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용종료매립지 토지활용을 위한 안정화도 및 장기침하 분석

        조영권(Cho, Young-Kweon),채영수(Chae, Young-Su),윤원섭(Yoon, Young-Sub) 한국지반신소재학회 2012 한국토목섬유학회 학술발표회 Vol.2012 No.11

        Recently, the closed landfills are usually converted into parks or playground by the check the stability of landfill because they settle unevenly making them unsuitable for structures. In this paper, environmental monitoring(ground water, leachate, buried waste, landfill gas) and geotechnical stability analysis(long-term settlemen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losed waste landfills stability.

      • KCI등재

        사용종료 매립장의 장기침하 모델 매개변수 상관성 및 지지력 보강효과 분석

        조영권(Young-Kweon Cho),채영수(Young Su Chae) 한국지반신소재학회 2013 한국지반신소재학회 논문집 Vol.12 No.4

        최근들어, 사용 종료된 폐기물 매립장을 공원 및 체육시설로 활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종료 매립장 활용을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환경영향 여부와 구조적 안정성이 중요하다. 특히 상부구조물 설치 시 지지력 및 침하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여야 하며 폐기물 매립지반의 침하에 대한 안정성 확보와 지지력 보강을 위하여 토목섬유(지오셀)을 포설하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 종료된 폐기물 매립장의 장기침하 계측결과 분석 및 매립지반에 대한 지오셀 보강 시 지지력 보강효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장기침하 분석은 매립장의 현장계측 침하량과 쓰레기 침하 모델식별 산정된 침하량을 비교하였고, 각 모델식별로 침하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파라메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Park모델식에 따른 예측침하량 (C<sub>intermediate</sub> = 0.0678)이 현장계측 침하량과 가장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지오셀 보강에 따른 지지력 증가는 무보강 지반에 비하여 약 1.193~1.554배 증가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Recently, the closed landfills are usually converted into parks or playground by the check the stability of landfill because they settle unevenly making them unsuitable for structures. When the closed landfill reuse, environmental and structural stability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bearing capacity and reduce the probable settlement of a foundation on waste disposal ground, a layer of geosynthetics(Geocell) is placed on the waste disposal ground. In this paper, the analysis of long-term settlement parameter correlation was performed, also the evaluation of bearing capacity reinforcement effect was conducted by field test. The settlement measured in the field, and input the same ground index when an integer to identify each model were compared by calculating the settlement. In addition, by adjusting the parameters of each model to identify the most similar to the value of field measurement parameters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when the using the Park’s model C(intermediate) = 0.0678, the expected settlement is similar to the field measurement results. Also, the bearing capacity of geocell reinforced ground is 1.193~1.554 times higher than that of unreinforced ground.

      • 새만금호 유입유사 특성조사 및 분석

        조영권 ( Young-kweon Cho ),송현구 ( Hyun-gu Song ),정세웅 ( Se-woong Chung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새만금 종합개발사업의 지속가능한 추진을 위해서는 새만금호 내로 유입되는 유사의 퇴적문제 및 지형 변화로 인한 장기적인 피해에 효과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호 상류유역으로부터 만경강ㆍ동진강에 유입되는 유사의 정량적 분석 및 물리ㆍ화학적 특성을 장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새만금호에 적용 가능한 다차원 유사거동 해석 수치모델 구축 및 유입유사의 공간적 퇴적분포를 예측하여 향후 새만금 수역에 맞는 합리적인 유입유사 및 퇴적물의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상류하천의 유사량의 정량적 특성분석을 위하여 하천 흐름 특성이 유지되는 만경강 대천지점과 동진강 신태인지점에서 유량-유사량을 실측하고, 장기유출량을 산정하기 위해 WWASS 모형을 사용하여 일 유출량을 산정하였으며, 유량-유사량 관계식을 도출한 후 수정 아인슈타인 절차(MEP)에 의하여 총 유사량을 추정하였다. 또한, 유입유사의 공간적 분포 조사를 위해 하상 퇴적물(만경강, 동진강 각 3지점)과 Sediment trap (만경강, 동진강의 말단인 새만금호 유입부에 각 4개소)을 설치하여 조사하였다. 유입유사ㆍ하상퇴적물 및 Sediment trap의 물리ㆍ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입도분석, 토성분석, 침강속도 및 함수율, 강열감량, COD, T-N, T-P, 중금속 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사이송 및 퇴적변화 예측을 위하여 새만금호의 3차원 퇴적변화 예측모델은 여러 가지 모델의 이론과 모의기능을 비교 평가 한 후 EFDC-SEDIMENT으로 선정하였다. 지형자료는 만경제수문과 동진제수문에서 유입하여 신시배수갑문과 가력배수갑문으로 흐르는 주 수로를 따라 격자분활 하였고, 수평방향으로 직교곡선 좌표계를, 수직방향으로 시그마 좌표계를 적용하여 총 1,632개의 cell로 구성하였다. 초기조건 중 초기수위는 각 cell의 바닥표고 값 중에서 가장 높은 바닥 표고보다 0.5m높게 지정하였다. 경계조건 중 유입유량은 WWASS 모형에서 산정한 만경제수문, 동진제수문, 탑천, 고부천, 원평천, 신평천의 일 유입량을 사용하였고, 하류수위는 신시 및 가력 배수갑문 내측 수위자료를 사용하였다. 이 퇴적변화 예측모델은 방수제 건설이전과 방수제 건설이후 등 건설여건 변화에 따른 여러 case로 퇴적변화를 예측할 계획이다. 유입유사 및 퇴적물의 관리기준은 국내외 다목적댐 및 담수호에 대한 오염도와 관리기준을 조사하고, 사례를 분석하여 관리기준을 설정하고자 하며, 그에 따른 관리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새만금호 유입 유사량은 2008년 조사결과 연평균 155,122 ton/yr 이었으며, 비유사량은 63 ton/㎢/yr으로 추정되었는데, 이 중 만경강 유역에서 52,841 ton/yr 과 동진강 유역에서 111,502 ton/yr 이 유입된 것으로 산정되었다. 하상 퇴적물의 입도특성은 대부분 sand 또는 lomy sand로 판명되었으며, sediment trap 시료는 silt 또는 silt loam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결과는 현장조사 표본수가 적은 결과 값이므로 보다 다양한 유량조건에서 유량-유사량 실측자료를 지속적으로 확보하여 유량-유사량 관계식을 보완함으로써 새만금호로 유입하는 유사량 산정의 신뢰도를 높일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

      • 토목섬유를 활용한 새만금 방조제 완사면 녹화시공사례

        조영권(Cho Young-Kweon),오영인(Oh Young-In),최세경(Choi Se-Kyung),채영수(Chae Young-Su) 한국토목섬유학회 2010 한국지반신소재학회 학술발표회 Vol.2010 No.4

        Saemangeun development project site is located at the mid-west coast of Korean peninsular, approximately 200㎞ south from Seoul. This project covers an area of total 401㎢ which is composed of the reclaimed tidal flats of 283㎢ and a desalinated reservoir of 118㎢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ject. In this year, the sea dykes(33㎞) construction works should be completed include the huge SMG estuary, comprising two drainage sluices and navigation locks. Saemangeum sea dykes was constructed eco-friendly and multi-functional purpose by needs of the times. In this paper present the case history of vegetation work for Saemangeum sea dykes slope using geosynthetics. The second times of in-situ test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suitable vegetation technique(slope stability, types of vegetation, soil depth for vegetation etc.). Based on in-situ test results, vegetable geosynthetic mat(coier mat type) was used for Saemangeug sea dykes vegetation work.

      • KCI우수등재

        친환경 정비공법 선정 지원을 위한 웹기반 정보시스템 구축

        조영권 ( Cho Young-kweon ),김관호 ( Kim Kwan-ho ),김한중 ( Kim Han-joong ),최수명 ( Choi Soo-myung ) 한국농공학회 2008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0 No.1

        Eco-friendly material and implementation methods have become important along with the existing standardized maintenance concept for the irrigation and flood control. However, the intrinsic function of the hydraulic structure is water supply and disaster prevention. Therefore, the material and work methods should be considered both eco-friendliness, durability and safety which are prerequisite elements to maintain the engineering function. In this study eco-friendly material and work methods would be classified into the vegetation based system, eco-friendly concrete system and stone-material system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 The quality standard for durability followed KS specification and related regulations. The quality standard for safety and eco-friendliness was set after literature review, and the database was developed using the standard. The structure applicable to onsite - the eco-friendly material and work method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function and material of the hydraulic structure. Finally, database has been established for convenient management and selection of the proper material and work method. The eco-friendly material and work method could be searched easily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s, and the web-based data system has been developed for continuous registration of the material and work method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 농업수리시설의 자연재해 피해특성 및 요인분석

        양영진 ( Young Jin Yang ),조영권 ( Young Kweon Cho ),노재경 ( Jaekyoung Noh ) 한국농공학회 201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9 No.-

        자연재해는 위험성을 갖는 기상·지질 등의 물리적 현상과 취약한 사회구조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며, 매년 지속적인 인적·사회적·경제적 피해를 유발하고 있다. 피해완화를 위한 자연현상의 예측과 경제성을 고려한 방재시설의 지속적인 확충에도 불구하고, 자연재해 관리의 어려움은 가중되고 있다. 재난발생 시 농업수리시설은 자연재해에 대한 높은 잠재 위험성을 갖고 있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용연수 하한선인 30년을 기준으로 하면, 국내 농업수리시설 평균 고령화율은 61.8%로서 시설 전반에 걸쳐 노후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는 운송, 항만 등을 포함한 국내 전체 인프라시설 평균 고령화율인 9.3%의 6.6배에 해당하는 높은 수치이다. 문제는 노후화 자체가 아니라 노후화가 붕괴사고 등으로 이어질 위험성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특히 70년 이전에 축조된 저수지는 관개수량의 확보가 우선시 되어 안전성 측면에서 많은 미비점을 내포하고 있다. 2013년 옥촌(1945년 준공)·대관(1957년 준공), 2014년 괴연(1945년 준공)·내덕(1945년 준공) 등 붕괴 저수지의 대부분이 노후시설이었다. 우리나라의 최근 10년간(2008∼2017) 연평균 자연재해 피해액은 2017년도 환산기준 3,486억원이다. 동일기간 시설별 최대피해는 공공시설에서 연평균 2,419억원이 발생하였고, 전체 피해액의 약 69%를 차지하였다. 공공시설 중 농업기반시설의 자연재해 피해액은 연평균 317억원이 산정되었다. 이는 공공시설 피해액의 약 13%, 전체 피해액의 약 9%에 해당한다.] 농촌지역사회의 정상적 기능에 인적, 경제적, 물질적, 환경적 유해결과를 초래하는 농업수리시설의 높은 재해 취약성을 감축하기 위해서는 재해 관리체계 구축과 타당한 재정전략수립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객관적이고, 다각적인 선행 재해 피해의 분석과 재해의 사회·경제적 영향에 대한 엄밀한 평가가 필요하다. 정부와 관련 시행주체들은 농업수리시설 재해 관리를 위해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따라 세부 집행계획을 수립하고, 재난상황 대비 선제적 안전점검과 자원관리를 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농업수리시설 재해관리는 주로 지역적·개별적인 시설물 공간범위에 대한 안전진단과 점검에 국한되어 있으며, 전국단위의 정량적·포괄적인 재해분석 결과가 구축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 농업수리시설 재해피해 최소화를 위한 정책수립 근거마련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업수리시설 자연재해 발생사례를 수집·분석하여 구체적인 피해특성과 요인을 도출함으로써 재해관리와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 우선 실제 발생했었던 2005년부터 2017년까지의 재해사례별직접 피해액을 표준분류체계에 따라 구분하였다. 피해종류, 강우강도, 시도, 연도, 월, 시설물, 행정구역 분류체계에 따라 발생 피해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자연재해 유발 독립변수들이 자연재해 피해건수와 피해액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회귀분석을 통해 사회·경제적 취약도, 물리적 취약도, 재해 노출도의 구분에 따른 요인을 도출하였다. 회귀모델은 교차 타당성 검증을 통해 예측력을 확인하였다.

      • 서해안 해수욕장의 침식원인 분석결과와 시사점

        최정훈,최진용,조영권,Choi, Jung Hoon,Choi, Jin Yong,Cho, Young Kweon 한국관개배수위원회 2012 한국관개배수논문집 Vol.19 No.1

        In recent years, as environmental problems have become great concerns among many people, th loss of beach sand has become one of the highly controversial issue. Major reasons for the beach erosion within the cases of West Coast can be classified as: 1) erosion at Unyeo, Baeksajang beaches are caused by the wave refraction according to the large-scale sand dredging, 2) erosion at Kkotji, Baeksajang, and Unyeo beaches are caused by large-scale embankment construction and the coastal road construction, and 3) erosion at Chollipo and Hakampo beaches are caused by construction of small ports. Erosion in the west coast of Korea coast beach erosion control measures, include groin, zeotube, terraced stone, jetty groin, and beach nourishment. Erosion control measures initially installed to prevent erosion showed a positive effect. However, if there is no continuous source of sand, the effect of measures is fewness.

      • 배수갑문의 노후손상유형 및 원인 분석

        김관호 ( Kwan-ho Kim ),조영권 ( Young Kweon Cho ),이준구 ( Jun Gu Lee ),김명원 ( Myeong Won Kim )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2 No.-

        배수갑문 구조는 일반 수문과별 차이가 없으나 담수호를 방비하는 중요한 구조물이며 또 늘 외해의 풍파로 수량 및 유수의 상태가 늘 변동하고 비교적 악조건의 기초지반위에 축조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안정성과 강도를 가지도록 항상 관찰하고 이상이 있을 경우 적절한 보수보강을 실시하여야 한다. 1) 배수갑문 노후손상유형 배수갑문 노후손상유형은 갑문부에서는 콘크리트에 대하여는 골재노출이 44%로 가장 크게 나타났는데 골재의 상태는 바닷물에 세굴 되어 매끈한 표면을 유지하고 있었다. 표면 부식과 균열에 의한 것이 33%로 나타났으며 표면 박리박락도 10%정도로 그 노후손상이 나타났다. 철근에 대한 노후손상유형은 노출 및 부식이 13%로 나타났다. 2) 배수갑문 노후손상원인 배수갑문의 경우에는 바닷가와 인접한 구조물이기 때문에 비례염분함량이 많아지고 이로 인해 콘크리트 표면의 염화물이온 농도가 극히 높아져서 콘크리트 내부로의 염화물이온 침투속도도 빨라질 수 밖에 없는 구조물 중의 하나이다. 그 결과 콘크리트 표면과 철근의 부식을 그 만큼 가속화 시켜 노후손상원인이 산·염분에 의한 것이 37%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동결융해의 반복에 의한 원인이 26%로 해안지대에서는 년 평균 기온차가 많이 나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그리고 중성화 원인에 의한 것이 11%로 분석되었다. 배수갑문 구조물의 경과년수가 지날수록 공기중의 이산화탄소등의 작용을 받아 탄산칼슘으로 바뀌게 되는데 이를 중성화라고 일컫는데 콘크리트의 중성화가 진행되면서 배수갑문 구조물에서는 내부에 존재하는 철근의 경우 부동피막의 표면박리 박락이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 이외에 배수갑문의 노후손상원인은 탄산화와 공동에 의한 것이 각각 7%로 나타났으며, 시공시 불충분한 다짐이 4%, 표면두께 부족으로 인한 것이 4%, 건조수축 4% 둥으로 그 원인을 추정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