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애니메이션의 가상 가수 발전과 성장에 관한 연구

        멜렌데츠 바레토 다니엘라 알레한드라(Melendez Barreto Daniela Aleja),김일태(Kim Il-Tae)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2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66

        1950년대 미국에서 가상 가수, 즉 인간 신체적인 존재 대신 가상의 캐릭터로 자신을 보여주는 음악가들이 등장한 이후 음악 산업에서 애니메이션, 모션 캡쳐, 증강현실, 가상현실을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음악가와 예술가들이 함께 만든 이 애니메이션 가수들은 가수의 존재 영역의 경계를 넓혀주고, 현대의 실존하는 인간 가수들과 견줄 만한 수준의 음악적 성공을 이룰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상 가수의 음악시장에 대한 영향력을 포함한 역사적 맥락을 정리하고, 애니메이션을 주요 표현 수단으로 사용하여 성공한 새로운 유형의 가상 가수의 출현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가상 가수의 이론적 배경, 1920~1950년대 애니메이션 가상 가수에 대한 역사적 배경, 1950~2020년대까지 미국 · 영국 · 일본 · 한국의 애니메이션 가상 가수들의 영향력과 업적에 대해 조사 분석했다. 애니메이션의 가상 가수에 대한 역사 및 이론에 대한 연구 결과, 가상 존재에도 불구하고, 지난 70년 동안 실재 인간 가수들과 함께 성장하고 진화해왔으며, 인기도 측면에서 그들은 현재에도 발전, 성장하기 때문에, 미래에는 가상 가수들의 등장, 활동의 범위와 능력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Virtual singers, musicians that show themselves as fictional characters instead of human corporeal beings, had been pioneers in the use of animation, motion capture,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in the music industry ever since their emergence in 1950’s America. Created alongside by writers, musicians and artists, these animated singers had broken the barriers to what singers should be and what they should look like, and had achieved a level of musical success comparable to that of modern human performers. This study exam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fictional, cyber and virtual singers, provided a historical background of animation singers in the 1920s and 1950s, and a historical overview of animation technologies and achievements of American, British, Japanese, and Korean virtual singers from the 1950s to 2020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a time-line including the achievements of virtual singers in the music industry, and to propose the emergence of a new type of singer who succeeded by using animation as the main means of expression. In addition, this study revealed that despite their virtual existence, animated performers have grown and evolved along side real human singers over the past 70 years, and the number of virtual singers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near future due to their current growth in popularity.

      • SCIEKCI등재

        새로운 endo-inulinase를 이용한 치커리 추출물로부터 Inulo올리고당의 생산

        강수일,김수일,Kang, Su-Il,Kim, Su-Il 한국응용생명화학회 1997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43 No.1

        치커리 추출액으로부터 올리고당을 생산하기 위하여 산과 효소에 의한 가수분해를 실시하였다. 이온교환수지를 통과한 당용액을 가수분해 시킨 결과 중합도 $3{\sim}5$인 올리고당의 함량은 $55^{\circ}C$에서는 가수분해 12분에, $65^{\circ}C$에서는 6분에 총당의 26%내외에 도달한 후 30분까지 거의 변하지 않았다. 30분 처리로 fructose, glucose 및 sucrose는 $55^{\circ}C$에서는 총당의 24.6%을 $65^{\circ}C$에서는 50.3%로 증가하고, 중합도 6 이상의 당은 총당의 49.5%, 23.0%로 각각 감소하여 산가수분해는 당중합도에 비선택적인 것으로 나타나 올리고당 생산방법으로는 부적합하였다. Athrobactor sp. S37의 정제 endo-inulinase를 사용하여 치커리 추출액을 $40^{\circ}C$에서 가수분해한 결과 18시간 가수분해물의 당조성은 inulobiose(F2)를 포함한 중합도 $3{\sim}5$의 올리고당이 총당의 66.1%, 중합도 6 이상이 23.0%, fructose, glucose 및 sucrose가 10.9%이었다. 가수분해전 fructose, glucose 및 sucrose 함량이 9.6%인 것을 감안하면 본 효소에 의한 가수분해는 고중합도의 당이 올리고당으로 선택적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수분해에 사용되는 조효소와 정제효소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중합도 $1{\sim}2$의 당들을 제거한 치커리당액을 각각 두 효소로 가수분해하였다. 정제 효소로 가수분해한 것과는 달리 조효소에 의한 18시간과 44시간 가수분해물에서는 fructose, F2 및 GF2가 검출되었으며 또한 F4의 생성이 가수분해 초기($2{\sim}8$시간)에서 훨씬 빨랐다. 두 효소의 44시간 가수분해물은 총당의 72%가 올리고당이었으며 올리고당의 주요 구성당은 F2, F3, F4의 inulo올리고당으로 총당의 $51.3{\sim}64.35$를 차지하였다. 따라서 endo-inulinase에 의한 가수분해는 효과적인 올리고당 생산방법으로 판단된다. For the effective production of functional oligosaccharides(DP 3-5) from inulin in chicory extracts, the acid hydrolysis and enzymatic endo-inulinase reaction were compared. Acid hydrolysis was unfavorable ; the content of oligosacharides in total sugar increased to 26.0% for 12 min at $55^{\circ}C$ and 24.6% at 6 min at $65^{\circ}C$ and showed little change for 30 min. The content of high DP(DP 6) decreased from 83.5 to 49.5% and 23.0% for 30 min, repectively. Glucose, fructose and sucrose increased to 24.6% and 50.3%, respectively. Hydrolysis of chicory extracts with purified endo-inulinase from Arthrobacter sp. S37 was carried out at $40^{\circ}C$ and pH 7.5 for 44 hrs. The content of high DP($DP{\geq}6$) in total sugar decreased from 83.5 to 23.0% and that of inulobiose(F2) and DP 3-5 increased to 66.1%. Glucose, fructose and sucrose were not produced. The hydrolysis of chicory extracts without DP 1 and DP 2 with crude or with purified enzyme were also carried out. In contrast to the hydrolysate of crude enzyme, that of purified endo-inulinase did not contain glucose, fructose, sucrose, F2 and 1-kestose(GF2). The content of oligosaccharides in the hydrolysate of the purified endo-inulinase were 79.2%, composed mainly of inulotriose(F3), inulotetraose(F4) and inulopentaose(F5), which shows that the enzymatic hydrolysis using purified endo-inulinase from Arthrobacter sp. S37 is the best method for oligosaccharides production from inulin in chicory extracts.

      • KCI등재

        나는 한국 가요가 좋아요: 베트남 호찌민 시 대학생들의 케이팝(K-Pop) 가수에 대한 선호 경향과 인식에 관한 연구

        장윤희(Chang, Yoonhee) 한국대중음악학회 2016 대중음악 Vol.- No.17

        본 연구는 베트남의 남부에 위치한 문화·경제의 수도 호찌민 시에서 나타 나고 있는 케이팝의 인기에 대한 민족지학적인 연구이다. 베트남인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한국 대중가요를 즐기고 있다. 이들은 왜 한국의 케이팝을 좋아 하는 것일까? ‘얼마나’가 아닌 ‘왜’라는 질문의 답을 찾기 위해 호찌민의 젊은 이들이 갖고 있는 한국 가수에 대한 의견을 직접 들어보고, 이들이 형성한 한국 가수에 대한 인식을 연구하였다. 정확한 수치로 일관성 있는 통계자료가 아닌 한류에 대해 사회문화적인 배경과 인간의 관점에 대한 관련성이 깊은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이유를 제시하고자 한다. 대부분의 연구 참여자들은 가수의 외모에 대한 호감이 분명했고, 공통적으로 목소리가 좋고 노래를 잘하기 때문이 가장 큰 선호의 이유였다. 여자 가수 의 경우 외모가 노래 실력보다 무조건적으로 우선시 되는 답변은 거의 없었다. 가창력 다음으로 좋아하는 가수에 대한 선호의 이유는 성격과 성품이 갖고 있는 장점 때문이었다. 여자 가수들이 보여주는 능력에 대한 언급도 있어서, 여성의 당당함과 자신감, 능력을 중요시하는 의견이 나타났다. 또한 개인적으로 그 가수와 음악과 교감하고 동감하는 부분이 많았다. 남자 가수와 그들의 음악을 선호한다는 응답에서는 연구자들의 대부분이 나이가 어린 여학생이 많았던 만큼 이성의 가수가 보여주는 외모와 음악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 노래를 잘한다는 의견과 더불어 외모에 대한 선호도가 여자 가수에 대한 선호 이유에 비해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바른 이미지와 성격에 관한 점도 중요하게 언급이 되었다. 열심히 노력하는 자세와 능력, 인품에 대한 언급이 다양했다. 애국심 역시 가수를 좋아하고 높게 평가하는 이유의 하나였다. 또한 노래 실력뿐만 아니라 다양한 능력이 중요한 이유로 거론되었다. 베트남 청년들이 한국의 대중가요와 가수를 선호하는 것에 있어서 ‘음악이 세련되고 리듬이 빠르고 춤이 있고 가수가 멋지다’라는 흔한 이유가 아닌, 가수의 품성이나 이미지가 음악적 요소 외에도 호감을 얻는 데에 크게 작용하 였다. 다양한 재능, 즉 작곡, 랩, 뮤지컬 연기 등의 개성이 있는 능력도 한국의 가수와 가요를 높게 평가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한류의 성공과 그 원인, 발전에 대해 진행하는 연구는 반드시 연구 대상자의 지식수준, 연령, 교육적 배경 등을 세분화하여 진행하여야 보다 정확한 이유를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예와 같이 한류에 대한 선호와 인식의 연구에 있어서 구체적인 예와 심도 있고 세세한 의미 부여가 없다면 일반적인 수적 통계와 별다른 점을 찾기 어려울 것이다. This paper is based on an ethnographic research on Korean wave in the Socialist Republic of Vietnam. The research focuses on Korean popular music, so called K-Pop that is widespread in Vietnamese society, and examines why this music and its musicians are beloved by the young Vietnamese people. The research aims to scrutinize significance of Korean wave in different places among different people. Also, it is a more developed multi-disciplined study that explores human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Many young Vietnamese show their love to Korean pop singers. The interviewees, most of them were young female college students, said that Korean female singers are in good looking. However, the outward appearance was never the first and only reason. They like Korean pop stars because they not only sing well but also have good personality. Moreover, the abilities of female singers and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the field were highly recognized. Many interviewees also showed their great interests on male singers, and explicitly said that they like handsome male musicians. However, polite behavior, and even the good life style the male singers shown on the media were considered important for the interviewees to choose their favorite musicians.Generally, people assumes that outward styles in K-Pop musicians, such as sexy feminity, dynamic dance, and emotional and sensitive voices, attract Vietnamese people. However, they put weights on the singers good manner and ability in doing their work, even caring the patriotic mind as well as the pioneering spirits. In this regard, the research on hallyu in Vietnam must be approached in people-centered way, and the research group must be specified and classified in various age groups, regional and educational background.

      • KCI등재후보

        귀리를 이용한 탁주의 알코올 발효 중 품질변화

        김미향(Mi-Hyang Kim),이명희(Myung-Hee Lee) K교육연구학회 2022 사회과학리뷰 Vol.7 No.3

        본 연구는 가수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귀리 탁주의 발효 중 품질변화를 관찰하였다. 사용한 곡류에 대해 가수량을 2배, 3배 및 5배로 달리하여 7일간 발효하였다. pH는 발효 3일까지는 감소하였으며 이후 발효 종료 시까지 4~4.5 범위를 유지하였고 5배 가수 술덧이 가장 낮았다. 산도와 당도는 5배 가수 술덧에서 높았으며 발효 종료일에 최종 산도는 2배 가수 술덧이 0.4%, 3배 가수 술덧이 0.39%, 5배 가수 술덧이 0.32%이었다. 알코올 함량은 발효 5일에 가장 높았으며 2배 가수 술덧이 9%, 3배 가수 술덧이 8.4% 5배 가수 술덧이 7.4%이었다. 시판되는 탁주의 알코올 함량을 고려하여 6%로 조정한 귀리 탁주의 수율은 5배 가수가 가장 높았으며 가수량을 고려하면 5배 가수 술덧이 당화와 알코올 생성이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amount of water added during fermentation on the quality of takju was investigated. Takju was made by adding water 2-fold (OT-2), 3-fold (OT-3), and 5-fold (OT-5), respectively, of the rice weight (w/w). The pH decreased until the 3rd day of fermentation and was maintained in the range of 4 to 4.5 until the end of the fermentation, and the 5-fold water stasis was the lowest. Acidity and brix degree were higher in 5-fold malt, and the final acidity at the end of fermentation was 0.4% for 2-fold malt, 0.39% for 3-fold and 0.32% for 5-fold malt. The alcohol content was the highest on the 5th day of fermentation, 9% for 2-fold, 8.4% for 3-fold and 7.4% for 5-fold malt. The yield of oat takju, adjusted to 6% considering the alcohol content of commercially takju, was the highest with 5-fold water content. Considering the amount of water, 5-fold hydrous takju showed faster saccharification and alcohol production.

      • 사이버상담으로 호소된 가수지망 청소년의 진로탐색 연구

        이영선,김병관,김소연,차진영,최요한,방나미 한국인터넷융합학회(구 한국인터넷중독학회) 2016 인터넷중독연구 Vol.1 No.-

        본 연구는 가수 관련 진로를 지망하는 청소년들이 진로탐색 과정에서 겪는 내적 경험을 알아보고자, 청소년 사례 15개를 합의에 의한 질적 연구 (CQR: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최종적으로 가수를 지망하는 이유, 진로결정의 장애 요인, 진로결정의 촉진 요인, 진로탐색과정에서의 노력이라는 4개 영역과 14개 범주로 결정되었다. 자료 분석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주요 내용들이 확인되었다. 가수를 지망하게 된 이유 영역에서는 내담자에 대한 주변 인정이나 음악에 대한 긍정적 경험, 그리고 가수에 대한 내담자의 견해가 가수를 지망하는데 중요하게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 결정의 장애요인 영역을 살펴본 결과, 내담자들이 음악에 대한 재능 부족과 실천의지 부족 등과 같은 내적인 요인과 부모님의 진로 반대 및 가족분위기 등과 같은 가족구성원과의 갈등, 그리고 학교 및 학업관련 갈등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적 요인과 내담자를 향한 주변의 부정적 조언도 내담자가 진로를 결정하는데 장애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수라는 진로를 결정함에 있어서 작용하는 촉진요인으로는 노래를 부르면서 느끼는 긍정 적 심리경험과 가수에 대한 확고한 의지가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가수를 지망하는 내담자들이 진로탐 색과정에서의 노력으로는 가수가 되기 위한 실천행동, 진로계획수립, 가수가 되기 위한 정보요청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최근 진로 영역에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연예인 지망 청소년 관련 문제를 보다 구체화하여, 가수지망 청소년들이 진로결정 과정에서 겪는 경험을 영역화하고, 내적 경험을 세밀하게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수 지망 청소년들의 내적 경험을 이해하는 기초자료로서 청소년 진로 상담에 있어서 효과적인 방향 및 개입전략을 설정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inner and external experience that adolescents go through in the process of career exploration. The analysis incorporat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to explore 15 cyber counseling cases written and posted by the youth attending secondary school in 2010. Analysis of the content of the cyber counseling cases differentiated 4 domains and 14 categories. The 4 domains entail the following reasons: desiring to be a singer, obstacle factors in career decisions, promotion factors in career decision making, and efforts in the process of career exploration. The analysis identified major content that included the surrounding recognition of the client's musical ability, the client's positive experiences with music, the client's views about becoming a singer, and the reasons for wishing to be a singer as important factors in hoping to become a singer. In addition, analysis of the obstacle factors in the adolescents' career decisions indicated that adolescents are experiencing a number of inner factors, including their lack of ability in music, lack of will to practice to become a singer, conflicts with family members, and conflicts related to studies and academic attainments. Economic factors related to the adolescents and negative feedback for youth who become singers were obstacle factors for the youth. On the other hand, promoting factors in deciding upon a career to be singer were the youths' psychological experience with positive emotions when singing a song and strong commitment to become a singer. Finally,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endeavoring behaviors of the youth wanting to be singers in the process of career exploration were: conducting practical actions, setting career plans, and requesting information to become singer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ill provide some useful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in depth an adolescent’s experience in wanting to be a singer and setting effective directions and intervention skills when counseling students considering this career decision.

      • KCI등재

        가수 집단 간 음성 특성 비교

        유재연 한국언어치료학회 2010 言語治療硏究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acoustic measurements (F0, vF0, Jitter, Shimmer, and NHR) of 24 trot singers(14 males, 10 females) and 25 ballad singers (12 males, 13 females) and to compare acoustic measurements of the vowel /a/ produced by four singers' groups on three voice sampling conditions (prolongation, reading, and singing of /a/). Sound Forge 6.0 was used to record voices and MDVP was used to measure the acoustic parameters. A three-way MANOVA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n interaction between music genre and voice sampling condition in vF0. It was concluded that trot singers sing with more vibrato than ballad singer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x and among the three voice sampling conditions in jitter. Jitter was higher in male than female singers and it was highest in the singing voice.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voice sampling conditions in shimmer. Shimm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inging voices than prolongation and reading. Fi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voice sampling conditions in NHR. NH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inging voices than prolongation and reading. The female trot singers tend to sing in a less noisy voice than the remaining three groups. 이 연구는 트로트 가수와 발라드 가수를 대상으로 음향학적 파라미터 값을 측정하고 음악장르별, 성별 그리고 발성 조건(연장발성, 낭독, 가창)에 따라 음향학적 파라미터(F0, vF0, jitter, shimmer, NHR) 값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10명의 여성 트로트 가수, 14명의 남성 트로트 가수, 13명의 여성 발라드 가수, 그리고 12명의 남성 발라드 가수들이 대상자로 참여하였다. 음성의 수집은 Sound Forge를 사용하여, 연장발성, 낭독, 가창 시의 가수들의 음성을 수집하였으며, MDVP를 사용하여 F0, vF0, jitter, shimmer, NHR을 측정하였고, 다변량분산분석을 통해 음악장르, 성별, 그리고 발성조건 간에 음성에 유의한 차가 있는 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균기본주파수변동률은 음악장르와 발성조건 간에 상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파수변동률은 여성가수보다 남성가수 집단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으며, 가창 시 음성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진폭변동률은 연장발성 시, 낭독 시의 음성보다 가창 시 음성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소음 대 배음비는 연장발성 시, 낭독 시의 음성보다 가창 시 음성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인간과 기계의 공진화적 관점에서 바라본 사이버가수의 진화과정

        김대우(Kim, Dae-Woo)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5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39

        90년대 말에 등장한 사이버가수는 잠시 등장했다가 사라져 버렸고 2000년대 들어 몇 번의 시도는 있었지만 유의미한 성공사례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사이버가수는 대중음악계에서 아이돌 육성시스템의 등장과 IT산업의 기술발달에 힘입어 탄생하게 되었고 ‘아담’에서 시작해 보컬로이드 ‘시유’까지 개발되게 된다. 만화나 게임에 등장하는 일반적인 디지털캐릭터와 차별화되는 사이버가수는 음악을 매개로 하는 우상화의 대상이 될 수 있고 다수의 팬덤을 형성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실패를 거듭하고, 유행이 흘러간 컨텐츠로 간주될 수 있겠으나 보컬로이드 같은 새로운 매체를 활용해 지속적인 창작 시도를 하고 있어 진정한 사이버가수 탄생에 대한 기대가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초창기 사이버가수는 인간의 외형만 닮아가려는 노력으로 진행되다가 사이아트와 시유에서 인간의 기능들을 닮아가는 것으로 진화되어 왔다. 본 논문은 과거 등장했다가 사라진 사이버가수가 단순히 실패사례로 끝나지 않고 나름의 인공생명체로 진화하려는 과정 속에서 기술을 발전시키고 기계이미지를 바라보는 대중의 인식변화를 조금씩 이끌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시도였다고 본다. 더불어 그 진화의 방향성은 인간의 기능을 기계적으로 하나씩 획득하면서 인간과 상호 재미와 감정을 교류하면서 자신만의 외형과 기능을 갖춘 인공생명체로 진화하려는 모습을 갖추고 있다. 이런 논리를 뒷받침하기 위해 브루스 매즐리시의 인간과 기계의 공진화에 대한 연구를 참고했고 90년대 후반부터 등장했던 8개의 사이버가수들의 기획 및 디자인적인 캐릭터성과 가수로써 중요하게 평가되는 목소리(보컬)에 대한 발달과정을 브루스가 연구한 관점에서 사이버가수의 진화과정으로 분석했다. 기계는 인간과 함께 공진화하면서 진화해오고 있다. 사이버가수도 인간의 이데아적 욕망과 죽음에 대한 공포의 양가적 대상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새로운 인공생명체가 되려는 개발노력은 지속되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사이버생명체라면 시유같은 스타일이 될 가능성이 높다. 왜냐하면 만화적 형태나 기계음 목소리가 인간이 실재 욕망하는 기표의 형태는 아닐 수 있으나 현시대의 대중이 원하는 욕망과 기술적 발달이 교차되는 지점에서 탄생할 수 있는 기표의 형태이기 때문이다. Cyber singer appeared in the late 1990s has disappeared briefly appeared. although a few attempts in the 2000s, it did not show significant successes. cyber singer was born thanks to the technical development of the IT industry and the emergence of an idol training system in the music industry. It was developed by Vocaloid "Seeyou" starting from "Adam". cyber singer that differenatiated typical digital characters in a cartoon or game may be subject to idolize to the music as a medium. They also feature forming a plurality of fandom. therefore, such attempts and repeated failures, this could be considered a fashion, but it flew content creation and ongoing attempts to take advantage of the new media, such as Vocaloid can see that there are expectations for a true Cyber-born singer. Early-Cyber singer is made only resemble human appearance, but "Sciart" and "Seeyou" has been evolving to becoming more like the human capabilities. in this paper, stylized cyber singer had disappeared in the past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technology to evolve into own artificial life does not end in failure cases, gradually led to a change in public perceptions of the image look looking machine was an attempt in that sense. With the direction of the evolution of the mechanical function to obtain a human, fun and human exchanges and mutual feelings. And it is equipped with an artificial life form that evolved with it only in appearance and function. in order to support this logic, I refer to the study of the coevolution of man and machine at every Bruce Mazlish. And, I have analyzed the evolution of cyber singer Bruce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evelopment process since the late 1990s, the planning of the eight singers who have appeared and design of the cyber character and important voices to be evaluated as a singer (vocal). The machine has been evolving coevolution with humans. cyber singer ambivalent development targets are recognized, but strive to become the new artificial creatures of horror idea of human desire and death continues. therefore, the new Cyber-organisms are likely to be the same style as "Seeyou". because, cartoon forms and whirring voice may not be in the form of a signifier is the real human desires, but this is because the contemporary public"s desire to be desired and the technical development of this type can be created at the point where the cross-signifier.

      • The Possible Structural Role of Arginine Residue in the Conserved Box E of Signal Peptidase Family

        Sung, Mee-Sook,Moon, Hyun-Sun 관동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00 關東醫大學術誌 Vol.4 No.1

        신호 펩티드 가수분해효소는 모든 생물에 필수적인 단백질로, N-말단에 소수성 신호 서열을 가지고 있는 단백질들이 최종 목표지에 도달하기 전에 신호 펩티드를 잘라내는 효소이다. 특히 박테리아 신호 펩티드 가수분해효소는 serine과 lysine을 활성부위로 하는 특이한 serine 효소류로 알려지고 있다. 최근에는 신호 펩티드 가수분해효소-저해제 복합체의 X-ray 구조가 밝혀졌고, 그 구조를 통하여 각 아미노산 잔기들의 역할과 기능을 추정하여 그 신호 펩티드 가수분해효소의 활성 메카니즘을 밝히고자 하는 연구가 중요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신호 펩티드 가수분해효소 집단의 conserved Box E에서 공동 배열(consensus sequence)를 보이고 있는 arginine 잔기의 역할을 E. coli 신호 펩티드 가수분해효소로 조사하고자 하였다. In vitro enzymatic activity assay 결과로 보아 arginine 282 잔기는 E. coli 신호 펩티드 가수분해효소의 기능을 나타내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또한 arginine 282 잔기가 신호 펩티드 가수분해효소 단백질의 전체적인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고자, 돌연변이체 R282A와 정상형 신호 펩티드 가수분해효소간의 서로 경쟁하여 기질에 결합시키는 연구(competition study)를 하였다. 그 결과 신호 펩티드 가수분해효소는 정상형이 존재하는 한 10배 이상의 돌연변이체 R282A 단백질 농도에 관계없이 효소의 기능은 정상임을 보였다. 따라서 E. coli 신호 펩티드 가수분해효소에 있어서의 arginine 282 잔기의 역할은 그 효소의 기능을 나타내는 데에 있어서 중요하지만, 그것은 효소의 전체적인 구조 변화 때문일 것이라고 추정되지는 않는다.

      • 구두발표(OC) - 농업화학 및 생태,식품분야 ; 폐가축사체의 농업적 재활용을 위한 알칼리 가수분해 처리기술 개발

        서영진 ( Young Jin Seo ),서동철 ( Dong Cheol Seo ),최익원 ( Ik Won Choi ),강세원 ( Se Won Kang ),이상규 ( Sang Gyu Lee ),박주왕 ( Ju Wang Park ),강석진 ( Seog Jin Kang ),조주식 ( Ju Sik Cho ) 한국환경농학회 2013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3 No.-

        최근 들어 가축전염병으로 살처분된 가축에 대한 처리문제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첨예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특히, 2011년 구제역 발생 이후 살처분된 가축의 매몰시 침출수 누수, 인체 유해미생물 유출 및 악취 발생 등 문제점이 야기되면서 소각 및 매몰 이외의 처리가 연구되고 있지만, 우리나라 여건상 소각 및 매몰 이외에는 신속한 처리가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폐가축사체의 신속하고 안전한 처리가 가능하고 더 나아가 처리된 부산물을 재활용까지 할 수 있는 다각적인 활용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폐가축사체의 농업적 재활용을 위한 알칼리 가수분해 처리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최적 가수분해제를 선정하였고, 가수분해제의 성상별 최적 가수분해제 주입량 및 분해시간을 조사하였다. 폐가축사체는 국립축산과학원내에서 자연사한 돼지를 사용하였으며, 알칼리 가수분해제는 KOH 및 NaOH를 사용하였다. 알칼리 가수분해제 (KOH, NaOH)를 폐돼지사체 무게의 20%되게 주입한 후 분해특성을 비교한 결과 NaOH로 가수분해한 경우 분해율은 82.8%로 KOH (81.1%)의 경우보다 약간 높았지만 분해부산물 중 질소와 칼리의 함량이 KOH로 가수분해한 경우보다 낮았다. 또한 NaOH로 가수분해시 황변현상이 발생하였고, NaOH 주입으로 인해 나트륨 함량이 매우 높아 농업적 활용성을 고려할 때 KOH를 최적 가수분해제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KOH를 이용하여 폐가축사체 가수분해를 위한 최적 KOH 주입량과 분해시간을 조사한 결과 최적 KOH 주입량은 45% KOH 액상을 폐돼지사체 무게 대비 25% 주입한 경우이었으며, 최적 분해시간은 1시간이었다.

      • KCI등재

        방송사의 담론 생산과 그 의미 작용

        여기영(Kiyoung Yeo),오원환(Won Hwan Oh)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2 언론과 사회 Vol.20 No.2

        2011년 MBC의 〈나는 가수다〉는 우리 사회의 곳곳에서 다양한 패러디를 양산했고, 프로그램에서 불린 ‘잊핵진’ 가요가 음원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상품화되는 등 작지 않은 문화적 파장을 일으켰다. 이 글은 이른바 ‘나가수 현상’을 문화산업 내 문화권력 간에 누적된 갈등이 표출된 하나의 계기이며, 프로그램이 상품화되는 과정에서 생산된 담론과 그 의미 작용, 예컨대 가수 담론, 가요 담론, 라이브 신화, 아우라의 (재)구축, 그리고 록(rock)의 신화화 등에 의해서 〈나는 가수다〉가 우리 사회의 문화적 현상으로 나타났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수용자의 감성 구조를 상품화하면서 한국 사회의 문화적 욕망을 확인했다고 평가한다. 이 글은 ‘나가수 현상’의 사회문화적 의미를 탐구하기 위해서 텍스트가 생산하는 담론과 그 담론이 실천하는 의미 작용에 천착한다. 그러나 문화산업 내에서 방송사의 상품화 전략이나 방송 담론이 수용자를 기만한다는 차원에서의 논의보다는 오히려 그것이 만들어내는 의미들과 그 작동 양상에 대한 담론적, 미학적 분석을 시도한다. 아울러 우리 대중음악 산업의 역사적 조건 속에서 매체의 지형 변화와 문화 권력 간의 관계, 대중음악 수용 주체의 변화, 수용자의 감성 구조 등이 어떻게 〈나는 가수다〉라는 텍스트의 안과 밖에서 상호작용하여 우리 사회의 문화적 욕망을 ‘나가수 현상’으로 표출시켰는가를 해석한다. The popular MBC TV program “I Am a Singer” produced a variety of parodies in our societies and allowed ‘forgotten’ songs from the show to be successful in the online music market. This study tries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discursive and aesthetic formation and its signification under the historical context of popular music industries. Specially, this paper’s main concerns are the discursive and aesthetic effects rather than the commodifying strategy of the broadcasting station and the culture industry as a subject deceiving the public. This study argues that so-called ‘I Am a Singer syndrome’ is the result generated by the accumulated conflicts among cultural powers such as broadcasting companies, entertainment agencies and pop music singers. Also, the syndrome might be considered as the opportunity discovering the cultural desire of Korean societies somewhere along the line MBC commodifies the structure of feeling. In the aspect of the text, this study claims that the discoursive formations and practices as well as aesthetic compositions of the program such as ‘singer discourse,’ ‘pop song discourse,’ ‘myth of liveness,’ ‘(re)construction of aura,’ and ‘mythification of rock music’ are major motives of ‘I Am a Singer syndr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