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세에는 회의주의자가 없었는가? - 11~14세기 솔즈베리의 요하네스와 오트르쿠르의 니콜라우스 그리고 알 가잘리의 회의주의를 중심으로 -

        박규철 ( Park Kyu-cheol ) 한국동서철학회 2021 동서철학연구 Vol.- No.100

        회의주의 철학사에서, 솔즈베리의 요하네스와 오트르쿠르의 니콜라우스 그리고 알가잘리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그들에 대한 철학사적 평가는 유의미하게 진행되지 않았다. 이에, 필자는 요하네스와 니콜라우스 그리고 알 가잘리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절대적 신앙주의가 지배적이었던 중세 시기에도 회의주의적 전통이 소멸되지 않은 채 남아 있었음을 논증하였다. 첫째, 솔즈베리의 요하네스는 12세기 서유럽 철학계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회의주의자였다. 그는 중세 사회에 고대 회의주의의 유의미성을 최초로 각인시켰던 인물이기도 하였다. 요하네스에게 있어 회의주의는 신앙주의를 위해서 존재하는 것이었다. 그러기에, 고대 회의주의에서 일반적으로 강조되던 판단유보나 인식불가능성의 원리는 존재하지 않았다. 오히려, 그의 회의주의에서는 온건한 회의주의가 강조되었다. 이런 점에서 그는 카르네아데스로 대표되는 의 신아카데미 학파의 전통을 계승하였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오트르쿠르의 니콜라우스는 요하네스의 전통을 계승 발전시켰던 인물이었다. 그런데 그는 신아카데미 학파의 전통을 계승하였던 요하네스와 달리, 피론 학파의 전통을 계승하였다. 그의 회의주의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외부세계의 존재가능성’과 ‘무모순율’에 대한 의문이었다. 이는 근대 회의주의의 대가인 데카르트와 흄보다 300-400년이나 앞서 이루어진 비판이었다. 이런 점에서 그는 시대를 앞서간 회의주의자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알 가잘리는 이슬람 세계의 걸출한 회의주의자였다. 그는 아카데미 회의주의나 피론주의의 영향 없이, 독자적으로 고대 회의주의의 방법론을 계발하였다. 그는 이러한 회의주의적 방법론을 기반으로 하여 절대적 신앙주의를 옹호하였다. 그런데, 그의 이러한 회의주의적 방법론은 데카르트와 흄의 회의주의와 상당한 유사성을 보여주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그는 근대의 회의주의자에게 철학적 영감을 제공해준 선구자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요하네스와 니콜라우스 그리고 알 가잘리는 모두 절대적 신앙주의가 지배적이었던 중세철학 시기에 회의주의적 사유를 부활시키고 그것을 계발해, 르네상스 및 근대철학에 넘겨준 선구자적인 회의주의자였다. 몽테뉴와 데카르트 그리고 흄은 모두 그들의 계승자들이었다. Despite the historical fact that John of Salisbury, Nicholas Of Autrecourt and Al-Ghazãlï occupied predominant positions in the history of skepticism, a legitimate assessment of their philosophical stances has not been conducted. Through discussions of John of Salisbury, Nicholas Of Autrecourt and Al-Ghazãlï, I argue that the skeptical tradition continued without interruption or termination even in the Middle Ages, when absolute Fideism was strongly dominant. First of all, John of Salisbury was the most notable skeptic in the Western philosophical world of the 12th century. He was also the first person to imprint the significance of ancient skepticism in medieval society. For John of Salisbury, skepticism existed for Fideism. Therefore, there was no principle of ‘suspension of judgment’ or ‘incomprehensibility’ that was generally emphasized in ancient skepticism. Rather, moderate skepticism was emphasized in his philosophy. In this respect, he can be said to have inherited the tradition of the New Academics, represented by Carneades. Secondly, Nicholas Of Autrecourt was the person who succeeded from and developed the tradition of John of Salisbury. However, unlike John of Salisbury, who inherited the tradition of the New Academics, he inherited the tradition of Pyrrhonism. What is noteworthy in his skepticism was the question of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f the outside world’ and ‘the rule of inconsistency’. This was a criticism made 3-4 centuries earlier than R. Descartes and D. Hume, the masters of modern skepticism. In this respect, he can be said to be a skeptic who was ahead of his time. Thirdly, Al Ghazali was a prominent skeptic of the Islamic world.. He independently developed the methodology of ancient skepticism, without the influence of Academic skepticism or Pyrrhonism. He advocated absolute Fideism based on this skeptical methodology. However, his skeptical methodology showed considerable similarity to the skepticism of R. Descartes and D. Hume. In this respect, he can be said to be a pioneer who provided philosophical inspiration to modern skeptics. In conclusion, John of Salisbury, Nicholas Of Autrecourt and Al-Ghazãlï must have all been pioneering figures in the field of skepticism and they made considerable efforts to revitalize and develop the skeptical tradition during the medieval era. Therefore their philosophical ideas had a remarkable impact on the Renaissance and Modern philosophy, as a result M. de Montaigne, R. Descartes and D. Hume dramatically appeared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 KCI등재

        회의주의자의 논증방식- 아그립파의 tropos를 중심으로 -

        오유석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23 철학논집 Vol.75 No.-

        본 논문은 아그립파의 tropos를 통해, 회의주의자가 어떻게 독단적 믿음을논박하고 판단유보에 이르는지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회의주의적 tropos에 관한문헌적 전거를 면밀히 분석하고 현대 연구자들의 해석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우리는 다음 결론에 도달한다. 현대의 많은 해석자들은 상대성 논증과 의견 대립 논증을 아그립파의 tropos에서제외하고 (인식적 정당화를 논박하는) trilemma로 한정해서 이해했으며, 다양한 회의주의적 tropos 사이의 상호 연관성을 간과한 채 인식적 정당화를 논박하는 논증만을 따로 떼어 설명함으로써 회의주의적 tropos의 본래 의도를 왜곡했다. 하지만의견 대립 논증과 상대성 논증은 회의주의적 tropos의 사족이 아니라 핵심 축이다. 한편 Barnes는 회의주의자를 (독단주의자에 맞서 싸우는) 검투사에 비유하면서 회의주의적 tropos를 상대방을 옭아맬 그물에 비유했다. 하지만 회의주의자는 독단주의자를 죽이기보다는 살리고자 하며, 회의주의적 tropos는 독단적 자만과 성급함을치유하기 위한 치료제이다. 의사가 환자의 증상에 따라 다양한 약을 혼합해서 처방하듯, 회의주의자는 독단주의자가 무엇을 어떻게 주장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tropos를 결합해서 독단주의를 치유한다. 회의주의자도 한때는 대상세계의 참, 거짓을 파악해야만 마음의 평안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지만, 서로 상반된주장들 사이의 의견 대립을 해소할 수 없었으므로 판단을 유보했고 그 결과 마음의 평안을 얻게 되었다. 회의주의자는 자신의 독단적 믿음을 치유한 회의주의적tropos를 활용해서 독단주의자의 자만과 성급함을 치유하고자 한다. 이렇게 볼 때회의주의적 tropos는 모든 이의 독단적 믿음을 치유하는 치료제이며, 이를 통해 회의주의자 자신뿐 아니라 독단주의자도 판단유보와 마음의 평안에 도달한다.

      • KCI우수등재

        슐쩨의 회의주의와 퓌론주의

        황설중(Sul-Joong Hwang) 한국철학회 2005 哲學 Vol.83 No.-

        슐쩨는 칸트 이후의 회의주의자를 대표한다. 그는 칸트의 비판철학이 흄의 회의주의를 극복하기는커녕 오히려 흉의 회의주의에 의해 난파당한다고 주장한다. 칸트가 자신의 비판철학은 독단주의에 정변으로 대립해 있다고 선언하지만, 슐쩨는 고대 퓌론주의자인 아에네시데무스의 입을 빌려 칸트야말로 독단주의에 빠져 있음을 역설한다. 반면 헤겔은 고대의 퓌론주의자와 근대의 회의주의자를 비교 검토한 후, 오히려 슐쩨의 회의주의가 독단주의라고 규정한다. 칸트의 비판철학과 슐쩨의 회의주의 그리고 헤겔의 사변철학 사이에서 벌어진 이런 연속적인 반전은 18세기 후반 회의주의와 반회의주의 간에 형성된 전선의 복잡한 상황을 그대로 알려준다. 전선의 미묘함은 슐쩨와 헤겔 모두 상대방을 무찌르기 위해 아에네시데무스라는 동일 인물에게 원군(援軍)을 요청하고 있다는 데에서도 드러난다. 이처럼 18세기 후반의 회의주의의 논의에는 고대의 퓌론주의가 깊숙이 침투해 있으며, 이 둘은 맞물려 있다. 칸트는 지식 일반을 파괴하려는 과도한 회의주의에 대해서는 적대적이지만, '회의적 방법'은 비판철학에 유용한 것으로서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칸트가 사용하고 있는 '회의적 방법'은 다름 아닌 퓌론주의자들이 독단주의를 물리치기 위해 사용한 '등치의 방법'과 같다. 슐쩨는 칸트를 공격하면서 더 이상 의심할 수 없는 직접적인 의식의 사실을 서술하는 이론을 원하지만, 고대의 아에네시데무스는 그것을 의심할 수 없는 확고한 토대로서 결코 받아들이지 않는다. 이것이 양자를 구분짓는 결정적인 지점이다. 슐쩨는 의식에 직접적으로 나타나는 사실이나 표상의 확실성을 확신하고 이로부터 회의주의를 관철시키려 함으로써 의심으로부터 면제된 지점을 남겨 놓는다. 그리하여 슐쩨의 회의주의는 독단주의로 퇴락하고 고대의 아에네시데 무스와 근대의 아에네시데무스는 양립불가능한 관계로 들어서고 만다. 전체적으로 18세기 후반의 회의주의는 (흄과) 슐쩨에서 볼 수 있듯이, 퓌론주의의 논변형식들에 대한 이해와 사용방식에 있어 칸트 이전으로 후퇴한 셈이다. 18세기 후반의 회의주의와 반회의주의 간의 충돌에서 회의주의가 독단주의로 변전되어 가는 복잡한 과정은 철학적 회의주의의 심각성에 대한 점진적인 이해의 과정으로 독해될 수 있다. 계몽 시대 철학적 회의주의에 대한 대응은 회의주의자들이 공격하고자 한 바를 오히려 회의주의에 대한 참된 해결책으로 오인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철학적 회의주의에 대한 칸트와 헤겔의 대응은 ("철학적 회의주의에 대한 그들의 대응이 과연 완벽한 것인가"를 별도의 문제로 할 경우) 회의주의와 관련된 논의에서 자주 발생하는 이런 일탈로부터의 귀환을 촉구하는 모범적인 사례로서 간주될 수 있다.

      • KCI등재

        고대 회의주의의 변천과 재발견

        박규철(Park, Kyu-Cheol) 새한철학회 2013 哲學論叢 Vol.74 No.4

        인식론적 접근에 집중하는 현대 회의주의와 달리, “판단유보(epoch?)와 마음의 평화(ataraxia)”를 지향하는 고대 회의주의는 삶에 대한 지적인 태도와 그것의 즉각적인 실천을 강조한다. 헬레니즘에서 르네상스까지 고대 회의주의의 전승사를 통하여, 서구철학사에서 고대 회의주의가 가진 유의미성을 고찰하였던 본 연구는, 다음 3가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헬레니즘 시기 고대 회의주의는 삶에 대한 기술로 정립되었다. 고대 회의주의에는 크게 2가지 큰 흐름이 있었는데, 하나는 아르케실라오스와 카르네아데스로 대표되는 아카데미 회의주의가 있고, 다른 하나는 피론과 아이네시데모스 그리고 섹스투스 엠피리쿠스로 대표되는 피론주의 회의주의가 있다. 이후, 아카데미 회의주의는 키케로를 거쳐 솔즈베리의 요한네스에게 이어지고, 피론주의 회의주의는 몽테뉴에 의해서 새롭게 부활하여 번성하였다. 둘째, 중세 시대에 고대 회의주의는 망각과 재인식의 역사를 갖는다. 기독교적 신에 대한 믿음과 초월적 실재론으로 인하여, 회의주의는 탐구와 장려의 대상이 되기보다는, 견제와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그 선봉에 섰던 사람이 바로 아우구스티누스였다. 아카데미 회의주의에 대한 그의 강력한 비판으로 인하여, 서구 사회에서 회의주의는 부정적 인식의 대상이 되었다. 하지만, 12-3세기 아카데미 회의주의의 정신을 재발견한 솔즈베리의 요한네스와 인간 인식에 대한 회의주의적 작업을 시도하였던 겐트의 헨리쿠스의 등장 이후, 서구사회는 고대 회의주의를 새롭게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셋째, 이탈리아 르네상스에 고대 회의주의는 재발견된다. 14-5세기의 플레톤과 필렐포는 회의주의 연구의 발판을 마련하였으며, 1562년 스테파누스에 의해서 번역된 섹스투스 엠피리쿠스의 『피론주의 개요』는 온전한 의미에서 피론주의 회의주의 연구를 가능하게 하였다. 이러한 번역작업에 힘입어, 몽테뉴는 피론주의 회의주의에 기반 한, 자신의 독자적인 철학을 전개하였다. 『수상록』은 그의 걸작이며, 그 책의 제2권 제12장 “레몽 세봉을 위한 변명”은 회의주의적 사변의 결정체이다. 결론적으로, 철학은 ‘광기’와 ‘독단’에 맞서, 인간 정신의 자유와 평화를 지향해야 한다. 고대로부터 현대까지, 고대 회의주의는 철학의 이러한 본질적 가능을 성실히 수행해왔다. 이런 점에서, 21세기에도 고대 회의주의의 유의미성은 지속될 것이다. Apart from modern scepticism mainly focused on epistemological approaches, Ancient scepticism, which contains “epoch? and ataraxia” as core ideas, lays considerable emphasis on the intellectual attitude on life and its immediate practice. This paper gives heed to the fact that ancient scepticism between the Hellenistic era and the Renaissance, affected th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in a meaningful way. Consequently historical lines of concepts could be recapitulated as three remarkable results. First, ancient scepticism in the Hellenism could be explicitly defined the art (tech?) for life. This view can be divided on two currents; One is the scepticism of the Academy, representative as Archesilaus, Carneades and the other is highly typical of Pyrrhonism which Sextus Empiricus played a leading role. Later, the scepticism of the Academy was transmitted to John of Salisbury by the hands of Cicero, meanwhile, Montaigne shed a new light on Pyrrhonism. Second, ancient scepticism in the Medieval could not escape accelerating decline and reappraising its historical status. Since that the scepticism of the Academy was bitterly criticized by Augustinus, it has become a direct object of blame and risk. However, Pyrrhonism had forgotten for a long time before appearing John of Salisbury and Henry of Ghent on a podium of the history of philosophy. The former gave a new life on the scepticism of Academy and the latter suspected the cognitive potential of human. Finally, ancient scepticism came to totally rediscover in the Renaissance. Under the light of ancient manuscripts reintroduced, a cornerstone for the study of ancient scepticism was re-established by making efforts of Gemisthus Plethon and Francesco Filelfo. Henricus Stephanus consequently translated and published Outlines of Pyrrhonism written by Sextus Empiricus in 1562. Due to the re-introduction of ancient thinking, Montaigne proceeded to his own philosophy considerably influenced by Pyrrhonism and “Apology for Raymond Sebond” in his book Les Essais has been ranked as a crystal form of sceptical speculation. In conclusion, assuming that the ultimate ‘telos’ of philosophy is the release the human spirit from ‘madness’ and ‘dogmatism’, ancient scepticism must be the most appropriate tool for performing this liberation. In this regard, its overarching role would be consistently requiring for our future life.

      • KCI등재

        비트겐슈타인은 새로운 회의주의자인가?-비트겐슈타인의 회의적 역설에 대한 크립키의 해석과 피론주의 회의주의를 중심으로-

        박규철 한국동서철학회 2019 동서철학연구 Vol.0 No.91

        In this paper, I will consider whether Wittgenstein is a sceptic or not. Most of the Wittgenstein interpreters had largely considered him not to be a sceptic. But philosophers like Pogelin have seen him as a sceptic. In particular, Kripke's position on the paradox of Wittgenstein is a new form of philosophical scepticism, and many scholars have been critical of his view.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the domestic scholars' position on the interpretation of Kripke, which includes the Wittgenstein as a sceptic's domain, and discovers that Kripke's interpretation of Wittgenstein derives from a misinterpretation. Are there not sceptical elements for Wittgenstein? I will try to find that in his view that Kripke's interpretation of Wittgenstein was wrong, Wittgenstein was not a sceptic, and also how Wittgenstein's philosophy and attitude have sceptic elements or tendencies by comparing Wittgenstein with the ancient skepticism (Pyrrhonian scepticism). In order to do this, I will consider 1) Kripke's interpretation of Wittgenstein's “our paradox” in PI §201, Wittgenstein' not being sceptic based on the criticism of domestic scholars about this interpretation, and 2)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Wittgenstein and the ancient Pyrrhonian scepticism, as a domestic scholar, Nam Ki-chang, comparing the scepticism of ancient Pyrrhonism with that of Wittgenstein. In this regard I think that 3) Wittgenstein also has elements of scepticism, especially of Pyrrhonian scepticism in that the name of a new philosophical scepticism of Wittgenstein, irrespective of Kripke's misreading of Wittgenstein, can be meaningful, and there is a close approximation to the sceptic's attitude in the way he philosophizes in a more aggressive sense rather than the similarity of Pyrrhonian scepticism with Wittgenstein suggested by Nam Ki-chang, by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hilosophy of therapy of Wittgenstein and scepticism, which reveals the meaning of scepticism as a paradoxical reinterpretation of the sceptic's doubt in therapeutic stance. 비트겐슈타인은 회의주의자인가 아닌가? 이 문제에 대해, 비트겐슈타인 해석자들 대부분은 그가 회의주의자가 아니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이것이 학계의 주된 의견이기도 하다. 하지만, R. Fogelin과 S. A. Kripke는 다른 의견을 제시한다. R. 포겔린은 비트겐슈타인을 회의주의자로 간주하고 있으며, S. A. 크립키 또한 비트겐슈타인의 역설을 언급하면서 그의 이론을 “새로운 형태의 철학적 회의주의(new form of philosophical scepticism)”로 소개하고 있다. 물론, 많은 학자들은 포겔린과 크립키의 이러한 해석에 대해서 부정적이다. 하지만, 과연 그러한가? 본 논문에서 필자는 비트겐슈타인을 회의주의자의 영역에 포함시키는 크립키의 해석에 대한 다양한 입장들을 고찰하면서, 비트겐슈타인에게 나타나는 회의주의적 요소들을 천착하였다. 특히, 필자는 비트겐슈타인에 대한 크립키의 해석이 지닌 한계와는 별도로, 비트겐슈타인을 고대 피론주의 회의주의자들과 비교분석하면서, 그의 철학 안에 내재된 회의주의적 태도와 요소들을 고찰하면서, 그가 회의주의자임을 논증하였다. 이를 위해, 필자는 다음 3가지 문제를 주로 다루었다. (1) 비트겐슈타인에 대한 크립키의 해석은 유의미한가? 그리고, 크립키의 해석에 대한 비판은 정당한가? (2) 비트겐슈타인과 고대 피론주의 회의주의 사이에 존재하는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3) 비트겐슈타인은 새로운 형태의 철학적 회의주의자인가? 그리고 치유로서의 비트겐슈타인의 철학과 회의주의 철학 사이에는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가? 이러한 논의를 통해, 필자는 비트겐슈타인 철학 안에는 회의주의적 사유와 태도가 존재하며, 그가 회의주의자임을 밝혔다.

      • KCI등재

        프란치스코 산체스는 피론주의자인가, 아닌가?

        박규철(Park, Kyu-Cheol)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21 철학탐구 Vol.63 No.-

        프란치스코 산체스는, 몽테뉴와 더불어, 르네상스 시기 위대한 피론주의자다. 그는, 피론주의자였음에도 불구하고, ‘고대의 의학적 경험주의’와 ‘아카데미 학파의 회의주의’를 융합시키고자 하였다. 『아무 것도 알 수 없다는 것(Quod nihil scitur)』라는 그의 저서에는 철학적 융합의 정신이 잘 드러나 있다. 필자는 ‘최초의 르네상스 회의주의자’로서 F. 산체스를 다음 3가지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첫째로, F. 산체스의 회의주의를 구성하는 첫 번째 기둥은 ‘피론주의’다. 그는 르네상스 회의주의의 역사에 있어 위대한 피론주의자였다. 하지만, 다른 피론주의자들과 달리, 아카데미 학파의 회의주의나 의학적 경험주의를 수용하는 데 주저함이 없었다. 그의 이러한 도전정신으로 인하여, 르네상스 회의주의는 발전하였다. 둘째로, F. 산체스의 회의주의를 구성하는 두 번째 기둥은 ‘고대의 의학적 경험주의’다. 그는 의학적 경험주의에 기반 해서 ‘철학적인 것과 의학적인 것’의 결합은 시도하였다. 그가 가진 회의주의적 태도는 모두 의학연구 및 의료 행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그의 회의주의는 섹스투스 엠피리쿠스와 메노도토스의 고대 의학적 경험주의의 전통에 서 있었다. 셋째로, F. 산체스의 회의주의를 구성하는 세 번째 기둥은 ‘아카데미 학파의 회의주의’다. 그가 아카데미 학파의 회의주의로부터 받았던 지적 영향은 『아무 것도 알 수 없다는 것』에 잘 드러나 있다. 여기에서 그는 자신의 ‘무지’를 주장하였으며, 나아가 그 자신이 무지하다는 것조차 알지 못하였다고 주장하였다. 이런 점에서, 그의 회의주의는 ‘무지’를 고백하였던 소크라테스와 ‘무지의 무지’를 강조하였던 아르케실라오스의 전통에 서 있었다. 결론적으로, F. 산체스는 몽테뉴와 함께 르네상스 회의주의를 견인하였다. 몽테뉴가 신앙주의와 회의주의의 융합을 지향하였다고 한다면, 산체스는 피론주의와 의학적 경험주의 그리고 아카데미적 회의주의의 대(大)융합을 지향하였다. 그의 이러한 노력으로 인하여, 서구 회의주의의 지평은 확장될 수 있었다. 이런 점에서, 그는 ‘심오한 근대적인 사상가’이기도 하였다. Francisco Sanchez, along with Montaigne, is the great Pyrrhonist of the Renaissance. Although he was a Pyrrhonist, he tried to fuse the ancient medical school of Empiricism and the scepticism of the Academy with the Pyrrhonism. In his book, called That Nothing is Known, the spirit of philosophical fusion is well expressed. I examined Sanchez as ‘the first Renaissance skeptic’ from the following three perspectives. First, the first pillar constituting F. Sanchez"s skepticism is Pyrrhonism. He was the great pyronist in the history of Renaissance skepticism. However, unlike other Pyrrhonists, he did not hesitate to accept the Academic skepticism or medical Empiricism. Due to his challenging spirit, Renaissance skepticism was developed. Second, the second pillar constituting F. Sanchez"s skepticism is the ancient medical school of Empiricism. He attempted to combine ‘the philosophical and the medical" based on medical empiricism. All of his skepticism is closely related to medical research and practice. In this respect, his skepticism stood in the ancient medical school of Empiricism traditions of Sextus Empiricus and Menodotus. Third, the third pillar constituting F. Sanchez"s skepticism was the skepticism of the Academy. The intellectual influence he received from the skepticism of the Academy was well illustrated in That Nothing is Known. Here he asserted his ignorance, and further asserted that he did not even know that he was ignorant. In this respect, his skepticism stood in the tradition of Socrates, who professed ‘ignorance’ and Archesilaus, who emphasized ‘ignorance of ignorance’. In conclusion, F. Sanchez led the Renaissance skepticism together with Montaigne. If Montaigne aimed for the fusion of fideism and skepticism, Sanchez aimed for the great fusion of Pyrrhonism, the ancient medical school of Empiricism, and Academic skepticism. Because of his efforts, the horizons of Western skepticism could be expanded. In this respect, he was also ‘a profoundly modern thinker’

      • KCI등재

        피에르 샤롱은 피론주의자인가, 아닌가? - 『지혜에 관하여』에 나타난 신아카데미적 회의주의의 영향을 중심으로 -

        박규철(Park, Kyu-Cheol) 새한철학회 2021 哲學論叢 Vol.105 No.3

        피에르 샤롱은 몽테뉴의 새로운 피론주의를 계승한 피론주의자다. 하지만 그는 피론주의자들에게 금기의 대상이었던 신아카데미 학파의 회의주의를 수용함으로써, 전통적인 피론주의자였던 섹스투스 엠피리쿠스와 새로운 피론주의자였던 몽테뉴와는 차별화되는 새로운 형태의 회의주의를 선보였다. 그의 『지혜에 관하여』에는 신아카데미 학파의 다양한 흔적들이 존재하는데, 필자는 이것을 다음 3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첫째로, P. 샤롱은 몽테뉴의 『수상록』에 흩어져 있던 도덕철학적 논의들 중 의미 있는 것들을 가려 뽑아 삶의 길잡이 역할을 할 수 있는 ‘지혜의 안내서’를 만들었는데, 그것이 바로 『지혜에 관하여』였다. 그의 이러한 작업의 배경에는 현세의 삶의 영역에 있어 실천의 문제를 강조하였던 신아카데미 학파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였다. 둘째로, P. 샤롱은 무지를 고백하였던 소크라테스를 최초의 회의주의자로 이해하였는데, 그의 이러한 이해의 배경에는 소크라테스를 이상적인 회의주의자의 모델로 간주하였던 신아카데미 학파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였다. 그는 탐구보다 무지에 대한 고백을 더 강조함으로써, 무지에 대한 고백보다 탐구를 더 강조하였던 몽테뉴와는 다른 길을 갔다. 셋째로, P. 샤롱은 ‘오류가능성을 지닌 현자’라는 개념을 강조하였는데, 이것은 그가 신아카데미 학파의 영향 하에 있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스토아 학파가 현자의 오류불가능성을 주장한 데 반해, 신아카데미 학파는 현자의 오류성, 즉 현자도 상황에 따라 오류를 저지를 수 있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그는 신아카데미 학파의 현자관을 수용함으로써, 근대 회의주의의 새로운 길을 개척하였다. 결론적으로, P. 샤롱은 몽테뉴를 따라 신앙주의자이면서 회의주의자였다. 하지만 그는 몽테뉴의 신앙주의를 외재화시키고, 그의 회의주의를 신아카데미 학파의 회의주의와 융합시킴으로써, 몽테뉴와 차별화되는 그만의 새로운 회의주의를 선보였다. 그의 새로운 회의주의로 인하여, 16후반-17세기 초반 서구 회의주의의 지평은 더욱 더 다양해지고 풍부해질 수 있었다. Pierre Charron was a Pyrrhonist who succeeded Montaigne"s new Pyrrhonism. However, by accommodating the skepticism of the New Academics, which was escaped by the Pyrrhonists. In doing so, he introduced a new form of skepticism that differentiated him from the traditional Pyrrhonists Sextus Empiricus and the new Pyrrhonist Montaigne. The influence of the New Academics in Of Wisdom can be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ly, P. Charron wanted to create a guide book of wisdom that could shed light on for life by making meaningful ones from among the moral and philosophical discussions scattered in Montaigne"s Essays. That was Of Wisdom. However, the major milestone in his work was the skepticism of the New Academics, which emphasized the problem of practice in the realm of human life. Second, P. Charron understood Socrates, who confessed his ignorance, as the first skeptic, and the background of his understanding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New Academics, which regarded Socrates as an ideal model of the skeptic. However, by emphasizing confession of ignorance rather than inquiry, he took a different path from Montaigne, who emphasized inquiry rather than confession of ignorance. Third, P. Charron emphasized the concept of "the fallibility of the sage", which shows that he was under the influence of the New Academics. Unlike the Stoics, who insisted on the infallibility of the sage, the New Academics acknowledged that even the sage could make mistakes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He pioneered a new path of modern skepticism by accepting the sage view of the New Academics. In conclusion, P. Charron, following Montaigne, was both a fideist and a skeptic. However, by externalizing Montaigne"s fideism and fusing his skepticism with the skepticism of the New Academics, he showed his own new skepticism differentiated from Montaigne. Due to his new skepticism, the intellectual horizon of Western skepticism in the late 16th and early 17th centuries could become vastly expanded at fifferent tiers.

      • KCI등재

        회의주의와 감각현상

        김미영 대동철학회 2003 大同哲學 Vol.20 No.-

        고대철학에서 회의주의는 문제해결을 위해 전제되는 방법이다. 퓌론적 회의주의는 헬레니즘철학의 다른 학파들과 마찬가지로 행복에 도달하는 길을 제시하는 것을 철학의 목적으로 삼는다. 이와 반대로 근대철학에서 회의주의는 사물인식을 위해 극복되어야 할 문제로 여겨진다. 근대철학의 문제를 극복하려는 새로운 회의주의는 일상적 지성을 철학적 이데올로기로부터 자유롭게 함으로써 누구나 자연적 본성에 맞는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그 기반을 마련하려는 목적을 설정한다는 점에서 고대의 퓌론적 회의주의와 공통점을 갖는다. 그러나 새로운 회의주의는 직접적 인식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임으로써 동시대의 철학자 헤겔에 의해 독단주의라는 비판을 받는다. 이 글에서는 이와 같은 평가가 옳지 않다는 것이 보여진다. 주관적인 의미에서 현상을 받아들이는 퓌론적 회의주의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새로운 회의주의가 직접적 인식을 인정하는 것이 회의주의의 원칙과 모순에 빠지지 않는다는 것이 보여진다. 또한 이와 같은 직접성은 헤겔이 주장하는 처음의 단순한 직접성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진다. 인식의 일반성과 총체성이 개념의 역사로 설명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Der Skeptizismus wurde akzeptiert in der alten Philosophie als eine Methode zur Loesung der Probleme. Der pyrrhonische Skeptizismus setzte sich den Zweck der Philosophie, den Weg zum Glueck zu zeigen, wie es bei den anderen philosophischen Schulen des Hellenismus war. Demgegenueber wurde der Skeptizismus in der modernen Philosophie als ein Problem betrachtet, das fuer die Erkenntnis der Dinge zu ueberwinden war. Der neue Skeptizismus hat denselben Zweck der pyrrhonischen, indem er den gemeinen Menschenverstand von der philosophischen Ideologie freimacht, so dass es moeglich macht, fuer alle das ihrem natuerlichen Wesen angemessene Leben zu fuehren. Der neue Skeptizismus wurde aber kritisiert als ein Dogmatismus von dem zeitgenoessischen Philosoph Hegel, weil er die unmittelbare Erkenntnis der Dinge als gewiss annimmt. In dieser Artikel wird gezeigt, dass diese Kritik ungerecht ist. Es wird gezeigt, dass die pyrrhonische Annahme des Phaenomen problematisch ist, und dass der neue Skeptizismus trotz der Annahme der unmittelbaren Erkenntnis der Dinge sich nicht in Widerspruch geraet. Es wird noch vorgebracht, dass diese Unmittelbarkeit nicht die einfache Unmittelbarkeit bedeutet, welche Hegel meint. Die Allgemeinheit und Totalitaet der Erkenntnis soll nicht unbedingt durch eine Geschichte der Begriffe erklaert werden.

      • KCI등재

        버클리와 회의주의

        황설중 ( Sul Joong Hwang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1 철학연구 Vol.0 No.44

        "어떻게 회의주의를 근절할 것인가?"하는 물음은 버클리 철학의 가장 핵심적 주제라고 할 수 있다. 버클리가 회의주의의 위력을 알아챈 것은 당대의 피론주의자였던 벨을 통해서였다. 로크에 대한 벨의 비판을 보면서, 버클리는 마음 밖의 대상에 집착하는 모든 철학은 회의주의의 희생양이 될 수밖에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버클리는 회의주의를 성립시키는 기본 원리들에 대한 논박을 수행하면서 회의주의자들이 제기한 물음이 사이비 물음이라는 것을 밝혀내었다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그는 우리의 지각에 기초하여 새롭고 확실한 지식을 정초했다고 믿었다. 그러나 이런 그의 비유물론은 회의주의자들의 거센 저항에 부딪쳤다. 그래서 그는 모든 회의적 반론들을 단 한 번에 잠재울 전가(傳家)의 보도(寶刀)를 꺼내 들었는데, 그것은 영원히 깨어 있는 신이었다. 그러나 신을 입증하기 위해 직관과 반성과 추론의 영역으로 들어서자 그는 또다시 수세에 몰리게 되었다. 신을 입증하기 위해 추론적 논증을 구사하는 영역이야말로 고대 회의주의자들의 홈-그라운드였기 때문이다. 버클리는 추론의 영역으로 들어서기를 꺼렸지만 회의주의자의 공세를 막아내기 위해 이 세계로 뛰어들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그가 모든 것을 해결하고자 몸을 피했던 그곳이 바로 회의주의자들이 창궐하는 본거지였다. 회의주의를 극복하고자 했던 버클리의 기획은 수포로 돌아갔다. 그리고 이렇게 참담한 결과를 빚은 원인은 고대 회의주의자들이 고안해내었고, 데카르트가 원용했던 악마의 가설이었다고 할 수 있다. 버클리의 작업을 통해 흄과 칸트는 회의주의의 문제의 심각성을 목격하게 되었고, 다른 해결 방안을 찾지 않으면 안 되었다. Berkeley recognized a power of scepticism by help of Bayle who was a representative of the ancient pyrrhonism in the modern philosophical history. Seeing Bayle`s criticism of Locke, Berkeley got an insight that all kinds of philosophies searching for an objective reality outside mind had to be a victim of scepticism. How we can eradicate scepticism? This was the central issue that captivated young Berkeley. He was trying to refute the main (four) principles which he thought lead to scepticism. He was so confident to disclose a trick sceptics had played for a long time and to establish a new certain knowledge based on our perception. Sceptics began to attack and demolish an immaterialism citadel as soon as Berkeley was sure that it was invincible. It was danger of falling to the enemy. So He could not help but appeal to the infinite mind (God) staying awake through all eternity. But this is not the end of a problem but the beginning of real difficult trouble. To demonstrate the existence of God he was forced to go into the sphere of inference which had been the typical home ground of sceptics. It was an omnipotent demon hypothesis invented by ancient sceptics and used by Descartes that dealt Berkeley a mortal blow. Berkeley finally failed to refute scepticism, rather sceptics just swallowed Berkely. Berkeley`s defeat made Hume and Kant find another way to overcome scepticism.

      • KCI등재

        2부 일반논문 : 로크와 회의주의

        황설중 ( Sul Joong Hwang ) 한국헤겔학회 2014 헤겔연구 Vol.0 No.35

        로크가 1690년 그의 주저인 『인간지성론』을 정식으로 출판했을 때 철학계의 화두 가운데 하나는 회의주의였다. -신(新)아카데미 학파와 피론주의를 포함하여- 고대 회의주의에 대한 극복이야말로 로크를 포함하여 근세의 대부분의 주류 철학자들이 전념한 철학적 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데카르트가 수행한 의심들과 로크의 『인간지성론』이 아주 밀접하게 결부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그리고 이런 철학사적 배경 위에서 숙고를 거듭한 로크의 회의주의에 대한 답변이 신중하게 평가되었어야 했음에도 『인간지성론』은 출판되자마자 푸대접을 받았고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예컨대 로크는 『인간지성론』에서 회의주의에서 빠져나올 수 있는 길을 제시했다고 보았지만, 버클리에게는 오히려 로크가 회의주의를 인도하는 길잡이로 비춰졌다. 회의주의를 대하는 로크의 전략은 단순히 학문적으로 회의주의를 물리치는 것이 아니었다. 그는 삶에 주목하였고 우리가 관심을 갖는 일은 개연성으로 다스려도 충분하다고 보았다. 로크가 『인간지성론』에서 회의주의자들에 대응하고 있는 핵심적인 전략의 하나는 간단히 말해서, 절대적으로 확실한 지식의 확립을 시도한 것이 아니라 일종의 문제 해소의 맥락에서 프래그머티즘적 태도를 취하는 데에 있다. 로크는 우리에게 어떻게 회의주의에 이론적으로 대응할 것인가가 아니라, 삶에서 무엇이 유용한가에 집중하자고 역설하는 것이다. 로크에게는 개연성이야말로 참된 지식의 결여를 메우는 것이다. 로크는 개연성만으로도 삶과 지식에 충분하다고 간주하였다. 그러나 잘 알려져 있듯이, 회의주의에 대한 로크의 이런 프래그머티즘적인 해결책은 부각되지 못하였다. 왜냐하면 그는 철저하게 이런 유용성의 길을 걷지 아니하고, 줄곧 실재의 본성에 대한 파악에 마음을 빼앗겼기 때문이다. 요컨대 그는 언제나 표상주의에 한 다리를 걸치고 있었던 것이다. 로크가 회의주의자들이 제기한 인식론적 문제 자체의 가치를 인정하지 않고 그런 수고를 비웃었더라면 그는 이후의 철학자들에게 의해 그렇게 쉽게 도마 위에 오르지는 않았을 것이다. 실재 세계에 대한 그의 미련이 곧바로 그에게 파멸을 가지고 왔고, 동시에 회의주의에 대한 그의 프래그머티즘적 대응의 가능성을 시야에서 사라지게 만들었다. When Locke officially published An Essa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in 1690, an important philosophical topic was how to overcome scepticism. Most mainstream philosophers of the early modern philosophy including Locke dedicated to solve the problem of scepticism originated from ancient new-academic school and pyrrhonism. Although Locke carefully prepared to the answer to scepticism, An Essa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received a cold respond as soon as published and was criticized by leading philosophers of his time. For example, Berkeley considered An Essa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as a guide to scepticism. Locke`s strategy for dealing with scepticism is not simply to defeat it theoretically. He paid attention to actual life and saw the probability enough to cope with predicaments caused by life. The core answer to scepticism in An Essa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is not to establish the absolutely certain knowledge as Descartes did, but to take a pragmatic position in the context of problem solution. Locke suggested to focus on the usefulness, that is, what is useful to our life. According to Locke, the probability is to supply the defect of our knowledge and to live an happy life without terrible difficulties. As is well known, however, Locke`s pragmatic response to scepticism was not taken seriously by later philosophers. Rather, his proposal degenerated into the subject of harsh criticism. The basic reason for his unfortunate destiny lies in that Locke did not become a thorough anti-representionalist. He always had kept real world itself as a source of ideas, primary qualities, resemblance between thing and idea etc. in mind. In short, lingering affection to representaionalism resulted in his failure to scepticism. Locke`s philosophy showed why phyrronism could emerge as a philosophical invincible enem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