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명말 도설백과사전 『삼재도회(三才圖會)』의 의의

        고인덕(Ko, In-duck)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2 아시아문화연구 Vol.28 No.-

        도설백과사전 『삼재도회(三才圖會)』는 명말(明末)에(1609년) 왕기(王圻)와 왕사의(王思義) 부자에 의하여 간행된 뒤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동아시아에서 많은 영향을 끼쳐왔다. 본고에서는 『삼재도회』의 특징을 도상학(圖像學)과 도설백과사전으로서의 내용이라는 양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중국도설백과사전의 역사에서 『삼재도회』가 지닌 의의를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삼재도회』는 중국의 다른 도설백과사전들과는 달리 그림이 문자의 보조적 위치에 그치지 않고 주가 된다는 점에서 중국 도설백과사전의 역사에서 매우 독창적인 존재이다. 즉 『삼재도회』의 편찬자인 왕기(王圻)와 왕사의(王思義)는 그림의 효능과 중요성에 대한 분명한 인식을 가지고, 인간 생활에 관련되는 모든 사물을 그림으로 나타내려는 의도 아래에 『삼재도회』를 편찬 하였다. 이와 같은 인식은 『삼재도회』의 제목, 체제(體制), 내용, 서문(序文)등에 매우 잘 나타나있는데, 특히 중국 고전시대의 다른 도설백과사전과 비교 고찰해보면 뚜렷이 드러난다. 본고에서는 『삼재도회』와 중국 고전시대의 다른 도설백과사전들을 비교하는 방법으로써 『삼재도회』의 이와 같은 특징들을 구체적으로 고찰해보았다. 『삼재도회』가 그림을 중시한 것은 도상(圖像)이 범람한 명말이라는 시대 상황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 또 그 내용에 있어서도 서양으로부터의 새로운 지식의 유입, ‘아(雅, 정통적인 것)’와 ‘속(俗, 대중적이고 속된것)’의 경계가 낮아진 것 등 명말이라는 시대 상황을 잘 반영해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삼재도회』는 명말이라는 시대를 배경으로 하여 중국 도설백과사전의 역사에서 유일하게, 인간생활에 있어서 그림도 문자만큼 중요하다는 분명한 인식을 가지고, 인간 생활에 관련된 모든 분야들을 그림으로 形象化하려고 시도한, 그림이 문자보다 주가 되는 종합적인 도설백과사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삼재도회』 편찬자들의 그림도 문자만큼 중요하다는 인식은, 도상학(圖像學)이 주요 관심사로 대두한 오늘날의 학계에도 시사해주는 부분이 크다고 할 수 있다. Sancaituhui(三才圖會), a Pictureencyclopedia, which was published in 1609 by father and son who are Wangqi(王圻) and Wangsiyi (王思義), is very influential in East Asia until this day. The manuscript examines Sancaituhui (三才圖會) in both its iconography and how picture encyclopedias played a role in affecting the history of Chinese Picture encyclopedias. Unlike many other Chinese Picture encyclopedias, Sancaituhui(三才圖會) not only used pictures as an aid for word description, but used pictures like the main text, for which is incredibly creative. Thus, the compilers of Sancaituhui(三才圖會) , who are Wangqi (王圻) and Wangsiyi (王思義), held a clear perception about the effect and the importance of pictures, compiling the encyclopedia with the purpose of displaying all materials related to human life in pictures. Such purpose is clearly shown through the title of Sancaituhui(三才圖會), sojourn, content, and preface. The difference is especially distinctive when compared to other Chinese illustrative encyclopedias of the period. This paper carefull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Sancaituhui(三才圖會) by comparing other Chinese picture encyclopedias written during the classical period.

      • KCI등재

        명말 도설백과사전 『삼재도회(三才圖會)』의 의의 - 그림과 문자의 결합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2 아시아문화연구 Vol.28 No.-

        <P>&nbsp;&nbsp;도설백과사전 『삼재도회(三才圖會)』는 명말(明末)에(1609년) 왕기(王圻)와 왕사의(王思義) 부자에 의하여 간행된 뒤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동아시아에서 많은 영향을 끼쳐왔다. 본고에서는 『삼재도회』의 특징을 도상학(圖像學)과 도설백과사전으로서의 내용이라는 양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중국도설백과사전의 역사에서 『삼재도회』가 지닌 의의를 고찰해보고자 하였다.</P><P>&nbsp;&nbsp;『삼재도회』는 중국의 다른 도설백과사전들과는 달리 그림이 문자의 보조적 위치에 그치지 않고 주가 된다는 점에서 중국 도설백과사전의 역사에서 매우 독창적인 존재이다. 즉 『삼재도회』의 편찬자인 왕기(王圻)와 왕사의(王思義)는 그림의 효능과 중요성에 대한 분명한 인식을 가지고, 인간 생활에 관련되는 모든 사물을 그림으로 나타내려는 의도 아래에 『삼재도회』를 편찬 하였다. 이와 같은 인식은 『삼재도회』의 제목, 체제(體制), 내용, 서문(序文)등에 매우 잘 나타나있는데, 특히 중국 고전시대의 다른 도설백과사전과 비교 고찰해보면 뚜렷이 드러난다. 본고에서는 『삼재도회』와 중국 고전시대의 다른 도설백과사전들을 비교하는 방법으로써 『삼재도회』의 이와 같은 특징들을 구체적으로 고찰해보았다.</P><P>&nbsp;&nbsp;『삼재도회』가 그림을 중시한 것은 도상(圖像)이 범람한 명말이라는 시대 상황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 또 그 내용에 있어서도 서양으로부터의 새로운 지식의 유입, ‘아(雅, 정통적인 것)’와 ‘속(俗, 대중적이고 속된것)’의 경계가 낮아진 것 등 명말이라는 시대 상황을 잘 반영해주고 있다.</P><P>&nbsp;&nbsp;결론적으로 『삼재도회』는 명말이라는 시대를 배경으로 하여 중국 도설백과사전의 역사에서 유일하게, 인간생활에 있어서 그림도 문자만큼 중요하다는 분명한 인식을 가지고, 인간 생활에 관련된 모든 분야들을 그림으로 形象化하려고 시도한, 그림이 문자보다 주가 되는 종합적인 도설백과사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삼재도회』 편찬자들의 그림도 문자만큼 중요하다는 인식은, 도상학(圖像學)이 주요 관심사로 대두한 오늘날의 학계에도 시사해주는 부분이 크다고 할 수 있다.</P>

      • 조선후기 장식문양의 화상어(和尙魚)

        김용덕(Kim, Yong-deok) 한국민화학회 2021 한국민화 Vol.- No.15

        조선후기 장식문양의 화상어(和尙魚)라는 주제로 진행된 본 연구는 조선후기 사찰 장식문양으로 표현되는 독특한 도상에 대한 의문점에서 출발하였으며, 그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화상어는 사람 얼굴에 거북의 몸이 합쳐진 상상 속 동물이다. 조선후기 불교미술에 표현되는 화상어는 약 17세기부터 조선사회에 보급 및 유통된 도설백과사전 『삼재도회(三才圖會)』와 『화한삼재도회(和漢三才圖會)』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이며, 불교미술의 사례보다 그 시기는 늦으나 조선후기 실학자 서유구(徐有榘, 1764-1845)가 편찬한 어보(魚譜)인 『전어지(佃漁志)』에서도 그 기록을 찾아볼 수 있었다. 현재까지 확인된 조선후기 미술 속 화상어는 사찰의 수미단, 단청 별지화 등 세 곳의 장식문양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총 다섯 마리가 관찰된다. 이 도상들이 화상어라는 것은 인두구신이라는 고유의 특징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는 것과 화상어와 함께 표현된 다른 불교미술 속 소재들도 위에서 언급한 『삼재도회』와 『화한삼재도회』에서도 확인된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화상어가 표현된 수미단과 벽화 모두 『삼재도회』와 『화한삼재도회』 속 삽화들이 불교미술에 영향을 주기 시작한 17세기에서 18세기에 제작되었으니, 이와 같은 도상을 화상어라고 지칭하는 것에 대해 큰 문제는 없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조선후기 화상어의 특징은 그 고유의 도상을 반영하면서 동시기 불교미술에 등장하는 여타 요소들을 차용하여 독특하고 개성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특히, 불교미술 속 화상어 대부분은 보주(寶珠)를 들고 있었는데 이는 보주를 높이 받들어 부처에게 바치는 공양도상(供養圖像)이라는 것을 경전 내용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까지 확인된 조선후기 화상어 도상의 사례는 다섯 마리에 불과하지만 이는 당시 사회, 문화적인 상황들을 유추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며, 화상어를 비롯한 조선후기 미술 속에 나타나는 여러 특정 도상에 관한 관심과 연구들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는 과제라고 생각된다. Huasang-aue(和尙魚) is an imaginary animal with a human face on turtle body(人頭龜身). Hwasang-aue expressed in Buddhist art in the late Joseon Dynasty seems to have originated from the picture encyclopedias, 『Sancaituhui(三才圖會)』and 『Wakan-sansaizue(和漢三才圖會)』, which has been supplied and distributed to the society of Joseon Dynasty since the 17th century, having a profound effect on Buddhist art as well as on technical and scientific aspects, and also, the record could be also found in 『Jeon-Eoji(佃漁志)』 an atlas of fish compiled by Seo Yu-gu (1764-1845), a Silhak scho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Hwasang-aue, which has found in the Buddhist art of the late Joseon Dynasty so far, was observed in three temples, with a total of five of it. It can be verified these images are Hwasang-aue as they fully reflects the unique characters of Indugusin (Human face on Turtle body) and other Buddhist art materials expressed along with the Hwasang-aue are also found in 『Sancaituhui(三才圖會)』 and『Wakan-sansaizue(和漢三才圖會)』 mentioned above. It is believed that there is no major problem with referring to images like these as Hwasang-aue because both Buddhist Altar and the Mural Painting of Buddhist Temple, in which Hwasangaue expressed, were produced in the 17th to 18th centuries when illustrations in 『Sancaituhui』 and 『Wakansansaizue 』 began to affect Buddhist art. The characteristics of Hwasang-asue in Buddhist art of the late Joseon Dynasty examined in this study are to reflect the unique image of Indugusin (Human face on Turtle body) and to have a unique and distinctive images, borrowing elements of other images from Buddhist art at the same time. In particular, most of the Hwasang-aue in Buddhist art was holding orb, and it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content of Buddhist scriptures that it is an offering image (供養圖像) to dedicate to the Buddha by raising orb high. Hwasang-aue conducted in the most of the studies so far used to refer to other images, as it seems that its a misunderstanding since Hwasang-aue image itself is rarely expressed in Korean art and, at the same time, it comes from the fact that Hwasang-aue in the late Joseon Dynasty borrowed the elements of Buddhist image.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elements of images referred to in previous stud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Hwasang-aue, and it can be derived the conclusion that the above cases would be more likely to be Hwasang-aue than other images.

      • KCI등재

        논문(論文) : 17세기 중국의 과학과 《삼재도회(三才圖會)》(1) -과학서로서의 의미를 중심으로

        김지선 중국어문학회 2016 中國語文學誌 Vol.0 No.54

        《三才圖會》是明代一部百科全書性質的類書,타不僅是古代“三才”理論的具體理解與記錄,而且還保存了大量的科技圖譜,蘊涵著豊富的科技知識, 對於了解和硏究中國古代科技史具有重要的價値和意義。全書取材廣泛,內容豊富,所記事物,先有繪圖,後有論說,圖文幷茂,相爲印證。《三才圖會》中的確包含了一些迷信,甚至荒誕不經的東西,但不可否認其采척之浩博,흔多資料“足資考核”, 尤其是其中收錄了大量的有關中國古代科技的圖譜資料, 蘊涵著豊富的科技知識,因而其對於硏究中國古代科技史,有著十分重要的意義。《三才圖會》蘊涵著大量的科技知識,在對科技圖譜的分類編排過程中體現了作者對古代科技體系和內容的基本認識。如天文涉及了中國古代天文學的主要內容。地理類所收圖譜主要涉及世界地圖、分省地圖、外國地圖等,體現了中國古代地理學的基本範疇。身體類圖譜包括人體器官、經脈、疾病症狀、疾病的診斷等多個方面, 涉及了中國古代醫學的主要領域。宮室類主要收錄的是建築圖譜,體現了中國古代建築學的基本內容。鳥獸類圖譜主要分爲鳥、獸、鱗介三類,草木類主要分爲草、木、蔬、果、穀、花卉等類, 大體反映了中國古代生物學的基本分類標准和主要內容。《三才圖會》所收錄的科技圖譜中也存在著一些謬誤之處,其分類和論說也有不盡合理的地方, 但我們應該充分알掘《三才圖會》的科技價値, 使之更好地爲硏究中國古代科技史、中國古代文化服務。

      • KCI등재

        『삼재도회(三才圖會)』에서 『화한삼재도회(和漢三才圖會)』로

        高仁德(Ko, In-duck) 중국어문학연구회 2016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96

        Published in late Chinese Ming Dynasty, Sancaituhui (三才圖會) is an illustrated encyclopedia of an eminent standing in the history of the Chinese publishing culture. Though it is not the first illustrated encyclopedia in China, Sancaituhui is distinguished from the few previously published encyclopedias in the dominant role of illustrations over the text. The dominance of illustrations in Sancaituhui may be attributed to the particular situations at the end of the Ming Dynasty. Wang Qi(王圻), publisher of Sancaituhui purposed to illustrate the universe in this encyclopedia with the realization that illustrations are as essential as the text. No other illustrated encyclopedia has been published since Sancaituhui with illustrations taking a dominant role over the text. Since its publication, Sancaituhui took a significant influence upon the history of publishing culture in East Asia through the modern times. In Joseon of Korea, Sancaituhui was read by a broad range of readers, especially by the scholars of Silhak, or 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and took impact on Korean paintings. Sancaituhui also took a grave influence to the Japanese publishing culture during the Edo Period. A representative example is the fact that a medical doctor in Osaka, Terajima Ryōan(寺島良安) published an illustrated encyclopedia Wakan-sansaizue(和漢三才圖會) in the middle of the Edo Period(1713), modelling after the system of Sancaituhui. Wakan-sansaizue contained ample illustrations and substantial content, for which it earned a high appraisal as the first full-scale encyclopedia in the history of Japanese publishing culture with faithful reflection of the sociocultural aspects in the then Japan. The present study conducts a comparative study on Sancaituhui andWakan-sansaizue with focus on the perception of illustrations reflected in them.

      • KCI등재

        17세기 중국의 과학과 《三才圖會》(I) ―과학서로서의 의미를 중심으로―

        김지선 중국어문학회 2016 中國語文學誌 Vol.0 No.54

        《三才圖會》是明代一部百科全書性質的類書,它不僅是古代“三才”理論的具體理解與記錄,而且還保存了大量的科技圖譜,蘊涵著豐富的科技知識,對於了解和研究中國古代科技史具有重要的價值和意義。全書取材廣泛,內容豐富,所記事物,先有繪圖,後有論說,圖文並茂,相爲印證。《三才圖會》中的確包含了一些迷信,甚至荒誕不經的東西,但不可否認其采摭之浩博,很多資料“足資考核”,尤其是其中收錄了大量的有關中國古代科技的圖譜資料,蘊涵著豐富的科技知識,因而其對於研究中國古代科技史,有著十分重要的意義。 《三才圖會》蘊涵著大量的科技知識,在對科技圖譜的分類編排過程中體現了作者對古代科技體系和內容的基本認識。如天文涉及了中國古代天文學的主要內容。地理類所收圖譜主要涉及世界地圖、分省地圖、外國地圖等,體現了中國古代地理學的基本範疇。身體類圖譜包括人體器官、經脈、疾病症狀、疾病的診斷等多個方面,涉及了中國古代醫學的主要領域。宮室類主要收錄的是建築圖譜,體現了中國古代建築學的基本內容。鳥獸類圖譜主要分爲鳥、獸、鱗介三類,草木類主要分爲草、木、蔬、果、穀、花卉等類,大體反映了中國古代生物學的基本分類標准和主要內容。 《三才圖會》所收錄的科技圖譜中也存在著一些謬誤之處,其分類和論說也有不盡合理的地方,但我們應該充分挖掘《三才圖會》的科技價值,使之更好地爲研究中國古代科技史、中國古代文化服務。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불화(佛畵) 속에 표현된 호남적(湖南的) 감성(感性) -의겸(義謙) 불화(佛畵)의 도상(圖像)과 양식(樣式)을 중심으로-

        김정희 ( Jung Hee Kim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1 호남학 Vol.0 No.49

        義謙은 한국 불교회화사에서 가장 뛰어난 畵僧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그는 17세기 말에 태어나 숙종조~영조대에 걸쳐 약 50여 년간 호남과 지리산 유역을 근거지로 하여 많은 불화를 제작한 曹溪山門의 대표적 畵師로서, 통도사의 任閑과 더불어 18세기 불교화단의 양대산맥을 형성하였다. 1710년경 화업을 시작하여 1719년경 首畵師가 되었으며, 40여 년간 수십 명의 화승들을 배출한 대규모 화사조직을 이끌며 평생 동안 수많은 불사에 참여하면서, 毫仙, 尊宿, 大正經이라는 존칭을 받을 정도로 18세기 전반 불화계를 대표하는 화승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의겸은 안정감 있는 구도와 짜임새 있는 구성, 생명력 있는 정치한 細線을 사용한 섬세한 인물묘사 등으로 격조높은 불화양식을 수립하였다. 의겸의 불화에서 볼 수 있는 가장 큰 특징은 ≪釋氏源流≫와 ≪三才圖會≫ 등 명대의 版本을 응용한 새로운 도상의 창출, ≪오종범음집≫ 등 불교의식집에 의거한 괘불화 도상의 수립, 그리고 불화 속에 水墨淡彩技法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여 眞彩 위주의 타 지역 불화와 대별되는 호남불화의 특징을 수립한 점이다. 의겸이 ≪삼재도회≫와 ≪석씨원류≫ 등 명대 판본을 응용한 불화를 그린 것은 당시 호남의 대표적 가문인 海南 尹氏一家를 통해서라고 추정되는데, 의겸의 활동연대와 관련해 볼 때 尹德熙(1685~1766)를 통해 ≪삼재도회≫를 접했을 가능성이 높다. 윤덕희는≪삼재도회≫ 人物卷의 1祖 摩訶迦葉尊者와 유사한 <老僧圖>, <松下觀水圖>(선문대박물관 소장) 등을 남겼으며,≪삼재도회≫에 수록된 18나한 중 第1羅漢尊者圖를 紙本淡彩로 모사한 제1나한존자도를 그렸던 점에서 의겸과 윤덕희와의 관련성을 생각케 한다. 또한 의겸이 수묵담채기법을 적극 불화 속에 응용한 것은 17세기후반 호남지역 불화에 보이는 담채적 경향에 영향을 받았다고 생각된다. 즉 의겸은 당시 호남 불화에서 성행하던 담채기법을 자신의 불화에 적극적으로 적용하여 1723년 흥국사 불화제작 때 자신의 특징적인 기법으로 삼았다. 뿐 만 아니라 學圃 梁彭孫(1488~1545)을 비롯하여 恭齋 尹斗緖, 駱西 尹德熙, 尹용 (1708~1740)으로 이어지는 해남윤씨 일가로 이어져 내려온 호남 수묵화의 전통 역시 의겸의 수묵담채 기법과 무관치 않을 것이다. 이런 점에서 의겸의 불화는 호남의 정서와 감성을 그대로 보여주는 試金石이라 할 수 있다. Euigyeom (義謙)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prominent monk painters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t paintings. Born in the late 17th century and as a representative monk painter of the Jogye Sect, he created a large number of Buddhist paintings for around 50 years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 and King Yeongjo mainly based on Honam and Mt. Jiri, and formed one of the two main schools of the Buddhist painting circles in the 18th century along with Lim Han (任閑) at the Tongdo.sa Temple. Starting his career as a painter in around 1710, he became a chief monk painter in around 1719 and led a large monk painter organization that produced tens of monk painters for around 40 years. Through his career, he participated in numerous Buddhist projects and attained the position of a monk painter representing the circle of Buddhist paintings in the early 18th century as evidenced by honorific titles for him such as Hoseon (毫仙), Jonsuk (尊宿), and Daejeonggyeong (大正經). Euigyeom established an elegant Buddhist painting style characterized by stable composition, wellorganized construction, delicate portraying using vivid and fine lines, etc. The biggest characteristics of Euigyeom`s Buddhist paintings are the creation of new icons based on block.printed books from the Ming Dynasty such as Seokssiwonryu (釋氏源流) and Samjaedohoi (三才圖會), the establishment of Buddhist scroll painting icons based on Buddhist ritual manuals such as Ojongbeopeumjip (五種梵音集), and the differentiation of Honam Buddhist paintings from deep color paintings in other areas by introducing the Indian.ink wash drawing technique to Buddhist paintings. It is believed that Euigyeom`s painting based on block.printed books from the Ming Dynasty such as Seokssiwonryu and Samjaedohoi was through Yoon`s family (尹氏) from Haenam, which was a prestigious family in the Honam area in those days. Considering the years when Euigyeom was active, it is highly likely that he got access to Samjaedohoi through Yoon Deok.hee (尹德熙) (1685.1766). Yoon Deok.hee left Noseungdo and Songhagwansudo (松下觀水圖) (Sun Moon University Museum), which are similar to Mahakassapa in the Portrait Volume of Samjaedohoi, and drew Jeilnahanjonjado using light color on paper by copying Jeilnahanjonjado (第1羅漢尊者圖) among the 18 Arahats included in Samjaedohoi. These suggest association with Yoon Deok.hee. In addition, Euigyeom`s active application of the Indian.ink wash drawing technique to Buddhist paintings might be the influence of the light color trend observed in Buddhist paintings in the Honam area during the late 17th century. That is, Euigyeom adopted the light color technique popular among Honam Buddhist paintings in those days actively for his Buddhist paintings, and used it as his characteristic style in creating Buddhist paintings at the Heungguk.sa Temple in 1723. What is more, the tradition of Honam Indian ink paintings transmitted through Yoon`s family from Haenam from Hakpo Yang Paengson (學圃 梁彭孫) (1488.1545) to Gongjae Yoon Doo.seo (恭齋 尹斗緖), Rakseo Yoon Deok hee (駱西 尹德熙), and Yoon Yong (尹용)(1708~1740) is also believed to be linked to Euigyeom`s Indian ink wash drawing technique in some way. In this sense, we can say that Euigyeom`s Buddhist paintings are a touchstone showing clearly the sentiment and sensitivity of the Honam area.

      • KCI등재

        明末 日用類書 및 《三才圖會》에 재현된 ‘고려국’, 그리고 中華觀

        金曉民(Kim, Hyo-Min) 한국중국소설학회 2020 中國小說論叢 Vol.61 No.-

        본고는 중국 明末의 日用類書와 《三才圖會》에 수록된 한반도 관련 地圖, 人物圖 및 텍스트를 주요 연구대상으로 삼아 그 특징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明代 후기 異域에 대한 박물학적 관심 증대와 출판문화의 흥성이라는 문화적 맥락 속에서, 이미지와 텍스트가 결합된 異域 관련 콘텐츠가 다양한 버전으로 대량 출판, 유통되었다. 이들 자료는 ‘高麗’를 포함한 異域 관련 정보를 직관적인 이미지와 더불어 짤막한 텍스트로 단순화하여 보급함으로써, 관련 지식의 확산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러나, 그러한 지식은 뿌리 깊은 ‘중국’적 天下觀念과 華夷觀이 강하게 투영된 것이었다. 이러한 관념은 이미지와 텍스트 자체는 물론 그것을 둘러싼 파라텍스트와 상호텍스트성, 분류 체계 등 컨텍스트를 통해 중층적으로 구조화된 양상을 보여준다. 실제와 상상의 경계가 모호한 텍스트 공간 속에서 독자들은 자의적으로 가공된 異域 정보를 유희적으로 향유하는 가운데 자연스럽게 中華的 세계관을 내면화함과 동시에 異域에 대한 편향된 인식을 각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일용유서와 《삼재도회》 속의 한반도 및 異域 관련 내용은 ‘중국’을 구성하고 재생산하는 데 이바지하면서, ‘중국’적 천하질서라는 이념을 목적으로 이역을 專有한 셈이다. 이들 자료가 시각적 이미지와 단순화한 텍스트를 통해 ‘중국’적 천하관념과 華夷觀을 드러내는 전략은 일종의 ‘이마골로기(imagology)’로서의 면모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studie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maps, portraits, and texts related to the Korean Peninsula in Encyclopedias for Daily Use(日用類書) and Sancaituhui(《三才圖會》) in the late Ming Dynasty by making them the main subject of the study. A lot of different versions of content related to alien land(異域) that images are combined with texts were published and distributed in the late Ming Dynasty because of a growing interest in it from the viewpoint of natural history and in the cultural context of prosperous publication culture. These materials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spread of related knowledge by simplifying and distributing information related to alien land including ‘Korea(高麗)’ to be the short texts with eidetic imagery. However, the deep-rooted Chinese ideas of the World(天下觀念) and Hua Yi(華夷觀) were strongly reflected in such knowledge. These ideas show the multi-layeredly structuralized aspect through the contexts including the images and texts themselves, the paratexts around them, intertextuality, the system of classification, etc. Readers naturally internalized the sinocentric view of the world and at the same time, skewed perceptions of alien land might have been stamped on them while enjoying the alien land information that were arbitrarily processed in text space with blurred boundaries between reality and imagination playfully. In conclusion, the contents related to the Korean Peninsula and alien land in Encyclopedias for Daily Use and Sancaituhui have alien land to themselves(專有) for the ideological purpose of Chinese World Order making a contribution to forming and reproducing ‘China.’ The strategy that these materials reveal the Chinese ideas of the World and Hua Yi through visual images and simplified texts shows an aspect of ‘imagology’.

      • KCI등재

        논문(論文) : 명대이역도(明代異域圖)에 대한 연구(硏究) -≪삼재도회(三才圖會)≫와 ≪만보전서(萬寶全書)≫를 중심으로-

        김지선 ( Ji Seon Kim ) 중국어문연구회 2014 中國語文論叢 Vol.0 No.66

        四海大荒的≪山海經≫以外, ≪神異經≫、≪博物志≫、≪酉陽雜俎≫、≪事林廣記≫、≪異域志≫之類的東西, 參與建設了古代中國人對于異域的想像。各種或眞或假的異域記載,在後來充當着眞實的或想像的敍事資源, 而흔多涉及異域的揷圖將異域諸夷的圖像化凸顯到極至。在明中葉以後, 尤其是明末時期, 添加揷畵的書籍大量刊行, 甚至以繪畵爲主體的衆多畵本紛紛刊行於世。王圻和王思義合編的圖說百科事典≪三才圖會≫, 從<人物>第十二卷起,一一列擧了四裔各國人物的圖像, 網羅衆多異域人物畵的畵譜具有審美價値和鑑賞功能。而自晩明出現的民間日用類書≪萬寶全書≫, 其中<諸夷門>也是四海異國以及其物産的蒐集,則繼續以敍事與圖像的形式, 呈現出一種的遙遠神秘不可知的異域想像。晩明日用類書趨向視覺性與通俗性, 而讀者所樂在視覺趣味上, 不追求來源依據, 也不需權威感。添加異域圖的書籍, 可代表博學的普及與通俗化, 能吸引不同的消費群與社會空間的存在。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