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성화와 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칼빈의 이해

        이신열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10 고신신학 Vol.- No.12

        Calvin's doctrine of sanctification is a vital portion of his soteriology. In his discussion of salvation, his viewpoint is clearly seen in the title of Book 3 of Institutes, 'the way we receive the grace of Christ'. However, almose all the works dealing with this doctrine have not been mainly studied from his understanding of grace. Most of them starts their discussions from human situation associated with the progress of salvation. This articles is an attempt to investigate and reevaluate this doctrine from the perspective of divine grace. Calvin's understanding of grace can be explained by his concept of the holiness of God. In Calvin's thought there are wrath and judgment of God as he faces human evil arising out of sinfulness. But he refuses to consider divine holiness as one of the attributes of God. On the contrary Calvin understandings it as one of the attitudes of God regarding human. This kind of understanding enables him to see that grace is already included in the concept of holiness. Based upon such concept of holiness, Calvin starts to see sanctification as one's consecration to God. Consecration means to acknowledge self-denial before God knowing one belongs to God. It is possible only when one has faith in God and Christ. The sanctification of Christ shows that He had been cleansed before his actual engagement with the work of propitiatory work of redemption. The sanctification of church cannot be thought apart from both consecration to God and sanctification of Christ. Her holiness cannot be acquired from her own ability alone. It is given to her by the holiness of Christ as the result of his offering himself to God. Thus the sanctification of church is actually realized in the rule of Word and Spirit. Lastly, the role of grace in sanctification is discussed in terms of Word, repentance and human action. First, Word is considered as the instrument of grace even though Calvin prefers to have an expression, "Grace is given in the Word." Second, repentance is totally dependent upon the grace of God. It is not possible by the assisting grace of God as Roman Catholics have argued. Calvin's emphasis is on the adjective 'total' in his explanation of the necessity of divine grace in repentance and sanctification. He praises the excellence of grace in comparison with human weakness. This is the reason why we need to continuously seek his grace in our repentance and thus sanctification. Third, human action cannot be accepted by God apart from his grace. Human actions can have value only it is accompanied by divine grace. The reason, first of all, has everything to do with the fact that all human actions in sanctification are encouraged and made possible by the work of the Holy Spirit. God cannot reject the results of the sanctifying work of his own Spirit. Another reason can be seen in the fact that human actions in sanctification are indeed activities of promoting restoration of the image of God and are glady accepted by him. 칼빈의 성화론은 그의 구원론의 가장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이다. 그는 구원을 논함에 있어서 이를 '그리스도의 은혜를 누리는 방법'이라는 차원에서 접근한다. 그러나 칼빈의 성화론은 지금까지 대부분 그의 은혜에 대한 이해에 근거하여 이루어지지 않았다. 대부분의 경우는 구원의 진보와 관련된 인간의 상황이 성화론 논의의 출발점이었다. 이제 그의 성화론은 하나님의 은혜를 중심으로 새롭게 고찰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칼빈이 은혜를 이해함에 있어서 하나님의 거룩을 그 정초로 삼았다는 사실에서 출발한다. 이런 이유에서 그의 성화론은 하나님의 거룩 이해에 근거한 은혜로부터 고찰되어야 한다. 칼빈은 하나님의 거룩의 본질에 죄악으로 가득찬 인간을 향항 진노와 심판이 자리잡고 있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그는 거룩을 하나님의 속성이 아니라 그가 인간을 대하시는 태도로서 이해함으로서 그의 거룩에 대한 이해에는 은혜의 측면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거룩에 대한 개념을 정초로 칼빈은 성화를 하나님께 드리는 자기 헌신으로 파악하는데 이는 자신이 하나님께 속한 존재이며 하나님과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으로 가능한 것인데 이는 성령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그리스도의 성화는 그가 자신을 하나님께 드리는 사역으로서 먼저 자신을 정결하게 하시므로 온 인류의 죄악을 대속하시게 된 것이다. 하나님께 자신을 드리는 성화와 그리스도의 성화를 통해서 교회의 성화가 이루어진다. 교회의 거룩함은 자신의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가 죽음으로 획득하신 거룩함이 부여된 결과이다. 따라서 교회의 성화는 구체적으로 말씀과 성령의 통치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성화에 있어서 은혜가 어떤 역할을 차지하는 가에 관해서는 다음의 세 가지로 나누어서 고찰하였다. 첫째, 말씀은 하나님의 은혜를 인간에게 가져다 주는 수단에 해당된다. 칼빈은 이를 말씀 안에서 은혜가 주어진다고 표현하기도 한다. 둘째, 로마 가톨릭의 잘못된 가르침에 대항하여 칼빈은 회개는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혜에 의해서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하나님의 은혜가 인간이 회개하도록 도우는 차원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은혜 없이는 회개와 성화가 불가능하다고 밝힌다. 우리가 지속적으로 회개하고 은혜를 간구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면서 칼빈은 하나님의 은혜의 풍성함과 인간의 연약함을 대조하면서 강조한다. 셋째, 인간의 행위는 그 자체로서 결코 하나님께 인정받을 수 없는 것이다. 오직 하나님의 은혜에 의해서만 행위는 수용되고 인정된다. 왜냐하면 성령의 역사로 말미암아 이루어지는 인간의 행위로서의 성화는 바로 하나님 자신의 영의 행위이므로 이를 하나님께서 인정하시지 아니할 수 없으며 이는 또한 하나님의 형상이 회복되도록 만드는 행위이므로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바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칼빈은 성화에 있어서 이러한 하나님의 은혜가 지속성을 지닌다고 강조하면서 이러한 지속성이 은혜의 성장을 가져온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성화의 공동체적 수행으로서 개혁교회 예배에 관한 연구 ‐ 『스트라스부르그 예배(The Form of Church Prayers, 1545년)』를 중심으로

        최진봉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22 장신논단 Vol.54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fundamental dimension of the spirit that constitutes the worship of the Reformed Church. The Reformed Church pursues a life of sanctification. Sanctification is the work of the Holy Spirit by which believers are formed into a life in the image of God, that is, the life that reflects “Soli Deo Gloria.” Sanctification is a comprehensive subject that goes beyond the single domain of dogmatics. It is worship that brings about the theological confluence of sanctification in the lives of believers. One of the Reformed heritages is the Strasbourg Worship, which Calvin wrote in 1545 under the title, The Form of Church Prayers. The worship was based on the spirit of “Glory to God” and cultivated the value of sanctification. It was practiced in the community through liturgical practices such as prayer, confession, songs of Decalogue, invocation of the Spirit, biblical reading, sermon, institution and exhortation of the Lord’s table, and thanksgiving prayer after the table. The Strasbourg not only shows the practice of theological confluence of the Reformed Church, but also how worship is experienced within the community as an exercise of sanctification. This heritage gives theological and qualitative reflection on today’s worship of Korean Protestant churches, including Presbyterian Churches, which inherit that tradition: What are the interests that guide their worship, and in what content and manner the worship implements the value of sanctification, that is, whether worship is occurring as a communal practice of sanctification.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s the dogmatic foundations of Reformed Church worship and seeks to clarify the logic of the theological confluence they meet in sanctification. And, as a practical legacy for sanctification,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of Calvin’s Strasbourg worship are analyzed from a theological point of view. Lastly, I would like to present the task of reflection for the worship of today’s Korean Protestant church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actice of sanctification. 본 연구는 개혁교회의 예배를 구성하는 정신의 근원적 차원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혁교회(Reformed Church)는 성서의 말씀을 신앙과 삶의 형성을 위한 중심자원으로 삼으면서 자신을 초월해가는 성화의 삶을 추구한다. 개혁교회에게 성화는 성령의 사역으로써 칭의된 신자들의 삶이 하나님의 형상, 곧 ‘하나님께 영광’(soli Deo gloria)이 되는 삶으로 형성되는 과정이다. 성화의 주제는 교의학의 단일한 영역을 넘는 포괄적 주제이다. 이는 인간의 절망과 하나님의 구원하시는 승리, 조명하는 빛으로서의 성령, 공동체적 교제로서의 교회 등과 같은 개혁교회의 교의적 주제들이 성화의 삶에서 합류된다는 점에서 뚜렷하다. 그런데 이 성화로의 신학적 합류가 신자들의 삶의 자리에서 발생하는 자리가 예배이다. 그 대표적인 유산은 칼뱅이 1545년에 스트라스부르그(Strasbourg)에서 The Form of Church Prayers 라는 제목으로 작성하여 드린 ‘스트라스부르그 예배’이다. 스트라스부르그 예배는 개혁교회 전통의 다양한 예배들을 종합하고, 성화의 정신을 모범적으로 살려낸 예배라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크다. 스트라스부르그 예배는 ‘하나님께 영광’이라는 정신에 입각해 개혁교회의 신학적 합류인 성화의 가치를 기도와 고백, 십계명송가, 성령조명기원, 성경독서와 말씀경청, 성찬제정과 경계권면, 감사기도 등의 예전적 수행으로 공동체 안에서 실행해 냈다. 스트라스부르그 예배는 공동체 안에서 예배가 어떤 방식으로 성화의 수행으로 경험되는 지를 보여준다. 이러한 개혁교회의 예배유산은 그 전통을 계승하는 오늘의 장로교회를 비롯한 한국 개신교회들에 신학 적이고 질적 차원에서 예배에 대한 성찰을 준다. 그것은 예배를 이끄는 신앙의 가치는 무엇이며, 예배가 성화의 가치를 어떤 방식으로 담고 실행하고 있는지, 곧 예배가 성화의 공동체적 수행으로 발생되고 있는가에 대한 반성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개혁교회 예배의 교의적 토대들을 살피고, 이들이 성화에서 만나는 신학적 합류의 논리를 밝히고자 한다. 그리고 성화를 위한 실천적 유산으로서 칼뱅의 스트라스부 르그 예배의 구성과 내용들을 신학적 관점으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 개혁교회의 예배정신은 말씀의 주권적 은총에 인한 신자들의 성화에 있으며, 예배는 성화의 실행 으로서 공동체적 수행임을 발견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성화의 관점에서 오늘 한국 개신교회의 예배를 위한 성찰의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개신교 성화론 모델의 통합 가능성에 대한 연구

        송인설(Inseol Song) 한국기독교학회 2020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15 No.-

        성화론은 죄 용서를 받은 후 성도 안에 남아 있는 죄 문제를 해결하며 거룩을 이루어가는 과정을 다룬다. 지금까지 개신교회는 어떤 성화론의 모델을 발전시켜 왔을까? 개신교 성화론 모델들을 통합할 수 있을까? 이 논문은 이런 질문에 대답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이다. 필자는 루터와 칼뱅과 웨슬리와 성결 운동의 성화론을 검토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필자는 루터가 성화를 은혜와 믿음과 순종(사랑)과 회개를 통한 율법의 성취로 이해했다고 평가하고, 이것을 개신교회 성화론의 공통점으로 보았다. 개신교 신학이 루터 신학을 토대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그 결점을 보완하는 과정을 거쳤기 때문이다. 둘째, 성화의 과정과 관련하여 개신교 성화론은 차이를 보였다. 루터의 성화론은 영과 육의 싸움과 갈등에도 불구하고 선행의 열매를 맺는 율법의 성취 모델이고, 칼뱅의 성화론은 육의 죽임과 영의 살림을 통한 점진적 성장 모델이고, 웨슬리의 성화론은 죄의 질병으로부터 치유되어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는 점진적이며 즉각적인 치유 모델이고, 성결 운동의 성화론은 성령세례를 통한 급진적 치유 모델이었다. 셋째, 성화의 정도와 관련하여 네 성화론은 큰 차이점을 보였다. 루터는 일평생 “의인이며 동시에 죄인”이라는 변증법적 역설로 이해하고, 칼뱅은 죽을 때까지 행위와 본성의 변화가 조금씩 일어나는 느린 성장으로 이해하고, 웨슬리는 이 땅에서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에서 온전해지는 그리스도인의 완전이 가능하다고 보고, 성결 운동은 부패성이 치유되는 성결이 성령세례를 통해 즉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필자는 로버트 키건의 나선형적 자아 발달 모델이 루터와 칼뱅과 웨슬리와 성결 운동의 성화론을 통합할 수 있는지 검토했다. 필자는 그의 모델을 약간 수정하여 ‘상하로 점차 확장되는 원을 그리며 수평적으로 진행하는 나선형 모델’을 상상해 보았다. 인간은 하나님의 은혜와 인간의 죄 사이를 왕복하며 수직적으로 상승과 하강을 경험하는데, 점차 수직적 상승과 하강의 폭이 확장된다는 것이다. 상하로 확장되는 나선형의 최하단은 루터의 철저한 죄 이해를 가리키고, 나선형의 상단은 웨슬리의 온전한 성화와 성결 운동의 성결이 보여주는 성화의 성취 정도를 나타내고, 오른쪽으로 수평적으로 진행하는 움직임은 칼뱅의 점진적 성장 과정을 보여준다고 이해되었다. 하나님의 은혜로 인간이 믿음으로 말씀에 순종하고, 순종하지 못한 죄는 회개하며, 더 높은 은혜와 더 깊은 회개를 경험한다는 것이다. 이에 필자는 ‘상하로 확장되는 원을 그리며 수평선을 따라 진행하는 나선형’ 모델이 루터와 칼뱅과 웨슬리와 성결 운동의 성화론을 통합할 수 있겠다고 생각해 보았다. Sanctification is about the process of solving the problem of sin that remains in the believers after justification and being sanctified. Can the Protestant sanctification models be integrated? This paper is an attempt to answer this question. First, the author found that Luther understood sanctification as the achievement of the law through grace and faith and obedience (love) and repentance, and saw this as a common point of the Protestant sanctification theories. Second, with regard to the process of sanctification, the Protestant sanctification theories were different. Luther’s theory of sanctification is a model of the accomplishment of the law producing fruits of good works in the conflict between spirit and flesh. Calvin’s one is a model of gradual growth through the killing of the flesh and the quickening of the spirit. Wesley’s one is a gradual and immediate healing model that recovers the image of God by healing from the disease of sin. Holiness Movement’s one is a radical model of immediate healing through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Third, with regard to the degree of sanctification, the four theories of sanctification have made a great difference. Luther viewed it as a dialectic paradox of simultaneity, that is, “the justified and the sinner.” Calvin understood it as a slow growth in which change of action and nature took place little by little until death. Wesley believed that entire sanctification (Christian perfection) in loving God and neighbors in this world was possible. Holiness Movement argued that holiness as an eradication of corruptibility could be accomplished immediately through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The author examined whether Robert Kegan’s spiral model of self development could incorporate the theory of sanctification of Luther, Calvin, Wesley and the Holiness Movement. The author imagined the model of a spiral that runs horizontally in a circle that extends gradually up and down by slightly modifying Kegan’s one. Human beings experience a vertical rise and fall between the grace of God and the sin of man. It was understood that the lowest end of the spiral points to th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sins in Luther, its top points to the degree of achievement of the sanctification shown in Wesley’s entire sanctification and the Holiness Movement’s holiness, and the horizontal movement shows its gradual growth process in Calvin. In response, the author would like to propose this new model as the future sanctification theory of the Protestant Church, considering that this one could incorporate the Protestant sanctification theories.

      • KCI등재

        복음의 증인됨으로서의 성화

        문시영(Si-Young Moon) 한국기독교학회 2016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02 No.-

        이 글은 성화에 대한 덕 윤리적 모색을 통하여 성화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고 그리스도인다운 그리스도인됨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성화에 대한 논의가 한국적 맥락에서 전개되는 맥락 및 종교개혁 500주년을 앞두고 있는 정황에서, 성화를 ‘복음의 증인됨’의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제언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 스탠리 하우어워스의 덕윤리와 성품의 개념에 초점을 맞추었다. 하우어워스는 성화에 대한 기존의 인식이 성화를 의무론적 프로젝트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에 우려를 표하면서, 성품의 변화를 강조하는 덕 윤리적 해석 가능성에 주목하였다. 특히 하우어워스의 관점을 수용하여 칭의와 성화의 관계 및 은혜에 의한 성화의 인식 및 성화에 대한 덕 윤리적 실천의 길을 모색하였다. 덕 윤리와 성화의 친화성에 관심하면서 성품 개념을 중심으로 성화를 재해석하려는 것이 핵심 요소라 하겠다. 하우어워스를 중심으로 하는 덕 윤리적 모색에 따르면, 성화란 도덕적 모범을 구현하는 단계를 넘어 예수 내러티브에 충실한 ‘복음의 증인됨’으로 재해석되어야 한다. ‘그리스도인다운 성품함양’이야말로 성화의 본질에 대한 덕 윤리의 재발견이자 기여라 할 수 있겠다. 나아가, 교회가 그리스도인다운 성품 함양의 공동체가 되어야 하며, 설교와 예전을 통해 성품의 성화를 위한 공동체적 실천에 힘써야 한다는 주장은 오늘의 교회가 귀담아 들어야 할 부분이다. 물론 성품에 대한 관심을 통한 성화의 재해석에는 한계가 있다. 성화에 대한 기존의 관점들을 의무론적이라고 몰아세우는 것은 성급한 판단일 수 있다는 점, 덕 윤리만으로는 성화를 충분히 설명할 수 없다는 점 등을 한계로 지적할 수 있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품의 성화에 대한 관심이 그리스도인이 추구해야 할 변화란 도덕적 모범의 구현을 넘어 복음의 증인됨이어야 함을 각성시켜 줄 수 있다는 점은 의의가 크다. 이러한 관심을 토대로, 이 글은 성품의 성화에 대한 관심이 사회적 양극화 문제의 극복 및 사회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관심으로 확장되어야 하며, 복음의 사회적 증인됨을 위한 실천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점을 남은 과제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interpret on the doctrine of sanctifi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virtue ethics based on the concept of moral character. This research is, also, a suggestion that the doctrine of sanctification can be interpreted as a way to become a Christian, as christianlike as possible, for Korean context as remembering 500th year of Reformation. For this purpose, this paper proposes that sanctification can be categorized in an areteology(ethics of virtue) rather than a deontology(ethics of duty) in that it is actualized on the idea of ‘character’ instead of the deontological project, as concentrating on Stanley Hauerwas’s understanding of sanctification. This paper delves into the meaning of sanctification in terms of virtue ethics as it pays attention to the relations of justification, sanctification, and the acknowledgement of sanctification by grace. According to Hauerwas, sanctification has to be reinterpreted as ‘being witness’ as following Jesus’ narrative rather than trying to be a moral example. In addition, Hauerawas emphasizes the concerns of ‘having Christian character’ and ecclesial approaches for Christian virtue ethics, that is, ‘church as a community of character.’ Of course, there are several limitations with this reinterpretation of sanctification. For example, Hauerwas’ interpretation on sanctification and moral duty can be a biased opinion, and virtue ethics does not fully grasp the meaning of sanctification. Nevertheless, the idea ‘having Christian character’ is helpful to understand the doctrine of sanctification in that the moral change is not simply followed by being a moral example, but by being witness of gospel. Furthermore, the remnant tasks for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the witness for social issues such as social justice and social polarization, that is, social sanctification.

      • KCI등재

        기독교성품형성으로서의 성화를 위한 교육: 칼뱅과 하우어워스를 중심으로

        하세례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3 기독교교육정보 Vol.- No.79

        본 연구는 스탠리 하우어워스의 성품의 의미에 비추어 『기독교강요』에 나타난 칼뱅의 성화를 살펴보고, 성품형성으로서의 성화를 위한 기독교교육의 방향성을 찾고자 하는 논문이다. 하우어워스에게 있어 성품은 행위자인 우리의 자아이고, 자신만의 이유와 신념을 가지고 선택할 수 있는 자아의 능력이며, 삶의 지향성이다. 이러한 성품의 의미는 신앙과 관련이 깊을 수밖에 없다. 복음 역시 우리 영혼을 사로잡아서 우리의 내면을 변화시키고, 삶의 방향성을 새롭게 하기 때문이다. 이에 하우어워스는 ‘성품’을 ‘성화’와 연결한다. 하우어워스는 성화 역시 자아의 변화, 지향 그리고 성장과 관련되기 때문에 그리스도인의 삶의 변화와 성숙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성품’의 관점에서 다루어야 한다고 보았다. 하우어워스가 성화를 성품 개념으로 해석함으로써 성화를 신비적인 영역이 아닌 우리의 실제적인 성품의 변화라는 것을 보여준 것은 매우 의미 있는 통찰이다. 하지만 기독교 윤리학자로서 하우어워스의 주된 관심은 ‘성화’를 통해 ‘성품 윤리’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데 있었다. 따라서 하우어워스의 성품 개념을 도구 삼아 분석한 성화는 형식적이고 추상적인 데 그쳤다고 할 수 있다. 즉, 하우어워스는 신앙이 우리의 성품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그리고 성품이 어떤 방향으로 형성되어야 하는지까지는 구체적으로 보여주지 못하였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하우어워스의 성품 개념에 비추어 칼뱅의 『기독교강요』 최종판(1559)에 나타난 성화를 살펴봄으로써 ‘성품형성으로서의 성화’가 이루어지는 과정과 구체적인 지향점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성품형성으로서의 성화’는 성령을 통한 그리스도와의 연합 속에서 부어지는 선물로서 믿음, 회개, 중생(성화)을 포괄하는 기독교 교리의 핵심을 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성화를 기독교성품형성으로 이해할 때, 이는 삶의 문제만이 아니라, 믿음과 삶을 하나로 묶어주는‘신앙형성’의 문제임이 분명히 드러난다. 그리고‘성품형성으로서의 성화’가 기독교교육의 본질적인 목적과 목표를 제시해 주는 핵심 주제임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amines Calvin's sanctification in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in light of Stanley Hauerwas' meaning of character. It seeks to find the direction of Christian education for sanctification as the formation of character. For Hauerwas, the character is our self as an agent, the ability to make choices with our own reasons and beliefs, and the orientation of life. The gospel captures our souls, transforms, and renews the direction of our lives. Thus, the meaning of character is bound to be deeply related to faith. Accordingly, Hauerwas links ‘character’ with ‘sanctification’ as sanctification is also associated with the self's change, orientation, and growth. Consequently, it was believed that it should be treated from the perspective of ‘character’ to properly understand the transformation and growth of Christian life. Hauerwas' interpretation of sanctification as a character concept is a significant insight as it shows that sanctification is not a mystical realm but a true transformation in our character. However, as a Christian ethicist, Hauerwas' primary concern was demonstrating the importance of a ‘character ethic’ through ‘sanctification.’ Consequently, the analysis using the concept of character as a tool is limited to be formal and abstract. In other words, Hauerwas could not show precisely how faith changes our character and in what direction character should be formed.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and specific orientation of ‘sanctification as the formation of character’ by examining sanctification in Calvin's final edition of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1559) in light of Hauerwas' concept of character.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anctification as the formation of character’ contains the core of Christian doctrine, encompassing faith, repentance, and regeneration(sanctification), revealing that ‘sanctification as character formation’ is a gift poured out in union with Christ through the Holy Spirit. Hence, ‘sanctification as character formation’ is a core theme that presents Christian education's essential purpose and goal, highlighting that ‘Sanctification as character formation’ is ‘faith formation.’

      • KCI등재

        해방 이후 평양에 설립된 성화신학교의 역사

        고성은(Ko SungEun)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6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5

        본 논문의 목적은 해방 이후 38선 분단 상황에서 북한 지역 감리교회를 위한 신학교로 평양에 설립되어 1946년부터 1950년까지 5년간 존속하였던 성화신학교의 역사를 개괄적으로 살펴보려는 데 있다. 감리교회의 교리적 특색인 ‘성화’를 차용한 성화신학교는 1946년 6월 평양 수옥리에 성화여학교의 교장인 배덕영의 주도하에 태동하였는데, 처음 학제는 예과와 본과였다. 이듬해인 1947년 개최한 기독교조선감리회 서부연회에서 “남북통일이 될 때까지”라는 조건하에 서부연회의 잠정적인 신학교로 인준 받은 직후 성화신학교의 학제는 야간부와 고등성경학과(약칭 고성과)가 추가로 설치되었다. 학제가 추가되면서 성화신학교는 사회주의 정권이 들어선 북한 지역에서 반공적인 신학교로서의 역할을 확연하게 수행하였다. 특히 고성과는 공산주의 교육, 유물주의 교육을 싫어한 가운데 퇴학을 당하거나 자퇴한 18세 이하 학생들에게 배움의 길, 진학의 길을 열어주기 위해 설치한 부설 학과였다. 그런고로 이 학과에는 교파를 초월하여 반공 신앙을 지닌 학생들이 대거 몰려왔다. 이러한 학생들 때문에 성화신학교는 교파신학교였으나 초교파적인 신학교로 자리매김하였다. 이처럼 반공적인 정치적 성격을 지닌 성화신학교는 1948년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수립된 이후 북한 사회주의 정권으로부터 제한과 탄압을 넘어 말살을 향한 수난을 당하였다. 1949년 12월 16일 성화신학교의 교장인 배덕영의 납치로부터 본격화된 성화신학교에 대한 수난은 성화신학교를 폐쇄하고 몰수하는 등 일사천리로 진행된 가운데 결국 성화신학교의 이사장인 송정근이 평양신학교와의 합병에 서명하는 것으로 마무리되었다. 서명이 이루어진 직후인 1950년 2월 성화신학교는 졸업장이 없는 제2회 졸업식을 마지막으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 단명한 신학교가 되었다. 두 신학교를 강제 합병하여 북조선기독교도연맹이 설립하고 운영한 조선기독교신학교, 일명 ‘김일성신학교’도 6·25전쟁이 발발한 직후인 1950년 7월 폐교를 당하며 신학교육의 종식을 고하였다. 한편, 월남한 성화신학교 교수와 학생들은 다양한 교파에서 활동한 가운데 ‘평양 성화신학교 동문회’를 조직하여 끈끈한 결속력을 현재까지 수십년동안 유지하고 있다. 특히 기독교대한감리회에서는 성화신학교 동문들이 성화신학교의 이름을 차용한 ‘성화파’라는 정치 서클을 조직하여 강한 존재감을 드러내며 196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한국 감리교회 정치 지형의 한 축을 담당하기도 하였다.

      • KCI등재

        러시아 정교 성화의 도상학

        권정임(Kwon Jyoung Im) 한국노어노문학회 2007 노어노문학 Vol.19 No.2

        이 논문은 10-17세기 러시아 성직자 및 성화작가들에 의해 그려진 러시아 정교 성화에 대한 도상학적 분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성화는 신학적 유토피아를 묘사하거나 재현한다. 성화가 재현하는 신학적 유토피아는 삼위일체가 조화로운 천상의 세계요, 천사와 사도, 예언자, 신자들이 영원과 구원을 얻는 세상이다. 성화의 근원적 문헌들로는 성서, 종교 문헌, 연대기, 민간전승 등이 있으며, 이 중 특히 성서가 그 가장 중요한 원천이 된다. 러시아인들은 성서의 권위가 정교 성화에 그대로 전이된다고 믿었으며, 성서의 권위가 내재된 성화 속에서 그들은 신비스러운 종교적 힘과 깊은 영성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정교 성화의 깊은 영성은 종교 텍스트와 민간전승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종교적 영성을 묘사하기 위해 성화작가들은 상징과 알레고리라는 미적 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그리스도를 상징하는 십자가, 그리스도의 희생을 상징하는 붉은 보혈 등이 상징의 예라 하겠다. 한편 비둘기가 성령을, 노인이 성부를, 오란테 형상이 경건함을 뜻하는 알레고리의 예라고 할 수 있다. 러시아 성화는 비잔틴 성화로부터 출발하여 그 유구한 역사를 통해 러시아적인 성화로 탈바꿈하게 된다. 기존의 기독교적 상징과 알레고리들이 러시아 정교 성화에서 어떠한 도상학적 변천을 겪는지에 대해 살펴보면, 이러한 러시아 성화의 장구한 변화를 ‘탈비잔틴화’, 혹은 ‘여성성의 지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This article is devoted to iconographical analysis of russian orthodox icons, which were painted by russian monks or iconographers during 10-17th centuries. In general icons embody and depict teological utopia, where Trinity harmonically reigns, and there angels, prophets, apostles and all believers gain eternal life. Russian people strongly believed that biblical authority prevails in the orthodox icons. And they also thought that mysterious, miraculous strength and deep spirituality exist in them. By studying the old religious texts or folklore, we are able to understand secret spirituality of russian orthodox icons. In order to depict this spirituality, the iconographers used such aesthetical devices as symbols and allegories. There are some examples of these symbols: Cross is the symbol for Christ, red blood is for Christ's sacrifice, etc. And there are also instances of allegories: Dove is the allegory of the Holy Spirit, old man is of the Holy Father, orant figure is of piety etc. These instances of allegories have two subcategories: fable and personification. Russian icons, derived from byzantine icons, gradually gained national characters and specifics, which are called like ‘preference or emphasis on feminality’.

      • KCI등재

        성령과 사회적 성화: 존 웨슬리의 성령론적 윤리

        홍순원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5

        웨슬리는 그리스도인의 윤리적 실존을 이중적 구조로 이해하였다. 그리스도인은 하나님과 관계를 맺고 있는 동시에 세상과 관계를 맺고 있다. 여기서 세상과의 관계는 하나님과의 관계에 의하여 형성되며 유지된다. 따라서 그리스도인의 사회적 삶은 하나님의 선행적 은총에 대한 응답이다 웨슬리에게 있어서 성화는 개인적 영성이 아니라 공동체적 영성이다. 그는 사회참여 활동을 통하여 영성과 사회개혁의 종합을 시도하였다. 그에게 하나님 형상의 회복이라는 구원론적 상징은 창조질서의 회복이라는 의미에서 사회적 유비를 가진다. 그의 성화 개념은 죄와 구원에 대한 그의 이해를 전제로 하는데, 죄는 개인적 차원에만 제한되지 않고 사회구조 안에 내재해 있다. 따라서 칭의와 성화는 개인적 차원을 넘어서 사회전체까지 확산되며 성화는 사회변혁적 의미를 가진다. 웨슬리에게 구원의 질서의 각 단계는 점진적 발전과정이 아니라 관계적 사건이다. 성화는 죄인인 인간을 거룩하게 하시는 성령의 활동성이며 그리스도인의 완전은 그리스도인으로 하여금 완전하신 그리스도를 체험하고 그의 온전하심에 참여하게 하는 성령의 역사이다. 구원의 질서를 통하여 인간 안에 나타나는 변화는 하나님 안에 나타나는 변화에 근거한다. 사회적 성화의 궁극적인 목표는 이웃사랑으로 나타나는 실천적 영성이다. 웨슬리는 메토디스트 운동을 통하여 새로운 교파를 만들기보다는 교회를 개혁하고 성서적 성결을 확산시키려고 시도하였다. 인격과 사회구조는 연대성을 가지고 있다. 사회구조의 악은 인간 안에 있는 죄성의 외부적 결과이다. 따라서 사회의 변화는 인격의 변화로부터 시작된다. 개인적 성화와 사회적 성화가 연결된다. 외적 성결은 내적 성화와 연결된다. 웨슬리의 사회윤리의 핵심은 그리스도께서 성령으로 우리 생활 속에 변혁을 일으키시며, 교회를 통하여 성령의 일치를 이루시고, 세상에서는 성령의 열매인 사랑의 복종을 요구하면서 지속적인 변혁을 이루어 가심을 확신하는 것이다. 성령은 하나님의 뜻을 사랑의 행위로 실천하는 능력이며 그리스도인의 윤리적 현실은 성령의 활동영역이다. 성령은 그리스도인들을 공동체로 부르시고 성화시킴으로써 사회변혁을 위한 누룩이 되게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웨슬리는 성령론을 통하여 영성과 윤리의 균형을 시도한다. 사랑으로 역사하는 믿음은 웨슬리에게 있어서 모든 기독교 사회윤리와 모든 사회활동의 초석이다. 다시 말해서 사랑은 성화의 기본 동기이자 본질적인 내용이고 타인을 향한 책임적 행위 토대가 된다. Wesley Christian understands the christian existence ethical in dual structure. He stands at once in relationship with God and with the world. The relation with the world is formed and to be maintained by the relationship with God. Therefore the social life of the Christian is a response to God's prevenient grace. For Wesley the Sanctification means communal spirituality rather than personal one. Through community involved activities, he attempted the synthesis of spirituality and social reform. The soteriological symbol which appears in the restoration of the image of God has a social analogy in the sense that the restoration of the created order. His concept of sanctification assumes presupposes his understanding of sin and salvation and sin is not limited to the individual level but inherent in the social structure. Therefore,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will spread beyond the individual level to the society as a whole and the sanctification has the meaning of social transformation. Wesley's order of salvation to each step does not construct a gradual process of development, but the relational event. And the sanctification is the activity of the Holy Spirit which makes sinful human existence holy while the christian perfection indicates his work which to participate in His perfection which involves christian into the perfect being of Christ. The changes of human existence appear in the order of salvation is based on the change in God. The ultimate goal of social sanctification is a practical spirituality that appears to the love of neighbor. Wesley tried to reform the church and spread scriptural holiness through Methodist movement, rather than creating a new denomination. Personality and social structure have solidarity. The evils of social structure is composed of the external consequences of human sinfulness. Then the social change begins with a change of personality. In the same way personal sanctification and social sanctification is connected each other. The external is linked to the inner sanctification and holiness. The core of Wesley's ethics is to convince that Christ transforms our lives and accomplishes the unity of the Church through Holy Spirit, and that he raised a continuous transformation, requiring the submission of love as the fruit of the Spirit. The Holy Spirit is the ability to practice the will of God as an act of love, and the Christian ethical reality is an area of his activity. The Christian community is called and sanctified by the Holy Spirit to be a leaven for social transformation. In this sense, Wesley tries to balance spirituality and ethics through pneumatology. The faith that works by love is for Wesley the cornerstone of all Christian social ethics and social activities. In other words, the love is not only the foundation of sanctification but also its primary motivation and furthermore basis of the responsible behavior towards others.

      • KCI등재

        워필드의 “The Higher life” 성화 교리에 대한 비판

        조윤호(Youn Ho Jo)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18 갱신과 부흥 Vol.21 No.-

        B.B. 워필드(Benjamin Breckinridge Warfield)는 청교도의 후손이었다. 그는 개혁주의 신앙을 유산으로 삼는 가정에서 자랐으며, 이러한 성장과정은 그의 신학에 커다란 영향력을 끼치게 된다. 구 프린스턴 신학교의 교수였던 워필드는 성경을 바탕으로 한, 초자연주의를 추구하는 신학자였다. 따라서 펠라기우스주의와 아르미니우스주의를 나타내고 있는 존 웨슬리(John Wesley)의 신학 위에 세워진 “The Higher life”의 성화 교리는 워필드의 비판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워필드는 웨슬리의 가르침을 따라 ‘그리스도인 완전교리’ 를 말하고 있는 “The Higher life”의 성화 교리를 이방인의 사상을 구하는 교리라고 단정한다. 찰스 피니(Charles G Finney)와 함께 ‘오벌린 완전주의’를 이끌었던 아사 마한(Asa Mahan) 그리고 스미스 부부(Mr. and Mrs. Pearsall Smith)와 윌리엄 보드만(William Edwin Boardman)이 주장하는 “The Higher life” 성화 교리는 사람의 의지가 주관이 되었으며, 여기에 대해 하나님은 피동적인 모습으로 비춰졌다. 워필드의 지적에도 나타나고 있는 것처럼, ‘The Higher life movement’와 ‘승리한 삶의 운동(The Victorious Life Movement)’ 그리고 ‘케직 운동(Keswick Movement)’은 그 교리가 완전주의에서 비롯되었으며, 그 뿌리가 웨슬리에게로 하나를 이루게 된다. 완전주의 교리는 성화를 현재에 달성 가능한 것으로 여기고 있었으며, 그것이 사람의 의지의 결정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주장하고 있었다. 워필드는 이러한 완전주의가 기독교를 위태로운 상태로 몰아가고 있다고 지적한다. 워필드는 칭의와 성화를 하나님의 택한 백성을 위한 그리스도의 중보사역인 새 언약의 관점에서 본다. 그러나 “The Higher life”의 성화 교리는 우리의 의지를 통해 이루어갈 성취를 말하고 있다. 워필드의 분석에 따르면, “The Higher life”의 교리는 칭의와 성화를 연결되어진 것으로부터의 구별이 아니라 다른 성질에 따른 구별로 보고 있다. 심지어 “The Higher life”의 교리는 ‘아담의 죄’와 ‘의의 전가’를 거부하며, 각 개별자의 신앙에 의해 의롭게 되어지는 것을 말하고 있다. 워필드는 “The Higher life”의 성화 교리가 어떻게 해서 개혁주의로부터 인정받을 수 없는지 예리하게 분석해나간다. 여기에 대한 대표적인 책이 워필드의 Perfectionism이다. 워필드는 이 책을 통해 자신의 성화론이 개혁주의적 관점에 서 있다는 것을 “The Higher life” 성화 교리의 분석을 통해 밝힌다. 그리고 자유주의 신학으로 인하여 흔들리고 있는 개혁주의 교리를 지켜내고자 하는 그의 열정을 우리는 이 글을 통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완전주의라는 용어로 요약된 “The Higher life” 성화 교리는 대중적인 선동의 효과는 누렸지만, 우리를 영원한 생명의 길로 인도하는 교리가 아니라는 것을 워필드는 가르쳐주고 있다. B.B. Warfield(Benjamin Breckinridge Warfield) was a descendant of the Puritans. He grew up in a family who inherited the Reformed faith, and this process of growth has a great influence on his theology. Warfield, Old Princeton seminary professor, was a biblical, theologian who pursued supernaturalism. Therefore, the sanctification doctrine of “The Higher life”, which was based on John Wesley’s theology of Pelagianism and Arminianism, was the subject of Warfield’s criticism. Warfield concedes that the sanctification doctrine of “The Higher life”, which is ‘The doctrine of Christian Perfection’ following Wesley’s teachings, is a doctrine of seeking the ideas of the Gentiles. Asa Mahan and Mr. and Mrs. Pearsall Smith and William Edwin Boardman, who led the ‘Oberlin Perfectionism’ with Charles G Finney, “The Higher life” sanctification doctrine was dominated by the will of man, and God was shown to be passive in this regard. As indicated by Warfield’s point of view, ‘The Higher life movement’, ‘The Victorious Life Movement’ and ‘Keswick Movement’ derive their doctrine from perfectionism and its roots become one with Wesley. The doctrines of perfectionism regarded sanctification as being attainable at present, and argued that it was done by the determination power of man’s will. Warfield points out that this perfectionism is driving Christianity to a state of peril. Warfield sees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in the point of the new covenant, the Mediator work of Christ for the chosen people of God. but, “the Higher life” doctrine of sanctification speaks of accomplishment through our will.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Warfield, the sanctification doctrine of “The Higher life” sees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as distinctions to different qualities, not distinctions from connected ones. Even the doctrine of “The Higher life” denies ‘Adam’s sin’ and ‘the imputation of righteousness’, and says it is justified by each individual’s faith. Warfield sharply analyzes how the sanctification doctrine of “The Higher life” is not recognized by reformism. A representative book on this is Warfield’s Perfectionism. Through this book, Warfield reveals that his own sanctification is in a reformist perspective through analysis of the “Higher life” sanctification doctrine. And we can see through this article his passion to preserve the doctrines of Reformedism that are shaken by liberal theology. And “The Higher life” sanctification doctrine, which is summarized in terms of perfectionism, has enjoyed the effects of popular agitation, but Warfield teaches us that it is not a doctrine that leads us to the path of eternal life.

      • KCI등재후보

        벤저민 브레큰리지 워필드와 존 머레이의 개혁주의 성화론 비교연구: 제2축복 완전주의 신학에 대한 개혁신학의 평가와 대응

        김광열 ( Kim Kwang Yul ) 개혁신학회 2022 개혁논총 Vol.60 No.-

        19세기와 20세기에 미국 개신교회 안에서 등장했던 완전주의들 즉 오벌린 완전 주의와 케직 성화론에 대한 두 명의 개혁신학자들의 평가와 대응에 대해서 비교, 연구한 논문이다. 두 명의 개혁신학자 워필드와 머레이는 자신의 시대에 영향력을 끼치고 있던 완전주의 성화론에 대해서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평가하되, 특히 후자의 경우 케직 성화론에 대한 평가와 함께 신학적 대화를 통해서 개혁신학 성화론을 더욱 균형있게 정립하는 데 이바지했다고 볼 수 있다. 19세기 자유주의 현대신학에 대하여 성경적 개혁신학을 변호하는데 앞장섰던 워필드는 성경관에서뿐만 아니라, 성화론의 주제에 있어서도 오벌린 완전주의 성화론을 개혁신학의 관점으로 평가하는 일을 충실하게 수행했다. 개혁신학의 원리들 중의 하나인 “하나님의 주권적 구원”의 관점에서 오벌린 완전주의 안에서 제시되고 있는 인본주의적, 혹은 펠라기우스의 자연주의 성화론의 문제점들을 비판적으로 평가했던 것이다. 머레이도 오벌린 완전주의와는 다소 다른 모습을 지닌 케직 성화론을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평가했다. 교파적 다양성을 띄고 있었던 케직 성화 교훈이 기존의 완전주의와 다른 요소들도 있었지만, 전체적으로는 완전주의 범주에 있으므로 머레이는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비판하고 있다. 그러나 위기 성화를 강조하면서도 그것과 함께 성화의 점진성을 간과하지 않고 가르쳤던 점, 그리스도와의 연합의 성화론적 중요성을 강조한 부분들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했다. 워필드의 평가가 성경적 성화가 가르치는 점진적 성격에 초점을 맞춰서 완전주의 성화론을 비판한 반면에, 머레이의 경우 케직 성화론의 문제점을 비판하면서도, 그들이 강조하는 성화의 즉각적인 측면에 대해 관심을 갖고 신학적 대화를 하면서 그 이후의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서, “결정적 성화교리”(doctrine of definitive sanctification)를 성화의 즉각적인 측면에 대한 개혁신학 성화론으로 정립했다고 사료된다. 두 명의 개혁신학자들은 자기 시대에 등장했던 신학적 오류들에 대해서 성경적 가르침에 근거하여 비판할 뿐만 아니라, 또한 신학적 대화를 통해서 개혁신학의 성화론을 균형있게 정립하는 일을 함께 충실히 수행했다고 사료된다. This paper deals with two Reformed theologians’ efforts to evaluate perfectionism in 19c and 20c to see how did they express the Reformed doctrine of sanctification together and how did each respond to perfectionism differently. The one is B. B. Warfield who criticized Oberlin perfectionism of Asa Mahan and Charles Finney from the perspective of Reformed doctrine of the progressive sanctification. The other is the evaluation on Keswick perfectionism by John Murray who not only criticized it from the Reformed perspective but also utilized some biblical elements in their teaching, especially regarding the immediate aspect of sanctification. Both Reformed theologians together criticized unbiblical teachings of the perfectionism from the perspective of Reformed theology. Furthermore after paying attention on some biblical insights in Keswick’s teachings, Murray had attempted to build up the Reformed teaching on the “immediate aspect” of biblical sanctification with his doctrine of “definitive sanct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