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he Effects of Study Habits and Emotional Problems on Life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 in Female Headed Single-Parent Families

        Ju-Hee Park(박주희) 성신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2015 여성연구논총 Vol.17 No.-

        본 연구는 여성 한부모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학업습관과 정서적 문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한국청소년정책 연구원의 아동청소년 패널(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의 중 1패널의 4차년도 (2013)자료 중 어머니와 함께 사는 여성 한부모가정 학생 125명이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습관과 관련해서 양친부모가정의 청소년이 여성 한부모가정 청소년보다 학업습관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습관 하위변인별 차이를 살펴보면, 시간관리에서는 양친부모가정 청소년이 여성 한부모가정 청소년보다 시간관리를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문제와 관련해서 여성 한부모가정 청소년이 양친부모가정 청소년보다 공격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와 관련해서 양친부모가정의 청소년이 여성 한부모가정 청소년보다 삶의 만족도가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시간관리를 잘 할수록 우울감이 낮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여성한부모 가정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가 양친가족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보다 낮은 것을 알 수 있으며 학업습관도 양친가족 청소년이 더 좋으며 여성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경우 더 높은 수준의 정서문제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격성은 주로 영향을 미치는 정서문제로 나타났으나 양친가족 청소년의 경우도 공격성은 삶의 만족도를 낮추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여성 한부모가정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정서지원 및 학습시간관리를 증진 하는데 유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tudy habits and emotional problems on life satisfaction among South Korean adolescents compared to adolescents in two-parent and single-parent families. Participants were the third-year data of the sixth grade panel among three panels provided by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performed from 2010. This study involved a total of 2171 adolescents, 1920 in two-parent family group and 125 in female-headed single-parent family group All statistical data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18.0.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living with two-parents had better study habits compared with those living with a female headed single-parent. Adolescents in two-parent families manage their time better than those in female headed single-parent families. Second, adolescents living with a female headed single-parent, the better the time management, the lower the depression level, the higher the life satisfaction.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adolescents in female headed single-parent families have lower life satisfaction than those in two-parent families. Adolescents in two-parent families have better study habits than those in female headed single parent families, and adolescents in female headed single-parent families have higher level of emotional problems than those in two-parent families.

      • KCI등재

        동시와 청소년시의 여성 화자

        김유진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20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6

        In this thesis, I analyze the feministic aspects of the children and youth poetry published after the ‘feminism rebooting’ especially for the poetry in which the female children and adolescent persona are clearly presented in the whole poetry. Based on the feminism literature theory, I also critically review the recent critics that mentions the female persona in the connections to the female writers, and studies their connections at the children and youth poetry. In the conclusion, I understand the children and youth poetry that present the female persona in front is meaningful, in the gender political point of view, in visualizing the female children and adolescent persona, and in the ethics and esthetics point of view of the children and youth poetry, in reorganizing more specific and individual realit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he poetry, the female children and adolescent persona, in showing their innner mind and in presenting their experiences, make new voice which is not observed at the children and youth poetry until now, and make us imagine a possibility to be in the solidarity and sympathy between the children and grownups. 이 글에서는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 발간된 동시집과 청소년시집 중 여성 어린이 화자, 여성 청소년 화자가 시집 전반에 뚜렷이 드러나는 작품을 여성주의 시선으로 분석하고, 이들 여성 화자의 의미를 밝혔다. 또 여성 화자를 여성 저자와의 관계에서 언급한최근 비평들을 여성주의 문학 이론에 비추어 비판적으로 점검하며, 동시와 청소년시의여성 화자와 여성 저자의 관계를 검토했다. 그 결과, 여성 화자를 전면에 내세운 동시와 청소년시는 젠더 정치의 측면에서는 여성 어린이, 청소년을 가시화한다는 점에서, 아울러 아동청소년문학의 윤리와 미학의 측면에서는 보다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어린이, 청소년의 현실을 재현한다는 점에서 의미가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여성 어린이 화자, 여성 청소년 화자는 자신의 내면을 고백하고경험을 재현하면서 지금까지 동시와 청소년시에서 발견되지 못한 새로운 목소리를 들려주었으며 어린이와 어른 간, 여성 간에 서로 공감하고 연대하는 관계의 가능성을 상상하게 했다.

      • KCI등재

        여성청소년 성재생산건강권 개념과 정책제언

        장필화(Pilwha Chang),이명선(Myoung Sun Lee),노지은(Jieun Roh),김성애(Sung Yae Kim)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7 여성학논집 Vol.34 No.1

        본 연구는 여성청소년 성재생산건강권을 지난 20여 년간 국제사회가 합의해온 여성의 인권과 발전, 여성 임파워먼트와 성평등에 기여하는 데 주요한 개념으로 가져오면서, 이러한 성재생산건강권을 보편적으로 보장하고 증진할 수 있도록 정부 정책이 포괄적인 전략을 제공해야 한다는 인식하에 한국의 여성청소년 성재생산건강권 관련 정책을 분석 하고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 조사 연구를 바탕으로 크게 세 가지 연구 내용으로 구성된다. 첫째, 여성청소년 성재생산건강권의 필요성과 개념을 이 해하기 위하여 국제사회에서의 여성청소년 성재생산건강권 논의에서 나온 주요 쟁점들 을 살펴보았다. 둘째, 「제4차 여성정책기본계획」(2013-2017), 「제5차 청소년정책기본계 획」(2013-2017), 「제3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2011-2020) 등 국내 여성/청소년/건강 관련 주요 기본 계획에 나타난 여성청소년 성재생산건강권 관련 정책 방향과 주요 정책 내용 분석을 통해 그 의의와 한계를 분석하였다. 셋째, 여성청소년의 개인적, 사회적 인권으로서 건강권 및 성평등한 사회를 위한 보편적 접근권으로서 성재생산건강권을 위한 정책 제언으로 여성/청소년/건강으로 각 분리된 정책을 아우르는 여성청소년 성재생산 건강권을 명시하는 정책 관점 및 정책 개선의 필요성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government policies connected to the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and Rights(SRHR) of Korean adolescent girls and seeks new policy alternatives for the future. The study argues that government policies should provide a comprehensive strategy for universally guaranteeing and promoting SRHR for women and girls that have contributed over the past two decades to women s rights, development, empowerment and gender equality with full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study was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consists of three main sections. First, in order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SRHR for adolescent girls and how they are conceptualized, an overview is given of the major arguments appearing in discussions that have taken place in global society. Secon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women,youth and health policy focusing on adolescent girls were analyzed through an analysis of policy directions appearing in basic governmental plans including the 4th Basic Plan for Women s Policy(2013-2017), the 5th Youth Political Action Plan(2013-2017) and the 3rd Health Plan 2020(2011-2020). Third, the study demonstrates the need for policy perspectives and new concept specifying SRHR policy for adolescent girls and encompassing separate policies for gender/youth/health. This will promotes the values of health rights and gender equality as individual and social rights as well as universal access to human rights.

      • 학교 밖 청소년 지역사회 지원방안 연구 Ⅲ: 학교 밖 여성 청소년을 중심으로

        오은진,장희영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학업을 중단한 학교 밖 청소년의 경우, 성별, 학업중단 유형 등에 따른 세밀한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청소년기는 성별에 따른 사회문화적 현상을 내재화하는 경향이 다르기 때문에 청소년 정책지원에서 여성과 남성이 겪는 위기 경험에서의 성별 차이를 고려한 정책과제를 개발해야 하며, 이를 지역사회의 지원체계를 통해 충분히 공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첫째, 학교 밖 청소년과 관련한 개괄적 현황과 실태를 분석하여 집단의 차이를 확인한 후 학교 밖으로 나온 위기 여성청소년들의 생활 경험과 심리상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 중에서도 더 많이 소외되고 취약한 여성 청소년의 실태를 질적조사를 통해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지역사회 수준에서의 정책적 지원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위기 여성청소년과 학교 밖 청소년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학업중단 학생 현황 중 성별 현황을 살펴보았다. 둘째, 2차 자료 분석으로서 2018년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 결과 중 성별차이에 초점을 두고 재분석하였다. 셋째, 학교 밖 여성 청소년 8명 및 이들 중 일부가 거주하고 있는 청소년쉼터 관계자 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화상 방식을 통한 심층면접조사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결과 분석과 정책 제언에 대한 전문가 자문회의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해 학교 밖 여성 청소년 현황을 분석하였고, 학교밖 위기 여성 청소년의 학업중단 경험과 지원 요구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학교와 지역사회의 정서적 지원체계의 강화, 노동시장의 사회적 안전망 강화, 지역사회 직업 · 진로 멘토링 사업, 다양한 지역지원체계의 접근성 제고 및 직업탐색 공간의 다양화, 심리 정서적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상담 제공, 여성청소년의 성 · 건강관리에 대한 접근성 제고 등의 여러 정책과제들을 제안하였다. With respect to out-of-school youths, a detailed approach based on gender and reasons for dropping out is necessary. In particular, since youths tend to internalize what is unfolding socio-culturally before them differently according to gender, policy tasks that consider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crisis experience of male and female youths must be established. There is a need to introduce these tasks through the support system of the local community. To that end, this study examined the general status and actual conditions related to out-of-school youths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ender groups, and then attempted to grasp the life experiences and psychological states of the female youths in crisis who have dropped out of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arry out an in-depth analysis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status of female youths who are more marginalized and vulnerable, and to propose support plans at the local community level. For this purpose, we first reviewe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female youths in crisis and out-of-school youths, and examined the gender of students dropping out of school. Second, as a secondary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2018 out-of-school youth survey were re-analyzed to focus on gender differences. Third, in-depth video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out-of-school female youths and two field workers from the youth shelter where some of the interviewees reside. Finally, an expert advisory meeting was held to thoroughly analyze the results and put forward policy recommendations. Through these research methods, we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out-of-school female youths, and extracted their dropout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Based on the results, various policy tasks such as reinforcing the emotional support system of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strengthening the social safety net in the labor market, starting vocational and career mentoring programs in the local community, enhancing the accessibility of various local support systems, diversifying job search channels, examining the psycho-emotional situation, providing custom-tailored counseling services, and enhancing accessibility to sexual and health counseling of female youths were proposed.

      • KCI등재

        청소년영화 속 여성캐릭터 연구 -2010년대 청소년제작영화를 중심으로

        오세섭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4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1 No.3

        In this research, the female characters' changes and reasons will be considered, focusing on the prize-winning works of the 2010's Youth Film Festival. In recent youth films, female characters who show depth of inner aspect, apart from the simple and monolithic external character of the past, appeared through the description of personality, giving recognition to their own femininity. Here, the types of female characters were considered with the division into its concern of the female body, ‘the communicative we’, and its ‘reflective solidarity’ through the feminism theologist's views such as Luce Irigaray, Hélène Cixous and Jodi Dean etc. While these female characters boldly expose their own bodies, free from the male's eyes, they inquire others' honest opinions. Also, they were changed into the active character, recognizing the difference from others and hoping for solidarity of women through communication. This change is related to the social change. Korean feminism tore down the staunch wall of our society and featured various practical movement about ‘woman’. This led to the argument of feminism and it underwent the rough and rugged process of justification from inside. Also, the youth’s parents show differentiated feature in family with the change of awareness and under this influence the creators, the youth, constructed Youth-made films and female characters which are different from those of past. However, all of these reasons can be gathered as ‘culture’. As Williams mentioned, culture is the process as well as trace of life. According to the universal value of human beings trying to improve the life with goodness, society is improved, culture is flourishing, and these cultural traces in Youth-film will appear in continuous and various features. 본 연구에서는 2010년대 청소년영화제의 수상작품을 중심으로 여성캐릭터의 변화와 그 요인을 살펴볼 것이다. 최근 청소년영화에서는 과거의 단순하고 획일적인 외면 캐릭터에서 벗어나 성격묘사를 통해 깊이 있는 내면을 드러내는 여성캐릭터들이 등장하였는데, 주로 자신의 여성성을 자각하는 캐릭터들이 많았다. 이러한 여성캐릭터의 유형에 대해서 Irigaray, Cixous와 Dean 등 여성주의 이론가들의 관점을 통해 여성 ‘몸’에 대한 관심, ‘의사소통적 우리(communicative we)’와 ‘반성적 연대(reflective Solidarity)’ 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들 여성캐릭터들은 남성의 시선에서 벗어나 자신의 신체를 당당하게 드러내고 타인의 솔직한 의견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타인과의 차이를 인정하며 소통을 통해 여성의 연대를 원하는 능동적인 캐릭터로 변모하고 있다. 이러한 점은 우선 사회의 변화와 관련이 있다. 한국의 여성운동은 우리 사회의 견고한 벽을 허물고 ‘여성’에 대해 다양한 실천운동을 펼쳤다. 이를 통해 새로운 문화 ‘장’이 형성되었으며, 내부에서 치열한 정당화 과정을 겪었다. 또한 현재 청소년의 부모들은 의식의 변화를 겪으면서 가정에서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창작자인 청소년들은 이러한 영향 속에서 주체적인 자각을 통해 과거와는 다른 청소년영화와 여성캐릭터를 구축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모든 이유는 ‘문화’라는 것으로 모아질 수 있다. Williams가 말했듯이 문화란 삶의 과정이자 흔적이기 때문이다. 선의를 가지고 삶을 개선하려는 인류의 보편적인 가치관에 의거한다면, 사회는 개선되고 문화는 점점 융성할 것이며 청소년영화 역시 이러한 문화적 흔적을 다양하게 표현할 것이다.

      • KCI등재

        여성청소년 직업교육과 독일사회의 모성담론 –세기 전환기 독일사회를 중심으로–

        최선아 역사와교육학회 2022 역사와 교육 Vol.35 No.-

        German society experienced the outbreak of World War II and changes in the state system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e Weimar Republic was a democratic republic established after World War I, seeking to guarantee workers' labor rights and establish social rights, and in this context, women's labor rights and social rights were expanded. The Weimar government's youth vocational education policy was mainly aimed at male adolescents, whereas female adolescents were relatively marginal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the relatively marginalized vocational education policy for female adolescents. In the fundamental policy of the German women's movement in the 1920s,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still a view that distinguishes the "physical and material interests" required for women's mental motherhood and mothers' parenting. 독일 사회는 20세기 전반기 양차대전의 발생과 국가 체제의 변동을 겪 었다. 즉, 제정에서 공화정으로, 전체주의 국가인 나치 체제로 변화는 독 일 사회의 변천과 맞물려 발생했다. 바이마르 공화국은 1차 대전 후 수립 된 민주 공화국으로, 노동자의 노동권 보장, 사회권 확립을 추구하였고 이 런 맥락으로 여성의 노동권과 사회권도 확대되었다. 바이마르 정부는 공화국 수립과 함께 실시된 여성 참정권으로, 여성 청 소년도 남성 청소년과 마찬가지로 미래에 투표권을 행사할 예비 시민으 로 인식했다. 따라서 바이마르 연립 내각을 구성한 각 정당들은 자신들에 대한 예비지지 세력으로 청소년 계층에 대한 정책을 구현하려 하였다. 그 런데 바이마르 정부의 청소년 직업교육 정책은 주 대상이 남성 청소년이 었고, 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여성 청소년은 소외되었다. 따라서 상대적으 로 소외된 여성 청소년 직업교육 정책의 특징과 한계를 규명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1920년대 독일 여성 운동의 근본 방침에서 여성의 정신적인 모성과 어 머니들의 육아에 소요되는 ‘신체적이고 물질적인 이해 관계’를 구분하는 시각이 여전히 남아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여성 청소년을 언제든지 가 정에 복귀할 수 있는 존재로 인식하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바이마르 공화국에서 성인 여성 및 여성 청소년을 직업교육 대상으로 삼았다는 면에서는 큰 성과를 보였으나, 정책의 실시 근본 목적과 정책 수행 과정에서 법제적 평등이 아닌 진정한 의미의 여성 청소년 교육권의 균등이라는 것 에는 도달하지 못한 한계점을 보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외국어논문 : 소년사법시스템에서의 성 편견 -여성 비행청소년을 중심으로-

        송주영 ( Ju Young Song ) 대한범죄학회 2012 한국범죄학 Vol.6 No.1

        비행에 관한 논의는 그동안 한국과 미국 모두 남성 청소년들 위주로 논의되어 오다가 최근 들어 여성 비행청소년의 비율이 증가하면서 여성 비행청소년에 대한 형사사법기관의 대응이 달라져야한다는 논의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미국의 남성 비행청소년과 여성 비행청소년의 편견과 관련한 소년 사법시스템에서의 논의를 살펴보고, 미국의 여성 비행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소년사법시스템에 적절한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과거 미국법원에서의 여성의 지위비행에 대한 처벌을 논의하였다. 둘째, 소년법원에서의 여성 비행청소년에 대한 이중적 잣대를 적용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셋째, 1992 JJDP (소년사법과 비행예방규칙) 이전과 이후 개정을 통해서 남자와 여자청소년에 대한 편견에 대해 살펴보았다. 넷째, 소년사법시스템에서의 여성 비행청소년 처벌방안의 연구에 대한 다양한 실증적인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론으로는 우리나라에서도 Gender-specific(성별에 따라-특수화된; 성인지적)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둘째, 1992 JJDP의 성인지적 프로그램개발의 권장과 게시와 같이 형사사법시스템에서의 여성 비행청소년에 대한 예방과 보호는 다른 각도에서 추진되어야 할것을 본다. 셋째, 성공적인 소년사법 프로그램을 위해서는 여성 청소년의 과거 학대경험이나 원치 않은 성경험으로 인한 임신이나 유산등으로 인한 트라우마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on gender bias in the juvenile justice system. First, the current study is to discuss how the issue has been documented in the previous literature. Second, the study provides the detailed methods of empirical study for better understanding of gendered-practice of legal system in the United States. Third, the study discusses different types of evidence to show whether gender bias exiss or not i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Finally, the study explains JJDP Act (Juvenile Justice Delinquency and Prevention Act). Finally,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다문화 청소년 자녀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부모효능감의 매개효과

        보금로,장영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9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acculturation pressure of married immigrant women from Korean multicultural families on depression in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the first grade of junior high school, and to verify the media effect of the parental efficacy of married immigrant women. Methods To test this, the study used the fourth data from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which involved 1228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heir multicultural mother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6.0 program for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In addition, Process Macro 4.0 and Model 4 developed by Hayes (2021) were used to test the research model and media effects. Results First, zero-order correlation analysis among mothers’ acculturation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and their children’s depression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main variables. Second, acculturation stress of married immigrant women had a meaningful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in adolescent children, while acculturation stress had a negative effect on parental efficacy. At the same time, the parental efficacy also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ir children's depression. Finally, parental efficacy of married immigrant women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stress in multicultural mothers and adolescent depression.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depression in childre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can be addressed by reducing acculturation stress and improving parental efficacy in married immigrant women. Implications to reduce mothers’ acculturation pressure and to prevent and reduce depression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discussed.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중학교 1학년 다문화 청소년 자녀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결혼이주여성의 부모효능감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다문화청소년패널 4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1,228명의 청소년과 그 어머니였고, 분석은 SPSS 26.0 프로그램을이용한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를 실시하였고, Hayes(2021)의 Process Macro 4.0을 이용한 매개효과 검증을 수행하였다. 결과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부모효능감, 다문화 청소년 자녀 우울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각 변수 간뚜렷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청소년 자녀의 우울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부모효능감에는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결혼이주여성의 부모효능감이 높을수록 청소년 자녀의 우울은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청소년 자녀 우울 사이의 관계에서 부모효능감이 유의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부모효능감이 낮아지고, 이를 통해 청소년 자녀의 우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다문화가정의 발전을 돕고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감소와 다문화 청소년 자녀의 우울 예방및 감소를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싱글여성에 대한 이미지

        왕석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0 實科敎育硏究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age of single women reflected to the teenagers's recognition. The population for this study consisted of all 1th, 2th, and 3th students currently at attending secondary school in Seoul & Gyeonggi-do, Gyeongsang-do, Jella-do. A purposive sample of 682 teenangers was chosen for this study. The study of the measurement tool, the first review relevant literature, and through an open questionnaire survey, and synonyms and antonyms dictionary review, such as utilizing a total of four steps: the proven reliability and validity throughout the process was developed to meas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ndicated through the image of single women is a total of 9.: (1) Successful professional women in a good self-management (2) Greedy nature of the strong rebellious wayward women (3)Bold and cheerful, lively open-minded woman (4) Colorful and attractive, sophisticated woman, but it is not popular with the opposite sex, (5) Health, but lonely young women (6) Very reliable and meticulous woman (7) Strong self-conscious women (8) Altruistic, individualistic women (9) Independent and free women. Abstract determined in the nine kinds of factors that explain 57% of all variants were. Seco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a single young woman emerges by 9 of the image factors for students' gender, middle / high school, school type, school location, type of family, mother's and father's education level and profession, family income, the opposite sex relationships experience , attitude of marriage, family relationships, depending on variables of satisfaction with the image to evaluate whether the difference was verified. As a result, gender, middle / high school, school type, family type, father's education level and profession, the opposite sex relationships experience, attitude of marriage, "Table 4, 5" as shown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partially emerged. 이 연구는 청소년의 싱글여성에 대한 이미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서울 및 경기, 경상도, 전라도에 위치한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총 682명을 대상으로 2009년 7월 2일부터 17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 척도는 문헌, 그리고 개방형설문지에 의한 조사 결과로 작성한 총 181 개의 항목을, 서로 반대되는 의미를 가진 대립적 척도인 의미분별 척도로 구성하기 위한 총 4차례의 과정을 거쳤고, 그 과정에서 전문가의 타당도 검사 및 예비조사를 통한 신뢰도 검증을 통하여 최종 확정한 척도(총 83개 항목)를 활용하였다. 조사 결과 첫째, 주성분분석을 통하여 청소년들이 싱글여성에 대하여 가지는 이미지는 총 9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9개의 변인은 전체 변량의 57.92%를 설명해주었다. 9개의 요인은 (1)자기관리를 잘하는 성공한 전문직 여성‘, (2) 욕심많고 고집스런 반항적인 강한 성격의 여성 (3)대담하고 명랑, 활발한 개방적 여성 (4)화려하고 세련되어 매력적이나 이성에 인기없는 여성 (5)젊고 건강하지만 외로운 여성 (6) 듬직하고 꼼꼼한 여성 (7)자존심이 강한 민감한 여성 (8) 이타적이나 개인주의적인 여성 (9) 독립적이며 자유로운 여성으로 각각 명명하였다. 둘째, 주성분 분석에 의해 도출된 청소년의 싱글여성에 대한 이미지의 9가지 요인에 대하여 학생의 성별, 학교급, 학교유형, 학교소재지, 이성교제 경험, 결혼관, 가정유형, 부와모의 학력, 부와 모의 직업, 가족소득, 가족관계만족도의 변인에 따라 이미지 평가의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성별, 학교급, 학교유형, 이성교제 경험, 결혼관, 가정유형, 부의 학력, 부의 직업, 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5, 또는 p<.01수준)가 부분적으로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 청소년들이 싱글여성에 대하여 가지는 이미지는 ‘성격이 강한 전문직’여성이라는 이미지로 요약된다. 이것은 최근 대중매체에서 설파하는 싱글여성의 이미지와 유사했다. 이는 청소년들이 사물이나 현상에 대한 이미지를 그들의 개인적 신념에서 형성하기 보다는 기성세대의 이미지를 그대로 재생산하고 있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기성세대와 대중매체는 청소년이 그들로부터 받는 전면적인 영향을 고려하여, 싱글여성을 포함한 다양한 사회의 현상에 대해 보다 바르고 유연하며 편향되지 않은 이미지를 정립하여 제시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청소년 여성의 성교육 경험 및 피임제 인지에 관한 연구

        김은애(Kim Eun-ae),이인영(Lee In-young),이순희(Lee Soon-hee) 한국생명윤리학회 2016 생명윤리 Vol.17 No.1

        청소년들 사이에서 임신으로 직결될 수 있는 성관계가 상당수 이루어지고 있으며, 청소년들이 성관계를 처음 경험하는 연령도 낮아지고 있다. 이에 청소년이 성교육을 통해 피임을 포함한 성 관련 지식과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하여 원치 않는 임신을 예방하고 청소년 시기에 맞게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성관계 시 피임이 실천되지 못하여 원치 않는 임신이 발생하는 경우 청소년 남성과 달리 청소년 여성은 이를 직접 감당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성교육이 보다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청소년 여성으로부터 직접 성교육에 대한 경험과 생각을 들어 이들의 상황을 이해하는 일과, 특히 이들이 여성으로서 복용 가능한 경구용 피임제에 대해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피임제 복용 경험이 있는 청소년 여성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여 성교육에 대한 이들의 경험과 생각을 알아보고, 이들이 피임제 관련 지식과 정보를 어떻게 획득하여 이해하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청소년 여성을 대상으로 성교육, 특히 피임제 사용에 대한 교육을 비롯한 피임교육에 있어 청소년 여성의 의견을 반영하고 그 입장을 고려하여 교육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Recently, a considerable number of the adolescent is having sexual relation than in the past. Also, the rate of the adolescent experienced the sexual relation is increasing and the age of the adolescent when they experienced the sexual relation for the first time is dropping.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do sex education for the adolescent to make them get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the sex including the contraception and live their healthy life during the adolescent period. Especially, the sex education is necessary for the female adolescent because they can have an unwanted pregnancy in their body unlike the male adolescent. So, to educate the female adolescent more efficiently, it must take precedence to confirm and comprehend their situation and experience as well as to give attention to their thought and opinion about the contraception including the use of the contraceptive measure. To investigate their own voice about these aspects, we interviewed 20 female adolescents who have taken the contraceptive pill. As a result, we could know that they are feeling that the sex education is very necessary for them but the sex education that they experienced was not enough to them because of the poor and unsubstantial contents and the uninteresting method. And we also could know that many of them have the incorrect perception about the contraception including the contraceptive pill because of getting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from the inaccurate source not from the sex education. The sex education for the adolescent will have to be improved considering the actual condition and real requirements of the adolescent, in particular female adolesc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