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동시적 온라인 토론에서 대시보드 유형과 학습자 특성이 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

        진성희 ( Sung-hee Jin ) 한국교육공학회 2019 교육공학연구 Vol.35 No.S

        비동시적 온라인 토론활동은 면대면 활동에 비해 많은 교육적 강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온라인이라는 자율적·독립적인 학습환경에서 비동시적으로 토론이 이루어지다 보니 학습자들의 보다 적극적인 참여와 노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온라인 토론활동에 대한 과정과 결과를 분석하여 대시보드 형태로 제공해 주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온라인 토론활동에 대한 대시보드 관련 선행연구들은 개발에 초점을 둔 연구가 대부분이고 그 교육적 효과를 학습자들의 특성에 따라 분석한 연구는 드물다. 이 연구의 목적은 비동시적 온라인 토론활동에 대한 참여도와 상호작용 대시보드가 학습자들의 특성에 따라 토론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2018학년도 2학기 H대학교의 ‘평생교육과 창의성’ 두 분반에 수강한 54명의 학습자들이었다. 독립변인은 대시보드 유형과 사회비교동기, 온라인커뮤니케이션 도구에 대한 인식, 자기성찰수준이었고 종속변인으로는 참여도, 상호작용, 학습성과, 사회적 실재감, 인지된 상호작용이었다. 28명의 A집단에게는 참여도 대시보드를 제공하였고 26명으로 구성된 B집단에게는 참여도와 상호작용 대시보드를 제공하였다. 사전 검사를 통해 두 집단의 동질성이 확인되었고 2회에 걸친 온라인 토론활동을 통해 수집한 데이터와 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차 토론에서는 두 집단 간 온라인 토론활동에 대한 참여도와 상호작용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2차 토론에서 참여도와 상호작용 대시보드를 제공 받은 B집단이 실제 온라인 토론에 더 많이 참여하고 상호작용 빈도도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시보드 유형별 학습자들의 온라인 토론학습에 대한 학습성과, 사회적 실재감, 인지된 상호작용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참여도와 상호작용 대시보드를 모두 제공받은 집단이 사회적 실재감과 인지된 상호작용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학습자의 사회비교경향성과 자기성찰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온라인 토론활동에 대한 학습성과와 인지된 상호작용에 대해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대시보드유형과 학습자 특성 간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온라인 토론활동에서 대시보드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synchronous discussions take place in an autonomous and independent learning environment, so learners need more engagement and effort. As a way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and to support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to provide a dashboard form by analyzing the process and results of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Research on dashboards for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focuses mostly on development, and there were few studies that analyzed the educational effects according to learner‘s characteristics.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dashboards on asynchronous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er's discussion activities according to learner characteristics. Participants were 54 learners. Independent variables were dashboard type, social comparison motivation, perception of online communication tools, and self-reflection. Dependent variables were participation, interaction, learning outcome, social presence, and perceived interaction. Group A with 28 learners provided a participatory dashboard and group B of 26 learners provided a participation and an interaction dashboards. The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was confirmed through pre-test, and the results were obtained by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through two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and post-test results. As a resul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of the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first discussion, but the group B receiving the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dashboard in the second discussion, participated more in the actual online discussion, it was also found to have a lot of interactions. The participants who received both the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dashboard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level of social presence and perceived interaction. Also, it was found that the group with higher social comparison tendency and self - reflection level perceived more positively about learning outcomes and perceived interactions with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than the low group. However,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dashboard type and learner characteristics was not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mplications for the use of dashboards in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사회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을 활용한 예비 국어 교사들의 비동시적 온라인 토론 참여 양상 연구

        최숙기 ( Choi Sook-ki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21 청람어문교육 Vol.- No.81

        본 연구는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예비 국어 교사들의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 활동에 나타난 지식 구성을 위한 네트워크 구성 및 토론자 간의 상호작용 양상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토론 참여자 44명 간에 연결선은 총 194개였고, 밀도는 0.102537로 네트워크 내 관계성은 낮은 편이었다. 둘째, 온라인 토론 참여자들의 중심성 분석 결과, 특정 토론 참여자들에게만 네트워크가 구성되거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Walktrap의 6개 군집 도출 결과는 개별 토론 네트워크가 자체 구성되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 SNA 분석 결과, 중심성 지수에 따라 선별된 3명의 참여자 인터뷰에서 토론 집단의 규모와 사회적 실재감이 주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온라인 토론시 10명 내외의 토론 집단 구성, 사회적 실재감 촉진 방안 고려, 상대 의견 인용을 기반한 의견 개진, 상대 질문이나 반론에 대한 답글이나 댓글 필수화 등의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수업 설계가 고려될 필요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twork configuration and interaction patterns between debaters for knowledge formation in non-real-time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of prospec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a total of 194 connecting lines between 44 participants in the online discussion, and the density was 0.102537, which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within the network was low.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entrality of the online discussion participants, it was found that only specific participants in the discussion were able to form a network or interact with each other. Walktrap's results of deriving six clusters show that individual discussion networks are self-organized. Third, as a result of SNA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size of the discussion group and the sense of social presence were the main variables in the interviews with three participants selected according to the centrality index. Through thi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class design to promote interaction, such as forming a discussion group of about 10 people during online discussions, considering ways to promote a sense of social presence, expressing opinions based on citing other opinions, and making replies or comments required to other questions or objections.

      • KCI등재

        비동시적 온라인 토론활동 지원 피드백 시스템 개발 및 사용성 평가

        진성희(Jin S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0

        온라인 토론활동은 교육적 효과가 있는 교수학습활동이지만, 가상의 공간에서 비동시적으로 음성이 아닌 문자로 의견을 주고받아야 하기 때문에 기술적인 한계가 있다. 온라인 토론학습환경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이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토론활동과정에서 학습자들의 토론참여에 대한 정량적 피드백은 시스템에서 자동적으로 제공하고 토론의견에 대한 정성적 피드백은 교수자와 동료가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그 사용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선행연구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온라인 토론활동지원 피드백 시스템의 설계안을 마련하였다. 2회에 걸친 전문가 타당화 검사를 통해 수정·보완된 설계안에 따라 시스템이 구현되었다. 개발된 시스템에 대한 사용성 평가를 위한 연구참여자는 H대학교의 31명의 대학생들이고 효과 평가에 참여한 연구대상자는 K대학교 44명의 대학생들이다. 두 대학교의 연구참여자들은 모두 개발된 온라인 토론활동 지원 피드백 시스템에서 2회 동안 온라인 토론활동을 수행하였고 필요에 따라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용성 측면의 하위 네 개의 변인에 대해 학습자들은 모두 상당수준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하였고, 개방형 질문에 대한 학습자들의 응답을 통해 시스템과 대시보드의 기능적 효과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학습자들은 개발된 시스템에서의 온라인 토론활동을 통해서 온라인 토론학습에 대한 태도 및 온라인 쓰기 효능감에 있어 통계적인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시스템의 기능별 만족도 및 대시보드의 교육적 유용성에 대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해서 이 연구에서 개발한 온라인 토론활동 지원 피드백 시스템은 사용성 및 효과 평가를 통해 대학교육환경에 적용 가능한 시스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연구의 의의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ar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that have an educational effect, but there are technical limitations because opinions must be exchanged asynchronously in a virtual space by text rather than vo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ystem that can automatically provide quantitative feedback on learners participation in discussions, and qualitative feedback on discussion opinions to be provided by instructors and colleagues, and to evaluate its usability. The design of the feedback system was prepared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previous studies. The system was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the revised system design plan through two expert validation tests. The research participants for the usability test of the developed system were 31 university students at H University, and 44 university students at K University were participating in the effectiveness evaluation. Research participants conducted two rounds of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in the developed system and conducted pre- and post-tests as needed. Studies have shown that all four variables related to usability were positively evaluated at a significant level, and the functional effects of the system and dashboard were confirmed through learners responses to open-ended questions. In addition, through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in the developed system, learners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s toward online discussion learning and online writing efficacy, as well as on the functional satisfaction of the system and the educational usefulness of the dashboard.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the feedback system to support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developed in this study was applicable to university education environments through usability and effectiveness evalu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was discussed.

      • KCI등재

        비동시적 온라인 토론활동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온라인 학습만족도의 관계

        홍주영,김현심 대한산업경영학회 2022 산업융합연구 Vol.20 No.2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resence, cognitive presence, and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Asynchronous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The study was conducted in December, 2020 for two months, and the participants were 93 grade 4 nursing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nationwide. The t-test,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run on the collected data.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ursing students' social presence, cognitive presence, and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presence. The explanatory power of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was 62.9%. Based on the above results, in order to increase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a plan is needed to improve nursing students' social presence for online discussion classes. 본 연구는 비동시적 온라인 토론활동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이 온라인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는 2020년 12월부터 2개월간 일개대학 4학년 간호대학생 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검정, ANOVA,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온라인 학습만족도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온라인 학습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요인으로는 사회적 실재감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학습만족도에 대한 설명력은 62.9%로 나타났다.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교과목에서 온라인 토론활동의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실재감을 높이는 방안이 필요하며 향후 실재감 향상 프로그램 중재 관련 후속연구를 제언한다.

      • 비동시적 온라인 토론에서 학습자 참여 영향 요인간 관계 규명

        양유정(You-Jung Yang)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8 No.2

        본 연구는 비동시적 온라인 토론 환경에서 학습자의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간의 관계를 보다 포괄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온라인 토론과 관련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교수학습설계요인, 동기적 요인, 사회-정서적 요인을 영향요인으로 도출하였으며, 영향요인들과 학습자의 인지적 참여(과정)와 학습(결과)간의 구조적 관계를 나타내는 이론적 연구모형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