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내 모델하우스의 거실공간 코디네이트 연출에 관한 연구

        김소희,한영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5 No.1

        현대 우리 사회는 경제적 고도성장과 문화적 다양화로 주거 공간은 보다 다양한 영향 요인과 사회적 상황에 상호 밀접하게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가족 중심의 단란한 생활방식을 지향하는 현대 생활에 있어 거실은 가족 모두를 위한 일상의 장소로 사용되며 가족 구성원의 전반적인 생활 패턴의 중심이 거실에서 이루어짐으로써, 주거공간에 있어 거실은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거실 공간 유형을 ① 응접실 겸용 거실, ② 서재 겸용 거실, ③ 부엌 식당 겸용 거실, ④ 취미 생활 겸용 거실, ⑤ 아동놀이 겸용 거실, ⑥ 홈바 겸용 거실 등으로 분류 한다. 본 연구는 최근 설립된 모델하우스에서 거실 공간의 기능을 어떻게 부여하여 코디네이트 연출함에 따라서 거실 공간이 변화하는 모습을 볼 수 있는 연구이다. 거실공간의 유형에 따라 연출된 다양한 코디네이트 연출 사례를 통하여 여러 유형의 다목적 공간으로 활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향후 거실 공간 유형에 따른 코디네이트 연출 계획에 새로운 방법론적 접근에 참고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As high growth of economical and multi-cultural development in Modern society of Korea is systematically connected with various influences and circumstance in dwelling house. In modern life, Living room is not only using daily space for whole family but also providing the center of the general life pattern in Family member. It is accepted the most important part, Living room, as dwelling house. Consequently, it is classified type of living room by ① living room with reception ② living room with library ③ living room with both kitchen and dinning room ④ living room with the dilettante life ⑤ living room with juvenile play ⑥ living with home bar etc. This study is known how to grant function of livingroom space and direct the coordinate that it will be changed the forms in recently built model house. It is recognized that directing diverse cases of the coordinate is applied multipurpose space of various types due to the types of livingroom space. Absolutely I expect that it apply to reference materials for approach new methodical coordination about Living room in next dwelling House.

      • KCI등재

        1950년대 대한주택영단 평면에서 거실의 위상과 역할 연구

        신은기 ( Cinn Eungee ),박유정 ( Park Youj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8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1950년대 대한주택영단을 통해 공급된 표준화된 주택 평면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주거 근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표준화된 주택 평면은 당시 사회의 다양한 논의와 필요를 반영하여 만들어졌으며, 당시 다른 주거 공간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특히 우리나라의 주택은 가족의 공용공간과 개인공간이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한국전쟁 이후 우리나라 주거의 서구화, 근대화에 영향을 주었다고 보는 미국의 소규모 주택 평면들과 차이를 보인다. 국내에서 본격적으로 주택의 대량공급이 시작되던 시점에서 표준화된 주거 평면이 발전해가는 과정을 통해 현재 주거공간의 원형을 드러내고자 한다. (연구방법) 먼저, 중간 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소규모 주택에서 표준화된 평면의 특징을 미국 FHA의 기본 평면의 구성과 규모에 따른 확장 방법을 통해 살펴본다. 다음으로 1950년대 대한주택영단에서 공급한 주거들의 평면들을 대상으로, 거실과 부엌, 침실을 포함하는 주요 실들의 구성과 관계들을 분석하고, 특히 규모에 따라 이들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추적하였으며, 이를 미국 FHA 평면과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결과) 가장 기본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미국 FHA의 평면과 대한주택영단의 9평 평면은 2x2 구성에 기반한 장방형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지만, 내부 실의 배열에 있어서 부엌-거실-침실의 관계에서 차이를 보였다. 미국 FHA 평면의 경우 처음부터 거실과 부엌이 가족의 공용 영역을 형성했다면, 대한주택영단 평면은 서로 분리되어 있었으며, 동선으로도 연결되어 있지 않았다. 확장 과정을 살펴보면, 미국 FHA 평면의 경우 가족의 공용 영역을 유지한 채 침실 영역을 확장해 갔다면, 대한주택영단의 평면은 기존 구성의 거실 옆으로 침실들을 덧붙이는 방식으로 진행하면서 거실은 주거 공간의 중앙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거실은 공간적으로는 중앙에 있었지만, 규모가 작아질 경우 가장 먼저 사라지는 공간이었다. 하지만 15평 이상의 규모가 될 경우에는 동선공간과 분리하여 거실 공간을 확보하려는 시도를 보여주었다. (결론) 1950년대 대한주택영단 평면은 미국 FHA 평면과 기본 구성과 확장 과정에서 유사성을 보였지만, 전통적인 부엌 공간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거실의 역할에 대한 의문으로 기본 평면의 실의 구성에서 차이를 보였다. 거실 공간의 역할이 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진행된 평면의 확장 과정은 거실이 침실들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구조를 만들었으며, 이는 이후 부엌이 거실과 연결되고 가족 공용공간이라는 개념이 확립된 이후에도 지속돈다. 이는 현재 평면에도 영향을 미치며 우리나라 근대 표준 평면의 한 특징이 되었다.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analyzed plans of houses provided by the Korea National Housing Corporation (KNHC) in the 1950s to reveal how residential spaces have changed and have been modernized since the Korean War. These plans are valuable because they are one of the initial types of modern Korean houses and were developed by the public agency for mass production to overcome the severe housing shortage problems. In particular, Korean residential spaces have been differentiated in the relation between common and individual spaces from small houses in the United States, which are considered to have influenced modern Korean housing. We expect that the KNHC will display the development process to form the unique properties of Korean residential spaces. (Method) First, we examined the layout of plans in the Technical Bulletin for the Small Houses provided by Federal Housing Association(FHA) in the mid century of US focused on how the basic plans were set up and then expanded in the aspect of the relation between living room, kitchen and bedrooms. Next, we analyzed the layout of plans in KNHC in same ways and then compared them to plans of FHA. (Results) The basic plan of FHA and 9-Pyeong plans have common features in the simple rectangular form with 2x2 configuration, but differentiated in relationship between kitchen-living room-bedrooms. While the livingroom and kitchen face each other and form the common area in the basic plans of FHA, the livingroom and kitchen are separated each other and not connected by interior corridors in the initial KNHC plans. The both plans increase by adding the bedrooms to the existing basic compositions, but it differs in where the additional bedrooms are added. The plans of FHA could maintain the relation between the private areas with individual bedrooms and the common area by adding the additional bedrooms adjacent to the existing bedrooms. However, in the plans of KNHC, the bedrooms are added next to the livingroom and then the livingroom is located on the center of the residential space, and surrounded by the bedrooms. Moreover, the livingroom was often considered as unnecessary space at that time, so often disappeared under 9-pyeng houses.(Conclusion) The KNHC plans in the 1950s show similarities to the plans of the FHA in the basic 2 × 2 configuration and the process of expansion, but differ in dealing with family common spaces. It comes not only from the physical and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itchen spaces, but also from questions about the roles of living room. These have created distinctive locations for the living room and have remained the most recent residential plans in Korea since the concept of family common spaces was established by integrating the kitchen and the living room.

      • KCI등재

        노인의 인지연령과 주거공간의 인테리어 스타일과의 관계 - 침실과 거실공간을 중심으로 -

        오찬옥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5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4 No.3

        Many housing alternatives and design guidelines for the elderly have been suggested along with the rapid increase of old persons. However, most of them focused on the spatial composition and fixtures. They do not address on interior style which affects on interior mood. The interior style is especially important to the elderly who spend most of their time in indoor space, such as housing unit or nursing home. On the base of these backgroun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interior style of bedroom and living room where the elderly lives are and whether they a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cognitive ages, or not. The subject were 202 old persons who lived in Busan. Their ages were more than 65 years. They were interviewed by using 3D images of bedroom and living room. Each one consisted of three interior styles; Korean traditional style, Western classical style, and modern style.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The interior style of bedroom and living room which the old persons lived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elderly's cognitive ages. The younger the old persons' cognitive ages were, they lived in bedroom or living room of modern style. Also, the older their cognitive ages were, they lived in bedroom or living room of Korean traditional style. These results show that the cognitive age of the old persons affect the characteristics of interior design which they live. Also, it implies that the elderly are not one homogeneous group, but a heterogeneous one. 고령화가 급격하게 진행됨에 따라 다양한 노인주택대안과 지침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지침들이 주택 내부의 공간구성과 가구설비 등과 관련된 내용들이며 실내공간의 분위기를 좌우하는 실내공간의 인테리어 스타일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이 거주하고 있는 주택의 침실과 거실의 인테리어 스타일이 무엇이며 이 인테리어 스타일이 노인의 인지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는 다양한 유형의 노인주택 뿐 아니라 노인요양시설의 입원실과 공동거실의 인테리어 스타일을 결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20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일대일 면담조사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인테리어 스타일은 3D 이미지로 표현된 3개의 스타일, 즉 한국전통 스타일과 서양고전 스타일 및 현대 스타일의 침실과 거실을 각각 1장에 배치하여 보여주면서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침실 및 거실과 가장 가까운 것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노인들이 거주하는 주택의 침실과 거실은 입식과 좌식이 반반 정도씩 되었으며 바다마감도 합성재로 되어 있는 경우가 반 정도 되었으며 나머지는 전통장판과 나무 바닥이었다. 많은 노인들이 침실에는 옷장과 이불장, 침대를 두고 있었으며 거실에는 소파, 탁자, 장식장을 두고 있었다. 둘째, 노인이 거주하는 주택의 침실과 거실의 인테리어 스타일은 모두 한국전통, 현대, 서양고전 스타일의 순으로 한국전통 스타일과 현대 스타일이 많은 편이었으며 젊은 노인은 현대 스타일의 공간에서, 연령이 있는 노인은 한국전통 스타일의 공간에서 거주하는 성향을 보였다. 셋째, 노인의 인지연령에 따라 노인들이 거주하고 있는 침실의 인테리어 스타일은 유의미하게 차이를 보였다. 노인의 인지연령 즉 노인의 감성, 외모, 행동, 관심연령이 40대인 노인은 서양고전 스타일의 침실에서, 50대인 노인은 현대 스타일의 침실에서, 80대인 노인은 한국전통 스타일의 침실에서 거주하는 성향을 보였다. 넷째, 노인의 인지연령 중 외모연령과 관심연령에 따 라 노인들이 거주하고 있는 거실의 인테리어 스타일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노인의 외모연령과 관심연령이 젊을수록 현대 스타일의 거실에서 거주하고 두 연령이 많을수록 한국전통 스타일의 침실에서 거주하는 성향을 보였다. 다섯째,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노인의 인지연령에 따라 노인이 거주하고 있는 주택의 침실과 거실의 인테리어 스타일은 유의미하게 달랐다. 이는 곧 노인의 인지연령은 실내디자인의 특성을 결정해주는 요인 중의 하나임을 말해주는 것이며 따라서 노인 관련 연구를 진행할 때 노인의 실제 연령 뿐 아니라 인지연령도 중요한 변수로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 거실공간의 배색기법에 따른 감성효과 분석

        강선아 ( Seon Ah Khang ),조현승 ( Hyun Seung Cho ),이주현 ( Joo Hyeon Lee ) 한국감성과학회 2001 추계학술대회 Vol.2001 No.-

        본 연구에서는 (1) 인테리어에 대한 감성어휘모형을 도출하고, (2) 거실 인테리어의 주요 배색을 추출한 후, (3) 거실 공간의 배색 감성모형을 개발하였으며, (4) 연구결과를 토대로 거실 인테리어 디자인을 위한 배색기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인테리어를 기술하는 감성어휘를 수집하고 이들로부터 대표적 감성어휘를 추출, 감성어휘척도를 구성하였다. 감성조사분석을 통해 ``따뜻하다-차갑다``(제 1차원), ``고급스럽다-소박하다(제 2차원)``, ``현대적이다-고전적이다``(제3차원)의 세 차원축이 도출되었고, 이렇게 도출된 감성공간 상에 감성어휘들을 대응시키고, 9개의 감성 범주로 구분함으로써 감성어휘모형을 개발하였다. 한편, 거실 인테리어의 주요 배색을 추출하여 배색자극물을 개발하고, 감성어휘모형과의 관계분석을 통해 거실 공간의 배색 감성모형을 개발하였다. 최종적으로, 배색 감성모형에서 도출된 9개의 감성범주와 그에 대응하는 배색을 기반으로 하여 거실용 인테리어 디자인의 핵심이미지에 따른 배색지침을 제시하였다.

      • 거실 가구와 IoT 융합을 위한 사용자 컨텍스트 분석 및 유형화 연구

        박서연(Seo yeon, Park),연명흠(Myeong Heum, Yeoun) 한국HCI학회 201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2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산업이 발전하면서 센서 기반의 스마트 홈 제품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가정 내 사용자에게 편리하고 유용한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시대에 따라 주거 형태 및 공간의 기능이 변화하면서 거실과 그 외의 공간 간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다. 따라서 변화된 현대 거실의 Context 파악이 중요해진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거실 공간에서 가구 및 공간에 따른 Context 를 분석하고 사용자의 대표행동 패턴과 의외의 행동 패턴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 문헌조사를 통해 거실의 공간과 행위 변화를 고찰하였으며 유저다이어리(User Diary)와 심층 인터뷰(In-depth interview)를 통해 가구 및 공간에서 행동의 빈도와 수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행동 패턴을 파악하였고 이를 거실의 평면도 위에 매핑(Mapping)해 유형화하였다. 그 결과 사용자들은 각자의 생활양식에 맞춰 가구를 사용하고 있었고 높은 빈도로 가구의 본 기능과 다른 행동을 하는 것이 파악되었다. 따라서 이 결과는 미래사용자 중심의 스마트 가구를 설계하기 위한 기반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명말청초(明末淸初) 신사층(紳士層) 주거문화의 한 단면 ― 이어(李漁)의 《한정우기(閑情偶寄)》<거실부(居室部)>를 중심으로

        한종진 한국중국어문학회 2011 中國文學 Vol.66 No.-

        In late imperial period, the commerce and economy of China greatly advanced to cause a lot of silver of the world to be concentrated in the cities such as Su zhou(蘇州) or Hang zhou(杭州) etc. The concentration of silver means the concentration of wealth, therefore a considerable number of commercial capitalist appeared to offer economical backing for Gentry(紳士) who a lot of them are financially feeble. Based on such economical backing, Gentry(紳士) created cultural fashion and discourse to strengthen market economy system in which culture is consumed as merchandise. This study tried to look over ideas and infoes for residing culture of Gentry(紳士) class through 《Xian qing ou ji(閑情偶寄)》< Ju shi bu(居室部the chapter for architecture of house) > of Li yu(李漁). < Ju shi bu(居室部the chapter for architecture of house) >consists of five parts, namely a house and a room(房舍), a window and a lattice(窓欄), a wall and fence(牆壁), a tablet(聯?), a stone and rocks(山石). According to 《Xian qing ou ji(閑情偶寄)》< Ju shi bu(居室部the chapter for architecture of house) >, Most important factors to build house and garden are the creative concepts and elegant mood. Criticizing luxurious trends at that times, Li yu(李漁) insisted that those purposes should be realized by thrift method. But the new culture discourse of Gentry (紳士) class caused the result that led society to extravagant trends, promoting commercial fashion and consumption regardless of their original purpose. At that time, Gentry(紳士) class really looked to be taken to a ghost named a kind of falsehood consciousness(Falsches Bewubtsein). Meanwhile, 《Xian qing ou ji(閑情偶寄)》perhaps was transmitted to Korea of Cho sun(朝鮮) dynasty at the same age with China of late imperial period. Gentry(紳士) class of Cho sun(朝鮮) dynasty wished to pursue the realization of elegance in housing and gardening. But they were more practical, more realistic and more specific than those of China. This study has insufficient bibliography proofs about 《Xian qing ou ji(閑情偶寄)》`s transmission to Korea and text of analysis is limited 《Xian qing ou ji(閑情偶寄)》 < Ju shi bu(居室部the chapter for architecture of house) > of Li yu(李漁). This study is just a case analysis. So more studies need to be followed.

      • KCI등재

        明末(명말) 淸初(청초) 문화 세속화의 흐름 속에서 본 《閑情偶寄(한정우기)》 -<居室部(거실부)>를 중심으로-

        김의정 중국어문학회 2015 中國語文學誌 Vol.0 No.51

        本文要探討明末淸初文人李魚的著作『閑情偶寄』的壹部分-居室部。這部著作在16-17世紀生活美學方面的著作中占有壹定的地位。這時期中國江南地區流行追求참新的物質文化,無論士大夫文人或者城市的商人和壹般老百姓都追求奢華消費。這樣的潮流當中有壹批文人感到身分秩序上的危機,更强調幽雅的高級情趣,而李魚却選擇了령壹條路-就是開拓商人型文人或者文人型商人的路。所以他的著作强調雅俗共賞的生活美學。閑情偶寄雖然壹部分追求視覺方面的外觀上的美觀,但是更重要的是즘樣把這種美學原則搬到身邊的實際問題。所以筆者認爲審美和實用是兩個重要的構成這本書的核心因素。尤其是他的技術當中有超過單純的技術上的便利以外的壹種참新的時代意識-(信賴技術,享受發展)。本文只對淮居室部,所以現在得到的結論不구全面,可能通過整個範圍的調査以後筆者的主張可以確保更高的說服力。

      • KCI등재

        明末淸初 紳士層 주거문화의 한 단면―李漁의 《閑情偶寄》 <居室部>를 중심으로

        한종진 한국중국어문학회 2011 中國文學 Vol.66 No.-

        In late imperial period, the commerce and economy of China greatly advanced to cause a lot of silver of the world to be concentrated in the cities such as Su zhou(蘇州) or Hang zhou(杭州) etc. The concentration of silver means the concentration of wealth, therefore a considerable number of commercial capitalist appeared to offer economical backing for Gentry(紳士) who a lot of them are financially feeble. Based on such economical backing, Gentry(紳士) created cultural fashion and discourse to strengthen market economy system in which culture is consumed as merchandise. This study tried to look over ideas and infoes for residing culture of Gentry(紳士) class through 《Xian qing ou ji(閑情偶寄)》<Ju shi bu(居室部 the chapter for architecture of house)> of Li yu(李漁). <Ju shi bu(居室部 the chapter for architecture of house)>consists of five parts, namely a house and a room(房舍), a window and a lattice(窗欄), a wall and fence(牆壁), a tablet(聯匾), a stone and rocks(山石). According to 《Xian qing ou ji(閑情偶寄)》<Ju shi bu(居室部 the chapter for architecture of house)>, Most important factors to build house and garden are the creative concepts and elegant mood. Criticizing luxurious trends at that times, Li yu(李漁) insisted that those purposes should be realized by thrift method. But the new culture discourse of Gentry(紳士) class caused the result that led society to extravagant trends, promoting commercial fashion and consumption regardless of their original purpose. At that time, Gentry(紳士) class really looked to be taken to a ghost named a kind of falsehood consciousness(Falsches Bewubtsein). Meanwhile, 《Xian qing ou ji(閑情偶寄)》 perhaps was transmitted to Korea of Cho sun(朝鮮) dynasty at the same age with China of late imperial period. Gentry(紳士) class of Cho sun(朝鮮) dynasty wished to pursue the realization of elegance in housing and gardening. But they were more practical, more realistic and more specific than those of China. This study has insufficient bibliography proofs about 《Xian qing ou ji(閑情偶寄)》's transmission to Korea and text of analysis is limited 《Xian qing ou ji(閑情偶寄)》 <Ju shi bu(居室部 the chapter for architecture of house)> of Li yu(李漁). This study is just a case analysis. So more studies need to be followed.

      • KCI등재

        아파트 거실공간의 적정 천정고 설정에 관한 연구

        배동식 ( Dongsig Ba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4

        (연구배경 및 목적)건축공간은 행위공간으로서 구성체계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시각적 심리적으로 공간감에 영향을 주는 높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현실이다. 특히 천정고는 바닥, 벽보다 먼저 이용자에게 인식되는 부분으로 공간디자인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나 천정고를 설정할 때 객관화된 데이터보다는 디자이너의 직관적 감각에 의존하고 있다. 인간의 지각적 측면에서 실내의 천정고 및, 제반 환경인자가 천정고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천정고의 만족도에 미치는 요소를 분류하여 이러한 요소에 대해 거주자들이 어떠한 반응을 보이고 있는가를 분석하여 파악함으로써, 공간계획시 적정 천정고를 계획하는데 유효한 자료로 이용한다. (연구의 방법)인간생활의 기본공간인 주택 중 대구광역시내에 위치한 아파트를 대상으로 하였다. 거주공간을 전용면적 및 주동형식별로 분류한 후, 각각의 공간에서 거주자들이 천정고에 대하여 어떠한 반응을 보이고 있는가를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동일면적에서의 천정고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평면형태로 복도형, L형, 관통형의 순으로 만족도가 높았으며, 거실의 폭/너비의 비율이 1.15 이상일 경우 만족도 가 높게 나타났다. 천정고가 동일한 경우, 실의 면적변화에 따른 반응 차이는 뚜렷하지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응답자의 신장에 따른 지각차자 없음을 볼 때, 신장에 비례한 유효높이의 측면을 위주로 한 천정고 설정은 재고되어야 하며, 응답자의 성별, 나이 등과 천정고의 지각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천정고가 거주자들의 심리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대단히 크며,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아파트 거실의 천정고는 적정치 237.5㎝이상, 최소치 232.5㎝로 구해졌다. 거주자들이 요구하는 천정고는 적정천정 고보다 평균적으로 7㎝ 높게 나타났다. 한편, 아파트 천정고 227.5㎝이하인 경우, 거주자들은 높은 불만족을 표시하였다. (결론)현재 건축법규에서 규정하고 있는 거실천정고의 하한치인 210㎝는 상향 조정되어야 한다. 아파트 거실의 천정고는 심리적으로 필요한 높이 이하이거나 겨우 충족시키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앞으로의 계획 시 충분히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construction system as an action space, but only a few on the height that influences the spatial sense visually and psychologically. In particular, ceiling height is an aspect recognized by the user before the floor and the wall,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space design. However, ceiling height is determined by the intuitive sense of the designer rather than on the basis of objectified data.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effects of indoor ceiling height and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satisfaction of the ceiling height in terms of human perception. (Method) Among the houses that are the basic space of human life, an apartment located in Daegu was selected. After classifying the living space into an exclusive area and building type, we surveyed the residents’ responses to the ceiling height in each space through questionnaires, and analyzed the results. (Results) The element that has the greatest effect on ceiling height satisfaction in the same area is the flat type, followed by corridor type, L type, and through-type. When the width/breadth ratio of the living room is 1.15 or higher, the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high. When the ceiling height was the same, the difference in responses to the changes in the room area was not clear. As there is no difference in perceptio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respondent, the ceiling height setting around the aspect of the effective height proportional to the height should be reconsidered, and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respondents' sex, age, and ceiling height. The effect of ceiling height on residents’ psychological satisfaction is high. In this respect, the ceiling height of an apartment living room was estimated to be a minimum of 232.5cm up to 237.5cm or higher. The ceiling height required by residents was found to be 7cm higher on average than the appropriate ceiling height. On the other hand, if the apartment ceiling height is less than 227.5 cm, residents were highly dissatisfied. (Conclusions) The lower limit of the living room ceiling height currently defined in the building code (210cm) should be raised. In most cases, the ceiling height of apartment living rooms falls below or barely meets human psychological needs; therefore, this should be fully considered in future planning.

      • KCI등재

        공동주택 거실공간의 구성요소에 따른 심미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춘욱(Lee Choon-Ook),이정호(Lee Jeong-Ho) 대한건축학회 2010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6 No.6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surveying the living rooms of apartments sold in the capital area during 200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iving room's aesthetic characteristics that were introduced and recommended by the builders to consumers, and to basically contribute to improving apartment residents' aesthetic satisfaction with living rooms in the future. To achieve the purposes, the place with unique characteristics in the living room was classified into ceiling, wall & floor, furniture & curtain, and art wall. In addition, finish materials, and color were analysed as a subordinate factor. The most important point of the apartment living rooms in the 2009 was to introduce an environment-friendly aspect into the modern residential space of apartments and to design the latest living room in perfect harmony with the state-of-the-art home appliances. Interior design with minimal decoration and hot colors coupled with neutral colors featuring a modern aspect were widely used to make residents feel more comfort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