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現代韓語偏正式"形+名"結構

        박종님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2 인문학연구 Vol.0 No.43

        편정결구(편정결구(偏正結構))는 현대한어에서 자주 사용되는 일종의 어법구조이다. 편정결구(편정결구(偏正結構))의 구성(構成), 기능(功能)과 운용(運用)은 많은 언어학자들이 분석하고 연구하였다. 적지 않은 학자들이 편정결구(偏正結構)의 어법기능과 편정결구(偏正結構) 중심어의 어법기능이 같다고 주장한다. 邢公原선생은 관형어(定語)、상어(狀語)를 "偏"이라 하였다. 그것은 어법기능상의 중심어기 때문이고, 전체 구(詞組)의 어법기능을 중심어의 어법기능이 결정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관형어(定語)、상어(狀語)를 첨가하거나 혹은 취소하여도 어법기능에는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주덕희(朱德熙)、호명양(胡明揚) 선생들도 역시 비슷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만약 좀 더 깊이 있게 분석을 해보면 명사성편정결구(偏正結構)중 관형어(定語)를 첨가하거나 취소하면 중심어의 어법기능이 조금은 영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들어 "호비기(好脾氣)" 이것은 편정결구(偏正結構)의 술어(謂詞)의 어법 기능)이 있고, 술어가"타마마진비기(他瑪瑪眞脾氣)" 라면, 이것은 술어가 없는 어법기능이다. 본문은 주로 형용사(形容詞) +명사 (名詞)를 조합한 편정결구(偏正結構)(簡稱爲形名結構)에 대해 논하였고, 형용사에 관형어를 첨가하거나 또는 취소 했을 때 중심어의 어법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중점적으로 논하였다. 現代漢語短語的句法結構功能有各種不同的類型. 如果把短語的功能分爲名詞性工能, 動詞性功能和形容詞性功能三類的話, 那馬短語中就不僅有單功能短語, 例如述賓短語和連動短語都只具有動詞性功能, 同位短語只具有名詞性功能;也有雙功能短語, 如述補短語機有動詞性功能("走進來", "洗得滿頭大汗"), 也有形容詞性功能("好得欣"、"淸楚極了");還有多功能短語, 卽包括名詞, 動詞, 形容詞三種功能的, 如聯合短語和偏正短語. 偏正結構是漢語中一種常用的語法結構, 他的構成, 功能和運用, 學者們已作了比較充分的硏究. 不少人認爲偏正結構的語法功能和他中心語的語法功能是相同的邢公原先生指出:"我們把定語、狀語稱爲``偏``, 是因爲他們在語法功能上屬於中心語的, 整個詞組的語法功能取決於中心語的語法功能, 定語狀語的增加或取消對語法功能沒有影響. "朱德熙先生也認爲, "從結構上說, 偏正結構的核心是中心語, 因爲偏正結構作爲一個整體, 語法功能和中心語是一致的. "胡明揚先生說"向心詞組是整個詞組的功能相當於詞組中心語的功能, 如偏正詞組的功能與中心語的功能相同". 這些學者的論述闡明了偏正結構在語法功能上的共同規律. 但是, 如果進一步分析, 我們會發現, 在名詞性的偏正結構中, 定語的增加或取消對中心語的語法功能有時會産生一些影響. 如:"好脾氣", 這一偏正結構具有謂詞的語法功能, 能作謂語(他瑪瑪眞好脾氣), 但其中心語"脾氣"就不能作謂語(他瑪瑪眞脾氣), 沒有謂詞的語法功能. 本文主要討論形容詞加名詞組成的偏正結構(簡稱爲形名結構), 形容詞定語的增加或取消對中心語語法功能的影響情況.

      • KCI등재

        双向语法的方法论与语义语法的本体论

        楊才英(Yang Cai-ying),梁萬基(Yang Man-ki),趙春利(Zhao Chun-li) 중국문화연구학회 2014 중국문화연구 Vol.0 No.25

        본 논문은 주로 중국어의 ‘형용사+명사’구조의 예를 통하여 의미문법의 이론적 문제와 양방향문법의 방법론적인 문제를 논의하였다. 우선, 기존의 중국어 문법연구에서 보이는 양방향의 개념을 역사적인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둘째, 방법적인 면에서 양방향문법의 개념과 방법론적 의의를 분석하였고, ‘형용사+명사’구조를 예로 그 과학성과 타당성을 밝혔다. 또한, 의미적 관점에서 의미문법이론의 본질적인 특징을 주로 고찰하였으며, 방법론으로서의 양방향문법과 의미문법이론이 상보적인 관계에 있음을 주장하였다. 즉, 양방향문법은 의미문법이론에 기초할 때 그 방법론적 가치가 드러나며, 반대로 의미문법이론은 양방향문법을 통해 조합규율을 증명할 때에 비로소 의미적 특징을 잘 제시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어하다’ 결합형의 결합양상과 논항구조

        최형강 한국어의미학회 2015 한국어 의미학 Vol.47 No.-

        Choe Hyeong-gang. 2015. A Study on the combinatory aspects and the argument structures in the combination of ‘-eohada’. Korean Semantics, 47.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check the semantic functions and argument structures in the combination of ‘-eohada(어하다)’. Usually sensory adjective or emotional adjective may combine with ‘-eohada’. The main function of ‘-eohada’ is strengthening the characteristic of activity. The combination of ‘-eohada’ can make ‘i/ga(이/가)’ phrase change to ‘eul/leul(을/를)’ phrase. There are two cases of substitutions for ‘eul/leul’ phrase. First, it is natural to appear ‘eul/leul’ phrase, but it is difficult that ‘e(에)’ phrase substitutes for ‘eul/leul’ phrase. Second, it is natural that ‘e’ phrase substitutes for ‘eul/leul’ phrase. The thematic role of ‘eul/leul’ phrase is ‘THM’. THM is also related to ‘e’ phrase.

      • KCI등재

        日本 統治時代 臺灣의 중국어와 일본어의 어휘 관계

        篠原信行 한국한문교육학회 2009 한문교육논집 Vol.33 No.-

        본고는 대만의 華語와 일본어의 한자어의 공통 상황에 대해 잡지 『臺灣青年』 에서 볼 수 있는 접사 “的” 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일본에서에서 현재 많이 사용하고 있는 접사 “的”은 원래는 중국에서 온 것으로, 메이지 시대의 서양어 번역 과정에서 서양어의 형용사를 번역하기 위해 많이 사용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하지만 현대 중국어에서의 ‘的’은 구조조사로 일본어의 ‘的’과는 다른 용법으로 사용된다. 중국어에서는 일반적으로 ‘的’은 定語와 그 중심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여, 말하자면 定語의 문법적 표식이라고 할 수 있다. ‘的’은 定語의 뒤에 자주 사용되는데, 하지만 모든 定語가 뒤에 ‘的’을 동반하는 것은 아니며, ‘的’을 사용할 것인가 말 것인가는 定語가 되는 語句의 성질과 定語가 나타내는 문법적 의미에 달려 있다. 그에 비해 일본어의 ‘的’은 본래 중국어에서 가져왔다고는 하지만, 의미와 용법이 중국어와 크게 다르다. 일본어의 ‘的’은 명사에 붙어 사용되며, 그 상태를 나타내는 말이다. This paper inquires common conditions of Taiwanese(Chinese of Taiwan) and Sino-Japanese words, with reference to an affix 'de', '的', in the magazine of Taiwan Yong People, Taiwan-Qingnian. The affix 'de', which has been well used in modern Japanese, originally came from Chinese and especially widely used in translating many adjectives of Western languages in Meiji period. The usage of affix 'de' in modern Chinese, however, is very different from that of in Japanese. The 'de' in modern Chinese, generally does a role to connect modifier and another word being modified by the modifier, and it is often located behind the modifier. On the other hand, 'de' in Japanese, is in general use next to a noun, in expressing the noun's situation.

      • KCI등재

        한정 명사구의 소유 의미에 관한 연구: 스페인어 자료를 중심으로

        서소영 ( So Young Seo ) 대한언어학회 2013 언어학 Vol.21 No.3

        In Spanish, the possessive constructions can be expressed in various forms. In concrete, there are two types of the possessives adjectives: post-nominal position possessives (or a long form that is used after nouns) and pre-nominal position possessives (or a short form that is used before nouns). These possessives adjectives behave like ordinary adjectives that can be used in noun phrases. Like those of English, the possessives adjectives in Spanish are a way of indicating who owns or is in possession of something. But the possessive constructions in Spanish is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language like English. That is to say, the definite determiner in Spanish can be used instead of the possessive adjectives. In these cases, two forms of the possessive adjectives can`t be introduced. And this definite article requires the presence of the dative cliti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roperties of the possessive constructions with the definite article and to apply that reanalysis to the education of the grammar. In this study, I propose that the definite article with possessive meaning must be redefined. To addition, we suppose that the DP with the dative clitic is derivied from the nominal possessive construction ‘N + de + N’.

      • KCI등재

        일본(日本) 통치시대(統治時代) 대만(臺灣)의 중국어와 일본어의 어휘 관계

        소원신행 ( Sinohara Nobuyoki ) 한국한문교육학회 2009 한문교육논집 Vol.33 No.-

        This paper inquires common conditions of Taiwanese(Chinese of Taiwan) and Sino-Japanese words, with reference to an affix `de`, `的`, in the magazine of Taiwan Yong People, Taiwan-Qingnian. The affix `de`, which has been well used in modern Japanese, originally came from Chinese and especially widely used in translating many adjectives of Western languages in Meiji period. The usage of affix `de` in modern Chinese, however, is very different from that of in Japanese. The `de` in modern Chinese, generally does a role to connect modifier and another word being modified by the modifier, and it is often located behind the modifier. On the other hand, `de` in Japanese, is in general use next to a noun, in expressing the noun`s sit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