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망원인통계 기반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의 손상사망 특성 : 직업군별 비교

        이현경(Hyeon-Gyeong Lee),김경수(Kyung-Su Kim),최동필(Dong-Phil Choi),이민지(Min-ji Lee),김효철(Hyo-Cher Kim)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의 손상사망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통계청 사망원인통계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만 19세이상 사망자의 손상사망 규모와 직업군별 현황 및 사망원인 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2019년 만19세 이상 사망자 중 손상 사망자의 비율은 9.1%(인구 10만 명당 58.9명)로 나타났다. 손상 사망원인 중 자살의 비율(50.8%, 인구 10만 명당 29.9명)이 가장 높았으며, 손상으로 인한 사망 장소는 의료기관에서 가장 높았다. 직업별 손상사망 비율은 사무종사자와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에서 가장 높았다.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중 손상사망 비율은 8.8%였으며 운수사고가 중요한 손상사망의 원인으로 나타났다.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손상사망의 81.1%가 남성에게 발생하였으며, 70대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나, 자살의 경우 60대 미만에서 가장 많았다. 농림어업 숙련종사자의 손상사망은 주로 농번기와 점심시간 전후에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 19세 이상 손상사망은 직업에 따라 사망원인 특성에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분석에서 도출된 것처럼, 특히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의 손상사망 발생사고에 대하여, 운수사고와 관련한 안전교육 및 예방활동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preparing a plan to prevent injury-related death. Using the statistics on the cause of death provid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scale of the injury mortality, occupa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use of death were analyzed in deaths over 19 years of age. The injury mortality rates among adults aged 19 years or older in 2019 was 58.9 per 100,000 population, and injury deaths accounted for 9.1% of total deaths. Suicide(50.8%, 29.9 per 100,000 population) was the most common cause of injury deaths, and the main place of injury deaths was medical institutions. Among skilled workers in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injury deaths occupied 8.8% of total deaths, and transportation accidents were found to be an important cause of injury mortality. Also, 81.1% and 34.0% of injury deaths occurred among men, and people in their 70’s,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30.9% of suicide occurred among those aged below 60 years. It was found that the injury-related deaths among skilled workers in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ainly occur before and after lunchtime during the busy agricultural season. In order to prevent injury mortality among adults, measures appropriat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use of death according to occupation are necessary. In particular, support for safety education and preventive activities should be provided related to transportation accidents of skilled workers in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ing.

      • KCI등재

        태권도 선수의 훈련 중 손상 발생 및 원인 조사

        임정준 ( Lim Jungjun ),박소영 ( Park Soyoung ),이온 ( Lee On ) 국기원 2022 국기원태권도연구 Vol.13 No.2

        목적 태권도 선수들의 성별, 연령 그룹, 선수 경력에 따른 손상 빈도, 손상 발생 부위, 손상 원인(내적, 외적), 손상 발생 후 훈련 중단 기간, 손상 발생률의 차이를 확인하여 손상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대한체육회에 등록된 태권도 선수를 모집단으로 하여 비확률표집의 할당표본으로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Google)를 실시하여 최종 449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Stata/SE version 17.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449명의 태권도 선수 중 164명(36.5%)이 손상 경험이 있으며, 성별에 따라 손상 빈도 및 손상 발생률의 차이가 나타났다(p<.05). 또한, 연령별 손상 빈도와 손상 발생률의 차이는 발생되지 않았으나, 선수 경력이 증가할수록 손상 발생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선수의 주된 손상 발생 부위는 성별, 연령, 선수 경력과 관계없이 하지에서 가장 빈번히 발생되었다. 선수의 손상 발생의 원인 중 내적요인은 자신 또는 상대방의 타격, 기술, 반칙이 가장 많았으며, 외적요인은 재발로 인한 손상이 가장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 손상의 경우 일주일 이상 훈련을 중단하는 주된 손상 부위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성별과 선수 경력, 그리고 손상의 주된 원인을 고려한 손상 예방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ing the frequency, location, cause, rate of injuries, and the duration of training interruption after injury according to sex, age, athlete’s career in Taekwondo athletes. Method The subjects who were registered as Taekwondo athletes at the Korean Olympic Committee were used as the population, and subjects were extracted a quota sample from the population. We collected the data via online survey(Google), and 449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We conducted a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hi-squared test using Stata/SE statistics program(version 17.0.). Results It was found that 164(36.5%) of the 449 Taekwondo athletes have had injuries,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frequency and incidence rate of injuries according to sex(p<.05). In addi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njury frequency and injury rates by age, but the injury rate increased as the athlete's career increased(p<.05). The main injury area of the athlete occurred most frequently in the lower extremities irrespective of sex, age, and athlete's career. Among the causes of injuries, internal factors were the most frequent result of me or the opponent’s hitting, skills or fouls. External factors were found to be the most frequent damage due to recurrence. In the case of lower extremity injury, it was found to be the main injury area that stopped training for more than a week.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program to prevent sports injuries in Taekwondo athletes should be developed in the future.

      • 전방십자인대 파열 시 동반 손상의 빈도 및 양상

        이정환,윤경호,배대경,어재형,김정원,박수연,Lee, Jung-Hwan,Yoon, Kyoung-Ho,Bae, Dae-Kyung,Eo, Jae-Hyoung,Kim, Jeong-Weon,Park, Soo-Yeon 대한관절경학회 2008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2 No.1

        목적: 전방십자인대 파열 시 손상 시기와 원인에 따른 동반 손상의 빈도 및 양상을 비교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하였던 547례의 슬관절을 대상으로 손상 시기(급성과 만성), 손상 원인(운동과 비운동) 및 운동 종목에 따라 동반 손상의 빈도와 양상을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손상 시기에 따라 수상 후 3개월 이내는 급성으로, 3개월 이후는 만성으로 분류하였으며 급성 손상군에서 내측 측부 인대 손상 및 골 좌상이 많았고 만성 손상군에서는 내측 및 외측 반월상 연골 손상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014, 0.029). 연골 손상은 급성 손상군의 경우 대퇴 활차부에(p=0.027), 만성 손상군의 경우 대퇴 내과에 많았고(p=0.011), Grade I, II의 연골 손상은 급성 손상군에(p=0.016), Grade III, IV의 손상은 만성 손상군에(p=0.017) 많았다. 손상 원인에 따른 차이로는 운동 손상군에서 외측 반월상 연골 손상의 빈도가 높았으며(p=0.035) 비운동 손상군에서 대퇴 내과의 연골 손상이(p=0.010) 유의하게 많았다. 운동 종목 별로는 스키에서 내측 측부 인대 손상이(p=0.005), 체조에서 연골 손상이(p=0.017) 다른 종목에 비해 많았다. 결론: 내측 및 외측 반월상 연골 손상, 심한 연골 손상의 빈도는 만성 손상군에서 높았고 손상 원인과 운동 종목에 따른 동반 손상의 빈도 및 양상에 차이가 있었다. Purpose: We purposed to analyze the incidence and the patterns of the injuries associated with anterior cruciate ligament(ACL) tears.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547 knees that had undergone ACL reconstructions and compared the associated injuries according to the time of injury(acute vs. chronic), the cause of injury(sports vs. non-sports) and the type of sports. Results: Medial collateral ligament(MCL) injury and bone contusion were more in acute injury group less than 3 months after trauma(p=0.001, 0.019) and the injuries of medial or lateral meniscus were more in chronic injury group more than 3 months after trauma(p=0.014, 0.029). The trochlea in acute injury group(p=0.027) and the medial femoral condyle in chronic injury group(p=0.011) had higher incidence of chondral injury. Grade I, II chondral injury was frequent in acute injury group(p=0.016) and grade III, IV chondral injury was frequent in chronic injury group(p=0.017). Lateral meniscus injury was frequent in sports injury group(P=0.035). Medial collateral ligament injury was frequent in ski(P=0.005), and chondral injury was in gymnastics(P=0.017). Conclusions: The incidences of medial and lateral meniscus tears and grade III, IV chondral defects were high in chronic injury group. According to the causes of the tears and the types of sports, some differences in the incidence and pattern of associated injuries were found.

      • 배수갑문의 노후손상유형 및 원인 분석

        김관호 ( Kwan-ho Kim ),조영권 ( Young Kweon Cho ),이준구 ( Jun Gu Lee ),김명원 ( Myeong Won Kim )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2 No.-

        배수갑문 구조는 일반 수문과별 차이가 없으나 담수호를 방비하는 중요한 구조물이며 또 늘 외해의 풍파로 수량 및 유수의 상태가 늘 변동하고 비교적 악조건의 기초지반위에 축조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안정성과 강도를 가지도록 항상 관찰하고 이상이 있을 경우 적절한 보수보강을 실시하여야 한다. 1) 배수갑문 노후손상유형 배수갑문 노후손상유형은 갑문부에서는 콘크리트에 대하여는 골재노출이 44%로 가장 크게 나타났는데 골재의 상태는 바닷물에 세굴 되어 매끈한 표면을 유지하고 있었다. 표면 부식과 균열에 의한 것이 33%로 나타났으며 표면 박리박락도 10%정도로 그 노후손상이 나타났다. 철근에 대한 노후손상유형은 노출 및 부식이 13%로 나타났다. 2) 배수갑문 노후손상원인 배수갑문의 경우에는 바닷가와 인접한 구조물이기 때문에 비례염분함량이 많아지고 이로 인해 콘크리트 표면의 염화물이온 농도가 극히 높아져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이온 침투속도도 빨라질 수 밖에 없는 구조물 중의 하나이다. 그 결과 콘크리트 표면과 철근의 부식을 그 만큼 가속화 시켜 노후손상원인이 산·염분에 의한 것이 37%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동결융해의 반복에 의한 원인이 26%로 해안지대에서는 년 평균 기온차가 많이 나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그리고 중성화 원인에 의한 것이 11%로 분석되었다. 배수갑문 구조물의 경과년수가 지날수록 공기중의 이산화탄소등의 작용을 받아 탄산칼슘으로 바뀌게 되는데 이를 중성화라고 일컫는데 콘크리트의 중성화가 진행되면서 배수갑문 구조물에서는 내부에 존재하는 철근의 경우 부동피막의 표면박리 박락이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 이외에 배수갑문의 노후손상원인은 탄산화와 공동에 의한 것이 각각 7%로 나타났으며, 시공시 불충분한 다짐이 4%, 표면두께 부족으로 인한 것이 4%, 건조수축 4% 둥으로 그 원인을 추정할 수 있었다.

      • 용수개거의 노후손상유형 및 원인 분석

        김관호 ( Kwan-ho Kim ),조영권 ( Young Kweon Cho ),이준구 ( Jun Gu Lee ),김명원 ( Myeong Won Kim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수리구조물에 대한 노후손상의 원인은 사용재료, 시공, 사용 및 환경과 구조 및 외력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사된 콘크리트 수리구조물의 경과년수가 너무 오래되어 대부분 구조물에 대한 설계현황 자료가 손실 되었다. 따라서 사용재료, 시공, 구조 및 외력에 대한 원인분석이 어려워 수리구조물이 처한 사용 및 환경을 중심으로 원인분석을 실시하였다. 1) 용수개거 노후손상유형 용수개거의 노후손상유형을 분석한 결과 개거바닥부 및 벽체에 골재 및 철근노출, 표면부식이 34%로 가장 크게 나타났는데 이 부분은 항상 물과 접해져 있으나 비관개기에는 물과 접하지 않아 콘크리트 내부의 공극에 습윤한 상태로 남아 동절기에 콘크리트가 팽창되어 바닥부와 벽체에 콘크리트가 떨어져나가 골재 및 철근이 노출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신축이음부 균열 및 누수와 지수판부식이 27%로 나타났는데 기존의 개거는 이음부 시공시 PVC지수판을 사용하였는데 그 이유는 연질염화비닐수지의 제품으로 높은 강도와 유연한 탄력성 및 취급이 용이하고 경제적으로 유리하여 많이 이용하였다. 하지만 이동성이 큰 신축이음부에서 많은 노후손상이 발생하였는데 이는 신축이음부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개거 바닥부 및 벽체표면부식이 14% 정도로 나타났는데 콘크리트 표면의 알칼리성이 없어지고 나면 이끼류 및 미생물 등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이 된다. 개거바닥부 및 벽체부분에서의 누수가 11%로 발생하였는데 골재 및 철근 노출 등으로 인해 기능이 상실되어 노후손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나머지 7%는 측벽토압으로 인한 벽체전도가 있었는데 토압의 영향도 있었지만 외부 지하수위의 증가로 인해 수압과 토압이 커져 전도되는 현상을 보였고 단면이 넓은 개거에서는 버팀목을 지지하여 토압에 저항하게 설계되었는데 버팀목과 개거 벽체 부분에서 전단파괴가 발생하여 벽체가 전도되는 현상을 보이는 경우도 있었다. 2) 용수개거 노후손상원인 개거의 노후손상원인을 분석한 결과로서 제일 크게 나타난 것은 사용 및 환경조건에서 물리적으로 작용한 온도ㆍ습도에 의한 동결융해의 반복으로 인한 것이 32%로 나타났다. 시공 중 콘크리트의 이어치기 부적합으로 인한 경우가 31%로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콘크리트가 서로 완전하게 결합되지 않아 불연속으로 되어 있는 곳에서 발생한다고 한다. 콜드조인트는 이미 콘크리트를 타설한 부분과 새로 타설하는 경계부분에서 발생하는데 농업기반 수리시설은 동절기에 많이 시공되는데 시공기간이 짧고 현장조건이 열악하여 이러한 부분을 제대로 지키지 않아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불충분한 다짐으로 인한 원인이 16%로 나타났다. 하지만 연구조사 결과 현장조사에 의하면 수리시설 구조물들이 준공된 연도가 70년대와 80년대에 걸쳐서 시공되었고 재료 및 시공부분에서 거의 현장비비기를 실시한 것으로 나타나 다짐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 KCI등재

        구미시의 안전도시 구축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오세연,송혜진 한국경찰연구학회 2016 한국경찰연구 Vol.15 No.3

        이 연구의 목적은 WHO국제안전도시 공인인증을 받기 위해 준비하고 있는 구미시의 인증현황과 손상원인을 알아보고 현재 운영되고 있는 안전도시 프로그램을 조사・분석하여 구미시의 국제안전도시 구축에 대한 활성화와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구미시의 손상상황과 안전도시 프로그램의 세부적인 내용을 종합적으로 조사・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손상사망을 계층별 피해유형에 따라 분석한 결과 구미시의 대부분의 손상의 원인은 자살과 교통사고였으며 64세 이상의 노인계층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또한 산업재해와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낙상, 끼임・절단 등의 손상자수가 타 지역에 비해 많았다. 둘째, 구미시가 현재 시행하고 있는 안전도시 프로그램은 손상사망의 원인과 비교・분석해 볼 때 자살예방과 교통사고 안전분야에서 가장 많은 손상이 있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안전강화 프로그램이 부족하고, 각 기관별 안전도시 프로그램이 중복・운영되고 있어 안전도시 프로그램의 특성화된 분야별 개편이 필요한 실정이다. 셋째, 손상원인의 분석과 이에 따른 프로그램의 개발・운영에 있어 각 기관과의 정보교류와 유기적인 협조가 필요하지만 구미시의 안전도시 프로그램은 각 기관이 독자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형태를 띠고 있다. 이에 민・산・관간의 안전네트워크를 통한 유기적인 네트워크의 구축을 통한 기관간의 교류가 필요하다. 따라서 구미시의 지속가능한 안전도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각 기관과의 연계를 통하여 변화되어지는 손상상황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손상원인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또한 이러한 모든 과정은 구미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활성화 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current status of certification and cause of damage in Gumi city which is ready to gain official certification of WHO international safety city, and it suggests the vitalization and the development plans on constructing international safety city of Gumi city by analyzing the operational safety city programs. Therefore, it is as in the following when analyzing the details about the damaged conditions and the safety city program of Gumi city. First of all, after analyzing the damages and deaths by the type of class, most of reasons of the damage of Gumi city are suicides and traffic accidents. Old people, who are older than 64, comprise a large proportion. Moreover, the damages like impacted fracture, amputation or a hurt from falling which happen in industrial sites are a lot compared to other districts. Second, when analyzing the cause of damages and deaths, the safety city program, which is currently implemented, have major problems with fields of suicide prevention and traffic accidents safety. However, it is the lack of safety reinforcement program about this and reorganization, which is specialized by various fields, is needed on the safety city program while each government’s department operates the programs, which may be the same program. Third, there should be interactions and information exchange with each government’s departments about the analysis of damage’s cause and the development operation of the program, but Gumi city’s safety city program operates independently.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mutual exchange with each government’s sectors through safety network of civil, private and officials. That is why we need to monitor the damaged situations through the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develop the program that suitable for causes of damage furthermore we need to utilize the program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from Gumi city’s local residents to build the renewable safety city in Gumi city.

      • 개스터빈 블레이드 손상 원인분석

        정상후 한국품질경영학회 2022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2

        해상용 추진 개스터빈에서 발생되는 압축기 블레이드의 리딩엣지 부위의 고속 충돌, 찍힘으로 인한 손상 현상에 대한 고객불만(Claim) 원인분석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동형함정에서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고속회전체(약 14,000rpm) 블레이드의 충돌, 손상현상에 대한 개스터빈 장비, 연소공기 흡입시스템 및 필터, 함정 건조 체계업체의 설치, 선체제작 및 건조 중 소제, 함정 납품 전후의 운용과 예방정비, 운용환경 관점에서 원인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블레이드 손상 원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개스터빈내에서 회수한 금속 고형 이물질을 SEM-EDX로 분석하고, 공기 흡입계통 선체나 장비의 부식화합물과 도막 탈락품 등을 조사하였다. 블레이드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고형 이물질은 선체 상부구조물 재질의 용접 작업에서 발생되는 알미늄 용접 스페트 등과 개스터빈 흡입통로의 스테인레스 재질의 부식물과 선체 주갑판 하부의 SM490 계열 금속 부식물, 선체 의장품 및 흡입시스템의 도장 박리물 등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로는 선체 제작과정에서 내부 잔류 고형물, 흡입통로 내부에서 발생한 금속 부식물, 외부 유입 가능한 경로로는 각 필터간 연결을 위한 필터프레임의 클립부 틈새로 해수와 고형이물질 유입, 필터막힘 시 자동으로 개방되는 비상도어, 드레인 탱크 내부에 누적된 고형물이 탱크내부의 수압이 낮아져(충전수 자연소모 시 미충전) 압축기에 의한 진공형성으로 흡입되거나 연소공기 흡기계통 소제 검사 후 운용 중 맨홀을 통한 내부 정비, 점검 등의 과정에서 유입이 가능하였다. 손상 이물질 종류, 유입 경로는 원인분석이 되었으며, 일부 고형이물질의 유입경로는 특정하기가 어려운 부분도 있었다. 본 연구는 개스터빈 블레이드의 손상 원인분석과 대책수립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전방십자인대 재재건술

        염윤석(Yoon-Seok Youm),조성도(Sung-Do Cho),조혜용(Hye-Yong Cho),정승현(Seung-Hyun Jung),강승우(Seung-Woo Kang),주용태(Yong-Tae Joo)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5

        목적: 전방십자인대 재재건술 시 일차 재건술의 실패 원인과 동반 손상을 분석하고, 재재건술 후 기능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실패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에 대하여 재재건술을 시행하고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4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일차 재건술의 실패 원인과 동반 손상을 분석하였고, 임상적 평가는 2000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 주관적 슬관절 점수, Lachman 검사, Pivot shift 검사와 KT-1000 arthrometer 검사를 이용하였다. 결과: 실패 원인은 외상이 27예(58.7%)로 가장 많았으며, 부적절한 수술술기로 인한 실패는 19예(41.3%)였다. 동반 손상의 경우 반월상 연골 손상 29예(63.0%), Outerbridge 등급 II 이상의 관절 연골 손상이 19예(41.3%)에서 확인되었다. 임상적 결과에서 IKDC 점수, Lachman 검사, Pivot shift 검사 및 KT-1000 arthrometer 검사 모두 술 전에 비해 최종 추시 시 유의하게 호전되었다. 결론: 전방십자인대 재재건술 시 술 전 실패의 원인은 외상이 가장 많았으며, 슬관절의 안정성 면에서는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으나 기능적 면에서는 기존에 문헌상 보고된 일차 재건술 후의 통상의 결과보다는 만족스럽지 못하였는데 이는 많은 동반 손상으로 인한 결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auses of failure after a primary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CLR), associated injuries, and the clinical results of revision ACLR.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evaluated 46 patients (46 knees), who were followed at least two years after revision ACLR. The evaluations included the causes of failure after primary ACLR, associated injuries, 2000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 subjective knee scores, Lachman test, Pivot shift test, and KT-1000 arthrometer measurement. Results: The most common cause of failure was trauma (27 patients, 58.7%) and 19 failures (19 patients, 41.3%) were caused using an inappropriate surgical technique. The associated injuries were meniscus tears in 29 cases (63.0%) and articular cartilage injuries of Outerbridge grade II to IV in 19 cases (41.3%). The IKDC scores, Lachman test, Pivot shift test, and KT-1000 arthrometer measurements were improved significantly at the final follow-up. Conclusion: The most common cause of failure after primary ACLR was trauma. One stage revision ACLR resulted in relatively satisfactory stability but less satisfactory clinical function than the primary reconstruction, as reported previously, which is believed to be due to the more associated injuries.

      • KCI우수등재

        랜덤포레스트를 활용한 교량 바닥판의 이종손상 원인 추정 기술 개발

        정현진,박기태,김재환,권태호,이종한 대한토목학회 2024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44 No.1

        정밀안전진단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국내 고속도로 교량은 결함, 열화, 물리력에 의한 손상이 주요하게 발생한다. 특히 열화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다양한 환경 영향인자와 외부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필연적인 손상이다. 교량 바닥판의 경우 열화가 가장 빠른 부재로, 균열부를 중심으로 철근부식, 박리/박락 등의 여러 가지 유형의 이종손상이 함께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교량의 이종손상과 열화환경 간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이를 통해 교량의 이종손상 발생 원인을 규명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랜덤포레스트를 활용하여 교량의 이종손상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모델을 통해 이종손상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상위 5가지 영향인자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장래 교량의 유지관리 및 예산을 추정하는 분야에 활용하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n investigation into the detailed safety diagnosis report indicates that domestic highway bridges mainly suffer from defects, deterioration, and damage due to physical forces. In particular, deterioration is an inevitable damage that occurs due to various environmental and external factors over time. In particular, bridge deck is very vulnerable to cracks, which occur along with various types of damages such as rebar corrosion and surface delamination. Thus, this study evaluates a correlation between heterogeneous damage and deterioration environment and then identifies the main causes of such heterogeneous damage. After all, a bridge heterogeneous damage prediction model was developed using random forests to determine the top fiv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occurrence of the heterogeneous damage. The results of the study would serve as a basic data for estimating bridge maintenance and budget.

      • KCI등재

        학교안전사고 데이터의 체계적 수집과 활용 방안 연구 : 인천시 학교안전사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종극(Jong Keuk Han)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20 Crisisonomy Vol.16 No.5

        본 연구는 학교현장과 교육당국의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학교안전사고 예방 정책의 수립과 실행을 위한 학교안전사고 관련 데이터 수집과 활용에 대한 실효적인 방법 제시를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학교안전법」의 학교안전사고 보고 서식의 학교안전사고 데이터 분류에 따라 6년간(’13~’18년) 인천시 유·초·중·고등학교의 학교안전사고 35,994건의 데이터 분석을 통해 「학교안전법」에 따라 수집된 학교안전사고 데이터는 학교안전사고로 인한 손상의 직접적 원인만을 포함하고 있어 학교안전사고의 발생장소, 시간, 활동, 손상유형, 손상부위 등 사고로 인한 손상의 특성 이외에 학교안전사고 재발방지책 마련에 필요한 사고 발생원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해 학교안전사고를 줄이려는 교육당국과 학교현장의 정책적·교육적 노력의 효과가 제한될 수밖에 없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연구자는 효과적인 학교안전사고 재발방지책 마련을 위해서는 학교안전사고의 원인조사를 통해 사고 발생의 표면적 원인과 근본적 원인을 찾아내고, 이에 따른 물리적, 조직적, 학습적 차원의 재발방지책 마련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designing the method of systematic data collection and utilization of student injury data which can be used to establish and implement effective policies for school safety and accident preven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5,994 cases of school accidents reported by kindergarten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Incheon City for 6 years (2013 - 2018). It is found that the contents of the data col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school Safety Act」 in Korea contains only the direct cause of the accidents and lacks the details necessary to make it complete, which lead to limited effects of the existing policies of educational authorities for school safety and accident preven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e identification of the surface and root causes of the accidents through the detailed investigation and the corrective action to prevent the recurrence of the same type of acci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