express movement which innovates two dichotomous forms as short form and long form. Conte paid attention to “discontinuity” and he divided causal sequence including subjective progression with discontinuous series. “These series don’t not require the exclusion of epic and are separated from completeness of single lyric” and it is “the incorporative form which allows the various sets of materials” “which doesn’t require adding up or exclusion”. It became a valuable concept to express the serial poems which was born in post-war period by denying the narrative form adjusting linear progression. The serial poems of Shin Dong-Moon is out of the form of stable centripetal serial poems like a form which the classical lyric is lengthened. Each poems are connected by the same title as 「Pungseongi(風船期)」and 「the Third Creeping(第三匍匐)」, but inevitability of serial works is broken and the organic progression between those shows unrevealed form of ‘series’. The “serial form” appeared as counterproposal for the causal progression of organic sequence has features which is “discontinuous, and is determined by aleatory manner that one object follows another object often”. The form of discontinuous serial poems was one strategy in action showing post-war reality which was fragmentize and was ruled by contingency. It can be seen as new poetic challenge which destroys the concept of existing causal serial poems, and transforms it for revealing the real after war.

      • KCI등재

        두시(杜詩) 이제연작시(異題連作詩)의 장법(章法) 고찰

        이영주 ( Lee Yeongju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8 中國文學 Vol.97 No.-

        두시 중에는 시제가 다르지만 연작시로 보이는 것이 여러 편 있다. 이를 ‘異題連作詩’라고 칭하기로 한다. 이 이제연작시는 시제가 다르고 저작 시기도 다르지만 그 내용과 주제는 상호간에 긴밀한 연관성이 있다. 본고는 이제연작시의 장법을 분석하여 연작시를 이루는 개별 시 상호간에 시상이 연결되거나, 시상이 보완관계를 이루도록 안배되어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는 질서 있고 통일된 시상의 짜임새를 추구하는 두보의 작시 원리가 이제연작시에서도 적용되었음을 의미한다. 杜詩中有多首雖詩題不同, 但具有明顯的連作詩特征的詩, 本文稱之爲 ‘異題連作詩’. 杜甫的異題連作詩雖然在詩題和著作時間上多有不同, 但其內容和主題之間却存在著緊密的關聯性. 本文從異題連作詩的定義和範疇, 異題連作詩的章法分析, 異題連作詩的內容分析三個方面對杜詩異題連作詩的章法進行了考察. 通過對異題連作詩的章法分析, 可以看到杜詩異題連作詩在章法上有追求構思上的連結、構思的整齊的配置、構思之間相互完善的結構等三個特點. 杜甫所追求的詩的理想面貌是有秩序的、統一的, 而異題連作詩則是這種嘗試達到極點的結果.因此, 要想眞正地理解杜詩, 對異題連作詩的硏究是必不可少的.

      • KCI등재

        오규원의 연작시 「한 잎의 여자」의 자기반영적인 특징 연구

        문혜원 구보학회 2022 구보학보 Vol.- No.30

        The series poem “A leaf woman” shows the self-reflective characteristics of Oh, Gyu-won's poems, which is an extension of the poem “A leaf woman” in the third poetry book. The subtitles of each series are based on the verses of the A Phenomenal experiment in the first poetry book. In addition, the series includes other poems of Oh, Gyu-won, which are similar in terms of contents and expression. A Phenomenal experiment is developed as 1,2,3 and points out the limitations of language and senses new possibilities, while the series poem “A leaf woman” is an independent poem. They raised the problems of language in A Phenomenal experiment, presented a conclusion of reflection and solution. Especially, the series includes the boundary and reflection on everyday language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middle-aged poetry. In this regard, the series poem “A leaf woman” foreshadows the reflection on the language and the direction of the poem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Therefore, the poetry of series is not only a change in the thinking about language, but also a turning point where the poet reviews his poetic world and seeks direction. 연작시 「한 잎의 여자」는 오규원 시의 자기반영적인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 시는 3시집에 있는 「한 잎의 여자」를 연작 형태로 확대해 놓은 것이다. 각각의 연작시의 부제들은 1시집 분명한 사건 에 있는 「현상 실험」의 구절들을 따온 것이다. 또한 연작시에는 두 시 외에도 내용과 표현 면에서 유사한 오규원의 다른 시들이 포함되어 있어서 자기 반영적인 성격을 잘 보여준다. 전체적으로 볼 때 「현상 실험」은 1,2,3으로 전개되면서 언어의 한계를 지적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감지하는 것에 비해, 연작시 「한 잎의 여자 1」~「한 잎의 여자 3」은 독립된 시들로서, 각각의 시들은 공통적으로 대상의 고유한 존재를 인정하고 그것을 드러내지 못하는 언어에 대한 비판과 반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연작시 세 편은 오규원의 시적인 흐름과도 연결된다. 연작시 1은 초기 시에 드러나는 관념성에 대한 비판과 반성과 연결되고, 연작시 2는 중기 시의 사회 비판적인 특징을 포함하면서 동시에 이에 대한 반성을 예고한다. 연작시 3은 이러한 반성을 바탕으로 하여 후기 시가 대상을 구현하는 언어를 지향하게 되는 과정을 압축해서 보여주고 있다. 그런 면에서 연작시 「한 잎의 여자」는 중기 시까지의 언어에 대한 반성과 아울러 앞으로 전개될 시의 방향과 언어의 특징을 예고하고 있다. 따라서 연작시는 언어에 대한 사고의 변화만이 아니라 시인이 자신의 시 세계를 검토하고 방향성을 모색하는 전환 지점에 있는 것이다.

      • KCI등재

        杜詩 異題連作詩의 章法 고찰

        이영주 한국중국어문학회 2018 中國文學 Vol.97 No.-

        두시 중에는 시제가 다르지만 연작시로 보이는 것이 여러 편 있다. 이를 ‘異題連作詩’라고칭하기로 한다. 이 이제연작시는 시제가 다르고 저작 시기도 다르지만 그 내용과 주제는 상호간에 긴밀한 연관성이 있다. 본고는 이제연작시의 장법을 분석하여 연작시를 이루는 개별시 상호간에 시상이 연결되거나, 시상이 보완관계를 이루도록 안배되어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는 질서 있고 통일된 시상의 짜임새를 추구하는 두보의 작시 원리가 이제연작시에서도적용되었음을 의미한다.

      • KCI등재

        시어를 둘러싼 물리적 경험과 기호적 경험에 관한 시론 - 조태일의 초기 연작시 「나의 處女膜」을 중심으로

        정민구(Jeong Min-gu) 한국비평문학회 2021 批評文學 Vol.- No.82

        본 논문은 조태일의 초기 연작시 「나의 處女膜」에 나타난 시어 ‘處女膜’에 주목하여 그것을 둘러싼 물리적 경험과 기호적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연작시 텍스트의 이해 지평을 확장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연작시 텍스트를 기호적 차원에서 규명하기 위해 시의 기호학(semiotics of poetry)과 체험주의적 기호 이론(experientialist theory of signs)을 참조하였다. 본론의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습적/문화적 도식의 한계에서 벗어나 시어 ‘處女膜’의 취택 배경과 기호적 경험의 측면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둘째, 해당 시어의 취택은 일상의 언어기호를 둘러싼 물리적 경험과 기호적 경험에 대한 시인의 각별한 고려가 반영된 것이다. 셋째, 해당 시어는 당대의 관습적이거나 문화적인 것, 혹은 획일적이거나 이중적인 것들에 대한 경계를 무너뜨리면서 시적 소통을 개진하는 열쇠어로 기능한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은 조태일의 초기 연작시에 나타난 시어 ‘處女膜’에 대한 논의를 통해 연작시 텍스트에 대한 이해를 재고하고, 보다 확장된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토대를 마련해 보였다. This paper tried to expand the understanding horizon of poetry texts by analyzing the physical and semiotic experiences of the poetic word ‘Cheonyeomak’ used in Cho Tae-il’s early series of poems ‘Naui Cheonyeomak’. In order to identify the texts of serial poetry in a semiotic dimension, semiotics of poetry and experientialist theory of signs were referenced. A summary of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break away from the limits of the conventional/cultural schema and examine the background of the adoption and aspects of the semiotic experience of that poetic word. Second, the adoption of that poetic word reflects the poet’s special consideration of the physical and semiotic experiences surrounding everyday language signs. Third, that poetic word functions as a key word to promote poetic communication while breaking the boundaries between the conventional and cultural things of the time, or the uniform and double things. As a result, this paper laid the foundation for rethinking the understanding of the texts of serial poetry and enabling a more expanded understanding through the discussion of the poetic word ‘Cheonyeomak’ that appeared in Cho Tae-i’s early series of poems ‘Naui Cheonyeomak’.

      • KCI등재

        자전(自傳) 연작시의 텍스트성 연구

        최도식(Choi Do-sik) 어문연구학회 2017 어문연구 Vol.94 No.-

        This study examines the textuality of autobiographical serial poetry through Sang Gu’s There is a story even behind a knag of a quince , which entails the style of mixed writing. There is a story even behind a knag of a quince consists of 100 autobiographical serial poems. The work covered Sang Gu’s realistic (historical) experience and the inner (spiritual) world of existential life who underwent the turbulence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in Korea. And the autobiographical time of the work is in a chronological order from childhood to the age of eighty. Given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poem, This paper examines the autobiographical textuality, focusing on the mixed nature of his writing style. In the work, he mixes 1) self-completeness of the subject and text in process, 2) the narrative and the lyrical, 3) memory and imagination, and 4) judgment of truth and falsehood. Throughout the paper, I will show how those mixings determine its peculiar autobiographical textuality. The poet is immersed in 100 episodes. He has poetry of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awareness of existence. It is the process of self-completion. His self - completeness is based on totality. Overall is the essence of his life. He shows the desire of self-perfection through harmony and harmony of life and literature. In the book of autobiography of the idea, his life, thoughts and literature appear as one world. And the subject pursues self-completeness. On the other hand, the subject has relationships with others, society, the world, and the times. The relationship is in the process. The process of text changes ideas and changes the world of poetry. Therefore it is the text in the process. The series poem is a new relationship between things and self. And the discovery of the self through the new order. In the text, the poet described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the age situation, and the perception of existence. Lyrical poetry is a world of poetic self. But when poem becomes a series text, it becomes a narrative. Series text has annotations. Supplementation of annotations occurs at the boundary of the self and the text. This is the textuality of the autobiographical text. The autobiographical text calls itself. Series format maintains narrative textuality. And the individual text is the lyrical utterance of the self. Therefore, it is a hybrid of epic and lyrical. Hypogonality is autobiographical textuality. Autobiography text is narrative, my life and story. The narrative is a historical event and a fictional event. The past is real. The fact is in memory. Fiction is an imaginary fiction. Autobiography textuality is the intersection of memory and imagination. Memory / imagination, fact / fiction is the boundary. It is located at the border. Memory is representation. The representation is reconstructed in time. And the time of experience is the memory of oneself. Memory is described by imagination. Series texts are memories and imaginations, facts and fiction. This is a reflection of existence, reality, and ideology. Truth and lie are the problems of autobiography. This is important. And truth and falsehood can not be distinguished. The division is ambiguous. The truth of the past can not be.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past depends on memory. In the preface to the series poem, the life of Ethos is unique. And poetry is originality. Uniqueness is the truth. Creativity is fiction. So the series poem is autobiography and literature. Autobiography and literature are in one place. This is a hybrid text. It is not true. It is not a lie. This is an experience and a reality. And this is on the borderline. The series poem is an autobiography, so it is true. And the series poem is fiction because it is literature. Truth and fiction can not be judged. Therefore, judgment must be stopped. We should not depend on purpose, method. We must explore the spirit of a new age. 본 연구는 혼종적 형태의 글쓰기가 내재된 구상의 자전 연작시「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를 통해 자전 연작시의 텍스트성을 고찰하였다.「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는 총 100편 의 연작시이며 자전(自傳) 시이다. 이 시는 한국 근현대사의 격동기를 겪은 구상의 실존적 삶의 현실적(역사적) 체험, 내면적(정신적) 세계를 시의 주제와 소재로 다뤘다. 그리고 유년기부터 팔순까지의 연대순으로 자서전적 시간을 구성했다. 이에 본고는 주체의 자기완결성과 과정 중의 텍스트, 서사적인 것과 서정적인 것의 혼종, 기억하기와 상상하기의 교차(경계), 진실 혹은 거짓의 판단 중지의 관점에서 자서전적 텍스트성을 살폈다. 구상은 연작 시작(詩作)과 100편의 연작에 몰입한다. 이것은 역사의식과 존재인식을 100이라는 자기 완결의 과정으로 담고자 했으며, 그 자기 완결성은 전인성(全人性)을 토대로 한다. 전인성은 그의 삶의 본질적 양식이자 삶과 문학의 조화와 일치를 향한 자기 완 결에 대한 욕망이다. 구상의 자서전적 연작시는 자신의 삶과 사상과 문학이 전일된 하나의 세계로 표상되어 형상화된다는 측면에서 주체가 자기 완결성을 추구하지만 한편으로는 주체가 타자, 사회, 세계, 또 시대와 관계 맺는 과정 중에 끊임없이 사상이 전도되고 시 의 세계가 변화하는 과정 중에 놓여있다는 점에서는 과정 중의 텍스트이기도 하다.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는 사물과 자기와의 새로운 관계와 새로운 질서를 통한 자아의 발견이다. 구상은 한 편 한 편의 시에 역사의식, 시대상황, 존재인식을 서정적인 시적 자아의 세계로 담는다. 그러나 그 시편이 하나의 연작 텍스트로 수렴되면 서사를 이루게 된다.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는 주석이 덧붙여 있다. 주석에 의한 보충하기는 ‘자아’와 ‘텍스트’의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자서전적인 텍스트성을 ‘자기 자신의 것’으로 명명한다. 이로 인해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는 연작 형식에서는 서사적 텍스트성을 유지하며, 하나하나의 개별 텍스트는 자아의 서정적 발화로 드러난다. 따라서 서사적인 것과 서정적인 것의 혼종성이라는 자서전적 텍스트성을 보인다. 자서전적 텍스트는 서사를 통해 자신의 삶의 이야기를 담는다. 서사는 역사적 사건과 허구적 사건으로 구성되며 과거의 실재성에 빚지고 있다. 사실은 기억 안의 사실이며, 허구는 상상 안의 허구이다.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의 자서전적 텍스트성은 기억하기와 상상하기의 교차점, 즉 기억하기/상상하기, 사실/허구 사이의 경계면에 위치한다. 기억하기는 재형성하기를 통해 연대기적인 시간으로 재구성된다. 그리고 체험된 시간은 자기 자신의 기억이나 상상에 의해 기술된다.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는 기억과 상상, 사실과 허구의 경계면을 통해 실존의 문제와 이데올로기의 문제를 연작으로 성찰한다. 진실과 거짓의 문제는 자서전 장르의 특성을 부각시키는 중요한 문제이다. 그런데 진실과 거짓을 정확하게 구분하기란 어렵다. 과거의 진실은 손상되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는 것이 아니기에 과거의 기술은 기억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구상이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의 서문에 밝히고 있는 ‘에토스적인 나의 삶의 독자성’은 진실의 관점이며, ‘나의 시의 독창성의 방법론’은 시적 상상력에 해당하는 거짓의 관점이다. 따라서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는 자서전이면서도 시(문학)라는 혼종적 텍스트이며, 사실도 거짓도 아닌, 경험된 것이라는 ‘현실’의 층위에서 둘 사이의 경계면에 놓여 있는 텍스트이다. 구상의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는 구상의 말마따나 자전(自傳)이라는 점에서 진실이다. 그러나 연작시, 곧 문학 작품이라는 점에서 진실일 수 없는 거짓(허구)이다. 과거를 재구성하여 현재를 그려낸 그의 시적 행위에 내포된 의미는 진실 혹은 거짓에 대한 판단 중지를 통해 현재의 나(우리)를 어떤 목적이나 방법에 종속시키기보다 새로운 시대정신을 적극적으로 탐구하는 데 있다.

      • KCI등재

        ≪唐詩三百首≫ 連作詩 選詩에 대한 비판적 검토

        나누리,김준연 한국중국학회 2023 중국학보 Vol.105 No.-

        The 300 Tang Poems(唐詩三百首) is a compilation of poems by Sun Zhu(孫洙), a former educational administrative official during the Qing(淸) Dynasty, intended to address the deficiencies found in the Poems by a Thousand Masters(千家詩). Educational canon, exemplified by the 300 Tang Poems, is a text organized in accordance with learners’ proficiency levels, serving educational objectives within the school context. The present review focuses on serial poems while examining the following issue. Sun Zhu diligently compiled the 300 Tang Poems, which diverged from the Poems by a Thousand Masters by featuring a total of 52 published poems, including 28 complete poems or multiple excerpts. Consequently, themes such as women’s lamentation, frontier life, farewell, and love received significant emphasis within the 300 Tang Poems. It is widely recognized that Sun Zhu’s compilation was greatly influenced by Shen Deqian(沈德潛)’s collection of Tang poems during the same period. However, unlike Shen’s collection, Sun’s work prominently incorporated love poems by Du Mu(杜牧) and Li Shangyin(李商隱). Therefore, it can be argued that the 300 Tang Poems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love poems as a canonical genre. It is worth noting that the selection of the 52 serial poems published in the 300 Tang Poems entailed the exclusion of 73 poems from the original 125. The excluded poems generally manifested strong sentiments of sadness, resentment, and satire. This may reflect the consideration that the 300 Tang Poems served as an educational textbook. However, it is essential to assess whether it continues to be a relevant standard for contemporary general readers. The outcome of the selection process for the serial poems within the 300 Tang Poems exhibits clear limitations. First, an excessive preoccupation with themes such as “palace” and “Yang Guifei(楊貴妃)” can be observed. Additionally, there exists a risk that some serial poems, encompassing only partial content, may distort the original intentions of the poets. In light of the aforementioned discussion, this study explores salient aspects to be taken into account when approaching the 300 Tang Poems and puts forth alternative perspectives. Caution should be exercised concerning the potential adverse consequences arising from an unquestioning acceptance of the 300 Tang Poems. Furthermore, given that the compilation of poems resulted from a process of selection and exclusion, it is imperative to reassess the validity of the selection criteria and continuously unearth exceptional works among the excluded poems. 본고는 청대에 ≪천가시≫를 대체할 교재로 손수가 편찬한 ≪당시삼백수≫에 선록된 310수 가운데 52수의 연작시를 검토한 것이다. 연작시 선시의 기준, 특징과 문제점을 두루 검토한 후에 그에 대한 해결방안도 제시하였다. 이 연작시들은 청대 종당파를 대표하는 심덕잠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알려진 다른 ≪당시삼백수≫ 선록 시와 경향을 달리한다. 손수가 독자적으로 여러 선집을 두루 참고하면서 규원, 변새, 송별, 애정 등의 주제와 관련된 연작시에 강한 애착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주제 상의 특징은 아동용 교재를 표방한 편찬 취지와 다소 배치되는 측면도 없지 않다. 그러나 연작시 125수에서 52수를 선별한 결과를 보면 슬픔, 원망, 풍자의 정서가 지나치게 강한 작품을 배제한 것이 드러난다. 이는 ‘인성 교육’과 ‘시학 교육’을 두루 고려하고자 한 의도로 판단된다. ≪당시삼백수≫의 연작시 선록 결과는 몇 가지 문제점도 드러냈다. ‘궁궐’이나 ‘양귀비’와 같은 특정 소재에 집착한 일면이 관찰되고, 전체 내용의 일부만을 선록한 일부 연작시의 경우 시인의 본래 의도를 왜곡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점들은 이미 상당한 정도로 정전화된 ≪당시삼백수≫를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과정에서 충분히 검토해야 할 부분이라고 여겨진다.

      • KCI등재

        北宋洋州三十景组诗中的空间考察

        후미영 한중인문학회 2022 한중인문학연구 Vol.75 No.-

        During his tenure as governor in Yangzhou, Wen Tong wrote 30 poems based on the representative natural and humanistic environment there. According to this, Su Shi, Su Zhe and Xian Yushen, who had friendship with Wen Tong, also created poems respectively, which formed the most noteworthy grand event for garden responsory poems in the literary sphere of the mid-Northern Song Dynasty. The appearance of Yangzhou described by them is of great significance to the formation of spatial landscape.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geography, this paper examine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poems of the thirty landscapes in Yangzhou by four poets. From the investigation of the creation time and place of series of poems, it can be seen that the creation time is similar, but the creation places are different, and the order of their poems is different from the layout of landscapes. Then, according to the narrator and the description content, the author studie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Yangzhou's 30 landscapes. From the narrator's point of view, Wen Tong, who experienced the 30 Yangzhou landscapes regarded this place as an extraordinary world, while the indirect experiencers Su Shi, Su Zhe, and Xian Yushen created imaginative geographical place, this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 main descriptions of the poems are their love for Yundang Valley bamboo, the victory of natural landscape, the demand for official seclusion life, the elegance of literators, the ingenuity of humanistic landscape, and the matter of pastoral farming and mulberry etc. From these, we can understand the hobbies of the literators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북송의 문인 문동은 지주로 부임한 양주에서 그곳의 대표적인 자연과 인문 환경을 소재로 30수에 달하는 연작시를 창작했다. 이에 문동과 교분이 있던 소식, 소철, 선우신도 각각 화답시를 지으면서 북송 중기 문단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원림창화 활동이 이루어졌다. 필자는 이들이 묘사한 양주의 모습이 장소화된 공간으로서 큰 의미를 가진다고 판단하고, 인문 지리학적 관점에서 네 문인의 양주 30경 연작시의 공간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연작시의 창작 시점과 지점에 대한 고찰로부터 4인 연작시는 창작 시점이 유사하나 창작 지점이 각기 다르고 각자 노래한 순서가 실제 경관의 배치와 차이를 보인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어서 필자는 서술자와 묘사 내용이라는 시각에서 양주 30경 연작시의 공간적 특징을 검토했다. 서술자의 관점에서 볼 때 양주 30경의 직접 경험자인 문동은 이곳을 별천지로 간주한 반면, 간접 경험자인 소식, 소철, 선우신은 문동의 양주 30경 연작시로부터 심상지리 공간을 추출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 만하다. 양주 30경 연작시의 주요 묘사 내용은 운당곡의 대나무에 대한 사랑, 자연 산수의 빼어남, 은거 생활의 추구, 문인 생활의 정취, 인문 경관의 정교함, 전원의 농사일 등으로서 이로부터 북송 문인의 취향을 살펴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