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 적용이 뇌병변 장애학생의 체력, 수업집중력, 신체상에 미치는 영향

        박강규,신현기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2 No.2

        Purpose: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practicality of whole body fortification and improved coordination program on physical fitness(myofunction, joint range of motion and coordination), learning concentration and self-body evaluation of brain lesions student. Method: We carried out whole body fortification and improved coordination program targeting six brain lesions students(three for experimental group and three for comparative group) of whose chronological ages were about ten to twelve. The programs were conducted three times per week during six months. We conducted before-and-after evaluations which consist of three sets of physical inspection and a set of question investigation as measurements of learning concentration and self-body evaluation. And we also conducted unstructured interviews about perception and impression of physical training which included whole body fortification and improved coordination program. Finally we deduced the results from the evaluations and interviews using the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First, whole body fortification and improved coordination program enhanced the physical fitness(myofunction, joint range of motion and coordination). Second, the program enhanced all variables of learning concentration. Third, the program also enhanced all variables of body image. Forth, the program metamorphosed previous physical activities of the discomforts due to brain lesions into innovative activities with brisk movements and the stimulation of growth and development. Conclusion: We concluded the whole body fortification and improved coordination program could enhance the physical fitness, learning concentration and self-body evaluation of brain lesions students. 연구목적: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이 뇌병변 장애학생의 체력(근기능, 관절 가동 범위, 협응력), 수업집중력, 신체상에 미치는 실용성을 밝히고자 한다. 연구방법: 생활연령 10~12세 뇌병변 장애 초등학생 6명(실험집단 3명, 비교집단 3명)을 대상으로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을 주 3회 총 약 6개월 동안 중재를 적용하였다. 체력 평가 3개 종목, 수업집중력과 자기신체평가 측정도구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사전·사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을 포함한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과 평소 생각, 느낌 등에 관하여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여 질적 분석방법을 통해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은 체력(근기능, 관절 가동 범위, 협응력) 기능을 향상시켰다. 둘째,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은 수업집중력 모든 변인에서 향상시켰다. 셋째,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은 신체상의 모든 변인에서 향상시켰다. 넷째,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은 혼자 할 수 있는 게 없어 답답한 체육활동을 다양한 활동을 통해 활력이 생기는 체육활동, 성장과 발달을 촉진시키는 체육활동으로 변화시켰다. 결론: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은 뇌병변 장애학생의 체력, 수업집중력, 신체상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생활연령 10~12세 뇌병변장애 초등학생 6명(실험집단 3명, 비교집단 3명)을 대상으로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을 주 3회 총 약 6개월 동안 중재를 적용하였다. 체력 평가 3개 종목, 수업집중력과 자기신체평가 측정도구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사전·사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을 포함한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과 평소 생각, 느낌 등에 관하여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여 질적 분석방법을 통해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은 체력(근기능, 관절 가동 범위, 협응력) 기능을 향상시켰다. 둘째,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은 수업집중력 모든 변인에서 향상시켰다. 셋째,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은 신체상의 모든 변인에서 향상시켰다. 넷째,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은 혼자 할 수 있는 게 없어 답답한 체육활동을 다양한 활동을 통해 활력이 생기는 체육활동, 성장과 발달을 촉진시키는 체육활동으로 변화시켰다. 결론: 전신 강화 및 협응력 향상 프로그램은 뇌병변 장애학생의 체력, 수업집중력, 신체상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 KCI등재

        미술치료가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의 자기 표현력 증진과 눈-손협응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박정민,김병철 한국예술치료학회 2015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5 No.2

        전반적 발달장애를 가진 유아는 정상적인 발달과정의 아동에 비해 눈-손협응력의 부족 및 신체적 발달의 지연으로 인하여 자기표현능력이 크게 뒤떨어지므로, 이로 인한 스트레스와 정서적 불안이 증대하기 때문에 이를 표출할 수 있는 심리적 중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에게 56회기 동안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미술치료가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의 자기표현력 증진과 눈-손협응력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만4세, 전반적 발달장애 진단을 받은 유아며 S시 소재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 미술치료를 의뢰하여 진행하였다. 연구기간은 2014년 2월부터 2014년 9월까지 약 8개월 동안 주 2회 회기당 35분으로 4회기의 사전·사후검사와 56회기의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유아의 자기표현과 눈-손협응력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 알아보았다. 미술치료 프로그램 구성은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어 신뢰감 및 친밀감 형성, 자기감정 인지와 감정단어 습득 및 눈-손협응력 발달, 자기표현력 향상을 각각 목표로 구성하였다. 연구방법은 HTP, 자기표현향상의 5가지 체크리스트, K-CDI 사전 사후결과를 제시하고, 미술치료 프로그램 회기의 기록과 유아 행동 관찰, 작업을 토대로 사례과정을 질적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의 객관성을 위하여 아동의 초기 진단검사 및 부모와 어린이집교사와의 상담내용을 요약하여 결과에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표현에 어려움을 느끼는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가 미술치료를 통해 자기 표현력이 향상되었다. 매체를 탐색하고 응용하며 세부적인 표현과 구체적 형상을 만들 수 있는 지적표현이 발달하였고, 작업도중 연구자에게 자기욕구와 의사표현 이 능동적으로 이루어지는 등 사회적 표현이 발달하였다. 둘째, 눈-손협응력의 발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가 미술치료를 통해 눈-손협응력이 발달하였다.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잘게 오리기나 고무줄 묶기, 그림 그리기를 능숙하게 하는 등 작업시 눈과 손의 협응이 이루어지며 그림에서 다양한 선과 형태, 균형감각 등이 나타나며 양 손으로 작업을 할 수 있는 신체적 표현이 발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미술치료가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의 자기 표현력과 눈-손협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에게 도움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Young children with a pervasive development disorder, lag behind their counterparts in a normal developmental process considerably in physical development and self-understanding and expression and experience increasing stress and emotional anxiety accordingly, thus needing psychological interventions to express them. This study thus set out to implement an art therapy program of various topics with a young child with a pervasive development disorder over total 56 sessions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the self-expression and eye-hand coordination of the child. The subject was a four-year-old child(56 months old) that was diagnosed with a pervasive development disorder and referred to an art therapy program by an inclusive childcare center for both normal children and disabled children. The research period lasted approximately eight months from February to September, 2014 with a 35-minute session twice per week. Four sessions of pre- and post-testing were followed by a 56-session art therapy program to examine changes to the self-expression and eye-hand coordination of the child. The art therapy program consisted of the early, middle, and late part, whose goals were establishing trust and intimacy, recognizing self-feeling, acquiring sentiment words, and developing eye-hand coordination, and improving self-expression, respectively. Methodologies employed in the study include HTP, a five-item checklist for improved self-expression, K-CDI pre- and post-test results, recording of each session of the art therapy program, observation of the child's behaviors, and qualitative analysis of the case process based on those works. The findings were supplemented by the initial diagnostic inventory applied to the child and the content of counseling with its parents and teachers at the childcare center to guarantee the objectivity of research.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 with a pervasive development disorder that used to have difficulties with self-expression improved in self-expression through art therapy. As the art therapy program progresses, the child developed its intellectual expression including exploring and applying media, making detailed expressions, and making concrete forms as seen in the reference data and also its social expression including actively expressing its desire and opinions to the investigator during a session. Secondly, the child with a pervasive development disorder that used to experience difficulties with eye-hand coordination development enhanced in eye-hand coordination through art therapy. With the art therapy program going on, the child showed eye-hand coordination during works including becoming accustomed to working with tools and skillful with cutting in small pieces, tying with a rubber band, and drawing, exhibited a variety of lines, forms, and sense of balance in its drawings, and developed in physical expressions requiring both hands. The findings clearly show that art therap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elf-expression and eye-hand coordination of a young child with a pervasive development disorder and that an art therapy program can be helpful for such a child.

      • KCI등재

        양손 협응력 검사기 개발 및 평가

        김희동,정현애,박제모,장연식,정화식 대한작업치료학회 2017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5 No.2

        목적 : 본 연구는 새로운 방식의 양손 협응력 검사기를 개발하고 평가도구로서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향후 유용한 평가도구로서의 역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양손 협응력 검사기는 아이디어 차원의 프로토 타입을 본 연구의 취지와 목적에 따라 전문가집단 심층면접을 통한 의견수렴을 거친 후 개발하였다. 개발된 검사기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남녀 대학생 108명과 노인복지관에 다니는 65세 이상 노인 3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신뢰도 검증은 검사-재검사를 적용하였고 타당도 검증은 내용타당도와 준거타당도를 적용하였다. 결과 : 양손 협응력 검사기를 활용한 수행시간과 오류수에 따른 전체 피검자의 검사-재검사 신뢰도 분석결과 상관계수(r)는 .979와 .991로서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매우 유의함을 알 수있었다. 준거 타당도 검정을 위하여 실험한 Two-Arm Coordination Test(Lafayette Instrument Model #32532) 수행결과와 비교한 결과 수행시간에 있어서 성별을 제외한 그룹, 난이도, 시작순서 등다른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 유의성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 개발된 양손 협응력 검사기는 적은비용으로 누구나 사용이 쉽고 편리하며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유용한 평가도구로 예상되며 향후 양손 협응력 훈련도구로서의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evaluate a Two-Hand Coordination Skills Kit that is reliable, feasible and useful in measuring the user's ability to coordinate movement of visual field and use of both hands. Methods : A prototype Two-Hand Coordination Skills Kit was developed first; consequently, a modification and improvement process was performed to refine the final version of the kit by adapting expert opinions. To valid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eveloped kit, 108 college students and 35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ld, participated. Test-retest and content validity were conducted as well as the Two-Arm Coordination Test(Model #32532) developed by Lafayette Instrument to compare with the developed kit in this study for evaluating criterion-referenced validity. Results :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for performance time and error count between test-retest showed .979 and .991, respectively, which implies a strong and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With regards to criterion-reference validity, the results of comparison between Two-Arm Coordination Test and the developed kit reveal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most variables except gender.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eveloped kit were high,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ed kit can serve as a useful assessment tool. Further examination is recommended to test the validity of its role as a training tool.

      • 수중재활운동 프로그램적용이 정신지체아의 운동협응능력에 미치는 효과

        여광응,한창욱 한국발달장애학회 2007 발달장애연구 Vol.11 No.2

        This study is to find out effects of static coordination ability, hand movement coordination ability, general movement coordination ability by applying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in order to improve motor coordination ability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The study applied single subject design to find out effects of motor coordination ability, applied to multiple baseline design. The experience of the study practiced for total 27 sessions, for total 9 weeks, 3 days a week, maintenance test practiced for 3 sessions, interval of week after finishing experience.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have an positive influence on static coordination ability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Second,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have an positive influence on hand movement coordination ability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Third,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have an positive influence on general movement coordination ability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In conclusion, the findings showed that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have an positive influence on motor coordination ability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Therefore,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will be ideal method. 이 연구의 목적은 정신지체아의 운동협응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체계적인 수중재활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이들의 정적 협응능력, 손동작 및 일반동작 협응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인간은 태아 때부터 어머니 양수 속에서 보호를 받으면서 성장하여 물과는 아주 친숙한 관계에 있기 때문에 물속에서는 아늑함과 편안함을 느낀다. 가장 원초적인 어머니 양수와 가장 유사한 수중에서 발달이 지연되어 있는 부분을 증진시킨다. 실험은 총 9주, 매주 3일간 총 27회기에 걸쳐 실시하였고, 유지 검사는 실험이 끝난 후 1주일 간격으로 3회 실시하였다. 운동능력 검사도구는 Oseretsky운동능력검사를 이용하여「정적 협응능력」「손동작 협응능력」「일반동작 협응능력」을 측정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수중재활운동 프로그램적용이 정신지체아동의「정적 협응능력」「손동작 협응능력」「일반동작 협응능력」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므로 수중재활운동이 정신지체아동의 운동협응능력에 효과가 있는 재활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 KCI등재

        골프 스윙동작의 체형과 스윙패턴에 따른 협응형태 분석

        박재영 ( Jae Young Park ),이계윤 ( Kye Yun Lee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08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는 효과적인 스윙 방법을 찾기 위하여 체형별로 세가지 스윙패턴(1패턴-높은 스윙, 2패턴-깊은 스윙, 3패턴-넓은 스윙)을 적용하여 신체분절의 협응형태를 비교 분석하여 효율적인 신체동작과 효과적인 스윙모델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체형별로 각각 3명씩 총 9명을 선정하여 3가지 스윙패턴을 Kwon 3D ver. 3.0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운동학적 자료를 기초로 동작수행 시각관절의 공간적 협응형태를 알아보고 구간별 각 관절(무릎-고관절-상체)이 체형별 스윙패턴에 따라 어떻게 협응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분절간 각도-각도 도면(angle-angle diagram)을 작성하여 질적으로 분석 하였다. 그 결과, 무릎-고관절 협응형태는 내배엽 집단은 3패턴, 외배엽 집단은 1패턴, 중배엽 집단은 2패턴에서 좋은 협응형태를 보였는데 P1구간에는 이형동조, P2에서 전환점동조, P3에서 동형동조, P4에서 이형동조의 형태를 보였다. 고관절 상체의 협응형태는 내배엽 집단은 3패턴, 외배엽 집단은 1패턴, 중배엽 집단은 2패턴에서 좋은 협응형태를 보였는데, P1구간에는 이형동조, P2구간에는 전환점동조, P3구간은 이형동조, P4에는 동형동조 협응형태를 보였다. 무릎 상체 협응형태는 내배엽 집단은 3패턴, 외배엽 집단은 1패턴, 중배엽 집단은 2패턴에서 좋은 협응형태를 보였는데, P1구간에는 동형동조, P2구간에는 전환점동조, P3에는 동형동조, P4에는 이형동조의 형태를 보였다. 내배엽체형은 스윙의 크기를 적게 형성하고 하체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며 상체의 좌, 우 움직임이 많고 백스윙이 간결한 형태의 스윙을 가졌을 때 가장 좋은 형태를 보였고 중배엽체형은 상체와 하체의 상대적 각도 차이를 크게 가져가며 중심축과 양 힙축을 중심으로 상체의 회전만으로 스윙했을 때 가장 좋은 형태를 보였으며 외배엽체형은 스윙아크의 크기를 최대한으로 크게 형성하여 하나의 중심축으로 상체회전을 시켜 백스윙의 높이를 높게 가졌을 때 가장 효율적인 동작이 형성됨을 본 연구를 통하여 입증되었다. The study was intended to find the effective swing method of golf swing according to three somatotypes(1 pattern-arc swing, 2 pattern-leverage swing, 3pattern-width swing) and purpose of bring swing model new paradigm and effective body motion compare to body coordinative. The subject consist of 9 male golfers who 3 male golfers per somatotypes and three of there golf swing pattern were analyzed using kwon 3D 3.0 program. coordinative pattern of the knee-hip-upper body to compare effectiveness of the different swing motion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coordinative pattern of the knee and hip was the best in the endomorphy of third pattern, the ectomorphy of first pattern, and the mesomorphy of second pattern. The coordinative pattern in the trunk and hip was the best in the endomorphy of third pattern, the ectomorphy of first pattern and the mesomorphy of second pattern. The coordinative pattern in the trunk and knee was the best in the endomorphy of third pattern, the ectomorphy of first pattern, and the mesomorphy of second pattern.

      • KCI등재

        아동의 눈-사지 협응과 물체조작 기술의 관계

        김선진,한동욱,박승하,김용호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03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눈-사지 협응 능력과 물체조작 기술의 차이를 알아보고, 두 변인군의 관계를 구명하는 데 있다. 피험자는 남?여 5-10세의 아동 18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눈-사지 협응 능력은 예측 타이밍 능력, 추적 능력, 전신 반응 능력을 측정하여 분석하였으며, 물체조작 기술은 TGMD(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에서 제시한 받기, 던지기, 치기, 차기, 튀기기 기술을 평가하였다. 먼저 눈-사지 협응 능력과 물체조작 기술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이원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5세의 아동 집단은 전반적으로 수행능력이 6세, 7세, 8세, 9세, 10세의 아동에 비하여 수행능력이 떨어졌으며, 10세의 아동은 다른 연령 집단에 비하여 우수한 수행능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5-6세, 9-10세의 연령 시기가 눈-사지 협응 능력과 물체조작 기술이 변화되는 시기임을 나타내주고 있으며 이는 연령에 따른 특징을 보여주는 것이다. 다만 눈-사지 협응 능력과 다르게 물체조작 기술에 있어서는 성별에 따른 수행 능력이 9세와 10세의 연령 집단에 있어서 상반된 특징이 나타났다. 즉 남자 아이들의 경우, 9세의 연령 집단과 비교하여 10세의 연령 집단은 물체조작 기술의 수행 능력이 급격하게 증가한 반면에 여자 아이들은 수행 능력이 떨어지는 특징을 보였다. 또한 눈-사지 협응과 물체 조작 기술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정준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과제간 상관계수 .599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눈-사지 협응 능력과 물체조작 기술의 관계를 설명해 주는 각 변인들의 상대적 기여도를 살펴보면, 눈-사지 협응 능력에서 손과 발을 사용한 예측 타이밍 능력이 추적 및 전신 반응 능력보다 높은 기여도를 보였다. 또한 물체조작 기술에 있어서는 받기와 튀기기 능력이 눈-사지 협응 능력과 물체조작 기술의 상관관계를 설명하는데 많은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eye-limb coordination and the object-control skills with age and sex, and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wo-variable groups. For this experiment, 186 children with the age of 5 to 10(99 boys and 87 girl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eye-limb coordination ability(anticipation timing ability, pursuit ability and reaction ability) and the object-control skill(catching skill, throwing skill, striking skill, kicking skill, bouncing skill) suggested in TGMD(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were tested. The two-way ANOVA was used to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ye-limb coordination ability and the object-control skills according to age and sex. As a result, children with the age of 5 demonstrated the lowest performance while children with the age of 10 showed high performance significantly among age groups. The children with the age of 5 to 6 and 9 to 10 were found to be two critical periods of change with age. However, unlike the eye-limb coordination ability, there was a distinctive feature in the object-control skills of the age 9 and 10 over sex. 10 year-old boys showed a radical progress, but the 10 year-old girls showed a decline on the object-control skills compared with the 9 year-old. A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ye-limb coordination and the object-control skills for the early childhood. The relationship revealed significantly showing canonical correlation with coefficient .599. Overall, the results indicated the eye-limb coordination ability such as anticipation timing ability with hand and foot showed higher role than pursuit and reaction ability. In addition, the object control skills such as catching and bouncing ability contributed importantly in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ye-limb coordination ability and the object control skill.

      • KCI등재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IM) 훈련이 편마비 뇌성마비 아동의 신체 양측 협응과 균형능력, 상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 개별 실험 연구

        정지혜,김수경 대한작업치료학회 2013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1 No.2

        목적 : 본 연구는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IM)을 이용한 작업치료가 편마비 뇌성마비 아동 의 신체 양측 협응과 균형 능력, 상지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개별 실험 연구이다. 연구방법 : 선천성 뇌성마비로 진단 받은 편마비 아동 1인을 대상으로, 개별실험 연구방법(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총 20회기로 매주 2회기씩 10주간 진행하였다. 기초선 4회기는 중재 없이 양측 협응을 평가하였고 중재기 12회기는 상호작용식 메트로놈을 이용한 중재를 1일 1회 40~45분씩 실시한 후 양측 협응을 평가하였다. 재기초선 4회기는 중재 없이 양측 협응을 평가하였다. 중재 전과 후의 균형검사를 실시하였고, 중재 전, 중, 후에는 상지기능 검사를 실시하여 변화를 알아보았다. 결과 : 상호작용식 메트로놈 훈련을 통한 중재 결과, 양측 협응과 균형능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양측 협응의 향상에 따른 중재 전, 중, 후의 상지기능은 향상을 보였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 상호작용식 메트로놈 훈련이 편마비 뇌성마비 아동의 양측 협응과 균형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편마비 뇌성마비 아동의 양측 협응과 균형 훈련의 중재방법으로 사용될 임상적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Interactive Metronome (IM) on the bilateral coordination, balance,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for children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Methods : For this study, 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an ABA design. We observed the child for around 40 minutes twice a week for 10 weeks, with a total of 20 sessions. We evaluated the child's bilateral coordination without intervention in the baseline phase (A) for four sessions. In the intervention phase (twelve sessions), the child received 40 minutes of Interactive Metronome training twice a week. The bilateral coordination of the child was measured after each training. During the second baseline phas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same procedure as the first baseline phase. The child's balance was assess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In addition, the child's hand function was assessed pre-, interim-, and post-treatment. Results : After IM training, the participant showed an increase in bilateral coordination and balance, and demonstrated significant improvement. Additionally, the participant showed an increase in hand function, although not at a significant level.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M trai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bilateral coordination and balance. In addition, IM training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clinicians in the area of occupational therapy.

      • KCI등재후보

        문헌 연구를 통한 한국 춤 동작의 생체 역학적 분석 방법론 연구 : 신체 분절 협응 관점을 중심으로

        안승현,신인식 한국무용기록학회 2009 무용역사기록학 Vol.16 No.-

        인체의 움직임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목적과 관점에서 동작을 분석할 것인가'를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는 한국춤 동작 특성에 따른 동작분석을 하기 위해 생체역학 이론 고찰과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신체 분절 협응의 관점에서 방법론을 제시하고 설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춤에서 움직임은 서양과 동양을 막론하고 그 원리는 같다. 하지만 동작의 형태에 따라 춤의 성격이 달라지며 각 나라의 독특한 양식의 춤이 형성된다. 한국 춤은 가슴에서 움직임의 충동이 시작되어 상완, 전완, 손으로 순차적 흐름이 나타난다. 이러한 움직임을 생체 역학적으로 운동 전이현상이라고 하며 순차적 운동 전이는 분절 간 및 분절 내의 유기적 조화를 이루어 부드러운 곡선의 형태를 만들어 낸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춤 동작의 특성 중 신체의 한 단위에서 다른 단위로 흐르는 중심 충동을 통해서 이어지는 계속적인 흐름을 증명하는 방법으로 생체역학의 영상분석 방법을 설정하고 신체 분절 협응 관점으로 해석하고자 하였다. 한국 춤의 오랜 수련을 통해 획득된 협응 패턴을 알기 위해서는 숙련도에 따른 비교 분석이 한국 춤의 동작 특성을 밝힐 수 있는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다. 또한 한국 춤이 신체 움직임의 완전한 협응에서 이루어지는 대표적인 예술 춤이라는 것을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영상 분석으로 획득한 운동학적 변인들을 이용해 각도-각도 도면을 작성하고 질적 분석을 할 수 있도록 유형별 해석(Winstein & Garfinkel, 1989)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관절각도 자체가 협응을 의미하지는 않으므로 관절각도 간 상관계수를 분절간 및 분절 내 협응 변수로 이용해 정량화된 자료를 양적 분석 할 것을 선행 연구를 통해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생체역학의 이론 및 협응 관점의 선행연구 조사를 통해 신체 분절 협응 관점에서 한국 춤 동작분석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In order to analyze the movement of human body, we need to consider 'with what purpose and perspective, the analyze shall be done.' This study aims to suggest and explain the methods on analyzing movement of Korean dance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segmental coordination based on biomechanics theory and documentary research. Dancing, whether it is oriental or western, has the same principle. However, depending on the way of movement itself, the characteristics of any dance will be changed, providing uniqueness to each country's folk dance. For instance, Korean dancing starts from the movement of chest to flow into brachial, wrist curl and hands. This movement is biomechanically called transition phenomena of movement and sequence transition of movement makes a soft round shape by creating organic organization between segmentation. In order to prove the continuous flow of movement from one body part to the other while dancing Korean dance, I introduced video analysis on biomechanics and tried to interpret the results from the segmental coordination point of view. Accumulated and diverse competitive analysis will be a decisive factor for finding out segmentation coordination pattern acquired by long-time practice of Korean dance and for reaffirming that Korean dance is a representative art dance created from a perfect coordination of segmentation. To this end, I will provide angle-angle diagram drawing applying the kinematics variables obtained through video analysis and different academic theory (Winstein & Garfinkel, 1989) to boost the quality aspects of analysis. However, as the joint angle itself does not mean coordination, I suggested the necessity of quantitative analysis on coefficient of correlation between joint angle by using inter and within segmentation coordination as variables in the previous study. This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of analyzing Korean dance movement from the perspectives of inter-segmental coordination based on the biomechanics theory and documentary research of coordination.

      • KCI등재

        양측성 운동과 시지각 프로그램이 학령기 발달 지연 아동의 협응 능력 및 글씨쓰기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강희주(Hee-joo Kang),안시내(Si-Nae Ahn)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2021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Vol.13 No.1

        목적: 본 연구는 학령기 발달 지연 아동을 대상으로 한양측성 협응 운동과 시지각 프로그램이 아동의 협응능력및 글씨쓰기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 거주하는 발달 지연이 있는만 7세 여아 1명 이었다. 연구 과정은 총 8주간 15회기로이루어졌고, 양측성 협응 운동과 시지각 프로그램이 20분씩교대로 중재가 진행되었다. 중재 효과에 대한 평가는 사전및 사후 평가로 시지각 기능과 시각 운동 기술에 대해 DTVP- 2, TVMS-R을 통해 실시하였고, 회기 별 평가로 글씨 쓰기속도와 양측 협응 운동 수행에 대해 측정하였다. 결과: 아동의 협응 기능과 글씨쓰기 속도를 알아보기 위해진행한 회기별 평가에서 글씨 쓰기 속도와 양측 협응 운동수행은 중재가 진행됨에 따라 모두 수행이 향상되었고, 아동의 시지각 기능 및 시각 운동 기술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DTVP-2와 TVMS-R도 모두 사전 평가에 비해 사후 평가에서원점수와 환산 점수가 향상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양측성 협응 운동과 시지각 프로그램이학령기 발달 지연 아동의 협응 능력 및 글씨쓰기의 향상에긍정적인 영향을 제공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effects of bilateral coordination exercises and visual perception programs on the coordination ability and writing skills of school-ag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e participant in this study was a 7-year-old girl with developmental delay. The research process consisted of 15 sessions for a total of 8 weeks, during which a bilateral coordination exercise and a visual perception program were alternately mediated for 20 minutes each. The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2nd edition (DTVP-2) and Test of Visual-Motor Skills-Revised (TVMS-R)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sessions to assess the visual perception function and visual-motor skills. In addition, the bilateral coordination ability and writing speed were measured for each session. The raw and converted DTVP-2 and TVMS-R scores improved after the sessions, which suggested an improvement in visual perception function and visual-motor skills. The scores for bilateral coordination ability and writing speed measurements also improved. This study confirms that bilateral coordination exercises and visual perception programs improved the coordination abilities and writing skills of school-ag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 KCI등재

        숙련도에 따른 표현 동작 타이밍과 사지 협응 형태의 변화

        김선진 ( Seon Jin Kim ),김수연 ( Soo Yeon Kim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1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는 사지간 협응 움직임 분석을 통해 무용 표현에 있어 숙련도, 타이밍, 움직임 협응 요소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무용 숙련자 6명과 비숙련자 6명이 연구 대상자로 참여하였다. 실험 과제는 무게 표현 동작을 팔 들고 내리기와 무릎 굽히고 펴기의 사지간 협응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움직임 속도 조건(빠른 속도, 느린 속도)과 협응형태 조건(같은위상 형태, 반대위상 형태)에서 이루어졌다. 협응 타이밍의 정확성과 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절대오차와 가변오차가 이용되었으며, 상지와 하지의 협응 구조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상관분석이 사용되었다. 타이밍 정확성과 안정성 분석 결과, 숙련자 집단이 비숙련자 집단에 비해 적은 절대오차와 가변오차를 보였다. 움직임 속도에 있어서 두집단 모두 빠른 속도 조건에서 적은 절대오차와 가변오차를 보였다. 협응형태에 있어서 숙련자 집단은 반대위상 형태에서 안정적이고 정확한 타이밍을 보였으나, 비숙련자 집단은 같은위상 형태에서 안정적이고 정확한 타이밍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숙련도를 평가하는데 있어 표현 동작 타이밍과 사지 협응 형태가 주요한 변인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tise and movement timing by analyzing coordinated inter-limb movement. 6 expert and 6 novice dancers were selected in this study. 4 different conditions were applied; fast and slow movement velocity with in-phase and anti-phase inter-limb movement. For the experimental task, the subject performed an upward and downward right arm movement while flexing and extending the lower limbs. To analyze the accuracy and stability of movement timing, absolute error and variability error were analyzed. To analyze the coordination pattern analysis, cross-correlation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terms of movement velocity, all subjects showed the smaller absolute error and variability error in fast velocity condition than slow velocity condition. In terms of expertise, the experts showed smaller absolute error and variability error than the novices. In terms of coordination pattern, the experts showed more stable and accurate timing in anti-phase than in-phase. However, the novices showed more stable and accurate timing in in-phase than anti-phase. The result of cross correlation showed that in anti-phase pattern different movement control strategy was applied by expertise. It represented movement timing and coordination pattern were primary factor for evaluating experti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