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70년대 공동체의 논리와 인정의 수사학: 이문구 소설을 중심으로

        이평전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5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8 No.-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community logic of the subject for the ideological control and resistance and the aspect of recognition struggle through 1970s' Lee, mungu's novel. Lee, mungu practiced recognition struggle of subject through the narration of resistance and conquest in the modernization process and groping of alternative community. So-called violent modernity of 1970s requires identity and uniformity and completely excludes different things as others, that are not embraced by this identity. Between this distorted type capitalism economic logic and anticommunism ideology, aim for the community through ethical awareness of the subject and self explanation is a very difficult problem. Resistance to the unfairness as the moral standard in Lee, mungu's novel, can be said to be the overcome process of materialization through ‘recognition struggle’ in the aspect of criticism on the capital power that exploits labor. Rhetoric of recognition in Lee, mungu's novel is easily regarded as the logic of adaptation to ruling ideology. Actually, recognition thesis to acknowledge the current (ruling) state can be most useful for control power. In this regard, Axel Honneth's ‘Recognition Struggle Model’ could reveal the gap from the ideology criticism viewpoint and the basis of negative evaluation of Lee, mungu's novel. However, Lee, mungu's method of imagining community is regarded as a very significant attempt, in respect that the recognition of subject on the unfair reality was the starting point of resistance, also, it showed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individual subject cognition seized by ideology through communal logic. 이 연구는 1970년대 이문구 소설에 나타난 비판적 주체의 공동체적 논리와 인정투쟁의 양상을 살피고 있다. 작가는 근대화 과정의 모순에 저항하고 대안적 공동체의 모색을 통해 주체의 인정투쟁을 실천 한다. 1970년대, 이른바 폭력적 근대는 동일성과 획일성을 강요하고, 그것에 포섭되지 않는 이질적인 모든 것들을 타자로서 철저히 배제해 나간다. 왜곡된 형태의 자본주의 논리와 반공이데올로기의 틈바구니에서 비판적 주체의 윤리적 각성과 자기 해명을 통한 공동체 지향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었다. 이런 맥락에서 이문구 소설 속 도덕적 규범으로서의 부정의에 대한 주체의 비판은 공동체적 공간을 해체하는 자본권력에 대한 비판이라는 측면에서 ‘인정투쟁’을 통한 사물화의 극복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문구의 소설에 나타난 공동체와 인정의 형식은 일반적으로 지배이데올로기에 대해 순응하는 논리로 간주되곤 한다. 실제 현재의 지배 상태를 인정하라는 인정테제가 현실지배를 위해서 더없이 유용한 것은 사실이다. 그런 점에서 악셀 호네트의 ‘인정투쟁 모델’이 이데올로기 비판에서 공백을 드러내고, 이문구 소설에 대한 부정적 평가의 근거가 될 수도 있다. 그럼에도 이문구의 공동체의 상상 방식이 정의롭지 못한 현실에 대한 비판적 주체인식과 저항의 전략으로, 자본과 반공이라는 1970년대 지배이데올로기가 작동하는 현실을 대치할 수 있는 이 시기 문학적 투쟁의 진원지라는 점은 분명해 보인다.

      • KCI등재

        베트남전쟁 소설에 나타난 ‘신성’과 ‘폭력’의 인식론적 기원 연구

        이평전 영주어문학회 2019 영주어문 Vol.42 No.-

        This paper explores how the ‘Vietnam War’ recreated in modern novels makes a cognitive transition from ‘divine war’ to ‘violent war’. The Vietnam War was a sacred ideological war to defend the free world and at the same time a national liberation war against imperialism. The divine command of the state and unjust and unethical violence in the course of the war invoked ‘guilt’ and ‘shame’ to everyone involved in this war. Because of that, it basically remains as a memorable memory to be forgotten and concealed, or a historical record to be lost. Hwang-seok young’s The shadow of weapons and Ahn-jeong hyeo’s The white war are extends the battlefield to the present while remembering and recording the past Vietnam War. The unique memory and self­consciousness of Koreans are in the process of dividing into a collective and collective dimension in the midst of gigantic discourses of imperialist capitalism and nationalism. The early Vietnam War is myth and sanctification in the political planning of the regime of the present day and the logic of capital centering on the United States. However, after the end of this war based on someone’s sacrifice and after the divinity has been dissolved, the only remaining trauma to the explaining of this tragic war is the damage to personal and collective violence. In this sense, the fictional representation of the Vietnam War is not merely a record of war, but a demonstration of the desire for divine ethics and the epistemological cynicism of violence for those who have fallen into immoral mercenaries and have carried out devastating battles. 이 논문은 현대소설에 재현된 ‘베트남전쟁’이 어떻게 ‘신성한 전쟁’에서 ‘폭력적 전쟁’으로 그 인식적 전환을 이뤄가는가를 탐색하고 있다. 베트남전쟁은 자유 세계를 수호하기 위한 신성한 이데올로기적 전쟁이면서 동시에 제국주의에 저항하는 민족해방전쟁이었다. 전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자행된 신성한 국가의 명령과 정의롭지 못한 비윤리적 폭력은 이 전쟁과 관련된 모든 사람에게 ‘죄의식’과 ‘수치심’을 불러일으켰다. 때문에 그것은 기본적으로 잊혀지고 감춰야 할 기억으로 또는 망실되어야 할 역사적 기록으로 남아 있다. 황석영의 『무기의 그늘』과 안정효의 『하얀전쟁』은 과거의 베트남전쟁을 기억하고 기록하면서 그 전장을 현재로 확장한다. 제국주의적 속성을 띤 자본주의와 민족주의라는 거대 담론의 틈바구니에서 한국인의 독특한 기억과 자의식 사적이면서 동시에 집단적 차원으로 분열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는 것이다. 초기 베트남전쟁은 당대 정권의 정치적 기획과 미국을 중심으로 한 자본의 논리 속에서 신화화되고 신성시된다. 그러나 누군가의 희생을 바탕으로 한 이 전쟁이 끝난 뒤 그리고 신성성이 해체된 후에 이 비극적 전쟁을 설명해 줄 흔적이 소멸한 뒤에 남은 것은 개인적이며 집단적인 폭력에 대한 상처뿐이다. 그런 점에서 베트남전쟁에 대한 소설적 재현은 단순히 전쟁에 대한 기록이 아니라 부도덕한 용병으로 전락했던 그리고 참혹한 전투를 수행했던 이들의 신성한 윤리를 향한 욕망과 폭력의 인식론적 괘적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하위주체’ 형성의 논리와 ‘재현’의 정치학: 197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이평전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6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70 No.-

        본 연구는 1970년대 소설에 나타난 하위주체의 형성 논리를 정치학적 재현의 과정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 시기 하위주체는 엘리트 식민담론에서 배재된 민중의 역사를 불러들인다는 그 본래적 의미를 넘어, 자본의 세계화라는 변화된 조건에서 주체의 억압적 상황을 설명하는 정치학적 재현의 대상으로 변모한다. 그러므로 이 시기 억압적 정치권력과 이데올로기, 산업자본주의라는 현실적 맥락을 고려하면서 대안적 주체로의 하위주체를 문학적으로 검토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것은 단순히 정치학적 관점에서 국가간 자본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국가와 자본의 사각 지대에 놓인 문학 속 주체를 해명하는 일이다. 하위주체는 프롤레타리아 계급을 포괄하고 전 지구에 다양한 형태로 흩어져 있으며, 자본의 논리에 쉽사리 동화되지 않는 잉여의 속성을 지닌 존재로 간주된다. 나아가 자본주의 가부장제 양식과 전지구적 차원에서 중첩된 제3세계 여성의 착취관계와 하위계급의 연대 가능성을 동시에 지닌 주체로 인식되기도 한다. 그동안 한국문학과 하위주체와 관련한 논의는 1990년대 초반 서발턴 연구로 시작되었는데, 대부분 식민지 문화연구와 문학/문화비평의 영역에서 하위주체의 단면을 개괄적으로 서술하는 차원에 머물러 있다. 본고에서는 1970년대 억압적인 정치 사회적 분위기와 산업 자본주의의 다양한 국면을 깊이 있게 검토하면서, 특히 여성, 노동자, 농민으로 상징되는 하위주체의 정치적 재현 과정의 의미를 살피고 있다. This research analyzed the formation logic of ltern subject in the novel of 1960s-70s in the process of political reappearance. Subordinate subject of this period becomes an object of political reappearance that explains the oppressive situation of the subject in the changed condition, globalization of capital, beyond the original meaning of inviting the history of the public that was excluded from the elite colonial discussion. While considering the authoritarian political authority and the ideology of 1970s, and the realistic context of industrial capitalism, literary interest in the Subaltern as the alternative subject has a significant meaning. That is to explain the identity put in the blind spot between the nation and the capital rather than merely the conflict of capital between the nations from the political viewpoint. Subaltern is regarded as the existence that has the feature which is distributed in the world variously and not easily assimilated with the logic of capital, while including and expanding proletarian class. Furthermore, it can be the resistant subject that reveals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between the exploitation relation of the 3rd world female and the subordinate class which are countlessly overlapped in the capitalistic patriarchal mode and the global level. Meanwhile, the discussions related to Korean literature and Subaltern have been discussed along with the research related to the early subaltern from 1990s, most of which remained in the level that overally described an aspect of subordinate subject in the area of colonial culture research and literature/culture criticism. Here, this research determined that particularly female, laborer, farmer, city Subaltern are the political reappearance of the society of that period, by deeply investigating various aspect of the oppressive social atmosphere of 1970s and the various aspects of industrial capitalistic society.

      • KCI등재

        이병주 소설에 나타난 ‘인정투쟁’의 논리와 전개 양상 연구

        이평전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8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78 No.-

        This paper examines the pattern of recognition struggle in Lee Byung-Ju's novels through the construct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in Korea. His novel recalls and points out the past history from the present point of view and constantly recognizes his identity as a subject. It is a kind of ‘recognition struggle’, which means that the artist's consciousness to inform the truth about the desires and distortions of political utterances is the source of the creation of Lee Byung-Joo's literature. Lee's novel is the answer to the anthropological problem of the recognition struggle. The desire for strict recognition for oneself and for society in the dichotomical confrontation and the enforced clarity in the Korean society created by the time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Second World War, and the conflict of liberation and ideology, division, It makes Lee Byung-joo a recorder of the times. This paper examines how Lee Byeong-joo passed through the turbulence of modern history and projected the desire of recognition on the narrative. In addition, we attempted to explore the narrative of the record mobilized to overcome colonial trauma and remnants in the consciousness of the colonial problem and the power to drive it. 이 논문은 한국 근현대사의 시공을 관통해 주체의 ‘인정투쟁’ 양상을 재현했던 이병주의 소설 세계를 살피고 있다. 그는 현재적 관점에서 과거의 역사를 추적하고 재론하면서 시대적 주체의 정체성을 인식해 나간다. 소설은 일종의 ‘인정투쟁’의 결과로 정치적 발화의 욕망과 왜곡된 진실을 알려야 한다는 작가의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또한 그의 작품은 인정투쟁의 인간학적 문제에 대한 응답으로 일제 강점기, 2차 세계 대전, 그리고 해방과 이념 갈등, 분단에 이은 동족상잔의 비극이 만들어낸 한국 사회의 뿌리 깊은 이분법적 대립과 강요된 선명성 사이에서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한 시대의 기록자로서의 고투와 그 흔적을 드러낸다. 관련해 본고에서는 이병주가 역사의 격동기를 지나오면서 인정욕망을 어떻게 서사에 투사하고, 식민지적 문제의식 속에서 그 외상과 잔재를 극복하기 위한 인정투쟁의 실제적 장면들을 탐색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교양소설’로서 『광장』 읽기

        이평전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교양교육연구 Vol.7 No.4

        In this paper, we discussed educational philosophy and its reproduction that appeared in the novel of “The square” by Choi, Inhoon in the light of the characteristics of Bildungsroman. Even if the narration of all young man in this novel is no proclamatory statement, the “The square” by Choi, Inhoon clearly shows up a Bildungsroman manner. Of course, it is true there are different perspectives of love, travel and growth of subject for narration, ‘Lee, Myungjun’ who is the protagonist in this novel which was drawn into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ies, ideology, and individuals in 1960s is clearly cultured person when so called the ‘Bildung’ was defined as individuals form and expand the subject themselves and the formation of a culture by discovering their place in the society.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Bildungsroman in “The square” tell the process of growth as a holistic human who is well formed, and fully matured. The other is that the protagonist Lee, Myungjun was drawn to the process of transition to conscious and practical subject from confusion and error caused the suppression of the times. This means that the culture, based on traditional humanism of the bourgeoisie to enrich the power of human, the Korean War, and 4.19 show the growth and practice both individual and society to us at the same time. Both the cultural philosophy of German which is to achieve the completion of t he nation through the subjects who are practicing themselves, and Matthew Anold who is forming the nation dominated bourgeois culture by approving the formation of hegemony for the middle class show the ideological character of all. In this regard, to read “The square” as Bildungsroman has been tracking the recognition of the change for the ideology and 이 논문은 최인훈의 『광장』에 나타난 교양이념과 그것의 재현 방식을 교양소설의 구현이라는 관점에서 살피고 있다. 실제 『광장』에 교양소설이라는 이름을 부여할 수 있는가는 여전히 논쟁적이다. 그럼에도 근대의 역동성이 부여한 성장의 과제에 대한 고투와 기획을 보여주는 이 소설이 교양소설적 면모를 갖추었음은 분명해 보인다. 교양소설은 인간의 완성을 믿는 전통에서 출발해 인간 개개인의 존재를 인정하고 ‘개인’이 주체가 되는 사회, 문화적 조건의 바탕위에서 성립한 소설 장르로 『광장』은 ‘이명준’으로 상징되는 1960년대적 교양 주체를 적극적으로 재현하고 있다. 『광장』은 교양소설의 근본 주제인 자기결정을 통한 개인성의 구현이라는 근대적 과제를 수행하고, 그렇게 구현된 개인이 전체의 일부로서 사회적 통합을 달성해가는 과정, 또는 그것에 실패해 좌절하는 모습이 잘 드러난다. 『광장』에 나타나 ‘개인’과 ‘이데올로기’, ‘공동체 ’ 사이의 긴밀한 관계는 근대 주체의 교양의 성취과정에 다름 아니다. 그러므로 교양소설로서 『광장』을 읽는 것은 분단 이후 한국의 정치, 역사적 상황 변화에 따라 시대와 의미를 달리하는 현실과 이데올로기에 대한 변화된 인식의 배후를 추적하는 일이다. 『광장』의 교양 소설적 성격은 주어져 있는 모든 현실적 조건들이 완전하게 성숙하고 형성된 총체적 인간이라는 지고의 단계에 이르는 한 인간의 주체 형성 과정을 그리면서도 동시에 시대적 억압에 따른 오류와 혼란으로부터 의식적이며 실천적 주체로 이행해가는 과정을 탐색하는 데 있다. 주요 서사들 즉, 이데올로기, 주체, 개인의 발견, 정치 같은 문제들은 최인훈으로 상징되는 당대 지식인들이 1960년대 시공간과 대면하는 교양의 의미 생산 방식과 자기 이해의 담론이 소설을 포함한 사회의 의미화 영역에 자리 잡는 과정을 보여준다.

      • KCI등재
      • KCI등재

        편혜영 소설 속 생태적 사유와 디스토피아 재현의 변증법

        이평전 문학과환경학회 2022 문학과 환경 Vol.21 No.2

        이 논문은 편혜영 소설에 나타난 생태적 사유와 디스토피아 재현의 변증법적 관계를 살피고 있다. 1990년대 이후 한국 현대소설의 주요 흐름을 형성하고 있는 작가의 소설은 선행연구를 통해 이른바 ‘파국의 지형학’이나 ‘종말의 상상력’, ‘묵시론적 세계관’ 등으로 요약되고, 근대 자본주의의 폐해와 비인간화에 대한 냉소적 비판이라는 평가를 받아 왔다. 편혜영은 익숙한 부조리에 대한 원인과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윤리적 선언이 나올 것을 기대한 독자들을 완벽하게 배반한다. 오히려 섬뜩하고도 끔찍한 현재를 무섭도록 차갑게 그리고 건조하게 드러낸다. 그녀가 정작 두려워한 것은 감염병이나 쓰레기 사태, 소외나 고립 그리고 이어지는 죽음의 결과가 아니다. 자명한 디스토피아적 현실에 대한 묵묵한 재현은 인간 중심주의적 사회생태론에 기초한 해석에 대한 거부라고 볼 수 있다. 인간학적 유물론에 기초한 생태적 사유를 통해 편혜영은 정복자가 피정복을 지배하듯이 자연의 외부에 있는 누군가처럼 인간이 자연을 지배한다는 논리가 들어설 자리가 없게 만든다. 그리고 살과 피와 뇌를 가진 인간이 자연에 속하고 자연의 한가운데 있음을 인식하게 만든다. 그 과정을 통해 작가는 자본주의 체제라는 질서를 하나의 물질적 조건으로 간주하고 그것의 인정으로부터 그 탈주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편혜영 소설에 나타난 인간 중심적 사회생태론에 대한 비판적 태도는 다소 진부해 보이지만 인간과 자연, 인간과 인간의 유물론적 관계에 기초한 생태적 사유의 경로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그녀의 소설은 인간과 노동, 인간과 자연, 인간과 문명과의 관계에 대한 근본적 성찰을 요구하고, 교환가치로 실현할 수 있는 관계의 추상성이 극단화되었을 때, 구체적 물질대사 과정으로서의 노동과 자연과 문명의 생태적 균형과 순환이 파괴되어 전 지구적 환경이 훼손될 수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

      • KCI등재

        이문구 소설에 나타난 기억 공간과 주체 재현 양상 연구

        이평전 배달말학회 2012 배달말 Vol.5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changes with recognition of the space in the Lee, Mun-Gu’s novel. Identity cannot be certified without the factor of hometown. As with this viewpoint, the author’s ongoing concern about hometown is resulted from critical perception on the spatial order of that time and spatial expansion according to the modernization. The farming village is simply not a space for affection any more. It is rebuilt as an idealized space for protecting anxiety to show the crisis of identity facing loss in place due to modernization. That is an author’s strategy for space which homogenizes time and all spaces named rural and urban space to arouse constantly negative modern and that Lee shows critical attitude towards modernization. First, Lee delicately reproduces in his novel how the farming village was destroyed and prevented in process of modernization. It shows that how the rural area which is a space in pure and non-politic accepts the urban ideology and makes sure to be a space where the rural area is a product of capitalism. It is remarkable that Lee was trying to weaken the impact of modernization by repeatedly exposing and reenacting the damaged space which is symbolized as hometown. The reality which is the absence of hometown interrupts distortion about the memory by accepting the capitalist modernization caused by deficiency in the middle of the history. Also the exploring the city in his novel is related with the resistance for destroyed rural area. Actually, hometown, where the place is a historical symbolism and the original form, comes from the resistance against modern tyranny. Also a descriptive strategy can be ignored as reading that hometown in his novel is simply nostalgia and admiration. Lee pays attention to the lives of subaltern identity existed in surplus and roaming in despotism and the novel is based on the critique against the power of nation in Capitalist space characterized social isolation and alienation. 본 연구는 이문구 소설에 나타난 기억 공간의 인식 변화와 주체의 재현 양상을 살피고 있다. 공간적 매개 없이 주체를 인식할 수 없다는 관점에서 보면, ‘고향’에 대한 이문구의 지속적 관심은 근대화에 따른 공간 확장과 1960년대 공간 질서에 대한 주체의 비판적 인식에 비롯된 것이다. 고향으로 명명된 농촌은 단순히 애착의 공간이 아니라, 근대화로 인한 장소 상실에 직면한 주체의 위기를 보여주는 공간으로, 불안을 방어하기 위해 이상화된 공간으로 재구축된다. 이는 부정적 근대를 끊임없이 환기시키려는 이문구의 전략으로 시간과 공간을 동질화하고 농촌/도시로 명명된 공간 일체를 균질화하는 근대화에 대한 비판적 태도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문구는 근대화 과정에서 농촌(공간)이 어떻게 변질되고 파괴되는가를 섬세하게 재현한다. 순수하고 비정치적 공간으로서의 농촌에 어떻게 도시 이데올로기가 수용되며, 농촌 또한 자본주의의 논리가 유입 될 수밖에 없는 공간이라는 인식을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이 과정에서 고향으로 상징되는 공간 훼손을 반복적으로 폭로하고 재현함으로써, 근대화의 충격을 약화시킨다. 또한 결핍을 불러온 자본주의적 근대화를 필연적 역사 과정으로 받아들이고 고향 부재를 상처로 인식하지 못하는 주체들의 왜곡된 기억에 의문을 제기한다. 체험의 도시 탐색은 파괴된 농촌에 대한 주체의 비극과 저항 의지를 보여주는 데, 실제 역사적 상징, 원형 공간으로서의 고향은 근대의 폭압에 대한 저항에서 비롯한 것으로 이문구 소설에 재현된 고향을 단순히 예찬과 복고적 향수로 읽는 것은 공간적 저항 전략을 간과한 것이다. 이는 도시 공간을 배회하고 잉여로 존재하는 개발 독재 시대의 하위 주체들의 삶에 주목하며, 사회적 고립과 소외를 특징으로 한 자본주의 공간에 은폐된 국가 권력에 대한 비판적 태도에서 그 단면을 읽을 수 있다.

      • KCI등재

        비판적 문해교육을 위한 ‘성장소설’의 문화정치학적 읽기 연구

        이평전 중앙어문학회 2019 語文論集 Vol.78 No.-

        이 논문은 성장소설에 대한 비판적 문해를 통해 문화정치학적 읽기교육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그동안 성장소설이 문학교육의 중요 소재로 사용되어 왔지만 상대적으로 비판적 문해를 전제로 한 읽기교육은 다소 소홀히 취급되 어온 것이 사실이다. 성장소설에 대한 비판적 읽기는 주체가 어떻게 문화정치학적 환경 속에서 지배이데올로기로 재생산되며, 어떤 매개적 장치 속에서 기능하게 되는가를 인 식하는 일이다. 이는 성장소설의 비판적 읽기의 교육 가능성을 확대하는 일로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 과거의 텍스트(작가)와 현재의 학습 독자가 공감을 형성 하며 통과의례로서의 인식적 성장을 넘어 삶의 총체성을 내면화하는 단계까지 성장소설 속 주체의 성장은 어떤 단순한 조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아니며, 일 회적이고 단편적으로 작용하는 것도 아니다. 이 조건은 성장 과정 전체에 관여 하며 개별 주체가 스스로를 인식하는 지점에 개입한다. 주체에 개입하는 이러한 성장의 조건을 문화정치학적 차원에서 독해하는 작업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possibility of using a literary critique of the “Bildungsroman,” German for a coming-of-age or growth novel, for cultural and political literacy education. Although growth novles are being used-as important materials for literary education, in the meantime, it is true that education through critical literacy has been somewhat neglected. A critical reading of this novel will help students recognize how the subject is reproduced as the dominant ideology in culture and politics and through what mediational device it functions. This is an extension of the educational possibilities of critically reading growth novels. It transcends time and space, develops empathy for the subject within the reader and supports cognitive growth by internalizing the subject’s rite of passage. The growth of a subject in a Bildungsroman is not created by any single condition, nor is it a one-time or part-time act. The growh process is continually influenced by multiple factors and only ends when individual subjects understand themselv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conditions of this growth that shape the subject from a cultural and political point of view.

      • KCI등재

        탈식민주의 담론을 통한 소설 읽기 교육의 의미 연구 - 최인훈 소설을 중심으로 -

        이평전 중앙어문학회 2022 語文論集 Vol.90 No.-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the critical reading of the post-colonial thought and discourse surrounding it in Choi In-hoon’s novels in literary education. Considering the real threat of potential colonialism in the process of reading, interpreting, and educating novels (literatur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carry out practical tasks for post-colonial literature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era. Choi In-hoon’s novels are noteworthy in that they accurately show the discourse characteristics of post-colonialism. Not only does the central theme of traditional colonialist discourse such as race, culture, and identity come to the fore, but it also informs the reality of the colonial subject that is ignored or marginalized for any purpose, and in the name of so-called homogenized capitalism, the coloniality and its remnants that are erased and sometimes strengthened. A thorough search for various modes of conscious acceptance, imitation, and the rejection of colonialism shown in “A Christmas Carol” and “Typhoon,” as well as the method of pointing out the limitations of colonial writing on the modern subject’s civic consciousness and self-subject in ”Journey to the West,” shows the present state of colonialism. Moreover, understanding postcolonial writing strategies such as satire and irony can provide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the political or social nature of literary texts in literature education. Ultimately, literary education should proceed along with understand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post-colonial discourse. If we acknowledg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f various perspectives that interpret historical events while living in the same era, we recognize that the analysis of the demineralization of Choi In-hoon’s novels can also be differentiated in various ways. This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confirm that Choi In-hoon’s novel can be an important milestone in seeking a post-colonial direction in that it raises a fundamental problem with the Western-centered modern perception. 본 연구는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탈식민주의적 사유와 이를 둘러싼 담론의 문학교육적차원에서의 비판적 읽기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소설(문학)을 읽고 해석하고 교육하는과정에서의 잠재적 식민성이 갖는 실제적 위협이 상존한다는 관점에 비춰, 다문화시대 탈식민주의 문학교육의 실천적 과제를 수행하는 작업이 절실하다. 최인훈 소설은 탈식민주의의 담론적 특성을 정확하게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인종과 문화, 정체성 같은 전통적 식민주의 담론의 중심 주제를 전면화할 뿐만 아니라, 어떠한 의도에서든 무시되거나 주변화되는 식민주체의 실상을 알리고 이른바 균질화된 자본주의화라는 이름으로 지워지고 때론 강화되는 식민성과 그 잔재에 대한 충실한 탐색이이루어진다. 『서유기』에 나타난 근대적 주체의 시민 의식과 자기 주체에 대한 식민주의적 글쓰기의한계를 지적한 방식이나 『크리스마스 캐럴』, 『태풍』에서 보여준 식민성에 대한 의식적 수용과 모방, 거부의 다양한 양태들은 결국 한국 사회 식민주의의 현재 모습을 보여준다. 풍자와 아이러니 같은 탈식민주의적 글쓰기 전략에 대한 이해를 통해 문학교육에서 문학텍스트의 정치성이나 사회성의 맥락을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도 있다. 문학교육은 탈식민주의 담론의 이론적 틀을 이해하는 것과 함께 진행되어야 한다. 동시대를 살아가며 역사적 사건을 해석하는 다양한 시각의 존재 가능성을 인정한다면 최인훈소설의 탈식민성에 대한 분석 또한 다양하게 분화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할 수 있다. 본논문을 통해 최인훈 소설이 서구 중심적인 근대 인식에 대한 근본적 문제 제기와 탈식민주의적 방향을 모색하는 중요한 이정표로 기능하고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