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폰의 브랜드 개성-자아 이미지간 일치성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심명희(Myung Hee Shim),임한나(Han Na Lim),한은경(Eun Kyung Han) 한국광고홍보학회 2011 광고연구 Vol.0 No.88

        본 연구는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는 스마트폰 시장에서, 스마트폰의 브랜드 전략의 일환으로 소비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스마트폰 브랜드 개성에 주목하였다. 특히 스마트폰의 브랜드 개성과 자아이미지의 일치성을 통해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무선 인터넷을 기반으로 다양한 모바일 앱을 사용하는 스마트폰의 제품 속성을 고려해, 인터넷 사용 제품군에서 소비자 행동 차이를 설명하는 플로우(Flow) 경험 정도가 브랜드 개성-자아이미지 일치성과 브랜드 충성도 관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애플의 아이폰, 삼성의 갤럭시 2개 브랜드를 선택했다. 연구결과 스마트폰의 브랜드 개성은 ``감성``, ``세련``, ``유능``, ``활달`` 4가지 차원으로 나타났고, 그 중 ``감성`` 차원이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로 파악되었다. 한편 소비자들은 자신의 이미지를 ``유능`` 차원에 가장 일치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브랜드 개성-자아이미지 일치성이 높을수록 브랜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플로우 경험 정도 또한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스마트폰 시장에 마케팅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뿐 아니라, 브랜드 차별화 및 소비자와 브랜드간의 돈독한 관계 구축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To investigate the rapidly developing smart phone market in Korea. This study focused on customer-perceived "brand personality" as the smart phone brand strategy.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if congruity between brand personality and self image at the user level exist and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influence smart phone brand loyalty. a furthe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role that exists between the flow experience of the smart phones usability and the influence that congruity between brand personality and self image has on consumer brand loyalty. In oder to conduct the study, the following brands and models were selected as subjects: Apples`s iPhone and Samsung`s Galaxy. The results showed the four components of smart phone brand personality: "emotion", "sophistication", "competence", "vivacity" and how the congruity between brand personality and self image affected the brands loyalty. Thus, it was established that the moderating role existing between the flow experience of smart phone usability and the influence of congruity between brand personality and self image on brand loyalty was significant.

      • KCI등재

        도시 비전과 전략으로서 도시브랜드 활용방안 연구 - 경기도 포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

        박혜영,김상수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5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3 No.2

        도시브랜드는 1995년 지방자치법이 개정된 이래로 지방자치단체에서 도시의 개성과 특성, 미래의 비전을 나타내는 도시마케팅 수단으로 부각되었다. 그러나 초기의 도시브랜드는 단순히 상표와 시각 디자인 요소로 개발되었다. 이로 인해 도시 거버넌스와 상호연관성을 구축하지 못하고 민선단체장 의지에 의해 갑자기 사라지거나 관리부서가 바뀌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것은 도시브랜드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인식의 한계에서 발생한 일이다. 도시브랜드는 과거와 현재, 미래의 기억과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는 도시의 유․무형 자산으로 그 도시만이 갖고 있는 존재의 이유이며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게 제공하는 창의적인 가치이다. 본 연구는 도시브랜드가 한시적인 도시마케팅의 수단으로서의 한계를 넘어 도시의 비전이자 미래 전략으로서 도시브랜딩이라는 인식적 전환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도시브랜드 선행연구를 하고, 도시브랜드 체계구축 사례 연구를 통해 창의적인 도시브랜딩 과정을 제시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제시한 도시브랜드 개념은 향후 도시브랜드에 대한 공감대 형성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포천시 도시브랜드 체계 구축의 과정은 국내 도시들의 전략적 브랜드 관리 방안으로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제 도시브랜드는 마케팅 수단이 아닌 전략으로 도시의 정체성과 미래비전을 실현하는 창조적 혁신 과정의 도시 브랜딩이라는 인식적 전환이 필요하다. 이는 도시브랜드 체계구축을 통해 총체적인 도시브랜드 포트폴리오전략을 수립하고 창의적인 브랜딩 조직의 환경을 도모하여 도시의 창조성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City brand in 1995, the Local Government Act amended since the personality and character of the city in the municipality, the city has emerged as a marketing tool that represents the future vision. However, the initial development of the city brand was simply a trademark and visual design element. This does not build a city governance and interconnectedness elected suddenly appeared or disappeared by the heads of administrative departments rely on the phenomenon change. This is what happened in the absence of an overall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the city brand. City brand is a past, present and future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with memories and images of the city which includes the city and the only reason for existence is to have creative value provided to the various stakeholders. This study is beyond the limits of the city as a means of brand marketing was seeking temporary city cognitive transition of city branding as a strategic vision and future of the city. To this end, the City brand leading research and proposed a creative city branding process through the city brand building system case studies. City brand concept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help to form a consensus about the future city brand. In addition, the process of building Pocheon city brand system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strategic brand management plan for domestic cities. Now the city brand is necessary cognitive transition that city branding, creative innovation process to achieve the future vision and identity of the city as a strategy rather than a marketing tool. This will establish the overall city brand portfolio strategy through the city Brand building systems and promote an environment of creative branding the organization to develop the creativity of the city.

      • KCI등재

        효율적인 e-Business를 위한 브랜드 아이덴티티이미지 분석에 관한 연구

        이호선(Ho Sun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5 No.4

        현대사회에서 디지털은 기술 분야만이 아닌 문화, 사회, 경제, 정치 등 모든 분야에서 필수적인 구성요소로서 디지털 분야 및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시각화, 영상화와 소리까지 그 영역은 다양하고 폭넓게 확장되어,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졌다. 이렇게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에서 상호의미전달이라는 목적에 있어 하나의 구심점을 이루고자 만들어 놓은 형태가 바로 브랜드 아이덴티티로서. 이는 시대의 상황에 따라 변화되어 왔으며, 변화해 나아가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한 방법과 범위는 1차적으로 선행연구를 통한 연구와 2차적으로 사례분석연구로 이동통신 3사에서 사용되어 지고 있고, 디지털사회의 대표적인 브랜드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는 SKT, KTF, LGT의 3사 브랜드 아이덴티티 이미지를 중심으로 해석적방법의 하나로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표현된 디자인적 요소의 유형 분류와 e-Business를 위한 온라인상의 이미지 통합과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비즈니스의 목적과 사용자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기초하여 명확하게 디자인 된 웹 아이덴티티는 기업이 지향하는 브랜드 이미지를 소비자에게 명확히 각인시켜 줌으로서 고객의 인지도와 신뢰도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e-Business의 성패를 좌우하게 된다. 따라서 유사한 디자인과 웹 사이트 중 방문자에게 명확한 상을 심어주고 자사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전달해 주기 위한 차별화 된 아이덴티티의 구현이 필요하다.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기업의 관점에서 소비자에게 보여주고자 하는 브랜드 상과 가치 이미지의 의미를 통해 이와 동일한 의미의 브랜드가 갖는 이미지를 소비자가 해당 브랜드에 대해 갖는 전체적인 연상으로 소비자 관점에서 정의한 개념으로서, 이 두 가지의 개념이 의미하는 것이 일치할 때 명확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본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사례를 통해 e-Business환경에서 어떠한 요인에 중점을 맞추는 것이 기업이 추구하고자 하는 이미지 창출에 효과적인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The realm of digital technology in modern society has been widely expanded with diversity as essential component not only in technical field but also in cultural, society, economy and political fields to cover digital area as well as the areas of visualization, image and audio in our ordinary life, which made activated communication possible. Brand identity is the form of the point of centripetal force created for the purpose of the delivery of mutual ideas in diversified communication and the brand identity has been and will be chang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the times. The method and scope for this study, the analysis on the brand identity image can be done primarily through preceding studies and secondly through case analysis study, which is used by 3 major telecommunication companies of SKT, KFT and LGT. As one of the analytical method centering around the brand identity images of 3 companies which are recognized as representative brands in digital society,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integration and connection of online image for the classification of types and design elements expressed in brand identities for 3 companies. A web identity clearly designed based on correct understanding on business purpose and users may influence on the level of customers` recognition and reliability by impressing the brand image that the company pursues to users and eventually determine the success of e-Business. Therefore, materialization of distinctive identity is required in order to impress clear image among similar designs and web sites to visitors to the web site and to effectively convey the company`s brand identity to users. Brand identity can be divided into two images one is the image that the company wants to show consumers and the other is the one that consumers defined from their viewpoints as an overall association on the brand with the same meaning for the applicable brand through the meaning of value image. When the concepts of these two images become identical, we can say clear communication can be done. This study aims at presenting an effective case for the creation of the image that corporations want to pursue by focusing on certain elements under e-Business through the analysis of cases of brand identity.

      • KCI등재

        브랜드 매니지먼트 전략에 관한 사례연구

        권재경 ( Kwon Je- Gyeuo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7 한국디자인포럼 Vol.17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업의 자세 변화와 글로벌시대에 부합되는 기업의 대응능력을 높이고, 기업의 성장기회를 창출하는 자원으로서 어떠한 상황변화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브랜드 경쟁력 강화를 성공적인 브랜드 매니지먼트 전략 사례를 중심으로 글로벌 환경에서 국내기업의 미래의 브랜드 매니지먼트 방향성을 모색 하는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조사 연구에 나타난 브랜드 매니지먼트 현황을 살펴보면, 중소기업과 대기업 간의 실행비율에서 차이점을 보이고 있으며 브랜드 관리에 다소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브랜드 매니지먼트 인식 및 경쟁력 차원은 우리나라 기업들은 사훈, 매니지먼트이념, 매니지먼트방침 등은 갖고 있으나 그 내용이 매우 추상적이고 지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성공적인 브랜드 매니지먼트 전략 사례에 나타났듯이 브랜드 마케팅을 통한 기업, 제품에 대한 신뢰성 증진, 꾸준한 고객 관리, 제품의 독창성, 신속한 시장대응, 소량 다품종의 틈새시장을 공략하고, 새로운 시대의 시장 상황을 개척할 수 있는 가치 지향적이며 선도적인 브랜드 홍보정착과 브랜드이미지를 창출을 위한 체계적이고, 전문화된 브랜드 전략을 구사하여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따라서 국내기업 및 지자체에서 효율적으로 브랜드 매니지먼트 전략을 구사 한다면 글로벌 환경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가질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which it sees brand competitiveness reinforcement successful brand management strategy instance is in the center against the brand management of future of the domestic enterprise from global environment. When seeing an investigation research result, the difference point of the smallness enterprise and large enterprise for is appearing and with the fact that it has some problem point to brand management it is judged. As a research result, brand marketing it leads and it thinks that system and must execute the brand strategy which is professionalized, If it executes a successful brand management strategy from the domestic enterprise, the different competitive power is expected from global environment.

      • KCI등재

        지방자치제 하에서 지역 브랜드 강화에 관한 연구 - 병천순대 명품화를 위한 브랜드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한백진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0 No.4

        세계 시장의 개방과 FTA로 인해 지역 생산 특산물의 경쟁력을 높이고, 지역 특산물의 육성 및 세계화를 도모하여 지역 경제 성장을 이루는 지역 브랜드의 개발의 필요성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브랜드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오늘날 국가적 특성을 넘어 지역만이 가지고 있는 특성인 자연경관, 음식, 축제 등의 문화는 지역 브랜드로서 상품으로 재창조 되어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실정이다. 지자체 주도형의 지역 브랜드화 사업을 활성화시키므로 그 지역의 브랜드파워를 강화시키며 상품에 대한 인지도와 신뢰도를 높이므로 더 나아가 지역 이미지를 강화시키며 소비자에게 가치를 부여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천안의 병천 순대는 병천의 예와 충절의 본고장으로 순대가 토종음식으로 자리매김하고 있기 때문에 옛 명성을 이어갈 수 있는 지역 브랜드의 요건을 가지고 있으며 시장 잠재 가치는 병천 지역 직·간접적으로 약 1000억 규모로 간주되고 있으므로 지역 브랜드로 개발해야 할 콘텐츠이다. 그러한 목적으로 병천 순대 웰빙 명품화 사업단이 출범하였고 병천 순대의 브랜드 통합 및 홍보를 위해 시각적인 디자인이 개발되어야 할 필요성이 생겨났다. 따라서 설문 조사를 통해 병천 순대 이미지에 대한 소비자 인식 동향을 추출하였고, 그 분석 결과를 가지고 병천 순대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방향성과 전략을 세웠다. 첫째, 지역성 및 순대의 고유한 이미지를 도출하여 전통적인 특색과 어울리면서 젊은 층을 흡수할 수 있는 이미지를 만들었다. 둘째, 친근한 이미지와 순대의 영양, 효능 등 웰빙 명품화 식품임을 나타내는 디자인을 구체화하였다. 셋째, 심벌을 보완하는 보조 모티브와 캐릭터를 개발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하도록 하였다. 이 제안으로 병천 순대의 이미지 확립으로 브랜드파워를 강화시켜 우리 향토 식품의 세계화 및 지역 경제 발전의 원동력이 될 것을 기대한다. Characterization of local products is necessary due to the FTA and the expansion of the global market. Has been particularly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brand today. Therefore, as well as national characteristics should be stressed, however, the region has characteristics. For example, the natural scenery, food, and festivals such as the culture of reinvention as a regional brand products will have a competitive advantage. Local government-led regional branding business value to be given to the consumer,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Because, It strengthens the power of the brand in product awareness and increase reliability. And, It enhances local images. Polite and faithful implications authentic Cheonan is famous for traditional food Byeongcheon Soondae. It is one of korean traditional food it looks like sausage. Market potential local value Byeongcheon directly or indirectly, are considered to be about 1000 billion KRW. Thus it is the content to be developed as a regional brand. Developed for this purpose, Agency was launched Byeongcheon Soondae to turn it into luxury wellness. This agency to develop the visual design, brand integration and to promote Byeongcheon Soondae. In this study examines trends in consumer awareness survey Byeongcheon Soondae's image. In this study examines trends in consumer awareness survey Byeongcheon Soondae image. And so sets the direction of the design Byeongcheon Soondae brand identity and strateg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a unique image of the area and a Soondae while preserv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Old-Fashion invisible and it also creates a friendly image that can be absorbed young. And, Soondae's nutrition, efficacy, wellness luxury Tues foods that can be represented in the design and application suggestions. So that makes it Byeongcheon Soondae brand image establish. In such a way that will reinforce the brand power Byeongcheon Soondae. The result will be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development of the globalization of our local food and the local economy.

      • KCI등재

        브랜드 재활성화 전략에서 창의적 마인드셋 효과

        주경희(Chu, Kyounghee) 한국상품학회 2020 商品學硏究 Vol.38 No.6

        Many longevity brands are using brand revitalization strategy to extend their brand life. In particular, revitalization strategy through brand name change is often used by many companies as an important strategic tool. Rebranding is divided into evolutionary rebranding and revolutionary rebranding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change level. This study focuses on revolutionary rebranding, which can be somewhat risky and costly. Revolutionary rebranding means changing a brand nam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brand name. Rebranding strategy itself is the most complicating and dangerous one. Therefore, rebranding strategy as an important decision making needs more careful consideration in firm’s strategic brand lifecycle management. This research conducted an experiment. In the experiment results, it was found that people with a creative mind-set showed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s the extremely new brand name than people in a control condition. This study has academic contributions in that it contributes to the field of brand management literature and creative mind-set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effect of creative mind-set on rebranding evaluation. In addition, this study has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suggests a way to improve the success of the brand revitalization strategy by proposing creativity factor as a contextual variable that marketers can control. 많은 장수브랜드들이 브랜드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브랜드 재활성화 전략을 활용하고 있다. 특히 브랜드명의 변경을 통한 재활성화 전략은 많은 기업들이 중요한 수단으로 종종 활용하고 있다. 리브랜딩은 변화 수준의 강도에 따라서 점진적 리브랜딩과 혁신적 리브랜딩으로 나뉜다. 본 연구는 다소 위험하고 큰 비용이 드는 혁신적 리브랜딩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혁신적 리브랜딩은 기존 브랜드 명과 다르게 이름을 바꾸는 것으로 브랜드 관리 차원에서 중요한 의사결정이나, 학계의 관심이 부족하여 관련 연구 또한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는 혁신적인 리브랜딩에 대한 소비자 평가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창의적 마인드셋(마음가짐)을 제안하고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창의적 마인드셋의 소비자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기존 브랜드명과 완전히 다른 새로운 브랜드에 대한 태도가 더욱 호의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무엇보다도 브랜드 관리 분야에 리브랜딩이라는 새로운 관점의 연구 시각을 제공하였고, 창의적 마인드셋이 소비자의 신 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창의적 마인드셋과 소비자 행동 연구 분야에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공헌점이 있다고 사료된다. 더불어 본 연구는 마케터가 통제가능한 상황적 변수로서 소비자의 창의성을 제안함으로써, 브랜드 재활성화 전략의 성공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이 있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브랜드 계층구조(Brand Hierarchy)의 체계성과 운용 방안에 대한 연구

        신석규(Seok Kyu Shi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2

        창조적 지식 산업이 21세기 국가 경쟁력의 원천이고 창의적 사고가 개인의 발전과 더불어 기업 성장의 원동력으로 작용하는 창의적 지식기반 시대로 진입했다. 디지털 정보화 시대에 창의적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미디어 산업의 등장은 새로운 개념의 경쟁력있는 브랜드를 필요로 하고 있다. 과거 기업 중심의 환경에서는 단일 제품이 장기간 시장에 존재하며 우리의 일상생활을 지배했다면 현재는 다양한 제품들이 짧은 수명주기를 지니며 나타났다 사라지기를 반복한다. 이러한 환경 하에서 짧은 수명주기를 지닌 제품들이 어떻게 하면 장기적으로 생존하며 소비자의 기억 속에 자리 잡을 수 있게 할 수 있을까 하는 것은 모든 기업의 과제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과거 기업의 무차별적 공격의 대상이던 소비자는 이미 많은 지식 습득과 교육수준의 향상 그리고 다량의 정보를 통해 기업과 제품을 전문가 수준으로 평가하고 있다. 네트워크화 된 정보의 시대는 많은 정보를 무차별, 무한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삶의 형태를 만들어내고 있으며 보다 개성적인 가치관을 형성시키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따라 제품이나 서비스의 선택 기준이 복잡해지고 구매패턴이나 선호 이미지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브랜드와 브랜드 구조에 대한 전략적 운용 방안의 체계성은 시대변화와 소비자 의식 수준에 맞추기 위한 노력은 미흡하다. 브랜드가 단순히 상품에 조형적, 심미적, 광고적으로만 붙여지는 이름이 아니다. 기업의 본질과 기업의 문화, 철학, 경영전략, 이미지 등이 존재하고 브랜드가 지니는 정체성에 대한 문제의 본질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브랜드 계층구조의 체계성에 따른 운용방법을 다루고자 했다. 연구방법은 브랜드 관련 문헌과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이론적인 토대와 운용방안 구축 모델을 제시했다. 연구범위는 브랜드 전략이 체계적으로 구축된 기업의 브랜드 운용 사례들을 중심으로 했는데 인터브랜드에서 발표한 2010년 세계 100대 브랜드를 대상으로 조사하여 본 연구의 운용방안에 적합한 사례를 대입하고 각각의 장·단점을 분석했다. 기업과 브랜드, 브랜드와 브랜드간의 관계성과 역할을 고려한 전략적, 전술적 차원의 운용은 기업이나 브랜드들의 성격에 따라 가변적일 수밖에 없지만 공통적 체계성은 밝힐 수 있을 것이다. 각각의 브랜드는 역할이 존재한다. 이것이 브랜드 계층구조이다. 다변화하는 시장 경쟁 체제하에서 다수의 브랜드 출현은 불가피하다. 다양해진 브랜드들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고 강력한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브랜드 계층구조의 운용이 매우 중요하다. 디지털 미디어의 출현이 소비자 중심의 개성화(Personality)를 뚜렷하게 하고 기호성향을 다양화시켜 브랜드도 이에 대응하는 전략적 운용이 필요하다. 따라서 세분화된 소비자와 다변화하는 시장 환경에 대한 정확한 분석으로 기업의 전략에 적합한 브랜드 표현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계층별 브랜드가 갖는 속성은 다소 다르게 나타나지만 상호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기획 단계에서부터 전략에 입각한 브랜드를 창출하여야 할 것이다. Creative knowledge industry is the source of 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21st century. While in the past enterprise-centered environment a singular product existed in market for a long time, various products with short life span nowadays are appearing and disappearing repeatedly. Consumers evaluate enterprises and products like experts due to high education. As society becomes rich, personal development is promoted. Life style has been changed for convenience. Moreover, as computer transformed analog age to digital one, society and personal lives are changed a lot. This change of market and customer has made the standards for selection of a product complicated and purchase pattern greatly various. Brand may not be a name just for modeling, aesthetic appreciation and advertisement of a product. We should consider identity of brand including enterprise, enterprise`s culture and philosophy, business strategies, enterprise`s image, etc. I would like to devise more effective plans for brand expression, the center of brand package, and strategies for operation of it including answer about what brand is. Brand performs roles to differentiate certain product from other ones, help it recognized and inform customers of it. However, I doubt how many brands are operated under strategic means and tactical methods considering relationship between enterprise and brand. Each brand has its own role. This is the brand Hierarchy. Proper brand expression for enterprise`s strategies for product must be composed through exact analysis on customers and thorough preparation about market environment. In addition to this, brand based on strategies from the planning stage must be created because properties of brands in each hierarchy are a little bit different but they have organic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customers are living in a world that is overcrowded with brands because various brands for many products appear due to increase of importance of brand. This gives customers wide selection for product for their pleasure, but makes it difficult to bring exact decision of purchase due to heavy confusion. Moreover, enterprise may be stressful about the excessive expenses for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singular brand and for marketing activities for customer communications. Therefore, in this market environment, this study would like to give customers convenient product search and brand selection by presentation of operational strategies according to brand hierarchy on the base of wide understanding about brand and present enterprise effective methods for operation of brand hierarchy for reduction of huge expenses on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a brand and for effective management of brand through construction of brand identity.

      • KCI등재

        지역 이미지 상징을 위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성요소의 연관성 연구

        차승희 ( Seung Hee Cha ),김정열 ( Jeong Yeol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5

        국내 지자체들은 1990년대부터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방안 중 지역브랜드화를 추진하였다. 적극적인 지역브랜드 개발은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으나 일부 지자체의 무분별한 브랜드 개발로 지역 정체성을 저해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지자체들의 브랜드화 현황을 조사하고, 정체성을 위한 방안에 대해 고찰해 본다. 브랜드 구성 요소는 언어적 요소와 비언어적 요소로 분류한다. 두 요소에서 시각 비중이 높은 비언어적 요소를 중심으로 디자인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현 지자체는 심벌마크, 도시브랜드, 공동브랜드 개발에 적극적이지만 이를 모두 갖춘 지역은 많지 않았다. 본 연구자는 모두 갖춘 지역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요소별로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고 개발되었는지 컬러와 형태 등 조형성에 초점을 맞추어 현황을 알아보았다. 컬러 부분에서는 제주도는 동일한 색상을 적용하였으며, 전 지역에 걸쳐 같거나 유사색을 사용하는 비슷한 양상을 띠고 있었으나, 형태는 경기도를 제외한 다른 지역은 30% 미만으로 컬러에 비해 각 요소별 연관성이 낮다는 것을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지역을 위한 브랜드화는 정체성을 바탕으로 연관성을 지녀야 한다. 이는 향후 브랜드 확장의 용이함과 브랜드 관리에 있어서도 통합적이고 효율적일 것이다. 따라서 기존 브랜드는 연계성을 강조한 부분적 보완이 필요하며, 일정 범위에서 공동 사용하는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 지역 브랜드화는 활발하게 진행될 추세이므로, 이 연구가 향후 브랜드 개발에 있어 통합적이고 실용적인 계획의 방향성 제시가 되기를 바란다. Domestic municipalities have promoted the construction of regional brand in order to vitalize regional economy from 1990s. This somewhat balanced economic imbalance among regions, but also damaged regional identity being made by chaotic brand development. Hence,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brand status, and considering the ways to building regional identity. Brand is composed of linguistic component and non-linguistic component. Between these two components, we focused on the latter component by the view of design. Municipalities are generally aggressive to develop the symbol marks or city and co-brands, but there are few of municipalities that have all of them. Our study targeted municipalities that have all of them, and analyzed formativeness of their relation by colors and patterns. In colors, Jejudo applied the same color to all subsidiary municipalities, and all of them use similar colors, or use the same components. On the other hand, each municipality except for Gyeonggido only uses 30% of the same color, so the relation by components is very low. Brand making based on regional identity will make municipalities easier to develop another brand, and to manage brands whole and effectiv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mplement partially brands through strengthening connectivity, and to come up with how to use brands together. As regional brand will be pushed actively, we hope that this study gives a direction for the pragmatic and whole plan of the brand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명품브랜드 구매의도, 가격공정성, 브랜드 확장에 대한 공익연계 마케팅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연구

        이재진 ( Jae Jin Lee ),유나 ( Na Ryu ),간형식 ( Hyung Sik Kahn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지역과 세계 Vol.37 No.1

        최근 명품의 대중화 추세 속에서 명품 브랜드들이 이전보다 많은 소비자들에게 접근 하고 호의적인 태도를 갖게 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명품브랜드는 프리미엄 이미지를 유지하면서 대중에게 소구하기 위해 일반브랜드보다 더 세심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명품브랜드의 소비자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공익연계마케팅을 그 대안으로 고려하였다. 소비자들이 제품의 구매와 함께 사회공익에 기여한다는 상징적 가치를 더한 공익연계마케팅을 활용하여 명품브랜드 커뮤니케이션과 그의 확장 전략이 이루어진다면 상승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기대된다. 공익과 연계된 마케팅을 실행하면 명품브랜드 기업으로 하여금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면서 기업의 마케팅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하고, 소비자에게는 사회 공익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효과적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공익연계마케팅이 명품브랜드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고 가격상승의 공정성을 지각하게 해 줄 것이라 예상했으며(가설1, 가설2), 명품브랜드의 확장에도 호의적인 태도를 유도 할 것이라 예상했다(가설3). 검증결과 공익과 연계마케팅을 실시했을 때 일반브랜드보다 명품브랜드가 상대적으로 구매의도에 긍정적이었으며 브랜드확장 시에도 모브랜드와의 유사성 정도와 상관없이 확장브랜드태도에 호의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명품브랜드에 있어서 일반브랜드와 차별화된 커뮤니케이션 전략으로 공익연계마케팅을 제안하고 그 중요성을 연구한 것으로 학문적·실무적 공헌을 하리라 기대한다. Since the last two decades, companies have faced the shift forward the positive social activities such as charity, donation, and sponsorship. Recently, cause-related marketing is rising as a competitive strategy to be differentiated. This study performed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effect of cause-related marketing on consumer`s attitude by completing three studies, (1) purchase intention (2) consumers` perception of price advance (2) the extension of luxury brands . Especially,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effect of cause-related marketing on the results of luxury brand extension. Consequently, consumers show stronger purchase intention on luxury brand in case of performing cause related marketing(H1). and in case of brand extension with lower similarity to its parent brand, consumers have more favorable attitudes on the extended brand with cause-related marketing than without one. Consumers have more favorable attitudes toward the extended brand with cause-related marketing than without cause-related marketing whether the similarity between the parent luxury brand and the extended brand is high or low. The cause-related marketing can play a very important role to extend firm`s brand for a luxury product. This study provides meaningful suggestions to companies, considering brand extension without similarity between a parent luxury brand and an extended brand.

      • KCI등재

        상징적 메타포를 활용한 치킨 브랜드 아이덴티티 통합 시스템 구축 방안 - 프랜차이즈 브랜드 ‘다기야’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

        송영은,신재욱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4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2 No.3

        치킨전문점은 오랜 세월이 지나도 변함없는 유망 아이템 으로 안정적인 수요, 수익성, 발전가능성을 모두 갖추고 있다. 한때 조류 독감 파동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소비 회복 이후 경기의 침체 속에서도 시장은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지금까지는 치킨을 먹는 방법 중에서 가장 흔한 형태가 배 달이었지만, 요즘의 트렌드는 매장에서 직접 먹는 형태도 변 화하고 있다. 몸에 이롭지 않은 재료, 차별화 된 맛 또한 치킨 을 선호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이지만, 현재 치킨전문점은 카페형 매장의 컨셉을 지향하며,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반 응을 얻고자 하고 있다. (주)씨랩에서 운영하는 치킨 프랜차이즈 브랜드 다기야는 치킨 다이닝 바의 고급스러운 컨셉을 지향하며 품위 있고 편 안한 공간 연출과 상황버섯과 각종 한약재를 사용한 다기야 만의 노하우로 특허출원을 한 치킨 전문 브랜드이다. 그러나 다기야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는 타 브랜드에 비하여 현저히 낮은 편이기에, 다기야의 브랜드 인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징적 메타포를 활용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시스템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소상공인진흥원의 브랜드 디자인 시스템 개발 과제로 프랜차이즈 치킨 브랜드 ‘다기야’의 B.I 리뉴얼 및 캐 릭터디자인, 패키지디자인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개발에 앞서 동종 업계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현황을 비교․ 분석 후 이에 따른 컨셉과 키워드를 도출하여 세부적인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최종 개발된 다기야의 B·I는 복잡하고 강한 동종업계의 B· I의 조형성을 탈피하고자, 닭의 형태를 조합하여 솟대의 형태 와 조화를 이루도록 디자인하였으며 컬러는 Red계열의 주조 색과 Black컬러의 혼용으로 강한 대비감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캐릭터디자인은 Brown 계열의 컬러를 사용하여 한 방의 재료가 의미하는 상징적 메타포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 였다. 패키지디자인은 다기야만의 그래픽 메타포인 솟대 형 태의 심볼을 적극 반영하여 다양한 패키지 지기구조의 형태 로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치킨 브랜드 다기야는 트렌드에 민 감하며 매장의 분위기를 중요시하게 여기는 젊은 고객층을 타깃으로 새롭고 다양한 디자인 마케팅 접근 방법을 통해 다 기야만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재구축하고자 하는데 의의를 둔다. Chicken store, a steady promising item for a long time, has all characteristics such as stable demand, the potential and profitability. It had its difficulties due to Avain Influenza (AI) but the markets are being expanded steadily after the consumption recovery despite the economic recession. So far, home delivery is the most popular to eat chicken but nowadays the customers eat them in the store for the mselves. Ingredient that is no longer healthy to our body and distinctive taste are the important factor to choose chicken but these days chicken store intends to be café type to meet customers’ taste. dagiya, a chicken franchise brand managed by Sealab Co., Ltd, focuses on luxurious style like a chicken dining bar with grace and convenient space. They also applied for a patent on using Sang Hwang mushrooms and different kinds of medicinal herbs with chicken. However, brand awareness of dagiya is remarkably lower than any other brand, they aimed for brand identity system development using symbolic metaphor to improve brand awareness, to improve brand awarenes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ocus on B·I renewal and character design, cases of package design development of “dagiya”, a franchise chicken brand for a research of brand design system development of the Small Enterprise Development Agency. Before development, compared and analyzed the brand identity of the same field, and worked on detailed development project by deriving concept and keyword accordingly. B·I of dagiya developed finally was designed to harmonize with shape of a pole (signifying prayer for a good harvest) combining shape of chicken to avoid formativeness of B·I of the same field, which is complicated and strong, and is to deliver strong feeling of contrast mixing dominant color in red and black color. Character design is to deliver symbolic metaphor that represents Chinese medicine using brown color. Package design is to deliver brand identity with different kinds of package types accepting actively symbol of shape of a pole, a graphic metaphor of dagiya. dagiya, a chicken brand developed by this study regards as important to restructure brand identity of dagiya only, through marketing approach on new and various designs for young consumers who are sensitive about the trends and care about atmosphere of st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