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분단의 기억, 기억의 정치

        김항 ( Hang Kim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人文論叢 Vol.73 No.2

        이 논문은 한반도에서의 분단 기억을 정치적으로 전유하는 가능성을 타진한다. 이때 한반도에서의 분단은 남북 국민국가의 궁극적 정당성을 규정하는 ‘주권적 장치’로서 기능하며, 기억의 정치란 이 주권적장치로서의 분단을 정지시키는 것을 고유의 성격으로 가짐을 시론적으로 제시했다. 우선 주권적 장치란 국가의 주권이 고스란히 드러나는 예외상태를 픽션적으로 만들어내는 지식과 제도의 총체이다. 남한의 경우 국가보안법을 최종심급으로 하는 다양한 정치/경제/지식의 총체적실천이라 할 수 있다. 기억의 정치란 이런 주권적 장치를 정지시키는 고유성을 가져야 함에도 기존의 기억 연구는 이런 정치성을 추출하지 못했다. 기존 연구에서는 기억의 정치를 이데올로기 대립이나 국가/개인의 대립으로 환원하여 설명함으로써 기억의 정치에 고유성을 문제화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발터 벤야민과 도미야마 이치로는 기억의 정치가 내장한 고유성을 드러내준다. 벤야민은 기억이 근대의 역사기술이 362 인문논총 제73권 제2호 (2016.5.31)가정하는 승자와 패자 어느 쪽도 아닌 억압된 자나 쓰러진 자의 과거전유라 정의했고, 도미야마는 비슷한 맥락에서 국민국가의 역사 속에서 망각의 구멍으로 내몰린 유령적 형상을 소환한다. 이들은 이를 통해 근대의 역사기술이 절대로 가닿을 수 없는 과거의 실존을 기억의 정치라는 테마를 통해 문제화했다. 김소진의 소설은 분단의 기억을 이러한 기억의 정치로 전유한 작품이다. 그는 개흘레꾼으로서의 아버지를 형상화함으로써 분단의 역사경험 속에서 승자로도 패자로도 기술될 수 없는 역사의 공백을 제시했다. 이 역사의 공백은 분단이라는 주권적 장치가 정지되는 지점으로서, 기억의 정치는 이 공백을 통해 과거와 현재를 잇는 삶의 고유성을 회복할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possibility of how the memory of division in Korean peninsula could be appropriated politically. That division of the peninsula has functioned as ‘dispositif of sovereignty’ and the politics of memory should suspend this function is main argument of this article. ‘Dispositif of sovereignty’ is a complex of knowledges and institutions that produces fictional state of exception through which sovereignty of the state could present itself. In the case of South Korea, it would be shown in the law of national security that is a decisive element constructed by various political, econimical and scientific practices. The politics of memory can be regarded as a sort of practice which should suspend function of such dispositif, but the previous discourses about this politics have not been able to clarify this kind of suspension. Walter Benjamin and Ichiro Tomiyama are influential figures who can give an important perspective proposing what is characteristic to the politics of memory. Benjamin defined the memory as an appropriation of the past which could never belong to winner or loser in history, and Tomiyama, along with Benjamin, has recalled a figure of ghost which was forgotten and thrown into hall of oblivion. Sojin Kim, a novelist in contemporary Korea, thematized this kind of politics of memory in his works. He showed us a cesura of history by describing his father’s life. This cesura of history which Sojin Kim made exist is a point of suspension of dispositif of sovereignty, and the politics of memory could redeem an original form of life combining the past and the future onto the present.

      • KCI등재후보

        주관적 지식과 정치 관여 차이에 따른 정치광고 메시지의 기억효과 연구

        진홍근,김민정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dentify the individual has been exposed to political advertising messages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involvement and knowledge of how to use any memory information system. Also promoting political and electoral strategy is to provide implications. Political involvement and subjective knowledge consisting of self-confidence that I know about, especially on specific issues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This study was divided into global memory information and discrete memory information. Findings, low subjective knowledge about specific political issues, but political involvement highly was discrete memory information primarily recall and utilize that. Other three groups used to a global memory information more than discrete memory information relatively. This study results suggest that these policies to promote the need to formulate a strategy to use the global memory information to most of the audience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정치광고 메시지에 노출된 개인이 관여와 지식의 차이에 따라 어떠한 기억 정보를 활용하는지를 규명함으로써 정치 및 선거홍보 전략에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특히 특정 이슈에 대해 본인이 잘 알고 있다는 자기 확신을 중심으로 구성된 주관적 지식과 정치관여도를 독립변인으로 활용하였고, 개인이 판단에 활용하는 기억정보를 판단까지 이루어진 채 기억된 종합적 기억정보와 개별적 속성을 무비판적으로 기억한 개별적 기억정보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특정 정치적 이슈에 대해 주관적 지식이 낮지만 정치적 관여는 높은 집단만이 개별적 기억정보를 주로 회상하고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세 집단은 종합적 기억정보를 개별적 기억정보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회상하고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후 선거나 정책홍보에 있어 대부분의 수용자에게 종합적 기억정보를 활용하기위한 전략수립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최인훈의『화두』에 나타난 애도와 기억

        구재진(Koo, Jaeji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5 외국문학연구 Vol.- No.57

        『화두』는 1990년대 초반 냉전체제의 와해와 사회주의의 몰락이라는 정치적 변화 앞에 제기되는, ‘나는 누구인가’와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질문을 담고 있다. 기억을 통한 뒤돌아보기는 이러한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아가는 방법론적 의미를 지닌다. 본고는 이 점에 주목하여 이 작품을 기억학이라는 방법론의 의미, 기억을 소환하는 기술과 과정, 그리고 기억 소환의 결과 등의 세 가지 층위에서 고찰하였다. 우선 뒤돌아봄, 기억학이라는 방법론은 기억을 통해서 자기 자신과 세계를 인식하는 것으로, 미래의 향방을 알아차릴 수 없는 시대에 길을 찾는 방법론이 되고 있다. 그러나 기억이 곧 나라는 명제를 통하여 기억에 절대적인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나의 시간을 과거에 묶어두고 미래를 무의미하게 만든다. 작품에서 그러한 기억을 소환하게 하는 것은 상실과 죽음으로 기억 소환의 과정은 애도/우울증의 과정으로 나타난다. 이 때 사회주의가 우울증의 근원으로서 나타나는데 작품에서 사회주의는 몰락하여 상실됨으로써 오히려 과잉 현존하고 있다. 이것은 사회주의의 몰락으로 중립에의 지향이 더 이상 불가능하게 된 상황과 관련되는 것으로서 조명희에 대한 우울증적인 동일시로 구체화된다. 어머니의 죽음에 대한 애도는 망명자의 위치와 작가로서의 자의식이라는 두 가지 맥락에서 기억을 소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기억 소환의 결과 발견된 ‘나 자신의 주인 되기’라는 해답은 기억과 환상 속에서만 가능하다는 한계를 지닌다. 때문에 주인 되기는 미래를 향해서 나아가는 것이 아니라 과거로의 회귀와 반복으로 나타나게 된다. 결국 그러한 회귀와 반복 속에서 현실과 기억의 정치성은 탈각되어 잉여로 남게 되고 정치적 책임의 문제도 지워지게 된다. Hwa-Du is a narrative of a refugee and also of a memory. This study implies that the author of Hwa-Du raises the question about "who I am and how I will live/write" in the age of global political turbulence in the early 1990s, when the historic events happened like the fall of the Berlin wall and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and the eastern European socialism. The way to answer the question in this novel is "to look back" in other words, recollection. To look back is expressed in a progress of mourning. The diaspora-based experience and global political turbulence puts the sense of identity as a political refugee in front. For the reason, the question earns political significance. In this paper, Hwa-Du is analyzed, focusing on the three different aspects; the position of the one who recollects, the technique and process of recollection, and the results of recollection. As a result, it is revealed how the diaspora-based experience and the position as a political refugee can connect with "memoryology" Moreover, it is implied that the process of recollection is expressed by the mourning for the mother"s death, internalizing the memory, the mourning for Jo, Myung-Hee"s death, and identifying him by melancholy. It is found that a departure from the political significance occurred as a result of recollection. The answer to the question of "how to live/write" and the meaning of "becoming master" is considered critically. "Becoming mater" has its limit on the point that it is realized only in the memory and in fantasy and it is not a step into the future, but repetitive past life regressions. As so, the present"s political identity in the fantasy is shattered to be left alone with its shell. Finally the political became a political surplus as a result of the recollection. 『화두』는 1990년대 초반 냉전체제의 와해와 사회주의의 몰락이라는 정치적 변화 앞에 제기되는, ‘나는 누구인가’와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질문을 담고 있다. 기억을 통한 뒤돌아보기는 이러한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아가는 방법론적 의미를 지닌다. 본고는 이 점에 주목하여 이 작품을 기억학이라는 방법론의 의미, 기억을 소환하는 기술과 과정, 그리고 기억 소환의 결과 등의 세 가지 층위에서 고찰하였다. 우선 뒤돌아봄, 기억학이라는 방법론은 기억을 통해서 자기 자신과 세계를 인식하는 것으로, 미래의 향방을 알아차릴 수 없는 시대에 길을 찾는 방법론이 되고 있다. 그러나 기억이 곧 나라는 명제를 통하여 기억에 절대적인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나의 시간을 과거에 묶어두고 미래를 무의미하게 만든다. 작품에서 그러한 기억을 소환하게 하는 것은 상실과 죽음으로 기억 소환의 과정은 애도/우울증의 과정으로 나타난다. 이 때 사회주의가 우울증의 근원으로서 나타나는데 작품에서 사회주의는 몰락하여 상실됨으로써 오히려 과잉 현존하고 있다. 이것은 사회주의의 몰락으로 중립에의 지향이 더 이상 불가능하게 된 상황과 관련되는 것으로서 조명희에 대한 우울증적인 동일시로 구체화된다. 어머니의 죽음에 대한 애도는 망명자의 위치와 작가로서의 자의식이라는 두 가지 맥락에서 기억을 소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기억 소환의 결과 발견된 ‘나 자신의 주인 되기’라는 해답은 기억과 환상 속에서만 가능하다는 한계를 지닌다. 때문에 주인 되기는 미래를 향해서 나아가는 것이 아니라 과거로의 회귀와 반복으로 나타나게 된다. 결국 그러한 회귀와 반복 속에서 현실과 기억의 정치성은 탈각되어 잉여로 남게 되고 정치적 책임의 문제도 지워지게 된다. Hwa-Du is a narrative of a refugee and also of a memory. This study implies that the author of Hwa-Du raises the question about "who I am and how I will live/write" in the age of global political turbulence in the early 1990s, when the historic events happened like the fall of the Berlin wall and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and the eastern European socialism. The way to answer the question in this novel is "to look back" in other words, recollection. To look back is expressed in a progress of mourning. The diaspora-based experience and global political turbulence puts the sense of identity as a political refugee in front. For the reason, the question earns political significance. In this paper, Hwa-Du is analyzed, focusing on the three different aspects; the position of the one who recollects, the technique and process of recollection, and the results of recollection. As a result, it is revealed how the diaspora-based experience and the position as a political refugee can connect with "memoryology" Moreover, it is implied that the process of recollection is expressed by the mourning for the mother"s death, internalizing the memory, the mourning for Jo, Myung-Hee"s death, and identifying him by melancholy. It is found that a departure from the political significance occurred as a result of recollection. The answer to the question of "how to live/write" and the meaning of "becoming master" is considered critically. "Becoming mater" has its limit on the point that it is realized only in the memory and in fantasy and it is not a step into the future, but repetitive past life regressions. As so, the present"s political identity in the fantasy is shattered to be left alone with its shell. Finally the political became a political surplus as a result of the recollection.

      • KCI등재

        주관적 지식과 정치 관여 차이에 따른 정치광고 메시지의 기억효과 연구

        진홍근,김민정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28 No.-

        본 연구의 목적은 정치광고 메시지에 노출된 개인이 관여와 지식의 차이에 따라 어떠한 기억 정보를 활용하는지를 규명함으로써 정치 및 선거홍보 전략에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특히 특정 이슈에 대해 본인이 잘 알고 있다는 자기 확신을 중심으로 구성된 주관적 지식과 정치관여도를 독립변인으로 활용하였고, 개인이 판단에 활용하는 기억정보를 판단까지 이루어진 채 기억된 종합적 기억정보와 개별적 속성을 무비판적으로 기억한 개별적 기억정보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특정 정치적 이슈에 대해 주관적 지식이 낮지만 정치적 관여는 높은 집단만이 개별적 기억정보를 주로 회상하고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세 집단은 종합적 기억정보를 개별적 기억정보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회상하고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후 선거나 정책홍보에 있어 대부분의 수용자에게 종합적 기억정보를 활용하기위한 전략수립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dentify the individual has been exposed to political advertising messages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involvement and knowledge of how to use any memory information system. Also promoting political and electoral strategy is to provide implications. Political involvement and subjective knowledge consisting of self-confidence that I know about, especially on specific issues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This study was divided into global memory information and discrete memory information. Findings, low subjective knowledge about specific political issues, but political involvement highly was discrete memory information primarily recall and utilize that. Other three groups used to a global memory information more than discrete memory information relatively. This study results suggest that these policies to promote the need to formulate a strategy to use the global memory information to most of the audience presented.

      • KCI등재

        보훈정책과 기억의 정치

        권희영 한국보훈학회 2008 한국보훈논총 Vol.7 No.1

        2002년 6월 29일의 제2연평해전(서해교전)에서 6명의 군인이 그 생명을 조국에 바치게 되었다. 그러나 군통수권자부터 시작하여 정부가 국민이 이해 하기 힘든 방식으로 이들 전사자들을 대한 것이다. 서해교전을 수습하는 과정에서 한국의 김대중 대통령은 예정된 일본 방문을 구실로 전사자들의 조문에 불참하였다. 아울러 정부는 정치적으로해전을 수습하려는 태도를 보였다. 그 이후 서해교전의 기억은 정부로서는 감추고 싶어하는 기억이 되었다. 뒤를 이은 노무현 정부 역시 김대중 정부와 마 찬가지로 서해교전을 의미있는 기억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이 문제에 접근하기 위하여 우리는 먼저 기억의 정치란 무엇인가 하는 점에 대하여 원론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즉 현실정치와 기억정치의 관련성이다. 과연 기억정치가 정권의 현실정치의 종속변수로서만 기능하는 것이 과연 바람직한 것인지 그렇지 않을 경우 그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어떠한 논리적 기반과 제도가 필요한 것인지의 문제를 점검하는 것이다. 두 번째로는 보훈의 기본요소인 인정(認定)의 문제를 점검하는 것이다. 이 문제가 제대로 풀리지않은것은무엇때문인가? 우리나라 보훈정책의 정신적 기반에 문제가 있지 않은가 하는 점을 반성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서해교전의 기억의 정치를 살펴본다면, 김대중-노무현 정부는 국방-보훈 정책을 대북정책의 종속변수로 삼아 소흘히 해왔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리고 이것은 우연의 산물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정체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대한민국의 군에 대하여 불신하는 태도가 만들어낸 자연스러운 결과라고 할 수가 있다. 이명박 정부의 보훈정책은 서해교전 희생자들의 명예를 회복하는 것에만 만족해서는 안된다. 보훈정책의 근본정신은 국가정체성인데 지난 10년간 국가정체성이 심하게훼손되었다는 사실을 직시하여야 한다. 이명박 정부는 서해교전 기억정치의 과오를 ‘시정’하는데 그치지 않고 이를 반면교사로 삼아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다시 회복해야만 할 것이다.

      • KCI등재

        1960-70년대 ‘집단기억’과 기억의 재구축 : 이청준 소설을 중심으로

        이평전 동남어문학회 2014 동남어문논집 Vol.1 No.37

        본고에서는 이청준 소설에서 무엇이, 얼마나, 어떻게 재현되는지, 또한 왜 기억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집단기억의 내적 원리를 규명하고 있다. 이는 작가가 어떤 사건을 얼마나 공정하게 다루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무엇을 어떤 방식으로 기억하고 있으며, 그 기억의 정치화 과정을 통해 얻으려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답을 찾는 일이다. 기억과 문화 및 사회 집단의 관계를 체계화하고 개념적으로 세분화한 알라이다 아스만의 기억이론은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기억과 집단정체성, 트라우마, 기억정치 등의 요소를 해명하는데 유효한 경로로 제공한다. 이청준은 1960-70년대 집단기억의 양상을 가장 잘 드러낸 작가이다. 그는 한국전쟁을 체험하고 전후 폭력적 현실과 상처를 회상하는 가운데 집단기억이 만들어낸 병리와 정체성, 기억의 정치화 과정을 섬세하게 재현한다. 특히 ‘전짓불 체험’으로 상징되는 트라우마와 관련된 집단기억 방식은 1960, 70년대 역사의 의미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 이청준 소설의 중요한 의미는 ‘현실’을 기억의 토대 위에 구축했다는 것이 아니라, 과거와 동시에 현재를 의식하고 그것을 다양한 층위의 기억 방식을 동원해 집단 기억의 실체를 보여주었다는 데 있다. 작가는 전쟁의 비극이 가라앉기도 전 4.19의 희망과 5.16의 좌절을 함께 경험하고, 급속한 산업화의 길로 들어선 현실 공간의 모순, 이데올로기 뒤편에 숨겨진 기억의 정치화 과정을 탐색하고 있는 것이다. Lee, chung-joon is an author who best reveals the aspect of 1960-70s' collective memory. He delicately draws the pathology and identity which collective memory and the process of politicization of memory have made in the process of experiencing Korean War and recollecting the violent reality and injury after war. The most remarkable point is the method of memory regarding Trauma, that is so-called ‘flashlight experience’, which can be said to be a signifying process of 1960-70s' history. The value of his novel does not stay at the point that he built ‘reality’ on the basis of memory, same as other authors, however he recognizes the present at the same time with the past, and reveals true nature of collective memory by mobilizing the method of memory various level, e.g. restoration, recognition, reminding, and remaining memory, beyond the comprehension of the past. In this process, Lee, chung-joon shows the contradiction of real space where the experience of the hope of 4.19 and frustration of 5.16 at the same time, just before the tragedy of war was settled and rapidly entered industrialization, the politicization process of memory which is hidden behind ideology, i.e. western modernization and economic growth. This thes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inner principle of collective memory by investigating what, how much, in which way, is reproduced, and why it is reminded in Lee, chung-joon's novel. This is not the matter of how fairly the author treats an event, but the matter of how he remembers anything in which method, and to search for the answer to what to get through politicization of that memory. Alaida Assmann's memory theory, which systemized and conceptually segmented the relation among memory, culture and social group provides a useful route to explain the elements of the memory, collective identity, trauma, the politics of memory politics, etc. displayed in his novel. In this process, the significance of the generations' fiction-writing, who remember this period, can be interpreted.

      • KCI등재후보

        프랑스의 보훈정책 : 가치-제도-선양 삼위일체의 기억정치

        한종기 한국보훈학회 2011 한국보훈논총 Vol.10 No.2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inkage between state value system, institutional system for patriots and veteran affairs,and system of patriotism, based on ‘politics of memory’, in France. France has established a national value system of republican identity, institutional system of constitutional patriotism as a moral order for mnemonic practice, and cultural nationalism as a median memory.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republican identity and cultural nationalism which has long been overlooked in the Existing literature of French Veterans Affairs Policy. Firstly, republican tradition as a unity and integration of state value system constitutes a collective memory constructs the basis of French Veterans Affairs policy. In other words, republican memory itself formed a core of the national identity as a collective possession and a symbol of cultural tradition. Republican identity, in turn, supports republic constitution that underlined sovereignty of people, integrity, and patriotism, and becomes a solid basis of national community that is based on the strong bondage between nation state and civil society. Second, French Veterans Affairs policy and system based on consitutional patriotism embodies constitutional patriotism by institutionalizing compensation and justice, triggering moral order. It has also been featured by the expansion of compensation and a higher position of veteran-related institutions in a bureaucratic hierarchy. Furthermore, it not only activate medium of memory though commemoration and celebration, but also bring an evolution of republican value system. Finally, French Veterans Affairs system constitutes a part of cultural nationalism that links past and present as a medium of memory. it is based on ‘dialogue model’that incarnates identity, memory and patrimony into cultural nationalism. Findings of this study shows that a Veterans Affairs policy is a strategic and constructive process of political dynamics of collective memory. The finding also suggests that a trinity system of value, institution, and enhancement based on collective memory constitutes a key factor of a success ofa Vertran Affairs policy. 본 연구는 프랑스의 보훈 정책이 ‘기억의 정치’를 토대로 국가가치체계-보훈제도체계-보훈선양체계를 어떻게 삼위일체적으로 연계시켜 추진하고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집단기억에 대한 국민국가의 일반적인 정치적 정당화의 기본 메카니즘을 설정하고, 프랑스 보훈정책이 역사의 긴 시간 속에서 환원불가능한 전체로서의 공화국 정체성 가치체계, 기억실천을 위한 도덕적 명령으로서의 헌정애국주의 제도체계, 그리고 기억 매개로서의 문화민족주의 선양체계 선양체계를 구체화시켰다는 것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그동안 제도중심의 프랑스보훈정책 연구들이 가볍게 취급한 국가가치체계인 공화국 정체성과 보훈선양체계인 교육과 문화재 중심의 문화민족주의에 대한 연구공백을 메우고자 했다. 프랑스보훈정책에 대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프랑스의 국가가치체계 측면에서 단일과 통합의 공화국전통에 대한 집단기억이 그 자체로 하나의 고유한 사회적 사실로 존재한다는 점이다. 즉 프랑스에서 공화국기억은 프랑스라는 집단의 소유물이자 문화유산으로서 그 자체로 고유한 존재론적 지위를 갖는 상징이요 하나의 시스템으로서 국가정체성의 핵으로 뿌리내리고 있는 것이다. 이런 자기규정으로서의 공화국정체성은 공화국 헌법이 인민주권, 통합주의, 애국주의를 강하게 함축하는 규범)으로 자리 잡게 하고, 나아가 국가와 시민사회를 일체화시켜 국가공동체를 실현시키는 핵심 국가가치체계를 구성하고 있다. 다음으로 프랑스의 보훈제도체계는 보상과 정의의 제도화를 통해 헌정애국주의 형태를 구체화하고, 기본적으로 금기와 금지, 의무와 요구라는 도덕적 명령을 작동시키는 기제로 기능한다는 점이다. 이런 헌정애국주의 형태의 보훈제도체계는 프랑스의 보훈제도가 보상과 지원의 확대, 보훈행정조직의 위상제고와 연계성 강화, 그리고 기념제위주의 보훈관리로 특징되도록 하였고, 나아가 정치적으로 성과 속이 밀접하게 얽혀 있는 제도적 추진체계를 통해 기념제와 기억매체를 활성화시키고 또 공화국 가치체계를 지속 혹은 변형시키는 기제이다. 마지막으로 프랑스의 보훈선양체계는 의미의 생산과정인 교육과 홍보, 문화재와 기념제로 특징되는 문화민족주의의 특징을 가지며, 기본적으로 과거와 현재의 대화를 매개하는 문화적인 기억매체의 활용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런 문화민족주의적 성격의 보훈선양체계는 유아론적 독백이 아니라 관계 속에서 대화하는 모델로서, 프랑스인에게 ‘정체성’(identity)과 ‘기억’(memory)과 ‘문화재’(patrimoine)라는 3개의 개념을 하나의 문화민족주의로 각인시키는 기억정치의 주된 동력원으로 기능하고 있다. 이런 분석결과는 보훈정책이 전략적 과정인 동시에 구성적 과정인 집단기억의 정치동학을 통해 전개되며, 경로의존적인(path-dependent) 집단기억을 토대로 가치체계와 제도체계와 선양체계가 삼위일체를 이룰 때 효과적이라는 점을 제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지속적 사회비판으로서 위험한 기억 -근대성의 도전에 대한 신학적 응답이라는 관점에서 본 요하네스 뱁티스트 메츠의 정치신학

        ( Jin Hyok Kim ) 한국조직신학회 2013 한국조직신학논총 Vol.36 No.-

        정치와 경제 질서의 전세계적 재편성, 현대사회에서의 기독교 신학의 적합성에 대한 질문, 실천적 기독교에 대한 요구, 고조되는 정의에 대한 열망 등은 많은 사람들이 정치신학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게 하고 있다. 이런 시대적 맥락에 맞게 독일의 대표적 신학자인 요하네스 뱁티스트 메츠에 대한 연구를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본 논문은 메츠의 정치신학을 근대성에 대한 그의 비판과 응답이라는 관점에서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별히 본 연구는 메츠의 정치신학의 중요 개념들을 제시하고, 그 바탕 위에서 그의 사상의 중심 범주인‘위험한 기억’이 21세기 다문화사회화와 경제에 의한 정치의 종속화라는 상황속에서 어떤 함의를 이끌어 낼 수 있는지 질문하고자 한다. 메츠는 정치적 실천이라는 관점에서 자신의 신학을 발전시킨다. 그는 스토아 철학부터 사용된 단어인‘정치신학’을 20세기 기초신학에 재도입한다. 기초신학은 유럽의 계몽주의에 대한 반응으로 처음 나타났지만, 메츠는 기독교가 계몽주의에 의해 야기된 문제들에 제대로 답하기 위해서는 기초신학이 정치신학이 되어야만 한다고 주장한다.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비판이론의 영향을 받은 메츠는 근대사회에서 종교의 중산층화, 신앙의 사사화, 도구적 이성에 의한 생활영역의 식민화, 진화론적 시간관의 등장 등을 강하게 비판한다. 근대성에 대한 메츠의 이러한 반응은 그의 독특한 정치신학을 형성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 특히 그는 유대- 기독교 종말론을 통해 진화론적 시간관을 극복하여 종교의 사사화 등의 문제에 응답하려 한다. 또한, 아우슈비츠의 참상을 재성찰하고, 고통의 기억을 재발견함으로써, 메츠는 현대정치와 신학의 다양한 문제들에 대해 새로운 해석을 시도한다. 계몽주의의 도구적 이성에 대한 그의 비판적 시각에도 불구하고, 메츠가 보기에 계몽주의는 여전히 미완의 프로젝트이다. 그는 계몽주의가 근대사회에 많은 문제를 불러 일으켰지만, 인권, 자유, 정의 등의 보편적 가치를 현대인에게 소개해 주었다는 점에서 높게 평가한다. 메츠는 이러한 보편적 윤리 개념은 다문화 주의와 심의 민주주의의 위기 시대에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하게 말하지만, 계몽주의의 도구적 이성이 가지고 있는 위험성 때문에 이러한 근대적 가치를 무차별적으로 수용하는 것은 조심해야 한다고 경고한다. 그렇기에 메츠는 계몽주의의 보편적 도덕성은 고통의 기억을 담고 있는 성서전통과 연결될 때 그 참 가치를 드러낼 수 있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의 결론은 현대 민주주의가 종말론적 지혜를 필요로 한다는 메츠의 주장이 역으로 정의와 선에 대한 철학적 논의와 보편적 인권에 대한 법적 기반을 전제할 수밖에 없음을 보여준다. 또한, 본 연구는 메츠의 정치신학이 성서윤리의 보다 폭넓은 네러티브를 전제해야 함을 역설하면서, 위험한 기억이라는 범주가 부활의 기억과 떨어져 생각될 때 생겨날 잠재적 위험성에 대해 경고한다. Due to current political and economical instabilities, critical inquires about theology`s relevance for contemporary men and women, constant interests in the praxis of the Christian faith, and growing yearning for social justice, political theology has become an increasingly important category for theological thinking and acting in the modern world.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examine Johannes Baptist Metz, the leading representative of political theology in Germany, with special attention to his critical interpretation of modernity. In particular, after surveying Metz`s key concepts, this study will question whether and to what extent his idea of the memory of suffering can help us respond to multiculturalism and to the crisis of deliberative democracy. Metz has developed his theology through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praxis. He reintroduces the term ‘political theology,’ which has a long history beginning with Stoic philosophy, into fundamental theology of the twentieth century. Fundamental theology first appeared as a response to the challenge of the European Enlighten- ment. However, in Metz`s eyes, fundamental theology cannot respond to crises caused by the Enlightenment unless it develops as political theology. His response to the crisis of modernity shapes his unique political theology. Under the influence of the Frankfurt School`s critical theory, especially, he critiques bourgeois religion, the privatization of religion, the dominance of instrumental rationality, and the notion of evolutionary time in the modern age. In light of the Judaeo-Christian understanding of eschatology, he attempts to overcome the modern doctrine of evolutionary time and the privatization of religion. Moreover, he reflects the catastrophe of Auschwitz and reinterprets its memory of suffering in relation to current political and theological issues. Despite his skepticism towards the instrumental rationality of the Enlightenment, however, he contends that the Enlightenment is still an unfinished project. Although it has caused many social, political, ethical and religious problems in the modern world, it has introduced the universal values of human rights, freedom and justice. They are still important and necessary, especially in the face of multiculturalism and of the crisis of deliberative democracy. Due to the instrumental rationality of the Enlightenment, nevertheless, we cannot simply accept the values created and developed through modernity. For Metz, the universal morality of the Enlightenment can prove its worth insofar as it is related to the biblical tradition of the memory of suffering. In conclusion, this study will illustrate that, despite Metz`s claim that modern democracy needs eschatological wisdom, his appeal to memory is unavoidably dependent upon philosophical discourses on justice and goodness, and upon the legal definition of cosmopolitan human rights. In addition, in contrast to Metz`s selective appeal to certain biblical themes, I will show that political praxis should be situated within a deeper and wider narrative background of biblical ethics on the one hand, and that the memory of suffering should be conditioned and reshaped by the memory of the Resurrection on the other.

      • KCI등재

        기억의 산업화 기념의 정치화: 2000년대 이후 한국전쟁 재현 전쟁영화의 역사적 의미

        정영권(Chung, Young Kwon)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21 씨네포럼 Vol.- No.39

        본 논문은 2000년대 이후 한국전쟁을 재현한 한국의 전쟁영화를 장르사적 관점에서 짚어보고 전쟁기억의 역사적 의미를 진단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한국전쟁 재현 전쟁영화의 역사를 거시적 관점에서 정치 ․ 사회사의 반복/소환 혹은 변용으로서 바라볼 것이다. 1950년대의 전쟁영화가 국가에 의한 공식기억의 시작이자 사실성에 입각했다면, 1960년대 전쟁영화는 공식기억의 심화이자 장르성의 발현으로 볼 수 있다. 1970년대 전쟁영화는 공식기억이 최고조에 달해 완전히 국책영화의 단계로 나아갔다. 1980년대가 ‘분단영화’의 시작을 알렸다면 1990년대에는 민주화와 탈냉전의 분위기 속에서 공식기억이 해체되고 아래로부터의 전쟁기억이 비판적 리얼리즘으로 분출한 시기이다. 1950년대와 1990년대는 영화적 사실성이라는 점에서 조응하나 전자는 공식기억의 발원, 후자는 그 해체로 파악 가능하다. 2000년대 〈태극기 휘날리며〉(2004), 〈웰컴 투 동막골〉(2005) 등의 전쟁영화는 기억 자체를 산업화 ․ 상품화시켜 장르 규칙에 가둔다는 점에서 1960년대 전쟁영화를 떠올리게 한다. 그러나 1960년대가 애국주의와 반공주의라는 공식기억이 심화한 시기였다면, 2000년대는 냉전시대의 공식기억은 물론 1990년대의 아래로부터의 전쟁기억마저 무화시키는 상업주의의 시대였다. 이러한 경향은 2010년대 이후에도 지속되었지만 보수정권의 국가적 지원 속에 제작된 〈포화 속으로〉(2010), 〈인천상륙작전〉(2016)은 예외적이었다. 이 영화들은 1970년대 국책 전쟁영화의 애국주의, 반공주의를 재소환함으로써 냉전시대의 공식기억을 복원한다. 결론적으로 2000년대 이후 전쟁영화가 전쟁기억을 산업화 ․ 상품화시켰다면, 2010년대 보수정권 지원하의 전쟁영화는 전쟁기억을 국가적 기념으로 정치화시켰다고 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ar films in South Korea which have represented Korean War since 2000s in terms of film genre history and its historical meaning on war memory. In addition, I will conceive the history of war film which reprensented Korean War as a repetition/recall or variations of Korean political and social history in macroscopic viewpoint. While the war films in the 1950s was the beginning of public memory on war by the state and was based in its reality, the ones in the 1960s was more deepened in public memory and was viewed as the emergence of film genericity. The public memory of war films in the 1970s has reached a boiling point and has made headway into the stage of national policy film. While “Korean division film” marked the beginning in the 1980s, the 1990s was the era of the breakup of public memory in the atmosphere of democratization in South Korea and the end of cold war, and the age in which war memory from below burst out in the form of critical realism. The war films in the 1950s and the 1990s was in accordance in the perspective of filmic reality, but the former could be regarded as a beginning of public memory and the latter could be considered as its dissolution. War films such as TaeGukGi: Brotherhood of War (2003) and Welcome To Dongmakgol (2005) in the 2000s remind war films in the 1960s in terms of genre rules in which memory itself was industrialized and commercialized. However, while the 1960s was the era of public memory as patriotism and anticommunism, the 2000s was the age of commercialism that annihilated even war memory from below, not to mention public memory of cold war age. Although these trends have continued since 2010s, 71: Into the Fire (2010) and Operation Chromite (2016) that were produced with the support of the conservative government were exceptional. These films restore public memory of cold war by recalling patriotism and anticommunism of national policy war film in the 1970s. As a result, in contrast to the war films since 2000 which industrialized and commercialized war memory, war films in the 2010s under the auspices of the conservative government politicized themselves by converting war memory into national commemoration.

      • 조선후기 의병장 鄭文孚의 기억 양상

        김강식(Kang-Sik Kim)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22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7

        국난 임진왜란을 극복하는 데 기여했던 정문부(鄭文孚)는 관북 지방 의병장으로서 여러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이에 임진왜란 극복을 위해서 많은 공적을 세운 대표적인 인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조선후기에 의병장 정문부를 기억하는 모습을 붕당정치의 전개 속에서 살펴보았다. 임진왜란 직후 붕당정치 성립기에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성리학 질서의 재확립과 실천이 시급한 문제였다. 이에 선조와 광해군 대에는 공신을 책훈하고 전쟁에서 활동하다 희생된 인물들에 대해 정리하였다. 의병장으로서 두드러진 활약을 펼쳐서 관북 지방을 지켜낸 정문부는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1등에 올랐으며, 병조참판(兵曹參判) 등의 관직을 추증받았다. 본격적으로 붕당정치가 전개된 인조 이후에는 임진왜란 중에 성리학의 이념을 실천한 인물과 사례에 대한 발굴 작업을 통해서 지역사회에서 붕당의 기반을 다지고, 나아가 중앙정치에서 다른 붕당에 비해서 우위에 서려고 하였다. 임진왜란 이후 이괄의 난에 연루되었던 정문부는 이원익(李元翼)의 추천으로 기복(起復)되었다. 정문부를 기리는 종성의 창렬사(彰烈祠)와 경성의 현충사(顯忠祠)가 창건되었다. 현종 때에는 창렬사에 사액(賜額)이 내렸다. 숙종 때 충의(忠毅)란 시호를 받았으며, 초간본 『농포집(農圃集)』이 간행되었다. 북평사 최창대(崔昌大)가 북관대첩비(北關大捷碑)를 건립하였으며, 17세기 말~18세기 말에 창의토왜도(倡義討倭圖)가 그려졌다. 이때 집권 세력 서인 계열의 민정중(閔鼎重)의 활동이 주목되는데, 이는 앞서 북평사를 역임한 서인 이식(李植)의 노력을 이은 것이다. 임진왜란에 대한 전쟁의 기억이 희미해지고, 붕당정치가 폐해를 드러내면서 탕평정치와 세도정치가 전개되자, 임진왜란의 기억을 발굴하거나 재생하여 지역사회에서 사회적 기반을 구축하고, 나아가 중앙정치에 다시 진출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려는 노력이 전개되었다. 정문부는 정조 때 충신으로 정표(旌表)되었으며, 부조(不祧)의 은전을 받았다. 또 임진왜란 때 북도에서 순절했지만, 아직 사당에 배향되지 못한 인물들을 추가 배향하는 과정에서 정문부에 대한 기억도 재생되었다. 정문부는 부령의 창암사(靑巖祠)에 배향되었다. 철종 때 편찬된 김경복(金慶福)과 이몽서(李夢瑞)의 실기 『속정충록(續精忠錄)』에 실린 「쌍포대첩도(雙浦大捷圖)」를 통해서 정문부 의병의 활약상이 재현되었으며, 철종 때 신도비(神道碑)를 후손들이 용인에 다시 세웠다. Jeong, Moon-boo, who contributed to overcom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won many battles as the largest righteous army commander in Gwanbuk. Accordingly, he is widely known as a representative figure who has made a contribution to overcom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n this paper, we looked at the development of party politics in the late Joseon Dynasty, remembering and transferring the main gate of the righteous army commander. Immediately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implementation of the Neo-Confucianism order was urgent at the national level because it was the time when the party politics was established. Accordingly, King Seonjo and the Gwanghaegun Army organized the figures who were active in the war by lecturing meritorious subjects. The main gate department, which defended the government-run northern region by performing a prominent role as a righteous army commander, was ranked first in the Seonmuwonjonggongsin and received various government posts, including various military affairs. After King Injo's full-fledged development of Bungdang politics, he tried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party in the community and gain an advantage over other party in central politics through excavation work on figures and cases that practiced Neo-Confucianism during the Imjin War. The main gate was posthumously awarded to Woo Chan-seong, and Changryeolsa Temple in Jongseong and Hyeonchungsa Temple in Gyeongseong were founded. During the reign of King Hyeonjong, a Buddhist monk was given to Changryeolsa Temple, and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 he wasgiven the title of Chungui-ran. The first edition of “Nongpojip” was published during King Sukjong's reign, and Choi Chang-dae of Bukpyeongsa Temple built the Bukgwan Battle Monument, and the subjugation of the uprising of map was painted from the late 17th to the late 18th century.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memory of the war faded and Tangpyeong politics unfolded as the party politics revealed its harmful effects, efforts were made to regenerate the memories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to build a social foundation in the community and further lay the foundation for re-entry into central politics. During King Jeongjo's reign, the main gate department was marked as a loyalist and received a favor from the Buddhist monk. The main gate department was enshrined in Cheongamsa Temple in party politics. In additio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memory of the main gate was passed down in the process of additionally orienting figures who died in Bukdo, but have not yet been enshrined in the shrine. Various combat records and seven transmission maps are included in the practical skills of Kim Kyung-bok and Lee Mong-seo compiled during the reign of King Cheoljong, and the activities of the righteous army in the main gate can be guessed through the Ssangpo Battle Map. During the reign of King Cheoljong, the memorial stone was rebuilt, but it remains in Yong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