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대면 영화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기독교인 대학생과 비기독교인 대학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고선옥,강진구 기독교학문연구회 2021 신앙과 학문 Vol.26 No.3

        This study compares and verifies the effects of group cinematherapy programs for stress reduction among Christian and non-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by using Live Zoom. Participants in the study consist of 12 male and female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located in B city as an experimental group. From the last week of October to the third week of November 2020, it was held once a week for 120 minutes, a total of 4 times for 480 minute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5. In conclusion the non-face-to-face cinematherapy has significantly affected the way university students deal with stress and reduce stress.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se effects between Christian and non-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This is as meaningful result of performing cinematherapy using general cinema for both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It has been shown that Christian Cinematherapists need to have a sense of social responsibility to take care of the difficult psychological state faced by non-Christian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nd that Christian Cinematherapists’ activities can reach non-Christians outside churches. 본 연구는 기독교인 대학생과 비기독교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집단영화치료 프로그램을 라이브 Zoom을 활용하여 그 효과를 비교하고 검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B도시에 소재한 A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12명을 실험집단으로 구성하여 2020년 10월 마지막 주부터 11월 셋째 주까지 주 1회 120분, 총 4회 480분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5를 사용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 실시간 라이브 Zoom을 활용한 영화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비기독교 대학생 집단과 기독교 대학생 집단 간의 스트레스 반응 사전-사후 효과의 차이를 비교했을 때 스트레스 반응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비대면 실시간 라이브 Zoom을 활용한 영화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 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비기독교 대학생 집단과 기독교 대학생 집단 간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사전-사후 효과의 차이를 비교했을 때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비대면으로 진행한 영화치료가 대학생들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데 의미 있는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아울러 기독교 대학생과 비기독교 대학생 간에는 이러한 효과들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 모두를 대상으로 일반영화를 활용한 영화치료를 실행했을 때 거둔 의미있는 결과이다. 기독교 영화치료사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비기독교인이 처한 어려운 심리상태를 돌보고자 하는 사회적 책임의식을 가질 필요가 있으며, 기독교 영화치료사의 활동영역이 교회를 벗어나 비기독교인들에게까지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영화치료를 활용한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고선옥 ( Ko Sun Ok ),강연정 ( Kang Yeon Jeong )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20 복음과 상담 Vol.28 No.1

        본 연구는 영화치료를 통하여 기독교 가정의 자녀를 성경적 가치관을 가진 기독교인으로 양육할 수 있도록 기독교인 부모들을 교육시키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기독교인 부모를 대상으로 Horace Bushnell(2004)의 기독교적 양육 이론과 Birgit Woltz(2006)의 영화치료 이론 그리고 John Gottman(2007)의 감정코칭 이론을 기틀로 영화 치료를 활용한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C시에 소재한 C/D교회에 출석 중인 9-12세 학령기 자녀가 있는 기독교인 부모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 15명씩을 무선 배치하여 주 2회, 각 120분, 총 12회기로 진행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5를 사용하였다. 결론적으로 영화치료를 활용한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기독교인 부 모의 양육행동, 부모 자녀의 의사소통 및 부모의 영적 안녕감에 있어서 통계 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음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영화치료를 활용한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기독교 부모의 양육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중심으로 자녀와 의사소통을 통한 영적 안녕감의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회 내 활용 가능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velop a Christian parent Education program using cinema therapy based on Birgit Wolfz (2006)’s Cinema Therapy theory, Horace Bushnell (2004)’s Christian Nurture theory and John Gottman (2007)’s Emotional Coaching theory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s. This program were conducted expert validity investigation and preliminary research, and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Christian parents with school aged children 9 to 12 at the C/D church in C city.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 two groups of 15 people each that were alloted randomly. One is a test group and the other is a control group. The program were conducted two sessions a week, 120 minutes per session and total 12 session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5 program, In conclusion, the Christian parent education program using cinematherapy developed by this researcher prov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parenting behavior,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spiritual well-being of Christian parents. Therefore, the Christian parent education program using cinematherapy suggests that it is an in-church viable program that can help improve spiritual well-being through communication with children based on the professional knowledge of parenting of Christian parents.

      • KCI등재

        한국 선교다큐멘터리 영화의 현황과 문화선교적 역할 연구

        강진구 ( Kang Jin Goo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7 복음과 선교 Vol.39 No.-

        20세기까지 진행되어온 극영화 중심의 기독교영화제작은 21세기 들어서면서 한동안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그 대신 2009년과 2017년 사이에 24편의 기독교다큐멘터리가 극장에서 개봉되는 예사롭지 않은 현상이 일어났다. 이 가운데 15편은 선교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한국의 선교사들이 영화의 주인공으로 등장하고 그들의 선교사역이 스크린 위로 펼쳐지기 시작한 것이다. 이러한 선교다큐멘터리 영화의 부흥 원인에는 2009년 개봉되어 전 국민의 관심을 끌었던 <워낭소리>와 2010년 <울지마 톤즈> 같은 다큐멘터리 영화의 인기가 크게 한 몫 한 것으로 보이지만, 아울러 물질문명과 경쟁사회에 찌든 현대인들이 먼 나라의 가난한 사람들에게 봉사하며 헌신하는 순수함과 열정을 지닌 인간에 대한 동경이 작용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선교다큐멘터리 영화들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해외선교 현장 중심의 다큐멘터리 영화들로써 가난과 때로는 원시적 선교현장 속에서 사역하는 선교사들의 헌신과 고통을 묘사하고 있다. 둘째, 선교역사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로 기독교 관객들에게는 자신의 신앙을 성찰하게 하고 아울러 선교적 소명을 고취시키는 역할을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셋째, 선교사로 헌신하기까지 외부에는 좀처럼 알려지지 않은 선교사 가족 안에서의 내적 갈등을 표현하는 다큐멘터리가 있다. 이것은 선교다큐멘터리가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일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선교다큐멘터리는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감동적으로 묘사한다는 점에서 교회를 불신하는 세상을 향해 교회의 신뢰도를 회복하고, 교회를 향해서는 선교에 관심을 갖고 선교 활동을 촉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교회는 디지털 시대에 선교다큐멘터리를 통하여 영상 세대인 신세대와 소통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는 일도 필요하다. 따라서 교회는 적극적인 관람을 통해 선교다큐멘터리가 제작 상영될 수 있도록 선교다큐멘터리 영화를 소비하는 운동을 벌이면서 교회 안에서 영상을 활용하는 가운데 선교다큐멘터리 영화 제작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선교다큐멘터리가 하나의 대중화된 장르로서 정착될 때 한국 교회뿐만 아니라 한국 영화계도 기독교 다큐멘터리 영화의 영향으로 새로운 변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은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본격화되기 시작한 한국 선교다큐멘터리 영화의 제작 및 개봉 상황을 분석하여 앞으로 한국교회가 신세대와 소통하며 기독교문화를 전개시키고 선교과제를 수행하는데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A new era of Christian documentary films has begun in South Korea. As many as 24 Christian documentary films were released in theaters between 2009 and 2017. Among them, there are 15 films directly related to missionary work. All of these films show the missionaries as the main characters. The reason for the revival of such films seems to have played a huge role in the popularity of documentaries such as < Old Partner(워낭소리) >(2008) and < Dont cry for me sudan(울지마 톤즈) >(2010). In addition, modern people of material civilization saw the purity and passion of the missionaries devoted to poor people in the faraway lands. There are three types of missionary documentaries. The first is a missionary film centered on missionary work in the field of missionary work, and is devoted to the dedication and distress of missionaries, who live in poverty or sometimes even primitive landscapes. The second is mission history documentary film, which reflects Christians beliefs and helps them learn about God`s call for missionary work. Third, there is a missionary documentary film about internal conflicts that occur inside the family until becoming a missionary. This shows that the missionary documentary film is developing in various ways. But most of all, missionary documentary films can act as a missionary to the people who watched the films and promote missionary work. And it can help restore the credibility of the Church towards a world of disbelief. Because the realistic and touching film has the power to move the mind. Therefore, the church needs to actively encourage Christians to watch missionary documentary films and assist in producing the films. Korean church needs to know that digital generations communicate via video. If the missionary documentary film becomes a popular genre, it will also have a good influence on the Korean cinema as well as the Korean church. The paper analyzes the production and release of Korean missionary documentary films that began in earnest in the 21st century. It will help to understand how the Korean church communicates with New Generation and performing culture missionary work.

      • KCI등재

        디즈니 만화영화에 대한 기독교적 조망

        정희영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09 기독교교육논총 Vol.20 No.-

        본 연구는 유아들의 가치관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디즈니만화영화의 기독교적 조망을 통해 디즈니만화영화의 비기독교적인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기독교인 부모나 교사들이 유아를 위해 디즈니만화영화를 선택할 때 어떤 자세로 선택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독교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디즈니만화영화의 일반적 이해와 예술에 대한 기독교적 견해를 연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디즈니만화영화에 대한 기독교적인 조망을 하고, 유아들의 기독교적 가치관 확립을 위해 교사나 부모들이 어떻게 디즈니 만화영화를 대할 것인지에 대한 기독교 교육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duce Christian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Christian teachers and parents of young children through analyzing anti Christian facts in Disney Animations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For this, general understanding about Disney Animations and art and Christianity were dealt with. Based on these, a Christian perspective on Disney Animations was examined and in conclusion, Christian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as follows: firstly, Christian parents and teachers have the ability to criticize Disney Animations what facts are anti Christian. Secondly, Christian parents and teachers have a Christian world view. Thirdly, it is necessary for parents and teachers to monitor them after children’s watching Disney Animations. Lastly, Christian parents and teachers help children to have the harmonized sense to animations by watching good animations.

      • KCI등재

        일반논문 : < 집 없는 천사 >와 식민지 영화 검열

        서재길 ( Jae Kil Seo )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5 翰林日本學 Vol.0 No.27

        본 논문은 식민지 말기의 영화 < 집 없는 천사 >(1941)의 검열 문제를 검토한 것이다. 이작품은 식민지 조선에서의 호평을 등에 없고 일본으로 수출되어 조선영화로서는 최초로 문부성 추천을 받은 작품이다. 조선총독부는 물론 일본 내무성의 검열 과정을 거쳐 조선군 보도부와 문부성 추천작이 되었음에도 일본 개봉을 앞두고 내무성의 재검열 과정에서 필름의 상당 분량이 삭제당하고 일본어로 자막을 입힌 조선어 발성영화가 일본어 더빙판으로 바뀌게되었다. 검열과 문부성 추천 취소 과정을 둘러싼 논란은 식민지 시기 조선 영화의 제국적 소비의 (불)가능성이라는 맥락에서 이 영화에 대한 논의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 발굴한 시나리오를 중심으로 영화 필름과 잡지의 기사 등을 상호 비교하면서 < 집 없는 천사 >의 검열 문제를 검토하였다. 검토의 결과 겸열의 과정에서 삭제된필름의 가장 많은 부분은 기독교와 관련된 부분이었다. 찬송가를 부르거나 성경을 읊는 장면등은 통째로 삭제되는가 하면, 방성빈이 목사라는 사실을 드러내는 구절, 향린원의 아동들이 기도를 하거나 성서를 읽는 장면, 대화 속에서 성서의 한 구절을 읊는 장면, 교회가 작품의 배경으로 나오는 장면 등이 삭제되었다. 이 영화의 원작과 각색이 총독부 검열과에 근무한이력이 있는 일본인 니시키 모토사다에 의해 행해졌음에도 불구하고 기독교 문제가 불거져 나온 것은 식민지 조선에서의 기독교와 일본 사회에서의 기독교가 지니는 위상과 의미가 달랐고, 특히 천황제 파시즘 체제에 완전히 포섭된 주류 기독교 교단과 달리 가가와 류의 사회주의적 색채를 지닌 기독교는 천황제 파시즘에 저항하는 것으로 여겨졌을 가능성이 있었기때문일 것이다. 실제로 1930년대 이후 일본에서는 천황제에 저촉되는 것으로 여겨지는 신흥종교와, 공산당, 기독교가 이단으로 몰리기 십상이었고, 이 시기 발생한 일련의 적색조직 사건에서 보듯 국가가 직접적으로 교회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고 있었다. 특히 이 영화가 일본에 개봉된 것은 진주만 공습으로 시작된 태평양전쟁 개전을 목전에 둔 무렵이었기에, 국체속에 포섭되어 있던 기독교에 대해서도 권력에 의한 새로운 통제가 필요하던 시점이었다. < 집 없는 천사 >의 필름에 대한 일본 내무성의 가위질은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이루어졌다. This study examines the issue of censorship surrounding the film Homeless Angels (1941), released in the latter period of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The news bureau of the Japanese army in colonial Korea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Japan recommended this film for viewing in Japan after censoring it. However, before its release in Japan, the Ministry of Home Affairs removed a considerable part of the filmduring an additional round of censorship, and the original Korean dialogues, which were accompanied with Japanese subtitles, were re-recorded in Japanese. The controversy surrounding the censorship and the withdrawal of the Ministry of Education``s recommendation of the film takes center stage in the academic debate on the film, raising the issue of the (im)possibility of a Korean movie being accepted by the Imperial regime during the colonial era. After comparing the film to the newly discovered scenario, I found that the parts that had been censored most extensively were related to Christianity, for example, scenes of reciting from the Bible and the singing of hymns, where Bang Seongbin``s identity as a pastor is disclosed, when children at Hyangrinwon prayed or read the Bible, and even when a church building appears in the background. The film, due to its Christian content, could not escape cuts during the censorship process despite the fact that its original screenplay and dramatization was by Nishiki Motosada, who had worked for the office of censorship of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hese cuts can be attributed to the status and meaning accorded to Christianity in colonial Korea and Imperial Japan. More so, this can be explained when we consider that mainstream Christianity in Japan had become an integral part of Japanese imperial fascism, while the Kagawa Toyohiko faction of Christianity, which was an influence on the film``s actual model, Bang Su-won, had been keeping its distance from imperial fascism. Since the 1930s, Japanese imperialism had strengthened its direct control over the church, as can be seen from a series of incidents repressing communist organizations and Christian uprisings. New religions, communism, and Christianity were subject to state sanctions if found to be in conflict with Japanese imperialism. Furthermore, the film was released right before the outbreak of the Pacific War, when there was a renewed call by the imperial regime for strengthening state control over Christianity. This was the context in whichthe film Homeless Angels was censored.

      • KCI등재

        영화를 활용한 기독교이해 수업

        김남일 한국대학선교학회 2015 대학과 선교 Vol.29 No.-

        One of the handicaps, as a professor, in teaching Christianity to 50% non-Christian student body, is selecting effective methodology. The students unwillingly attend these compulsory classes. As professors, we have to transfer the Christian worldview and biblical concept to them, in these difficult circumstances. What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I had been concerned over choosing traditional or modern methods until 2012. From 2013 I started to use cinema as a method to transfer the good news to students. The main reason for that is that I like cinema, and most of today’s youth also enjoy it. As a result, it was a surprise to find that now most non-Christians favor the Christianity classes. Cinema has a strong appeal in transferring an ‘image’ rather than a ‘reality’ so if it is used well, we can eliminate negativity, whilst transferring a biblical ‘image’ into their minds. To do this, I have suggested several methods to preserve classes, through my experiences since 2013. In chapter 1 I mentioned the high enthusiasm youth have for the cinema. And in chapter 2 I mentioned the reason why their passions for movies is increasing. Also I tried to expose the two faces of cinema which is controlled intentionally by the film director. In chapter 3, I described the practical methodology of how to do it. Finally, in chapter 4, I introduced my class through examples of a Christian worldview class. The world and the young generation is changing rapidly even as we are continue to sit in the past. Thirst for evangelism is not for them but for us. Therefore we have to try to find a proper way to transfer the gospel. That is the right attitude as a Christian professor. 기독교대학의 설립 목적은 복음을 전파하고 기독교세계관을 가르침으로 학생들이 세상을 섬기는 리더가 되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기독교대학은 채플(예배)과 기독교의 이해(교양) 과목을 강의한다. 그런데 문제는 기독교의 이해 과목의 특성 상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선택하기보다는 필수적으로 수강해야 되는 과목이라서 수업에 임하는 태도가 수동적이며, 가르치는 교수 역시 매우 힘든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교수법이 소개되고 있으며 이는 결국 복음과 성경에 대한 학생들의 거부감을 최소화하고 효과적으로 성경을 가르치려는 노력의 연장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그러한 연장선에 있는 다양한 방법들 중 하나로 ‘영화’를 통한 수업방식을 소개하는 것이다. 영화는 모든 세대가 다 좋아하는 매체이기도 하지만 특히 청년층들이 가장 자주, 가장 친밀하게 사용하고 만나는 매체다. 각 영화에는 원작자나 감독이 의도하는 바가 분명히 있어서 가장 효과적으로 그 의도를 전달하는 도구이기도 하다. 수많은 작품들 중에 영화가 담고 있는 세계관이 성경적 세계관을 비추거나 유추할 수 있는 작품을 골라서 학생들 스스로에게 발표하게 함으로써 기독교의 이해 과목의 소기의 목적을 최대한 달성하려고 하는 의도다. 이를 위해서 먼저 수업과 일치하는 영화를 선정하고, 그 영화를 보고 교과서에서 주고자 하는 사상과 관련된 질문을 하고 답을 하게 함으로써 거부감을 최소화시키면서 시각적인 만족도 함께 누리려고 하는 수업의 일환이다. 수업은 학생들의 발표로 시작된다. 약 25분 동안 주어진 시간을 최대한 활용해서 각 조에 해당되는 영화와 교재를 통해서 수업을 진행한다. 그런 후에 교수가 15분 동안 교재와 관련된 다양한 자료를 가지고 수업을 마무리하는 형태다. 이 수업이 절대적인 방법은 아니지만 청년들을 향해서 마음을 열고 그들과 가까이 하려고 하는 다양한 시도들 중의 하나이다. 일상적으로 기독교의 이해 강의평가는 매우 낮은 편인데 이 수업을 실시하고 난 후에 강의평가도 많이 향상이 되고,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추려고 하는 교수의 노력을 가상히 보아주는 학생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다. 이 방식은 영화에 대한 약간의 상식과 감각만 있으면 누구나 가능한 수업이다. 그러므로 이 수업을 통해서 복음을 들어야 하는 청년세대를 더 잘 이해하고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계기가 되기 바란다.

      • KCI등재

        영화의 영향력과 현대 기독교적 적용

        권혁진(Hyuk Jin Kwon),봉원영(Won Young Bong)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5

        본 논문은 영화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인 영향력을 고찰하고, 영화(문화)에 대한 기독교의 입장을 종합하여 현대 기독교에서의 적용 방안을 제안한다. 영화는 사회 전반부 모든 영역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현대인들은 과거 문자 시대에 문자 문화에 익숙해지기 위해 갖은 노력을 다했던 것처럼 영상 시대에 적응하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영화를 대하는 기독교적 입장은 다소 소극적으로 보일뿐만 아니라 기독교적 대안에 대한 연구 논문도 비교적 적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Niebuhr의 문화에 대한 모형론과 그에 대한 신국원의 문화적 풀이, 그리고 이를 발전시켜 영화에 적용시킨 Johnston의 영화에 관한 태도와 Keller의 문화 참여 모델을 종합하여 분석하고 영화에 대한 “비평적 시야의 확장”, “사고의 정립”, “사고의 확장”의 단계별 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오늘날 대중사회에서 자연스럽게 경험하게 되는 다양한 문화에 대하여 기독교가 보다 적극적으로 대화의 가능성을 찾아 발전적 대안을 제시하는 연구들이 더욱 많이 나오기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 of films. The study also suggests several applications for Christian society through integrating some Christian viewpoints of films in culture. Films affect most of all areas of the society and modern people tried to get used to new culture of moving images, as we have done with the-character-culture, in the past. Many Christians, however, are shy about films and they have a few Christian applications to them. In this paper, researchers integrate the model of Niebuhr, Shin’s cultural viewpoint of Niebuhr’s understanding, and Johnston and Keller’s model about films developed from Niebuhr. Researchers suggest a step-by-step proposal containing ‘Extension of critical perspective’, ‘Establishment of thinking’, and ‘Expansion of thinking’ as Christian effort to communicate films effectively. In addition, more studies are suggested Christianity will find out more possibilities of dialogue and more positive alternative to communicate with diverse cultures that are naturally experienced in todays popular society.

      • KCI등재

        교회제작 영화 연구 - 셔우드 침례교회와 케어 코너즈를 중심으로

        강진구 ( Kang Jin Goo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20 복음과 선교 Vol.51 No.-

        본 연구는 교회에서 제작하는 영화의 의미와 역할을 밝히는데 있다. 21세기에 들어서서 한국과 미국에서는 직접 영화를 제작하는 교회들이 등장했다. 미국 텍사스주 알바니시에 자리하고 있는 ‘셔우드 침례교회’는 2003년 <플라이휠>을 시작으로 4편의 장편영화를 개봉했고, 주말 박스 오피스의 상위권에도 진입시키는 바람에 큰 화제를 일으키기도 했다. 한편 한국의 ‘케어 코너즈’는 젊은 기독교인들이 선교에 대한 소명을 알아가는 과정을 현대적 감각으로 연출한 장편영화 <콜링>을 유튜브를 통해 발표했다. 셔우드 침례교회가 제작한 영화들은 세 가지의 특징을 보여준다. 첫째는 가족 지향적 특징을 보여준다. 영화를 통해 미국 가정의 현실 문제를 조명하고 신앙적 대안을 제시한다. 둘째, 기독교인의 가치관과 신앙생활을 직접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셋째, 교회구성원들이 함께 제작에 참여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케어 코너즈는 유튜브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기독교 웹드라마 <라이프>를 제작하고 장편영화 <콜링>을 유튜브에 공개했다. 이것은 언컨택트 사회에서 필요한 사역이다. 영화를 제작하는 교회들은 놀라운 의미를 전해준다. 하나는 교회가 공동체의 기쁨을 누리게 되었다는 점이다. 그들은 함께 기도하고 배우와 스텝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교회의 사역에 동참한다. 또 하나는 교회가 제작하는 영화들은 기독교 변증의 역할을 하고 있다. 즉 프란시스 쉐퍼의 문화관의 중요한 특징인 ‘변증학’을 몸소 실천한 사례로 볼 수 있다. 교회가 제작하는 영화들은 세속적 사회에서 기독교의 가치를 방어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세대가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영화라는 방법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 This study is to reveal the meaning and role of the movies produced by the churchs. In the 21st century, Korean and American churches made their own movies. ‘Sherwood Baptist Church’, located in Albany, Texas, released four feature films starting with < Flywheel > in 2003, and also entered the top of the weekend box office. Meanwhile, Korea’s ‘Care Conners’ released a feature film < Calling > on YouTube that directed the process of young Christians learning about missions. Movies produced by Sherwood Baptist Church show three characteristics. First, it shows family-oriented characteristics. The movie reveals the real problems of American families and presents the Biblical alternatives. Second, it directly describes Christian values and faith life. Third, it shows members of the church participating in the production together. Care Conners is active on YouTube. Produced the Christian web drama < Life > and released the movie < Calling > on YouTube. This is a necessary ministry in an uncontact society. Churches that produce movies convey amazing meanings. One is that the church has come to enjoy the joy of the community. They join the church's ministry, praying together and performing the roles of actors and staff. The other is that the movies produced by the church serve as Christian Apologetics.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as an example of practicing ‘Apologetics,’ an important feature of Francis Schaefer’s culture theory. The movies produced by the church not only defend the values of Christianity in secular society, but also serve as a way of conveying them in a way that makes sense to the new generation.

      • KCI등재후보

        『싱 오버 미』(Sing Over Me): 영화와 신학의 대화를 통한 동성애 고찰

        서나영 ( Seo Na Young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9 기독교철학 Vol.27 No.-

        본 논문의 목적은 신학자들의 연구와 영화 안에 담긴 구체적인 이미지 세계가 유익한 대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논제를 바탕으로, 영화 『싱 오버 미』(Sing Over Me)의 분석을 통하여 기독교와 동성애 문제에 대한 교회의 태도와 실제적 접근 방법에 대한 유익한 담론을 위한 것이다. 영화는 시청각 예술의 한 형식으로서 효과적인 방법으로 특정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독교인들이 문화 속에서 쉽게 접하며 누리고 있는 이 영화예술의 영향력은 현재 신앙생활을 하는 그리스도인들의 삶의 방식을 변화시키고 재구성하기에 충분하다. 영화가 그리스도인의 삶에 긍정적 작용을 하여 하나님께 가까이 가도록 돕는 신앙생활의 동반자가 될 수 있는 반면, 다양한 세계관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하나님을 멀리하는 통로가 될 수도 있다. 그러나 한국의 개혁주의 교회와 학자들은 시각적인 이미지의 우려로 인해 영화를 신학적 사고의 원천으로 사용하는 것을 주저했고, 문화 속 깊이 자리 잡은 영화의 영성을 논하여 문화를 해석해야 하는 중요한 과제를 해결하지 못한 듯하다. 그리하여 본 논문은 신학과 영화가 서로 깊이 상호작용 할 수 있음을 제안하고, 신중한 비평과 함께 유익한 대화상대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에 제이콥 킨드버그(Jacob Kindberg) 감독의 영화 『싱 오버 미』는 기독교 신앙과 동성애에 관한 신학적 문제에 밝은 조명을 비취기 위한 의미 있는 매체가 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이 영화는 현대의 시편 작곡자인 데니스 저니건(Dennis Jernigan)의 실제 이야기를 그린 다큐멘터리로, 예수 그리스도와의 관계 안에서 동성애 치유를 받은 그의 이야기와 저니건의 음악과 사역을 통한 구원의 놀라운 여정을 담은 예술작품이다. 시대의 난제인 동성애 이야기를 영상을 통해 공유함으로 신비로운 하나님의 사랑의 능력과 오늘날 개혁주의 교회의 구체적인 과제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Sing Over Me, that theologians’ world of abstract concepts and film makers’ world of concrete images can be brought into fruitful dialogue. Through the form of a film, on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monstrate, byway of theologically analyzing the film Sing Over Me, that theologians’world of abstract concepts and film makers’ world of concrete images can be brought into fruitful dialogue. Through the form of a film, one can convey a particular message in a way more effective than with writing or speech. Surely the power of film is enough to change and reshape one’s belief system or the way to live, especially in this twenty-first century. This powerful source has a huge impact on church and Christians as well. Films can lead us to God by helping us to know Him, but they also can be a channel to away from God by offering the chance to experience dangerous world views. Unfortunately, churches have failed to solve the crucial task of engaging spirituality with films. Due to a suspicion of visual images, Christian scholars have hesitated to use film as a source for theological reflection. Theology, however, can deeply interact with film. This dialogue of theology with film should be a fruitful conversation with a careful critique. Embracing this fact, therefore, Sing Over Me can be a meaningful media for shedding light on Christian faith and the theological issues on homosexuality. This film is about the life story of modern-day psalmist, Dennis Jernigan. His story of homosexuality and the cure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Jesus Christ, and a remarkable journey of salvation through his music and ministry provides telling meaningful message to churches and Christians. This film shares the unbelievable story through an art form so that Reformed churches have a deeper understanding of God's love and search a specific tasks on this difficult issue.

      • KCI등재

        포스트모던 시대의 「대중인문 교양교육」과 기독교 평생교육의 가능성-영화 「시」의 인문학적 성찰을 중심으로-

        원신애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3 기독교교육논총 Vol.33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Christian education related to the movie ‘Poetry’. This paper focuses especially on the influence of humanity which displays a newly emerging non-university humanity study is linked with lifelong education in terms of adult education movement. In addition,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Church education for the aged learners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ities. Also, this study focused on the symbol and the meaning of death from the movie mentioned above. There are several worthy findings as follows:First, the paper provides education with the significance of death portrayed in the movie, ‘Poetry’ set in the media era of the 21st century. Secondly, we are able to review the common issue that affects all generations through the symbol of death. Thirdly, the opportunities of a life long education strengthened in the sense that all generations found the mutual interdependency among the community of the ordinary daily lives between teaching and learning. The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digital media for all generations. Finally, the aged learners face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death and the crisis of old age. So they learned to overcome the fear of old ageby leaning on a lifelong education. Hopefully, this paper can contribute to both the old and the new generations overcoming intergenerational strife through understanding the symbol of the media. It is my intention that the argument for the symbol of death and a lifelong education from the movie will be covered by the digital era. I believe that both church education and humanity studies for the aged learners should be interlinked to make space for mutual communication which include the local population. 평생교육의 맥락에서 ‘학습’은 학습자의 경험의 변화가 내적인 통일성과 통전성(holistic)을 획득하는 전 생애적 과정으로서의 인문학적 사유방식이며 평생에 걸친 인간 발달과업의 하나가 된다. 포스트모던 시대의 평생학습으로서의 인문학습의 부활은 「대중인문교양」이라는 대중의 욕구로 자리매김 되었다. 평생교육의 「대중인문 교양교육」은 대중화 되었고, 인문학은 더 이상 특수한 계층의 전유물이 아니다. 기독교 평생교육의 과제는 대중의욕구 즉, 인문학에 대한 관심과 욕구를 어떻게 교회교육의 현장에서 녹아낼지를 고민해야할 것이다. 따라서 포스트모던 시대의 기독교교육은 평생교육 현장에서의 인문학의 부활과 활성화에 주목해야 한다. 이 시대의 기독교교육은 간학문적 연구를 위해 노력해왔다. 그러나 아직도 교회교육의 현장에서는 간학문적 노력 - 특히 인문학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지 못하고있다. 소위 대형교회 몇몇만이 교회에서 노인학교, 아버지 학교, 결혼준비 학교, 다문화 교회교육(예배) 반 등을 운영하고 있을 뿐이다. 국가지원의 평생학습도시를 중점으로 한 평생학습도시, 평생학습축제 등이 지역적으로 활성화 되면서 이젠 교회와 지역사회 연계성은 약화되고 있다. 교회교육의 구색을 갖추기 위한 프로그램운영으로는 지역사회와 연동이 없을 뿐만이 아니라, 교회의 교인들만을 중심으로 하는 교리교육 체제를 벗어나기 어렵다. 기독교 공동체는 포스트모던시대에 논의의 초점이 되고 있는 인문학을 중심한 평생교육의 「대중인문 교양교육」의 부활에 주목해야만 한다. 본 논문은 기독교교육의 노인을 위한 인문학적 성찰의 필요성과 평생교육의 가능성에대하여 살펴볼 것이다. 특히 영화 「시」에 나타난 노인을 위한 인문학적 성찰을 살펴봄으로서 교회공동체가 지역공동체로서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할지에 대한 기독교 평생교육의가능성을 검토할 것이다. 평생교육의 인문학 부활과 기독교 평생교육의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서 영화 한편을 분석하여 연구를 일반화시키는데 한계가 있겠지만 평생교육이 전생애가 걸쳐서 이루어진다고 가정할 때, 영화 「시」속에 나타나는 노인을 위한 인문학적성찰은 일련의 메타포(metaphor) - 비유적 상징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