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비스디자인 과정을 적용한 자살예방을 위한 공동주택 주거환경 디자인 연구

        이승지(Lee, Seungji),노태린(Noh, Taerin),이은진(Lee, Eunjin),전수연(Jeon, Suyeon),김현수(Kim, Hyunsoo),윤선영(Yoon, Sunyoung)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1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20 No.3

        연구배경 우리나라는 자살예방을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살률 감소에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으므로, 자살의 복합성을 감안하여 범사회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이 연구는 사회문제해결 디자인 측면에서 자살에 대하여 디자인적 접근법을 모색함으로써 자살예방의 차원을 공공디자인 영역으로까지 확대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이해관계자에 초점을 맞춘 서비스디자인 과정을 통하여 공동주택 주거환경에서의 자살영향 요인을 도출하고 이에 기반한 디자인적 개선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자살시도자, 사회복지사, 주거복지사, 주거환경관리자, 지역 거주민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인터뷰와 워크숍 등을 통하여 심층적이고 사실적인 수요자의 요구에 초점을 맞춘 서비스디자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Discover-Define-Develop-Deliver의 서비스디자인 모델에 따라 주거환경 내 자살예방이라는 서비스를 구성하는 유무형의 요소들을 분석하고 개선안을 모색한다. 연구결과 서비스디자인 과정을 통하여 자살예방을 위한 공동주택 주거환경 디자인의 목표를 사람 간의 단절을 개선하기 위한 연결, 임대주택에 거주한다는 소외된 마음을 개선하기 위한 아파트 환경 특화 그리고 제한된 활동의 확대 3가지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빛, 정리정돈, 컬러, 이웃의자, 우리집 골목길, 자연쉼터, 운동쉼터, 테마사랑방, 역사형성, 행복지도 10가지의 디자인 키워드별 솔루션을 제시하였다. 실행주체별 차이를 고려하여 이를 내 집 – 내 집앞 – 내 아파트 – 내 동네의 공간별로 체계화하여 제시하고 현장검증을 통하여 그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결론 자살의 복합성을 감안하여 정신건강 영역에 집중된 자살예방 정책과 노력을 범사회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사회문제해결 디자인의 측면에서 자살에 대하여 주거환경의 디자인적 접근법을 모색함으로써 자살예방의 차원을 확대하고자 하였다. Background Although Korea is promoting suicide prevention as a major government project, it has not seen a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the suicide rate. Now, it is necessary to make overall social efforts. This study intends to expand the dimension of suicide prevention to the public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factors influence suicide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multi-family housings through the service design process focusing on various stakeholders, and to propose design improvement plans based on this. Methods Service design research was conducted focusing on in-depth and realistic needs of consumers through interviews and workshops with various stakeholders such as suicide attempters, social workers, housing welfare workers, residential environment managers, and local residents. Based on the service design model of Discover-Define-Develop-Deliver, we analyze the tangible and intangible elements of residential environment that make up the service of suicide prevention and seek improvements. Result Through the servide design process, three goals of designing a residential environment for a multi-family housing for suicide prevention were set: connection to improve the disconnection between people, specializa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o improve the alienation of living in pubic housing, and expansion of limited activities. To realize these goals, we presented solutions for each of ten design keywords-light, organizing, color, neighbor chair, alleyway of my house, nature shelter, exercise shelter, themed room, history formation, and happiness map. Conside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ecutioners, it is systematized by space in my house, in front of my house, in my apartment, and in my neighborhood,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through on-site verification. Conclusion Considering the complexity of suicide, suicide prevention policies and efforts focused on mental health need to be expanded to the whole society. This study tried to expand the dimension of suicide prevention by seeking a design approach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terms of social problem-solving design.

      • KCI등재

        상급종합병원 서비스디자인 적용 단일 사례 연구 -권역응급의료센터의 환자와 의료진 경험 데이터를 중심으로-

        최정민,안진호 서비스사이언스학회 2023 서비스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환자와 의료진의 경험을 중심으로 상급종합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의 서비스디자인을 적용한 단일 사례 연구이다. 서비스디자인 기법을 활용하여 의료 서비스 경험을 측정 및 개선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환자와 의료진으로부터 심층적인 경험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민족지학(ethnography)과 디자인 워크숍을 중심으로 한 질적 사례 연구를 진행했다. 이 연구는 응급 의료 서비스에서 직면한 문제에 특히 중점을 두고 환자와 의료진 간의 주요 경험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권역응급의료센터 환경의 복잡한 역학을 이해하기 위해 환자와 의료진 인터뷰, 디자인씽킹 워크숍을 통해 수집된 정성 데이터를 대해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디자인에 반영했다. 연구 결과, 환자와 의료진의 요구를 반영한 디자인 현황을 3가지 주요 측면인 소통 개선, 환자 흐름 관리, 환경 개선의 필요성이 강조되었으며, 환자와 의료진 두 그룹의 특정 요구 사항의 차이점을 분석하여 권역응급의료센터의 서비스 개선을 위해 디자인 주도의 실행 과정을 적용 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의료 분야에서 디자인의 역할과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론적인 연구와 실제 디자인 실행 간의 효율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더욱 빠르고 효과적이며 만족도가 높은 의료 서비스 환경을 만드는 데 기여할 수 것이다. 그리고 서비스디자인이 환자와 의료진 모두의 만족을 위한 새로운 혁신 과정의 핵심으로 보는 새로운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a single case study of the application of service design in a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re of a senior general hospital, focusing on the experiences of patients and medical staff. It aims to measure and improve the experience of healthcare services using service design techniques and to verify their effectiveness. A qualitative case study centred on ethnography and design workshops was conducted to collect in-depth experience data from patients and medical staff. The study identified key experiential differences between patients and healthcare workers,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challenges faced in emergency medical services. The qualitative data collected through patient and healthcare worker interviews and design thinking workshops were analysed and incorporated into the design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mplex dynamics of the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re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highlighted the need to improve communication, manage patient flow, and improve the environment in three main aspects of the current state of design reflecting the needs of patients and medical staff. By analysing the differences in the specific needs of the two groups of patients and medical staff, a design-led implementation process can be applied to improve the services of the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re. This study highlights the role and importance of design in healthcare and provides an efficient way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oretical research and practical design implementation. This will contribute to creating a faster, more effective, and more satisfying healthcare experience. It is hoped that this will be a new opportunity to see service design as a key to a new innovation process for the satisfaction of both patients and medical staff.

      • 자원 사용을 줄이는 친환경 행동에 영향을 주는 제품서비스 디자인 전략 분석: 포장, 패키지, 배송, 리테일 중심으로

        김혜원(Hyewon Kim),정의철(Eui-Chul Jung) 한국HCI학회 202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2

        본 연구는 친환경 사회적 문제 해결 전략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제품서비스 과정에서 포장, 패키지, 배송, 리테일 영역의 자원 사용을 줄이는 제품디자인 사례를 수집하고 분석을 위한 틀을 제시하여 친환경적 디자인 전략 현황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용자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 디자인 연구를 바탕으로 집단의 관심사와 개인 관심사 사이의 불일치로 인한 행동에 영향을 주는 디자인의 실패 원인을 파악하여, 자원 사용을 줄이는 행동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실행능력을 지원해주는 디자인 전략 방향성을 세웠다. 또한, 행동 변화와 관련된 어려움과 환경적 제약으로 인한 어려움에 영향을 받으므로 사용자의 실행능력을 지원해주는 환경을 디자인하여 사용자의 개별 의지에 따라 적절한 서비스를 선택하는 방향으로 디자인 전략을 수립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수집된 33 개의 제품서비스 과정에서의 디자인 사례를 1) 솔루션 방법의 차이와 2) 사용자 참여 의지와 제품서비스의 개입 강도와의 관계로 분류하였다. 사용자의 참여 의지가 능동적일 경우, 사용자가 서비스 참여 과정에서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핵심적인 행동 외 부가적인 행동을 지원하거나 정보를 제공하는 소극적인 전략을 사용한다. 수동적일 경우, 제품을 새로 디자인해 사용자의 기존 행동 사이클은 유지하되 자원사용을 줄이는 전략을 활용하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친환경 행동에 영향을 주는 디자인 전략 대한 기초 연구로서 향후 본 연구를 발전시켜 친환경 디자인을 계획할 때 가이드라인의 역할을 할 수 있기를 희망하며, 사용자의 친환경 행동의 실행력을 높일 수 있도록, 디자이너의 참여를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도 연구로 발전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서비스 디자인 환경에 나타나는 바이오필리아 효과 연구

        윤재진(주저자) ( Jae Jin Yoon ),이길형(공동저자) ( Gil Hyung Lee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5 No.-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디자인 환경에 나타나는 바이오필리아 효과 연구를 진행하였다. Stephen R. Kellert(2005), Heerwagen(2001)의 EBD(Elements ofBiophilic Design)인 바이오필릭 디자인 유형과, 서비스디자인 환경에서 바이오필리아 효과를 측정할 수있는 항목을 정리한 분석틀에 의해 사례 분석 하였다. 대상으로는 유ㆍ무형 매개체물을 사용하는 경험에 초점을 둔 서비스 디자인 환경에서 제품을 통해 직접 경험하는 애플, 환자의 치유와 회복을 위한 메이요클리닉, 총체적 경험을 유도하는 대한항공을 사례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EBD중심으로 구성 간에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서비스 디자인 환경에서 EBD요소와 속성 가치를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디어의 진화와 지속 가능한 성장과 회복을 위한 서비스 디자인 환경에 따라 EBD를 서비스디자인에 반영한다면 서비스 소비자가 보다 바이오필리아 효과 경험으로 이어져 정서적, 신체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 체험으로 이어져 삶을 영유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 of biophilia in a service design environment. To achieve this goal, the author reviewed Elements of Biophilic Design (Heerwagen, 2001; Stephen R. Kellert, 2005) and categorized biophilic designs accordingly. In addition, items that can measure the effect of biophilia in a service environment were reviewed. Three case studies for Apple, Mayo Clinic and Korean Air are presented. The first case provides biophilic experience through firsthand product experiences in a service environment where the design focus is on the experience via tangible as well as intangible media. The second case illustrates bilophilic experiences with cure and recovery of patients. The last case delivers biophilic experiences by inducing the experience on the whole. Although the composition was slightly different in terms of EBD, the results show that EBD items and attributes are also applicable to service design environments, and that EBD tailored by a design environment of interest which promotes media evolution as well as sustainable growth and restoration may lead consumers to have more opportunities to have biophilic experiences, which in turn leads the consumers to have better and positive life from both emotional and physical aspects.

      • KCI등재

        행동심리를 활용한 스쿨존 도로환경 서비스디자인 개발

        김억(Eok Kim),김낙수(Nak-su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8

        운전자 사고와 교통 위반의 원인은 행동심리학적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에, 운전자와 보행자의 행태 및 심리학적 연계성을 파악하고 세부적인 분석을 통해 개선점을 탐색하는 서비스디자인의 접근방법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서비스디자인은 눈에 보이지 않는 무형의 요소까지 통합하여 가시화하고 고객이 보다 높은 가치로 느낄 수 있게 하는 서비스 중심의 디자인 개발 방법론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스쿨존 도로환경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점들을 발견하여 서비스디자인 관점에서 해결하고, 디자인 사고를 통한 행동유도 시설물 및 쾌적한 도로환경 구축을 위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먼저 국내외 도로 현황조사 및 행동심리 분석을 통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교통사고 발생원인 및 대책 등의 해외개선 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스쿨존 도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도출하였다. 이중 차량의 속도를 줄이기 위한 행동 유도 방법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이에 대한 해결방법으로 로봇 신호등을 활용하여 차선의 폭을 가변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속도를 줄이는 것과 동시에 학생들이 횡단보도를 쉽게 건너갈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스쿨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로봇 신호등, 횡단보도의 그래픽과 공간디자인에 대한 종합적인 접근방법이 유효하였고, 펜스와 도로 환경의 공공디자인을 통합하여 스쿨존의 새로운 서비스디자인을 제안할 수 있었다. The cause of traffic accidents and driver behavior is affected by psychological factors, because the behavior of drivers and pedestrians, and to identify the psychological linkage analysis to explore improvements in service design approaches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Service design is a service-oriented development methodology that make invisible and intangible elements into visible and higher-value. Accordingly, through design thinking to action for development of products and a pleasant road environment were studied for school zone by discovering underlying issues to resolve in terms of service design. First, survey of domestic road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problems were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auses of traffic accidents and researched the concept of school zones by analyzing the ideas. To reduced the width of the lane manipulate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to cross the crosswalk safely. In order to encourage the flow of vehicle traffic, new solutions are proposed by offering robot traffic lights, graphic design of crosswalk, space, and the fence and convergence public design and services.

      • KCI등재

        패밀리 레스토랑의 서비스디자인 환경과 서비스충성도 관계에서 인지적 만족과 감정적 만족의 인과적 역할

        최철재,류철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4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패밀리레스토랑 서비스의 주변환경, 레이아웃 이 고객의 인지적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주변환경, 멋진시설, 레이아웃, 음향장비가 감정적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 였다. 또한 인지적 만족과 감정적 만족 및 서비스 충성도 관 계를 확인하여 경로관계에서 인지적 만족 및 감정적 만족의 인과적 역할을 설명하였다. 자료는 패밀리 레스토랑 이용 경 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SPSS 21.0 및 AM OS 20.0 통계패키지를 이용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주변환경, 레이아웃은 인지적 만족 및 감정적 만 족 모두에 영향을 준 반면, 음향장비는 감정적 만족에 영향을 주었다. 둘째, 감정적 만족은 직접적으로 서비스충성도에 영 향을 주지 않고 인지적 만족을 통해 서비스충성도에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패밀리레스토랑의 서비스충성도를 강화시키기 위해서 마케터는 소비자가 선호하는 주변환경, 레이아웃, 음향장비를 제시하여 감정적으로 만족하게 하고,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긍정적 평가를 유도해야 할 것 이다. 본 연구는 패밀리레스토랑에서 고객의 감정적 만족을 통한 인지적 만족의 역할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is to identifies how ambient condition and layout have effect on cognitive satisfaction and ambient environment, facility aesthetics, layout and electric equipment have impact on affective satisfaction, and verifies causal relations between cognitive satisfaction and affective satisfaction and service loyalty, and then explains the causal role of cognitive satisfaction and affective satisfaction. A survey study was conducted to collect the data with consumers who have visit experience at family restaurants. SPSS 21.O and AMOS 20.0 were performed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ambient environment and layout affect on both cognitive satisfaction and affective satisfaction, and electric equipment has influences on affective satisfaction. Second, affective satisfaction has effects on service loyalty, but there are no significance relations between affective satisfaction and service loyalty. In order to strong service loyalty on family restaurant, marketer have to show ambient environment, layout and electric equipment so that their customer will be able to emotionally satisfied, and should be leads to positive evaluation so that their customer will be able to repeat purchase to those services. This research was confirm that role of cognitive satisfaction through affective satisfaction in family restaurant service setting.

      • KCI등재

        색채맵을 이용한 서비스디자인 개발 - 제조기업의 작업환경 개선을 중심으로-

        이경혜 ( Lee Kyung-hye ),이장우 ( Lee Jang-woo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3 No.-

        현재 많은 수의 제조회사들은 불과 몇 년 전에 비해 작업장이 단순히 물건을 생산하는 장소라는 의미에서 벗어나 안전한 작업환경 및 일의 능률을 높이는 작업공간을 위한 계획을 고려하고 있다. 제조회사 작업장은 작업자들의 작업 공간 그리고 장기적으로 머무르는 생활공간 등을 모두 갖춘 곳이다. 그러므로 작업공간 실내계획은 작업자들의 시각적, 정서적 안정을 줄 수 있는 공간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인간의 심리적 감정과 정서에 영향을 주는 색채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심리적, 생리적 변화에 따른 직무수행 행태를 동기화할 수 있는 환경개선 서비스시스템 구축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논문은 작업환경 개선의 일환으로 영천에 있는 자동차 제조업체 H사의 사출공정 작업라인을 대상으로 작업자 스스로 자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작업환경에 맞는 색채 서비스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이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색채심리 서비스 관련 연구인 색채심리, 서비스디자인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하고 더블다이아몬드 프로세스를 응용하여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 가이드라인을 구축하였다. 이에 따라 H사의 사출공정의 현황 및 작업환경을 알아보고, 검사라인 작업자들의 행동심리를 색채감성테스트를 위한 설문지를 통해 선호 분석 과정을 거쳤다. 분석 결과를 실제 생활에서 활용하기 위한 색채맵 가이드를 제시하고 색채 맵 시뮬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제조기업의 핵심가치로 인정받아야 하는 작업자 중심의 기업경영에서 서비스디자인의 중요성과 작업공간 환경개선을 위한 색채 서비스디자인은 생산능률 향상까지 기대 할 수 있다. Many manufacturing corporations, recently, consider change in the paradigm of safe and high productive working environment, abandoning the old notion of working place as production happens. The work places of manufacturing corporations serve not only as working spaces, but as resting places for workers. This notion implies work space interior planning of visual, emotional stability for workers. Establishment of environment improvement service system of synchronizing workers` psychological, physiological changes with working pattern through utilization of colors affecting human psychology is in necessity. This study suggests color service design compatible to work environment of self-promoting autonomy. For the study, catapulting procedure of automobile manufacturing corporation H in Yong-Chon was selected. The study attempted to establish a guide-line of service design process through proceeding studies in service design and color psychology, and application of double diamond process. Working environment of catapulting process of corporation H was reported, and typological analysis process through the measure testing workers` behavioral psychology in terms of color emotion were conducted. Color map guide for adopting the analysis results into everyday living conditions, and color map simulation service was provided. The study anticipates that work environment improvement service design through color psychology should promote productivity in the atmosphere of worker centered management of manufacturing corporations.

      • KCI등재

        서비스 디자인을 활용한 IoT 적용 의료폐기물 수거 패키지 솔루션 연구

        신해웅(Shin, Hae Woong),김장수(Kim, Jang So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2

        전 세계 팬데믹(Pandemic)으로 코로나바이러스는 2021년 현재도 전 세계적으로 확산을 하고 있지만 감염과 치료 이외의 문제가 다른 면에서 발생하고 있다. 감염자 및 기타 검사와 치료 과정에서 배출된 의료폐기물의 처리는 여전히 골치 아픈 숙제로 남아 있다. 의료폐기물의 처리와 수송은 치명적 질병을 확산할 수 있는 데다 그 감염경로를 사전에 차단하기 어려워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코로나바이러스(2019-nCoV), 사스(SARS-CoV), 메르스(MERS-CoV) 등과 같은 전염병으로 인해 사람 간 접촉을 최소화하고 비대면 환경으로 전환됨에 따라 전염병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의료폐기물의 철저한 관리와 대처가 필요하다. 그 범위는 의료폐기물에 따른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의료폐기물을 담아 수집 · 운반 · 보관하는 상자, 봉투 등을 포함한다. 의료 폐기물은 반드시 재활용/소각/멸균분쇄/잔재물 소각 및 매립, 네 가지 방법을 통해서 처리해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의료폐기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폐기물 발생량을 줄이는 서비스 모델을 제안하고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하여 개선요소를 도출하고 문제점을 해결하는 디자인을 제시하여 국가적 차원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의료폐기물관리에 대한 대안 제시를 하고자 의료폐기물 관리 서비스 패키지를 연구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네트워크 검색, 동일분야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보고서/출판물 등의 조사를 통하여 의료폐기물을 줄이기 위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서비스 디자인방법론 활용을 통한 디자인 개발 및 제안을 진행하였고 연구의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병원에서 발생하는 의료폐기물을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해서는 수거함 디자인의 개선을 통하여 감염성 폐기물이 생활폐기물과 섞여서 배출되지 않도록 발생원에서부터 철저하게 분리한 후 감염의 가능성을 원칙적으로 차단한 후 배출하여야 한다. 방사선 폐기물 및 화학물질, 기타 유해물질이 함유된 폐기물의 경우에도 별도로 분리하여 각각의 특성에 적합하게 관리하여야 한다. 둘째, 감염성 폐기물 처리 흐름 속으로 편입되어 처리되고 있는 재활용 가능 자원을 분리하여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특히 수액백이나 수액병과 같이 분리배출이 필요한 경우 재활용할 수 있는 것들을 선별수거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셋째, 사물인터넷(IoT)를 활용한 병원내 의료폐기물의 배출, 분리, 이동의 효율성과 감염위험에 노출된 의료인을 위한 보호, 병원 입장에서의 비용 감소를 위한 솔루션이 검토되어야 한다. 본 연구가 의료폐기물 산업관련 연구에 학술적으로나 현장의 실무적으로 활용되어 디자인 주도 하에 AI, Big Data, 디지털 헬스케어, IoT 등 4차 산업혁명 선도기술을 기반으로 혁신적인 제품기획, 디자인, 개발, 생산, 글로벌 사업화 과정에서 의도한 선행 디자인 컨셉 개발 및 사회적 문제해결 사례에 좋은 사례가 되기를 기대 한다. As of 2021, Coronavirus is spreading around the world as a global Pandemic, but problems other than infection and treatment are occurring in other ways. Disposal of medical waste from infections and other tests and treatments remains a thorny task. The disposal and transportation of medical waste can spread deadly diseases and is difficult to block the infection route in advance, requiring special management. In particular, due to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ronavirus (2019-nCoV), SARS-CoV, and MERS (MERS-CoV), it is necessary to thoroughly manage and cope with medical waste to minimize human contact and prevent the spread of the epidemic. It means boxes, envelopes, etc. that collect and transport medical wastes to prevent infection caused by medical wastes. Medical waste must be disposed of in four ways: recycling / incineration / sterilization / incineration and landfill of residues. In this study, the medical waste management service package was studied to suggest alternatives to medical waste management, which has emerged as a national problem, by proposing a service model to reduce waste generation and a design to solve problems using service design methodology. The research method derived problems to reduce medical waste through research such as domestic and foreign information database and network search using the Internet, reports and publications including papers and books in the same field, and developed and proposed designs using service design methodology.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safely manage medical waste generated in hospitals, the design of the collection box should be improved. In principle, infectious wastes shall be thoroughly separated from the source to prevent them from being mixed with household waste, and the possibility of infection shall be blocked before discharging them. In the case of wastes containing radioactive wastes, chemicals, and other harmful substances, they shall be separately separated and managed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characteristics. Second, recyclable resources that are incorporated into and processed into the infectious waste disposal flow shall be separated and recycled. In particular, a collection box system should be used to select enough recyclable items for separate discharge, such as sap bags and sap bottles. Third, solutions for the efficiency of discharge, separation, and movement of medical waste in hospitals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oT), protection for medical personnel exposed to infection risks, and cost reduction from the hospital standpoint should be considere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in the field for medical waste industry research and will be a good example for developing prior design concepts and social problem solving cases in the process of innovative product planning, design, development, production, and global commercialization based on AI, BigData, digital healthcare, IoT.

      • KCI등재

        코로나19 문진 확인 스티커 디자인에 관한 연구 -동일 의료원 산하의 소재지가 다른 상급종합병원을 중심으로-

        황희주 ( Hwang Hee-joo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2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1 No.-

        이 연구는 국내 동일 의료원 산하 상급종합병원의 감염병 확산 위험성을 강조하였고, 문진 확인 절차와 문진 확인 스티커의 사용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조사하였다. 문진 확인 스티커 사용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으로는 다음과 같다. 사용 후 낮은 수거율로 병원 인근에 많은 양의 문진 확인 스티커가 방치되고 있으며 이는 환경적으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상급종합병원들이 동일한 문진 확인 스티커 디자인을 사용하고 있어 병원 간 재사용의 가능성이 있다. 문진 확인 스티커의 디자인이 단순하여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없어 누구나 제작과 이를 구매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문진 확인 과정과 스티커 사용 실태의 문제점 원인 분석을 위해 의료, 서비스 디자인, 그래픽 디자인 전문가 그룹 리뷰를 통해 문제점을 재확인하였고 원인 분석과 보완 방법을 다각도로 제안하였다. 이 연구 결과로 친환경 스티커 인쇄 방안을 제안하였고, 문진 확인 스티커 방치를 방지하기 위해 내원객의 여정맵을 통해 진료 과정의 터치 포인트를 찾아 문진 확인 스티커의 안전한 폐기와 회수 동참을 서비스 디자인 관점으로 제안하였다. 그리고 문진 확인 스티커 재사용 방지를 위해 ‘방사형 파괴 문진 확인 스티커 디자인’을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유사 디자인의 스티커 제작을 방지하고자 병원 심벌마크와 병원명을 문진 확인 스티커 디자인에 포함시키는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mphasized the risk of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in tertiary general hospitals belonging to the same medical center in Korea, and investigated problems arising from the questionnaire check process and the use of questionnaire check stickers. There are various problems with the questionnaire check sticker. Due to the low rate of sticker recovery, a large amount of questionnaire check stickers are left unattended near the tertiary general hospital, which is causing environmental problems. As tertiary general hospitals are using the same questionnaire check sticker design, there is a possibility of reuse between hospitals. The design of the questionnaire check sticker is simple, so it cannot be legally protected, so anyone can manufacture it and purchase it. In order to analyze the cause of the questionnaire check process and sticker use status, the problems were reaffirmed through reviews with a group of experts in medical, service design, and graphic design, and the cause analysis and supplementation plan were proposed. As a result of this study, a low-pollution sticker printing method was proposed, and in order to prevent the neglect of the questionnaire check sticker, a Touch Point with the hospital was found through a Customer Journey Map, and a safe disposal and return of the questionnaire check sticker was proposed through a service design. In order to prevent reuse of the questionnaire check sticker, it was proposed to design a radial destruction questionnaire check sticker. In addition, to prevent the production of stickers with similar designs, it was proposed to include hospital symbol marks and hospital names in the questionnaire confirmation sticker design.

      • 1인 여성창업자의 안전서비스 디자인 구축 방안 연구

        HyoYeon Shin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2021 서비스디자인융합연구 Vol.5 No.1

        여성의 사회진출과 국가의 창업자에 대한 다양한 지원 확대로 1인 창업자의 비중이 늘고 있다. 그에 따른 1인 여성창업자를 겨낭한 여성 대상 범죄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1인 여성창업자들은 금품도난, 폭행 및 성폭행 등의 범죄, 비 건전한 고객으로 인한 불쾌함, 스토킹에 대한 위험, 가족과 주변인에게 지속적인 생존 신고 등의 불안감과 안전을 확보할 수 디자인에 대한 기대와 니즈를 가지고 있다. 이에 안전시스템을 완벽하게 구축할 수 없는 1인 여성창업자의 공간에서 최소한의 디자인을 이용하여 불안감 해소 및 여성창업자의 안전을 지킬 수 있는 안전서비스 구축 방안을 연구한다. 다양한 분야의 여성 창업자의 안전에 대한 니즈를 파악하여 위험 예방 및 해결책 모색과 함께 범죄자의 범죄 의지를 저지할 수 있는 시각적 CPTED 환경디자인을 통해 범죄를 사전에 예방하고 환경 개선 및 디자인 보완 강화 솔루션을 통해 범죄가 발생된 위험 상황 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방법으로 여성창업자의 안전한 범죄 예방 서비스로 구축되기를 기대한다. The proportion of single-person entrepreneurs is increasing due to the expansion of women s social advancement and the expansion of various support for founders of the country. Accordingly, crimes against women targeting single female entrepreneurs are also on the rise. Single female entrepreneurs can secure anxiety and safety such as crimes such as theft of money, assault and sexual assault, discomfort from unhealthy customers, risk of stalking, and continuous reporting of survival to family and neighbors. Expectations and needs for design Have. Therefore, in the space of a single female entrepreneur, where a safety system cannot be completely established, a minimum design is used to solve anxiety and a safety service construction plan that can protect the safety of female entrepreneurs is studied. By identifying the needs of female entrepreneurs in various fields for safety, they can prevent crime and seek solutions, and prevent crime in advance through a visual CPTED environment design that can block criminal will to commit crime, and provide solutions to improve the environment and reinforce design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established as a safe crime prevention service for female entrepreneurs as a way to quickly respond to dangerous situations in which crime has occur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