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원봉사활동 참여자의 지속의지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

        배성은(Bai Seong Eun),김태진(Kim Tae Jin),정윤수(Jung Yoon Soo)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5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47 No.-

        본 연구는 자원봉사활동 기관의 관점에서 자원봉사 관리 및 자원봉사 업무의 직무특성이 자원봉사자의 자원봉사활동 지속의지에 어떠한 영향력을 갖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자원봉사활동 지속의지를 일반적인 자원봉사활동 지속의지와 동일 기관내에서의 자원봉사활동 지속의지로 세분화하여 각각의 영향요인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내 30개 기관 781명의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OLS 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해 제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인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의지에 있어서는 자원봉사 관리 중 교육훈련 및 지도관리 요인과 자원봉사활동 직무특성이 중요한 영향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동일 기관내의 자원봉사활동 지속의지에 있어서는 자원봉사활동 직무특성이 정적인 방향(+)에서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같은 연구결과는 자원봉사활동을 주된 자원으로 활용하는 자원봉사활동 기관에서 자원봉사자의 활동에 대한 지속의지를 고취시키기 위해서 체계적인 자원봉사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며, 특히 기관에서 우수한 자원봉사활동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활용하기 위해서 자원봉사 업무의 직무설계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한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sustained commitment of volunteers in volunteer organizations in Seoul, examining the effects of management and al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jobs. For this study, we conducted a survey of 781 volunteer participants in the 30 organizations in Seoul.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OLS regression analysis. Three components were found to influence sustained commitment to volunteering: education and training, administrative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the job. There wer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the motivation of the volunteers to continue within the organizations. Research findings recommended that management focus on commitment to volunteers, developing job designs to promote satisfaction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the excellent volunteers at the organizations.

      • KCI등재

        자원봉사자의 자아실현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참여동기,봉사만족도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

        이애련 ( Ae Lyeon Lee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6 유라시아연구 Vol.13 No.2

        자원봉사활동은 우리 사회가 복지사회를 지향하면서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이에 시민의 참여활동을 새롭게 인식하면서 봉사활동 참여와 함께 이를 통해 욕구를 실현하려는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성남시 자원봉사센터의 자원봉사자 394명을 중심으로 자아실현자원봉사활동에 관련변인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참여동기, 봉사만족도, 자아실현봉사활동이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라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t-test, ANOVA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원봉사자의 자아실현자원봉사활동은 인구학적 요인(성별, 연령, 소득수준, 종교, 봉사횟수)과 사회학적 요인(생활활용, 참여적극성, 참여보람)이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학적인 요인에 있어 여성은 동료와의 관계, 참여동기가 높은 것으로 봉사의 보람과 함께 봉사하는 동료들과 서로 인정하고 격려하며 원만한 인간관계를 통하여 참여동기를 느끼는 것이 남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있어 관심지지도는 50대가 높으며, 나이가 많을수록 원만한 인간관계를 가지며 자아실현자원봉사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은퇴 후의 생활에 있어 삶에 대한 욕구 및 자아실현을 봉사활동을 통해 하려는 것과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자원봉사횟수는 주 4회이상으로 봉사시간이 많아질수록 가족이나 주위사람들의 관심지지도가 높고, 동료와의 관계가 좋아지며 봉사지속의지가 높아 봉사를 통해 욕구충족과 함께 생활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봉사횟수가 많아짐에 따라 자신을 유용한 존재라고 느끼고 삶에 의미를 부여하면서 자아실현자원봉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학적인 요인에 있어 봉사활동을 자신의 일상생활에 활용하고, 적극적으로 활동에 참여하며, 봉사활동을 통해 보람을 느끼는 것이 주의사람이나 가족으로 부터 받는 관심지지도, 봉사활동을 통해서 만나는 담당자와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봉사활동을 하면서 느끼는 봉사업무흥미도, 봉사를 지속하겠다는 지속의지, 봉사에 참여하게 되는 참여동기, 봉사를 통해서 느끼는 만족도, 자아실현봉사활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참여동기, 봉사만족도, 자아실현자원봉사활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1단계에서는 연령이 많을수록, 봉사횟수가 주 1회이상 일수록, 생활활용이 높을수록 자아실현자원봉사활동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단계는 관심지지도가 많을수록, 담당자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자아실현자원봉사활동 정도가 높으며. 3단계에서는 생활활용이 많을수록, 가족이나 주위사람들의 관심지지도가 높을수록, 자원봉사활동에 참여동기가 높을수록 자아실현봉사활동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 자원봉사활동은 자신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을 도와주면서 신체적, 정신적, 감정적으로 건강한 삶을 바탕으로 보람있는 삶을 체험하는 생활의 질적인 측면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또한 봉사활동에 참여하는 동기가 높아 봉사활동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으며, 가족이나 주위사람으로 부터 관심을 받아 봉사활동의 효과가 극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봉사활동을 통해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잠재능력을 개발하고 활용할 수 있으며 자아실현을 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함께 체계적인 자원봉사 네트워크 구축이 마련되어야 한다. This study is self-realization of around 394 people to volunteer Volunteer Center Volunteer activities related variables were analyzed the affected on.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volunteer satisfaction, self-realization volunteering was conducted t- test, ANOVA analysis to determine the effect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Volunteers self-realization of the volunteer demographic factors (gender, age, income, religion, and service number) and sociological factors (living utilization and participation activeness, participation and rewarding)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this. As in demographic factors, women are highly relevant, Motivation with colleagues than men, women are to be higher than men recognized each other fellow to serve with rewarding volunteer and encouragement and to feel Motivation through harmonious relationship appear. Age approval rating is high interest in exchange for 50, it showed that age has a more harmonious relationship the higher the self-realization volunteering. It is related that in life after retirement to self-realization through volunteering the desire for life. Service number was found weeks more the service time increased by four times or more the higher the approval rating interested people family and around good relationships with fellow increased, service continued willingness, through service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with the desire to meet. Also it showed their presence felt as useful, depending on the number of service increased, giving meaning to the life of a volunteer self-realization. In the sociological factors utilized to volunteer in life, and actively participate in volunteer activities, approval ratings to interested feel rewarded through volunteering, relationships with staff, relationship, serving business interests and associates, serve sustainable commitment, showed that high volunteer participation motivation, service satisfaction, self-realization. A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impact on Motivation, service satisfaction, self-realization volunteering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conducted. The more one stage, age, number of times the service the more per week, higher living utilization showed a high degree of self-realization volunteering. The second phase is more interested in approval ratings, The better the relationship with the team showed a high degree of self-realization volunteering. In Step 3, the more lives leverage, the higher the approval rating of interested families and the people around, the higher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showed a high degree of self-realization. Therefore, future volunteer activities while helping those who need their help should focus on the qualitative aspects of life to experience the rewarding life based on the physical, mental and emotionally healthy life. Also must be able to continuously increase the motivation to volunteer to participate in volunteer activities, they receive the attention from family and people around should be made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volunteer activiti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service activities and the potential that they have to be prepared to take advantage and build systematic volunteer network with a variety of programs that can self-realization.

      • KCI등재

        장.노년자원봉사자의 봉사활동인식 영향요인 연구

        김인하(Inha Kim),구혜영(Hyeyoung Koo) 한국NGO학회 2020 NGO연구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봉사단체에서 활동하고 있는 장・노년자원봉사자들의 활동만족도, 활동참여의지, 사회적 관계망 수준이 봉사활동인식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연구하는데 있다. 또한 봉사활동인식을 신체적 인식, 심리적 인식, 사회적 인식으로 구분하여 살펴봄으로써 보다 종합적인 차원의 봉사활동인식을 높일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심층적으로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5개지역 9개 봉사단체에서 활동하고 있는 장・노년기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1개월(2019년 5월)동안 설문조사하여 257명이 응답한 결과에 대해 회귀분석 통계방법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자원봉사자의 활동만족도, 활동참여의지, 사회적관계망은 봉사활동인식에 있어 정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수의 하위요소들과의 영향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활동만족도, 사회적 관계망은 봉사활동에 의한 신체적 인식에 정적인 영향관계를 보였고, 활동만족도, 활동참여의지, 사회적 관계망은 봉사활동에 의한 심리적 인식에 정적인 영향관계를 보였다. 또한 활동만족도, 활동참여의지, 사회적 관계망도 봉사활동에 의한 사회적 인식에 정적인 영향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자원봉사 활동현장이나 자원봉사자 관리에 있어, 자원봉사자의 활동만족도, 활동참여의지, 사회적관계망 등을 확대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및 관리기법, 효과적인 자원봉사활동 지원방법 등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tivity satisfaction, activity participation, activity relationship and other relevant factors which might affect the volunteering perception of volunteers in the advanced and old age in an integrated way. The volunteering perception of volunteers in the advanced and old age was classified into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Perception as to acquire precise understanding and find practical implication for developing volunteering Perception. To achieve this goal, 270 of the volunteers in advanced and old age in 9 Senior welfare centers and volunteer centers of Seoul City 5 areas were surveyed for 1 month(May, 2019) and 257 of their answers were analyzed based on regression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appeared that activity satisfaction(+), activity participation(+), activity relationship(+) had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volunteering perception of volunteers in the advanced and old age. In detail, activity satisfaction(+) and activity relationship(+) had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volunteering physical Perception, activity satisfaction(+), activity participation(+), activity relationship(+) had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volunteering psychological perception and activity satisfaction(+), activity participation(+), activity relationship(+) had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volunteering social perception of volunteers in the advanced and old age. On a basis of these results, guide and assist in order to develop volunteering perception by increasing activity satisfaction, activity participation, activity relationship of volunteers in the advanced and old age.

      • 자원봉사 교육프로그램이 봉사활동 도움에 관한 연구

        김창래 ( Changlae Kim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16 사회복지경영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자원봉사자들의 욕구에 미치는 각종 요인들을 조사, 분석 하여 자원봉사 교육프로그램에 제공하여 자원봉사활동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를 분석결과, 교육프로그램이 봉사활동에 도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검증 가설을 더 명확히 하기 위해 자원봉사 교육프로그램이 봉사활동에 도움여부를 검증해 보고자 T-검정, F-검정,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육프로그램 수강여부, 참여여부가 유의미한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봉사 교육프로그램 수강여부에 따른 봉사활동에 있어서 교육의 필요성 인식의 수강여부에 따라 차이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봉사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는 봉사자가 봉사활동에 도움이 높았다. 따라서 자원봉사프로그램 참여여부에 따라 봉사활동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 많은 봉사자를 프로그램을 참여시키기 위해선 다양한 자원봉사 프로그램 개발 등이 있어야 될 것으로 여겨진다. 자원봉사 교육프로그램 수강여부가 봉사활동에 도움을 주는지 여부는 자원봉사 교육프로그램을 수강한 적이 있는 봉사자가 수강하지 않는 봉사자 보다 자원봉사활동에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고 있다. 수강한 봉사자가 자원봉사활동에 도움이 되고 있음을 보여줌에 따라 교육수강여부가 봉사활동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론을 통해 본 연구는 보다 체계적인 교육훈련을 통해 자원봉사자가 봉사활동을 전개할 때 좋은 인식하는데 좋은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various factors on the needs of volunteers, the analysis provided by the volunteer training program aims to help you become a volunteer.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survey study was conducted with 350 volunteers, the name of the activity Donghae, was used in the analysis unit 312 to recover a total of 320 parts. The survey data analysis of respondents are directly written was recovered was analyzed using the program SPSSWIN 12.0. In this study, saw analyze whether aid in volunteer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whether to take such Whether participation, volunteer programs of educational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training program to analyze the data showed that the difference in volunteering to help. The earlier proposed a "volunteer training program will help you to volunteer. It was set up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detailed study hypothesis that ", a study tested the hypothesis is as follows. Prior to analysis to examine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respondents variables affecting the need for voluntary training program were performed factor `analysis. A response to the need for voluntary training sequence because it is a qualitative variable having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income, age and education have been analyzed to a significant impact on under 10% level of significance was that it does not conflict with the verification results for the following hypothesis. After a test the hypothesis is as follows. Hypothesis 1 "whether to take the training program will be different volunteer help."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were able to fi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whether you attend. Analyze the results of the two hypotheses "training time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volunteering" could not fi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Hypothesis 3 "will differ on whether the volunteer help of the institutions` analysis of the result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s validation is a volunteer training program to more clearly evaluate and verify the hypothesis whether the volunteering help black T-, F- test,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by the result, whether training courses, showed a significant variable in whether to participate. Showed that, depending on whether the difference is of course aware of the need for education in volunteer activities, depending on whether they attend a volunteer training program. The volunteers who have participated in volunteer programs were helpful in volunteering. Therefore, depending on whether the volunteer program participation showed that the difference in service. In order to engage more volunteers program it must be considered, such as the development of a variety of volunteer programs. Whether a volunteer training program course how to help volunteer is aware of whether or not that helpful in volunteering than volunteers are volunteers who have taken the volunteer training program that does not attend. According to show that there is a course to help volunteers and volunteering showed that whether training course to help volunteer. In this study through the same conclusion could be a good way to recognize good when the volunteers through a more systematic education and training to deploy the service.

      • KCI등재

        교육정책 변화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청소년 봉사활동 활성화에 관한 질적 연구

        조미영,장여옥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23 청소년시설환경 Vol.21 No.1

        본 연구는 교육정책의 변화로 위축되고 있는 청소년 봉사활동의 활성화를 위하여 봉사활동을 운영하는 중·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청소년 봉사활동에 필요한 활성화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고등학교에서 봉사활동을 담당한 경험이 있는 교사 6명을 선정하여 2022년 9월 21일에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인터뷰 질문은 연구진간 충분한 논의를 거쳐 도출한 반구조화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에서 3개의 대주제와 9개의 하위주제, 9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첫째, ‘제도 변화에 대한 교사의 소회’에는 봉사활동 축소 및 위축에 대한 우려 그리고 안타까움, 배움이 필요한 봉사의 교육기획 상실과 신규제도 접목에 대한 난감함, 봉사활동의 질적 변화 및 수업과정 편입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드러났다. 둘째, ‘봉사활동 운영의 현실적 난제’에는 교육과정 실현의 구체성 및 여력의 부재, 소집단 봉사활동 실현의 교사 책임 집중 및 기록방법의 부재, 교육계획 수립의 현실성 및 실현성 부재가 제시되었다. 셋째, ‘봉사활동 운영을 위한 제안’에는 학습효과와 내실을 갖추기 위한 봉사과목 도입 및 자유학기제 연계, 더 큰 도약을 위한 지역사회 관련 기관 및 전문가와의 연계, 의미 있는 봉사활동을 인정하기 위한 제한 사항 완화가 제시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봉사과목 개발, 동아리 및 진로활동에서 봉사활동을 추진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 마련, 지역사회 관련기관 및 교사가 함께 하는 봉사활동 전문가 간담회, 사회문제 발견 및 사회참여 측면에서 봉사활동의 질적 접근 필요 등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청소년의 봉사활동 참여유형이 진로성숙도,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안재진 ( Ahn Jaejin ),김선숙 ( Kim Sun-suk ),이경상 ( Lee Kyeong-sang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7 청소년복지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청소년 자원봉사활동 유형에 따라 진로성숙도와 공동체의식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자원봉사활동이 청소년들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2015년 청소년 나눔활동 실태조사에 참여한 초등학교(4~6학년), 중학교(1~3학년), 고등학교(1~3학년)에 재학 중인 청소년 7,052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학교에서 교육과정으로 계획한 봉사활동과 스스로 계획한 봉사활동의 두 유형으로 크게 나눠 살펴보면, 학교에서 교육과정으로 계획한 봉사활동 참여유형 중에서는 캠페인활동만이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와 공동체 의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스스로 계획한 봉사활동 참여유형 중에서는 교내봉사활동, 지역사회봉사활동, 자연환경보호활동이 모두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역사회봉사활동과 자연환경보호활동이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학교에서 교육과정으로 계획한 봉사활동보다는 스스로 계획한 봉사활동이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발달 및 공동체의식 발달에 더 큰 영향력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으나, 캠페인 활동의 경우, 학교 교육과정으로 계획한 봉사활동이 스스로 계획한 봉사활동보다 오히려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봉사활동 유형에 따라 학교주도와 개인주도 활동의 영향력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보다 효과적인 봉사활동을 위해서는 봉사활동 유형별로 보다 효과적인 방향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우리나라 청소년자원봉사활동의 운영계획에 대한 구체적인 정책방향을 제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fferences in adolescents` career maturity and the sense of community depending on the types of volunteer activities. The data of the 2015 survey on the State of Adolescent Sharing Activities (SASA) conduct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 in Korea was analyzed. Participants (N: 7,052) were primary school students from the 4th grade to the 6th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Results showed that among volunteer activities designed for school educational courses, only the campaigning activ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adolescents` career maturity and their sense of community. On the other hand, among self-planned volunteer activities, three types of volunteer activities (school volunteer activity, community activity, and environment conservation activity) were closely connected to the level of adolescents` career maturity. In particular, community activity and environment conservation activity significantly influenced their sense of community. It was found that the self-planned volunteer activities were more influential than volunteer activities designed for school educational courses. However, in case of the campaigning activity, the result was opposite.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to improve policy and its execution for Korean adolescents` volunteer activities.

      • 교육봉사 시행기관의 관점으로 본 예비교사 교육봉사활동에 대한 인식 연구

        김용현, 최리, 장영윤 국립공주대학교 교직부 2021 공주대학교 예비교사 교육연구 Vol.1 No.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의 교육봉사활동이 주로 이뤄지는 교육봉사 시행기관의 담당자는 예비교사의 교육봉사활동에서 어떤 점을 긍정적 측면 또는 개선이 필요한 점으로 인식하고 있는지를 반 구조화된 면담 형식을 통해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현행 예비교사의 교육봉사활동은 예비교사들의 교사로서의 인성 함양과 현장직무능력 강화에 도움이 되며 학습 부진아 및 사회취약계층 등 현직 교사가 담당하기 어려운 부분에서 교육지원이 이뤄질 수 있다는 긍정적 측면이 있었다. 그러나 교육봉사활동을 하는 예비교사의 태도·복장 등의 문제가 종종 발견되었으며, 교육봉사자가 안전사고를 당했을 때 이에 대한 구제 대책이 미비하다는 개선점 또한 존재했다. 그리고 연구 참여자별로 의견이 나뉘는 점 또한 존재했다. 교육봉사가 불연속적으로 이뤄지는 현행 방식은 교육봉사활동의 유형에 따라 다르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학교 급에 맞지 않게 교육봉사활동을 하는 경우, 예비교사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한다는 장점을 언급한 연구 참여자가 있는 반면, 예비교사의 전문성이 떨어져 학생들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 60시간의 의무 교육봉사활동 시간에 대해서는 예비교사의 입장에서 보면 많을 것이라는 의견과 기관의 입장에서는 시간이 부족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는 의견으로 나뉘었다. 그리고 현행 교육봉사활동 체제는 봉사에 대한 좋지 않은 가치관을 심어줄 수 있다는 인식을 가진 연구 참여자도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면 첫째, 예비교사의 교육봉사활동이 이뤄지기 전에 교육봉사활동 중 지켜야 할 예의·태도 등에 대한 사전 교육을 시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봉사활동 현장에서 우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교육봉사자의 안전사고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히 도입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예비교사의 교육봉사활동 제도에서 교육봉사활동이 주로 시행되는 기관의 입장을 반영하여 진행하는 숙의 과정을 거칠 필요가 있다. 넷째, 예비교사의 교육봉사활동이 주기적으로 이뤄지는 기관에 대하여 설문이나 면담 등을 통한 의견 수렴이 시행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봉사활동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과 실태 분석

        이규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what attitude elementary students have toward service activities when they volunteer for the activities, and to seek for effective instruction on the service activities in an elementary school. For this, the concept, the changing pattern, and the precedent studies of service activities were briefly review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the sixth grade students(345 students) in an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following problems should be solved in order to promote the service activities in an elementary school in the future. First, to change the way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 service activities, the instruction on the way to understand and perform service activities, the need, and the procedures to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should be given. Second, the service activities should be deliberately planned and guided by a school because they are one of the learning activities that help students form desirable personality through experiences. Third, it is required that diversified program for service activities should be develop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participate in. Fourth, as the lack of understanding the organizations or groups in need of service activities hindered the promotion of service activities, the measures against it should be prepared in order to attract the vigorous and active participation of students in service activities.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학생들이 봉사활동에 대하여 어떤 인식을 가지고 봉사활동에 참여하고 활동하는지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여 초등학교 봉사활동의 효율적인 지도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봉사활동의 개념과 변화 방향 및 선행연구를 간략하게 개관하고, 초등학교 6학년 학생(3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향후 초등학교에서 봉사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봉사활동과 관련한 초등학생들의 인식 전환을 위해 봉사활동에 대한 이해와 방법, 필요성, 참여 절차 등에 대한 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봉사활동은 학생들의 체험을 통해 바람직한 인격을 형성해 나가는 봉사학습이므로 초등학교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봉사활동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봉사활동 참여 기관이나 단체에 대한 이해 부족이 봉사활동 활성화의 저해 요인으로 나타나 학생들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위해서는 이에 대한 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봉사활동 참여가 고등학생의 공동체 의식 및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경향점수 매칭과 이중차분 추정기법 활용

        전현정(田賢貞),정혜원(鄭蕙苑)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아시아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봉사활동 참여가 고등학생의 공동체 의식과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순수한 의미의 영향력을 분석하고 봉사활동에 참여하게 된 동기에 따른 공동체 의식과 진로정체감 차이 여부를 검증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자료의 고등학교 1학년~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추적 조사한 중1 4차~6차년도 자료를 경향점수 매칭 방법과 이중차분 추정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봉사활동, 공동체 의식, 진로정체감과 관련된 공변인들을 통제한 뒤, 공동체 의식과 진로정체감에 대한 봉사활동의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으며 고등학생들의 공동체 의식에 대한 학생 개체특성과 시간특성을 고려한 봉사활동 참여의 순수 한계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향점수 매칭 전에는 봉사활동 참여가 공동체 의식과 진로정체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경향점수 매칭 후에는 봉사활동 참여 여부에 따른 집단 간 공동체 의식과 진로정체감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봉사활동에 참여하게 된 동기에 따라 고등학생이 느끼는 공동체 의식과 진로정체감에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살펴본 결과, 자발적으로 봉사활동에 참여한 집단이 비자발적으로 봉사활동에 참여한 집단에 비해 공동체 의식과 진로정체감이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교 시기 학생들의 공동체 의식과 진로정체감 향상에 단순한 봉사활동 참여 여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떠한 목적의식을 지니고 봉사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학생 스스로 계획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형태의 봉사활동이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봉사활동 추진 정책 개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volunteer activity on the sense of community and the career identity of high school student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the sense of community and career identity according to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volunteer activity. To this end, different-in-different and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was adapted to data collected by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from Wave Ⅳ (10th grade) to Wave Ⅵ (12th grad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fter controlling covariates related to volunteer activities, sense of community and career identity,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volunteer activities on sense of community and career identit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dditionally, after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ense of community and the career identity due to volunteering activity participation. However, as a result of examine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sense of community and career identity according to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in volunteer activities, it was found that voluntarily participating group had higher sense of community and career identity than involuntarily participating group. This indicates that it is necessary to voluntarily participate in volunteer activities in order to improve their sense of community and career identity for high school student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effective volunteer activity promotion policy were discussed.

      • KCI등재

        고교시절 사회봉사활동 관련요인이 대학생 자원봉사활동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영숙 ( Young Suk Seo ),남진열 ( Chin Yeol Nam ),김상미 ( Sang Mi Kim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2 청소년복지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고교시절 사회봉사활동의 관련요인을 개인적 요인과 경험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대학생 자원봉사활동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제주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J대학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2011년 9월 26일부터 5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분석에 사용된 연구대상은 남학생 156명, 여학생 174명 총 330명이며, 수집한 자료는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χ2검증, 상관관계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대학생의 자원봉사활동 지속성에서 고교시절 개인의 배경 요인 중 봉사활동 기관결정자, 참여태도, 사전교육 여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봉사활동 기관을 자신이 결정하였을 때, 고교시절 사회봉사활동 참여태도가 적극적이었을 때 등이 대학생의 자원봉사활동을 지속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자원봉사활동 지속성에서 고교시절 사회봉사활동 배경요인 중 봉사활동기관 담당자와의 관계, 이타성(+)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봉사활동기관 담당자와의 관계와 대학생 자원봉사활동 지속에서는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부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연구에서 사회봉사활동을 자원봉사활동으로 지속시키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모색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요구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factor of social service activity in high school influencing upon continuation of university students`s volunteering activity. The subjects were 330 university students in Jeju an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male students 156, female students 174.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χ2, Pearson`s correlation,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related factor in high school period and volunteering activity experience in univers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decider of organization for volunteering activity, participation attitude, whether preliminary education exists or not. When an attendant decided organization for volunteering activity by "myself", there was experience of volunteering activity in university. When an attendant actively participated in social service activity in high school, there was experience of volunteering activity in universit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factor of social service activity experience in high school influencing upon continuation of volunteering activity in university,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s in relationship with person in charge in volunteering activity organization and altruism. On the other hand, in the relationship with person in charge in volunteering activity organization and experience of volunteering activity in university, there was variable giving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s. In the future, various study is required to explore factor that makes social service activity lead to volunteering a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