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찰 정당성 이론에 대한 분석

        이영섭(Lee, Young Sub)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7 경찰학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1990년대 미국의 Tyler에 의해서 제기되고, 2000년대부터 지금까지 영국의 Jackson, Bradford, Tankebe 등에 의해서 발전되어온 경찰 정당성 (Police Legitimacy)이론의 국내 · 외 연구동향을 정리하고, 발전과제들을 특정하고자 하였다. 먼저, 기존의 연구들은 다양한 맥락과 상황에서 경찰활동에 절차적 정의에 기반한 정당성을 확보하는 것이 긍정적인 결론을 이끌어낸다는 이론을 실증적으로 적용하며 정당성 연구의 대중화를 이루었다. 더불어 최근에는 정당성 연구의 두축인 시민과 경찰 모두를 대상으로 한 연구를 통해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기도 하였고, 연구의 바탕이 되는 Max weber의 정당성이론과 그 뒤를 이은 Beetham 및 Coicaud 등의 정당성 이론을 경찰활동에 적용하며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가 가지는 한계도 분명한데, 첫째로 국가(기관)-관료(경찰관)-시민 사이를 연결하는 정당성 구조동학의 대화적 접근(Dialogic Approach)의 추가적인 발전을 통한 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민주주의 및 국가에 대한 연구로의 확장이 가능한 구조로의 변환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연구의 본질인 경찰활동이 과연 어떠한 성질의 것인지에 대한 탐구를 진행하여 맥락에 맞는 변수의 고도화를 통한 실증적인 정당성 연구의 효용을 보다 차분하게 분석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해 다층적 대화구조 모델을 도출하여 기존의 대화적 구조와 함께 관료제를 통한 새로운 층위의 대화적 구조를 통한 제도-경찰-시민 이라는 3개의 축을 통한 연구의 발전을 시도해 보며, 이러한 이론적 연구에 더한 실증적인 양적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ddressed the needs of future research on the ‘Police Legitimacy Theory’ after reviewing various domestic and oversea researches including Tyler’s, Jacksons’s, Bradford`s and Tankebe’s works from 1990s to 2010s. These researches achieved popularization of police legitimacy theory by empirically revealing the crucial role of procedural justice variables in numberous types of policing. Adding to that, there were suggestions of ‘Dialogic approach’ between the perspectives of ‘Power holders(police)’ and ‘Audiences(Citizen)’ on the police legitimacy model with sophisticated theoretical development by adopting Beetham and Coicaud’s legitimacy theory based on Max Weber. However, further improvements are still in need. Firstly, previous dialogic approach should hold wide-perspective of legitimacy theory that can encompass democracy and nation state by adopting ‘Bureaucracy’ theory of Weber. Further to that, the advancement of research variables that can be discerned by police action after the careful considerations on the ‘Policing’, which holds enormous importance of its own nature is needed. Grounded on these specified future research subjects, ‘Multi-layered dialogic approach model’ has been delivered to build a connection between institution, police, and citizen that can hold broad social theories. Full-examination of this new model needs various empirical follow-up researches.

      • KCI등재

        경찰정당성과 경찰신뢰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LDA 토픽모델링 분석을 중심으로

        박시영,최응렬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24 치안정책연구 Vol.38 No.1

        오늘날 경찰정당성의 개념화에 대한 합의가 부재하다. 심리학적 접근법(Psychological Approach)이라 불리는 전통적인 접근법에서는 경찰신뢰를 통해 경찰정당성을 측정한다. 반면 정치학적 접근법(Political Science Approach)에서는 신뢰와 정당성을 별개의 개념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는 미국과 영국을 중심으로 한 서구사회에서 들어온 개념으로 우리나라 국민들의 경찰정당성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에 대한 고려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은 경찰정당성과 경찰신뢰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시 성인남녀 539명을 대상으로 주관식 설문을 진행하였다. LDA 토픽모델링 분석을 통해 시민들은 경찰정당성과 경찰신뢰를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경찰정당성에 대한 인식으로부터 “공정한 수사”, “정당한 법집행”, “범죄억제”, “합법성”, “시민보호” 토픽명을 도출할 수 있었다. 경찰신뢰의 경우 “시민보호”, “시민보호”, “공정한 수사”, “청렴성”, “공권력 신뢰” 토픽명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시민들이 경찰정당성과 경찰신뢰를 다양한 시각에서 이해하고 있음을 지지한다. 연구결과 시민들은 대체적으로 경찰정당성과 경찰신뢰를 다른 개념으로 정의하고 있었다. Nowadays, there is no consensus on the conceptualization of police legitimacy. The traditional approach, called the psychological approach (Tylerian method), measures police legitimacy through trust in the police. On the other hand, the political science approach distinguishes trust and legitimacy as separate concepts. However, this discussion does not include consideration of how the Korean people understand the legitimacy of the police, as it is a concept introduced from Western society, especially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perceptions of police legitimacy and trust in the police among adult men and women in Seoul.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bjective survey was conducted on 539 adult men and women. Through LDA topic modeling analysis, we confirmed how citizens define police legitimacy and trust in the poli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possible to derive the topic names “fair investigation,” “legitimate law enforcement,” “crime suppression,” “legitimacy,” and “citizen protection” from perceptions of police legitimacy. In the case of trust in the police, the topic names “Citizen Protection”, “Citizen Protection”, “Fair Investigation”, “Integrity”, and “Trust in Public Power” were derived. These research results support that citizens understand police legitimacy and trust in the police from various perspectiv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proposed a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method for police legitimacy.

      • KCI등재

        다차원 경찰정당성 모형 검증에 관한 연구

        박시영,최응렬 한국경찰학회 2022 한국경찰학회보 Vol.24 No.6

        Unlike Tyler's existing concept of police legitimacy today,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interpret and verify police legitimacy diffid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ultidimensional Model of Police Legitimacy in Korea and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543 citizens between the ages of 20 and 59 living in Seoul. As a result of the OLS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multidimensional police legitima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citizens' willingness to cooperat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police legitimacy did not mediate a sense of duty to comply with the law. The fact that it did not mediate the sense of duty to comply suggests that the multidimensional police legitimacy model may be suitable to explain the phenomenon in Korea. 경찰정당성에 대한 합의된 정의가 존재하지 않은 상황에서 Tyler의 경찰정당성 개념과는 다르게 경찰정당성을 해석하고 검증하려는 연구가 최근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서 다차원 경찰정당성 모형(Multidimensional Model of Police Legitimacy)을 검증하고 그 결과에 따른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데이터는 만 20세-59세 이하 서울특별시에 거주하고 있는 시민 543명으로부터 수집되었다. OLS 회귀분석 결과 다차원 경찰정당성 인식은 경찰협력(Police Cooperation)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찰정당성은 법준수 의무감을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법준수 의무감을 매개하지 않았다는 사실은 다차원 경찰정당성 모형이 전통적인 Tyler(1990)의 경찰정당성 모형보다 다차원 경찰정당성 모형이 우리나라의 현상을 설명하는데 적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KCI등재

        지역주민들의 경찰정당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윤우석,홍태경 한국치안행정학회 2013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경찰정당성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분석하는데 있었다. 경찰정당성은 시민의 경찰협조 및 법규범 준수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므로 연구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에 연구의 수행을 위해 기존 문헌의 검토를 통해 경찰정당성의 개념과 영향요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통계적 분석을 위해 대구시 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자료를 이용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이론적 모델들 중 지역맥락모델이 가장 일관되게 지지를 받는 결과를 보여준 반면 다른 모델들은 부분적인 지지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특성 중에서 연령은 경찰정당성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다른 인구학적 특성 변인들(성별, 교육정도, 주택소유여부, 거주기간)은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삶의 질 관련 상황모델의 결과는 기존 연구결과와는 달리 무질서가 경찰정당성과 관련이 없는 반면 직접적인 재산 및 폭력범죄피해 경험과 범죄피해 가능성에 대한 인식은 경찰정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 유대와 애착이 강하다고 인식하는 주민들은 경찰정당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함으로써 지역사회의 결집력의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This primac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residents' perception of police legitimacy. Previous studies on public opinion in the police have not taken an attention on the issue of police legitimacy. The data collected from 710 respondents in Dea-gu City were used in the statistical analyses. According to the results, community context model was the best predict model among theoretical models explaining the effects of police legitimacy. Among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age showed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police legitimacy while other demographic variables, including gender, education, home-ownership, length of living fail to show significant effects. Unlike previous research findings, disorder as a main variable in the situational model related to quality of life failed to show direct impacts on police legitimacy. However, property and violent victimization experience and the risk of victimization successfully showed negative significant effects on police legitimacy. Finally, community cohesion and attachment have an impact to increase police legitimacy of residents so that community solidar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to understand police legitimacy.

      • KCI등재

        시민의 법률준수 및 경찰협력에의 영향요인: 경찰 정당성 이론을 중심으로

        임창호(Lim, Chang Ho)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20 경찰학연구 Vol.2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주로 미국, 영국, 호주 등에서 연구되어 왔던 경찰 정당성 이론을 우리 나라의 경찰활동 상황에서 검증하기 위해서, 경찰 정당성 인식, 경찰 효과성 인식, 시민의 법률준수 및 경찰협력 의도 간의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특히 경찰 정당성 인식이 경찰 효과성 인식과 시민의 법률준수 및 경찰협력 의도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고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고, 시민의 경찰 정당성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통제변수로서 성별, 연령, 소득수준, 집합적 유효성 인식, 사회적 정체성 인식이 활용되었다. 이 연구를 위한 데이터는 2018년 12월 1~10일 동안 온라인 서베이 업체를 통해서 8개 특별시 및 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19세 이상 80세 미만의 시민 505명으로부터 수집되었다. 다중회귀분석의 결과는 경찰 정당성 인식, 사회적 정체성 인식이 시민의 법률준수 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경찰 정당성 인식, 집합적 유효성 인식, 사회적 정체성 인식이 시민의 경찰협력 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주었다. 특히, 경찰 정당성 인식은 경찰 효과성 인식과 시민의 법률준수 및 경찰 협력 의도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효과를 갖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police legitimacy theory in policing context of South Korea, which has been studied in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Australia. In particular,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olice legitimacy, police effectiveness, and public compliance with law and public cooperation with police. The study also analyzes whether police legitimacy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police effectiveness and public compliance with law and public cooperation with police and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to improve public perceptions of police legitimacy.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505 people aged 19 to under 80 living in eight metropolitan cities in South Korea through an online survey company during December, 2018.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the perception of police legitima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s on public compliance with law and public cooperation with police. In particular, the perception of police legitimacy had the effect of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e effectiveness and public compliance with law and public cooperation with police. Therefore, if police institutions want the public to comply with law and cooperate with the police actively, they first need to make the efforts to develop the perception of police legitimacy through effective police practices and policies in South Korea.

      • KCI등재

        SNS(폴인러브)가 경찰 정당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윤병훈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18 치안정책연구 Vol.32 No.2

        열린 정부라는 정부정책 기조와 관련하여 최근 소셜 미디어 서비스(SNS)의 활용이 강조되는 시점에서, 이 연구는 경찰에서 운영하고 있는 SNS에 대한 활용정도, 활용 동기, 그리고 효과성이 경찰의 정당성 인식에 어떠한 영향관계에 있는 지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경찰의 선행활동과 같은 경찰홍보 영역에 대한 활용정도가 높을수록 경찰에 대한 정당성 인식이 제고됨을 확인하였다. 둘째, 경찰에서 운영하고 있는 SNS에 대한 활용 동기가 높아질수록 경찰에 대한 정당성 인식이 제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찰에서 운영하고 있는 SNS가 효과적이라고 인식될수록 경찰에 대한 정당성 인식이 제고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된 3개의 결과 중 경찰에서 운영하고 있는 SNS의 효과성 측면이 가장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그간 경찰에 대한 정당성 인식을 제고하는 기존의 선행요인과는 차별적인 요인인 SNS와의 영향관계를 파악했다는 점에서 추후 경찰의 SNS의 운영방향에 기여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반면, 표본선정에서의 일부 한계, 분석방법이 횡단분석이라는 점, 마지막으로 경찰에서 운영하고 있는 SNS의 추후 운영방향에 대한 인식 등을 고려하지 못한 점 등이 한계로 남는다 Recently, The use of social network service was emphasized in relation to the governmental basis as open government. So, this study is to confirmed how use of degree, motivation, effectiveness of social network service(SNS) affected police legitimacy. As a result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First, use of degree of SNS (+) was statistically a significant factor that influence to perception of police legitimacy. Second, use of motivation of SNS (+) was statistically a significant factor that influence to perception of police legitimacy. Third, use of effectiveness of SNS (+) was statistically a significant factor that influence to perception of police legitimacy. Lastly, use of effectiveness of SNS was specially most influence factor than other factors. This study have contribution how SNS influenced police legitimacy that have not been studied before. But, this study have several limitation. First, sampling method was convenience sampling. Second, the method of analysis was the cross-section analysis. Lastly, police SNS failed to provide direction for the future.

      • KCI등재

        경찰 정당성이 법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용재 ( Jeon Yong Jae ) 한국경찰학회 2021 한국경찰학회보 Vol.23 No.1

        준법행위는 사회통제의 요체인 까닭에 경찰학의 주요 연구대상이 되었다. 준법행위는 이면의 동인에 따라 능동적이거나 수동적이다. 보상과 처벌을 활용한 수동적 준법행위는 일시적이며 불안정한 반면 정당성에 기인한 능동적 준법행위는 개인의 내적인 태도와 결부되기에 자발적이며 장기적이다. 이에 경찰학에서는 경찰 정당성의 원인과 결과가 지속적으로 고찰되었다. 다만 경찰 정당성의 결과로서 준법행위만 논의된 점은 한계로 분석되었다. 경찰 정당성에서 출발하는 준법 행위의 근간에는 법규범에 대한 내적인 가치 판단이 존재하는 까닭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준법행위와 내적인 가치 판단을 법의식이라는 상위의 개념으로 포괄한 후 경찰 정당성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경찰 정당성은 준법행위에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비록 경찰 정당성이 법규범의 우호성이라는 정서를 유발하지는 못하였으나, 준법 행위는 유도하는 만큼 정당성의 의의를 역설하였다. Law-abiding acts have become a major subject of research in police science because it is an vital element of social control. The law-abiding acts are active or passive depending on drivers behind them. While passive law-abiding acts using compensation and punishment are temporary and unstable, active law-abiding acts due to legitimacy are voluntary and long-term because they are related to an individual's internal attitude. Thus, causes and consequences of police legitimacy have been studied in police science. However, the fact that only law-abiding acts were discussed as a result of police legitimacy was considered as a limitation. This is because behind the law-abiding acts, which start with police legitimacy, there is an internal value judgment on the law and criminal. Hence, this study included law-abiding acts and internal value judgment as a higher concept of legal consciousness and then verified the influences of police legitimac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n that police legitima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law-abiding acts only. Although police legitimacy did not arouse legal favorability, the importance of legitimacy was not denied as it still induced the law-abiding acts.

      • KCI등재

        경찰에 대한 협력을 이끄는 요소들의 정치체계에 따른 차이점에 대한 연구

        이영섭(Lee, Young Sub)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7 경찰학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서로 다른 수준의 정치체계를 가진 국가들에서의 경찰에 대한 협력으로 대표되는, 경찰활동을 위해 필요한 요소들의 상대적인 영향력과 그 차이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5차 유럽종합사회조사(European Social Survey) 데이터를 활용하여 Polity Index에 따른 완전민주국가(독일), 민주국가(체코), 혼합국가(러시아)를 연구대상으로, 기존의 영국과 미국 등 서구권을 중심으로 확립된 경찰정당성 모델을 적용한 구조방정식모형(SEM)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완전민주국가의 경우 기존의 경찰정당성 모델과 같이 절차적 공정성이 가장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민주국가인 체코 역시, 영향 정도는 적지만 절차적 공정성이 가장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며 경찰정당성 모델에 부합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혼합정인 러시아의 경우, 경찰정당성과 민주주의 만족도가 부의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찰에 대한 협력 역시 완전민주주의 및 민주주의 국가들과는 다르게 경찰에 ‘복종해야 할 의무’에 의해서 매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정치체계별로 경찰활동이 작동하는 구조가 다름을 확인하였으며, 국가의 안정적인 치안환경의 확보를 위한 각국의 경찰의 정당성을 획득하기 위해 풀어야 할 과제들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article tried to develop and contributeon the legitimacy theory by adopting the procedural justice model to the different political systems. To achieve this goal, quantitative data from the 5th European Social Survey has used. Research objectives have divided into three groups full- democracy country (Germany), democratic country (Czech), anocracy country (Russia). Those countries are chosen by the Polity Index according to their advancement of democracy. By implementing the previously established procedural justice model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e verification of relative influence of respective variables depending on the political system has found. In conclusion, by analyzing consequences of established procedural justice model, the development phase or stages of each country can be identified.

      • KCI등재후보

        북한이탈주민의 경찰에 대한 정당성 인식의 구조적 관계 검증

        윤병훈(Youn, Byoung Hoon),서봉성(Seo Bong Sung) 한국테러학회 2015 한국테러학회보 Vol.8 No.1

        이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경찰에 대한 정당성 확보를 위한 선행요인으로 절차적 공정성 요인을, 결과요인으로 경찰 지시순응 요인으로 이들 요인간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인 연구방법은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이탈주민의 경찰에 대한 절차적 공정성은 경찰 정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북한이탈주민의 경찰에 대한 정당성은 경찰 지시순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북한이탈주민의 경찰에 대한 절차적 공정성은 경찰 지시순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북한이탈주민의 경찰에 대한 정당성은 절차적 공정성 요인과 경찰 지시순응 요인간 영향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경찰 정당성 확보에 관한 연구를 북한이탈주민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경찰에 대한 정당성 확보에 미치는 선행요인과 확보 이후의 결과 요인에 일부 영향관계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에도 불구하고 표본수와 표본선정 방식, 그리고 횡단연구의 한계점 역시 도출되었다. The study of procedural fairness factors leading factor for ensuring the legitimacy of the police defectors, as a result of these factors, factors require compliance with police instructions aims to deter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Specific research method was utilized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cedural fairness for the police of North korean refugee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police legitimacy. Second, The police legitimacy of North korean refugee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police compliance. Third, The procedural fairness for the police of North korean refugees was not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police compliance. Finally, The police legitimacy of North korean refugees are conformed to have a full-mediated effects relationship between procedural fairness and police complia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some influence factors of the results obtained since the antecedents and on to the study defectors research on the police to secure justice, ensuring the legitimacy of the police. Despite the results of the sample size of these studies and the sample selection method, and also the limitations of cross-sectional studies have been derived.

      • KCI등재

        집합효율성에 미치는 경찰활동의 영향연구: 경찰정당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나라,김승현 한국치안행정학회 2023 한국치안행정논집 Vol.20 No.1

        이 연구는 지역사회 경찰활동 패러다임에 근거하여 집합효율성에 미치는 경찰활동의 영향을 규명하였다. 지역사회 경찰활동은 단순한 범죄예방을 넘어 지역사회의 범죄대응능력을 총체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경찰활동으로부터 지역사회의 비공식적 사회통제가 강화된다면, 지역사회 문제를 능동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주민들의 집합효율성이 증가할 것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집합효율성에 대한 경찰효과성과 경찰정당성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경찰정당성에 대한 경찰효과성의 정적인 영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를 통해 경찰활동을 효과적으로 인식하는 시민에게서 경찰조직의 정당성에 대한 높은 평가를 기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집합효율성에 대한 경찰효과성과 경찰정당성의 직접적인 영향력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경찰효과성과 집합효율성의 관계에서 경찰정당성의 정적인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즉, 경찰의 효과적인 범죄예방활동은 경찰조직의 정당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지역주민들의 비공식적 사회통제에 대한 의지를 향상시킬 수 있다. 지역사회 경찰활동 패러다임은 2021년부터 시행된 자치경찰제를 통해 우리 사회 전반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자치경찰이 생활안전, 교통과 같은 민생치안을 활동범위로 하고 있기 때문에 시민들은 경찰활동의 변화를 직접적으로 체감하고 있다. 경찰활동과 집합효율성의 긍정적인 관계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범죄예방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하여 지역사회 범죄대응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할 것임을 제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