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과에서 민주주의 개념과 관련된 국가 정체성 교육 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은지용 ( Ji Yong Eun ),정필운 ( Pil Woon Jung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4 시민교육연구 Vol.4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민주주의 개념과 관련된 국가 정체성 논쟁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민주 시민 양성을 목표로 하는 사회과에서 국가 정체성 관련 개념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행된 연구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한민국의 국가 정체성 관련 개념에 대한 헌법해석론에 기반하여 국가 정체성의 개념을 명제 형식으로 종합 정리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한민국 정체성의 핵심은 민주주의이고, 민주공화국이라는 표현은 합의 가능한 최소공약수이다. 둘째, 현대 민주주의는 자유 민주주의와 사회 민주주의를 포괄하며, 대한민국 헌법의 민주주의 원리도 양자의 조합에 기반하고 있다. 셋째, 대한민국의 정체성은 민주주의 원리뿐만 아니라 법치주의 원리 및 복지국가 원리 등을 포괄한 헌법의 기본 원리에서 찾는 것이 타당하다. 둘째, 국가 정체성 관련 사회 교과 내용을 학교급별로 분석한 결과를 종합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초등학교의 사회 교과에서는 국가 정체성으로 소개된 국가 형태와 헌법의 기본 권리의 경우 교과서 수준에서 소개되어 있지만, 개념 소개가 소략되어 있으며, 자유민주주의 경우 민주주의와 자유 민주주의가 유사한 맥락임에도 혼재되어 있다. 그리고 중학교 사회 과목에서는 민주 공화국과 자유 민주주의 등과 같은 국가 정체성 관련 개념의 정확한 의미를 다루고 있지 않고 있음에도 역사 과목에서 이와 같은 개념들이 등장하여 학생들이 용어 혼란을 경험하고,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자유 민주주의로 성급하게 인식할 우려가 있도록 내용이 조직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등학교의 사회 교과를 살펴보면, 법과 정치 과목에서는 헌법의 기본 원리로 자유 민주주의를 소개하여 국가 체제를 자유 민주주의로 성급하게 학생들이 인식하게 하거나 헌법의 기본 원리들 간의 중첩성 등은 재고의 여지가 있다. 한편, 사회 과목의 경우 자유 민주적 기본 질서를 자유 민주주의와 유사 용어로 사용함으로써 학생들에게 국가 정체성 관련 개념 혼돈과 오해 소지를 낳을 수 있다. 특히 한국사 교과서의 경우 대한민국의 정치 발전사를 민주주의 발전사가 아닌 자유 민주주의의 발전사로 서술하여 논란의 소지가 많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셋째, 상기한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국가 정체성 교육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교육 정책 측면에서 헌법 이념에 부합하는 국가 정체성 관련 교육 정책이 구안되고 시행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과정 측면에서는 민주 시민 교육의 관점과 틀 속에서 대한민국 국가 정체성 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과정 편제 및 구성 체제의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교과서 측면에서는 민주 시민 교육의 관점에서 내실 있는 국가정체성 교육이 실행될 수 있도록 교과서 구성 체제 및 내용 개선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critically analyze concepts related to national identity in social studies, whose purpose is to nurture democratic citizens under the circumstance where controversy over national identity related to the notion of democracy has been raised recently. The content of this study performed in order to achieve its purpose is as follows. First, the followings are to sum up the concept of national identity in the form of propositions based on the theory of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about the notions related to Korea`s national identity. Firstly, the key to Korea`s identity is democracy and the expression of democratic republic is an agreeable smallest common factor. Secondly, modern democracy encompasses liberal and social democracy and the democratic principles of Korea`s constitution are based on the combination of both. Thirdly, it is valid to find Korea`s identity from the basic principles of constitution embracing the principles of constitutionalism and welfare state as well as the principle of democracy. Second, the discussion and suggestive points are presented as follows by summing up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ntent of social studies related to national identity by each school level. First of all, social studies of elementary school introduce national forms according to national identity and basic rights in the constitution in textbooks but the introduction of concepts is rough. In the case of liberal democracy, democracy and liberal democracy are in mixed use in similar contexts. Next, social studies of middle school do not deal with exact meanings of the concepts related to national identity such as democratic republic or liberal democracy but such notions emerge in the subject of history, which lead to students` confusion about terminology, and the content is organized in such a way of causing a worry that the identity of Korea may be recognized rashly as liberal democracy. In addition, to look into social studies of high school, by introducing liberal democracy as a basic principle of the constitution it results in students` rash recognition of the national system as liberal democracy and overlapping of the basic principles of the constitution also needs to be reconsidered. Meanwhile, in the case of social studies, the basic free and democratic order is used as a similar term to liberal democracy and this may trigger students` confusion and misunderstanding over the concept of national identity. In particular, the textbooks on Korean history have some problem in that it described Korea`s history of political development as the history of liberal democracy development not the history of democracy development, which is very controversial. Third, the suggestive points about improvement in education on national identity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n terms of educational policies, educational policies related to national identity corresponding with the ideology of constitution need to be created and implemented. Secondly, in terms of curriculum, organization of curriculum and improvement of their composition system are needed so that education on Korea`s national identity may be systematically conducted within the viewpoints and framework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Thirdly, in terms of textbooks, improvement on textbook composition system and content are necessary so that education on national identity may be conducted with internal stability from the perspectives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 KCI등재후보

        국가 정체성과 애국심의 관계: 동․서양 5개국 특성 비교

        이희창,강정희 한국보훈학회 2013 한국보훈논총 Vol.12 No.3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of national identity and patriotism that are recognized as two aspects of national identification. On the basis of Rothi and his fellows' claims(2005) that national identification can be more enhanced through a combination of national identity and patriotism, we set up combined model including all types of national identity and patriotism to examine the specific relationships of these two concepts. In addition, unlike previous Western-oriented studies, this study focuses to discover characteristics of the oriental nations compared to western countries regarding the relationships of national identity and patriotism. Based on the 2003 ISSP data, this research finds following results. ① On the level of national identity, there is a difference from oriental nations and western countries. Oriental nations have more strong ethnic identity than civic national identity, whereas western countries have more strong civic identity than ethnic identity. ② On the level of patriotism, oriental nations differ from western countries. Oriental nations have more strong blind patriotism than constructive patriotism, whereas western countries have more strong constructive patriotism than blind patriotism. However America has high patriotism of all types ③ National identity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patriotism. But there are big differences from oriental nations and western countries in the degree of impact. In the oriental nations, ethnic identity has more positive impact to the all types of patriotism than civic identity. But contrast to these, the western countries have that civic identity is more positive affect to the all types patriotism than ethnic identity. ④ Ethnic identity is more positive affect to the blind patriotism than that of civic identity in the all sample countries. ⑤ Impact of national identity to the constructive patriotism differs from oriental nations and western countries. As a general discussion of the previous studies, civic identity has more positive influence to the constructive patriotism than ethnic identity in the western countries. But contrast to these, the oriental nations have that ethnic identity is more positive affect to the constructive patriotism than civic identit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research discusses to the causes the differences between east and western countries and future challenges. 본 연구는 국가 동질감의 내용적/관계적 개념을 구성하는 국가 정체성과 애국심이 어떤인과성을 갖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유사한 속성에도 불구하고 각기 구분되어 연구되고 있는 이들의 결합을 통해 국가 동질감의 의미가 보다 완전하게 파악될 수 있다는Rothi 등(2005)의 주장에 따라 국가 정체성과 애국심을 동시에 고려한 통합모형을 설정하였다. 또한 서구 위주의 기존연구만으로는 이들의 일반화된 관계 파악에 한계가 있다는 시각에서 동․서양 비교 연구를 시도해 보았다. 국제사회조사(ISSP)의 조사자료를 토대로 한동․서양 5개국 비교연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국가 정체성 수준에 있어 동․서양 국가간 차이를 보인다. 한국과 일본은 종족적 정체성이 높고, 서구 국가는 시민적 정체성이 보다 높다. ② 애국심 수준에 있어서도 동․서양 국가간 차이를 보인다. 한국과 일본은 맹목적 애국심이 건설적 애국심보다 높고, 서구 국가는 시민적 애국심이 맹목적 애국심보다 높다. 단, 미국은 모든 유형의 애국심이 높게 나타난다. ③ 국가 정체성은 애국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단, 영향 정도에 있어서는 동․서양 국가간 차이를 보인다. 동양 국가는 종족적 정체성의 영향이 크고, 서양 국가에서는 시민적 정체성이 보다 큰 영향을 미친다. ④ 맹목적 애국심에 대한 국가 정체성의 영향력은 종족적 정체성이 시민적 정체성보다 모든 국가에서 크게 나타난다. ⑤ 건설적 애국심 대한 국가 정체성의 영향력은 동․서양 국가간 차이를 보인다. 서양 국가에서는 기존연구의 일반적 논의처럼 시민적 정체성의 영향력이 보다 크나, 한국과 일본은 종족적 정체성이 시민적 정체성보다 오히려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동․서양 국가간 차이발생 원인과 향후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보훈이념을 통해서 본 대한민국의 국가정체성 연구: 국가정체성 구성요소들 간 갈등 사례를 중심으로

        김주환 한국보훈학회 2015 한국보훈논총 Vol.14 No.2

        Theobjectiveofthisarticleistoanalyzethedisputeoverthenationalidentity ofROK with the concept of reward for patriots,which was raised after the UnifiedProgressiveParty,ultra-leftandpro-NorthKoreaparty,wasdismissedby the decision ofthe ConstitutionalCourt.The conceptofreward for patriots is simple to apply to the dispute and concrete,which is close to nationalidentity. Reward for the patriots is to thank and express respect to the people who sacrificedtheirlifeforthenation,whichincludesthevaluesofnationalindependence, defenseofnation,and democraticdevelopment.Thestructuralfactorsofnational identity coming from thethosevaluesareKorean ethnicidentity,ideologicalidentity and attitudetoward North Korea.There have been conflictratherthan harmony among the structuralfactors.What are needed to solve the conflicts are the balanceamong those3 factorsin boosting thereward forpatriots,indoctrination ofpatriotism andnationalidentityatschoolandmonitoringofhistorytextbookfor highschoolstudents,andtheachievementoftheintegrityamongthose3structural factors. 본 연구는 최근 대한민국의 정치,남북관계,대외관계에서 첨예한 이슈로 떠오른 대한민국의 국가정체성(nationalidentity)문제를 보훈이념을 통해 규명하고자 했다.국가정체성에 대해 학자들마다 주장이 다르고 논란이 큰 가운데 보훈이념에 주목하는 이유는 국민적동의를 확보하지 못하고 추상성이 높은 가치들보다는 이미 국민적 동의가 이루어졌고 현실에서 구체성을 확보한 보훈이념의 가치들이 국가정체성의 준거나 구성요소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보훈이념은 반북이나 반공,혹은 민주화 운동에만 초점을 맞추는 현재의 국가정체성 대립구도와 달리 대한민국의 존재 이유를 포괄적,통합적으로 제시하고 있으며국민이 모범으로 삼고 따라야 할 가치들을 담고 있다.보훈이념에 내재된 가치는 민족독립,국가수호,민주발전이다.이 글에서는 국가정체성과 관련해서 보훈이념의 가치들 중 민족독립으로부터는 민족정체성,국가수호로부터는 대북정체성,민주발전으로부터는 체제정체성이라는 국가정체성의 구성요소들을 도출하였다.한국현대사를 통해서 볼 때 국가정체성 구성요소들은 상호 보완성보다는 갈등적 측면이 강하고 그러한 갈등에서 대한민국의국가정체성이 지향해야 할 방향이 구체적으로 드러난다.본 연구의 결과 국가정체성을 둘러싼 갈등은 주로 ① 민족정체성과 체제정체성 간의 갈등,② 민족정체성과 대북정체성 간의 갈등,③ 체제정체성과 대북정체성 간의 갈등으로 나타났다.이러한 갈등을 해소하고대한민국의 국가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대안으로는 ① 보훈선양에서 민족정체성과 대북정체성 중심의 사업 편중을 지양하고 체제정체성 사업을 포함한 국가정체성 구성요소들간 균형 도모,② 정치사회화의 매개체인 학교교육의 사회과 관련 교과에서 보훈교육과 국가정체성 관련 교육내용을 강화하고 교과서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실시,③ 정파적 관점의 국가정체성 지양과 국가정체성 구성요소들 간 통합성 실현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일 다문화가정 자녀의 국가정체성 연구

        김민지(Kim, Min-Ji)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8 디아스포라 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이주민들의 문화적 정체성을 침해하지 않으면서 국민의 소속감과 자긍심을 가질 수 있는 국가정체성을 어떻게 형성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로 한일 다문화가정에서 성장한 대학생의 국가정체성은 어떠하며 국가정체성을 형성하는 요인은 무엇인가에 대한 경험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종족적 요인과 시민적요인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부모의 국적, 성별, 성장국가 등을 다르게 하여 한일다문화가정의 대학생 8명을 표집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다른 국가정체성을 가진 부모와 같이 생활하면서 자연스럽게 종속적 요인이나 시민적 요인이 약한 다원형 국가정체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국가정체성에 대해 개방적인 태도를 나타냈으며 부모의 양국에 대해 긍정적/부정적인 관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국가정체성 형성과정을 분석한 결과 선천적으로 부여되는 국적과 이름 등이 기초를 형성한 위에 성장과정에서 성장국가의 언어와 문화를 통해 국가정체성이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국가 외에는 어머니의 국가정체성이 자녀들의 국가정체성과 문화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성장 이후에는 국가정체성을 스스로 선택하려는 주체적인 성향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주의에 입각하여 대한민국의 국가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혈연에 근거한 종속적인 요인에 집중하기보다는 성장국가의 시민적인 요인 등이 긍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이 대한민국의 국가정체성을 유지하거나 선택할 수 있도록 다원적 요건에 부합하는 국가의 미래 비전과 개방적 정책을 제공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tries to conduct an experience research on the national identity of multi-cultural children who grew up in Korea/Japan and find what are the main factors that led to the development of their identity. The results show that by living with a parent of a different national identity,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naturally have dependency and civilian factors with slightly plural national identities. They have an open attitude toward national identity and view their parents’ countries both positively and negatively. This paper further analyzes how they form their national identity. Analysis results demonstrates that their national identities are formed through the language and culture of the nation they grow up in on the foundation of the nationality, name, etc. they are born with. Other than this factor, the study also demonstrates that the mother’s national identity influences the national and cultural identities of their children. Once grown up, the children show a subjective tendency to choose their national identity by themselve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paper arranges and proposes implications on the formation of a Korean national identity.

      • KCI등재후보

        사회자본과 국가정체성의 관계분석: 한․중․미 3국간 비교

        이희창,강정희 한국보훈학회 2013 한국보훈논총 Vol.12 No.2

        Most of the existing research Focus on the affection of social capital to thenational identity. The main concerns of these studies are due to the promotionof social cohesion. However social capital variables do not only serve as a resultof national identity. According to the claims of Putnam(1993) and Uslaner(2002),social capital and national identity have a mutual influence relationship. Vertical/ horizontal social capital and the ethnic / civic identity are very similar interms of the closed / open properties. In this perspective, this study aims toexamine the relationship of social capital and national identity. This study'sstarting point is that Social cohesion can be more enhanced. through acombination of social capital and national identity. In addition, unlike previousWestern-oriented studies, this study aims to analysis of the characterization byethnic diversity between the eastern and western countries. Based on the WorldValue Survey data from 2005 to 2008, this research finds following results. ①The Levels of social capital in Eastern and Western countries are significantlydifferent. Korea and China have the high vertical social capital (private trust),while the america have high horizontal social capital (norms, general trust,participation). However, the government trust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the political regime. China's socialist system is higher than the capitalistsystem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② Cross country differences in thelevel of national identity are also very large. America is the highest and koreais the lowest. In addition, the america' difference of ethnic / civic identity isvery obvious than that of Korea and China. ③ Social capital and nationalidentity in all countries show causality. Ethnic identity and vertical social capitalhas a positive causality and horizontal social capital and civic identity has apositive causality. ④ In the variables influence of Social capital and nationalidentity, there is a significant cross-country differences. Korea's national identityhas a positive causal relationship with personal trust, China's national identityhas a positive causal relationship with government trust. On the other hand,America's national identity has a high causality with all the variables of thesocial capital. From these results, this paper discusses research implications forfurther research. 기존연구는 대부분 사회자본에 대한 국가정체성의 일방적 인과성 검증에 초점 맞춰 있다. 종족적 다양성에 따른 사회적 결속력 저하에만 관심을 두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회자본은 국가정체성의 결과 변수 역할만 하는 것은 아니다. Putnam(1993)과 Uslaner(2002)의 주장대로 이들은 상호 영향관계에 있다. 수직적/수평적 사회자본과 종족적/시민적 정체성은 폐쇄적/개방적 속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유사성을 갖는다. 이러한 시각에서 본 연구는 사회자본과 국가정체성의 쌍방적 인과관계 규명을 목적으로 하였다. 사회자본과 국가정체성의 상호 결합을 통해 사회적 결속력이 보다 증진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서구 위주의 기존연구와는 달리 한․중․미 3국을 대상으로 동․서양 특성분석과 함께 종족적 다양성에 따른 사회자본과 국가정체성의 유형별 관계도 비교해 보았다. 세계가치조사의 2005-2008년 자료를 토대로 한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사회자본 수준에 있어 동․서양 차이가 뚜렷하다. 한국과 중국은 수직적 사회자본(사적신뢰)이 높고, 미국은 수평적 사회자본(규범, 일반신뢰, 참여)이 높다. 단, 정부신뢰는 통치체제에 따라 달리 나타난다. 사회주의 체제의 중국이 자본주의 체제의 한국이나 미국보다 높다. ② 국가정체성 수준에 있어서도 국가별 차이가 확연하다. 미국이 가장 높고, 한국이 가장 낮다. 또한 미국은 종족적/시민적 정체성 구분이 한국이나 중국보다 훨씬 뚜렷하다. ③ 사회자본과 국가정체성은 모든 국가에서 쌍방적 인과성을 보인다. 수직적 사회자본인 사적신뢰는 종족적 정체성과 긍정적 인과성을 지니고, 수평적 사회자본은 시민적 정체성과 긍정적 인과성을 갖는다. ④ 사회자본과 국가정체성을 구성하는 변수별 영향력에 있어서도 국가별 차이가 뚜렷하다. 한국은 사적신뢰와 인과성이 높고, 중국은 정부신뢰와 높은 인과성을 갖는다. 반면, 미국은 사회자본의 모든 변수가 국가정체성과 부호를 달리하며 높은 인과성을 갖는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사회자본과 국가정체성 증진을 위한 향후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헌법적 쟁점과 대한민국의 국가정체성(1945-1950)

        서희경(SUH Hee Kyung) 한국정치학회 2014 한국정치학회보 Vol.4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해방 이후부터 1950년대 초반까지 제기된 헌법적 쟁점을 중심으로 대한민국의 국가정체성 문제를 검토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헌법 전문에 규정된 3.1운동에 대한 좌우 정치세력의 해석을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에는 민족정체성에 대한 인식이 잘 나타나 있다. 그리고 두 번째 쟁점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성과 대한민국의 정통성에 대한 인식과 관련되어 있다. 임정의 법통성 논의는 3.1운동의 정치적 결과로 인정되는 임정의 해방 후 정치적 지위에 관한 것이며, 대한민국의 정통성 논의는 해방공간에서 민족적 주권체임을 주장해온 임정과 그 정치세력이 대한민국이라는 새로운 주권체에 대해 어떤 입장을 취했느냐는 것이다. 이는 3.1운동의 정통성이 어디로 이어지느냐는 문제였다. 이러한 논의는 민족적 정체성과 계급적 정체성을 국가적 정통성으로 전환하여 국가를 수립해야 하는 시기에 발생했다. 이 연구에서의 세 번째 쟁점은 1946년 헌법 기초 과정에서 제기된 친일 세력에 대한 입장이다. 세 그룹의 주요 정치세력들은 그들의 활용과 처벌 문제에서 입장을 달리했는데, 그 입장은 그들의 국가정체성과 직결되어 있었다. 네 번째는 헌법제정 직후부터 1950년 사이에 제기된 반민족행위처벌법, 여순사건 및 국가보안법 논쟁에 나타난 국가정체성 문제를 검토하였다. 당대는 물론이고 오늘날까지 반민족행위처벌법은 민족정체성, 그리고 국가보안법은 체제 정체성의 시금석을 이루는 핵심 주제이다. 결론적으로 해방 공간에서 이루어진 국가정체성 논쟁이 한국정치사 및 국제정치 속에서 어떤 함의를 갖는지 검토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constitutional issues from the liberation to the early 1950s. By this, it intends to examine the national identity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first subject is the issue of ethnic identity. This issue is directly related with the evaluation of the 3.1 Movement by the right and the left which was entered in the Preamble to the Constitution. The second is the legitimacy issue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nd the Republic of Korea. The former is related to political status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KPG) after the liberation. The latter to what position the KPG, which had insisted on the only legitimacy after liberation in 1945, took for the new sovereign body of the Republic of Korea. This conflict occurred at the time when it was necessary to switch from the ethnic and the class identity to the national legitimacy to build up an independent state. The third subject is the issue of the punishment to the pro-Japanese collaborators. It had been raised in the course of drafting the Constitution. KPG, the right and the left were different in position in this issue. And these positions were directly connected to the their national identity. Fourth, I examine the political controversies over the enactment of Act on Punishment of Anti-National Acts(APANA), the Yeo-Sun incident, and National Security Law(NSL) from the enactment of constitution in 1948 to the early 1950. APANA had been the typical issue related with the ethnic identity since 1948. And NSL would be the most critical issue which formed the touchstone of the identity of the liberal democracy in Korea. In conclusion, I will examine what meanings the controversies over national identity has in international politics and political history of Korea.

      • KCI등재

        영국 농민을 통해 본 브렉시트와 국가정체성

        김원동(Kim, Won Dong) 한국농촌사회학회 2018 農村社會 Vol.28 No.2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영국의 농민시장 참여농민들에 초점을 맞춰 이들의 입장에서 브렉시트와 영국인의 국가정체성이 갖는 의미를 파악해 보는 데 있다. 이 같은 연구 목적의 실현을 위해 3가지 측면에서 접근을 시도했다. 국가정체성의 관점에서 본 영국의 다민족국가로서의 발전 과정, 영국 농민의 시각에서 본 브렉시트와 농업, 그리고 영국인의 국가정체성이 그것이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국인의 압도적 다수를 구성하는 잉글랜드인들이 브렉시트에 찬성했고, 나머지 지역에서도 민족정체성과 국가정체성을 동시에 지닌 영국인들이 적지 않았기 때문에 유럽회의주의와 연계된 브렉시트는 현실화될 수 있었다. 둘째, 영국 농민들 사이에서는 브렉시트에 대해 대체로 반대와 우려의 목소리가 높았다. 농민들은 신뢰할 만한 유럽시장의 상실, 유럽연합으로 부터의 영농보조금 단절, 먹거리 안전 위협 등으로 인한 불확실성과 더불어 영국의 농업과 소비자들의 식탁을 엄습할 적신호에 주목했다. 그런 가운데서도 농민시장 같은 대안시장을 주된 판로로 삼고 있는 농가는 국제농산물시장을 상대로 하는 일반 농가보다 브렉시트의 타격을 적게 받을 것으로 농민들은 예상했다. 셋째, 농민들의 눈에 비친 영국인들은 선조나 지역에 토대를 둔 개별적 민족정체성과 다양성을 상호 인정하고 존중하면서 영국인으로서의 국가정체성을 공유하는 사람들이었다. 이러한 영국인의 국가정체성에는 역사적, 언어적 배경을 기반으로 하나의 국가를 유지함으로써 얻게 되는 경제적, 안보적 이익에 대한 공통된 인식이 내재해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Brexit and British State Identity in the light of farmers participating at farmers’ markets. I tried to do this work in three aspects. They are a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UK as a multi-national state, Brexit, Agriculture and British Identity in view of British farmer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ason why Brexit could be got through was that the English composing of an overwhelming majority of the British voted ‘yes’ for Brexit and that residents having dual identities of both national identity and state identity were quite a lot in the rest of the British. Second, the farmers raised voice of dissent and concerns against Brexit on the whole. They thought that the UK would lose a reliable Europe market, farming subsidies from the EU, and food security and that warning signs came on in both the British farming and table with great uncertainty. Meanwhile, farmers anticipated that farms having an alternative market such as farmers’ market as a main outlet would not suffer as much as those connected with international agricultural markets from Brexit. Third, according to the British farmers, the British were people who shared the State identity as the British with mutual recognition and respect for the regional national identities and their diversities. I could find out the shared recognition in the British State identity that what they continued to be an unified State on the basis of historical and linguistic background would be distinctly favorable to them in their economic and security views.

      • KCI등재

        국가(國歌)를 중심으로 살펴본 아랍 국가(國家)의 정체성

        이성옥(Lee, Sung-Ock) 명지대학교 중동문제연구소 2021 중동문제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아랍 국가(國家)의 정체성을 아랍 연맹 가입국 22개의 과거와 현재 국가(國歌)를 중심으로 한 사례연구 방법을 사용해 다중적 국가정체성과 유동적 국가정체성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아랍 국가(國歌)에서 국가(國家)의 정체성은 주로 선언보다는 개별 국가의 이름이나, 군주, 국민, 자연과 역사 등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표현되었으며, 아랍 국가(國家) 간에 공유하는 아랍 민족 정체성과 이슬람 정체성은 국가주의와 갈등 관계가 아닌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한다. 아랍 국가(國家)가 구분하고 차별화하려는 타자(他者)는 유사한 정체성을 가진 이웃 아랍이슬람 국가(國家)가 아니라 주로 ‘적’으로 표현되는 식민세력 및 외부 침략세력이다. 아랍 국가(國歌)의 변경은 주로 새로운 정치체나 군주, 정책 등이 생겼을 때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과거와의 단절을 담보한다. 정체성이 유동적이기 때문에 이를 음악에 담고 있는 국가(國歌)도 고정된 것이 아니며, 국가(國歌)를 둘러싼 많은 담론과 논쟁 또한 끊임없이 생산된다. This study examines identity(-ies) of Arab states by focusing on their national anthems and using a case study method. The paper analyzes the present and past national anthems of twenty-two member states of the Arab League, highlighting multi-layered and fluid aspects of identity. Arab national anthems frequently emphasize individual state s identity with state name, name or title of the monarchy, nature and history, rather than declaring given state s identity. As for the shared Arab or Islamic identity, related expressions play a complementary role to, and do not conflict with, state nationalism. The other which Arab states want to distinguish and differentiate from in national anthems is not a neighboring Arab Islamic state, but colonial powers and invaders from outside which are usually described as enemy. Changes in Arab national anthems mainly have taken place when a new political entity, monarchy, or policy emerged and secured its discontinuity. As identity is fluid, a national anthem which contains the identity of a state in the form of music is also non-fixed, and related discourses and disputes are also produced ceaselessly.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의 국가정체성 영향 요인

        김희진 ( Hee Jin Kim ),유호열 ( Ho Yeol Yoo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4 유라시아연구 Vol.1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남한에 살고 있는 북한이탈주민의 국가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 인천 지역에 거주하는 20~69세의 북한이탈주민 중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405명의 응답을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북한이탈주민의 특성상 확률표집이 불가능하므로 편의 표집 중 눈덩이 표집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국가정체성의 개념을 한국의 국민으로서의 소속감으로 규정하고, 위계적 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세 단계로 변수들을 투입하였다. 첫 단계인 Model 1에서는 인구사회학적 변수로서 성별, 연령, 북한학력, 남한학력, 월수입, 결혼여부, 규칙적 종교활동여부를 투입하였고, Model 2에서는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함께 개인 인식변수로서 주관적 건강수준과 남한 영구정착 의향을 투입하였으며 Full Model인 Model 3에서는 인구사회학적 변수, 개인 인식변수와 함께, 남한에서의 경험변수인, 공공복지서비스 이용경험과 사회적 관계에서의 신뢰도, 그리고 남한에서의 차별 경험을 투입하였다. 분석결과, Model 1에서는 국가정체성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연령(β=.171, p<.05)과 규칙적 종교활동(β=.117, p<.01)이 확인되었다. Model 2에서는 Model 1에서와 같이 연령(β=.137, p<.05)과 규칙적 종교활동(β=.107, p<.05)이 모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2단계 주요변수로서 추가로 투입된 주관적 건강수준(β=.130, p<.01)과 남한 영구정착 의향(β=.292, p<.001) 역시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려한 모든 변수가 투입된 Full Model인 Model 3을 살펴보면, 인구사회학적 변수에서는 연령, 개인 인식변수에서는 남한 영구정착 의향, 그리고 남한에서의 경험변수에서는 복지서비스 이용정도, 사회적관계에서의 신뢰도, 그리고 차별 경험이 국가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은β=.145(p<.05), 남한 영구정착 의향은 β=.286(p<.001), 복지서비스 이용정도는 β=.114(p<.05), 사회적관계에서의 신뢰도 β=.171(p<.001)로 나타나서 국가정체성에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차별 경험은 β=-.177(p<.001)로서 국가정체성에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Full Model의 분석결과는, 연령이 높을수록, 남한 영구정착 의향이 있는 사람일수록, 보다 다양하게 복지서비스를 이용했을수록, 사회적 관계에서의 신뢰도가 높을수록 남한사회에의 소속감, 국가정체성이 강해지고 남한에서의 차별경험이 많다고 느낄수록 국가정체성은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β 절대값을 기준으로 국가정체성에 미치는 영향력의 상대적 크기를 비교해 보면, 남한 영구정착 의향이 가장크고 다음이 남한에서의 차별경험, 그리고 사회적 관계에서의 신뢰도, 연령, 공공복지서비스 이용정도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북한이탈주민들은 다른 어떤 민족 집단보다도 국가에 대한 생각에 있어 예민할 수 있으며 사회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심각한 국가정체성의 혼란을 느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어릴 적부터 경험한 반복적이고 주입적인 사상교육으로 인해 자율적인 고민과 충분한 질문 및 비판의 과정 없이 맹목적인 국가관, 당이 만들어준 국가정체성이 내면에 자리잡았기 때문에 급변하게 돌아가는 사회적 상황 속에서 새로운 정체감을 획득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더구나 국가 간을 이동하면서 그들에게 생소하고 불리한 환경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다 보면 어느 나라가 내 울타리인지 혼란스럽고 어느 곳에서도 안심하지 못했을 것이다. 이러한 북한이탈주민이 안정된 국가정체성을 형성하도록 개입하는 일은 이들의 남한사회 적응을 돕는 일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으로 들어와 이 나라 국민으로서의 소속감과 안정감을 가지고 정착하는 데에 남한 정부가, 지원 단체가 그리고 남한 국민이 무엇을 해야할지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fluential factors for the national identity of North Korean refugees living in South Korea.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selected male and female North Korean adult refugees who resided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and were aged between 20 and 69.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s from 405 respondents were analyzed. Since probability sampling was impossible to do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refugees, snowball sampling was utilized, which is convenience sampling. A sense of belonging as a Korean was defined as national identity in this study, and the selected variables were inputted in three stages by using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 the first stage of Model 1, gender, age, education level in the North, education level in the South, monthly income, marital status and regular participation or non-participation in religious practices were inputted as socio-demographic variables. In Model 2, self-rated global health level and an intention of permanent settlement in the South were inputted as personal awareness variables along with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In Model 3, which was the full model, experience of public welfare service usage, trust in social relationships and perceived discrimination experience in the South were inputted as experience variables in the South along with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the personal awareness variabl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age(β=.171, p<.05) and regular religious practices(β=.117, p<.01) were identified in Model 1 as the variables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national identity. Like in Model 1, age(β=.137, p<.05) and regular religious practices(β=.107, p<.05) exerted a positive influence on that in Model 2, and self-rated global health level and an intention of permanent settlement in the South that were additionally inputted as the major variables in stage 2 affected it in a positive way as well. In Model 3, which was the full model that every selected variable was inputted into, national identity was under the influence of age(β=.145, p<.05) out of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an intention of permanent settlement in the South(β=.286, p<.001) out of the personal awareness variables, and of welfare service usage (β=.114, p<.05), trust in social relationships (β=.171, p<.001) and discrimination experience( β=-.177, p<.001) which were all the experience variables in the South. Age, an intention of permanent settlement in South, welfare service usage and trust in social relationships had a positive impact on national identity, and perceived discrimination experience exercised a negative influence on that. Finally, a stronger sense of belonging to the South were found in the respondents who were older, who had a more intention to settle down permanently in the South, who made more diverse use of welfare services and who had more trust in their social relationships. Their national identity weakened when they felt they had more discrimination experience in the South.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variables on national identity based on β values, an intention of permanent settlement in the South was most influential, followed by discrimination experience in the South, trust in social relationships, age and public welfare service usage. When it comes to the way of looking at the nation, North Korean refugees may be more sensitive than any other racial group, and the shifts of social environments are likely to throw them into confusion in regard to national identity. They kept receiving cramming ideological education from their childhood, and they were consequently bound to take a blind view of state without carefully thinking over it, asking any questions or having any critical mind about it, and their national identity was built just as the North Korean government intended. So it seemed hard for them to build new identity under fast-changing social circumstances. Furthermore, they were repeatedly exposed to strange and disadvantageous environments as they moved from country to country, and they might have been confused about their own national identity nor felt relieved at any place. Helping North Korean refugees to build a firm national identity will be conducive to their adaptation to South Korean society.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wha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outh Korean people and supporting organizations should do to facilitate the resettlement of North Korean refugees as South Korean nationals with a sense of belonging was suggested.

      • KCI등재

        중국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국가정체성 및 민족정체성 관련 교육 내용 분석

        왕금령(Wang Jinling)(王金玲),김석우(Sukwoo Kim),구경호(Kyungho Ko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敎育問題硏究 Vol.30 No.2

        본 연구는 중국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국가정체성과 민족정체성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향후 다문화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정 방향을 제시를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국 교과서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초ㆍ중학교 사회과 교과서 총 13권을 수집ㆍ분석하였다. 내용분석 연구방법으로 중국 사회과 교과서의 정체성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크게 국가정체성, 민족정체성 및 세계관계 속의 국가정체성으로 분류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에 제시되어 있는 국가정체성 관련 내용은 중화민족의 유구한 역사, 사회주의 현대화 건설의 성과, 중화민족의 우수한 전통문화, 사회주의 민주와 법제, 민족단결교육, 국방교육과 국가안전교육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별히 중국의 역사교육 관련 내용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러한 애국주의 기조의 내용들은 학생들에게 국가에 대한 깊은 애정, 국가의 영광과 발전을 위한 헌신, 국가를 보호하고 국가의 존엄성을 지키겠다는 결심 등을 키우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사회과에 제시되어 있는 민족정체족성 관련 내용은 주로 티베트족, 위구르족, 장족 등과 같은 소수민족들의 풍습과 정책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내용 중 소수민족의 역사, 경제발전수준, 종교, 언어 관련내용은 매우 적거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세계관계 속의 국가정체성 분석을 한 결과 내용측면에서는 주로 국가 위상에 대한 내용이 강조되었다. 그 외 세계 각지에 있는 중국인, 다른 나라와의 협력, 세계기구에서의 역할 등의 내용이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중국 사회과 교교서를 통해 국가정체성이나 민족정체성을 분석 외 다른 다문화 내용 파악에는 한계가 있었으나 향후 사회과 교과서의 수정에 필요한 연구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ntents related national identity and ethnic identity in Chinese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to present educational curriculum and revising directi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future. The main research method is content analysis. For this purpose, 13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ociology textbooks in Chin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regarding national identity, the contents related national economics and history such as the achievements of modernization of the socialist modernization, the excellent traditional culture of the ethnic Chinese, the socialist democracy and national security education, national unity education, national security education and national security education were described. This shows that social studies textbooks pay more attention to national history and national economic aspects and think that these contents can better cultivate the learners’sense of patriotism. Secondly, the contents regarding ethnic identity minority is less described. These contents were mainly focused on customs and the politics, economy and religions are not introduced. Thirdly, the contents regarding national identity within world relationship. These contents were mainly focused on the roles playing in the international stage such as cooperation with other countries and roles in the world organ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