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획논문 : 이국합전군기를 둘러싸고: < 살류군기(薩琉軍記) >와 < 조선군기(朝鮮軍記) >

        메구로마사시 ( Meguro Masashi ) 연민학회 2015 연민학지 Vol.24 No.-

        근세 중기 이후 다수의 이국합전군기가 생산되고 향수되어 왔다. 이 군기들이 묘사한 이야기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선 침략으로부터 시마즈씨의 류큐 침공, 도쿠가와 막부와 기리시탄(キリシタン)과의 전쟁에 이르기까지 일본 내의 소란으로 부터 대외 전쟁으로 변용해 가는 ``역사``를 묘사하고 있다. 비슷한 시기에 제작·향수되어, 근세 일본에 있어서의 환일본해(環日本海, 동해)를 둘러싼 이국합전담을 형성해 나갔던 것이다. 이국합전군기는 에도시대에 널리 전파된, 이국과의 합전을 알기 위한 ``역사``이면서, 더 나아가서는 당시 대외 시책이 어떻게 이해되고 향수되어왔는가를 알기 위해 빠트려서는 안 되는 것이다. < 살류군기(薩琉軍記) >는 역사서로서 읽히고 향수되어 왔다. 이것은 에도 중기 대외 정세가 시시각각 변화해가는 시대 상황에 응한 것이다. 이 시대 상황이 침략 언설의 유포와도 연결되어 있고, 근세 중기 무렵부터 이국을 의식한 언설이 움터가며, 막부 말기에 다시 이러한 언설이 산출된다. 현재 동아시아에 있어서 일본의 시각이 질문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텍스트는 동아시아 문학권으로부터 다시 읽혀야만 하는 작품군이며, 기존 연구의 틀을 해체하기 위해서도 더욱 종합적인 연구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 살류군기 >·< 조선군기 >에 묘사된 류큐 침략, 조선 침략 이외의 역사인식도 또한 다양하게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고대부터 근대까지 전쟁에 관한 언설을 종합적·학제적으로 살피지 않아서는 안 된다. ``군기(軍記)``·``군서(軍書)`` 등의 범주 속에서는 이미 설명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장르나 시대구분을 넘은 역사 서술로서 통시대사적인 연구 대상을 다룰 필요성이 있다. 이국합전군기는 다양한 역사서술을 고찰하는 것이므로 매우 중요하다. Many accounts of joint foreign wars were produced and enjoyed after the medieval period. The narratives described in these war accounts start from the Toyotomi Hideoyoshi`s Invasion of Choson and the Satsuma Clan`s invasion of Ryukyu to the war between Kirishitans (Christian) and Tokugawa Bakufu, describing the "history" of internal turmoil in Japan changing to that of foreign wars. These were produced and enjoyed in a similar period, modern Japan, where a discourse on the foreign joint wars in the Sea of Japan (Yellow Sea) was created. Accounts of joint foreign wars were widely circulated in the Edo period as ``histories`` for knowing foreign countries and joint wars, and therefore should not be neglected for knowing how foreign policy at the time was understood. Satsu-Ryu Gunki (Account of the Satsuma-Ryukyu War) was read and enjoyed as a historical text. This was in response to changing times in the mid-Edo period`s foreign policy situation. The situation of this period was linked to the spread of the rhetoric of invasion with the growth of awareness of foreign countries since the end of the mid-modern period, and this rhetoric was again produced in the late bakufu period. Currently in East Asia, as the Japanese perspective is being questioned, these texts need to be read again as a corpus of the East Asian literary sphere, and can be said to demand more comprehensive studies in order to break the existing paradigm in the extant literature. Aside from the invasions of Ryukyu and Choson described in Satsu-Ryu Gunki and Chosen Gunki (Account of the Choson War), since historical perception is changing in diverse ways, rhetoric on war from the ancient to the modern period must be examined in comprehensive and multidisciplinary methods. They cannot be explained within the category of military accounts and military writings. There is a need to treat them as diachronic histories, historiographies that transcend genre and time period divisions. Investigating accounts of foreign joint wars as diverse historiographies is very important.

      • KCI등재

        조선 중기 불랑기포(佛狼機砲)의 견양(見樣)

        이수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21 한국전통문화연구 Vol.28 No.-

        조선 군기시(軍器寺)에서는 견본용 무기를 ‘견양(見樣)’이라 하여 미리 견본을 만든 뒤에 이를 기준 삼아 군사기물을 제작하였다. 완형의 불랑기자포(佛狼機子砲)는 견양의 목적으로 지속적으로 보관된 것으로 보인다. 1563년 제작된 불랑기자포 견양은 화약무기 견양의 실례라 할 수 있다. 중국 명청대 『기효신서(紀效新書)』, 『태평승산전서(治平勝算全書)』를 비롯한 병서에 기록된 불랑기도는 조선에서 군사기물, 그중에서도 불랑기의 제작기준인 견양적 성격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화기도감의궤(火器都監儀軌)』에는 불랑기동철(佛狼機銅鐵)이라 기록하 며 불랑기를 제작할 때 필요한 재료와 제작방법을 명시하고 있어 흥미롭다. 이것은 불랑기포(佛狼機砲)를 도설로 표현한 평면형 도화체제 견양과 불랑기 치수를 명시한 기록형 견양으로서 불랑기포 제작에 중요한 기준이 되었다. 또한 군사기물 중에 엄심갑 견양은 이시언이 견양의 제작자였으며 낭청과 군기시 관원과 함께 견양을 제작한 제작주체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국가 통치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국방관련 물자 또한 견양에 준거하여 무기를 비롯한 군사기물이 제작되었다. 군사기물의 견양은 국가 통치의 중요한 기술인 무기제조의 제작기준이 되었다. 견양은 기술문화적 측면에서 무형유산의 제작과정에서 시대의 이념이 함유된 제작 기준의 역할을 지니므로 무형유산에 포함되는 중요한 핵심적 요소라고 판단된다. 동아시아 전반 무형유산의 제작규범이자 기준인 견양을 공예 재질별, 기술문화적인 연구방법론으로 후속연구를 지속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의의는 화약무기의 제작체계를 견양이라는 관점에서 국가의 수공업 제작 시스템을 밝혔다는 데 의미가 있다. Gungi-si(軍器寺), which was the source of the production and supply of military equipment according to the military command system of the Choson Dynasty, was the government agency in charge of the manufacture of weapons, etc. In accordance with the production standards, military equipment standardized in style and form was pro- duced and su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Gyeon-yang(見樣). The style and shape characteristics of crafts paid as in-kind taxes in various provinces of Choson were stand- ardized because the handicraft production system was operated based on a unified sam- ple sent down from the central government to each province. The Folangji (佛郞機, Franks) Gyeon-yang, produced in 1563, is an example of a weapon.

      • KCI등재

        『 조선군기대전 』 의 임진왜란 다시 쓰기와 『 징비록 』

        박창기 한국일본학회 2001 日本學報 Vol.47 No.-

        일본은 오랜 전국시대를 거치면서 전란과 관련된 군기작품을 많이 생산하였다. 임진왜란에 관한 군기작품도 이런 맥락에서 많이 만들어졌다. 초기의 전란참가자들의 군기는 차츰 주자학자들에 의해 종합화되고, 대의명분에 따른 전쟁의 의미가 덧붙여졌다. 17세기 말『징비록』이 일본에 전해지자,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조선측 내용이 비로소 일본 군기작품에 받아들여지게 되었다.『조선군기대전』은『징비록』의 내용을 받아들인 최초의 작품이다. 『조선군기대전』에는 주자학의 명분론을 일본의 입장에서 이해한 `일본의식`을 바탕으로 해서『징비록』의 내용이 받아들여지고 있다. 천황을 정점에 두고, 침략 명분이 새로이 만들어 붙여진다. 침략전쟁은 진구(神功)황후의 삼한정벌설과 조선의 무례함에 대한 응징으로 옹호된다. 뿐만 아니라『징비록』의 자기비판적이고 반성적인 서술은 더욱 과장되어 나타난다. 『조선군기대전』에는『징비록』의 사실내용은 대부분 받아들여졌으나, 유교적 근본이념은 전혀 이해되지 않았다. 오랫동안 유교적 평화주의에 익숙해있던 조선이 일본의 무도한 침략을 맞이하여 각지에서 목숨을 내걸고 일본군에 대항한 의병들의 활동이나, 전쟁 내내 민심의 동향을 예의 주시했던 유교적 민본사상은 전혀 이해되지 않았다.

      • 근세 일본 임진왜란 관련 작품 속 해전ㆍ조선수군ㆍ수군전술의 변화

        김준배(Kim Joon bae)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6 이순신연구논총 Vol.- No.26

        이 글은 근세 일본의 몇 가지 문헌을 통해 임진왜란 직후부터 근대 사학이 성립하기 이전까지 일본 내에서 임진왜란 해전을 어떻게 기록해 왔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글이다. 이 글에서는 근세 일본에서 임진왜란 해전 전체 양상과 그 안에 보이는 조선수군의 이미지, 조선수군의 전술 등을 어떻게 그려왔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근세 일본인들이 기억하고 있었던 임진왜란 해전은 어떠했는가를 엿볼 수 있을 것이다. 전쟁에 참가했던 참전무사들의 기록에서 그들은 비교적 정확하게 임진왜란 해전과 조선수군을 기록하고 있었으나, 후대로 갈수록 임진왜란 해전의 전체상과 조선수군에 대한 기술은 왜곡되어 갔다. 『태합기(太閤記)』의 작자가 작가적 상상력으로 그린 칠천량해전 기사ㆍ조선수군의 이미지와, 『조선정벌기(朝鮮征伐記)』의 작자가 작가적 상상력을 발휘한 ‘조선수군의 등선육박전술’ 기사 등은 후대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이 영향은 근대사학이 등장하기 전까지 일본인들이 임진왜란 해전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을 방해했다. 이러한 변화가 발생한 것은 연결고리 역할을 했던 문헌들이 임진왜란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던 작자들에 의해 기록되었기 때문이었고, 그러한 문헌들이 후대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왜곡은 선행문헌보다 후대의 문헌이 더욱 다양한 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음에도 해결되지 않았다. After the Imjin War had ended, there were many literatures published in Japan about the war. Only after one century after the end of the war, Japan had published ‘the History of the Imjin War’ by collecting many historical records. In order to understand Japan’s current recognition about the Imjin war, it is critical to research about how did Japanese describe the naval warfare where they had to experience consecutive losses over the land battles where they were overwhelming.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paper is to contemplate on how naval battles on the Imjin War is portrayed in Japanese modern Publication collections. In this study, we can find why and how the naval battles, images of Korean navy and tactics of Korean navy had been changed a lot on acceptance process in Japanese historical Novels about the Imjin war. The above process and aspects were closely considered in this research paper. After the Imjin War had ended, there were many literatures published in Japan about the war. Only after one century after the end of the war, Japan had published ‘the History of the Imjin War’ by collecting many historical records. In order to understand Japan’s current recognition about the Imjin war, it is critical to research about how did Japanese describe the naval warfare where they had to experience consecutive losses over the land battles where they were overwhelming.

      • KCI등재

        일본 조선군기물(朝鮮軍記物)에 그려진 칠천량 해전(漆川梁海戰) -근세 초기 작품을 중심으로-

        金埈培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016 일본언어문화 Vol.36 No.-

        During the Imjin War, the war between Chosun Dynasty and Japan that broke out in 1592, Japan had experienced victories after victories in land but could not avoid consecutive losses to Chosun fleet lead by the navy hero Admiral Yi Sun-Shin. During the 7 year span of the war, the only victory that the Japanese Navy had enjoyed was the naval battle of Chilcheonryang(1597). After the Imjin War had ended, there were many literatures published in Japan about the war. Only after one century after the end of the war, Japan had published ‘the History of the Imjin War’ by collecting many historical records. In order to understand Japan’s current recognition about the Imjin war, it is critical to research about how did Japanese describe the naval warfare where they had to experience consecutive losses over the land battles where they were overwhelming.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paper is to contemplate on how naval battles on the Imjin War is portrayed in Japanese modern Publication collections. In this study, we can find why and how the naval battle of Chilcheonryang had been changed a lot on acceptance process in Japanese historical Novels about the Imjin war. The above process and aspects were closely considered in this research paper.

      • KCI등재

        太閤記物 ・朝鮮軍記物の近代

        金時徳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2 일본학연구 Vol.37 No.-

        이 논문에서는 근세의 다이코기물・조선군기물이 “근대화”하는 과정을 검토한다. 근세의 다이코기물・조선군기물은 임진왜란을 주제로 하는 조선군기물과 임진왜란을 제외한 히데요시의 전기인 협의의 다이코기물, 그리고 양쪽을 포함하는 광의의 다이코기물로 나뉜다. 근대가 되자 다이코기에혼 다이코기등의 문헌은 오랜 변천을 거쳐 번각본으로 정착한다. 한편, 근대 이후에도 새로운 다이코기물이 다수 집필된다. 역사소설에서는 와타나베 가테이 등이 광의의 다이코기물을 집필하였고, 그 외의 작가 등도 광의의 다이코기물을 지향한 것 같으나 패전이라는 시대적 요인으로 인해 이를 성취하지 못하였다. 근세에도 에혼 도요토미 훈공기등의 문헌은 광의의 다이코기물을 지향하였으나 협의의 다이코기물로 그친 바 있다. 그 원인은 근세의 목판과 근대의 금속활자 인쇄 간의 경쟁에서 졌기 때문이었다. 한편, 근세 말기에 다수 만들어진 기리쓰케본이나 소형 에혼류, 그 흐름을 잇는 근대의「에혼 다이코기」류나 위인전은 처음부터 협의의 다이코기물을 지향한 것 같다. 이들 문헌은 히데요시의 전례없는 출세를 서민들에게 전하는데 목적이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조선군기물 방면에서는 메이지 초기의 “재흥기” 유행에 편승하여 히데요시의 세계정복담을 담은 이색적인 소설 도요토미 재흥기가 간행되었다. 이처럼, 근세에 큰 인기를 누린 다이코기물・조선군기물은 근대에도 다양한 장르로 계승되었다. 그러나 그 배경에는 근세와 연결되는 요인이 확인된다. 히데요시라는 인물의 비범한 삶과 전근대 최대의 대외전쟁이라는 두 가지 사건에 대한 근세 일본인들의 공감과 흥미가 그것이다. This article reviews the process of the modernization of three categories' literature on Toyotomi Hideyoshi and Imjin War written in premodern Japan(Taikouki mono and Chosen gunki mono). There are three types of Taikouki mono and Chosen gunki mono in premodern Japan. One type is on Imjin war and called Chosen gunki mono. On the other hand, the biographies of Toyotomi Hideyoshi fall into two types which cut off or contain Imjin war. In Meiji Japan, some pieces such as Taikouki and Ehon Taikouki were reprinted in various ways, but new pieces were written too. In the field of historical fiction, some writers such as Watanabe Katei wrote biographies of Toyotomi Hideyoshi which also contain Imjin war. It seems that some famous writers such as Yoshikawa Eiji and Siba Ryotarou also wanted to write biographies of Toyotomi Hideyoshi which also contain Imjin war. But, because of japanese defeat in WWII, they were banned from achieving the end. There exists the same case In premodern Japan. It seems that some pieces of Taikouki mono like Ehon Toyotomi Kunkouki were aimed to be biographies of Toyotomi Hideyoshi containing Imjin war also. But the Meiji Restoration and following modernization of Japan frustrated it. On the other hand, kiritsukebon and illustrated books of small size made vastly in the 19th century, Ehon taikouki and biographies in modern Japan were made as the type cutting off Imjin war from the beginning. The goal of these pieces was to report the unusual success of Toyotomi Hideyoshi to girls and boys. Finally, on the part of Chosen gunki mono, a notable novel Toyotomi Saikouki was published in Meji Japan. In this novel, Toyotomi Hideyoshi, called as the Napoleon of the East, conquers all over the world and the hell. As above, Taikouki mono and Chosen gunki mono which have enjoyed popularity among people in premodern Japan evolved in various forms in modern Japan. The popularity of premodern/modern Taikouki mono and Chosen gunki mono comes from the same factor; japanese people's love for the extraordinary life of Toyotomi Hideyoshi, and Imjin war which was the most great war against foriegn countries in the history of premodern Japan.

      • 일본에서 이순신이 주목받는 때

        이노우에 야스시(井上泰至)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7 이순신연구논총 Vol.- No.27

        본 연구의 테마는 이순신이 언제, 왜, 어떻게 일본에서 인식되어 온 것인가에 관해 그 개략적인 내용을 추적하는 것이다. 일본에 서의 이순신에 대한 주목과 그 역사는, 일본이 임진왜란이라는 전쟁 으로부터 무엇을 알고, 무엇을 배우고자 했는가라는 의식이 반영되어 있는 일종의‘거울’이다. 일본의 이순신 상(像)은 단적으로 말하자면,‘충성’이라고 하는 군인·무사의 덕목(Moral)의 체현자, 또는‘해전의 전략가’라고 하는 두 가지 측면이 지적될 수 있다. 이는 무사에 의한 분권국가 시대였던 에도 시대와, 근대 군대를 가 졌던 집권국가 시대였던 메이지(明治) 시대라고 하는, 각각의 시기 일본이 지녔던 모습과 직결되어 있다. 일본에서는 1695년 류성룡(柳成龍)의 『징비록(懲毖錄)』이 일본에서 간행되고, 이를 수용하여 1705년에 간행된 역사물『조선태평기(朝鮮太平記)』와『조선군기대전(朝鮮軍記大全)』의 출현에 의해 이순신의 활약이 널리 알려지기 시작하게 되었다. 이들 작품에서 이순신은 적장이면서도 훌륭한 무장으로서 보다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에도 시대는 안정된 시기로서, 무사에게 필요 한 긴장감을 잃지 않은 채로 전국시대와 같은 과잉폭력을 경계하고 제어하는 것이 이 시대의 논리였다. 그 안에서 조선을 구했던‘충 신’이순신 상이 선택·활용되었다. 1892년에는 세키 고세이(惜香生) 원저·육군보병대위 시바야마 나오노리 교정·편집에 의한 『조선이순신전(朝鮮李舜臣 傳)』이 간행되었다. 시바야마는 해군의 실패가 국가의 운명에 직결 되는 것을 설명한 이후, 일본수군이 이순신과의 전투에서 패한 것이 임진왜란 실패의 최대 요인이었다는 것을 지적한다. 그에 의하면 이 순신을 연구하는 것은 대(對) 아시아전쟁에 있어서의‘실패의 본 질’을 연구하는 좋은 재료라는 것이다. 그 연구의 결과, 이순신의 활약은 구국의‘충의’로운 신하에서, 국운을 결정지은‘해전의 명장’으로서 부상하게 된 것이다. 타국을 싸워야할 적으로서 인식하던 절박한 상황이 아니라, 일정부분 긴장감을 가지면서도 한·중·일 관계에 일종의 안정적인 상황이 이어지던 시기에 이순신의 존재는 일본에서도 주목받았으며, 비교적 정당하게 평가받고 있었다. 그 안정의 시기는, 에도 시대에는 명·청 교체의 충격 이후, 혼란의 여파를 거쳐 안정감을 찾은 17세기 말부터 18세기 초의 시기이며, 메이지 시대에는 청일전쟁에 의해 동아시아의 질서가 격변하기 이전인 1880년대, 한·중·일이 처음‘아시아’라고 하는 지역에 공동체로서의 실상을 보기 시작한 시대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순신 언설(言說)이 일본에서 부상(浮 上)해 온 상황에 대한 스케치를 시도해보면서, 시대의 문맥이 이순신의 어디를 조명하고 있었는가에 대해 정리해 본다. The theme of this research is to trace the outline of when, why, and how Yi Sun Sin has been recognized in Japan. The attention and history of Yi Sun Sin in Japan is a kind of mirror reflecting the consciousness of what Japan knew from the Imjin War and what it wanted to learn. The image of Yi in Japan can be pointed out simply as the performer of the moral of the soldier and the warrior called loyalty or a Naval strategist. This is directly related to the Edo era, the decentralized era of the warrior, and the Meiji era, the era of the ruling nation with the modern army. During the Edo era, Yi Sun Sin became well known as a good enemy but a good admiral. In this age, the loyalty of Yi Sun Sin was noticed. The Edo era was a stable period, and it had to be alert and controlled for excessive violence like the age of civil wars, without losing the tension necessary for the warriors. The image of loyal Yi Sun Sin, which saved Chosun, was selected and utilized in this era. During the Meiji era, the Meiji soldiers point out that the failure of the Navy is directly linked to the destiny of the nation through the case of the Imjin War. Since then, they point out that the Japanese navy s defeat in battle with Yi Sun Sin was the biggest factor in the failure of the Imjin War. According to them, studying Yi Sun Sin is a good material to study the nature of failure in the War against Asia. As a result of the study, Yi Sun Sin s image changed from loyal servant who saved the country to Naval strategist which determined the destiny of the nation. Yi Sun Sin was noticed and fairly evaluated in Japan in the period of stable conditions in relations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It was in the period from the end of the 17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18th century, and in the 1880s, when Korea, China, and Japan began to see the reality as a community in the area called Asia. In this paper, I try to sketch the situation that Yi Sun Sin s discourse has emerged in Japan, and summarize where the context of the age illuminated Yi Sun Sin.

      • KCI등재

        미일안보체제에 있어서 연합군의 권능-오키나와 반환과 한국의 안전보장-

        김기형 한일군사문화학회 2013 한일군사문화연구 Vol.16 No.-

        본 연구는 한국의 안전에 관한 미일간의 서로 다른 인식으로 인하여 말려 드는 것에 대한 우려와 저지당하는 것에 대한 우려가 발생하는 것에 주목하여, 그러한 염려를 완화시키기 위해 연합군의 권능이 미일안보체제 속에 편입되어 오키나와가 반환될 때까지 유지되었던 과정에 대해서 분석했다. 미국은 한국전쟁을 수행하는 미군에 연합군이라는 정통성을 부여하고, 전쟁수행에 가장 중요한 주일미군기지를 자유롭게 사용하기 위하여 구미일안보조약에 요시다·애치슨교환공문을 삽입하여 연합군에 관한 일본의 협력을 얻었다. 그러나 1953년 7월, 군사정전협정의 체결과 함께 연합군 구성국의 군대가 서서히 철수함에 따라, 한국에서 연합군의 권능이 없어지는 것이 염려되었다. 이에 따라 미국은 연합군사령부를 도쿄에서 서울로 이전시켜 연합군의 권능을 한국에 유지함과 동시에 일본에도 연합군기지를 지정하여, 한국의 전시에 대한 지원태세를 확립하였다. 그러나 구미일안보조약에 의해 자신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주일미군의 전개로 인해 한국의 전쟁에 말려드는 것을 염려한 일본은, 안보개정과 더불어 주일미군의 행동에 대한 사전협의제 도입을 미국에 요청하였다. 미국은 사전협의제의 도입에 의해 주일미군의 전개가 일본으로부터 저지당하는 것을 염려하여, 요시다·애치슨 교환공문의 유효성을 확인한 후에, 한국의 전시에 있어서는 요시다·애치슨 교환공문이 사전협의제보다 우선함을 확인하는 조선의사록, 즉 밀약을 작성하였다. 그 후 오키나와의 반환교섭에 있어서, 일본은 말려드는 것에 대한 염려를 회피하기 위하여 조선의사록의 폐지를 요구하고, 미국은 닉슨 독트린을 수행하기 위하여 한국의 안전에 관한 일본정부의 정치적 보장을 요구하여, 미일교섭의 결과 한국조항이 발표되었다. 오키나와 반환교섭으로부터 실제로 반환이 이루어지는 1972년 사이에, 미국은 닉슨 독트린에 의거하여 주한미군을 삭감하고, 중국과의 접근을 모색했다. 이에 따라 한국은 남북대화를 통해 한반도의 긴장을 완화하고자 하였으며, 일본은 한반도의 긴장완화에 따라 한국조항으로부터의 이탈을 시도했다. 일본의 한국조항으로부터의 이탈시도는 미국에게 정치적인 보장의 불확실성에 대한 염려를 가져왔으며, 따라서 미국은 반환되는 오키나와에 3개의 연합군기지를 지정하여 연합군의 권능을 오키나와에도 부여하고, 한국의 전시에 대한 연합군기지의 지원태세를 규정한 조선의사록의 유효성을 재확인하였다. 일련의 과정에 있어서 미국은 한국의 염려에도 불구하고, 미일안보체제 속에 연합군의 권능을 유지함으로서 한국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체제를 견지해왔다. 本硏究は, 韓國の安全に對する日米の異なる認識による「卷き入まれ」の懸念と「阻まれ」の懸念に注目し, その懸念を緩和させるために國連軍の權能が日米安保體制の中で組み入まれて沖繩が返還されるまで維持された過程について明らかにした。米國は朝鮮戰爭を遂行するに最も重要であった在日米軍基地を自由に使用するために, 舊日米安保條約に「吉田·アチソン交換公文」を組み入んで, 國連軍に對する日本の協力を得た。しかし1953年7月, 朝鮮戰爭の停戰協定の締結と共に國連軍構成國の軍隊が徐?に撤收することによって, 韓國における國連軍の權能が失われることが懸念されたため, 米國は國連軍司令部を東京からソウルに移轉させて國連軍の權能を韓國に維持するとともに, 日本にも國連軍基地を指定して, 韓國の「戰時」における支援態勢を確立した。しかし, 舊日米安保條約により自らの意志とは關係なく韓國の戰爭に「卷き入まれる」ことを懸念した日本は, 安保改定と共に事前協議制の導入を要請した。米國は事前協議制の導入によって米軍の展開が日本から「阻まれる」ことを懸念して, 「吉田·アチソン交換公文」の有效性を確認した上で, 韓國「戰時」においては「吉田·アチソン交換公文」が事前協議制より優先されることを確認する「朝鮮議事錄」を作成した。その後, 沖繩の返還交涉において, 日本は「卷き入まれ」の懸念を回避するために「朝鮮議事錄」の?止を要求し, 米國は「ニクソン·ドクトリン」を遂行するために韓國の安全に關する日本政府の政治的な保障を求めた。その結果, 佐藤·ニクソン共同聲明の「韓國條項」が發表された。返還交涉から實際の返還が行われる72年の間, 米國は「ニクソン·ドクトリン」に依據して在韓米軍を削減し, 中國と接近した。これは韓國に南北對話の動きをもたらし, 日本に「韓國條項」からの離脫をもたらした。それは米國に政治的な保障の可變性に對する懸念をもたらし, 沖繩に三つの國連軍の基Abstract地を指定して國連軍の權能を沖繩にも付與して, 「朝鮮議事錄」の有效性を再確認した。一連の過程において米國は韓國の懸念にもかかわらず, 國連軍の權能を維持することで韓國の安全を確保する體制を堅持してきた。それは同時に韓國「戰時」において事前協議制を無力化する結果をもたらした。

      • KCI등재

        조선군기물(朝鮮軍記物)에 그려진 이순신(李舜臣) 상(像) -근세 초기 작품을 중심으로-

        김준배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014 일본언어문화 Vol.28 No.-

        During the Imjin War, the war between Chosun Dynasty and Japan that broke out in 1592, Japan had experienced victories after victories in land but could not avoid consecutive losses to Chosun fleet lead by the navy hero Admiral Yi Sun-Shin. During the 7 year span of the war, the only victory that the Japanese Navy had enjoyed was the battle of Chilcheollyang(1597). After the Imjin War had ended, there were many literatures published in Japan about the war. Only after one century after the end of the war, Japan had published ‘the History of the Imjin War’ by collecting many historical records. In order to understand Japan’s current recognition about the Imjin war, it is critical to research about how did Japanese describe the naval warfare where they had to experience consecutive losses over the land battles where they were overwhelming and how they have been describing Admiral Yi Sun-Shin.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paper is to contemplate on how Admiral Yi Sun-Shin is portrayed in Japanese modern Publication collections. Admiral Yi Sun-Shin was not well known to Japan in the beginning of the modern age until 「 The two trips to Pyongyang」 was flew in from Ming Dynasty to Japan, where Admiral Yi had first appeared. Admiral Yi had became the hero of Chosun Navy forces after 「Jingbi-rok」 wad revealed in Japan from Chosun Dynasty. The above process and aspects were closely considered in this research paper.

      • 19세기 일본 임진왜란 문헌 속의 이순신 : 『정한위략』과 『일본외사』를 중심으로

        김준배(Kim, Joon-bae)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9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1

        18세기 말부터 빈번해진 서양 선박의 출몰과 개항요구, 그리고 러시아와의 충돌 등으로 일본의 대외적인 위기의식은 한껏 고조된다. 이 시기 일본에서 체제를 안정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집팔·간행된 두 권의 한문서적, 가와구치 조주(川口長孺)의 『정한위략(征韓偉略) 』과 라이 산요(頼山陽)의 『일본외사(日本外史)』는, 이순신(李舜臣)에 대한 평가 측면에서 이전까지 일본에 존재하던 임진왜란 관련 문헌들과는 확연한 차이가 보인다. 에도 시대의 상업출판물들이 이순신의 활약상을 서술함에 있어 과장의 방법을 사용하였다면, 이들은 이순신을 비교적 담담하게 그려내고 있다. 다만 저명(著名)에서도 드러나 듯이 임진왜란을 ‘정한위업’으로 형상화하고자 했던 『정한위략』의 경우 명백히 의도적으로 조선군의 공적은 물론 이순신의 활약도 축소시키고, 일본군의 우월함을 강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같은 19세기의 역사서로서 『정한위략』보다 통속적인 이야기를 비교적 많이 수록하고 있는 『일본외사』의 경우, 『정한위략』보다 그 사료 검토의 엄밀성은 떨어진다고 할 수 있으나, 이순신을 기록하는 데에 있어 비교적 객관적이었다. From the end of the 18th century, western ships frequently visited Japan and demanded an opening. In addition, Japan s external crisis is heightened by the clash with Russia. In order to stabilize the system at this time in Japan, two books of Chinese texts, Seikan Eiryaku by Kawaguchi Chozu and Nihon Gaisi by Lai Sanyo are published. In terms of evaluation of Yi Sun-sin, these books show a clear difference from the documents related to the Imjin war that existed in Japan. If the commercial publications of the Edo period used the method of exaggeration in describing Yi Sun-sin s work, they draw Yi Sun-sin relatively coolly. However, in the case of Seikan Eiryaku , this book intentionally sheds light on not only the achievements of the Joseon army but also Yi Sun-shin s work and strives to emphasize the superiority of the Japanese army. But Nihon Gaisi , the same nineteenth-century history book, is less than the strictness of Seikan Eiryaku , but it was relatively objective in recording Yi Sun-sin. Both books have had a great impact on future writings related to the Imjin war in Japan, so it is worth exammm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