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명명속도 과제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권회연,전병운 한국통합교육학회 2010 통합교육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국내에서 1997년부터 2009년까지 발표된 명명속도 과제에 대한 연구들을 분석하여 국내 읽기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명명속도 과제의 현황 및 타당성, 한국어 사용 아동들의 읽기기술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대상 논문은 국내에서 발행된 학술지 논문과 학위논문으로 하였으며, 중재연구 3편을 포함한 총 17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대상 논문의 분석기준은 명명속도 과제의 조작적 정의, 명명속도 과제의 특성, 연구대상, 읽기관련 변인, 읽기발달 수준 및 읽기 기술과의 관련성 등으로 하였다. 국내에서 수행된 명명속도 연구는 명명속도 과제의 유형 및 구성방법, 대상자의 연령, 학년, 대상자수, 읽기수준 및 사용된 음운인식과제 및 읽기기술 측정 도구에 따라 결과가 매우 다양하였으며, 이러한 차이점들로 인해 연구결과들을 서로 비교하여 분석하는 것이 어려워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수행된 대부분의 연구에서 명명속도를 음운처리과정의 일부로 간주하였으며, 연령에 따라서 자연스런 향상을 보이는 연구와 연령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향상되지 않는 결과가 혼재하고 있었다. 또한 단어해독 및 읽기유창성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연구가 많으나 읽기이해는 예측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읽기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이중결함가설의 적용 가능성 및 연구방향성에 대한 논의,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iderate the research's validity and possibility of adaptation of RAN and Double-deficit hypothesis influenced on reading for the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reading difficulties including general reader through a foreign precedent studies and researches published from 1997 to 2009 at domestic journal or dissertation to a graduated school. The recent researches on RAN showed that RAN appropriate as a task measuring processing speed, explain reading problem beyond phonological-core deficits to be dominant position. On this study the total 45 studies including 2 studies for intervention were reviewed according to RAN task's characters(definition, type of task), subjects, and the relation with early reading varies and sub-reading skills for the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reading difficulties including general reader. As a result, the results varied because of the subjects' age, grade, type of task(colors, numbers, letters, objects), reading levels, the number of subjects), specially as the instruments for measurement. Therefore it was difficult that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others. On these studies, naming speed indicated as phonological processing procedure, and it was confused if naming speed improved according the age, reading experience. Also, it do not predict the reading comprehension. Finally, Discussion on the trend of reading instruction and future researches were presented.

      • KCI등재

        명명(naming)과제의 분석과 뇌 영상 연구에 대한 함의

        김정오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2 No.1

        본 연구는 명명과제를 사용한 여러 연구를 분석하여 이 과제가 자극 목록의 구성과 지시에 따라 방략에 예민한 과제임을 밝혔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명명과제에 동원되는 심리과정들과 상관된 뇌 영역들을 찾은 연구들의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자기 개념과 상관된 뇌 영역을 찾는 많은 연구들도 과제를 분석하지 않았고 적절한 새 과제를 사용하지 않았다. 과제분석이 없는 메타 분석이 혼란된 결과를 분산처리의 증거로 해석할 가능성을 논했다. This article examined several experimental studies that have used a naming task. This task turned out to be quite sensitive to strategies affected by stimulus lists and instructions. Lack of task analysis seems to have produced a false impression of distributed processing regarding neural bases of naming processes. A recent review also demonstrated the same lack of task analysis in the neural basis of self concept.

      • KCI등재

        한국어 색채범주의 분화에 관한 연구

        박현수(Hyensou Pak),이광오(Kwangoh Yi) 한국색채학회 2011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5 No.2

        한국어 색채범주 파랑과 하늘의 분화 가능성을 검토함으로써 언어와 사고의 관계에 있어 언어 보편주의(linguistic universalism)와 언어 상대주의(linguistic relativism)간의 오랜 논쟁거리이며, 지금도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사인 언어 특정적(language-specific) 색채 범주화의 문제를 다루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색채범주 파랑과 하늘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색채공간에 속하는 색편들을 사용한 자유분류 및 명명과제와, 색채 범주 파랑에서 하늘에 분포하는 등간격의 색채자극들로 범주간(cross-category) 또는 범주 내(within-category) 자극 쌍들을 구성하여 동일상이판단과제와 재인기억과제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자유분류 및 명명과제에서는 기존연구들에서 파랑 색채범주로 분류되었던 영역이 고명도에서는 하늘로, 저명도에서는 파랑으로 구분되는 경향이 뚜렷하였고, 동일-상이판단과제와 재인기억과제에서는 파랑과 하늘 색채범주를 가로지르는 두 자극에 대한 반응이 어느 하나의 범주에 속한 두 자극에 대한 반응보다 유의미하게 빠르거나 정확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어 색채범주화에서도 영어의 Blue에 대응하는 색채범주가 파랑과 하늘로 구분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는 언어에 따라 색채범주화가 다르다고 주장하는 언어상대주의의 주장을 지지하는 새로운 증거라고 할 수 있다. The issue of language specific color categorization, an old controversy between linguistic universalism and relativism and still an interesting topic to numerous color researchers was examined by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differentiation of Korean color categories Parang(Blue) and Hanul(Sky). For this purpose, a free sorting and naming task using color-chips including the color space of Parang and Hanul categories, a same-different judgment task and a recognition memory task using cross and within category stimulus pairs distributed from Parang to Hanul categories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free sorting and naming task, the area of color space classified as Parang category in previous studies was tended to be apparently divided to Hanul at higher Value and Parang at lower Value. The same-different task and the recognition memory task showed that the responses to the two stimuli across the Parang and Hanul categories were significantly faster or more accurate than stimuli belong to either categor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lor category corresponding to English Blue might be differentiated to Parang and Hanul in Korean color categorization, so they are a new supporting evidence for the language relativism insisting the color categories can different in each language or culture.

      • KCI등재

        기본정서 얼굴표정에 대한 한국인의 정서지각 특성: 자유명명과제와 확장 다지선다과제의 수렴적 결과를 중심으로

        양현보,김나현,홍다영,윤홍옥,이동훈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35 No.4

        진화적 정서 이론에 따르면 사람들은 몇 가지 기본정서표정에서 기쁨, 분노, 공포, 슬픔, 혐오, 놀람 등의 정서를 인종과 문화에 걸쳐 일관되게 지각한다. 이러한 문화보편성 가정은 국내외 정서 분야에 널리 수용되고 있으나, 일각에서는 정서 연구에서 사용하는 다지선다과제의 방법론적 문제점이 정서지각의 문화차를 축소시킨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본 연구는 기존 다지선다과제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두 개의 과제를 실시하여 한국인, 일본인, 백인 기본정서표정을 대상으로 한국인의 정서지각을 확인하였다. 연구 1에서는 참가자가 지각한 정서를 자유롭게 응답하는 자유명명과제를 실시한 뒤 한국어 감정단어 자료집을 토대로 참가자 응답의 정서 범주를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공포 표정의 경우 표적 정서인 공포보다 놀람과 관련된 명칭이 더욱 자주 명명되었으며, 혐오 표정의 경우 혐오 관련 명칭과 분노 관련 명칭이 각각 유사한 빈도로 명명되는 특성이 관찰되었다. 더불어, 공포 및 혐오 표정의 경우 한국인 얼굴 자료집에서 백인/일본인 얼굴 자료집보다 표적 정서 응답률이 더욱 높은 내집단 이득이 관찰되었다. 기쁨, 슬픔, 분노, 놀람 기본정서표정의 경우 표적 정서와 관련된 명칭이 높은 빈도로 응답되었다. 연구 2에서는 자유명명과제를 통해 수집된 24개의 고빈도 명칭을 응답 선택지로 제시하는 확장 다지선다과제를 실시하여 연구 1과 동일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공포 표정에서는 놀람 관련 명칭이, 혐오 표정에서는 분노 관련 명칭이 주요하게 보고되는 경향이 다시금 관찰되었으며, 혐오 표정의 경우 한국인 얼굴에서 일본인 얼굴보다 표적 정서 응답률이 더욱 높은 내집단 이득이 관찰되었다. 추가적으로, 참가자 응답에 대하여 군집분석 및 다차원척도법을 실시한 결과, 두 과제 모두에서 6가지 기본정서표정이 기쁨, 슬픔, 분노, 놀람 정서를 반영하는 4개 군집을 형성하는 특성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종과 문화에 걸쳐 각각의 기본정서표정에서 표적 정서가 지각된다는 문화보편성 가정과 달리, 한국인이 공포 및 혐오 기본정서표정을 문화보편적인 방식으로 지각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한국인은 기본정서표정을 네 가지 양상으로 범주화하며 이때 공포 표정을 놀람 표정으로, 혐오 표정을 분노 표정으로 지각하는 특징을 보인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 참가자에게 기본정서표정에서 지각한 정서를 자유명명하게 하거나 폭넓은 정서 명칭을 선택지로 제시하자 표적 정서 이외의 정서가 더욱 주요하게 응답된 결과는 자유명명과제가 다지선다과제의 제한점을 보완하며 정서지각의 문화적 특성을 파악하는 효과적인 대안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Evolutionary theories of emotion suggest that people consistently perceive emotions such as happiness, anger, fear, sadness, disgust, and surprise from several facial expressions of basic emotions across races and cultures. Although the universality hypothesis about basic emotion expressions is widely accepted in emotion fields, some argue that the methodological problems of choice-from array task commonly used in emotion research make it difficult to identify cultural differences in emotion perception.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 of basic emotions expressed on Korean, Japanese, and Caucasian faces by using two tasks that addressed issues with the traditional choice-from-array task. In Study 1, we conducted a free-labeling task in which participants freely generated emotion labels upon the recognition of emotional faces, and we subsequently categorized the verbal responses they produced. The results revealed that for faces expressing happiness, sadness, anger, and surprise, emotion labels were predominantly aligned with the intended target emotions. However, for faces expressing disgust, approximately half of the expressed labels belonged to the disgust category, while the other half belonged to the anger category. Verbal labels for faces expressing fear were predominantly associated with surprise rather than fear. Additionally, for facial expressions of disgust and fear, we observed an ingroup advantage, where response rates for the target emotion were higher for Korean faces compared to Caucasian and Japanese faces. In Study 2, we repeated the same analysis using an extended choice-from-array task with 24 high-frequency emotion labels collected from Study 1. The results indicated that labels related to anger were more frequently selected for expressions of disgust, and labels related to surprise were more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expressions of fear. An ingroup advantage was also observed for Korean faces displaying disgust compared to Japanese faces displaying disgust. Clustering analysis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revealed that the six basic emotional expressions were grouped into four separate clusters corresponding to happiness, sadness, anger, and surprise,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trary to the general assumption that the six basic emotions are universally and independently perceived, Koreans tend to perceive expressions of disgust as anger and perceive expressions of fear as surprise. Taken together, our findings indicate that Koreans do not interpret disgust and fear from faces expressing those emotions in a ‘culturally universal way’. We suggest that the free-labeling task serves as an effective alternative to mitigate the methodological limitations of the choice-from-array task, particularly in identifying cultural differences in emotion perception across languages and societies.

      • KCI등재

        명명과제에 나타난 한국어 학습자의 단어 형성과 어휘부 연구

        강현진 이중언어학회 2023 이중언어학 Vol.92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oined word method of Korean word that appeared in the performance of Korean learners' word naming tasks, to examine the pattern of word formation, and to examine one aspect of the Korean lexicon of foreign learners. Based on onomasiological approach, second language learners tried to examine how Korean language units actually operat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ask performance, The learners made Korean sentences and then created new words. In the results of the morphological analysis of these words, learners were using the agglutinative language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It is assumed that the structure of the new lexicon will resemble the Korean lexicon. 본고는 한국어 학습자의 명명 과제 수행에서 나타난 한국어 어휘의 조어 방식과 단어 형성 양상을 살펴 보고,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어휘부의 특징의 일부 모습을 추정한다. 표현론적 접근에 근거하여 학습자들이 한국어 언어 단위들 실제 어떻게 운용하는지 살피고자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명명과제를 수행하게 하였다. 과제 수행 결과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형태론적 단위를 선택하고, 이를 조합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들었다. 이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한국어 문장을 형성한 후 한국어의 형태적 특성이 나타난 단어를 새롭게 형성하였다. 제2 언어 한국어 어휘부는 모어 화자의 어휘부와 같이 한국어의 교착어 특성과 형태론적 특성이 반영되어 있을 것임을 가정할 수 있다.

      • KCI등재

        명명 과제 수행에 나타난 어종(語種) 활용 양상에 관한 연구

        박혜진 ( Park Hyejin ) 국어교육학회 2019 國語敎育學硏究 Vol.54 No.3

        본고는 고유어 중심의 단어 형성 교육이 가진 한계를 지적하고, 단어 형성 교육에서 외래어 및 한자어를 수용·활용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논의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명명 과제를 설계·시행하여 새말 만들기 장면에서 다양한 어종의 어휘 자원이 활용되는 양상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어종 선택에는 ‘명명 대상 자체의 속성, 명명 화자의 언어 의식 및 어휘부 체계, 고유어·한자어·외래어가 가진 언어적 특성’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관여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단어 형성 교육이 다양한 각도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한자어 및 외래어를 수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함을 시사한다. 이상 단어 형성 장면에 나타나는 학습자의 의식 및 수행 양상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본고의 논의는 향후 단어 형성 교육에서 어종과 관련한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고 구체화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tudents’ language usage patterns by focusing on word type. So we qualitatively analyzed the patterns in which the lexical elements of different languages are utilized in the scene of making new words through the naming task.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election pattern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properties of naming objects, the speaker’s language consciousness and lexicon, and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word’. Thus, we suggested that a more diverse and active approach that includes Sino-Korean word and loanword should be implemented when designing word-formation education.

      • KCI등재

        균일연결성과 보고과제 유형이 순간 노출된 형태의 지각에 미치는 영향

        박창호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0 No.2

        The previous studies (Park, 2001, 2004a), using identification task of brief displays, did not obtain evidence supporting the hypothesis of uniform connectedness (i.e., UC) that uniformly connected forms are processed as a single unit. Negative repetition effect (i.e., NRE) which was observed in these studies and led to this conclusion might be caused by easy namability or good continuation of the alternative displays. NRE means that target detection rates are lowered in the repetitive displays than in the alternative displays.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test the UC hypothesis. In experiment 1, where the repetitive displays were 'M' or 'W' in shape for ease of naming, no NRE was observed. In experiment 2, where good continuation between two parts was controlled among the displays, there was also no NRE. And no UC effect was observed in both experiments, that is, UC displays were not identified more accurately than disconnected displays. To test that these null results might be caused by the improper stimulus displays, Experiment 3 applied post-cueing forced-choice task to the same displays used in Experiment 2, and observed NRE but still no UC effect. This results indicated that UC had no influence on the perception of briefly exposed displays, irrespective of namability and good continuation, and the type of report task and its related attentional processing might have an affect on the mode of processing of the whole display. 순간 노출된 형태를 식별하는 과제를 사용한 선행 연구(박창호, 2001, 2004a)에서 균일하게 연결된 형태가 한 단위로 지각된다는 균일연결성 가설을 지지하는 증거를 얻지 못하였다. 즉 자극판에서 서로 연결된 두 부분이 같은 모양(반복) 조건에서, 다른 모양(상대) 조건에 비해, 표적의 탐지율이 떨어졌다. 그러나 이 같은 부적 반복효과는, 상대 조건의 자극판에서 명명이 더 쉽거나 부분의 연결(연속)성이 더 좋았기 때문에 관찰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이를 검토하기 위해 세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1은 자극판의 두 부분이 같은 반복제시 자극판에 대한 명명이 더 쉽게 자극판을 구성하였으며, 실험참가자로 하여금 자극판 전체를 보고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예상대로 부적 반복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 2에서는 좋은 연속성을 통제한 자극판을 만들고, 이에 대한 전체 보고를 요구하였는데, 역시 부적 반복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두 실험 모두에서 균일연결성의 효과도 관찰되지 않았다. 이처럼 아무 효과도 얻지 못한 것이 자극판 구성의 문제점 때문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 3은 실험 2와 같은 자극판에서 자극판을 순간 노출시킨 다음 후단서를 제시하여 그것이 가리키는 표적 형태의 정체만 보고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부적 반복효과는 관찰되었으나 균일연결성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순간 노출된 형태의 식별에 균일연결성의 효과가 없음을 시사하며, 보고과제가 유도하는 주의과정이 자극판의 처리 양상에 중대한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상이한 결론을 내린 다른 선행연구들과 관련하여 지각과제의 특성과 균일연결성의 기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의미 단서가 명칭실어증자의 명명하기에 미치는 영향

        정지선 ( Jisun Jung ),강민구 ( Mingu K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는 명명하기과제 수행에서 단계별 의미단서가 명명하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실어증지수와 유형을 일치시킨 명칭실어증 환자 3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명명하기과제에서 기존의 K-BNT 의미단서와 단계별 의미단서를 제공하여 3단계로 구성된 의미단서 간의 정반응 점수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명칭실어증자의 명명하기에서 단계별 의미단서가 K-BNT 의미단서에 비해 이름대기 수행력이 증가하였다. 둘째, 세 단계로 구성된 단계별 의미단서간의 정반응 점수를 분석한 결과, 단계별 의미단서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단계별 의미단서는 명명하기 수행력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향후 다양한 낱말들의 위계성이 반영된 단계별 의미체계가 구축된다면 실어증자의 명명하기 수행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step by step semantic cues on naming ability in the naming task.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33 patients with anomic aphasia matching the aphasia quotient and type. The naming task provided the existing K-BNT semantics and step by step semantics. The difference in the positive response scores between the semantic cues composed of three stages was analyzed. As a result, first, Naming task of anomic aphasia showed improved performance in the step by step semantic cues compared with the K-BNT semantic cues. Second, An analysis of the positive response scores between the three step semantic cu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ep by step semantic cues. Through these results, Step by step semantics cue that effective in improving naming task performance. In the future, if a step by step semantic system hierarchies of various words is established, it is thought can help improve the naming task performance of aphasia.

      • KCI우수등재

        한국인의 세대별 한(恨) 표상의 차이

        이재호 한국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40 No.3

        Han (恨) is known as a cultural concept that contains the minds of Korean. Lee & Choi (2003) applied a multi-task method to college students of 1994 to identify the cultural representation of Han (恨). The result confirmed the possibility that Han (恨) could represent the cultural experience of Korean discourse beyond emotion. This study raised the need to verify the process of changing the cultural meaning of Han (恨) according to the times, and tried to compare the generational difference of Han (恨) representation by elaborating the method of previous studies. Experiment 1 observed the generational difference in the representation of Han (恨) with the free generation task and the rating task. The main result is that the generation frequency and rating strength of emotion words increased in the 2019 generation than in the 1994 generation, but the type of generated words and the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Experiment 2 showed that the naming time of the 1994 generation word was faster than the 2019 generation word, the cultural stimulus and the generational variable interacted with the task type, and the priming of the cultural variable was facilitated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frequency and rating of the two generations coincide. The results were observed in the primed naming task. The two experiments showed that generations cause differences in the representation of cultural stimuli, and that the representation of Han (恨) was changed according to the generation. The 2019 generation represented Han (恨) more emotionally at the explicit level than the 1994 generation, but maintained the representation in which the meaning of the reference object and the cause of the event still persists at the implicit level.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incremental and dynamic changes in the representation of the cultural Han (恨) concept using an elaborated experimental method. 한(恨)은 한국인의 마음을 담고 있는 문화적 어휘로 알려졌고, Lee & Choi(2003)는 한(恨)의 문화적 표상을 규명하고자 1994년도 대학생을 대상으로 다중과제 방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는 한(恨)이 정서를 넘어 한국인의 문화적 경험을 담화적으로 표상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한(恨)의 문화적 의미가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과정도 검증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고, 선행연구의 방법을 연장하여 한(恨) 표상의 세대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실험 1은 자유생성과제와 평정과제로 한(恨) 표상의 세대 차이를 검증하였다. 주요 결과는 1994년도 세대보다 2019년도 세대는 정서 단어의 생성빈도와 평정강도는 증가하였지만 생성단어의 유형과 평정치의 편차가 심했다. 실험 2는 1994년도 세대 우세단어가 2019년도 세대 우세단어보다 명명시간이 빠르며, 문화자극과 세대변인 모두 과제유형과 상호작용하고, 두 세대의 빈도와 평정치가 일치하는 조건에서 문화변인의 점화가 촉진되는 결과를 점화명명과제에서 관찰하였다. 두 실험은 세대가 문화자극의 표상 차이를 야기하며, 한(恨) 표상이 세대에 따라 변화하고 있음을 보였다. 2019년도 세대는 1994년도 세대보다 외현적 수준에서는 한(恨)을 보다 정서적 의미로 표상하지만 암묵적 수준에선 참조 대상과 사건 원인의 의미가 여전히 지속되는 표상을 유지하였다. 이 연구는 문화적 한(恨) 어휘의 표상이 시대에 점진적이며 역동적으로 변화할 가능성을 실험적 방법으로 확인하였다는 의의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