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석정 이정직(李定稷)의 고문론(古文論)과 역대(歷代) 문평(文評)

        구사회 ( Gu Sa-whae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1 No.2

        石亭 李定稷은 천하에 아무리 강한 것이라도 文보다 강한 것이 없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석정은 이와 같은 강력한 문장의 힘을 빌려서 韓末의 역사적 위기를 극복하려는 의지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石亭이 논의한 古文論의 구체적인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다. 그가 제기했던 모든 古文 논의는 ‘法古’를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런 관점에서 문장의 네 가지 病弊와 法古創新의 문제, 그리고 이상적인 문장을 성취하기 위한 法과 才能, 古文과 솜씨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아울러 이상적인 문장의 경지에 도달하기 위해 석정은 ‘식[識]’을 강조하였다. 石亭이 지닌 文論史的 意義는 韓末까지 老論 洛論系 文章家들을 중심으로 계승되던 朝鮮後期의 韓歐正脈이 드디어 호남에서도 석정에 의해 자리를 잡았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This article is designed to research the ancient composition theory of Suck-jeong Lee, Jeong-jik[石亭 李定稷]. His theory is not a simple composition one, but an ideology or a Weltanschauung(world-view), which is a schema of perception. This study deals with the four ills in composition, the question of new creation following the traditional rule, the principle and talents in composing ideal sentences, and skills in classics. Suck-jeong put an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awakening' in order to achieve a stage of an ideal composition. Suck-jeong is evaluated to be a successor of Han-koo-jeong-mack[韓歐正脈] in the late Chosun Dynasty, in the sense that he straighten the stream of the ancient composition which came from Han, You[韓愈] and Koo, Yang-soo [歐陽修].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the Han-koo-jeong-mack-which the scholars of No-ron[老論] school regarded and claimed it as an orthodoxy from the late 18th to the late 19th centuries-was succeeded to Shim-jae Cho, Kung-sup[深齋 曺兢燮] in the Youngnam(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 and Suck-jeong Lee, Jeong-jik in the Honam(the southwestern part).

      • KCI등재

        僑窩 成涉의 散文批評 一考 -『筆苑散語』를 중심으로 -

        조정윤 ( Cho Jeong-yun ) 근역한문학회 2022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63 No.-

        『筆苑散語』는 18세기 영남 문인 僑窩成涉(1718~1788)이 저술한 시화서로, 우리나라 및 중국 고금의 인물과 문학에 관한 정보와 비평이 풍성하다. 본 논문은『筆苑散語』를 중심으로 성섭의 산문비평 양상과 특징을 검토한 것이다. 성섭은 道가 내재된 순정한 문장을 지어야 한다는 道文一致의 문학관을 지향하였고, 이러한 문학관이 잘 구현된 문장으로 唐宋文을 들었다. 젊어서는 蘇軾의 詩文을 특별히 애호하였는데, 三蘇및 歐陽脩문장에 대한 朱熹의 비판적 비평을 접한 뒤로는, 이전보다 더욱 철저한 道文觀을 견지하고 소식 문장에 대해서도 일부 부정적 견해를 보였다. 또한 그는 古文辭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순정한 문장을 추구하는 韓歐正脈論의 견해를 드러냈다. 이러한 입장은 명 전후칠자 및 고문사를 추구하는 근기 남인의 문장에 대해 비판적 시각을 드러내는 한편, 서인 계열 문장가인 김창협의 문장을 이상적인 문장으로 평가하기도 하고, 문집에 수록된 산문 작품 대부분이 論, 說, 記, 序등의 의론문 중심의 문체인 것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성섭의 산문비평은 허목 등 南人문사에 대해 호의적인 평가를 보인다는 점에서 남인의 정체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근기 남인이 일반적으로 의고문풍의 전통 아래 문학적 변화를 추구하였던 면모와 달리 明의고문풍을 강하게 비판하고, 주자학을 바탕으로 하여 당송고문의 문장법을 추구한 점은 도학적 학문 분위기 속 영남 남인의 일면모를 드러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 aspects of literary criticism of an Yeongnam writer, Seong Seop (成涉, 1718-1788), focused on 『Pilwonsaneo(筆苑散語)』. 『Pilwonsaneo(筆苑散語)』 is a kind of poetry and painting book, mainly about characters, anecdotes, and literature of present and past in Korea and China. Seong Seop had a literary view of Domunilchi(道文一致) that one should build a pure sentence containing the Tao(道), and he chose the prose of DangSong(唐宋文) as a sentence that was well realized. Among them, he was particularly fond of poetry and prose of Sosig. However, after reading JuJa’s criticism on the sentences of So Sig(蘇軾), his father, his brother, and Gu Yangsoo, Seong Seop maintains a more thorough view on relationship between the Tao and literature and has a critical view on Sosig’s sentences. This view shows that although he is a Namin, he negatively perceives Gomunsa(古文辭), revealing a critical view on the sentences of a Namin in the region near Seoul who pursues Jeonhuchilja(前後七子) of the Ming and Gomunsa(古文辭). It appears to evaluate the sentences of Kim Chang-hyeop and Seoin writers who are in the position of Classical literate style of Han-yu and Gu Yang-soo(韓歐正脈論) and pursue pure and upright words as ideal sentences. The characteristic of preference for pure and upright writing of classical literate style of Han-yu and Gu Yang-Soo(韓歐正脈) is also confirmed in the prose that abstracts other people's sentences in the literature, and that most of the prose he created is centered on ideological texts such as Ron(論), Seol(說), Gi(記), and Seo(序). Seong Seop's critique of prose reveals the identity of Namin in the sense that he favorably evaluates words of Namin like Heo Mok. However, unlike the aspect that Namin in the region near Seoul generally pursued literary changes under the tradition of Archaism of Literature(擬古主義), he strongly criticized the Archaism of Literature(擬古主義) and pursued the art of writing of the Dangsonggomun(唐宋古文) based on the neo-Confucian in the history of prose literature. He also shows a side of Namin in Yeongnam in the confucian academic atmosphere.

      • KCI등재

        석릉(石菱) 금창희(金昌熙)의 고문작법(古文作法)과 산문비평(散文批評)에 대한 일고(一考)

        하정원 ( Jung Won Ha ) 우리한문학회 2011 漢文學報 Vol.25 No.-

        본 연구에서는 19세기 후반의 문인 김창희의 고문작법과 산문비평의 실체를 규명하기 위하여 그의 저작에 나타난 작법과 비평을 분석하고 그것이 갖는 의미를 고찰하였다. 김창희는 唐宋부터 明淸 대에 이르기까지 27명의 고문 작가들의 저작에 대한 비평과 자신의 고문에 대한 관점을 피력한 『會欣穎』, 중국역대 문장가들의 문장을 품계를 나누어 수록한 『四品集選』, 唐宋八大家의 문장을 모은 『八大家文초』 등의 문학이론관련 저작을 남겼다. 김창희는 唐宋古文을 추구한 가운데 자신만의 문학론을 확립하였다. 이를 통하여 韓歐正脈의 맥을 이으며 法外之法을 강조하였고, 無法則有法의 명제를 가장 잘 구현한 한유를 추숭하였다. 또한 그는 辭達을 중시하였는데, 김창희는 辭達을 ``문자를 통해 대상에 대하여 전달함``이라는 단순한 의미가 아닌 ``문장이 후세까지 전달됨``으로 파악하고, 문장이 이러한 영속성을 지니기 위해서는 文彩를 지녀야 함을 주장하였다. 한유가 주창한 것과 마찬가지로 陳腐語의 제거를 통한 문채의 획득을 역설하였다. 그는 ``師己意不師其辭``라는 명제에 대하여 동의하면서 반드시 자신에게 나온 말(辭必己出)로 작성된 문장만이 참신성을 획득하여 영속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이라고 보았다. 김창희는 隻眼과 見識의 함양을 문장창작에 선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보았는데, 척안과 견식은 사물의 이치를 궁구히 하여 사물과 자아와의 관계를 개선함을 통해 획득되어지는 것으로, 사물의 실체를 꿰뚫어 보는 안목을 말한다. 김창희는 이러한 감식안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문장을 짓는 것을 엄격히 차단하였다. 또한 한유를 비롯한 뛰어난 성취를 이룬 작가들은 높은 안목으로 인해 그와 같은 경지를 이룰 수 있었으니, 척안과 견식의 함양 즉, 독서와 자기 수련을 통해 높은 경지의 감식안을 확보할 것을 역설하며 문장창작에 있어 독서를 통한 자기 수련으로 획득된 작가적 역량이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김창희는 개별 작가들의 ``論文之文``을 통해 비평을 시도하고 있는데, 그 비평의 기준이 된 것은 앞서 김창희가 강조한 문장작법`의 기본 원리들이었다. 이러한 비평의 양상은 실제 작가의 창작에서 비평대상을 찾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보이며 단순 감상비평에서 벗어나 실증적인 비평의 면모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This essay analyzed various aspects of formalities of ancient writings and criticism of Sukrung Kim Chang Hee. and contemplated the meanings it has, to unveil the how to write ancient writings which writers sought for. He left writings related literature theory such as 『會欣穎(HaeHenYong)』 which is showing his points of view and criticism about 27 ancient writers`s works from 唐宋(Dang and Song) period to 明淸(Myung and Chung) period, 『四品集選(SaPumJipSun)』 which is gathering China literary men`s writing by giving grade, 『八大家文초(PalDaeGaMunCho)』 which is collecting writing of 唐宋八大家(DangSongPalDaeGa) and so on. He established his own literature theory while pursued ancient writings of Dang and Song period (唐宋古文). Kim Chang Hee presented his own critic point by generalizing literature theory of the whole generation, and he emphasized 法外之法(BubWeaJiBub) while succeeding 韓歐正脈(HanGuJungMac) and he also adored Hanyu who realized the subject of 無法則有法(MuBubJukYuBub) best. He valued 法外之法(BubWaeJiBub) and also emphasized writing method that is the basic principle of sentence. Among them, he took serious view to the 辭達(Sadal) and he realized that 辭達(Sadal) is not the simple meaning of ``conveying about the subject through the phrase`` but ``Sentence is conveyed to the posterity`` and he asserted that when the sentence could have the eternity, it should have 文彩(beautiful sheen). For achieving this, he asserted to have 文彩(beautiful sheen) by removing 陳腐語(Jinbuyu) same as Hanyu asserted. He agreed on the phase that ``師己意不師其辭(SaKiYuBulSaKiSa)`` however he thought that the only sentences coming from himself(辭必己出(SaPilKiChul)), could achieve the eternity by acquiring the originality. He also thought that achieving insight(隻眼) and discernment should be preceding before creating sentence. Insight(隻眼) and discernment can be achieved through improving relation between things and ego so it means appreciative eye that penetrates the essence of things. Kim Chang Hee strictly cut off creating sentence in the situation when these sense are not achieved. He also thought that writers who achieve the prominent results including Hanyu could reach the situation with the highly appreciative eye so asserted that in creating sentence, achieving insight and discernment that is acquired through reading and self-practice is most important. Kim Chang Hee tries to criticize each writers through 論文之文(NonMunJiMun) and the standard of the criticism is the basic principle of creating sentence that Kim Chang Hee emphasized before. These criticism shows the meaning that he found subject of criticism in the real writer`s creating and it also shows the realistic criticism aspect against simple appreciative criticism.

      • KCI등재

        한문 산문사 서술에서의 ‘의고’, ‘법고’, ‘창신’에 대한 재고

        하지영 우리한문학회 2023 漢文學報 Vol.48 No.-

        This thesis aims to reassess the concepts of '擬古', '法古', and '創新' that have been extensively discussed in Chinese prose of Joseon Dynasty , and it requests several tasks to achieve a balanced narrative of literary history. Firstly, in order to fully discuss the characteristics and orientations of the Qin-Han Classical Prose Theory, it is necessary to go beyond the bias of '擬古' and its relation to the earlier and later Seven Ming Masters, and meticulously examine the background and actual manifestations of Qin-Han Classical Prose in practical prose writing. Secondly, the discussion should be supplemented with an exploration of the Namin literary circle, which inherited the classical literary style, and the Noron literati who deviated from the dominance of the '韓歐正脈論' (Hangujungmaek Theory) represented by Kim Chang-hyeop in late Joseon literary theory. Thirdly, it should be acknowledged that '法古' has evolved as a powerful discourse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along with '創新', and through this recognition, a discussion on the unique environment of Korean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needs to be added. 본고는 한문 산문사에서 그동안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던 ‘의고’, ‘법고’, ‘창신’ 등의 개념과 그에 대한 논의를 재고하고, 균형 있는 문학사 서술을 위한 몇 가지 과제를 요청한 것이다. 첫째, 진한고문론의 특징 및 지향을 온전히 논하기 위해서는 ‘의고’라는 선입견이나 전후칠자 수용에 대한 논의를 넘어, 진한고문을 주요 전범으로 강조하게 된 배경 및 실제 산문에서의 실현 양상을 세심하게 논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한구정맥론이 실제적으로 조선 후기 산문론의 주류담론으로서 강력한 구속력이 있었는지에 대한 재론이 요청된다. 상고적 문풍을 계승한 남인 문단 및 한구정맥론으로부터 이탈을 보이는 노론 문인에 대한 주목은 조선 후기 한문 산문사 및 법고창신론의 실체를 온전히 해명하기 위해 요구되는 과제이기도 하다. 셋째, 법고가 창신과 함께 조선 후기까지 강력한 담론으로 전개되었음을 주목하고, 이를 통해 한국 한문학이 처한 특수한 환경에 대한 논의가 덧붙여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회와(悔窩) 안중관(安重觀)의 문학론(文學論) 연구(硏究) -산문이론(散文理論)을 중심으로

        김영주 ( Young Ju Kim ) 동방한문학회 2009 東方漢文學 Vol.0 No.40

        본 논문은 18세기의 문단을 양분하며 韓歐正脈 계승 논리를 강조하는 김창협 계열과 先秦兩漢 고문의 풍기를 재현하려는 허목 계열이 대립하는 시기에, 계열화 된 문인 집단에서 소외된 문인들 가운데 悔窩 安重觀의 산문이론을 고찰하여 18세기 우리 문단의 실상을 보다 입체적이고 다각적인 측면에서 분석하여 규명함을 목표로 하였다. 살펴본 결과, 회와의 산문이론의 관건은 문장을 통한 道의 순수성 보존과 道의 천명에 있었다. 그는 문장 전범의 선별 기준으로 道의 體와 用의 구현을 주장하였다. 그가 道의 본체를 구현한 문장으로 거론한 주돈이의 「태극도설」과 장재의 「서명」, 그리고 道의 用을 구현한 것으로 평가한 제갈량의 「전출사표」, 유분과 호전의 對策文, 정호와 주자의 封事 등은 철저히 현실 사회에서의 활용성을 염두에 둔 것이었다. 이러한 회와의 문장 전범은 유가의 학술 이념에 충실한 것으로 판단되기에 그의 산문이론이 어느 정도 김창협 계열의 산문이론과 연계되었다고 판단된다. 또한 회와가 문장의 서술에서 강조한 `實` 즉 `사실성`은, 부화한 수식이나 괴이하고 난삽하며 허황한 문장의 창작을 반대하는 것이다. 그리고 문장 창작에서 `自爲`, `獨至之見`, `進取之在我` 등을 강조한 것은 그가 창작에서의 독창성의 발현을 중시하는 견해를 지니고 있음을 예시한다. 아울러 회와는 송나라 말기 이후에 유학의 道統이 우리에게 전해졌다는 서술과 함께 중국과 우리나라 문장가의 차이는 지리적 지정학적 차이에 불과하다는 서술을 통해 비교적 주체적인 산문논리를 전개하였다. 산문이론에 관한 회와의 몇 가지 논의를 볼 때, 회와의 산문이론은 김창협 계열과 일맥이 연계된다고 판단되며 그 내용면에서 道의 순정성을 보다 강조하는 측면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In the 18th century, the prose theory was bisected by KimChanghyeop faction and Heomok faction. This thesis aims at a study of the prose theory of Hoewa AnJunggwan who was treated distantly by those faction. As a result, I derive some conclusion from the prose theory of Hoewa AnJunggwan.: First. A key point of Hoewa`s theory is the purity conservation and a close examination of Doe[道]. Second. Hoewa insists Doe`s Che[體] and Yong[用] as a selection criterion. He recommended 「Taegeukdoseol」 and 「Seomyeong」as a standard which equipped with Doe`s Che, and 「Jeonchulsapyo」, Jeongho and Juja`s Bongsa, Yubun and Hojeon`s Daechaek as a standard which equipped with Doe`s yong. These standards are faithful to Yuga`s ideology and have an eye to a daily usefulness. In these point, Hoewa`s prose theory is similar to KimChanghyeop faction`s theory. Third. In a form of description, Hoewa emphasis on the Sil[實]. It means the truth and denounce a description with embellishment. Fourth. In the field of the creative literature, Hoewa emphasis on the originality. He summarize is as Jawee[自爲]·Dokjijigyeon[獨至之見], etc. Fifth. Hoewa insists that between Chosen` writer and China`s writer doesn`t exist superiority and inferiority, just exist the geographical and geopolitical difference.

      • KCI등재후보

        석정 이정직 연구의 현황과 전망

        구사회(Gu, Sa-whae)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문화와 융합 Vol.38 No.4

        석정(石亭) 이정직(李定稷, 1841~1910)은 조선말기에서 일제강점기로 이어지는 근대전환기에 호남지성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주요 인물이다. 그는 우리나라 최초로 서양 철학을 도입했던 인물이고 조선후기 이래의 한구정맥이 호남에 착근시킨 인물이기도 하다. 석정이 세상을 떠난 지 한 세기가 더 지나면서 그에 대한 연구도 많은 분량이 축적되었다. 이제는 석정에 대한 연구 성과를 정리하여 연구사를 작성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그동안 석정 연구에 현황을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그동안의 석정 연구를 작가론, 철학, 시문학론, 서화 부문으로 분류하여 정리해보았다. 살펴보니 처음에는 석정의 철학을 중심으로 논의되다가 시문학과 서화에 대한 연구로 확대되고 있었다. 또한 논의들이 주로 석정 자체에 초점을 두고 연구되었고 이러한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지금까지의 연구 내역을 검토하면서 눈에 띄는 아쉬운 것은 시작품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매우 부족했다는 점이다. 그리고 석정의 학문 체계와 시서화의 예술세계를 관통하며 지배하는 사유 체계와 그의 이론을 통합적으로 도출해내야 할 것이다. 석정과 관련하여 19세기 말기부터 20세기 초기에 이뤄졌던 호남지성사를 복원해서 재정립하는 작업도 이뤄져야 할 것이다. 다만 학문과 예술세계에서의 사승 관계나 후대 계승, 더 나아가 선생이 호남화단과 맺고 있던 구체적 내역이나 그의 예술사적 위상을 보다 명확하게 자리매김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지금까지의 석정 관련 논문을 참고 문헌으로 집대성하였다. More than a century has passed since Seokjeong passed away. Many researches on Seokjeong have been produced which reached more than 100 including related articles. Sufficient studies are accumulated that deserves to prepare history of study on him. Now, it is believed that independent Seokjeong study seems necessar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resent status of study on Seokjeong and to suggest prospect. In this study, the study on Seokjeong is sorted out by categorizing from theory of author, philosophy, poem literature theory and painting and calligraphy works. After analysis, it is found that most discussions focus on Seokjeong himself which seems to continue further. One of regrets in the review of study history is this, There is very lack of studies on the poem works of him. And, it is necessary to figure out thinking system and theory that penetrate his academic system and artistic world of painting and calligraphic works. Regarding him, it is also required to restore the intellectual history of Honam which was taken at the end of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It is also necessary to clarify his mastership relation, succession and his specific relation with Honam art circle together with his artistic position.

      • KCI등재
      • KCI등재

        영조조(英祖朝) 집권(執權) 노론계(老論系) 문인(文人)의 자기검열(自己檢閱) 양상(樣相)에 대하여 -황경원,남유용,이천보(黃景源,南有容,李天輔)를 중심으로-

        백진우 ( Jin Woo Baek ) 한국한문학회 2008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42

        이 논문은 18세기 전반 영조 재위기에 정계와 문단에서 주요한 위치를 차지했던 집권 노론계 문인들의 창작 성향 일면을 살핀 것이다. 이 시기 집권 노론계의 대표적인 문인으로 황경원·남유용·이천보를 들 수 있다. 이들에게는 비록 작가 개인으로서 차별되는 문학적 지향이 있기는 하였지만, 작가 집단으로서는 일정한 범주 안에서 문학적 지향을 함께 하였다. 그리고 그 문학적 지향은 이들의 정치적 입지 및 사상적 지향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러한 면모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고에서는 두 가지 사안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이들이 가지고 있던 蘇軾에 대한 인식 차이이다. 소식은 문학적 성취가 있었다고 평가받았지만, 사상적 분방함으로 인해 배격받기도 하였다. 특히 성리학적 세계관을 중시하던 문인들은 소식에 대한 배척 정도가 더욱 심했다. 소식 취향을 문제로 삼아 이들 사이에 오간 편지글은 그 실제 양상과 의미를 잘 보여준다. 다음으로는 동시대의 작가인 조귀명에 대한 인식이다. 조귀명은 역시 문학적 성취를 인정받았지만, 다른 한 편으로는 佛家와 仙家 취향으로 인해 주류 문인들로부터 배격을 받았다. 특히 그가 자신의 문집 서문을 여러 차례 청탁하였지만 결국 거절당하고 만 일화는 이들의 문학적 지향에 큰 차이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아울러 사상적 지향이 문학의 창작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도 함께 살필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상의 두 사안을 통해 작가 집단으로서 당시 노론계 문인들이 가졌던 문학적 지향이 무엇이었는가를 살펴보았다. 그 결론으로 사상적 지향으로는 유가적 의리를, 문학적 지향으로는 당대의 전범으로 여겨졌던 당송고문에 경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작가 개인으로서는 문학적 지향에 일정한 차이가 있었지만, 작가 집단으로서는 결국 작가 집단이 공유했던 공통의 가치를 중시한 결과로 보인다. I discussed about the tendency of self-censorship during the period of King Yongjo in this paper. It usually happened by Noron party who had major political power at that time. They had different intention as an individual writer, however they tried to share the intention of writing as a group of writers. It was because of their political position. To figure this out, I examined two cases about their literary theory. The one is about Shu Xi. He had great fame as a writer, while rejected by Confucian scholars due to the ideological unconventionality. The other is about Cho Kwi-myung who was also a noted writer at the same period. He tried to unite Buddhist and Taoism with Confucianism in his writings. However, it made him be scorned by Confucian scholars. From these two examples, I inspected the intention of Noron writers. In political view, they tried to conserve Confucianism. And in literary view, they tried to write proses in the lirerate style of Tang-So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