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봉사활동 참여유형이 진로성숙도,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안재진 ( Ahn Jaejin ),김선숙 ( Kim Sun-suk ),이경상 ( Lee Kyeong-sang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7 청소년복지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청소년 자원봉사활동 유형에 따라 진로성숙도와 공동체의식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자원봉사활동이 청소년들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2015년 청소년 나눔활동 실태조사에 참여한 초등학교(4~6학년), 중학교(1~3학년), 고등학교(1~3학년)에 재학 중인 청소년 7,052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학교에서 교육과정으로 계획한 봉사활동과 스스로 계획한 봉사활동의 두 유형으로 크게 나눠 살펴보면, 학교에서 교육과정으로 계획한 봉사활동 참여유형 중에서는 캠페인활동만이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와 공동체 의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스스로 계획한 봉사활동 참여유형 중에서는 교내봉사활동, 지역사회봉사활동, 자연환경보호활동이 모두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역사회봉사활동과 자연환경보호활동이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학교에서 교육과정으로 계획한 봉사활동보다는 스스로 계획한 봉사활동이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발달 및 공동체의식 발달에 더 큰 영향력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으나, 캠페인 활동의 경우, 학교 교육과정으로 계획한 봉사활동이 스스로 계획한 봉사활동보다 오히려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봉사활동 유형에 따라 학교주도와 개인주도 활동의 영향력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보다 효과적인 봉사활동을 위해서는 봉사활동 유형별로 보다 효과적인 방향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우리나라 청소년자원봉사활동의 운영계획에 대한 구체적인 정책방향을 제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fferences in adolescents` career maturity and the sense of community depending on the types of volunteer activities. The data of the 2015 survey on the State of Adolescent Sharing Activities (SASA) conduct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 in Korea was analyzed. Participants (N: 7,052) were primary school students from the 4th grade to the 6th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Results showed that among volunteer activities designed for school educational courses, only the campaigning activ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adolescents` career maturity and their sense of community. On the other hand, among self-planned volunteer activities, three types of volunteer activities (school volunteer activity, community activity, and environment conservation activity) were closely connected to the level of adolescents` career maturity. In particular, community activity and environment conservation activity significantly influenced their sense of community. It was found that the self-planned volunteer activities were more influential than volunteer activities designed for school educational courses. However, in case of the campaigning activity, the result was opposite.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to improve policy and its execution for Korean adolescents` volunteer activities.

      • KCI등재

        장애를 가진 아동의 행복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장애와 아동기 경험의 교차점에서

        안재진(Ahn, Jaejin),이신혜(Lee, Shinhye),이아영(Lee, Ahyoung)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21 미래사회복지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생애주기 상 아동기를 지나고 있으면서 장애인으로서의 경험이 교차하는 지점에 있는 장애아동들의 ‘행복’에 대한 주관적 경험을 탐색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5개 장애 유형(총 16명)의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장애유형별 집단면접을 실시하였고, 주제분석방법(Thematic analysis) 을 활용하여 5개의 핵심주제와 19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핵심주제는 ‘장애아동들이 생각하는 행복’, ‘비장애아동과 다름없는 일상의 행복요인’, ‘장애로 인한 일상생활의 제약’, ‘주변인들의 인식과 태도’, ‘미래에 대한 준비’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장애아동들은 비장애 아동들과 다르지 않은 일상을 살아가고, 소소한 취미에서 즐거움을 느끼며 시험성적과 친구 및 가족과의 관계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장애로 인해 일상생활에서의 제약을 경험하고, 주변 사람들의 편견과 부정적 시선으로 인해 상처받은 경험이 있었다. 또한 앞으로 미래를 준비하는데 있어서도 직면할 미래에 대한 두려움과 고민, 희망이 교차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아동에 대한 연구와 실천에 있어 ‘장애를 가진 아동’으로서, 아동기와 장애의 교차성과 개별성에 기반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논하고, 장애아동의 행복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환경체계의 개선 및 장애 인식개선, 아동의 교육참여 및 진로탐색을 위한 지원과 참여권 증진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happiness of disabled children at the intersection of their experiences as disabled throughout their childhood.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16 children with 5 types of disabilities, and categorized the daily lives of disabled children through content analysis, and five key topics and 19 subtopics were derived using thematic analysis method. Disabled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live daily lives that are no different from those of non-disabled children, feel joy in small hobbies, and are affected by test scores and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family.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y have experienced restrictions in their daily lives due to disabilities, and have been hurt by prejudice and negative views from people around them. Also, in preparing for the future, they showed mixed feelings of fears, worries and hopes for the future.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the need for an individualized approach based on the intersection and individuality of childhood and disability in research and practice of disabled children, and proposed the need to improve the environmental system, improve disability awareness, children s participation in education and career exploration.

      • KCI등재

        입양아동의 문제행동이 학교적응을 매개로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안재진(Ahn, Jaejin),최운선(Choi, Woonsun),권지성(Kwon, Jisung),변미희(Byun, Mihee) 한국아동복지학회 2019 한국아동복지학 Vol.- No.66

        본 연구는 ‘입양아동 발달에 관한 6차년도 양적 종단조사’의 자료 중 초등학교 4학년 이상 아동의 자료를 이용하여 입양아동의 문제행동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선행연구에 기반하여 아동의 문제행동이 학교적응을 매개로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한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경로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경로분석을 실시하기 전, 입양아동의 학업성취도를 비입양아동과 비교해본 결과, 입양아동이 주관적으로 인식한 학업성취도는 비입양아동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았으며, 특히 중고등학생 시기에 입양아동의 주관적 학업성취도가 비입양아동에 비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로분석 결과, 입양아동의 문제행동은 입양아동의 학업성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학교적응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의 문제행동은 학교적응에 부적 영향을 미쳤고, 학교적응은 아동의 학업성취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한편 통제변수 중에는 연장아 여부와 가구소득이 아동의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입양아동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서비스 및 정책방안들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problem behavior,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Korean adopted children. Based on previous research findings,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problem behavior on the academic of adopted children via school adjustment. subsample (4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older children) of 6th wave data of Panel study on the Korean adopted children was used for analysis and path analysis was employed. Path analysis,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 of adopted children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on-adopted children. The results of path analysis showed that the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indirectly affected their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school adjustment. Among the control variables, age at adoption and household income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adopte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results, some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to increase adopte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during the adolescenc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의 여가활동이 공동체의식 발달에 미치는 영향: 자원봉사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선숙 ( Kim Sun-suk ),안재진 ( Ahn Jaejin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6 청소년복지연구 Vol.18 No.4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여가활동이 공동체의식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자원봉사활동이 청소년의 공동체의식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자원봉사활동의 영향력을 통제한 상태에서 다른 여가활동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자원봉사활동 유무에 따라 집단을 구분한 후 각 집단에서 여가활동이 공동체의식 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분석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중<sub>1</sub> 패널자료로, 종속변수로 사용된 공동체의식은 1차년도(2010년)에서 5차년도(2014년)까지의 자료이며, 그 이외의 변수들은 모두 1차년도인 2010년도 자료이다. 연구결과 자원봉사활동을 경험한 청소년 집단의 경우, 공동체의식 초기값은 오락 및 TV시청 시간이 짧을수록, 독서시간이 길수록, 그리고 여학생일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봉사 비경험집단의 경우 또한 오락 및 TV시청 시간이 짧을수록, 독서시간이 길수록 공동체의식의 초기값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여가활동이 공동체의식의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 또한 자원봉사활동경험집단과 비경험 집단간에 차이를 보였다. 즉, 자원봉사활동 경험집단의 경우 중 1시기에 독서로 여가를 보내는 시간이 긴 청소년일수록 공동체 의식의 변화율이 오히려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원봉사활동 비경험집단의 경우는 청소년의 여가활동이 공동체 의식의 변화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olescents` leisure activities on developing sense of community. Especially, now that the volunteer activity was considered as one of major factors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 after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their experiences of volunteer work, the difference of the impact between groups on sense of community was examined controlling the influence of volunteering and factors influencing other leisure activities. The data of 1st grade students of middle school from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were used. The first (2010) to fifth (2014) wave data were used to follow the development of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 and the first wave data was used for other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in both the group with experience of volunteer work and the group without experience of volunteer work, the initial value of sense of community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time spent on video games and TV, and positively relevant to the time spent on reading. Also, girls had a higher level of initial value of sense of community.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groups when it came to impact of the leisure activity on the rate of change of sense of community. As a result of this, there was little change of sense of community in young adults with experience of volunteering and with long time spent on reading in their extra time during the period of the 1st grade of middle school. Their leisure activities did not affect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

      • KCI등재
      • KCI등재

        입양환경 변화에 따른 입양기관의 역할 재정립에 관한 입양기관 실무자 의견조사

        변미희(Mi-hee Byun),안재진(Jaejin Ahn),신혜령(Hea-reong Shin) 한국아동복지학회 2016 한국아동복지학 Vol.- No.54

        본 연구는 입양특례법의 개정과 헤이그국제아동입양협약 비준을 앞두고 있는 국내외 입양환경의 변화에 맞서, 효과적인 입양실천을 위해 입양기관의 역할 재정립 방안을 모색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제안하기 위한 정책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주요 선진국의 입양사업 특성과 입양기관의 역할을 분석하고, 국내 입양기관 실무자를 대상으로 간담회 및 설문조사를 통해 입양특례법 개정 후 현장에서 체감하는 실질적인 변화 및 입양실천에서의 문제점, 향후 개선사항 등 변화하는 입양환경을 진단하고, 앞으로 국내 및 국제입양에서 예측되는 변화에 따라 입양기관에게 요구되는 역할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문헌조사 및 실무자 조사에 대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입양사업의 방향성과 입양기관의 변화된 역할 및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 policy research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finding new roles for adoption agencies and suggesting future tasks for effective adoption practice in Korea.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adoption practices and the roles of adoption agencies in four countries (U.K., Sweden, U.S.A. and Hong Kong) and conducted a survey of the staff members of adoption agencies in Korea. The survey questions included: (1) the real changes and problems they feel in the adoption field after the amendment to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adoption"in 2012; (2) the prospects for change in the future; and (3) the new roles they expect in the changing context. Based on the review of foreign cases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future direction of adoption practice in Korea and the new roles and tasks of adoption agencies were suggested.

      • KCI등재
      • KCI등재

        성인 입양인의 정체성에 대한 질적 연구 -맥락-패턴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권지성 ( Kwon Ji Sung ),최운선 ( Choi Woon Sun ),변미희 ( Byun Mi Hee ),안재진 ( Ahn Jaejin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21 한국가족복지학 Vol.6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성인이 된 입양인들이 발달과정을 통해 형성해 온 정체성의 맥락과 패턴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만 18세 이상의 성인 입양인 11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맥락-패턴 접근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성인 입양인 정체성의 패턴은 자아 정체성과 입양가족 정체성, 원가족 정체성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성인 입양인이 형성한 정체성의 맥락에는 입양가족의 맥락, 입양공동체 맥락, 친생부모 체계의 맥락과 사회환경 체계의 맥락이 연결되어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입양인의 정체성이 자기정체성 이외에 입양가족 정체성 및 원가족 정체성과 연결되고 통합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정체성에 대한 입양 공동체와 사회환경 체계의 영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했다는 점에서 선행연구들과 차별화된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입양인들의 정체성 형성과 관련하여 고려해야 할 실천지침들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ntext and patterns of identity that currently adult adoptees have formed through the development process.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1 adult adoptees (over 18 years old) and analyzed with a context-pattern approach. The analytic results revealed that identity patterns of adult adoptees consist of ego-identity, adoptive family identity, and birth family identity. Also, the context of identity development was related with adoptive family context, adoption community context, birth parent context, and social environmental system context. This study is distinguished from previous ones in that it has found that the adoptee’s identity can be related to and integrated with the adoptive family identity and birth family identity as well as ego-identity and how specifically adoption community and social environmental system impact on adoption identity.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practical guidelines related to adoptee’s identity development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