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석 작성에 미치는 감사인의 영향과 신외감법 도입 효과: 주석유사도를 이용한 검증

        이준일 ( Joonil Lee ),현지원 ( Jiwon Hyeon ),조현권 ( Hyunkwon Cho ) 한국회계학회 2023 회계저널 Vol.32 No.3

        본 연구는 재무제표 주석에 대하여 감사인의 영향이 존재하는지, 그리고 2018년 시행된 신외감법에 의한 회사의 재무제표 작성책임 강화가 실제로 기업이 작성하는 재무제표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주석 문장의 유사도를 통해 확인한다. 감사인이 주석 작성에 개입하거나 감사인이 제공하는 틀에 따라 전형적으로 재무제표 주석을 작성하는 기업들의 주석은 서로 유사할 것이고, 한 번 만들어진 주석을 그대로 이용하는 경우 주석은 전년도와 유사할 것이다. 자연어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주석을 문장 단위로 분해하여 벡터화하고, 두 벡터 간 코사인 유사도(cosine similarity)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주석 문장이 다른 기업 주석 문장들과 얼마나 유사한지(횡단면 유사도), 자신의 과거 주석 문장들과 얼마나 유사한지(종단면 유사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동일 감사인을 공유하는 기업들간의 횡단면 주석 유사도가 높고, 감사인이 교체되는 경우 전년도 주석과 종단면 유사도가 낮음을 발견하였고, 이를 통해 주석 작성에 감사인의 영향이 실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2018년 신외감법 도입 후 동일 감사인 그룹간 횡단면 주석 유사도가 감소하고, 감사인이 변경될 때 종단면 유사도의 감소폭이 신외감법 도입 이전보다 줄어드는 것을 발견했다. 이 결과는 주석 작성에 있어 감사인의 영향이 신외감법도입 이후에 감소하는 것을 실증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auditors have an effect on preparation of financial statement notes and whether the effect has decreased after the amendment of act on external audit of stock companies (New External Audit Act) implemented in 2018. By decomposing the notes into sentences and vectorizing them with the help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iques, we measure cosine similarity between two vector pairs. Based on the cosine similarity of sentences, we measure how similar the financial statement note is with other firms’ notes(cross-sectional similarity) and with its prior notes(longitudinal similarity). We find that the cross-sectional cosine similarities are larger among firms sharing the same auditors than total sample. Additionally, the decrease in longitudinal similarities when auditor changes shows that the auditor apparently affect preparing for financial statement notes. After the adoption of the New External Audit Act, the cross-sectional similarity among the same auditor group decreased. When auditor changes, the decrease in longitudinal similarity reduced compared to before the introduction of the New External Audit Act. These results shows that the introduction of New External Audit Act has reduced the impact of auditors in writing notes.

      • KCI등재

        조선시대 노자주석의 연구 경향과 전망

        이봉호(Bong ho Lee) 한국동양철학회 2016 동양철학 Vol.0 No.45

        조선시대 노자 주석은 현재까지 5종이 발굴되어 연구되고 있다. 노자의 주석은 조선시대를 관통하면서 다양한 이해의 폭을 보여준다. 주석자 자신만의 철학적 이해를 보여주기도 하고, 주석자가 활동한 시대적 상황과 철학적 입장들이 하나의 흐름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이기도 한다고 평가된다. 조선시대 다양한 노자 주석서를 이해하는 현대학자들의 방식은 첫째, ‘闢異端論’이 있다. 벽이단론은 유학의 정통성을 확보하기 위해 이단을 공격하는 논리로 『노자』 주석이 진행되었다는 입장이다. 이 입장은 유학을 정통의 학문으로 정립하기 위해 노장을 거짓학문으로 규정하는 과정에서 사상적 투쟁의 성격이 강한 주석이라고 본다. ‘벽이단론’을 통해 유학은 자신들의 이론을 보완하거나 회통하는 시도로서 노장을 해석하는 경향, 즉 ‘以儒釋老’의 관점으로 전환된다고 본다. 이것이 둘째, ‘以儒釋老’의 관점이다. ‘이유석노’라는 관점은 중국학자인 嚴靈峰에 의해 제기되고, 한국에서는 金吉煥에 의해 도입되었다. 이 관점은 한국에서 노장을 연구하는 학자들의 주류 관점이 되어 노자와 장자에 대한 다양한 주석자들의 입장과 철학적 사유를 재단하는 기준으로 작동한다. 한국 역사에서 유독 조선에서 『노자』 주석서가 탄생하고 있는 점에 비추어 본다면, 이들 주석서는 주자학의 관점에서 ‘이유석로’의 입장을 취한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입장을 취하면 주석자의 사유를 일방적으로 재단하거나 그의 철학적 시각을 사상(捨象)하는 위험이 있다. 이러한 입장과 달리 셋째, ‘탈주자학적 관점’에서 노자 주석서를 이해하려는 시각이 있다. 이 시각 역시 주자학이 기준이다. 주석자가 주자학적 사유를 견지하느냐 벗어났느냐는 사실만으로, 그의 노자의 주석을 탈주자학적 관점에서 주석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하지만 이러한 관점은 사상사의 흐름과 노자이해의 흐름을 일치시켜 판단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도 사상사적 판단이 아니라, 단지 주석자가 주자학적 사유를 벗어났다는 이유만으로 탈주자학적 노자이해라고 재단하는 문제가 있다. 마지막의 관점은 넷째, ‘사상사적 흐름’으로 보려는 시도이다. 이는 시대적 흐름에서 주류 사상을 특정하고 이에 따른 노자 이해를 하나의 사상사로 정리하려는 시도이다. 몇몇 학자들에 의해 시도된 이러한 연구는 시대의 흐름을 사상사적으로 특정하는 선행연구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그러한 한국사상사의 흐름에서 노자의 이해를 어떻게 바라볼지에 대한 세밀한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는 점에서 아직 부족한 점이 보인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노자 주석서들을 연구하는 입장들을 정리하고, 이들 연구방법에서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해명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의 문제를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정리하고자 노자 주석서들의 연구경향들을 따로 정리했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노자 연구의 전망들을 제시하면서 새로운 시각들과 입장들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Five versions of Lao-tzu’s annotations in the Joseon period have been found and they are being studied. Lao-tzu’s annotations shows diverse understanding of Lao-tzu, embracing the Joseon period. It represents not only one trend which includes annotators’ philosophical point of view and a situation of that time but also one’s unique philosophical understanding. However, there is a predominant view to see Lao-tzu’s annotations as a single standpoint. This dominant view is ‘Iyuseokno’ which interpret Lao-tzu and Chuang-tzu from Confucian view. The ‘Iyuseokno’ point of view was posed by Chinese scholar, Yan Lingfeng and it was introduced to Korea by Kim Gil Hwan. This view became the mainstream standpoint for scholars studying Lao-tzu and Chuang-tzu in Korea. Moreover, it became standard judging scholars’ stance and philosophical thinking. However, if this view is adopted, it is likely to overlook annotators’ thinking and ignore philosophical view of annotators. Contrary to this standpoint, there is an attempt to regard Lao-tzu’s annotations as a stream of ideology. To be specific, it is an attempt to specify mainstream ideology with the stream of times and construct cognizance by Lao-tzu into one pensee. This study done by a few scholars is required to have a precedent study to specify the stream of times ideologically as well as a detailed study how to perceive cognizance by Lao-tzu with Korean ideology. This study organises stances for studying Lao-tzu’s annotations in the Joseon period. Furthermore, this study explains what is wrong in their method of study. On the basis of this study, it suggests outlook for a further study of Lao-tzu and emphasise that new perspectives and stances are needed.

      • KCI등재

        일본근세기 신화주석의 의의와 그 주변

        홍성준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7 일본학연구 Vol.52 No.-

        주석이란 모르는 어휘의 뜻을 찾아 알기 쉽게 풀이하여 적거나 이해하기 어려운 문구 등을 상세히 고찰하여 적은 내용을 말한다. 주석은 과거의 모르는 사실에 대해 연구한 결과를 모아둔 것이며, 주석 작업은 고전 이해의 방법을 연구하기 위한 기초적이면서 전문적인 작업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다. 고전의 내용을 충실히 이해하여 주석 작업을 통한 연구를 계속하는 것이 근세 국학의 방법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는 불교나 유교의 이론을 통한 고전의 이해와는 거리를 둔 것이라 할 수 있다. 근세 국학에서 말하는 고전이란 기기신화를 가리키며, 『고지키』가 중심이 된 신화주석은 신화에 대한 종래의 인식을 크게 변화시켰다. 주석을 통하여 고대의 어휘를 이해하고 신화 내용을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신화를 그 시대에 맞게 재창조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근세기의 신화주석은 기기신화의 위상 변화와 근세신화 창조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큰 의의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석 작업과 주석서의 집필이 요구되었던 근세기의 시대적 배경과 맞물려 일본의 신화는 연구 대상으로서 큰 가치를 지니게 되었고, 이러한 과정을 거쳐 『고지키』는 현대에 이르러 일본문학사의 흐름 속에서 최고(最古)의 문학작품으로서의 위상을 가질 수 있었다. The annotation is a description of the meaning of a vocabulary that is not understood and is written in a clear and easy way. The annotation is a collection of the results of research on the unknown facts of the past, and the annotation work is part of the basic and professional work for studying classical understanding methods. It can be said that it is a method of modern Japanese studies to continue the study through commentary work faithfully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the classics, and it can be said that it is distant from the classical understanding through the theory of Buddhism or Confucianism. The classics mentioned in the modern age Kokugaku indicate the myth of Kojiki and Nihonshoki, and the myth about “Kojiki” greatly changed the conventional perception of myth. Through the annotation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ancient vocabulary and to grasp the contents of myths, so that myths can be recreated according to the times. The myth annotation of the modern age can be regarded as having significance in two aspects of the phase change of the myth of Kojiki and Nihonshoki and creation of the modern myth. Along with the background of the modern age in which commentary work and commentary writing were required, Japanese myth was of great value as a research subject, and through this process, “Kojiki” was able to have a status as the oldest literary work in the flow of Japanese literary history in modern times.

      • KCI우수등재

        주석 내용의 변동과 주식시장 : 주석 내용의 변동이 자기자본비용과 주식거래량 및 이익반응계수에 미치는 영향

        모예린,서윤석 한국회계학회 2019 회계학연구 Vol.4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anges in footnotes by managers, which ma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isclosure of corporate financial status. K-IFRS, which is principle-based accounting, has become more diverse in terms of accounting choices that managers can choose at a discretionary level, due to the expansion of discretion over accounting choices and the strengthening of fair value valuation. To disclose supplementary explanations on financial statements, the importance of footnotes has increased after the introduction of IFRS. Since the content of the footnotes reflects the economic reality of the company, the change in the content of the footnotes can serve to leak internal information to the outside, therefore changes in contents of footnotes can contribute to lowering information asymmetry levels. Moreover, the change in the discretionary accounting method by the manage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hange of the financial statement annotation, so the annotation and management discretion exercise are closely related. Therefore, this study introduces a new index measuring disclosure of corporate financial status and managerial discretion by measuring the change of footnotes using cosine similarity with text mining technique. K-IFRS is principle based accounting standards. This means that rather than presenting detailed accounting methods, the accounting officer should be able to reasonably determine the accounting method based on the economic substance. As a result of adopting new accounting standards, the proportion of footnotes in the financial statements has increased in order to disclose explanations of the selectable accounting treatments. Since the accounting principles based on principles have been adopted, the supplementary explanation on the applied financial statements is produced in the footnotes, such as various selective accounting and estimation, management judgment, and new comments (presentation of financial instruments by category, fair value disclosure, capital management, risk management, etc.). Therefore, the amount of supplementary disclosure in footnotes increased significantly. Despite the fact that the footnotes include significant accounting treatments, less study has conducted on the content of footnotes, hence in this study, I analyze how the information change in footnotes disclosure by the manager effects the change of belief and amount of information in market participants using the level of information asymmetric. 본 연구의 목적은 주석 작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영자에 의한 주석공시내용의 변경이 어떠한 정보 효과를 갖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orean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은 원칙중심의 회계기준으로경영자가 재량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회계처리가 보다 다양해졌으며, 회계기준의 급격한변화와 복잡성의 증가 및 경영자의 회계선택에 대한 재량권 확장과 공정가치 평가 강화 등으로 인해 재무제표 본문에서 제공되는 수치 이외에 주석정보가 대량으로 제공됨에 따라주석 정보가 중요해졌다. 기업의 경제적 실질의 변경은 주석 내용의 변화를 야기하므로 기업 외부에 있는 정보이용자들은 주석 내용의 변화를 통해 기업의 경영 상태의 변화에 대한정보 획득을 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정보비대칭성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기법을 이용하여 코사인 유사도(cosine similarity)로 측정한 재무제표 주석 내용의 변화를 계량화함으로써 정보비대칭 수준을 낮추는 데 기여하는 기업 공시 수단과 경영자 재량권을 측정하는 새로운 지표를 소개하고자한다. 분석 결과, 코사인 유사도를 이용하여 측정한 주석 내용의 변화가 정보비대칭 수준을나타내는 기업의 자기자본비용과 주식거래량, 그리고 이익반응계수에 정보비대칭 수준을낮추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주석 작성에 중대한 영향을미칠 수 있는 경영자에 의한 주석공시 내용의 변경이 어떠한 정보 효과를 갖는지를 분석함으로써 비재무 데이터에 해당하는 주석 정보인 텍스트를 분석 대상으로 삼아 분석대상의연구범위를 넓혔다는 데 의의를 지닌다.

      • 주석 유형에 따른 한국어 연어의 우연적 학습 효과 연구

        유선향 ( Yoo Seon Hyang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9 한국어와 문화 Vol.26 No.-

        본 연구는 입력 수정의 일종인 어휘 주석이 베트남어권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우연적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어 주석, 단어 주석, 무주석으로 어휘 주석의 유형을 달리하여 제공하였을 때 연어의 학습 효과와 기억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 국적의 45명의 실험 참가자를 대상으로 세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A 집단(15명)에는 연어 주석이 달린 어휘 텍스트를 제공하고, B 집단(15명)에는 단어 주석이 달리 읽기 텍스트를 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 통제 집단으로 선정된 C 집단(15명)에는 아무런 주석도 없는 읽기 텍스트를 제공하였다. 세 집단에 실험 연어 목록이 포함된 읽기 텍스트를 읽게 하고 1차 사후 어휘 평가와 2차 사후 어휘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주석을 제공받은 A 집단과 B 집단의 실험 참가자들에게는 주석의 활용도와 효과 등을 알아보기 위해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어 주석은 우연적 연어 학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연어주석 텍스트를 제공받은 집단과 단어 주석 텍스트를 제공받은 집단, 무주석 텍스트를 제공받은 집단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연어 주석 텍스트를 제공받은 집단이 연어 학습 결과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단어 주석과 무주석 집단 순으로 점수가 높았다. 이는 어휘 주석의 효과를 입증하는 것이며 연어 학습에게 덩어리로 어휘를 제시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어휘 학습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연어 주석은 우연적 연어 학습의 기억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발휘하였다. 연어 주석을 제공받은 집단이 2차 사후 어휘 평가에서도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하였다. 그리고 단어 주석 집단과 통제 집단과도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연어 주석 집단이 함께 덩어리로 사용되는 어휘를 묶어서 제공함으로써 입력을 강화하고 기억을 촉진시켰다고 보인다. 어휘주석의 역할인 명시적 의미 제시를 통해 의미를 강화하고 함께 사용되는 표현은 기억력을 높이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설문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휘 주석의 기여도에 대해서는 대다수의 학습자들은 읽기 텍스트의 의미 파악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어휘 주석의 활용도에 대해서는 읽기 과제를 수행할 때 어휘 주석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는 응답이 많아, 주석의 의미를 확인하고 텍스트를 읽어 내려는 상호작용이 활발하였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평소 학습자의 어휘 주석의 활용 경험에 대한 질문에는 대체로 어휘 주석을 경험한 바가 없다고 응답하였으며, 어휘 주석을 경험한 학습자중에서는 거의가 베트남어(모국어) 주석을 경험하였다고 응답하였다. 마지막으로, 향후 어휘 주석의 활용도에 대한 질문에는 86%가 앞으로 어휘 주석이 달린 텍스트를 선택하겠다고 응답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학습자들은 어휘 주석에 대한 정의적 태도가 긍정적이고, 읽기 과제를 수행할 때 연어 주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고 유용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앞으로도 적극적으로 어휘 주석을 학습에 활용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였다. 교사들도 읽기 텍스트를 개작할 때 어휘 의미를 제공하기 위해 연어 주석 및 다양한 형태의 어휘 주석을 제공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연구 성과에도 불구하고, 본 실험 연구에서는 연구 도구 및 절차상의 문제로 몇 가지 한계를 노출하였다. 실험 참여자가 베트남어를 모국어로 한 학습자에 한정되어 있으며, 그 수 또한 한국어 학습자 전체로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적절치 않다. 우연적 어휘 학습은 점진적으로 어휘를 학습해 나가는 것이므로 장기적인 관찰과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앞으로 다양한 유형의 어휘 주석을 이용한 실험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또한 교육 현장에서 본 연구의 성과가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examines effect of gloss, a kind of input modification, on Korean language learning Vietnamese at an advanced level.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learning effect and memory effect of collocation when a different type of gloss, for example, collocation glosses or when vocabulary glosses, is given or when no glosses are provided.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as follows. First, collocation glo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cidental learning. Compared to test results of Group B and Group C, Group A given reading texts with collocation glosses scored the highest on the collocation learning test followed by Group B and Group C. Test results proves the effect of glosses on language leaners. That is, when it comes to collocation learning, providing chunks is a more effective leaning method. Next, collocation glosses benefited memory effect of incidental collocation learning. The effect was proved by results of Group B’s the second vocabulary test. The group received highest scores. Score differences between Group B and the control group (Group C) were also statistically meaningful. It could assume that providing chunks or groups of words promoted input and memory. Chunks help understand- ing of learners by providing explicit meaning, the main role of collocation glosses. I hope there would be more experiments using numerous types of glosses conducted in the future. In addition, those results above mentioned would be used by teachers.

      • KCI등재

        법인세비용 주석사항의 분석 연구

        김우영 한국세무학회 2017 세무학 연구 Vol.34 No.4

        This study analyzes the footnotes on corporation tax expense attached to the audit report to improve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footnotes, and suggests how to obtain the necessary variables for the tax study from the footnotes. Temporary differences and permanent differences, taxable income, effective tax rate, tax credit and deferred tax asset valuation allowance are important variables in tax studies, but these variables can only be extracted through footnotes on corporation tax expense. First, I summarize the accounting standards for the footnotes on corporation tax expense introduced from 1999 by transition, and interpret the meaning of footnotes on corporation tax expense for the case compan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footnotes by presenting the linkage between the footnotes of the corporate tax and the financial statements by period of change of the accounting standards. Specifically, I examined how the corporate tax expense was presented in the financial statements through deferred corporate taxes journalizing, and tried to improve understanding through case analysis of the corporate tax footnotes that are difficult to understand. Second, I extracted the information related to effective tax rate, BTD and tax credit, and deferred tax asset provision using the 2011~2015 footnotes on the corporate tax of case compan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y to explain the footnotes of corporate tax expense in detail and to use the footnotes of tax expense to analyze the temporary difference and permanent difference, taxable income, effective tax rate, tax credit information and deferred tax asset valuation allowance and how these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To verify the usefulness of the tax variables of footnotes, the tax variables extracted from the footnotes are assigned to the taxation calculation structure and the corporate tax burden and corporate tax expense for 2015 and 2014 are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the corporate tax burden of the footnotes and the corporate tax expense in the statement of comprehensive incom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better understanding of tax expense footnotes and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tax studies that use tax variables extracted from footnotes. 본 연구는 감사보고서에 첨부된 법인세비용 주석을 분석하여 주석사항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를 높이고, 주석사항에서 세무연구에 필요한 변수들을 어떻게 구할 수 있는지를 제시하는 것이다. 일시적차이와 영구적차이, 과세소득, 유효세율, 세액공제 및 이연법인세자산평가충당금은 세무연구에서 중요한 변수이나, 이러한 변수는 법인세비용 주석사항을 통해서만 추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첫째는 1999년부터 도입된 법인세회계의 주석에 대한 기업회계기준을 변천별로 요약하고, 변천별 사례기업의 법인세비용 주석 표시의 의미를 해석하였다. 변천 기간별로 법인세주석사항과 재무제표 간의 연계성을 제시하여 주석사항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법인세비용 주석 내용을 이연법인세 분개를 통하여 재무제표에 어떻게 표시되었는지 살펴보고, 이해가 어려운 법인세주석에 대해서는 사례분석을 통해 이해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둘째로는 사례기업의 2011부터 2015년 재무제표 주석을 이용하여 유효세율, BTD 및 세액공제, 이연법인세자산충당금과 관련한 정보를 추출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법인세비용 주석사항에 대한 세부적인 설명을 시도하려고 하였고, 법인세비용 주석사항을 이용하여 세무연구에 필요한 일시적차이와 영구적차이, 과세소득, 유효세율, 세액공제 정보 및 이연법인세자산평가충당금이 어떻게 추출될 수 있는 가를 제시하였다. 주석에서 추출한 세무변수를 법인세 계산구조에 대입하여 2015년과 2014년의 법인세부담액과 법인세비용을 계산하고, 이를 주석의 법인세부담액과 포괄손익계산서의 법인세비용과 비교하여 본 연구에서 주석을 이용하여 추출한 세무변수의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법인세비용 주석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법인세비용 주석에서 추출한 세무변수를 이용하는 세무연구에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필사본 「李白七言」의 注釋과 諺解 양상

        한계호 열상고전연구회 2006 열상고전연구 Vol.24 No.-

        본 논문에서는 필사본 「李白七言」의 주석과 언해에 대한 校勘을 진행하여 조선시대 이백에 대한 구체적인 수용실상을 밝혔다. 필사본 「李白七言」은 칠언시와 악부시에 대한 주석에서 人名, 地名, 典故 및 난해한 字意에 관한 해석에서 약간의 오류가 있다. 그러나 시제에 대한 정확한 해석, 독특한 감상을 개성적인 용어로서 개괄한 면에서는 매우 가치가 있다. <고풍> 59首에 대한 注釋은 여러 가지 주석들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종합한 기초 상에서 경전, 당시집, 시화 등을 참조하여 상세한 주석을 달았다. 필사본 「李白七言」의 언해는 시의 문체적 특성을 살리기 위하여 함축된 시어로서 언해를 진행하면서 원문의 의미에 대한 상세한 해석은 각주와 주석 등으로 처리하였다. 이백시의 구법이나 특정된 글자의 鍛鍊을 배우려는 목적에서 축자역을 위주로 하였고 시적인 특성을 살리려는 노력으로 언해에서 원문의 한자를 그대로 옮기는 방법과 감탄문형식을 사용하였다. 총적으로 필사본 「李白七言」은 주석과 언해에서 높은 수준을 보여주어 가치가 높은 연구 자료라 할 수 있다. 本文試圖通過對手抄本《李白七言》的注釋和諺解進行詳細校勘,以期究明朝鮮時代對李白的具體受容情況。手抄本《李白七言》在七言詩和樂府詩的注釋中,在一些人名、地名、典故以及字意的解釋方面存在謬誤,但在詩題的准確解釋以及用個性化的鑑賞用語槪括詩意方面?有?高的價値. <古風> 59首的注釋是在對多種注釋進行縝密分析和綜合?括的基礎上,參照各種經典、唐詩集、詩話等資料進行了更爲詳細的注釋。手抄本《李白七言》爲了體現詩的文體特點,用含蓄凝煉的詩語來進行諺解; 對於原文意義的准確把握,則用注釋來處理; 出於學習李白詩的句法和鍊字的目的,諺解時采用逐字飜譯的方法;爲了體現詩歌的特性諺解時常采用感歎文的形式。總之,手抄本《李白七言》在注釋和諺解上均顯示出較高的水平,是一部?有價値的硏究資料。

      • KCI등재

        재무제표 주석은 서로 얼마나 유사한가

        현지원 ( Jiwon Hyeon ),이준일 ( Joonil Lee ),조현권 ( Hyunkwon Cho ) 한국회계학회 2022 회계저널 Vol.31 No.5

        IFRS 도입 이후 재무제표에서 주석이 차지하는 비중은 그 중요성이나 분량 측면에서 크게 증가하였다. 하지만 주석 작성 실태를 조사한 보고서는 주석이 기업 고유의 유용한 정보를 담지 못하고, 금융감독원이나 감사인이 제공하는 모범사례 및 예시를 참고하여 기계적으로 작성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이재경과 한봉희 2018). 본 연구는 문장 간 코사인 유사도라는 측정치를 이용하여, 국내 기업의 주석 작성실태를 상장기업 전체로 확장하여 조사하였다. 기업 간 주석의 유사도를 분석한 횡단면 유사도 분석 결과, 임의의 기업-연도 관측치를 선택했을 때 각각의 주석 문장들과 매우 유사한 문장이 평균적으로 비교대상 기업 11.8%의 주석에, 완전히 동일한 주석문장은 비교 기업의 3.3%에 나타났다. 전년도 주석과의 유사도를 측정했을 때에는, 전년도 주석 문장과 대부분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로 동종 산업 내 기업 간 횡단면 유사도가 전체 기업을 비교대상으로 한 횡단면 유사도보다 높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주석 문장간 코사인 유사도를 이용하여, 기업의 주석들이 다른 기업 주석들이나, 자기자신의 전년도 주석과 비교하여 얼마나 유사하게 작성되고 있는지 측정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정량적인 측정치를 사용하여 상장기업 전체 기업의 주석 작성실태를 유사도 측면에서 살펴보고, 산업이 주석에 미치는 영향을 계량화하여 보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에 더해 추후 재무제표 주석의 발전방향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The adoption of IFRS has increased the length and importance of the financial statement notes. However, the report which investigated the status of notes of 20 listed companies showed that companies fail to include useful information in their notes and heavily refer to the note templates provided by auditors or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Lee and Han 2018). This study expands the investigation of notes preparation status to all listed companies using an intuitive measure derived from the cosine similarity method. We examine the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similarities of financial statement note sentences for all companies. The cross-sectional similarity measures how similar the sentences in note are across companies. First, we measure the cosine similarity of each sentence combination between the sentences in the focal firm’s note with all the sentences in the other firm’s financial statement note by year. If the maximum cosine similarity of the sentence pair is larger than 0.886 (less than cosine 30˚), we define the focal firm’s sentence has a ‘significantly similar sentence’ in other firms. Second, for each focal firm’s sentence, we count the number of other firms having significantly similar sentence with the focal firm’s sentence in the note. The number shows how many firms share the significantly similar sentence with each specific note sentence of the focal firm. Third, for each focal firm’s sentence, we compute the ratio of firms containing similar sentence through dividing the number of prior stage by the total number of comparing firms. Forth, to measure firm level note similarity, the ratios of each sentence are averaged by year. Our analysis reports that any sentence in financial statement notes in general has ‘significantly similar sentence (the same sentence)’ in 11.8% (3.3%) of other companies notes. The longitudinal similarity measures the similarity of note sentences with sentences in the prior year’s notes. It differs from the cross-sectional similarity that the note sentences are compared with its own note sentences of the previous year. Each note sentence is compared with all the sentences in the previous year’s note. Then, we measure the maximum cosine similarity between the sentences. The larger this value is, the more similar the sentence is to the company’s previous year’s note. Since this value is for each sentence, the longitudinal similarity of the firm is measured as the average maximum cosine similarity of each sentence. The mean value of the longitudinal cosine similarity by firm-year is 0.8448 and the median is 0.8881. The longitudinal similarity shows that most of notes’ sentences are similar to the notes’ sentences in the prior year’s financial statements. The result confirms that firms prepare the note with reference to the previous year. Additionally, we expect that the cross-sectional similarity would be higher for the firms in the same industry because the businesses are similar. The cross-sectional similarity within the same industry is higher than that of all companies as expected, but the difference is very marginal.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prior literature by suggesting how to measure the note similarity more objectively. The methodology can contribute empirical studies which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may affect note preparation. The limitation is that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note are not examined because the cosine similarity mechanically measures the similarity of the sentences.

      • KCI등재

        중국 주석 전통 속에서 본 천태 오중현의(五重玄義)

        김주경(KIM, Chu-kyung) 불교학연구회 2014 불교학연구 Vol.41 No.-

        중국에서 불교가 전래되어 삼장(三藏)으로 대표되는 불교 문헌이 중국화 되고 수용되는 과정은 경전의 번역[譯經], 불교문헌의 교육과 이를 통한 포교[講經], 중국 불교인들에 의해 이루어진 경전의 주석[釋經]의 형태로 접근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중국 불교 경전 해석의 주석서들은 반드시 해당 경문의 해제 역할을 하는 경제석(經題釋) 부분과 경문 내용 자체를 주석하는 수문석(隨文釋)부분을 기본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경제석 부분은, 다루려 하는 불교문헌의 명칭을 해석한다는 소박한 이름[經題釋]임에도 불구하고, 단순한 해제를 넘어서 그 문헌을 전반적으로 어떻게 분석하고 이해해야 하는지에 대한 심오한 고찰[宗要]이 담겨 있다. 이렇듯 경제석 부분과 수문석 부분의 두 측면으로 고찰되던 중국불교 주석문헌은 천태 지의에 이르러 도약하게 되었다. 지의는 중국 주석 전통을 발전적으로 수용하였는데, 그가 주석하는 불교문헌도 반드시 경제석 부분[玄義]과 수문석 부분[文句, 疏]으로 다루되 둘을 분리시켜 내용상 일종의 개론서와 해석서로 구성하였다. 특히 경제석 부분은, 경전을 주석할 때 반드시 분석해야 할 다섯 가지 범주인 명․체․종․용․교를 정립하고 이를 오중현의(五重玄義)라 불렀다. 지의에 의해 정비된 다섯 범주는 이후의 한역 경전 해석법의 중요한 틀로 자리 잡게 되어 후대의 주석가들이 적극 수용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불교 주석전통, 특히 과판 주석서들에 대한 탐색으로 과판주석서들에 관통하는 ‘오중현의’를 주목하는 데서 시작되었다. 천태 교학상 오중현의의 본의(本意)를 본격적으로 따져보자는 것이 아니다. 중국 주석서들의 한 면을 차지하는 경제석[현의․현론․종요 등]들에 관통하는 일관된 특성을 알아보고자 오중현의를 다룬 것이다. 후대 과문과 관련된 주석서[科判註釋]들을 보면, 경제석 부분을 자신만의 범주와 방식으로 자유롭게 쓰는 학자들도 있지만, 천태가와 화엄가의 주석전통을 따른 전적들이 상대적으로 많다. 그 중에서도 천태의 오중현의는 경전 분량과 상관없이 항상 이 구성 요건 그대로 적용될 만큼 범용성(汎用性)이 크다. 아울러 오중현의가 종파를 뛰어넘어 보편성을 갖고 있는 불교해석학의 틀이 되어 가는 과정이 바로 중국적 주석 전통의 한 부분이 확립되는 과정이다. After Buddhism came to China for the first time and the Buddhist canon (Tripitaka, 三藏) was subsequently translated into Chinese, a tradition was soon established that one should begin any scripture with a simple bibliographical introduction 經題釋, followed by the exegetical commentary on the scripture itself 隨文釋. Such a style of analyzing Buddhist scriptures results from adapting Indian Buddhist scriptures to a Chinese audience during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Despite the seemingly modest name of interpreting a scripture’s title 經題釋, this bibliographical introduction contains an in-depth analysis of how to interpret and understand the whole scripture, going beyond a simple bibliographical note. At the time of Tiantai 天台 Zhiyi (智顗, 538-597), there was a great transformation in commentaries on Chinese Buddhism scriptures. Following the traditional method, Zhiyi’s commentaries first contained a comprehensive analysis 玄義 of the scripture in question, followed by a line-by-line interpretation 文句. However Zhiyi separated these two components, so that they functioned in essence as an introductory overview of the exegete’s thesis, followed by the detailed exegesis itself. He also developed the five major categories that must be included in a comprehensive analysis 玄義, and so established the “five-sectioned interpretation” or “five chapters.” This “five-sectioned interpretation” consists of Shiming 釋名, Bianti 辨體, Mingzong 明宗, Lunyong 論用, and Panjiao 判敎. These are “differentiating substance”, “disclosing essence”, “discussing function,” and “classifying scriptures.”These five categories became an important methodological framework for analyzing Buddhist texts for numerous successive exegetes. This paper focuses on Zhiyi’s “five-sectioned interpretation” and the patterns found in common in the introductory bibliographical analyses 經題釋 of various Chinese commentaries in respect to the "five chapters."I examined commentaries in CBETA and analyzed their literary structure by studying the textual diagram and indexed analyses of Buddhist Textual Organization (科文, Gwamun). I was able to clearly observe that the principle of “five-sectioned interpretation” was widely adopted and used in commentaries in the following generations after Zhiyi. That the principle of “five-sectioned interpretation” is employed in every scripture, big or small, or even regardless of its scope attests to its important generality. This study therefore demonstrated the significant contributions made by Zhiyi in the Chinese Buddhist commentarial tradition and highlighted his scholarly brilliance as an exegete.

      • KCI등재

        한국고전번역원의 주석DB 활용 및 개선방안 연구

        서정화(Suh, Jung-hwa) 한국고전번역원 2015 民族文化 Vol.45 No.-

        본고는 한국고전번역원이 구축한 한국고전종합DB의 “고전번역서 각주정보검색(이하 주석DB)”의 활용 및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주석DB를 선택한 이유는, 187종 1,528책에 수록된 499,151건의 주석이 구축되어 있고 주석의 질적수준이 높기 때문이다. 주석 없는 번역은 그야말로 최상의 번역이지만, 고전이나 전문 영역에서 주석 없이 번역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게다가 주석 작업은 녹록치 않아서 며칠을 고심하며 찾아도 해결하지 못하는 주석이 비일비재하다. 주석DB는 사전에서 찾을 수 없는 전고를 해결하기도 하는데, 이것은 한국고전번역원에서 간행한 ‘좋은 번역’에는 ‘좋은 주석’이 달려 있기 때문이며, 결과적으로 ‘좋은 주석’은 ‘좋은 번역’을 재창출하는 선순환 구조가 된다. 본고는 ‘字典 및 類書로서 활용’과 ‘諸子書 학습교재 구성’의 측면에서 주석DB의 활용을 살펴보았고, ‘조각난 정보의 표준안 마련’, ‘인물정보의 표준안 마련’, ‘하이라이팅 추가 및 검색 방식 개선’의 측면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필자의 역량 부족으로 잘못 제기한 부분도 있겠지만, 주석DB의 활용방안과 개선방안을 실질적이고 구체적으로 다루는 계기를 마련하는 데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stablish a plan to improve the 「DB for Footnotes of Translated Classics」 of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This DB contains 499,151 entries collected from 187 titles (1,528 volumes) of books and it is of high quality. Therefore I chose this DB for this study. It is true that a translation without footnotes is the best, but it is nearly impossible to translate without any footnotes in the field of classics or specialized works. Furthermore, annotating work is too hard to do in a short time. In this situation, 「DB for Footnotes」 is the best alternative to a dictionary. That is because ‘good translation’ has ‘good annotation’, and ‘good annotation’ brings another ‘good translation’. It is a kind of virtuous circle. In this study, I examined utilization of 「DB for Footnotes」 from various angles. I suggested several plans for improvement, which are called ‘setting standards for fine information’, ‘setting standards for biographic information’, and ‘adding highlights and improving search methods’. I hope this work contributes a first step toward improving the 「DB for Footnotes of Translated Class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