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계교회협의회와 한국교회의 관계 역사

        민관홍(Min Kwan-Hong)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4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0

        한국교회는 세계교회협의회의 선행기구들 중에서 주로 국제선교협의회와 관계를 맺어왔으며, 국제선교협의회는 한국교회가 세계교회협의회가 창립되는 과정에서부터 초청받아 회원으로 가입할 수 있도록 다방면에서 지원해주었다. 세계교회협의회와 한국교회의 초기 관계에서는 상호이해와 협력을 찾아보기 힘들다. 뿐만 아니라 한국교회 내에서 보수-근본주의 교회들은 세계교회협의회를 오해하고 자신들의 정치 이해타산과의 관련 속에서 배척하였다. 1960년대 후반부터 한국교회의 진보진영은 세계교회협의회의 신학을 받아들였으며, 세계교회협의회도 한국교회의 상황에 대해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1990년대 이후 세계교회협의회는 성령에 대한 증대되는 관심 속에서 오순절교회와의 관계를 개선시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아울러 이제 보수-근본주의 교회들과도 대화를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국의 부산에서 개최된 제10차 총회에서는 오순절교회의 일부인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여의도순복음) 교단이 적극적으로 참여한 것 외에 예장 합동을 비롯한 보수-근본주의 진영의 동참을 이루어내지는 못하였다.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을 위해서도 가시적인 진척을 이루지는 못했다. 총회에서 세계교회협의회는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결의하였다. Churches of Korea developed relationship with the International Missionary Council (IMC) among others precursor organizations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WCC). The IMC played a crucial role for the entry of churches of Korea into the WCC. In the early phas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urches of Korea and the WCC can be found neither mutual understanding nor cooperation. In addition, the conservative-fundamentalist side misunderstood the WCC. And in connection with their political interests she raised her opposition to the WCC. In contrast, since the second half of the 1960s the progressive side accepted the theology of the WCC. The WCC was interested in the situation of churches of Korea. From the 1990s the WCC was interested in the Holy Spirit. In this context, the WCC tried to develop a relationship with pentecostal churches. On top of that, the WCC tries to talk about mutual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with conservative-fundamentalist side. Although the Assemblies of God of Korea (Yoido Full Gospel) active participated in the 10th Assembly in Busan, but the conservative-fundamentalist side including the Presbyterian Churches in Korea (Habdong) did not participate the Assembly. In the peaceful reunification movement in Korea, there was no visible progress. By the WCC 10th Assembly was adopted “the Statement on Peace and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20세기 초 교회론의 변화와 여성 에큐메니칼 선구자들의 공헌: 사라 차코, 캐슬린 블리스, 마들렌 바롯, 수잔 드 디트리히를 중심으로

        김은하 한국교회사학회 2019 韓國敎會史學會誌 Vol.53 No.-

        변혁기마다 여성들은 급변하는 시대의 흐름에 누구보다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가장 앞장서서 창조적인 사역의 길을 개척하고 여성공동체를 형성하여 교회의 형성과 발전, 그리고 성장에 기여하였다. 그러나 교회가 안정화되면, 여성들만의 특수성을 가졌던 여성공동체는 전체공동체에 흡수 혹은 통합됨으로써 여성들이 다시 소외되는 역사를 반복하였다. 본 글은 여성공동체가 ‘창의적 사역 개척 – 여성공동체 형성 – 통합위원회로 변화 – 여성의 특수성 약화’라는 역사의 순환을 반복했기 때문에 교회 안에서 여성의 참여가 안정되지 못했다고 주장한다. 이 현상은 오늘날 교회에서 여성, 청년, 장애인 참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세계교회협의회 역시 마찬가지였다. 20세기 초 교회론의 변화에 따라 여성의 입지가 약화 되는 상황에서, 여성 에큐메니칼 선구자들은 신뢰를 바탕으로 한 공동의 성찰과 에큐메니칼 대화를 통해 여성운동과 에큐메니칼 운동을 동시에 전개 하면서 세계교회협의회의 형성과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그 결과, 교회에서 여성의 활동 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평신도 신학을 정립하여 20세 교회론의 변화에 영향을 끼쳤다. 대표적인 지도자는 사라 차코, 캐슬린 블리스, 마들렌 바롯, 그리고 수잔 드 디트리히가 있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평가는 미미하다. 그 이유는 이들 역시 여성위원회를 평신도분과로 변경하여 남성과 여성이 함께 하는 통합공동체를 기대했으나, 다시 부서가 남성 위주의 조직으로 변경되어 오히려 여성의 입지가 축소되고, 여성 사역의 토대마저 다시 잃어버리는 결과를 초래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여성의 권위가 신장된 공동체라고 하더라도 여성위원회의 존립은 매우 중요하다. 본 글은 세계교회협의회 임시위원회(1938)부터 에반스톤 중앙위원회 (1955)에 이르기까지 여성위원회의 활동에 대한 에큐메니컬 운동을 연대순으로 분석하였다. 여기에는 세계교회협의회 집행위원회 또는 중앙위원회의 회의록, 세계교회협의회 문서보관소 및 세계 YWCA 문서보관소에 있는 자료들이 포함되어 있다. 본 글의 결론으로 교회에서 여성과 남성의 완전하고 동등한 참여를 위해서는, 여성공동체는 전체 공동체의 일치를 보호하고, 전체공동체는 여성 공동체의 특수성을 배려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교회에서 여성과 남성의 성숙한 관계 형성과 여성과 남성의 동등한 사역 참여는 진정한 교회 개혁의 가시적인 표현이며 다가오는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새로운 기독교 문화를 창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roughout history, women have been more sensitive than anyone else in a rapidly changing era, pioneering creative ministry; and they formed a women's community and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development, and growth of the church. However, once the church has stabilized, the women's community, which had had its own peculiarities, came to repeat the history of re-alienating women by being absorbed or integrated into the whole community. This article argues that women's participation in the church has not been active because the women's community repeated the cycle of “pioneering creative ministry - forming a women's community-merging into a whole committee-weakening the peculiarity of women.” and the same pattern was found in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which is known to emphasize the empower of women, youth and the disabled today. Nevertheless, Women ecumenical pioneers have contributed greatly to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through joint reflection and ecumenical dialogue based on trust. They were Sarah Chakko, Kathlee Bliss, Madeleine Barot and Suzanne de Dietrich etc. They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change of ecclesiology and missiology in the 20th century. This study chronologically reviewed the ministry of the women committee during the period from the Provisional Commission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1938) to the Central Committee of Evanston(1955). To do this, it surveyed the minutes of the Executive Committee or Central Committee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with documentation and reports in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Archives and World YWCA Archives. The conclusion drawn from this study is that for the full and equal participation of men and women in the Churches, the women's community should protect the unity of the whole community, and at the same time, the whole community should seek the ways to maintain the uniqueness of the women's community. The matur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women in the Churches and the equal participation of the work of the church will be a visible expression of the genuine church reformation and help to create a new Christian culture in the new era.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KCI등재

        세계교회협의회(WCC)의 신학과 기독교 리더십의 상호관계 연구

        조성호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6

        본 논문은 세계교회협의회(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제10회 부산총회를 앞두고 발생한 한국교회의 뜨거운 논쟁과 대립을 목도하면서, 과연 그들이 제시하는 신학적 가치가 한국교회의 리더십과 영성, 그리고 교회론의 재정립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이 관심을 구체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 세계교회협의회의 핵심적 신학가치인 ‘연합’(Unity)에 주목하고, 그것을 기점으로 형성된 신학적 명제들의 세부내용 이해에 집중했다. 그 후에 그런 신학적 명제들을 최근 리더십 유형의 변화와 비교하여 상호 유사점들을 도출하는 작업을 진행했으며, 그것이 부산총회를 앞둔 한국교회의 대립과 혼란을 극복하고 미래지향적인 목회 리더십 형성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했다. 이 두 가지의 과제들을 효율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 기독교 리더십에 영성의 차원을 부가하였으며, 그를 통해 세속 단체나 사회의 리더십과 구별되는 기독교 리더십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전망하려고 노력했다. 위와 같은 일련의 과정은 세계교회협의회 문제로 인해 야기된 한국교회의 대립을 풀기 위해서 실천신학적 판단과 상징이론의 결합된 인식과정이 선행되어야한다는 신념에 근거한다. 또한 그런 신학적 판단이 추상적인 이론의 영역에 머물지 않고 리더십과 영성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역사적 맥락을 염두에 둔 지평의 확장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시각을 전제한다. 따라서 본고는 부산총회를 바라보는 양극단의 입장과 관련하여, 가능한 중립적 위치에서 공정한 평가와 진단을 내리려고 노력했음을 주지한다. 아울러 본 연구가 한국교회의 성숙한 신학적 안목을 바탕으로 한국 사회의 다양한 요소들을 창조적으로 수용하여, 한국교회의 목회리더십의 발전과 사회적 병리현상들을 치유하는 영적 사명으로 연결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started from the concern on how theological values of W.C.C affect the reestablishment of spirituality, ethic, leadership and ecclesiology of Korean churches. To accomplish this task, a detailed analysis of W.C.C's theological statements organized under the concern for 'unity' will be first done, then, it will be transferred into the second task about the future of Korean churches derived from the previous process. For the efficient engagement of two different objectives, I will try to turn theological meanings such as the foundational spirit and the existential goal of W.C.C to another dimension of leadership and spirituality and this process will be destined to the analyses of the present and future of Korean churches. This process as a whole is abased on the confidence that the currently distorted situation of Korean churches can be fixed only through a theologically objective verification procedure on W.C.C.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at this study tries to avoid taking one's side between two conflicting groups in the debate of W.C.C. I wish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a creative acceptance of diverse elements within Korean society based on Korean churches' great theological perspective and that it will be combined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churches and the mission of healing for Korea's social diseases.

      • KCI등재후보

        세계교회협의회가 한국교회 목회 현장에 미친 영향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 측을 중심으로-

        구춘서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13 신학과 사회 Vol.27 No.2

        This article attempt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World Council of Churches(W.C.C.) upon the Korean church in general and the Presyterian Church of Korea(P.C.K.) in particular. W.C.C.’s 10th meeting will be held in Busan this coming October. W.C.C.’s decision shows its full support for Korean church’s struggle for a peaceful reunification of Korea. W.C.C. has been influencing P.C.K and its denominational policy for a long time. Therefore, it is worthwhil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W.C.C. and P.C.K. with special reference to its local ministry. Also, it is noticeable that W.C.C. has impacted on the division and conflict of P.C.K churches. It is needless to say that W.C.C. is an institution for the unity and reconciliation among world churches. Unfortunately, however, as mentioned above, W.C.C. is one of the major causes of presbyterian churches’ division. The conflict has been worsened due to the division of Korean peninsula. Of course, it needs to be pointed out that the cold war and the war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has fueled the conflict. The lack of knowledge of the new trends of theological movements in the West is also one of the reasons of the conflict between the conservative and the progressive Korean church leaders. Next, W.C.C. has directly influenced the enhancement of the human right movements in Korea. Urban ministry, Students movement, Laborer movements, Justice and Peace movement are examples of W.C.C.'s influence in Korea. W.C.C. also has impacted on the life giving movement, ordination of Woman in P.C.K. 이 논문은 세계교회협의회가 한국교회 특히 예장 통합 측과 전라북도 지역교회에 미친 영향에 대해 살펴본다. 세계교회협의회는 역사적인 제 10회 세계대회를 한국 부산에서 개최하기로 결정함으로 분단국의 아픔을 공유하고 통일을 향한 우리 국민의 열망에 지지를 보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세계교회협의회는 한국교회 특히 본 교단 소속교회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쳐 왔다. 또한 불행하게 우리 장로교 교단의 분열과 세계교회협의회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세계교회협의회는 일치와 화해를 위한 세계교회의 연합기구이다. 그러나 불행히도 우리나라의 분단 상황과 맞물려 우리나라 교회는 아직도 분열과 갈등에 휩싸여 있다. 이는 냉전과 한국전쟁의 비극이 낳은 결과지만 세계교회와 호흡하지 못하는 우리 교계의 신학적 후진성과도 관련이 있다. 그럼에도 세계교회협의회는 우리나라의 인권운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산업선교, 학원선교, 정의와 평화 운동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또 우리 교단의 생명 살리기 운동과 여성목회자 안수 문제 등 많은 목회 영역에서 심대한 영향을 지속적으로 미쳐 왔다. 이 논문은 세계교회협의회가 한국교회에 미친 이러한 영향에 대해 특히 대한 예수교 장로회 통합 측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 KCI등재

        세계교회협의회의 ‘책임사회’ 개념화에 있어서 평신도의 재발견: 제2차 세계교회협의회 에반스턴 총회(1954년)에서 논의된 평신도 담론의 에큐메니칼 선교신학적 이해

        한강희(Han, Kang-Hee)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7 신학사상 Vol.0 No.177

        본 연구는 제2차 세계교회협의회 에반스턴 총회(1954년) 제6분과토의 주제인 「평신도: 소명 속에 있는 기독교인」에서 논의된 평신도 담론을 책임사회론이라는 에큐메니칼 선교신학적 주제와 연관시켜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20세기 중반 서구교회는 두 차례의 세계대전과 나치즘과 파시즘의 전체주의적 이데올로기 문제를 목격하면서 어떻게 이러한 파괴적 도전 앞에서 교회가 세상 가운데 하나님 나라를 구현할 것인가라는 책임사회 개념을 발전시켜왔다. 특히, 본 논문은 에반스턴 총회의 평신도 담론 형성에 영향을 미친 제2차 옥스퍼드 삶과 봉사 세계대회(1937년)와 제5차 빌링겐 국제선교협의회 세 계대회(1952년)의 선교신학적 흐름을 함께 논의하고자 한다. 옥스퍼드 세계대회는 “책임사회”(responsible society)라는 개념을 제시함으로써 붕괴된 인류 공동체의 기독교적 회복을 위해 중간 공리의 윤리학적 방법론을 개진했다. 또한 빌링겐 세계대회는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라는 새로운 선교신학적 패러다임을 배태시킴으로써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에 근거한 교회의 선교적 본질과 위상 그리고 책임사회 구현에 있어서 기독교인들의 사회적 역할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개념은 에반스턴 총회 평신도 담론의 두 기둥을 형성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에반스턴 총회의 평신도 담론을 면밀하 게 조명하면서 세상 속에 샬롬 공동체를 구현하고 성육신적 봉사를 통해 하나님의 부르심에 응답하는 변혁적 존재로서 평신도를 재발견하는데 초점을 맞출 것이다. 에큐메니칼 운동 속에 나타난 평신도는 단순히 교회 내 성직자 계층의 목회 사역의 대상으로만 남아 있는 수동적 존재나 교회의 이류 시민이 아니라, 세상을 변혁하시고 구원으로 이끄시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사역에 동참하는 책임적인 하나님의 백성이다.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theme of the laity discussed in the 6th section 「The Laity: The Christian in His Vocation」 of the Second WCC Evanston Assembly by relating it to the concept of “responsible society” as an ecumenical –missiological subject. During the mid-20th century, Western churches witnessed the deepest scars left by the two World Wars and totalitarian ideologies of Nazism and Fascism and developed the concept of “responsible society” which sought to realize the Kingdom of God in this world in the face of such a destructive challenge. This paper particularly examines missiological discourses of two events - The Oxford Conference of Life and Work (1937) and The Willingen Conference of International Missionary Council (1952) that both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the “laity” topic of the Evanston. The Oxford Conference set forth an ethical method of “middle axiom” to achieve a Christian restoration of the human community in crisis by coining the idea of “responsible society”. Willingen Conference also began to observe Church’s missionary nature and significance and Christians’ social roles for “responsible society” by germinating a new missiological paradigm, Missio Dei. These two conceptual pillars supported the Evanston’s formative discussion on the laity. Illuminating the Evanston’s report on the laity, this study focuses on rediscovery of the laity as transformative beings who actively respond to God’s calling and who serve this world with incarnational commitment for building shalom communities on earth. The laity in the ecumenical history appeared not merely as subordinate members of the church, as pure ministerial objects of their clergies, but rather as responsible people of God participating in trinitarian God’s missions which guides both of the church and this world in salvation.

      • KCI등재

        WCC 제10차 부산총회의 영향과 한국교회 에큐메니칼 운동의 과제

        정종훈(Chong Hun Jeong)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4 선교와 신학 Vol.34 No.-

        한국(개신)교회의 역사는 세계교회의 역사에 비하면 매우 일천하지만 WCC 총회를 유치할 만큼 성장했다. 한국교회는 세계교회의 기대와 달리 총회를 준비하는 과정과 총회 기간에 적지 않은 부끄러움을 연출했다. 한국교회는 그 부끄러움을 돌아봄으로써 다시는 반복하지 말아야 한다. “생명의 하나님, 우리를 정의와 평화로 이끄소서!”라는 주제로 개최된 WCC 제10차 부산총회는 한국교회 에큐메니칼 운동을 향해서 많은 것을 도전했다. 첫째로 에큐메니칼, 에반젤리칼, 펜타코스탈 등 기독교 내 각 그룹 간의 상호이해를 위해 노력할 것을 도전했다. 둘째로 예배와 성경공 부와 기도회 등을 통해 영성적 차원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도전했다. 셋째로 교회가 무엇인지, 공교회적인 연합과 일치가 왜 중요한지를 점검하도록 도전했다. 넷째로 에큐메니칼 교육이 중요하다는 것과 에큐메니칼 운동을 위한 차세대 지도자의 양성이 중요하다는 것을 도전했다. 다섯째로 한반도 평화와 동북아 평화를 위해 세계교회의 협력과 연대를 이끄는 것이 중요함을 도전했다. 이제 한국교회는 이러한 도전들을 한국교회의 질적 성숙을 위한 기회로 보고 에큐메니칼 운동의 차원에서 새로운 과제를 설정해야 한다. 한국 교회 에큐메니칼 운동은 부산총회의 결과물들을 하나하나 상세히 살펴보고, 한국교회의 상황에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한 국의 에큐메니칼 그룹과 에반젤리칼 그룹 간에 공동자문단을 구성하고, 무엇이 어떤 점에서 일치하고 무엇이 어떤 점에서 다른지를 규명하는 과정을 만들어야 한다. WCC 부산총회의 KETI 과정을 일회적인 과정으로 끝내 지 말고 상설화해서 운영해야 한다. 지역교회들의 에큐메니칼 운동을 위한 기회와 영역을 개발하고 지원해야 한다. 보세이 에큐메니칼 신학원과 같은 세계신학원을 교계 차원에서 설립하여 제3세계 교회 지도자를 양성하고 제3세계 교회를 지원하는 일에 기여해야 한다. ‘한국교회의 날’ 행사를 정 기적으로 개최함으로써 한국교회 자신을 성찰하고, 평신도들을 전방위적으로 교육하며, 대사회적인 아젠다를 제시하는 상설적인 장(場)을 마련해 야 한다. 또한 한국교회로 하여금 정의와 평화에 기초한 한반도의 통일을 향해서 순례할 것을 도전해야 한다. WCC 부산총회는 끝난 것이 아니라 이제 시작이다. 한국교회는 정의 와 평화를 향한 총회의 순례초청에 구체적으로 응답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W.C.C. 신학에 대한 이해와 평가

        김길성(Kim, Kil-Sung) 한국개혁신학회 2010 개혁논총 Vol.16 No.-

        슐라이에르마허(Friedrich Ernst Daniel Schleiermacher)를 시작으로 19세기와 20세기 초 신학계를 지배하던 구 자유주의 또는 현대주의 신학사상의 유입과, 이후 1919년 칼 바르트(Karl Barth)의『로마서 주석』의 발간과 1921년 루돌프 불트만 (Rudolf Bultmann)의『공관복음 전승사』의 발간으로 말미암아 소위“신 신학”, 또는“신 현대주의”의 시작을 알리는 새 조류와 함께 발전된 신학사상은“구 자유주의", 또는“현대주의”와 그 맥을 같이하고 있는데, 이를 통칭한『현대 자유주의의 신학사상』의 도전은 끊임없이 한국교회를 위협하고 있다. 이러한 현대 자유주의 신학에 근거한 에큐메니칼 교회론은 한국의 전통적인 역사적 개혁주의, 정통 칼빈주의 신학 전반에 대한 도전일 뿐 아니라, 특히 청교도 장로교 신학을 지향해 온 한국 장로교회에 대한 도전으로 나타나고 있다. 19세기말 미국 전역과 유럽을 휩쓸었던 일련의 부흥운동은 다수의 단체들을 탄생시켰다. 이 중에는 기독 청년회(Y.M.C.A., 1844), 복음주의 연맹(the Evangelical Alliance, 1846), 기독 여성 청년회(Y.W.C.A., 1855), 세계 기독 학생회(the World's Student Christian Association, 1895) 등이 있었다. 이후 복음전도와 선교사역을 증진하기 위하여 수차례 국제적인 대회들이 열렸으며, 마침내 1910년 에딘버러에서 열린‘1910년 세계선교대회’(the 1910 World Missionary Conference)는 현대 에큐메니칼 운동의 시작으로 간주된다. 이 대회의 목적은 세계를 복음화 하기 위하여 다음단계들을 계획하는 것이었다. 주요 지도자로는 존 모트(John E. Mott)와 조셉 올덤(Joseph H. Oldham)이었다. 이 대회에서 비롯된‘신앙과 직제 세계대회’(World Conference on Faith and Order)와‘생활과 사역을 위한 보편적 기독교 협의회’(Universal Christian Council for Life and Work)는 결국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창립된‘세계 교회 협의회’(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W.C.C.)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후 1961년‘국제 선교 협의회’(I.M.C.)를 병합하면서 세계 교회 협의회는 명실공히 선교, 사회문제, 교회의 일치를 표방하는 세계적 기구가 된 것이다. 이후 진행된 W.C.C. 운동은 하나님께서 그리스도의 피로 말미암아 이 땅 위에 친히 세우신 초자연적인 제도인 교회의 모습 대신에, 하나님은 이 땅의 수많은 수단이나 제도들을 통하여 역동적으로 세상과 관계를 맺으시는 분이라고 하는 다분히 세속화된 교회론을 지향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에큐메니칼 운동의 영향을 받은 교회론은 당연히 교회의 일치를 지향하는 데 그 강조점을 둔 기능적 교회론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기능적 교회론은 교회의 순결이라고 하는 또 하나의 측면을 무시하고, 교회의 본질에 대한 바른 이해 없이 교회의 세속화를 가중시키고 있다. 필자는W.C.C. 신학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1. 신학적 자유주의의 주도와 복음의 약화 2. 종교다원주의를 넘어 혼합주의 경향의 심화 3. 성경적 일치에 심각한 폐해를 지적하고 W.C.C. 신학에 대하여 비판하고 있다. This article deals with an evaluation of WCC movements and its theology from Reformed Theology. The article consists of four chapters in addition to the introduction and the conclusion. The first chapter deals with brief backgrounds relating to the beginnings of WCC and NCC movements and their anti-movements, which are ICCC and ACCC, and also the mid-way movements, which are NAE and Wheaton Mission Conference, etc. The second chapter deals with the assemblies held by WCC and the main theme of each assembly one by one. The third chapter deals with critiques on WCC theology. The writer suggests his critiques as follows: 1. WCC movement always has been led by leaders of theological liberalism, and the movement resulted in the diminution of the Gospel of Christ in and out of the Church. 2. WCC movement accelerates the tendencies of religious pluralism and religious amalgamation. 3. WCC movement tends to do harm to the biblical unity of the Church. The fourth chapter deals with the general impacts by WCC movements and its theology on Korean Churches.

      • KCI등재

        선교적 교회와 에큐메니칼 역사

        김은수 한국기독교학회 선교신학회 2014 선교신학 Vol.36 No.-

        에큐메니칼 역사에서 선교적 교회를 위한 토론은 계속되어 왔다. 국제선교협의회가 1921년 창립된 이래 교회의 선교적 의무가 주요 토론의제였고, 1948년 암스테르담에서 세계교회협의회가 창설되면서 이 두 기구의 통합을 위해서 더욱 구체화되었다. 따라서 이 논문은 1961년 뉴델리에서 IMC로 대변되는 ‘선교’와 WCC로 대표되는 ‘교회’가 기구적 일치를 이루는 역사를 먼저 다루고, 선교적 구조를 위한 토론의 역사를 살펴봄으로써 선교적 교회의 신학적 근거와 그 핵심 내용을 밝혀서 오늘날 선교적 교회 논의에 기여하고자 한다.WCC 중앙위원회는 두 기구의 일치에 대한 재평가를 실시하여 ‘선교와 일치를 위한 교회의 소명’이라는 ‘롤(Rolle)선언문’을 채택하고, 일치를 위한 초안을 1957년에 제안하였다. 이를 WCC 중앙위원회는 1957년, IMC는 1958년 가나 총회에서 각각 수용함으로써 두 기구의 일치가 공식적으로 인정되었다.‘교회의 선교적 구조’에 대한 에큐메니칼 토론은 각 대륙별로 진행되었다. 먼저 ‘서유럽연구그룹’은 1965년 1차 연구를 마무리하여『구조원리로서의 선교』라는 보고서를 내었고, 이를 바탕으로『선교적 교회구조를 위한 투쟁 안에 있는 타자를 위한 교회』(Die Kirche für andere im Ringen um Strukturen missionarischer Gemeinden)를, 북미에서는『세계를 위한 교회』(Die Kirche für die Welt)를 출간하였다. 아시아 교회는 플레밍과 라이트가 각 지역에서 보내온 일부자료를 토대로 『선교적 교회를 위한 구조』를 1964년 공동집필하였다.선교적 교회를 위한 에큐메니칼 토론의 신학적 기여는『구조원리로서의 선교』이며, 교회론의 핵심인 ‘타자를 위한’ 명제는 본회퍼(D. Bonhoeffer)에서 비롯되었다.『타자를 위한 교회』는 샬롬(Schalom)이라는 성서적 개념으로 집약되며 이것은 후켄다이크(J. C. Hoekendijk)에 의해 발전되어 전통적인 ‘하나님-교회-세계’의 구조가 ‘하나님-세계-교회’로 바뀌게 되었다. This paper is to examine a short history of how both the missionary work representing as IMC(International Missionary Council) in 1961, New Delhi and the churches representing as WCC(World Council of Churches) were integrated into one organization, and a short history of discussion for the Missional Church since the integration of both organizations. The discussion for Missional Churches in ecumenical history have been raised ceaselessly. Specially, the missionary duty of churches has been a main issue for discussion since IMC was instituted in 1921. And it has materialized as bringing the issue for integration with IMC steadily after the conference was held by ‘Faith and Order’ and ‘Life and Work’ together in 1938, Utrecht.Although the ecumenical history was started concretely after WCC was instituted in 1948, Amsterdam, there were not any tangible results of integration with the churches and missionary work. Also, they still existed separately in two organizations because there were many different viewpoints between them. Even if IMC was closely connected with WCC, there were some problems to make it difficult and not to be solved for the integration before the Whitby’s general meeting in 1948, Canada. As a result, IMC could not formally participated in the establishment of WCC in 1948. However, both WCC and IMC were integrated completely in 1956, Herrenalb.This integration was positively regarded as both the missionary work and churches symbolically became one, but there was a criticism of opponents insisting that the missionary work will be a secondary issue of churches. With regard to the integration of IMC and WCC, Lesslie Newbigin emphasized the necessity of new paradigm for missionary work and the combination of churches, saying “the whole Church, with one Gospel of reconciliation for the whole world.”The missionary structure of churches, which is based on missio Dei in the Bible, should be ‘the whole life of the Church’ as well as ‘the Life of the whole Church’ as a disciplinant of missio Dei. The ultimate contribution about ecumenical studies for Missional Churches is the missionary work as a structural principle, and it is from the ecclesiology by D. Bonhoeffer, who presented an important issue for theological discussion. That issue is ‘the church for others.’ D. Bonhoeffer tried to understand pro me(for me), which is a slogan of religious reformation into pro nobis(for us) and pro nobis into pro aliis(for others). His understanding for churches was taken as the meaning of Shalom in a biblical notion. J. C. Hoekendijk made its notion much clearer. Shalom to him was because of a social matter for human communities transcending the individual salvation. Consequently he insisted that the churches should not be separated from the world, which is with God, and should aim at ‘ecumenical,’ that is, oikoumene. So the focal point of God’s plan is found in the world, not in the church, for the church is defined as a part of the world.

      • KCI등재

        선교적 교회와 에큐메니칼 역사선교적 교회와 에큐메니칼 역사

        김은수 한국선교신학회 2014 선교신학 Vol.36 No.-

        This paper is to examine a short history of how both the missionary work representing as IMC(International Missionary Council) in 1961, New Delhi and the churches representing as WCC(World Council of Churches) were integrated into one organization, and a short history of discussion for the Missional Church since the integration of both organizations. The discussion for Missional Churches in ecumenical history have been raised ceaselessly. Specially, the missionary duty of churches has been a main issue for discussion since IMC was instituted in 1921. And it has materialized as bringing the issue for integration with IMC steadily after the conference was held by ‘Faith and Order’ and ‘Life and Work’ together in 1938, Utrecht. Although the ecumenical history was started concretely after WCC was instituted in 1948, Amsterdam, there were not any tangible results of integration with the churches and missionary work. Also, they still existed separately in two organizations because there were many different viewpoints between them. Even if IMC was closely connected with WCC, there were some problems to make it difficult and not to be solved for the integration before the Whitby’s general meeting in 1948, Canada. As a result, IMC could not formally participated in the establishment of WCC in 1948. However, both WCC and IMC were integrated completely in 1956, Herrenalb. This integration was positively regarded as both the missionary work and churches symbolically became one, but there was a criticism of opponents insisting that the missionary work will be a secondary issue of churches. With regard to the integration of IMC and WCC, Lesslie Newbigin emphasized the necessity of new paradigm for missionary work and the combination of churches, saying “the whole Church, with one Gospel of reconciliation for the whole world.”The missionary structure of churches, which is based on missio Dei in the Bible, should be ‘the whole life of the Church’ as well as ‘the Life of the whole Church’ as a disciplinant of missio Dei. The ultimate contribution about ecumenical studies for Missional Churches is the missionary work as a structural principle, and it is from the ecclesiology by D. Bonhoeffer, who presented an important issue for theological discussion. That issue is ‘the church for others.’ D. Bonhoeffer tried to understand pro me(for me), which is a slogan of religious reformation into pro nobis(for us) and pro nobis into pro aliis(for others). His understanding for churches was taken as the meaning of Shalom in a biblical notion. J. C. Hoekendijk made its notion much clearer. Shalom to him was because of a social matter for human communities transcending the individual salvation. Consequently he insisted that the churches should not be separated from the world, which is with God, and should aim at ‘ecumenical,’ that is, oikoumene. So the focal point of God’s plan is found in the world, not in the church, for the church is defined as a part of the world. 에큐메니칼 역사에서 선교적 교회를 위한 토론은 계속되어 왔다. 국제선교협의회가 1921년 창립된 이래 교회의 선교적 의무가 주요 토론의제였고, 1948년 암스테르담에서 세계교회협의회가 창설되면서 이 두 기구의 통합을 위해서 더욱 구체화되었다. 따라서 이 논문은 1961년 뉴델리에서 IMC로 대변되는 ‘선교’와 WCC로 대표되는 ‘교회’가 기구적 일치를 이루는 역사를 먼저 다루고, 선교적 구조를 위한 토론의 역사를 살펴봄으로써 선교적 교회의 신학적 근거와 그 핵심 내용을 밝혀서 오늘날 선교적 교회 논의에 기여하고자 한다. WCC 중앙위원회는 두 기구의 일치에 대한 재평가를 실시하여 ‘선교와 일치를 위한 교회의 소명’이라는 ‘롤(Rolle)선언문’을 채택하고, 일치를 위한 초안을 1957년에 제안하였다. 이를 WCC 중앙위원회는 1957년, IMC는 1958년 가나 총회에서 각각 수용함으로써 두 기구의 일치가 공식적으로 인정되었다. ‘교회의 선교적 구조’에 대한 에큐메니칼 토론은 각 대륙별로 진행되었다. 먼저 ‘서유럽연구그룹’은 1965년 1차 연구를 마무리하여 『구조원리로서의 선교』라는 보고서를 내었고, 이를 바탕으로 『선교적 교회구조를 위한 투쟁 안에 있는 타자를 위한 교회』(Die Kirche für andere im Ringen um Strukturen missionarischer Gemeinden)를, 북미에서는 『세계를 위한 교회』(Die Kirche für die Welt)를 출간하였다. 아시아 교회는 플레밍과 라이트가 각 지역에서 보내온 일부자료를 토대로 『선교적 교회를 위한 구조』를 1964년 공동집필하였다. 선교적 교회를 위한 에큐메니칼 토론의 신학적 기여는 『구조원리로서의 선교』이며, 교회론의 핵심인 ‘타자를 위한’ 명제는 본회퍼(D. Bonhoeffer)에서 비롯되었다. 『타자를 위한 교회』는 샬롬(Schalom)이라는 성서적 개념으로 집약되며 이것은 후켄다이크(J. C. Hoekendijk)에 의해 발전되어 전통적인 ‘하나님-교회-세계’의 구조가 ‘하나님-세계-교회’로 바뀌게 되었다.

      • KCI등재후보

        리마문서에 대한 신흥교회들의 응답 ―그 특징과 의미―

        Ahn Deok Weon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1 神學과 宣敎 Vol.38 No.-

        Among modern ecumenical texts, Baptism, Eucharist, and Ministry (hereafter cited as BEM or the Lima document)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and controversial documents. The Lima document and the responses to it from various churches and denominations worldwide provide an illustration of the variety of theological perspectives on baptism, eucharist, and ministry among Christians First of all, even though many younger churches are member churches or associate councils of WCC, the contribution from the younger churches to the BEM seems minimal. Only twenty-six responses from the younger churches among a total of 141 responses can be found in the six volume series of Churches Respond to BEM. Secondly, regarding the issue of theological expression, many younger churches responded positively to the Lima document and regard the document as a great educational resource for the church. Third, the younger churches have expressed their limitation in understanding the document since the churches have a shorter history. Fourth, the responses from the younger churches are strongly based on their context while the first world churches mainly discuss the text of the document itself. Fifth, first-world Christian communities demonstrate denominational and theological approaches toward the Lima document, while the younger churches advocate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analysis. According to my research on the responses from the younger churches to BEM, it is obvious that the younger churches were not fully ready to participate in the theological discussion on BEM. The lack of participation of the younger churches to the issues of the Lima document is quite obvious. It is clear that the Lima document is a positive challenging force for the younger churches for further development of their own theology and liturgy. The inculturation process needs to be widened and expanded among the younger churches. Through this process,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more participation from younger churches in the future ecumenical movement with their distinctive theology and liturgy, both of which are based on their own contexts. 1982년 세계교회협의회에서 발표한 리마문서 (BEM 문서, Baptism, Euchrist, and Ministry)는 세계의 수많은 교회들로부터 지대한 관심을 받았다. 리마문서에 대한 교회들의 응답내용을 살펴보면 각 교회들의 신학적 관심이 잘 드러나 있고 교회가 처한 상황 또한 직 · 간접적으로 묘사되어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기성교회(제1세계 교회)와 비교해 볼 때 신흥교회들의 응답이 가지고 있는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상당히 많은 신흥교회들이 세계교회협의회의 회원교회이면서도 응답에 참여한 교회의 숫자(26 교회)는 매우 제한적이라는 사실이다. 참여도뿐만 아니라 신흥교회들의 응답이 비교적 짧다는 것도 하나의 특징이다. 두 번째로, 신학적 표현에 있어서 신흥교회들이 교육적 자료로 여기며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 신학, 교육, 예배에 기여할 수 있다는 기대감을 표명하고 있다. 세 번째로 신흥교회들은 그들의 교회역사가 짧다는 사실을 밝히면서 리마문서의 이해에 어려움이 있음을 드러낸다. 네 번째로 제1세계 교회들이 문서의 내용(text)에 치중하는 반면 신흥교회들은 응답은 그들이 처한 상황 (context)의 설명에 집중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경은 특히 성찬과 사역부분에서 두드러진다. 다섯 번째로 제1세계교회들의 응답에서는 각 교회가 속해 있는 교단이나 교파의 색깔이 드러나는 반면 신흥교회들의 응답에서는 교회가 자리하고 있는 사회에 대한 문화적, 정치적 분석이 드러난다. 신흥교회들에게 있어서 리마문서는 매우 이론적이며 조금은 불명확하다(ambiguous). 즉 신흥교회들은 리마문서를 교리적인 문서로 이해하고 있으며 그들의 상황에 부합되지 않는 면이 많다고 생각하고 있다. 리마문서는 세례, 성찬, 사역에 대한 분석의 심오함과 교회에 대한 공헌도에 있어서 탁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신흥교회들의 신학적 참여에는 많은 한계도 안고 있다. 앞으로 열린 마음으로, 상호존중의 틀 속에서 쇼터(Shorter)가 이야기하는 대로 복음(신앙)과 문화의 지속적인 대화를 해 나갈 수 있다면 좀 더 창조적이고 생산적인, 신흥교회들의 상황이 충분히 고려된 예전의 탄생을 목격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