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분야 혁신연수의 통합적 평가모형 개발과 적용

        정금현 한국교원교육학회 2006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3 No.3

        최근 교육기관에서 학교혁신의 내실화를 위해 다양한 혁신연수를 추진하고 있으나 그 과정 및 성과를 효과적으로 관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이 연구에서는 혁신연수의 개선을 위한 통합적인 연수평가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통합적 연수평가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선행연구검토, 연수평가 개념모형 개발, 실행방안 설정, 평가모형의 적용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통합적 연수평가모형은 전략평가, 과정평가, 성과평가를 영역으로 하고, 구체적인 내용으로 전략평가는 미션, 비전, 전략, 실행, 평가, 환류를, 과정 평가는 학습목표, 학습과정, 질의ㆍ성찰, 상호작용을 평가내용으로, 성과평가는 만족도, 행동변화, 성과향상, 학습수준의 변화를 평가내용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연수평가 개념모형의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제시하였다.혁신연수의 전략, 과정, 성과를 통합적으로 평가하게 되면 연수의 파급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현실성 있는 연수평가모형을 제시함으로써 연수설계자에게 실질적이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지식재산보호 교사연수 프로그램 효과 및 개선 방안 연구 : 만족도 및 중요도 - 수행 자신감 분석을 중심으로 ***

        최유현(Choi, Yu-hyun),김승현(Kim, Seung-Hyun),임윤진(Lim, Yun-Jin),이동원(Lee, Dong-Won),손다미(Son, Da-Mi),이진우(Lee, Jin-Woo),이은상(Lee Eun-sang),김동하(Kim, Dong-ha) 한국실과교육학회 2016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9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용 지식재산보호 연수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하여 연수의 효과성을 확인 하기 위해 가장 기본적인 단계인 만족도 조사와, 연수를 통하여 지식재산에 대한 수행 자신감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데 있다. 또한 연수 참여자들의 입장에서 지식재산보호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데 부차적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은 연수 참여자(51명) 중 설문에 참여한 교사 40명이며, 조사도구는 5점 리커트 척도를 활용하여 만족도, 연수 전후의 지식재산교육 중요도 및 수행 자신감 조사 및 연수의 운영 및 개선에 대한 자유응답 문항으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재산보호연수 프로그램은 중등교사용 A과정, 초등교사용 B과정으로 개발되었으며, 해당 연수에 대하여 연수 참여교사들의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지식재산보호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은 지식재산교육의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해당 연수를 통하여 지식재산교육의 수행에 대한 자신감이 통계적으로 상승하였다. 셋째, 향후 지식재산보호교육 연수의 개선을 위해서는 연수자료집 개선, 사례중심 및 활동 중심의 프로그램 증대, 연수대상자를 위한 추가 자료의 충분한 제공이 요구되며, 연수 프로그램 내의 중복된 내용에 대한 사전검토를 통하여 최소화하는 방안이 요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ffects on satisfaction, importance of recognition and confidence in performing IP education through an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Teachers’ Educating Program (IPP-TEP). It was also to propose improving future training programs based on empirical evidences. The target of this study were 40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Total participants were 51). After the intervention program completed, we investigated participants’ satisfaction for the configuration details by 5-points likert scale and planning/management of the education requirements by free description. Also, we investigated before and after recognition about importance and confidence in performing of IP educatio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 participants were satisfied with all categories of the IPP-TEP. Second, through the IPP-TEP, teacher’s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and self- confidence in performing IP education was risen. Teachers’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IPP-TEP was high both before and after training, self confidence in performing of IP educa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d. Third, the training instruction manual, to increase the programs based on case-oriented and activity-based, and to provide helpful resources for training participants should be improved. It was also needed to minimize the redundant information by pro-validation of training materials.

      • KCI등재

        원격교육을 통한 초등교원연수 개별화 방안

        송광용,황혜영 한국교원교육학회 200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2 No.1

        첨단 매체를 이용한 정보통신기술이 날로 발전하면서 교원현직교육에 있어서도 교원원격연수가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원의 다양한 요구에 맞는 개별화 된 원격연수의 필요성 또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수 프로그램의 다양화, 수준차별화 및 연수방법의 다양화 방안을 모색하여 궁극적으로 초등교원 원격연수 개별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연구 문제의 해결을 위해 인터넷을 이용하여 현재 운영 중인 모든 원격연수원의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또한 서울특별시 내 초등학교 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내용은 원격연수 프로그램의 종류, 각 프로그램의 내용 수준, 원격연수방법에 대한 요구였고, 이를 통하여 내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 개인적 영역과 학교 조직적 영역에 해당하는 원격연수 프로그램의 양적 증대가 필요하다. 교사 전문적 영역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은 심화 수준으로 구성되어야하며, 웹상에서 교원들의 상호작용이 촉진되어야한다. 이를 위하여 원격연수원에 대한 지원 강화 및 원격연수원의 프로그램의 특성화, 원격연수의 홍보가 요구되며, 교원들의 웹상에서의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함께 컴퓨터 사용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원격교육연수원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정진구,김홍래,김자미 한국정보교육학회 2009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3 No.2

        본 연구는 교사들에게 원격교육연수원 교육과정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 제공과 원격교원연수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07년 현재, 65개의 원격연수원이 운영 중에 있으나 원격연수원에서 운영 중인 교육과정에 대한 정보는 체계적으로 제공되지 않고 있다. 교육과정 분석을 위하여 65개 연수원 중 33개를 선정하여 직무연수 567개 과정, 자율연수 317개 과정, 기타연수 23개 과정을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원격교원연수원에 대한 접근성 향상 필요, 둘째, 민간기관 원격교육연수원 중심의 교과목 편중 현상 극복, 셋째, 교사 역량 증진을 위한 교과목의 다양화, 넷째, 특정 교과목 편중 현상 극복, 다섯째, 기존에 운영하고 있는 교육과정에 대한 지속적인 유지보수 필요, 여섯째, 우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정부차원의 지원 확대 등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trategies for promoting distance education program and for providing total information for teachers about curriculum of distance educational training institute. In 2007, there were 65 institutes of distance education training, but we don't have enough information about curriculum of the institutes. To analyze curriculums of the institutes, it had been selected 33 institutes of 65, and 567 of performance training programs, 317 of optional programs, and 23 of free training program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It calls for easy accessibility to distance educational training institutes (2) It has to overcome biased status that private institutes have more courses than government institutes'. (3) It will be needed to make diverse courses for teacher's capabilities. (4) It calls for course development of several subject matters (5) It will be needed to maintenance for running course continuously. (6) It has to make supporting plan for excellent courses by government.

      • KCI등재

        교원연수제도의 문제와 개선에 대한 역사적 신제도주의적 분석

        신현석(Shin, Hyun-Seok),전상훈(Jeon, Sang-Hoo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8 敎育問題硏究 Vol.0 No.32

        본 연구는 역대 정부의 교원연수제도 개선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쉽게 개선되지 않는 원인과 그에 대한 교원들의 반응 행위에 대해 분석하고자, 역사적 신제도주의의 구조, 제도, 행위자의 통합적 접근을 사용하였다. 구조 수준의 분석 결과, 연수제도개선의 정책적 실기와 성과기준을 강조하는 책무성 기반의 학교개혁 방향은 연수제도 개선의 정책적 실현을 정책의 우선순위에서 뒤로 밀려나게 만들었다. 이것은 성과확인이 쉽지 않은 반면에 막대한 예산과 교원연수 시스템의 근본적인 변화를 필요로 하는 연수 프로그램의 다양화와 내실화에 소극적으로 대응하도록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도 수준의 분석 결과, 막대한 예산과 근본적인 체제의 변화를 요구하는 새로운 교원연수 시스템을 마련하는 대신, 참여정부 이후 연수이수를 의무화하는 정책을 표명함으로써 행위자인 교사들의 노력부족을 지적하고 있다. 행위자 수준의 분석 결과, 행위자인 교사들은 현장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 하는 교원연수제도에 대해서 불신과 회피로 대응할 뿐만 아니라, 적극적인 대안적 행위로 반응하고 있었다. 이러한 대안적 행위는 자발적인 연수 모임의 형태로 표출되고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수업현장의 요구를 반영하는 연수프로그램의 개선과 평가를 통한 교원연수의 질 관리체제의 도입이 필요하다. 그리고 연수이수 의무화와 같은 정책적 기제는 승진을 목표로 하지않는 대다수 교원들의 연수 참여를 활성화하는 방안이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연수프로그램의 다양화와 질적 향상이라는 근본적 변화를 전제로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Although many regimes' efforts for improvement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TPDS), TPDS has not been improv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ause and influence from the three levels (structure, institution, action) on TPD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conomic crisis at the structure level stress performance based accountability and this prevent the improvement of TPDS. Because it's very difficult to verify TPDS' performance. Second, at the institution level path-dependency prevent the improvement of TPDS. Because the improvement of TPDS needs fundamental change and a huge budget. Third, at the action level teachers show alternative action(self-directed meeting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as well as avoidance to TPDS.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interactions among the three levels prevent the improvement of TPDS. Then it suggested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as the fundamental change of the TPDS which reflect the needs of teachers, the building of new verification system, and the diversification of the TPDS.

      • KCI등재

        경기도교육청의 교원연수체제 및 교원연수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박철희(Park Cheol Hee),최화숙(Choi Hwa Sook),장인실(Chang In Si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2 No.4

        This study is aim to develop the proper teacher training system and teacher training programs model development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of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based on the needs that require the formulation of a new teacher training program that can actively support the growth of innovation in school education and teacher. 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ives, analysis on Gyeonggi-do teacher training on,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for teacher training and so on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research process is as follows. First, Gyeonggi-do teacher training status are like weak teacher training planning and co-ordination and development capabilities, disorganized training program of the teachers, the low accessibility of research and training institute and the need to strengthen the training of specialized personnel competency, the characterization and specialization of research and training institute, insufficient teacher training quality management, the gap between training content and school reality. Second, through recognition of teachers and the needs survey, new teacher training system and teacher training programs model could be required. Therefore, learning network model as teacher training system considering for the lifelong learning system proposed in this study and teacher training programs according to the teaching career are significant implications to the teacher training. 본 연구는 학교교육의 혁신과 교사들의 능동적 성장을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교 원연수프로그램의 정립이 요구된다는 필요에 근거하여 경기도교육청 소속의 초·중 등학교 교사에게 적합한 교원연수체제와 교원연수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는 데 목 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 교원연수 현황 분석, 교원연수에 관 한 교원들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분석, 연수원 담당자 면담, 교원 대상 설문조사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기도 교원연수의 현황으로는 미약한 교원연수의 기획·조정·개발 기능, 체계적이지 못한 교원연수프로그램, 연수 원의 낮은 접근성과 연수담당자의 전문역량 강화 필요, 연수원의 특성화·전문화 필 요, 미흡한 교원연수의 질 관리, 연수내용과 학교 현실 간의 괴리 등이다. 둘째, 교원 들의 인식과 요구조사 결과 새로운 교원연수체제와 교원연수프로그램 모형이 요구 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평생학습체제를 고려한 교원연수체제인 학습 네트워 크 모형과 교직경력에 따른 교원연수프로그램 모형은 교원연수에 시사하는 바가 크 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교육연수기관 평가 인증제 도입 방안 탐색

        전제상 한국교원교육학회 201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9 No.4

        교원연수는 교원의 전문적 성장을 위한 필수적 과정이며, 이를 위해 교육연수기관의 질 관리가 중요하다. 최근 교원의 전문성 개발을 위해 정부와 시·도교육청 중심의 교육연수기관을 운영해 왔으며, 교육연수기관에 대한 질 관리를 위해서는 교육연수기관의 운영 여건 개선, 프로그램 운영의 효율성 도모, 교원 연수의 효과성 제고 등의 질적 발전을 위한 평가체제의 확립이 요청되고 있다. 이 연구는 2010년 교원능력개발평가 도입, 수석교사제 실시, 교원학습연구년제 등의 교원의 전문성 개발에 관한 다양한 교원정책이 강조됨에 따라 교원연수기관의 질 관리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2011년부터 교육연수기관평가가 정부 주도로 실시되고 있지만, 교육연수기관에 대한 평가를 새로운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교육연수기관 평가인증제 도입 방안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교원연수기관의 현황과 한계, 교육연수기관 평가제의 운영 실태, 교육연수기관평가 인증제 도입을 위한 논리적 타당성 분석을 통한 도입방안을 모색하였다.

      • KCI등재

        ‘교과 속에서 찾은 발명 이야기’ 원격 발명교육 연수 참여 교사의 연수 내용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 수준 및 교육 요구도 분석

        박수진 한국실과교육학회 2015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8 No.3

        The research subject, 'Invention Stories in a Curriculum' training session has been run by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nd Distance Education Training Institute of Korea Invention Promotion Association since 20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eachers' perceived significances, performance levels and educational requirements about the training contents of 'Invention Stories in a Curriculum' in the introduction stage. Research method was to distribute questionnaires to all teachers in training session of 'Invention Stories in a Curriculum' and 76 questionnaires (76%) was collected. The questionnaires asked to answer in Likert 5-Point Scale and describe their own opinions of educational requirements about the attending training session. The questionnaire result was analyzed with IPA Matrix.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teachers who attended the training session think that training contents are significant (4.286) and their performance levels are normal (3.634).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000) between significance and performance level. In particular, the 10th 'Electromagnetic Wave-Free Life' and the 13th 'Ergonomic Design' indicate that it is required to raise performance capabilities though the attending training session. Second, as a result of specified opinion research about the attending training session, teachers want training contents how to develop contents and obtain a patent contents to apply interested in high technology, future leading-edge industry and etc. to their classes. This study proposes to open an attending training session mainly about case studies which are helpful to educational field for each school level. 이 연구 주제인 ‘교과 속에서 찾은 발명 이야기 연수’는 2015년부터 특허청과 한국발명진흥회 원격교육연수원에서 운영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 목적은 초기 도입단계인 교과 속에서 찾은 발명 이야기’ 연수 내용에 대해 교사들이 인식하는 중요도, 수행 수준, 출석 연수에 대한 교육 요구도를 파악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방법은 ‘교과 속에서 찾은 발명 이야기’ 연수에 참여한 교사 전체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76개(76%)의 설문지가 회수되었다. 설문지는 리커트 5점 척도로 응답하고 이 연수와 관련하여 출석 연수 내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의견을 기술하도록 하였다. 설문 결과는 IPA Matrix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첫째, 연수를 받은 교사들은 연수 내용에 대해 중요한 편이다(4.286)라고 여기며 수행 수준은 보통이다(3.634)로 인식하고 있었다. 중요도와 수행 수준의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000)를 보였다. 특히, 10차시 ‘전자파로부터 자유로운 삶’, 13차시 ‘인체공학적 디자인’ 의 경우 가장 시급하게 출석 연수를 통해 수행 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출석 연수에 대한 구체적인 의견 조사 결과 교사들은 최근 첨단 기술이나 첨단 미래 산업 등의 내용을 수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자신들이 직접 발명하고, 특허 출원하는 체험 연수, 연수 내용을 수업하는 방법에 관한 출석 연수가 개설되길 원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제언하면 ‘교과 속에서 찾은 발명 이야기’ 연수와 관련하여 출석 연수를 개설할 때에는 학교 현장에서 수업하는 데 도움이 되는 연수 내용 사례 중심의 교육 방법으로 이루어지되 학교급별 연수를 편성하여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漢文科 敎師 硏修의 現況과 解決方案

        宋秉烈 한국한문교육학회 2002 한문교육논집 Vol.18 No.-

        일정 기간의 경력이 있는 한문과 교사를 대상으로 '한문과 1정 자격 연수'가 실시되고 있다. 그런데 이 연수가 이미 오래 전부터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다. 본고는 한문과 1정 자격 연수의 실태를 살펴보고 그 문제를 짚어보았다. 또한 한문과 1정 자격 연수의 새로운 방향과 대안을 모색해 보았다. 각 지역 연수 기관의 한문과 연수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교과교육학적 전문성의 제고와 관련한 현행 한문과 연수원 교육과정은 현장 교사들이 교육 경험을 공유하는 교육과정이 절대 부족하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따라서 전공 지식의 교육과정과 경험 교육을 나누는 교육과정 사이의 균형적인 안배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현재 진행되는 1정 연수는 그 운영에서도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현장 교사들은 교수들의 이론식 강의가 아니라, 현장 교사들의 실제 체험담 등을 듣고 싶어하였다. 즉 자신들이 갖지 못한 다양한 교육방식의 체험적 실제와 이론에 관한 것 등이다. 그런데, 1정 연수의 운영은 현장 교사들의 실제 체험담이 아니라, 강단의 이론식 특강을 듣고 있었다. 이론식 특강도 철저하게 계획되어 준비된 것이 아닌 경우가 매우 많았다. 때로는 자신이 현재 문제로 느끼는 분야나, 연구하고 싶은 내용, 또는 이미 발표한 연구 논문 등을 가지고 강의 시간을 채워가는 경우도 있어 연수를 받는 교사들에게 연수 자체에 대한 불신을 갖게 하는 문제도 제기되었다. 1정 연수를 받기 위해 들어가는 교사들도 많은 문제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1정 자격 연수의 교육과정이 단순한 자격 연수로만 받아들여 적극적인 전문성 고양을 위한 노력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교과교육에 질을 높일 수 있는 강좌마저 소홀히 대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 대안으로는 첫째, 다양한 수업 방법의 분류이다. 이는 교수방법을 개발하고자 하는 교사에게 방향과 목적을 뚜렷하게 제시해주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교수 방법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과정이나 준비가 편리해진다. 교수 방법 추구에서 고려해야할 사항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다. 이론적으로 분류된 교수 방법은 다양한 수업 모색을 가능하게 하는 계기가 된다. 교수들의 지도안 개발이 끊임없이 재생산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다. 둘째, 현장 경험을 교류할 수 있는 방법을 다양하게 모색해야 한다. 참여한 교사들이 자발적으로 토론할 수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연수에서는 강좌식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다. 개선된 방법도 주도 토론과 발표 정도이다. 이러한 방법들은 남의 것을 듣는데 머무는 경우가 많다. 현장 교사들의 수업 사례 발표는 시범수업 및 연구수업은 교사들간의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된다. 수업 사례 발표는 실제 자신이 했던 수업의 내용만 보여 주는 것이 아니라, 그 수업의 결과물까지 제시할 수 있다. 다양하게 경험을 교류하여야만이 바람직한 연수가 될 수 있다. 자격 연수의 요체는 교사의 전문성을 높여주는 것이다. 전문성의 提高가 확보되어야 한문과의 자격 연수가 제대로 자리잡을 수 있다. The teaching course for gaining the qualified certificates of the first regular Chinese writing teachers has been allowed to the limited Chinese writing teachers over the requested teachers' career years to receive higher diplomas. This teaching course require all the teachers joining this course to become specialized teachers. This course to acquire the deeper knowledge on their speciality is composed of four parts, that is, letter science, the theory of Chinese literature and the reading of original works, the teaching guide of the curriculum of Chinese writing department, and the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culture. But, unfortunately the part of the Chinese writing curriculum, of them, to improve the teachers' speciality is little allowed to the course. According to survey, the alloted time for the department's curriculum on speciality is as follows. Seoul Training Center for Teachers just allots 42 hours of 112 hours(37.5%), in the proportion of the teaching guide of the curriculum of Chinese writing department to the department's speciality, Kyeongi University Training Center for Teachers 21 hours of 111 hours(18.9%), but Chungnam Training Center for Teachers very high 60 hours of 115 hours(52.1%), comparing with other centers. The Chungnam Training Center for Teachers allots much time to teach the curriculum course, but is short of time to improve the department's curriculum speciality. The present teachers' lectures who are in charge of the Chinese writing in the school can contribute the teachers involved in the training program to improve the speciality of curriculum. Also, the assignment of instructors, specially, the one of present ones consists of Seoul, 14 hours, Kyeonggi, 6 hours, and Chungnam, 21 hours, alloted with a few hours. So, the Chinese writing teachers who join in the training course have little chance to receive rich know-how from senior experienced teachers. The contents of the lecture on speciality subjects are mainly composed of personal study theses. Still less, these theses are far away from schools and not related with from schools, not great helpful for Chinese writing curriculum. Besides, since the curriculum of training center for special lectures focuses on theory-centered class, it only shows it is short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chool education and the training center. There are two kind of ways to solve such problems. One is we try to have many chances to listen to the schoolteachers' voices carefully in the training center. The other is we try to make changes lecture's themes and contents appropriate to the curriculum of Chinese writing department. The teaching course for gaining the qualified certificates of the first regular Chinese writing teachers will be a good training course provided such inefficient training parts will be abolished or improved.

      • KCI등재

        연구논문 : 현장적용형 혼합학습 교사연수의 모형과 실천 전략

        김진규 ( Jin Gyu Ki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교육문화연구 Vol.17 No.1

        이 연구에서는 교사 현직연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현장적용형 혼합학습 교사연수체제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하였다. 교사학습공동체 활용 연수의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현장적용형 혼합학습 교사연수 모형, 실천 전략, 그리고 실제 사례를 제시하였다. 현장적용형 혼합학습 교사연수의 기본모형은 기초학습, 온라인학습, 현장적용 체험학습, 그리고 피드백과 심화학습으로 구성되었다. 현장적용형 혼합학습 연수설계 전략은 연수과정목표 설정, 연수내용 선정, 연수방법 결정, 연수평가 계획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연수운영 전략은 기본모형의 4가지 단계로 구분하여 연수관련 이해당사자의 임무와 역할을 명시하였다. 교사학습공동체 활용 현장적용형 혼합학습 연수프로그램의 예시로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따른 지원필요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수업능력 향상 연수과정의 개요와 학습모듈 시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원능력개발평가결과활용 교원연수계획에 따라 선발된 지원필요 교사 대상 능력향상연수에 현장적용형 혼합학습 연수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daptability of a new teacher training models and practical strategies for the field-oriented blended learning.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on teacher learning community, teacher training models, practical strategies, and outlines of case study of field-oriented blended learn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basic training model of the field-oriented blended learning includes 1) basic learning, 2) online learning, 3) field-oriented experiential learning, and 4) feedback and advanced learning. Second, the course design strategies is classified into 1) setup of training objectives, 2) selection of training content, 3) selection of training method, and 4) planning of training evaluation. Third, the course management strategies were specified by the four steps of basic training model. Fourth, the outlines and learning modules of a special training program for struggling teachers were exemplified in this study. Finally I strongly suggest that the training models and practical strategies of the field-oriented blended learning should be implemented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