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혁주의생명신학의 비학문성 및 비학문성의 학문성, 그 평가와 전망

        장호광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23 생명과 말씀 Vol.37 No.3

        본고는 최근 들어 국내 교계 및 신학계에 적잖은 파장을 일으 키는 개혁주의생명신학 사상, 그 중에서도 “신학은 학문이 아니 다”라는 명제적 선언에 주목하여, 그 속에 함의한 신학적 의의 및 중요성을 다각적으로 모색해 보려는데 근본적인 목적이 있다. 나아가 오늘날 그 어느 때보다 믿지 않는 사람들로부터 비난의 대상으로 전락한 현 한국 교회의 현실에서 벗어나 재도약하고 비 상할 수 있는 가능성 여부를 개혁주의생명신학 사상의 그루터기 로 자리 잡은 ‘신학의 비학문성’에 초점을 맞춰 타진해 보려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물 이런 신학의 비학문성에 내포된 의의 를 들추어내어 오늘을 살아가는 국내 그리스도인들에게 적절한 신학적 좌표와 방향성을 제시해줄 실존적 적용성 또한 빠뜨리지 않고 모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본고는 전체 4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먼저 1장은“들어가는 말”로서 이 글을 쓰게 한 동기 및 배경을 포함해 본 글 전체 내용의 주요 논지와 방향성을 요약하여 제시해 보았다. 2장은 “개혁주의생명신학의 비학문성”으로써 왜 신학의 비학문 성을 주장할 수밖에 없었는지, 그 이유를 신학의 사변성과 관념 성에 주목하여 전개했는데, 진리 획득을 외면에서 일방적으로 주 어진 ‘계시’가 아니라, 인간의 내면적 사유 작용에 의한 이성적 의식에서 찾으려는 데카르트와 헤겔에 중점을 두고 탐색해 보았 다. 3장은 “비학문성의 학문성”으로써 믿음이 아니라 이성적 의 식에서 비롯된 신학의 사변성과 관념성을 제거한 후 정제된 신학 의 본래적 학문성의 착점을 ‘생명’에 두고 그 의미를 추적해가는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죽음이 아니라 ‘영원한 생명’으 로 인도할 개혁주의생명신학의 근간이자 종교개혁 운동을 불러 일으킨 주요 슬로건인 ‘5대 솔라’를 소환하여 이 속에 담겨 있는 신학적 의미를 다각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마지막 “나가는 말”에서는 앞서 다룬 개혁주의생명신학의 비학문성, 비학문성의 학문성에 담겨 있는 주요 사상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와 더불어 국내 신학계를 넘어 교회 영역에도 미칠 실존적 적용성의 가능성 과 방법을 제언하는 형식으로 마무리 지었다.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ocus on the re- formed life theology ideas that have recently made significant waves in the Korean church and theological field, especially the propositional declaration that “theology is not a science,” and to examine various aspects of theological significance and importance. Furthermore, another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 amine the ‘non-academic nature of theology’, which has become the foundation of Reformed Life Theology,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taking a leap forward by escaping from the reality of the current Korean church, which has become an object of criticism from non-believers today. I'm trying to focus on it. Of course, by uncovering the significance contained in the non-academic nature of this kind of theology, we also searched for existential applicability that would provide appropriate theo logical coordinates and direction to domestic Christians living today. To this end, this paper is comprised of four chapters. First, Chapter 1 is the “Introduction,” which summarizes and presents the main thesis and direction of the entire text, including the mo- tivation and background for writing this paper. Chapter 2 ex- plains why it was necessary to assert the non-academic nature of theology as “the non-academic nature of Reformed Life Theology,” focusing on the speculativeness and idealism of theology. Rather, the search was focused on Descartes and Hegel, who sought to find rational consciousness through the in- ner thinking process of humans. Chapter 3 is “the academic na- ture of non-academic nature,” which consists of the process of removing the speculativeness and idealism of theology that origi- nates from rational consciousness rather than faith, and then fo- cusing on ‘life’ as the original academic nature of refined theol- ogy and tracing its meaning. In addition, the ‘Five Solas’, which are the foundation of reformed life theology that will lead to ‘eternal life’ and the main slogan that gave rise to the reformed movement, were summoned and the theological meaning con- tained therein was examined from various aspects. And in the final “Conclusion”, an objective evaluation of the main ideas contained in the non-academic and non-academic nature of Reformed Life Theology discussed above was proposed, as well as the possibility and method of existential applicability beyond the domestic theological field to the church field.

      • KCI등재

        법학에서 학문 후속세대 양성을 위한 방안

        김혜경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9 법학논고 Vol.0 No.66

        In these days, the training of next generation of law scholar means restoration that our studies recover original intention of law. The nature of law as studies should seek perpetually what is justice and how can reflect community sprit in law system. Especially in Korea, legal education has to seek identity of Korean law system as well as true character of law because it is usually said that the Korean legal system and education depend on those of German. But after starting Law school system in 2009, the problem about the training of next generation of law scholar is more serious in some aspects. Most of all, after that time the number of student of graduate school has been reduced rapidly because recognition that there is no future in law scholar is prevalent in next generation of law scholar and the cost between graduate school and law school is no choice realistically caused by fellowship in law school. So in this study it will be suggested by classification of three areas as solution for establishing the training system for next generation of law scholar. Three classification means division of undergraduate studies, graduate school and law school. Each area should have intrinsic function and purpose of their own which must be specified each other. Undergraduate studies should be in charge of basic law study for undergraduate school students to teach general law theory and legal mind. Law schools have to take charge of application of law for law school students to teach judicial practical affairs. And graduate school ought to be responsible for apprenticeship training for graduate school students as next generation of law scholar to teach major intensive course. 학문후속세대의 양성은 학문의 학문성 회복의 문제이다. 법학의 학문성은 시대의 가치관과 공동체의식을 반영하여 어떠한 것이 공평한가, 그리하여 무엇이 정의인가를 끊임없이 탐구하는데 본질이 있다. 그것이 실무적 입장에서는 공평한 분배의 실천에 있겠지만, 그에 앞서 무엇이 공평한가, 공동체정신에 부합하는 나눔이란 무엇인가의 연구는 여전히 법학의 학문으로서의 과제이며, 학문후속세대의 임무이다. 즉, 법의 기계적 해석이라는 비판으로부터 벗어나 법학의 학문성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더욱이 한국에서 법학은 학문성을 찾아야 할 뿐만 아니라 한국법학의 독자성까지도 탐구하여야 할 임무가 있다. 한국법학의 독자성의 문제는 한국법학이 늘 계수법학이라는 꼬리표를 달고 있다는 점으로부터 비롯된다. 물론 독일법학도 독일 고유의 것이 아니라 로마법학의 계수라고 한다면 고유의 것을 찾는다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는가를 우선 반문해야 할 것이다. 특히, 한국 법학이 자본주의의 도입과 동시에 현대화된 실정법을 가지게 되었다는 점에서는 무엇이 독자성인가를 논하기가 더욱 어려울지도 모른다. 그리하여 독자성보다는 우수성 또는 더 나은 법학을 향해 진전하는 것이 법학의 학문성을 찾는 길일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그와 같은 법학의 학문성을 찾고 연구하는 중심에는 대학원대학이 그 위치를 굳건히 하여야 한다. 그리고 대학원대학이 건실하게 자리 잡기 위해서는 학부대학을 중심으로 한, 좋은 씨앗들의 유입이 기본이 되어야만 할 것이다. 여기에서는 대학의 교육체계를 3원화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학부대학은 전공기초를 목적으로 하여, 잠재적인 학문후속세대 및 법학자를 대상으로 이론수업방식으로 운영한다. 다음으로 법전원은 전공응용을 목적으로 하여, 법학일반 및 실무자를 대상으로 실무실습방식을 중심으로 운영한다. 그리고 대학원대학은 전공심화를 목적으로 하여 법학자 및 학문후속세대를 대상으로 도제방식으로 운영하여 법학의 학문성을 계수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분담을 통해 각 교육기관의 역할과 위상을 정립한다면, 법학의 학문성을 지속하면서 그 계보를 이어나갈 학문후속세대의 양성이 가능해 질 것이다. 우리가 고민해야 할 것은 법전원의 확보나 그 위상이 아니다. 이는 법학의 학문성을 지속함에 있어서 삼분의 일의 영역만 차지할 뿐이지 전부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법전원으로 인하여 학부대학의 전공기초가 폐지되고 대학원 대학이 법전원에 흡수통합되어 가는 방식으로 전문성과 학문성을 잃어가게 된다면, 궁극적으로 법학자가 지켜야 할 것이 무엇인가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 KCI등재

        법학의 학문성에 대한 반성적 고찰

        이계일(Lee, Kye-Il) 한국비교공법학회 2018 공법학연구 Vol.19 No.1

        본고는 법학의 학문성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이를 위해서, 먼저 법학의 학문성을 부인하고자하는 목소리를 문제의식 환기차원에서 살펴보았으며, 그에 이어 근대학문이 학문성의 본령으로 여긴 바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그 모범으로서 간주된 자연과학의 방법론적 전제들을 검토하고 그것이 사회과학, 특히 법학의 영역에 어느 정도나 적용될 수 있을는지를 검토해 보았다. 그 한계에 대한 인식과 함께, 해석의 학문이자 규범의 학문에서 학문성이 지탱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특히 반증이론, 정합성이론(해석학 포함), 논의이론를 중심으로 제반 학문이론적 검토를 수행해 보았고, 그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논의이론의 시간적 확장’, ‘경합다원주의’ 그리고 ‘해석공동체의 비판적 극복의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감안한 학문이론의 구성에로까지 진척시켜 보았다. 이는 일정부분 법학의 학문성에 제약과 위협이 될 수 있는 요소들을 반성적으로 살펴보는 작업 역시 포괄하였다. 마지막으로 법학의 학문적 작업으로 유효한 방법론들을 필자가 그 한계를 지적한 학문이론들의 통찰들 역시 포괄하는 방식으로 유형화하고 법학의 다층적 성격을 정리해 보았다. 위의 연구를 통해 본고는 법학, 특히 해석법학의 학문성이 근본적으로 일정한 제약조건 하에 놓여 있으며, 결국 그러한 한계를 어느 정도나 줄일 수 있을지는 법학자들이 이를 위해 얼마나 반성적으로 노력하는지, 그 과정과 정도에 의존하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한국 기독교 사회윤리학”의 학문적 정위

        노영상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09 기독교사회윤리 Vol.18 No.-

        이 글에서 필자는 한국 기독교 사회윤리학의 개념을 정의하며 그 학문을 정위시키고자 하였다. 이 목적을 위하여 첫 번째로 학문성의 개념에 대해 분석하고, 그 학문성의 여섯 개의 조건에 대해 설명한 다음, 신학과 기독교윤리학이 그런 학문성의 조건을 만족시킴을 언급하였다. 두 번째로 미국의 기독교윤리학자 제임스 거스탑슨(James M. Gustafson)의 윤리에 대한 정의를 사용하여 기독교윤리학의 학문성에 대해 탐구하였다. 세 번째로 본 논문은 개인윤리와 다른 사회윤리의 영역에 대해 설명하면서, 기독교사회윤리학의 학문적 위치를 규명하려 하였다. 위와 같은 고찰을 거쳐, 필자는 “한국 기독교 사회윤리학” 개념을 다음과 같은 한 문장으로 정리하였다. : “한국 기독교 사회윤리학이란 나름의 기독교 사회윤리학적 방법론에 입각하여, 먼저 서구사회와 다른 한국사회의 독특한 상황에 대한 사회과학적 분석을 하며, 한국적 입장에서 일관되게 정리된 신앙과 신학을 가지고, 개인윤리의 영역으로는 해결될 수 없는 사회구조와 제도들의 개선과 사회정의 실현 및 사회변혁에 대해, 인간의 사회성을 강조하는 성경과 교리적 전통의 입장에서 반성하고, 나름의 사회윤리적 실천들에 대해 탐구하며, 이에 대해 우선은 다른 교단의 구성원들과 의견을 조율하고, 더 나아가 교회 밖의 사람들과의 소통을 통해 공적인 합의를 이룬 다음, 이를 바탕으로 하여 목회적이며 사회적인 실천을 책임성을 가지고 결단하고, 이러한 실천의 이행에 따른 결과를 평가 하는 바, 일군의 전문적인 기독교 사회윤리학자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신앙과 합리성의 양면을 겸비한 학문을 의미한다.” In this paper, I explored how we would define Korean Christian social ethics rightly. For this purpose, I analyzed the essential conditions of scholarship, firstly. After I referred six conditions of scholarship, I showed a learning as theology satisfied those conditions. Secondly, I examined the scholarship of Christian ethics, using the definition of Christian ethics by James M. Gustafson. Thirdly, this paper explained social ethics, distinguished from personal ethics. Especially, I said Christian ethicists had developed the inquiry of social ethics in advance of the philosophical ethicists. In conclusion, I defined Korean Christian social ethics by line as followings.: “Korean Christian social ethics is a study, having both sides of faith and rationality, done by the research groups such as professional Christian social ethical scholars with its own ethical methodology, which analyzes Korean social situations different from the west by the tool of social sciences, reflects on the improvement of the present social structure and social institutions, realizing social justice and transforming society not to be solved in the field of personal ethics, with faith and theology adjusted in a Korean point of view, in the perspective of the Bible and doctrinal traditions emphasizing human sociality, investigates the social ethical practices, tunes up different views of practices among various denominations, makes a public consensus through the communication with people outside of church, decides on the contents of ministerial and social practices with his own social responsibility, and evaluates the results following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 KCI등재

        신학의 학문성과 형이상학

        김승욱(Seung-Wook Kim)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05 가톨릭신학 Vol.7 No.-

        신학이 학문으로서 가능한가? 신학은 어떠한 조건아래 학적 합리성을 갖는가? 신학의 학문성이란 무엇인가? 이러한 물음은 - 비단 종합대학 안에 신학부가 존재할 정당성의 문제뿐만 아니라 - 보다 근본적으로는 신앙과 앎(인식)의 관계규정이라는 문제를 학문이론적 토론의 장에로 이끈다. “학으로서 신학”(Theologie als Wissenschaft)의 가능성에 대한 물음은 신학의 본제와 학의 본제에 대한 각각의 통찰로부터 시작하여 양자가 각자의 관점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서로 관련을 맺고 있는지를 밝혀냄으로써 접근 가능할 것이다. 이미 “학으로서 신학”이라는 문구에서 암시되는 신학과 학의 상호연관성은 특히 후에 형이상학이라 일컬어지는 제일철학 내지 제일학문의 역사에 이미 반영되어 있다. 왜냐하면 인간현존재의 근본적 자기수행양식인 신앙과 앎(인식)은 각각 실존적 그리고 학적 확실성을 추구함에 있어 이미 암묵적으로 제일철학을 요청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리스도인들이 품고 있는 희망의 근거를 해명하는 것과 철학자가 자신이 알고 있는 것에 대해 근거를 대고 해명하는 것 사이에 로고스(Logos)라는 말이 공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그러므로 신학과 학의 상호연관성 내지 “학으로서 신학”의 가능성에 대한 물음은 결국 자신을 제일철학 내지 제일학문으로 이해하는 형이상학의 가능성에 대한 물음과 필연적으로 연관되어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신학이 자신을 학으로서 이해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렇다면 어떠한 조건에서 신학은 자신을 학으로 이해할 수 있는지 묻고자 한다. 이때 ‘학으로서 신학’의 가능조건들은 신학의 학문성을 구성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의 물음은 신학의 학문성에 대한 물음이기도 하다. 이러한 물음에 답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우선 학으로서 신학의 문제를 학문이론적 토론의 장으로 끌어들여 학문성을 요청하는 신학의 필연성을 밝히고, 자신을 학으로 이해해 나가는 신학의 역사적 여정을 플라톤-아우구스티누스적 모델과 아리스토텔레스-토마스적 모델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그리고 나서 여기서 밝혀진 통찰, 즉 신학이 자신의 학적 가능성 내지 학문성을 위하여 제일철학으로서 형이상학과 필연적 관련을 맺고 있다는 이해를 전거로 그러한 관련성이 오늘날의 사유조건에서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여기서는 ‘학으로서 신학’과 관계를 맺고 있는 형이상학의 가능성이 문제시된다. 이를 밝히기 위하여 아리스토텔레스와 토마스의 존재 신학(Ontotheologie)적 사유 그리고 그에 대한 둔스 스코투스와 칸트의 비판을 살펴보고 나서, 신학이 신앙을 해명하는데 있어 오늘날 요청할 수 있는 새로운 형이상학의 가능성을 칸트의 수용과 그것의 피히테적 극복이라는 차원에서 조심스럽게 논의하였다. Ist Theologie als Wissenschaft möglich? Unter welchen Bedingungen kann sie ihre wissenschaftliche Rationalität behaupten? Was bedeutet Wissenschaftlichkeit der Theologie? Abgesehen davon, ob die theologische Fakultät an einer Universität existieren kann, führen diese Fragen die Problematik der Verhältnisbestimmung von Glauben und Wissen zur wissenschaftstheoretischen Diskussion. Die Beantwortung der Frage nach der Möglichkeit der Theologie als Wissenschaft ist bei dem anzusetzen, was als die Sache der Theologie und was als die Sache der Wissenschaft betrachtet werden muss, um von dort aus zu prüfen, in welcher Weise sich beide Gröβen aus je ihrer Perspektive in ein Verhältnis zueinander setzen lassen. Der innere Zusammenhang zwischen Theologie und Wissenschaft, den bereits der Ausdruck Theologie als Wissenschaft andeutet, spiegelt sich in der Geschichte der Ersten Philosophie, die später als Metaphysik genannt wird. Denn Glauben und Wissen als die fundamentalen Selbstvollzüge der menschlichen Existenz fordern zu ihrer existentiellen und ihrer epistemischen Gewissheit implizit Erste Philosophie. So ist es kein Zufall, dass man dasselbe Wort Logos benutzt zum einen bei der theologischen Verantwortung des Grundes der christlichen Hoffnungen, zum anderen bei der philosophischen Verantwortung des Grundes, von dem ein Philosoph weiss. Die Frage nach dem inneren Zusammenhang zwischen Theologie und Wissenschaft bzw. nach der Möglichkeit der Theologie als Wissenschaft ist also notwendig mit der Frage nach der Möglichkeit der Metaphysik verbunden. In diesem Zusammenhang wird gefragt, ob die Theologie als Wissenschaft verstanden werden kann und wenn ja, dann unter welchen Bedingungen sie sich als Wissenschaft verstehen kann. Dabei sind die Möglichkeitsbedingungen der Theologie als Wissenschaft für die Wissenschaftlichkeit der Theologie konstitutiv. Daher ist die Frage der vorliegenden Untersuchung zugleich die Frage nach der Wissenschaftlichkeit der Theologie. Um diese Frage zu beantworten, wird zunächst mit der Einführung der Frage nach der Theologie als Wissenschaft in die wissenschafts-theoretische Diskussion die Notwendigkeit der Theologie erhellt, die ihrerseits Wissenschaftlichkeit in Anspruch nimmt. Anschlieβend wird den historischen Spuren nachgegangen, die die sich als Wissenschaft verstehende Theologie hinter sich lässt. Dabei sollen zwei Modelle - das platonisch-augustianische Modell und das aristotelisch-thomanische Modell - in den Blick genommen werden. Daraus ergibt sich die Einsicht, dass Theologie zu ihrer wissenschaftlichen Möglichkeit bzw. Wissenschaftlichkteit notwendig mit der Metaphysik als Erster Philosophie zusammenhängt. Auf Grund dieser Einsicht ist dann zu fragen, wie dieser Zusammenhang unter heutigen Denkbedingungen zu verstehen ist. Hier geht es besonders um die Möglichkeit der Metaphysik, die mit der Theologie als Wissenschaft verbunden ist. Um dies zu erhellen, werden das onto-theologische Denken bei Aristoteles und Thomas und die Kritik von Duns Scotus und Kant an diesem Denken untersucht. Zum Schluss wird auf die neue Möglichkeit der Metaphysik hingewiesen, die besonders im Hinblick auf die Kant-Rezeption und ihre Überwindung bei Fichte zur Glaubensverantwortung der Theologie in Anspruch genommen werden kann.

      • KCI등재후보

        아브라함 카이퍼를 통해서 본 신학의 학문성과 실천성

        김재윤 ( Kim Jae Youn ) 개혁신학회 2017 개혁논총 Vol.43 No.-

        신학의 학문성에 대한 비판은 두 가지 방향에서 이루어졌다. 첫째, 칸트 이후 계몽주의는 하나님의 존재 자체가 지식의 대상이 될 수 없고 결과적으로 하나님을 대상으로 삼는 신학은 학문이 될 수 없다고 보았다. 둘째, 신학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으로 신학의 실천성과 영적인 측면이 신학의 학문성 때문에 약화되었기 때문에 신학의 학문성 자체에 대한 근본적인 재고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아브라함 카이퍼는 계몽주의에 기초한 자유주의 신학자들에 대항해서 신학이 학문임을 지속적으로 옹호하였다. 그는 계몽주의적 학문의 조건인‘주체-대상’이라는 틀을 수용하면서 다른 학문들과 같이 신학도 인간의 자의식과 대상의 유기적 관계성 속에서 이해된다고 보았다. 그러나 신학은 인간영과 하나님의 계시라는 주체-대상을 가진다는 점에서 독특성을 가질 뿐이다. 다른 학문과 동일하게‘주체-대상’이라는 틀을 신학도 만족시킨다는 점에서 신학의 학문성을 옹호한 카이퍼는 신학의 네 분야를 슐라이허마허와는 달리 성경학, 교회학, 교의학, 봉사신학으로 구분한다. 이 네 분야는 하나님의 계시의 실행방식이라는 점에서 유기체적인 하나됨을 이룬다. 이 네 분야에서는 학문성과 실천성이 분리되지 않는다. 우리가 살고 있는 탈현대 시대는 여러 가지 면에서 학문을 신학성을 주장하기에 약간의 넓은 공간을 가지게 되었다. 다만 카이퍼가 계몽주의에 대항해서 사용했던 설득과는 차별되는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기도 하다. 그러나 21세기 개혁주의 신학은 신학의 실천성과 영적인 측면을 소홀히 하지 않으면서 여전히 신학의 학문성을 고수해야 하는 과제를 가진다. 카이퍼가 수고했던 것처럼 21세기의 개혁 신학은 일반 학문적 영역에서의 대화와 참여를 포기해서는 안된다. “Is Theology a science?” Questions on this thesis are raised from two directions. Firstly, Kantian idea denied God as a object of knowledge and it resulted in that theology can not be a science. Secondly, some theological scholars underline the practical and spiritual aspects as essential contrasting to the scientific. One of the major modern calvinists Abraham Kuyper successfully defended theology as a science confronting to the liberal theologians. Reinterpreting the modern scientific framework of 'object-subject', Kuyper described human spirit as a subject and the revelation of God as a object. In that way, Kuyper argued, theology meets the condition of science. Opposed to the Enlightenment's idea which separated the object from the subject, Kuyper stressed the organic oneness of object-subject. Scientific aspect of theology forms a organic system with the practical areas as the operating of the God's revelation. Four main departments in theology are both scientific and practical because of it's organic unity. Futhermore, the general revelation opens a possibility to put theology into the general scientific discourses. In postmodernism, theology occupies a more broad space to be accepted as science than in modernism. Theology possibly has to apply a different logic to what Kuyper did in modern context in order to defend the scientific character and at the same time the practical aspects. Reformed theology, as Kuyper did in his time, still has a burden to prove itself as science as well as to participate in the dialogues of science not sacrificing the practical and spiritual dimensions.

      • KCI등재

        체육의 학문성 대 전문성 논쟁: 향배와 시사

        김홍식 한국체육철학회 2013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1 No.1

        이 논문은 1990년 Quest지 42호에 집중 게재된 뉴엘(Newell, K.M.)의 “키네지올로지”(kinesiology)론과 그에 대한 스피르두소(Spirduso, W.W.), 크레츠머(Kretchmar, R.S.), 시덴톱(Siedentop, D.)의 비평 그리고 AKA, NAK에서 발표한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1990년대 전후부터 최근까지 미국 체육 관련 학계에서 전개된 학문, 학과 명칭 변경을 중심으로 하는 (대학)학문성과 직무(전문)성에 관한 논쟁의 향배와 시사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뉴엘의 “키네지올로지”론은 미국 체육 관련 학회, 학과의 혼돈을 통합하고자 하는 시도로서 후속의 지지 속에서 AKA, NAK와 같이 학문, 학과 명칭의 변경 및 통합으로 이어졌다. 동시에 크레츠머와 시덴톱의 비평처럼 인문학․사회과학적 접근의 입지 약화, 대학 교육과정 내 체육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직무 관련 교과목의 위상 하락 등의 우려 및 반대가 함께했다. 키네지올로지에 관한 학문성과 직무성 논쟁은, 우리 체육학과 미국 키네지올로지 간의 연구 주제 및 범위, 명칭 표기 등에 관한 비교 검토가 필요하며, 체육학이라는 통일된 명칭에 안주하고 있는 우리에게 체육교육 이외에 유력하고 안정된 새로운 직무분야의 개발과 정착을 위한 협동의 노력이 절실함을 시사한다. Newell's papers on the possibilities of kinesiology to reunify the disciplinary areas and departments with higher education, and Spirduso's, Kretchmar's, and Siedentop's commentaries to Newell's arguments triggered wide discussions from 1990s to 2000s in the USA. As the result, AKA was founded, NAK was renamed, and many university and college departments changed their titles to kinesiology. This movement made the backgrounds to this study which aim was to investigate debates about kinesiology, and its implications to research and practice in Korea.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ly, it is needed that comparative study of focus, boundary, and titles between kinesiology and Cheayukhak(i.e. studies for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or human movement science), secondly, Korean researchers and educators in higher education has to develop corporately new professions related to physical activity, especially, health, and exercise. University and college departments of Cheayukhak have similar titles and programs but limited boundary of practices. They did not try eagerly to develop new professions of physical activity except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instruc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신학의 학문적 보편성에 대하여 -W. 판넨베르그의 신학의 학문성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조영호 ( Youngho Cho ) 한국개혁신학회 2018 한국개혁신학 Vol.60 No.-

        신학은 학문성을 지니고 있는가? 이 질문은 신학의 가능성에 대한 질문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판넨베르그를 비판적으로 수용함으로서 이 문제에 대한 답을 찾아 볼 것이다. 판넨베르그가 신학의 보편성을 추구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신학의 고립화를 벗어나 보편적 신학을 추구하고 2) 신학이 타학문으로부터 소외되지 않고 학문으로서의 보편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신학의 보편성을 위해 판넨베르그는 기독교의 원천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한다. 그리고 이러한 시도들을 통해 그는 신학을 교회를 위한 학문으로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에 관한 학문으로 신학을 형성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한다. 그에 따르면, 신학은 기독교에 관한 학문만으로 존재할 수 없다. 신학이 실증적 학문으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은 하나님에 관한 학문으로서 하나님의 현실성이 미치는 전체 영역이 고려될 때 가능하다. 판넨베르그의 신학의 구조와 방법은 신학의 특수성을 간과하고 있다. 신학의 학문적 보편성은 신학의 특수성, 즉 계시에 기초할 때에만 확보될 수 있다는 사실을 잊고 있다. 그리고 그의 신학적 의도는 ‘신앙과 이성’의 조화라는 범주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를 지닌다. Does theology have academic? This question is a question about the potential of theology. To that end, we are to find answers to this problem by critically accepting Pannenberg. The reason why Pannenberg pursues the universality of theology is as follows: 1) pursue universal theology from the isolation of theology 2) theology is not alienated from other investigations, maintain universality as academic. Because of the universality of theology Pannenberg attempts a new interpretation of the source of Christianity. Through such an attempt, he does not limit theology as academics for the church, but presents grounds on which it can form the academic theology of God. According to it, theology can not exist only by Christian study. It is possible that theology can maintain as an empirical investigation as a discipline of God when the whole realm of God's reality is considered. The structure and method of the theology of Pannenberg overlook the theory of theology. The academic universality of theology forget the fact that it may only be secured if it is based on the peculiarity of theology, ie clearly based. And his theological intention has the limit that he can not get out of the category of "harmony of faith and reason".

      • KCI등재

        생사학 연구동향과 학문성 모색

        양준석(Yang, Jun-Seok),이지원(Lee, Ji-Won),김재경(Kim, Jae-Gyeong),이정은(Lee, Jung-Eun),이나영(Lee, Na-Young),김아리(Kim, Ah-ri),박훈(Park, Hoo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과학연구 Vol.0 No.49

        이 논문은 생사학의 연구현황을 살펴봄으로써 학문적 영역으로서 ‘생사학(生死學)’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글이다. 누구나 죽는다는 사실이 죽음학의 출발점이며 죽음의 두려움을 극복하자는 것이 죽음학의 목표이다. 죽음에 대한 불안은 현존하는 인간으로 하여금 일상적 삶을 성찰하는 계기를 제공하며 이 과정에서 삶과 죽음을 상징하는 현재와 미래, 유와 무, 형이상과 형이하를 관통하는 생사관이 생기며 이를 통해 죽음에 대한 불안을 부단히 극복하려고 한다. 따라서 죽음은 삶의 일부이며, 죽음에 대한 불안의 극복은 일상적 삶의 과제이기에 죽음문제는 삶의 문제이다. 이런 측면에서 서양의 죽음학은 동양에서 삶과 죽음이 다르지 않다는 관점에서 생사학으로 재정의 되고 그 영역을 확대해 가고 있다. 생사학이 융합학문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생사학의 개념, 이론, 연구영역, 학문적 성격을 정리해야 한다. 학제 간 융합학문으로 출발한 생사학은 인문학적 접근만 있어서도 안 되고 과학적 접근만으로도 안 된다. 생사학은 삶과 죽음의 문제를 의학과 종교, 철학, 교육학, 심리학, 사회학, 사회복지 등 다양한 범주에서 밀접하게 관련을 맺고 전개하는 융합학문이기 때문이다. 이에 융합학문으로서의 생사학, 특히 한국적 생사학의 지평을 넓히기 위해 지금까지 관련된 연구업적을 분석하고 향후 학문영역으로 발전하기 위한 개념과 이론 정립을 위한 연구노력이 시급히 요청된다. 이 같은 시각에서 먼저 국내 생사학 관련 논문 현황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학제 간 융합학문으로써의 생사학 발전 가능성과 탐구영역 개발, 확장에 대한 논의를 통해 ‘한국적 생사학’의 학문성을 넓히는 데 의미 있는 계기가 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raise the possibilities of Life and Death Studies as a field of academic disciplines and analyzing the domestic research trend of Life and Death Studies. Every living organism dies and death is part and simultaneously point toward which converge all previous phases.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death and dying are the starting point for the Thanatology and overcoming fear and pain when making preparations for our own death, which are the aim of the study. Death anxiety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life to human existence and to prepare for our own inevitable death, in the process it can help many of us have view of life and death passing through the present and the future, existence and non-existence, metaphysics and physical science. Death is a part of life and overcoming death anxiety is the agenda of daily life, therefore, the question of death is very relevant to that of life. Life and Death Studies explores how the question affects individuals, families, communities, and cultures. In this respect Life and Death Studies has to redefine and expand its area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udy based on Oriental thought; life and death are the same, in comparison with Western study, Thanatology which focuses on dying and death. Life and Death Studies relies on collaboration with many different fields of study. Because death is such a broad and complex subject, it needs a holistic approach. It is primarily an interdisciplinary study, frequently undertaken by professionals in humanities, social sciences, medical science, religion and mythology. To develop Life and Death Studies as a field of academic disciplines, there must be an accurate definition, theories, critical research area and academic features as convergence studies. Life and Death Studies as convergence studies, especially Korean Life and Death Studies, is urgently called for an effort to analyze research achievements so far and to establish concepts and theories to consolidate its area as academic disciplines. On this view,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examine the theses for master and doctoral degrees and journal articles in Korea and to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Korean Life and Death Studies’ by discussing developmental potential and critical research area as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