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의정(義淨)의 번역어 치목(齒木, danta-kāṣṭha)에 관한 고찰

        양경인 회당학회 2013 회당학보 Vol.18 No.-

        danta-kāṣṭha의 전래는 중국에서 사용된 번역어 ‘양지’가 널리 통용 되고, 다시 동아시아 전역에 전파되며, 언어의 변화는 물론 규칙적으 로 이를 닦는 문화와 관습의 정착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 다. 우리나라의 경우 양지가 양짓물, 양치(養齒), 양치질로 변용되고, 다시 그 도구에 의미를 부여한 칫솔과 칫솔질로 혼용되는 과정을 겪었 다. 현대 일본의 경우도 마찬가지인데, ‘요지(ようじ, 楊枝)’와 칫솔은 歯ブラシ로 사용되고 있다. 많은 경전에서 danta-kāṣṭha의 번역어로 양지를 채택하고 있으나 의정만큼은 반드시 ‘치목(齒木)’을 사용하기를 권장한다. 반드시 지켜 져야 할 율장의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명칭의 올바른 사용으로 그 의 미가 더욱 부각되고 강화되어야 하는데, 양지(楊枝)가 번역어로 선택 되어 danta-kāṣṭha의 의미가 전달되지 않은 당시 중국불교 승가의 현 실을 냉철하게 비판한다. 본래의 의미가 퇴색해버린 것을 바로 잡기 위해 『남해기귀내법전』에서 매우 상세한 설명과 더불어 후학들의 바 른 이해를 당부하고 있다. 불전 가운데 치목을 『남해기귀내법전』 만큼 비중 있게 다룬 단일 저술은 없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치목(齒木)’ 씹는 법에서 치목의 소 재와 크기·형태를 비롯하여, 치목이 사용되는 때와 장소, 식사를 비 롯한 일상생활과 스승과 귀빈의 예경과 같은 다양한 상황별 치목사용 법 등이 매우 일목요연하게 정리했다. 치목외에도 양지를 번역어로 채 택하고 있는 다양한 율장을 함께 비교 분석해본 결과 단순한 에티켓을 위한 도구외에도 다양한 규정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치목’과 같이 아주 사소한 불전 번역어라 할지라도 한역불전의 도 처에 산재해 있는 번역어의 다양한 용례와 사례를 분석 비교하고, 변 용의 과정을 추적함으로써 그간 간과하고 있던 내용이나 숨은 의미를 다양하게 해석하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의정의 번역어인 치목(齒木)에 대한 고찰은 7-8세기 인도 당시의 승원생활의 한 단면인 danta-kāṣṭha의 전통을 전해줄 뿐만 아니라 의 정의 번역관을 통해 한역 불전의 번역어 처리에 대한 인식과 방법론을 제고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본다.

      • KCI등재

        메이지의 상상, 번역어의 탄생과 한국 수용 - [economy]가 [경제(經濟)]로 번역되기까지 -

        최경옥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9 비교일본학 Vol.45 No.-

        [경제(經濟)]는 메이지기에 새로이 만들어진 번역어로, 1860년대 일본에서 최초로 번역어 가 나타나기 이전부터, 한중일 삼국에서 [경세제민(經世濟民):나라를 다스리고 백성을 구제한 다]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경제]는 1867년 일본 최초의 서양 경제서적 번역서인 『경제소학 (經濟小學)』이 출간되면서 새로운 의미를 가진 번역어로서 위상을 가지게 된다. 1870년대 후 반부터 1890년대까지는 [economy]의 번역어로 [경제]와 [이재]가 병용되었다. 1890년대 이후 에는 다시 [경제]가 [이재]를 누르고 [economy]의 번역어로 완전히 정착되게 되는데, 이러한 [economy]의 번역어 정착 과정이 복잡하게 된 것은, 메이지기 일본이 [economy]를 어떻게 이 해하고 있었는가의 문제로 귀결될 것이다. 즉, 자유주의 경제학을 주창하던 신고전주의 경제 학이, 메이지기 일본에서 서양경제학의 주류로 등장하면 번역어 [이재]가 강세를 띠었고, 국 가주도의 경제학이 주류로 등장하면, 역사학파 경제학의 성격을 가진 번역어 [경제]가 강세를 띄게 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메이지기 일본에서 [economy]의 번역은, 단순히 서구의 이질적인 자본주의를 받아들려는 것에 목표가 있었다기보다, 국가 발전이라는 궁극적인 목표 에 걸맞는 자본주의의 정수를 받아들이려는 것이 더 높은 목표였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개화기 조선에서 번역어 [경제]가 나타는 것은 1881년 수신사자료에서이나, 근대적 의미를 알고 소개된 것은 『서유견문(1895)』에 와서이다. 상당기간 기존의 [경제]와 함께 사용 되는 과정을 거치다가 1930년대 조선어로 완벽하게 인정받게 된다. This study aims to observe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western concept and word entry [economy] into Japanese, which is the basic concept of modern western ideology. The word entry [economy] was first introduced to Japan in the 1860s through a Japanese foreign language dictionary. From the late 1870's there were multiple discussions of whether [經濟(Keizai)] would be an appropriate translation for [economy], and from that [理財(Rizai)] became an influential word. From the 1880s until the early 1890s [Keizai] and [Rizai] were both used as the translation words for economy but in the 1890s [Keizai] became widely used and settled upon (rather than [Rizai]). The probable reason why [Keizai] surpassed [Rizai] was for the ultimate goal of national development and to better understand western capitalism.

      • KCI등재

        번역어 ‘공민’과 사회과 교육

        차조일 ( Cha Jo Il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8 시민교육연구 Vol.5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 수립기 사회과의 핵심 개념이었던 번역어 공민의 성립 및 의미 변화 과정에 대한 고찰을 통해, 현재 사회과의 핵심 개념인 시민의 체계적 이해를 위한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번역어 공민은 19세기 후반 일본의 근대화 과정에서 참정권을 가진 국민이나 지방민을 의미하는 용어인 ‘staatsburger’나 ‘gemeindeburger’에 대한 번역어로 사용되었지만, 1920년대 서구의 공민 교육 사상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헌법상 권리와 의무가 규정된 국가 구성원으로서의 ‘citizen’ 또는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citizen’의 번역어로도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번역어 공민은 일제 강점기 식민지 조선에서 정치사상이나 지방제도를 소개하는 과정에서 사용되기도 하였지만, 1930년을 전후하여 공민 교육이 도입되면서 본격적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천황제 국가 일본의 식민지인 조선에서 ‘citizen’의 번역어인 ‘공민’은 그 의미에 있어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었다. 해방 이후 민주 정부 수립은 식민지 조선에서 사용되던 번역어 공민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정부 수립기 번역어 공민은 민주 국가 또는 민주주의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새로운 의미를 가지게 되었고, 새롭게 실시되는 민주주의 교육의 목표로서 제시되었을 뿐만 아니라 민주주의 교육을 위해 도입된 교과인 사회과에서 핵심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사회과 교육의 핵심 용어인 시민 개념의 체계적 이해를 위해 번역어로써의 특성을 고려한 개념사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Kong-Min' as a translated word of 'citizen' in social studies. For this purpose, historical method to collect and analyze the documents which concern the meaning Kong-Min from 1870's to the 1960‘s is used. ‘Kong-Min’, a core concept in social studies, was originally used in Japan as a translated words of ‘staatsburger’ and ‘gemeindeburger’. In 1920's, ‘Kong-Min’ was used as a translated word of ‘citizen’ which was the core of citizenship education in western countries. In Korea under Japanese rule, the use of the term was facilitated by the introduction of school subject in 1930’s. But in Japanese colonial Era, meaning of ‘Kong-Min’ was distorted as a subject of Japanese Emperor. With the Liberation from Japan and establishment of democratic government, meaning of ‘Kong-Min’ in South Korea have changed from a subject of Japanese Emperor to a democratic citizen. And ‘Kong-Min’ was used for the aim of democratic education and core area in the Social Studies.

      • KCI등재

        한국어역『만엽집』의 번역어 연구‒‘おほきみ’의 번역어와 그 성립 과정을 중심으로‒

        박상현 한국일본근대학회 2022 일본근대학연구 Vol.- No.76

        In this paper, by examining the translations of ‘ohokimi(おほきみ)’ in the translations of the three volumes of『Manyosyu』,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various translations of ‘ohokimi’. In addition, this paper mentioned in detail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various translations of ‘ohokimi’. It can be seen that in the translation of『Manyosyu』, for example, ‘ohokimi’, which means ‘Emperor(天皇)’, has been translated in various ways. The fact that these translations borrowed various terms as a translation of ‘ohokimi’ meaning ‘Emperor’ is highly commendable in that they enriched the translated language. However, at the same time, there were also tasks left, but I think that there are not a few tasks left in terms of consistency of terminology. I think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systematically reviewed the translation of ‘ohokimi’ by reviewing the translation of『Manyosyu』. Furthermore,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are likely to be meaningful in that they can serve as an opportunity to revitalize the discussion on the translations of Japanese classic works transferred to Korean. 본고에서는 김사엽과 이연숙 그리고 최광준의『만엽집』번역서에 나오는 ‘おほきみ’의 번역어를 검토하여 ‘おほきみ’에는 다양한 번역어가 있다는 것을 구체적으로 확인했다. 또한 ‘おほきみ’가 다양하게 번역된 성립 과정에 대해서도 자세히 언급했다. 김사엽과 이연숙 그리고 최광준의『만엽집』번역서를 살펴보면 예컨대 ‘천황’의 의미를 나타내는 ‘おほきみ’라고 하더라도 다양한 번역어가 사용됐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 번역자가 ‘천황’을 뜻하는 ‘おほきみ’의 번역어로 다양한 용어를 차용했다는 것은『만엽집』번역사에서 번역어를 풍요롭게 했다는 점에서 높게 평가할 만하다. ‘천황’을 뜻하는 ‘おほきみ’ 번역어의 실험 성과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동시에 과제도 남겼는데, 김사엽 등의 『만엽집』번역서는 용어의 일관성이라는 측면에서 숙제를 남겼다고 생각한다. 본고는 김사엽과 이연숙 그리고 최광준의『만엽집』 번역서를 검토하여 ‘おほきみ’의 번역어를 체계적으로 검토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나아가 본고의 연구 성과는 한국어로 옮겨진 일본고전문학작품의 번역어에 관한 논의를 활성화 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가 있을 것 같다.

      • KCI등재

        프로이트 이론의 번역어에 대한 고찰: Verdrangung(억압)을 중심으로

        이정민 ( Jungmin Lee ) 한국비교문학회 2016 比較文學 Vol.0 No.69

        이 논문은 프로이트의 이론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용어가 어떻게 한국어로 번역되어 왔는가를 고찰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일반적으로 ``억압(抑壓)``이라 번역되는 ``Verdrangung``에 초점을 맞추어 용어번역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그 역사적인 경위를 추적하려 하였다. 프로이트의 이론은 일본을 거쳐 당시의 식민지 조선에 수입되었다. 일본 학자에 의한 프로이트 이론과 용어의 일본어화(또는 한자화)는 식민지 조선의 문학연구자와 의학자, 일반 대중 등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이는 식민지 조선 및 오늘날 한국에서의 프로이트 이론의 이해의 기반이 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후에 한국이 독립하고 오늘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번역자에 의해 프로이트의 저작이 번역되었고 번역어 또한 다양한 형태로 번역되었으나, 흥미롭게도 ``억압``은 계속하여 동일하게 번역되어 왔다. 그러나 이 번역어를 만들어낸 일본에서도 지적 받은 것이지만, ``Verdrangung``의 번역어로 ``억압``을 사용하는 것은 여러 의미에서 타당하지 않다. 예를 들면, 위상학적으로 ``억압하는 것``과 ``억압되는 것``이 같은 공간에 존재하는 것을 전제로 하는 ``억압``과는 달리, ``Verdrangung``은 양쪽이 서로 다른 공간에 존재하는 것을 전제로 하며, 유사한 의미의 타 용어 또한 ``억압``으로 번역되면서 내용의 이해를 어렵게 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억압``이라는 번역어는 한국어든 일본어든 적합하지 않다고 여겨진다. 이는 단지 번역어 선택의 문제뿐만 아니라, 프로이트의 이론이 식민지 조선에 들어온 후 현재까지의 90년 가까운 시간동안 비판적으로 고찰된 바 없이 사용되었다는 것을 의미함과 동시에, 같은 번역어를 사용하는 동아시아 정신분석학의 공통의 문제라 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를 재고찰하기 위해 지금까지의 프로이트의 번역어를 조사하였고, 이후의 프로이트 번역에 참고가 될 수 있도록 자료를 정리함과 함께, ``억압``의 대안적 번역어를 제시하려 하였다. 이 논문이 프로이트의 번역에 관한 논의에 도움이 되길 희망하는 바이다. This paper started with a scholarly interest in reviewing and analyzing how critical terms in Freudian theory were into Korean. For this purpose, the paper has focused on the appropriacy and validity of Korean translation of a German term, ‘Verdrangung’, which has been generally translated into ‘repression’ in Korean, and analyzed the historical course of the reception of the term in Korean translation. As Freudian theory was first introduced through Japan, the Japanese translation or ‘Japanization’ of the Freudian theory as well as of those critical terms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Korean literary scholars and medical scientists, not to mention the general mas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ism, and thus consequently served as the scholarly foundation and professional understanding for its reception in postcolonial Korea. Interestingly enough, ‘Verdrangung’ has been consistently translated into ‘repression’ in Korean for nearly a century. However, as it has become controversial even in Japan where the Japanese translation of the term was initiated, it is not proper to understand ‘Verdrangung’ as ‘repression’ in Korean on several grounds. For instance, while the term ‘repression’ is to be understood on the premise that both the act of ‘repressing’ and the condition of ‘being repressed’ exist on the same dimension, in the case of ‘Verdrangung’ these two opposing concepts exist on a critically different space each. Also, other similar words are often roughly and generally translated into ‘repression’ in Korean, making not only the term ‘repression’ rather too wide and inclusive, but also the texts in which the terms are used more confusing and distractive. Thus, ‘repression’ whether in Korean or in Japanese, does not seem to be an appropriate translation of the German word ‘Verdrangung’. What seems to be more important is that it is not a matter of the translation of a single word. As the whole world of Freudian theory is critically constructed with these profound terms, the theory could be in danger of being misunderstood in the area of psychoanalysis in Korea. This paper would like to problematize the critical error in the reception of the term ‘Verdrangung’ in Korean translation and to document its materials as well as provide some of alternative translations.

      • KCI등재

        박물관에서 사용하는 도자공예 번역어의 외국인 이해도와 공공성을 높일 수 있는 실천 방법 연구

        김현아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0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9 No.1

        이번 연구는 박물관에서 사용하는 번역어의 공공성을 살펴보기 위해 외국인을 대상으로 도자공예 번역어의 이해도를 구체적인 수치로 측정하고, 이해하기 쉬운 번역어 만들기를 박물관 현장에 촉구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연구 결과 현재 박물관에서 쓰는 도자공예 번역어의 외국인 이해도는 15.5%에 불과해 공공 번역어로써 적합하지 않았다. 반면 논자가 공공 언어와 전문어의 생성 요건을 참고하여 임의로 쉬운 도자공예 번역어를 만들어 다시 조사했더니 외국인의 도자공예 번역어 이해도가 56.59%로 크게 높아졌다. 이를 통해 도자공예 번역어는 여섯 가지 요건(①음역 피하기, ②영어 어휘 사용하기, ③문화소를 표현할 수 있는 번역 전략 세우기, ④고빈도의 익숙한 표현 사용하기, ⑤어려운 전문용어 쓰지 않기, ⑥일관성 있게 번역하기)을 충족했을 때 공공성이 향상됨을 확인했다.

      • KCI등재

        메이지기, 번역한자어의 성립과 한국 수용 고찰 - [liberty]가 [자유(自由)]로 번역되기까지 -

        최경옥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8 비교일본학 Vol.42 No.-

        서구 자본주의 문명의 근간을 이루는 [liberty]의 개념은 메이기지 일본에서 [자유]라는 형 태로 번역된다. 즉, 메이지기 이전부터 사용되고 있던 [자유]라는 어형을 근대적 의미로 전용 (轉用)한 것이다. 메이지기 이전의 일본에서 [자유]는 ‘제멋대로’라는 중국 고전의 전통적인 의미로 사용되 고 있었다. 1850년대 일본에서는 영어 [liberty], 네덜란드어 [vrij], 프랑스어 [libeal]이 [자유] 로 번역되면서, 메이지 이전부터 사용되고 있던 ‘제멋대로’의 [자유]와 혼재되기 시작한다. 이 러한 혼재 현상은 막부 말기(1860년대 후반)까지 계속되었다. 한편 당시 메이지기 번역가들은 [liberty]의 번역어로 다양한 번역어를 만들어내고 있었다. 즉, [자유] 이외에도 [자주](自主), [자재](自在), [관홍](寬弘) 등도 [liberty]의 번역어로 사용되 었다. 이러한 다양한 번역어의 중에서 [자유]가 살아남은 것에는 中村正直의 역할이 지대한데, 이는 그가 당시 베스트셀러였던 『自由之理』(1892)에서 [자유]를 [liberty]의 번역어로 가장 많 이 사용하였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한편, 개화기 조선에서 근대적 의미의 [자유]가 나타나는 것은 『서유견문』(1895, 유길준) 에서이다. 1910년대 초반까지 조선에서는 [자유]라는 번역어가 단독 명사로 사용되기보다는 [자유권리] [자유권]과 같은 파생어로 사용된 예가 많다. 즉, 번역어 [자유]는 상당 기간 단독 명사로 사용되지 못하고 [자유권리] [자유권]과 같은 파생어로 사용되다가, 1910년대 후반 이 후 서서히 [자유]라는 단독명사로 정착된 것으로 추정된다. [Liberty] is seen as the basis of the foundation of Western capitalism. The word [自由] is translated as [liberty] in Japan. It was a newly created invention during the Meiji period of Japan. The word [自由] was used as a classical Chinese expression that meant “self-indulgence”, this was in use before the Meiji period of Japan. Meiji translators were not just creating translations for [自由] [liberty], but were also were creating various translations of [自主] [自在] [寬弘] etc. In 1872, the Japanese educator Nakamura Masanao(中村正直) finally settled on a firm position of the translation of liberty. Additionally, the modern translation of the word [自 由] appeared during the Joseon Dynasty of the late 1890s, however it is believed to have not been publicly settled till the early 1910s.

      • KCI등재

        메이지기, 번역한자어의 성립과 한국 수용 고찰 - [society]가 [사회(社会)]로 번역되기까지 -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7 비교일본학 Vol.39 No.-

        본 연구는 서구 근대 사상을 수용하고 그 개념을 이해하는데 필수적 단어인 [society]가 [사회(社会)]로 번역되기까지의 과정을 한중일 근대 자료를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사회(社会)]는 근대 일본(메이지기)에서 중국 고전(한적)의 어형을 차용하여 만들어낸 [society]의 번역어이다. 원래 [사회]는 중국 고전에서 [제사를 같이 모시는 집단]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었다. 1867년 일본은 메이지 유신을 거치면서 서양의 근대 문명을 받아들이고, 이를 일본어로 번역하게 된다. 메이지 유신이 발발한 지, 10 여년이 지난 1870년 중반, 메이지 일본에서는 [society]의 번역어로 [사회]를 만들어낸다. 그러나 메이지기에 만들어진 [society]의 번역어에는 [사회]이외에도 40 여개가 더 존재한다. 이렇게 많은 수의 번역어가 만들어진 이유 는 [society]의 개념이 당시의 일본에는 부재했기 때문에 그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어려웠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현상은 [사회]가 [society]의 번역어로 어느 정도 일반화되었다고 판단되는 1880년까지도 계속된다. 한편, 개화기 조선, [society]의 번역어 [사회]는 1895년 『서유견문』과 학부편제교과서 『고등소학독본』에 소개된다. 이후, 1899년에는 독립신문에 사용될 정도로 일반 대중에게 전파된 상태으며, 1910년 이후에는 사전에 등재될 정도로 한국어에 완전 정착하게 된다. It is about 1875 when the word [sa-hwae(社会)] appeared as the translation word for [society]. Even after the translation word for [society], [sa-hwae], became popular and generalized to the public, there still existed 40 different versions of the word [society]. Which means that various versions of translation for [society] have been competing in Meiji Japan. The reason many different versions of translation word existed is because Japan at that time did not have the concept [society]. It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for the society to accept a concept that has never experienced and to use a word that contains that idea. The reason many different versions of translation word built up may be originated in the absence of the concept [society] which was afraid of giving trouble on the word of understanding Japan at that time. As the creative imagination of the Meiji Japanese has contributed to understand a concept that has never experienced and to use a word that contains that idea, we may appreciate to serve as a steppingstone for modernization to the public which had to promote mutual understandings by translation solely between Japan and the West at that time.

      • KCI등재

        `단어-의미 의미-단어` 관계에 기반한 번역어 선택

        이현아,Lee Hyun-Ah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3 No.1

        기계번역에서 올바른 번역 문장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원시 문장의 의미를 올바르게 표현하면서 자연스러운 목적 문장을 구성하는 번역어를 선택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단어-의미 의미-단어' 관계, 즉 원시언어의 한 단어는 하나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각 의미는 각기 다른 목적언어 단어로 표현된다는 점에 기반하여, 원시 단어의 의미 분별과 목적 단어 선택을 결합하여 번역어를 선택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기존의 번역방식은 원시 단어에 대한 목적단어를 직접 선택하는 '단어-단어' 관계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에, 원시언어를 목적 언어로 직접 대응시키기 위한 지식을 필요로 하여 지식 획득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논문의 방식에서는 원시 단어의 의미 분별과 목적 언어의 단어 선택의 결합을 통해 번역어를 선택함으로써, 손쉽게 획득할 수 있는 원시 언어와 목적 언어 각각의 지식원에서 번역어 선택을 위한 지식을 자동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원시 언어의 의미와 목적 언어의 쓰임새를 모두 반영하여 충실도와 이해도를 모두 만족시키는 보다 정확한 번역어를 선택할 수 있다. To obtain a correctly translated sentence in a machine translation system, we must select target words that not only reflect an appropriate meaning in a source sentence but also make a fluent sentence in a target language. This paper points out that a source language word has various senses and each sense can be mapped into multiple target words, and proposes a new translation disambiguation method based on this 'word-to-sense and sense-to-word' relationship. In my method target words are chosen through disambiguation of a source word sense and selection of a target word. Most of translation disambiguation methods are based on a 'word-to-word' relationship that means they translate a source word directly into a target wort so they require complicate knowledge sources that directly link a source words to target words, which are hard to obtain like bilingual aligned corpora. By combining two sub-problems for each language, knowledge for translation disambiguation can be automatically extracted from knowledge sources for each language that are easy to obtain. In addition, disambiguation results satisfy both fidelity and intelligibility because selected target words have correct meaning and generate naturally composed target sentences.

      • KCI등재

        개화기 및 일제 강점기 영한사전의 미시 구조와 국어 어휘 및 번역어 고찰 -공통 표제어 대응 어휘를 중심으로

        이준환 ( Jun Hwan Yi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2 大東文化硏究 Vol.80 No.-

        이 글은 언더우드(1890), 스콧(1891), 존스(1914), 게일(1924), 원한경(1925) 이렇게 5개의 영한사전의 미시 구조를 살펴보고, 공통 표제어를 대상으로 하여 이에 대응하는 국어 어휘 및 번역어의 실태 및 다양화 양상, 새로 등장한 어휘의 기원, 국어 어휘 및 번역 어휘가 반영하고 있는 분야, 파생어를 중심으로 한 국어 어휘 및 번역어의 형태론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했다. 5개 사전의 구조를 보면 스콧(1891)과 게일(1924)는 단순한 미시 구조를 보이며, 언더우드(1890)는 품사 정보와 용례까지 제시한 좀 더 상세한 미시 구조를 보이며, 존스(1914)와 원한경(1925)는 동의어·유의어와 다의어를 미시 구조의 차원에서 구분한 더욱 상세한 미시 구조를 보이는 사전이다. 미시 구조가 상세할수록 국어 어휘나 번역어의 개수도 많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이들 사전의 표제어의 개수를 품사별로 살펴보니 명사>동사>형용사순이었으며 명사로 대응하는 것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후대에 간행된 사전일수록 새로운 국어 어휘나 번역어가 반영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는데, 이들 어휘는 대개 한자어(漢字語)였다. 기존 어휘가 누적되고 새로운 어휘가 등장하면서 동의어·유의어가 확대되는 모습을 보였고 다의성도 충실히 반영하려 한 시도가 나타났다. 새롭게 등장한 어휘의 기원을 살펴보면 외래적인 것 특히 일본어계와 중국어계가 많았는데 일본어계가 주를 이루었다. 따라서 일본어나 중국어를 참고하면서 영어 표제어에 대응하는 어휘를 모색하는 과정을 거쳐서 영한사전의 뜻풀이를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새롭게 등장한 어휘들에는 전문 분야의 어휘들이 많이 보인다. 특히 법률>종교>경제>군 사>의학>교육 등의 어휘가 두드러졌고, 이 외에 산업, 광업, 농업, 건설, 생물, 물리, 화학, 수학, 기하학, 박물학, 언어, 문학, 철학, 예술 등의 어휘도 다수 나타나는 양상을 보였다. 그리고 국어 어휘 및 번역어에서는 파생어가 많이 관찰되어 여러 접사를 추출해 볼 수 있었는데 접두사로는 ``부(不)-, 무(無)-, 몰(沒)-, 신(新)-, 귀(貴)-, 생(生)-, 초(超)-`` 등이 있으며 접미사로는 ``-관(官), -사(師), -증(症), -질(質), -자(者), -가(家), -인(人), -사(士), -원(員), -장(長), -수(手)`` 등이 있어서 접미 파생법이 발달했음을 보이는데, 고유어계는 ``-질``만이 관찰되어 고유어계 접사 의 생산성이 높지 못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research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microscopic structure of the five English-Korean Dictionaries(Underwood(1890), Scott(1891), Jones(1914), Gale(1924), H. H. Underwood (1925)) and real condition of Korean vocabulary and translators that corresponded to common headings. I specifically examined aspects of diversification, origins of the emerging vocabulary, and morphological features of Korean vocabulary and translators. Among the five English-Korean dictionary, Scott(1891) and Gale(1924) has a simple microscopic structure. Underwood(1890) has a more detailed microscopic structure that enough to present word class information and examples. Jones(1914) and H. H. Underwood(1925) has more detailed microscopic structure that enough to classify and present synonym, thesaurus, polysemy in the micro-dimensional structure. There is tendency that more and more Korean vocabulary and translators are recorded in English-Korean dictionary as the microscopic structure details. I could see that the result of word class as nouns, verbs, adjectives, order the number of headings. The number of nouns was found to be overwhelmingly common. Later published dictionaries more have a strong tendency to reflect more translation to new Korean vocabulary and translators. This contained most of the vocabulary of the Sino-Korean vocabulary. And the fact that I could see was also an attempt to see how the existing vocabulary is cumulative and the emergence of the new vocabulary, synonyms and thesaurus expanding ambiguity, was also trying to faithfully reflected. And Japanese based Sino-Korean vocabulary and Chinese-based Sino-Korean vocabulary emerged much. And Japanese-based Sino-Korean vocabulary are more common. So I could see that a compiler of a English-Korean Dictionary referred Japanese or Chinese vocabulary and decided definition of English-Korean dictionary. New vocabulary are mostly technical terms. There are a lot of legal, religious, economic, military, medicine and education technical terms that recorded in English-Korean dictionary``s vocabulary. And a lot of derivative were observed from Korean vocabulary and translator. Prefix list is ``부(不)-, 무(無)-, 몰(沒)-, 신(新)-, 귀(貴)-, 생(生)-, 초(超)-`` and suffix list is ``-관(官), -사(師), -증(症), -질(質), -자(者), -가(家), -인(人), -사(士), -원(員), -장(長), -수(手)``. Derivative by suffix were much rather than by the prefix.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