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화법의 교육내용에 대한 연구

        이진경 한국화법학회 2003 화법연구 Vol.6 No.-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화법 교육 내용을 미국ㆍ호주ㆍ일본의 화법 교육 내용과 비교하여 문제점을 찾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우리나라 화법 교육 내용에서 나타난 문제점으로는 첫째, 화법의 개념이 상호작용의 개념으로서 확립되지 않았다. 둘째, 화법 교육 내용이 단순히 듣기ㆍ말하기 내용뿐만 아니라 읽기, 쓰기, 언어 지식, 문학들과 통합적이지 못하다. 셋째, 우리나라 7차 국어과 교육 내용은 수준별 교육 과정을 지향하고 있으나 체계적인 계열성이나 위계성이 부족하다. 넷째, 학년별로 제시되는 내용의 배열 순서가 체계적이지 못하고 학년별 내용이 반복, 심화가 되지 않고 있다. 다섯째, 실제 언어 상황을 고려하고 언어 활동을 유도하는 내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새로운 화법 교육 내용을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제시한다. 우리나라의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듣기ㆍ말하기 영역을 토대로 하고 미국 뉴욕 주 화법 교육 내용의 다양한 ‘학습 활동’ 내용과 호주의 ‘상황’과 ‘언어 지식’을 고려한 내용 체계를 바탕으로 제시했다. 그리고 미국ㆍ호주ㆍ일본의 ‘화법’의 대한 개념과 ‘통합적인 교육’의 방향성을 도입시킨다. 또한 화법의 교육 내용과 실제 언어 활동과 연결시키기 위해서 담화로 구성된 여러 가지 ‘학습 활동’을 제시한다. 이와 같이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미국ㆍ호주ㆍ일본의 화법 교육 내용의 특징들을 비교 검토하여 개선된 우리나라의 화법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search problems and gropes for improvement course comparing education contents of speech of Korea to the contents of speech education of USA, Australia, and Japan. The rang of this study is secondary education and 'listening, speaking' contents from 7th grade to 10th of 'Text book of Korean' of Korea. And analyzing the contents of curriculum of USA, Japan, and Australia I took the method of literature study. The contents of this study on the speech education are as follows. In second chapter, I examined the contents of speech education of Korea, USA, Australia, and Japan. Comparing the contents of speech education of each country, they are composed of the essence, principle and attitude though the contents system is different. The contents of Korean speech themselves are not behind other countries. The contents about the essence, principle, and attitude are more systematically managed than other countries. In third chapter, based on the comparison contents with Korea and foreign countries I pointed out the problem of speech education contents of Korea, and presented the new speech education contents for improvement course. The problems in Korean speech education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notion of speech is not established for the notion of mutual operation. Secondly, the speech education contents are not unified with merely listening, speaking also reading, writing, language knowledge, literature, etc. Thirdly the education contents of 7th Korean subject point to the curriculum at each level but are short of systematic order and rank. Fourthly, the arrangement order of contents presented at each grade is not systematic and the contents at each grade are not repeated and deepened. Fifthly, we need the contents that consider the real language situation and induce the language activity. For the improvement course about this problem I presented the new speech education contents as follows. Based on the sphere of listening, speaking of 7th Korean curriculum, I presented it based on the various 'studying activity' contents of speech education of New York, USA and content system considered 'situation' and 'language knowledge'. And the notion of 'speech' of USA, Australia and Japan and the direction of 'unific education' are introduced. Also the newly presented speech content system unifies the separated sectors of listening and speaking for 'speech', divides into 'essence, principle', 'situation', 'attitude', 'language knowledge' and composes these having relation with 'the reality of speech'. Finally I present various 'study activity' composed with talk to link education content of speech to real language activity. In fourth chapter, I summarized the contents of this study. Like this, this study presented the improved speech education content of Korea comparing and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speech education content of USA, Australia, Japan, Japan, and Korea. In other words, grasping the speech education content of foreign countries it is significant that it prepared the groundwork for regarding objectively speech education content of Korea and presented new content.

      • KCI등재

        화법 연구의 경향과 대학 화법 교과과정의 방향성

        허재영(Heo Jae-Young) 한국리터러시학회 2012 리터러시 연구 Vol.- No.4

        이 연구는 대학 화법 교육의 기반을 이루는 화법 연구 경향을 살피고, 화법 교재 개발 현황을 분석하여 대학 화법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는 의도를 갖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1990년대 이후 발표된 251편의 논문과 90여종의 교재를 대상으로 대학 화법 교육 연구 및 화법 교육 방향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였다. 화법 연구 경향에서는 화법 연구 논문은, 의사소통의 관점에서 다루고자 한 것들과 기술이나 방법(화술 또는 화법)의 차원에서 접근하고자 한 것으로 나누었는데, 전자는 말하기?듣기의 장면뿐만 아니라 발신자(화자)와 수신자(청자)의 의사소통 행위 자체에 대한 관심을 갖는 논문을 의미하며, 후자는 말하기?듣기와 관련된 기술이나 능력, 방법 또는 이와 관련된 교육적인 접근을 시도한 논문을 의미한다. 또한 개별 논문에서 다룬 주제를 ‘교수?학습 관련 논문’, ‘교육 목표 및 평가 등을 다룬 논문’, ‘의사소통이나 화법의 유형 및 내용 등을 다룬 논문’, ‘의사소통이나 화법과 관련된 현상을 진단한 논문’ 등과 같이 분야에 따라 나누었다. 이를 통해 볼 때, 최근의 대학 화법 연구는 화법 일반론, 담화 유형이나 상황에서 발생하는 의사소통 또는 화법의 내용적인 면을 중심으로 연구되는 경향이 있었다. 화법 교재 분석은 각 교재에서 중시한 목표 및 성격을 기준으로, 기술?방법 등의 기능을 고려한 교재, 소통 능력 배양을 목표로 한 교재, 사고력 함양을 목표로 한 교재 등으로 나누었다. 그 결과 최근의 대학 화법 교재는 소통 능력이나 사고력 함양을 목표로 한 교재가 늘어나는 추세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현재의 대학 화법 교육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이유는 화법 교육의 역사를 통해 볼 때, 말하기?듣기를 기술적인 면에서 접근하고자 한 경향이 있었으며, 중?고등학교 화법 교육과 대학의 화법 교육의 연속성, 다양한 대학 교육과정에 적합한 대학 화법 교육과정 개발의 미흡 등에서 기인한다. 이 점을 고려하여 이 연구에서는 대학 화법 교육과정 설계 시 유의할 점을 연속성과 다양성의 두 가지 관점에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previous researches on college speech education and textbooks. I think that college speech education takes on historicity but the various advanced researches are not enough. I collected materials on the studies of speech or communication and textbooks. I classified these studies and textbooks according to themes or objects. I discovered these studies focused on the general theory of college speech or speech skills. Many of textbooks deal with speech theories or skills. But some teaching aids aim to promote thinking or communication abilities. I noticed that the college speech curriculum has two problems. First, the lack of continuity the preceding middle or high school curriculum. Second, the lack of diversity which is suitable for college education s objectives and situations. I think that we should consider these two points when we design college speech curricula.

      • KCI등재

        화법교육을 통해 기르고자 하는 인간상에 관한 고찰

        유동엽(Dong-yup Yoo)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22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6 No.1

        본 논문은 화법교육을 통해 기르고자 하는 인간상의 문제에 초점을 맞춰서 현재의 화법교육을 진단하고, 바람직한 화법교육의 방향을 논하고자 하였다. 첫째, 본 논문에서는 화법교육의 관점에서 홍익인간을 ‘말을 잘 해서 다른 사람도 이롭게 하는 사람’이라 조작적으로 정의하였다. 이에 대한 심층적 논의를 토대로, ‘홍익인간을 양성한다’라는 공교육의 목표가 화법교육을 통해 달성하기에 간단한 과제가 아니라는 점을 논증하였다. 둘째, 방송 화법, 표준 화법 등을 내세운 과거의 화법교육만으로는 사회적 관계망(SNS)을 통한 개인 간의 소통이 주류를 이루는 현시대에 부응하기 어렵다는 점을 논하였다. 그리고, 아나운서처럼 말을 잘하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부담으로부터 학생들을 자유롭게 해 주는 데서 화법교육의 방향 전환이 시작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셋째, 인성 교육이나 전통 화법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현재보다 도덕적 가치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화법교육이 나아가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direction of desirable Oral Communication Education by focusing on human characters to be raised through OCE. First, In this paper, Hongik humans are operatively defined as ‘people who benefit others by speaking well.’ And it was argued that the goal of public education ‘raising Hongik humans' is not a simple task to achieve through OCE. Second, It was discussed that it is difficult to cope with the current era in which communication between individuals through SNS is the mainstream only through OCE, which puts forward broadcasting Speech, and Standard Speech. Also, it was suggested that the direction of OCE should be re-oriented by freeing students from the burden of becoming a good speaker like an announcer. Third, based on discussions on personality education or traditional speech, it was suggested that OCE should move forward in a direction that emphasizes moral values more than the present.

      • KCI등재

        교사 양성대학 학생의 교수화법 능력 향상을 위한 해결 과제

        이창덕 ( Chang Deok Lee ) 한국화법학회 2014 화법연구 Vol.0 No.25

        이 글에서는 교사 양성기관 학생들의 교수화법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교수화법의 개념을 정리하고, 교수화법의 하위 능력 범주를 설정한 후 교사 양성대학 학생과 교사들의 교수화법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 해결해야 할 과제를 논의했다. 교사가 교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말하게 되는 전반적인 화법을 넓은 의미의 교사화법으로 규정하고, 그 하위범주로 교사 사회화법, 교사 학교화법, 교사 교실화법으로 나누었다. 그 가운데 수업화법이 교사 양성기관 학생들이 길러야 할 핵심 화법임을 강조하고, 수업화법 능력 요소를 점검한후, 해결할 과제로 교사 수업 화법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강화, 교사수업 화법 자료의 체계적 수집과 분석, 교사 양성과 연수 과정에서 교수화법 과목 개설과 함께 교수화법에 관한 이론과 실기 교육을 위한 체계적 지원 체계 확립을 주장했다. 교사 교육에서 교사들의 수업화법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교사 양성 과정의 핵심 과제이고 또한 효과적으로 목표 달성이 가능한 과제이다. 교실 현장의 수업대화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예비교사와 현직 교사들에 대한 연수와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현재 교실 수업의 많은 문제점들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업대화 분석을 통한 수업 평가와 분석은 그 신뢰도가 높고, 관찰과 분석의 층위에 따라 교사 수업 화법 능력을 미시적으로, 거시적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가지고 교사들의 수업 화법의 문제를 점검하고 개선하게 하는 교육을 할 수 있다. 효과적인 교사화법 교육을 위해서는 각 교대와 사범대학, 교육대학원, 교육연수원에 교사 수업화법 과목을 개설하고, 교육 내용과 방법, 교육 목적과 학습자 특성 등에 맞춘 맞춤형 교수화법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금까지 교실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현재 이루어지는 다양한 수업 대화를 분석한 결과를 체계적 교육 요소로 나누어 교실 수업 운영자로서 교사의 교실 상호작용을 다루는 교육이 이루어지면 현재보다 더 나은 교사 수업 운영 능력이 길러질 것이다. 하루가 다르게 우리 사회의 교육 환경이 달라지고, 교육에 대한 인식과 패러다임이 학습자 중심, 탐구 중심, 협동 학습 등으로 달라지면서 수업대화 연구 또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고 또 그렇게 될 것이다. 수십년 동안 교실 대화를 연구한 선진국에서조차 교실 대화 분석은 이제 표면을 긁는 정도에 지나지 않을 정도로 앞으로 연구할 부분이 많고, 교실의 대화적 상호작용은 복잡하다는 것을 인정한다. 한국의 각 급학교의 교실 대화도 이제 본격적 자료 수집과 분석, 연구와 교육이 필요한 시기가 되었다고 본다. Recently research on the teachers` roles in classroom interaction has steadily increased particularly in the area of oral competency while teaching and managing the class. Much of the research stresses the importance of classroom interaction analysis and teacher education for effective communication and education. In this paper, I discuss the concept of oral communication competencies of teachers and I systemize the competencies into three categories; epistemological, linguistic, and in social communicative ability. I emphasis the need for a systematic approach to classroom oral interactions to improve teachers` competencies in classroom management and teaching. For the most part of efficiency during classroom teaching and learning depends on the teacher`s mind to their students and on the teacher`s ability for their subject. Teachers` attitudes towards students and the language they use to communicate with them is critical to teaching and student learning. I suggest that educational community needs to take steps to improve teachers` communicative competency in the classroom. First, a strong awareness of the need for more extensive research in this critical area should be encouraged. Secondly, a systematic collection and analysis of data relevant to classroom conversations should be established. Thirdly, effective and reliable programs focusing on effective teacher communication should be offered in all colleges and institutions offering teacher education programs. Finally, a collaborative committee comprised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authorities should be establish to review, research, and implement appropriate strategies for effective teacher communicative competency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recent interest in teacher communicative ability in the classroom, a greater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very utterance and sequence in classroom interactions is beginning to be analyzed relevant to the learner centered approach. I expect that there will be a growing abundance of literature in this area in the very near future.

      • 화법 교육의 전통

        김형진 국어교과교육학회 2009 국어교과교육연구 Vol.16 No.-

        여러 문헌에 나타난 화법 교육은 당시의 사상적 배경과 함께 현대까지 면면히 이어져 온 것으로 보인다. 불교 사상에서는 차별을 배제한 소통의 힘과 말과 마음과 행동이 일치하는 조화로운 화법을 강조하고 있다. 유교사상에 나타난 화법의 기본 정신은 책임성과 공손함으로 자기 자신을 수양하고 어른을 공경하며 올바른 도리로 남을 대하는 태도로 정리할 수 있다. 도교 사상에서는 주관적인 편견에 사로잡힌 언어 소통은 오히려 서로간의 의사소통을 방해하고 오해로 표출된다는 점에서 언어 사용의 주의를 당부한다. 이러한 전통적 화법 교육은 말의 내용과 언어의 태도, 책임성 있는 말하기 태도 형성에 큰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논의는 우리 화법 교육이 전통의 화법 문화를 수용하고 발전시키는데 소홀했다는 반성이 제기되는 근거가 되며, 동양의 언어관 보다 서양의 언어관에 치우쳐 말하는 기능에 충분한 교육적 철학을 담지 못했다는 반성에 도달한다. 구체적으로 언어행위가 거칠어지는 오늘날의 말 문화를 반성하게 하고 진실을 전하는 대화, 언행이 일치되는 화법을 만드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화법 교육의 현황과 과제

        임칠성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1 한국어문교육 Vol.10 No.-

        화법 교육은 6차 국어과 교육과정 때문에 과목으로 신설되어 운영되어 왔다. 6차 교육과정에서 현재의 교육과정으로 넘어오면서 화법의 개념은 표현과 이해에서 상호 교섭으로 바뀌었다. 이것은 연설 중심의 화법 교육이 대화 중심의 화법 교육으로 변화하였다는 것을 뜻한, 2009 개정 교육과정 에서는 화법의 사회· 문화적 맥락과 매체적 특성을 강조함에 따라 화법의 하위 능력은 표현과 이해 중심의 언어적 의사소통 능력에서 구두 언어적 능력, 관계적 능력, 자기 점검 및 조정 능력으로 확대되었다. 화법의 기능도 주변의 문제 해결, 가족과 사회 구성원 간의 합리적인 갈등 조정, 인간 관계의 개산 등으로 구체화되었다, 화법 교육의 목표도 표현과 이해의 의사 소통 능력에서 시작하여 화법 지식, 화법 문화, 상황 분적, 담화 유형 등으로 구체화 혹은 심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내용 체계에서도 6차의 ``내용의 선정, 조직, 표현 및 전달`` 에서 7차의 ``언어적 배경, 사회 문화적 배경, 전략``의 틀을 거쳐 현재는 ``수용과 생산, 사회적 상호 작용, 점검과 조정``이라는 구어 표현, 사회적 관계, 점검과 조정이라는 세 개의 내용 층위로 발전해 왔다. 의미 표현Z전달 중심의 일차적인 교육 내용 층위가 화법은 상호 교섭 과정이라는 기본적인 인식 아래 삼차원적인 층위로 발전한 것이다. 담화 유형의 실제도 화법 교육이 학문적인 틀에 기반을 한 교육과 함께 학생들의 현실적 요구와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여 교육하여야 한다는 의식을 배경으로 대화, 연설, 토의, 토론 외에 면접, 협상, 발표가 포함되었다. 이러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화법 교육은 사용되는 용어와 개념들이 화법 교육의 학문적 발달에 부응하여 재개념화 혹은 명료화되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또 국아 교육의 화법 영약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제대로 반영하여 화법 교육이 확대되고 내실화 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우리 사회에서 혼란을 빚고 있는 호·지칭과 사회적 인사말에 대한 화법 표준화에 대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사회가 현재의 문자 사회와 소통의 구조와 방식이 달라짐에 따라 이에 대비하는 화법 교육의 틀을 마련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 has been developed since 6th Korean language curriculum, when speech communication appear as a subject, The character of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 was changed from that of speech orientation to that of conversation orientation, which prescribed speech communication as transactional process, and emphasized ifs social and cultural attributes. Sub-abilities of speech communication have been enlarged into oral language ability, relational ability, self monitoring and self control ability. The skills of speech communication have been specified to be problems solving in surrounding, reasonal conflict meditation among family or society members. The aim of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 has been deeper and more concrete. It began oral composition and comprehension ability and it expanded it`s range to the knowledge of it, the culture of it, analysis of situation, and types of discourse, Those are resulted from cognition of speech communication as a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not as a tool for communication simply. Even though the development,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 have lots of problems to be solved those which are caused by the needs of inside and outside situation. First, it should make some terms redefinition or clearly including ``speech communication`` itself Second. it should make an effort that the needs about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 of students and parents of them will be responded into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rd, it should make Korean speech 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in three pails; domestic part, part of union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nd part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t last, it should accept and educate the changes of stricture and method in speech communication, caused by the change the media from oral and written language to digital language.

      • 정중 어법 교육 연구

        이재원(Lee Jaewon) 세계한국어문학회 2009 세계한국어문학 Vol.1 No.-

        화법은 6차 교육 과정에서 공식적으로 채택된 국어과 과목이나 현실적으로 이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는 매우 미흡한 상태이다. 국어과 과목의 교육 목표를 효과적인 의사소통에 있다고 볼 때 학습자들이 국어를 배우는 데 있어 기초가 되는 과목이 화법이다. 그러나 화법의 이론에 대한 연구나 새로운 이론의 출현이 극히 드문 것이 국어 교육학에서의 화법의 현실이며 이로 인해 화법 교육에 대한 무용성이 제기되기도 한다. 화법 교육의 이론을 정확히 이해하고 교육을 하도록 하는 한편 화법 교육에서 국어 지식 즉 문법 영역과의 통합된 교육이 가능토록 하기 위해 두 영역의 공통분모라고 볼 수 있는 정중 어법의 이론 연구를 통해서 화법 영역과 문법 영역의 통합을 꾀한 국어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화법 교육에서 있어 한계로 지적되는 외국 이론의 차용의 문제점을 제기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먼저 1장에서는 화법 교육에서의 정중 어법과 그 이론에 관한 선행 연구를 면밀히 고찰한 뒤, 연구의 대상을 고등학교 심화 선택 과목인 화법으로 제한하여 위 연구의 교육적 필요성을 살펴본다. 2장에서는 본격적으로 정중 어법의 이론을 살피기 위해 용어의 정의를 정리하고 이에 따른 문제점을 살핀 뒤, 언어학에서의 정중 어법 이론과 교육 과정에서의 정중 어법 이론을 비교해 본다. 3장에서는 연구에서 살피고자 하는 대상인 화법 교육과정과 화법 교과서의 분석 그리고 교사 학생들의 설문조사를 토대로 정중 어법의 이론이 화법 교육에 어떻게 제시되고 있으며 그 문제점은 무엇인지를 살펴보도록 한다. 4장에서는 이제까지 문제점을 토대로 정중 어법의 이론에서 제시된 대화의 격률과 정중 어법을 실현시키는 언어적 장치를 학습하는 방향으로 정중 어법 교육 내용을 설계함으로서 교수 학습 방법을 제시해 본다. 위의 논의들은 정중 어법의 교육을 통해서 화법 교육의 문제점을 밝히고 그 해결점을 어느 정도 제시함으로써 화법 교육에 있어서 발전적인 방향을 마련했다. Although 'Speech' is a Korean language subject officially selected in the 6th Curriculum, the reality is that theoretical studies on speech are very insufficient. If the educational objective of Korean language is an effective communication, the subject that becomes a foundation for those learning Korean language is speech. However, it is a reality that the appearance of studies on theories of speech or new theories is very scarce and, because of this, futility of speech education is presented. A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presented that seeks to integrate the fields of speech and grammar through a theoretical study of mode of speech mode of speech, which can be seen as a common denominator of the two fields, to accurately understand and educate the theories of speech education while making an integrated education with Korean language knowledge, namely the field of grammar, in speech education possible. In addition, the problem of borrowing theories from other countries, which is being pointed out as a limitation in speech education, is presented, and an education plan to solve such problem is presented. First, in Chapter 1, after closely examining the existing studies on Politeness Principle and its theories in speech education, educational necessity of the above study is examined by limiting the objects of this study to speech, which is a high school advanced selective course. In Chapter 2, after summarizing the definitions of the terms to examine the theories of Politeness Principle and examining the according problems, the theories of Politeness Principle in linguistics and the theories of polite mode of speech in curriculum are compared. In Chapter 3, based on speech curriculum, which is the object of examination in this study, speech textbook analysis and survey research of teachers and students, how the theories of polite mode of speech are being presented in speech education and their problems are examined. In Chapter 4, based on the problems, a teaching method is presented by planning the educational content of Politeness Principle of speech in the direction of teaching maxim of conversation presented in Politeness Principle theory and linguistic apparatus that actualizes Politeness Principle. The above discussion provided a constructive direction in speech education by identifying the problems in speech education through Politeness Principle of speech education and somewhat presenting their points of solution.

      • KCI등재

        화법 교육과정의 문제와 개선 방안 : 특집 ; 초,중,고교 듣기와 말하기 : 고교 화법 교육과정의 문제와 개선 방안

        이창덕 ( Chang Deok Lee ) 한국화법학회 2005 화법연구 Vol.8 No.-

        본고는 현행 제7차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국어과 심화 선택 과목으로 지정되어 운영되고 있는 ``화법`` 교육과정을 시행 절차나 방법이 아니라 이론과 체계 차원에서 개선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논의했다. 화법 이론이나 화법 교육 이론과 교육과정 체계(성격, 목표, 내용, 방법, 평가)에 드러난 문제점을 분석하고 각 차원에서 화법 교육의 효용성과 효율성을 높일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이론 차원의 문제점은 국어과 교육과정에 모국어 교육 철학에 바탕을 둔 국어과 교육과정 이론의 부재를 지적했다. 학습자들의 적성과 진로를 위해 고교 심화 선택 과정에 개설된 ``화법`` 과목 특성에 맞는 이론을 새롭게 개발해야 하는데 그 이론이 없다는 문제를 지적했다. 또, 세계화, 정보화를 내세우고 개인 능력과 수준차이를 고려한 신자 유주의 경쟁 이론을 도입하여 국어과에도 수준별 편성(물론 단계별 수준 편성은 아니지만 심화·보충형 수준별 편성)을 강조하고 있는 점을 지적했다. 경쟁에서 승리하는 것보다는 협동과 상호존중의 정신을 강조해야 하는 언어생활의 기본 도리를 생각할 때 말하기 듣기나 화법 영역에 수준별 교육을 강조하는 것은 잘못된 적용이라고 보았다. 모국어 화법 교육은 모든 기본 지식과 기능을 체계적으로 학습시키기보다는 학습자들의 실제 언어생활에서 생기는 문제를 해결하는 문제해결을 위한 화법 교육으로 바꾸어야 한다고 보았다. 화법 생활에서 모자라는 부분을 보강하고, 또 문제 요소들을 찾아 조정하고 해결해 나가도록 상위인지를 강화해주는 교육이 되어야 함을 강조했다. ``화법``과목의 성격과 목표 영역의 문제점으로 ``화법 과목 교육과정은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국민 공통 교육 기간의 말하기·듣기영역의 교육 내용을 심화시키는 측면과 대학에서 교양 강좌를 배우기에 앞서 배우는 교양 강좌``라고 특성을 규정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학습자의 개인적 적성과 진로 차이``를 고려해서 개설한 심화 선택 과정인 ``화법``은 공통교육과정의 듣기·말하기 교육과는 다른 성격 규정과 목표 설정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목표 설정도 지식과 기능의 이해와 숙달뿐만 아니라 창의적 사고, 바람직한 인간관계 형성 등에도 초점이 맞추어져야 함을 강조했다. ``화법`` 내용 영역에서는 첫째, 본질, 원리, 태도, 그리고 실제로 구분된 내용 체계 설정 방식과 각 영역의 하위 범주 내용 설정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용어 개념 규정이 모호하고, 하위 범주 내용과 설정 기준이 불분명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특히 수준별 내용 체계를 강조하고 있는데 학습자들의 언어 능력을 기초조사하지 않고 정한 수준 위계화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모국어 음성언어 교육이므로 학습자들이 이미 알고, 하고 있는 지식과 기능을 제외한 모르고, 하지 못하고 있는 영역, 문제되는 영역을 학습자들의 언어 사용 실태 조사를 바탕으로 내용 재구성하도록 제안했다. 학습 요구가 높은 특정 유형의 화법으로 내용 범위를 좁히는 것도 한 가지 방법임을 제안했다. 교수-학습 영역의 문제점은 그것들이 대부분 목표와 내용의 문제와 연결되어 있음을 지적했다. 현재 교육과정에서 교수-학습의 12가지 지침과 교과서 개발과 심의 기준 제공 정도라면 오히려 학교나 교사수준에서 목표와 내용에 맞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도록 열어두고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지원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중 Aft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put into operation, the demand to revise the curriculum has been increasing due to the emergence of problems in enforcement the curriculum into every school and the change in educational situation. This paper examines the problems in the curriculum of ``Speech Education`` and makes a few proposal to improve the formation of ``the Speech Education Curriculum``. First, it is argued that there is no philosophical base for the education of spoken language as a mother tongue. I have insisted that native language education must be totally different from that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suggested a new way of establishing the purpose of spoken language education for the students in the course of ``the National Curriculum``. It is named as ``Education for Language Health Improvement`` that aims to improve every student``s daily life with their words checking their weak points and exercising to strengthen their health. Secondly, in establishing the character and the purpose of ``the Speech Education``, some problems have been pointed out in terms of the prescription of the character of ``Speech Education`` as a module to deepen the contents of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in the 10 years common curriculum and to prepare the study of speech in college course. It is argued that the purpose of ``Speech Education`` needs to be focused not only on the knowledge and functions of speaking and listening but on the ways to promote creative thinking and to reinforce the ability to form a close friendship. Thirdly, in the structure of the speech education contents, the concepts of the key words, ``substance``, ``principle``, ``manner`` and ``practice``, have been criticized. And it is pointed out that without practical data of the ability and needs of the students who will be taught with the curriculum, to systemize and to classify the contents of ``the Speech Education`` is impossible. I have insisted that practical conversation data classified by the student level should be taken into the speech education contents. Fourthly, I have suggested that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can be devised by the character of the purpose and contents. Restricted suggestions for the ways of teaching and learning could be obstacles for teachers, therefore administrative support should be given to the teachers to design a practical methods of ``Speech Education``. Finally, it is argued that for the better assessment and evaluation of ``Speech Education``, all the course of the evaluation has to be changed not for the entrance examination but for the enhancement of ability to cooperate and get together with others.

      • KCI등재

        역량 기반 교육과정을 대비한 화법 교육 내용 개발 방향 탐색

        서영진 ( Young Jin Seo ) 한국화법학회 2015 화법연구 Vol.0 No.27

        본 연구는 역량 기반 교육과정을 대비하여 화법 교육 내용을 개발하는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지 속적으로 강조해 온 화법 교육 내용 요소와 해외 여러 나라의 자국어 교육과정에서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화법 교육 내용 요소를 분석 하여 교집합을 이루는 핵심 내용들을 추출하고, 그 과정에서 포착된 화법 교육 내용 구성상의 특징과 시사점을 분석하였다. 화법 교육 내용에 대한 비교 연구를 위해 살핀 교육과정은 우리나 라 교육과정 중 제6차.제7차.2007 개정.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 정과 미국.호주.영국의 자국어 교육과정이다. 분석 결과, 각 시기별· 국가별 교유과정에서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화법 교육 내용 요소 는 내용 이해를 질문하며 적극적으로 듣기, 비판적 듣기, 상황.목적 에 적절하게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여 말하기, 상대방과 협력적으로 상호교섭하며 생각 발전시키기, 반언어 및 비언어적 표현 활용하여 말 하기, 다중복합매체를 활용하여 이해하고 표현하기, 사회적 활용도 및 전이 가능성이 높은 대표적인 담화 유형 익히기(발표하기, 토의하기, 토론하기)였다. 한편 각 교육과정을 고찰하면서, 담화 유형 중심 접근 법과 의사소통 일반 원리 중심 접근법의 의의, 화법 교육 내용 조직의 계속성과 계열성 구현 방안, 역량 기반 교육과정에 적절한 교육 내용 진술 방식, 지식기반사회에서 요구하는 사고 능력 함양을 위한 구어 의사소통의 활용, 구어 의사소통의 상호교섭적 성격의 체계적 반영 등 과 관련한 시사점을 얻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제시한 화법 교육 내용 개발 방향은 세가지이다. 첫째, 국내.외 화법 교육 내용을 관통하는 요소를 참조하며 전이가가 높은 필수 핵심 내용을 엄선해야 한다. 핵심 내용을 엄선 할 때는 보편적.항존적 요소를 중심으로 하되 변화지향적.특수적 요소도 고려하며 조화를 유지해야 한다. 둘째, 개별 담화 유형에 특화 된 내용을 우선하기보다 구어 의사소통 상황에 두루 적용되는 원리를 중심으로 심화 반복 학습할 수 있도록 조직해야 한다. 셋째, 화법 교 육 내용 개발 방향 및 역량 기반 교육의 취지를 고려하여 내용 진술 수위를 조정해야 한다. 표준적인 필수 내용의 범위를 명확하게 제시하 되, 장기적으로는 간소화 방향을 검토해야 한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화법 교육에서 핵심적인 교육 내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더불어 역량 기반 교육과정을 대비한 화법 교육과정 설계 논의를 풍성하게 하는 계기를 마련하는 데도 기여할 수 있을 것 이다. This study explored directions of contents development in communication education which would satisfy expectations of current national competency-based curriculum. Having focused on contents of speaking communication education, factors continuously stressed in Korean national curriculums and commonly emphasized factors in national language curriculums from various foreign countries were analyzed and key factors in common were deducted accordingly. Furthermor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in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 contents were evaluated for the study. Comparisons were made taking account of the 6th and the 7th Korean language curriculums and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s of 2007 and 2009, English curriculums in the USA, Australia and the UK. Commonly stressed education contents between Korean curriculums and the foreign curriculums were found as follows: proactive listening while asking questions for better understanding, critical listening, selecting and organizing proper things to speak, developing ideas by cooperative transaction with others, speaking with semi-verbal expression & nonverbal expression, comprehending and expressing with the utilization of multi-media, studying discourse types of wide application. Some more crucial aspects were found to be : characteristics of discourse focused types and general communication skills ineducation contents, guaranteed continuity and sequence for improving communication ability, proper statement in competency-based curriculum, general capacity building of communication in cross-curriculums, systematic reflection of transactive nature in oral communication. This study resulted in three directions of developing speaking communication education contents in an era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Firstly, there should be quantity optimization of core contents selected proportionately based upon universal and perennial application, change oriented or unique contents. Secondly, there need to be systematic core and substantial contents with widespread application that can be studied repeatedly in depth. This would contribute to effectiv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ability and general capacity in cross-curriculums. Lastly, more simplified education contents, not very substantive, with an overview or general guidelines, would need to be introduced in the future in order to better implement goals and objective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although it is quite challenging under the current circumstances.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uld be able to provide helpful information regarding core education contents in speaking communication education. In addition, the study results are expected to promote positive discussion on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contents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 KCI등재

        대학 화법 교육의 내용 구성

        전은주 ( Eun Joo Jeon ) 국어교육학회 2007 國語敎育學硏究 Vol.30 No.-

        이 글은 현재 여러 대학에서 교양 교육의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화법(말하기) 교육의 내용을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대학 화법 교육의 내용 구성에 나타난 특성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 화법 교육의 내용 구성에서 지향해야 할 바를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화법 교육은 ``담화 중심형``의 내용 구성이 많으며, 토론을 가장 중요한 담화 유형으로 다루고 있다. 그러나 화법 이론에 대한 내용과 교육 내용으로 선정된 담화 유형이 고등학교 화법 교육과 거의 차이가 없어 고등학교 화법 교육과 차별화가 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 담화 유형을 교육 내용으로 선정할 때 기준이 없어 상대적으로 실용도가 떨어지는 담화 유형이 교육되는 경우도 있었다. 교육 내용을 구성할 때는 내용을 선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선정된 내용을 실행할 수 있는 교육 여건도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 글에서 조사한 대학의 화법 교육 내용 구성 중에는 실행성의 원리가 고려되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이 밖에 우리 화법과 화법 문화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교육 내용이 선정되어 있지 않다는 점과 강의자 변인에 따라 교육 내용 구성에 차가 많다는 것도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대학 화법 교육의 내용을 구성할 때는 고등학교 화법 교육과 교육의 내용이나 수준 혹은 방법 등에서 차별화가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교육 내용을 선정할 때 선택과 집중의 원리에 입각하여 대학생 학습자에게 필요한 최적의 내용을 한 학기동안 집중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 밖에 화법 과목에 대한 경험과 수준에 따라 일반형과 심화형으로 교육 내용을 구성하고, 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화의 원리도 고려해 보아야 한다. This article comparatively analyzes the contents of speech education as a liberal education course. It aim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in organizing the contents of speech education in the university level and to provide a suggestion for an ideal contents organization for the speech education. Current education of speech in the university is mainly centered on the discourse and regards the debate as the most important discourse pattern. However, such an education policy is not differentiated from high school speech education since the discourse pattern chosen by the university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at of high school. More over, there is paucity of the criteria by which to choose a discourse pattern. Thus, sometimes a discourse pattern without practicability is picked up for education. When organizing educational contents, not only the contents but also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tent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However, many cases analyzed in this study lack implementation. Besides, other issues have been revealed. For example, essential contents for understanding our speech and culture is missing from the curriculum and there is a wide variability in organizing the educational contents depending on the "instructor" factor. Caution must be exercised when we organize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university speech. They must be differentiated from the level and methods for high school speech education. Further more, when we set up the educational contents, we should focus on one or two and practice it (or them) intensively for the whole semester. Otherwise, we can consider providing a stepwise approach for the students, in which they can choose between a regular and an advanced course depending on the experience and the level of spee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