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중학교 교사들의 수행평가에 관한 관심도와 실행수준 분석

        김석우(Sukwoo Kim),이대용(Daeyong Lee),강영이(Young-i Ka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11 교육평가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수행평가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관심도와 실행수준의 현 상태를 진단하고 관심도와 실행 수준간의 관계를 알아보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근무하는 중학교 교사 9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다변량 분산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중학교 교사들의 수행평가에 대한 관심도와 실행수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행평가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개별 관심도는 운영적 관심에서 결과적 관심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둘째, 수행평가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성별, 교과별, 그리고 경력별 관심도에는 차이가 없다. 셋째, 수행평가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실행수준은 기계적 실행수준을 벗어나 일상화․정교화의 실행수준으로 옮겨가고 있었다. 넷째, 수행평가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관심도와 실행수준에는 낮은 정적상관 관계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conditions of middle school teachers' concern and level of use on implementing performance assess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ampled from 94 middle scchool teachers through out Pusan metropolitan city.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WIN 14.0 program in terms of mean, frequency, M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individual middle school teachers' stages-of-concern on performance assessment was developing from managemental into concequent concern.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stage-of-concern according to their gender, subjects, and teaching careers. Third, most of middle school teachers' level of use on performance assessment was routine or refinement. Fourth,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teachers' stages of concern and levels of use on performance assessment.

      • KCI등재

        이원목적분류와 성취기준에 근거한 중등교사의 평가전문성 분석

        김석우(Sukwoo Kim),김성숙(Sungsook Kim),장재혁(Chang JaeHyuck),이승배(Seungbae Lee) 한국교육평가학회 2017 교육평가연구 Vol.3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이원목적분류와 성취기준에 근거한 중등교사의 평가전문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즉, 중등교사들이 평가를 함에 있어서 가장 많이 접하고 있는 나이스(NEIS) 상 의 이원목적분류표와 성취기준을 평가에 활용하고 있는 정도를 분석하고 평가전문성의 영역별(투입, 변환, 결과, 환류) 차이를 학교급별, 교과별, 문항별로 파악하여 중등교사의 평가전문성을 향상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중등교사의 평가전문성을 분석 하기 위하여 MANOVA과 T-test를 사용하였고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 중등학교 교사 340명(중학교 163명, 고등학교 177명)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밝혀진 연구 결과는 다 음과 같다. 첫째, 중등교사의 평가전문성 지수는 평균이 3.65점으로 5점 척도에서 상위 27%에 해당한다. 둘째, 중등교사들의 영역별 평가전문성 지수는 평가변환, 평가투입, 평 가결과, 마지막으로 평가환류 순서로 점차 낮아진다. 학교 급별로 보면 중학교는 평가투입, 평가변환, 평가결과, 그리고 평가환류 순서로 전문성 지수가 낮아지고, 고등학교는 평 가변환, 평가투입, 평가결과, 그리고 평가환류 순서로 낮아진다. 셋째, 교과별로는 수학, 사회, 국어, 영어, 과학 순서로 전문성 지수가 낮아지나 가장 높은 수학을 제외하고는 교과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 따라서 평가결과와 평가환류 전문성을 향상하기 위한 정책 적 처방이 우선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atistically analyze secondary school teachers’ evaluation professionality in writing test and to examine the degree for secondary school teachers to utilize the Bloom’s taxonomy and achievement standards. For this, MANOVA and T test was utilized as analytic devices. This research targeted 340 secondary school teachers(163 middle school teachers, 177 high school teachers) specialized in desig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ndicator of the teachers ’ evaluation professionality is an average of 3.65 on a 1-5 scale. Second, the domain indicator of the middle school teachers’ evaluation professionality is highest in the input, second lowest in the result and lowest in the evaluation feedback, while that of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evaluation professionality is highest in the process and second highest in the input. Third, the indicator of the mathematics teachers is highest and statistically different in the five departments: Korean, mathematics, English, social studies, and sciences, but the rest is not different statistically. Therefore the actions of the result and the feedback should be taken above all on the policy level.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고등학생의 학습동기, 학습전략, 수업참여와 핵심역량 간의 구조관계 분석

        김태현(Kim, Taehyun),김석우(Kim, SukWoo)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적용받은 고등학생의 학습동기, 학습전략, 수업참여, 핵심역량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B시에 소재한 4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3학년 학생 47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결측치를 제외한 452명의 설문응답 자료를 결과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경로모형을 살펴본 결과 고등학생의 학습동기가 핵심역량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관계는 없으며 학습전략과 수업참여를 각각 경유하여 핵심역량에 간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보였다. 둘째, 세부 핵심역량에 학습동기, 학습전략, 수업참여 간의 직접적인 영향을 검증한 결과, 수업참여와 학습전략이 대부분의 세부 핵심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업참여가 심미적 감성 역량에, 학습 전략이 자기관리 역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동기와 핵심역량 및 세부 핵심역량과의 관계에서 학습동기가 핵심역량으로 가는 경로에서 학습전략과 수업참여의 표준화된 간접효과는 유의하다고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위 4가지 변인에 대하여 남, 녀 고등학생 간의 영향력 차이를 위해 다중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학생의 학습동기에서 수업참여로 가는 경로, 학습전략에서 핵심역량으로 가는 경로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의 경우는 학습동기에서 학습전략으로 가는 경로, 여학생의 학습동기에서 수업참여로 가는 경로, 여학생의 수업참여에서 핵심역량으로 가는 경로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와 같은 결론을 통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핵심역량은 고등학생이 지각한 학습동기, 학습전략, 수업참여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고등학생의 핵심역량을 계발시키기 위한 학습동기, 학습전략, 수업참여 관련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구축할 때 위 변인을 고려하는 것이 더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trategy, learning engagement, and core competencies of high school students who applie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Method: The analysis process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theoretical model for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related variables. For thi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stablished and the conformity of the structural model and the effect of the path coefficient were verified. Results: In order to motivate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ir own learning and to be able to solve tasks assigned to them, the school field and education officials should use learning strategies that enable students to understand their learning. Conclusion: As a result of analyzing path coefficients to find out the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engagement on detailed core competencies, first of all, in the case of self-management competencies,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y did not affec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and core competencies,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engagemen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more effective to consider the above variables when planning a program related to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trategies, and learning engagement in order to develop core competencies of high school students and constructing various ways to help.

      • KCI등재

        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를 통한 과정 중심평가의 실제 : 고등학교 영어과 수업을 사례로

        김태현(Kim, Taehyun),김석우(Kim, Sukw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

        교육과정-수업-평가 일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process-centered performance assessment(PA) through alignment of Curriculum-Instruction-Evaluation called the total instructional alignment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develop an example of the high school English process-centered PA on Achievement-Based Assessment. The process-centered PA based on the total instructional alignment is designed to apply the reconstruction of English curriculum and achievement standard with a semester plan learning. With the revised learning objectives and assessment, the process-centered PA were produced and revised with the process clarification, development of criteria, PA implication and result assessment. With the result demonstrating, this research proves that process-centered PA is able to contribute to the total instructional alignment to help administrate various subjects fo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본 연구는 2019학년도 현재 고1, 2 대상으로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도입 일환으로 현재 성취평가제에 따른 교육과정, 수업, 평가간의 일체화를 위한 과정중심 수행과제의 개발에 목적을 두고 있다. 현재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에 기반한 과정 중심 수행평가 설계 절차에 따라 이를 개발하고 교육과정의 원활한 수행을 위한 수행평가 과제를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본 과정중심 수행평가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언급한 역량을 다루는 수업에 기반하고 성취기준에 따른 평가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추후 고등학교에 도입 될 여러 정책의 방향성을 담을 수 있도록 하였다. 과정중심 수행평가를 위해 2015 영어과 교육과정 분석을 학기가 시작되기 전에 수행하였으며 교육과정 성격, 목표(총괄목표, 세부목표), 내용체계 및 성취기준,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 이해하고 영어과 성취기준 및 교과역량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평가계획 및 교과지도 계획을 수립하였다. 교육과정 변화 패러다임 과도기 단계에서 변화하는 교육과정을 제대로 반영하기 위하여 학생 분석 후 수업과 평가를 동시에 진행하는 과정중심 수행평가 과제 특성을 고려하여 문제 상황을 결정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역량이 강조되고 그에 따라 수업과 평가에서 역량 강화로 방향을 옮기고 있듯 현재 교육과정 운영에 맞도록 교육과정-수업-평가에 대한 운영 방향을 제대로 설정해야 할 것이며 교과의 성취기준에 따른 교육과정 설계 능력도 필요하다.

      • KCI등재

        청소년의 진로개발역량 잠재전이유형과 관련 변인 연구

        김형란(Hyungran Kim),김석우(Sukwoo Kim),배가나(Gana B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1

        목적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청소년을 대상으로 진로개발역량에 따른 잠재집단을 유형화하고, 잠재집단 간 전이패턴 및 전이패턴을 예측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방법 분석자료는 부산교육종단연구(BELS: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1차(2016년, 중1), 5차(2020년, 고2) 자료이며, 최종 연구대상은 진로개발역량 16문항에 모두 응답한 1915명이다. 본 연구를 위해 잠재프로파일 및 잠재전이분석을 사용하여 각 시점의 잠재프로파일 유형 및 잠재전이패턴을 확인하고 다항로지스틱 분석을 통해 전이양상을 예측하는 변인을 탐색하였다. 결과 첫째, 중학교 1학년과 고등학교 2학년은 적극적 진로설계집단, 소극적 진로설계집단 두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두 시점 간 전이패턴을 보면, 유지형과 변화형으로 구분되었다. 대체로 중학교 진로개발역량 잠재계층은 전반적으로 유사한 잠재계층으로 전이되었다. 적극적 진로설계집단이 유지되는 확률이 다른 유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부적전이(적극적→소극적)확률은 29.4%였고, 정적 전이(소극적→적극적)확률은 36.4%였다. 셋째, 진로개발역량 잠재프로파일을 예측하는 요인은 중학교 1학년때는 상급학교 방문 및 입시설명회와 대중매체 및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한 정보수집 경험이었으며, 경험이 있을수록 적극적 진로설계집단에 속할 확률이 컸다. 고등학교 2학년의 경우, 학교진로담당교사와의 상담 경험이 있을수록 적극적 진로설계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두 시점의 잠재전이를 예측하는 진로교육경험 관련 변인은 없었다. 결론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잠재계층을 예측하는 변인은 다르며, 중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을 예측했던 진로교육 변인은 중학교와 고등학교 두 시점의 잠재전이패턴을 예측하지 못하였다. 학생에 대한 신중한 분석 없이 학교진로교육 관련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해선 안 되며, 각 지역에 맞는 진로교육프로그램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학생의 성장과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탐색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is study classified youths living in Busan into different latent groups depending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and performed an analysis to identify what factors can be used to predict related patterns including a pattern of transition between latent groups. Methods In this study, we used the first wave (2016,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fifth wave (2020, seco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of data from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BELS). The subjects are 1,915 youths, who responded to all of the 16 questionnaire items concerning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We performed latent transition analysis to identify the latent profile types and transition between classes across two-time points. Subsequently,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was applied to explore variables that can be used to predict a transition pattern. Results First, the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seco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tive and passive career planning groups. Second, the patterns of profile transition between the two points in time were classified into two types: maintenance and change types. Generally, latent groups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in middle school transitioned into similar latent groups. The probability of maintenance was higher in an active career planning group than in other types. Of the subjects, 29.4% showed negative change, while 36.4% showed positive change. Third, the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of middle schoolers found that the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active career planning group if they had visited an upper school, attended a school admission briefing session or collected information from media and online communities. For the seco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a consultation with the homeroom teacher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 They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active career planning group if they had a consultation with the career teacher at school. Conclusions The variables having a significant effect on latent groups were different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ers, and there were no variables affecting the transition between the two points in time. What is emphasized in career experience needs to be different in each grade.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국가정체성 및 민족정체성 관련 교육 내용 분석

        왕금령(Wang Jinling)(王金玲),김석우(Sukwoo Kim),구경호(Kyungho Ko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敎育問題硏究 Vol.30 No.2

        본 연구는 중국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국가정체성과 민족정체성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향후 다문화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정 방향을 제시를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국 교과서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초ㆍ중학교 사회과 교과서 총 13권을 수집ㆍ분석하였다. 내용분석 연구방법으로 중국 사회과 교과서의 정체성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크게 국가정체성, 민족정체성 및 세계관계 속의 국가정체성으로 분류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에 제시되어 있는 국가정체성 관련 내용은 중화민족의 유구한 역사, 사회주의 현대화 건설의 성과, 중화민족의 우수한 전통문화, 사회주의 민주와 법제, 민족단결교육, 국방교육과 국가안전교육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별히 중국의 역사교육 관련 내용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러한 애국주의 기조의 내용들은 학생들에게 국가에 대한 깊은 애정, 국가의 영광과 발전을 위한 헌신, 국가를 보호하고 국가의 존엄성을 지키겠다는 결심 등을 키우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사회과에 제시되어 있는 민족정체족성 관련 내용은 주로 티베트족, 위구르족, 장족 등과 같은 소수민족들의 풍습과 정책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내용 중 소수민족의 역사, 경제발전수준, 종교, 언어 관련내용은 매우 적거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세계관계 속의 국가정체성 분석을 한 결과 내용측면에서는 주로 국가 위상에 대한 내용이 강조되었다. 그 외 세계 각지에 있는 중국인, 다른 나라와의 협력, 세계기구에서의 역할 등의 내용이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중국 사회과 교교서를 통해 국가정체성이나 민족정체성을 분석 외 다른 다문화 내용 파악에는 한계가 있었으나 향후 사회과 교과서의 수정에 필요한 연구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ntents related national identity and ethnic identity in Chinese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to present educational curriculum and revising directi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future. The main research method is content analysis. For this purpose, 13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ociology textbooks in Chin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regarding national identity, the contents related national economics and history such as the achievements of modernization of the socialist modernization, the excellent traditional culture of the ethnic Chinese, the socialist democracy and national security education, national unity education, national security education and national security education were described. This shows that social studies textbooks pay more attention to national history and national economic aspects and think that these contents can better cultivate the learners’sense of patriotism. Secondly, the contents regarding ethnic identity minority is less described. These contents were mainly focused on customs and the politics, economy and religions are not introduced. Thirdly, the contents regarding national identity within world relationship. These contents were mainly focused on the roles playing in the international stage such as cooperation with other countries and roles in the world organ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