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험적 지식과 필연성에 관하여

        김학택 범한철학회 2009 汎韓哲學 Vol.55 No.4

        Kant specified the traditional concept on a priori knowledge by giving it to necessity and university. In particular, he showed the possibility of synthetic a priori knowledge. It's necessity is not the logical, formal necessity of analytic judgements but the material necessity in any compulsion of the mind. According to Kant, a priori form in mind brings to be necessary into them. such form in mind is compulsive. What is a priori is necessary because it compels the mind' acceptance. Lewis explained the a priori that it represents an attitude in some sense freely taken, stipulation of mind itself, and a stipulation which might be made in some other way if it suited our bent or need. According to Lewis, the a priori is independent of experience not because it prescribes a form which the data of sense must fit, or anticipates some pre-established harmony of experience with the mind, but precisely because it prescribes nothing to experience. It concerns the uncompelled initiative of mind or our categorical ways of acting. Therefore, none of a priori knowledges is beyond the possibility of alteration and does not have a necessity. Quine argued that there can be no such thing as a priori knowledge in his epistemic holism. all knowledge is to some degree empirical. Since no sentence is immune to revision, there is no necessary truth either. Consequently, we must give up the conception that a priori knowledge must be necessary. it is not certain that a priori knowledge must be necessary. To be necessary, it is required other source. Thus we must have a loosed concept or definition of a priori knowledge without necessity. We can find it in Hamlyn and Moser' definition. In particular, Moser' concept of minimal a priori knowledge does not requires necessary belief, irrevisable belief, self-evidence belief, or innate concepts. 전통적으로 선험적 지식은 경험의 도움 없이 혹은 경험에 독립해서 참임을 확증할 수 있는 지식으로서 경험에 의해 참임을 확증할 수 있는 경험적 지식과 구분된다. 칸트는 이러한 선험적 지식에 필연성과 보편성을 부여함으로써 선험적 지식의 전통적 의미를 구체화한다. 특히 칸트는 선험적 종합판단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선험적 종합판단의 필연성은 분석판단이 가지는 논리적 형식적 필연성이 아니라 우리 마음의 특유한 구조에서, 즉 우리 주관에서 비롯되는 실질적, 내용적 필연성이다. 또한 그것의 필연성은 우리가 임의적으로 변경할 수 없는 마음의 강제성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그러나 루이스는 선험성을 우리가 자유롭게 받아들인 태도이며, 우리의 경향이나 욕구에 적합하다면 다른 방식으로 만들어질지도 모르는 마음 그 자체의 약정에서 비롯되는 것이라고 해석한다. 그래서 선험적 지식은 우리의 경향과 욕구와 관련된다는 점에서 실용적이며, 우리의 경향과 욕구에 적절하지 못할 경우에, 혹은 경험의 확장에 의해서 변경 가능하다는 것이므로 필연성도 가지지 않는다. 콰인의 인식론적 전체론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모든 명제는 수정 가능성을 가진다. 분석명제나 논리적 원리조차 수정으로부터 면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필연성을 가지지 않는다. 콰인에 있어서 모든 명제는 경험의 영향을 받고 그에 따라 수정 가능성을 가지므로 전통적인 의미의 선험적 지식은 부정된다. 이처럼 선험적 지식의 필연성은 인식체계, 인식구조에 대한 관점에 따라 달라진다. 칸트가 선험적 종합판단에 부여한 필연성도 인식체계에 따른 필연성일 뿐이다. 그래서 선험적 지식의 개념이 필연성과 관련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포기해야 하며, 서로 연관 관계를 가지기 위해서는 칸트가 시도한 것처럼 정당한 근거를 가져야 한다. 그러므로 선험적 지식에 대한 보다 완화된 규정이 요구된다. 우리는 이러한 규정을 햄린과 모저의 정의에서 찾을 수 있다. 특히 모저의 최소한의 선험적 지식 개념은 수정 불가능성, 오류 가능성, 자명성, 필연성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실용주의적 관점과 콰인의 인식론적 전체론뿐 아니라 진리정합설 그리고 크립키의 예들에서 선험적 지식은 부정되지 않는다.

      • KCI등재

        논문 : 안셀무스의 『하느님은 왜 인간이 되셨는가』(Cur Deus Homo) 에 나타난 "후행적 필연성"에 관한 연구

        강상진 ( Sang Jin Kang ) 한국중세철학회 2012 중세철학 Vol.0 No.18

        『하느님은 왜 인간이 되셨는가』 2권에서 안셀무스는 성육신을 통한 구원이 필연적이었다는 1권의 설명이 제기하는 문제들을 다룬다. 신은 자신에게 어울리지 않는 일을 피해야 한다는 필연성에 의해 강제되어 인류를 구원한 것인가? 만약 그렇다면 신이 자신을 위해서 한 일을 위해 신에게 감사해야 할 이유는 무엇인가?안셀무스는 대략 세 단계를 거쳐 이 문제들을 해명한다. 이 문제들에 대한 안셀무스의 대답을 이해하고 답변의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필연성에도 불구하고 감사할 이유가 줄지 않는다는 첫 번째 답변과 필연성 혹은 불가능성이 신의 것이 아니라 피조물의 것으로 분석되어야 한다는 두 번째 답변은 세 번째답변의 중심개념인 후행적 필연성에 이르러 최종적 단계에 이른다. 신과 구원에 대해 얘기되는 모든 필연성은 궁극적으로 아무것도 강제하지 않고 오직 성립하는 사태로부터 따라나올 뿐인 후행적 필연성일 뿐이다. 각 단계의 설명은 다음 단계의 설명을 전제하지 않고도 이해할 수 있지만, 후행적 필연성을 배경으로 할 때 가장 완성된 형태의 답변이 제시됨을 알 수 있다. 후행적 필연성은 성육신을 통한 구원의 필연성 문제에 대한 해명을 완성하는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In the second book of Cur Deus Homo, Anselm tackles the questions raised by the necessity of the Incarnation. Is God forced to bring about the salvation of mankind by the necessity of avoiding unfittingness? If this is the case, what gratitude do we owe him for this thing which he is doing for his own sake? Anselm offers three answers and the aim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each answer and its structure. Anselm`s answers are as follows: 1) Despite the necessity of an act, there is no reason for the diminishing gratitude for the act, 2) The attribution of impossibility and necessity must not be analyzed as attributes of God, but, rather, as those of creatures, and 3) All the necessities about God and his Salvation are ultimately subsequent necessities that effect nothing but are caused by an actuality. The third answer introduces the concept of subsequent necessity (necessitas sequens). Although each answer can be understood individually without presupposing the other answers, each answer can only be comprehensive if it is seen against the backdrop of subsequent necessity. The concept of subsequent necessity, therefore, plays a central role in the Anselmian explanations of the necessity of the Incarnation.

      • KCI등재

        『묵경』에 있어서 ‘先知’와 ‘必’ 개념의 문제

        정재현 동양고전학회 2009 東洋古典硏究 Vol.35 No.-

        이 글은 그레이엄 (A. C. Graham)이 후기묵가의 저작인 묵경에서 보이는 必과 先知를 각각 ‘논리적 필연성’과 ‘선험적 지식’(a priori knowledge)으로 보는 해석을 비판하기 위한 것이다. 그레이엄은 묵가의 논리학을 ‘이름과 대상을 짝짓는’ ‘기술의 학’ (論)과 ‘이름과 이름간의 관계를 따지는’ ‘추론의 학’ (辯)으로 나누고 특히 후자에 대해 비록 그것이 서구의 형식논리학은 아니지만, 유클리드 기하학과 같은 엄밀한 증명의 과정으로 보아야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그의 주장들은 지식을 그 대상에 따라 名知와 合知로 나누어보는 데서 출발한다. 그러나 내가 보기에 기술의 학과 이름의 학은 후기묵가의 저작인 묵경안에서 명확히 구분될 수 없고, 게다가 묵가의 先知와 이 先知가 가진 필연성은 기본적으로 논리적 필연성이 아니라 규범적 필연성 및 경험적 필연성의 개념이다. 규범적 필연성은 중국의 正名사상에서 제시된 ‘규범적 정의이론’으로부터 기인하는 것이다. 규범적 정의이론이란 기술적 정의이론과는 달리 규범적으로 개념을 정의하는 것이다. 예컨대 ‘아버지는 자애롭다’의 정의는 형태는 기술적이나 사실은 ‘아버지는 자애로워야한다'의 규범적인 것이다. 이러한 규범적 정의이론을 통해 경험적 지식은 그것이 지식인한 당연히 필연적으로 오류 불가능임이 주장된다. 한마디로 묵가에서는 경험적 지식이 추론적 지식 혹은 선험적 지식보다 항상 더 우선적이기에 묵가의 선험적 지식은 사실 엄밀하게 선험적인 것이 아니고, 이러한 지식이 갖는 필연성도 규범적 필연성 및 경험적 필연성에 불과하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ject Graham's interpretation of bi (必) and xianzhi (先知) of Later Mohists' Mojing (墨經) as logical necessity and a priori knowledge respectively. Graham's interpretations of them are based on his beliefs that Mojing distinguishes lun (論), the art of description from bian (辯), the art of inference in the Mohist disciplines and that the latter art should be seen as such a rigorous proof as Euclidean geometry even though it is not a Western formal logic. His beliefs also start from his distinguishing 'knowledge of names' from 'knowledge of conjunction of names and objects' according to the objects of knowledge. In my reading, the art of description and the art of inference, however, can't be sharply distinguished each other in Mojing and bi and xianzhi should be taken as suggesting both a normative necessity and an empirical necessity. A normative necessity is derived from 'normative theory of definition' which comes form the theory of rectification of names in China. The normative theory of definition, unlike the descriptive theory of definition, defines terms normatively rather than descriptively. For example, although such a definition of father, 'father is beneficient', has the form of being descriptive, but it actually is prescriptive and therefore means 'father should be beneficient'. Through this normative theory of definition, empirical knowledge, as long as it is a knowledge, is seen as necessary and so can't be wrong. To conclude, for Mohists an empirical knowledge is always a basis of an inferential knowledge or a priori knowledge, so Mohists' a priori knowledge is not really a fundamental knowledge and its necessity therefore is nothing but both a normative necessity and an empirical necessity.

      • KCI등재

        전쟁 결정에 있어 ‘역사적 필연성’ 인식론의 역할

        김재학(Jaehak Kim),김성현(Sunghyun Kim)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3 한국과 국제사회 Vol.7 No.1

        본고는 전쟁 결정 원인으로서 역사적 필연성 사고 체계에 주목하였다. 이에 대하여 냉전 시기 소련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우선 본고는 전쟁 결정 여부를 설명하는 데 있어 타자와의 관계 인식을 양립불가성 또는 공존불가성에 기반한 관계로 분류할 수 있는 역사적 필연성에 대한 인식론을 분석틀로 제시하였다. 이 중에서 후자가 전쟁 결정을 야기시킬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는 소련의 역사적 필연성 인식을 살펴보았다. 냉전 시기 소련은 자유주의와 자본주의 진영과의 전쟁불가피론과 필연적 승리론을 채택하였으나, 흐루쇼프 시기를 기점으로 이를 폐기하고 전쟁가피론을 수용하였다. 더 나아가 본고는 소련이 미국과의 전쟁에 대하여 새로운 역사적 필연성 인식을 가졌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에 대하여 소련이 전쟁 대신 체제 경쟁을 통해 미국을 이길 수 있다고 판단하였으며, 핵무기의 등장으로 전쟁은 궁극적으로 공동 멸절을 가져올 것이라는 새로운 역사적 필연성의 확립으로 인해 소련의 전쟁불가피론에서 전쟁가피론으로의 사고 변화는 불가역적 속성을 갖는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cause of war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inevitability’ as a system of thought, focusing on the Soviet Union during the Cold War. Specifically it explores Hegel’s understanding of speculative philosophy of history as a means to define the relationship with the ‘other’ into two categories which are ‘mutual coexistence’ versus ‘impossibility of coexistence’. The latter is a system of thought which may lead to war. Based on this, this paper analyzes the perception of ‘historical inevitabili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oviet Union. During the Cold War, the Soviet Union pursued the strategy of the ‘inevitability of war’ and victory. This was replaced in the era of Khrushchev by the ‘avoidability of war’. This paper finds that the Soviet Union gained a different perception concerning its relationship with the United States, in which they began to believe that victory was possible through competition over its system rather than through war. The advent of the nuclear age also reinforced the possibility of mutually assured destruction. These changes led to the transformation of the Soviet Union perception on ‘historical inevitability’, from the ‘inevitability of war’ to the avoidance of it.

      • KCI우수등재

        소중히 여기는 것에 관한 욕구와 행복

        한곽희(Gwakhee Han) 한국철학회 2016 철학 Vol.0 No.127

        이 논문은 행복에 관한 이론 중 욕구만족이론의 한 형태를 탐구한다. 본 논문에서 추구하는 목표는 두 가지이다. 첫째는, 프랭크프르트(Harry G. Frankfurt)가 제시하는 ‘소중히 여김’(caring)과 ‘의지적 필연성’(volitional necessity)이 행복에 관한 견해를 설명해 주고 있음을 보이는 것이다. 둘째는 행복에 관해 프랭크프르트가 견지하는 입장의 문제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첫째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나는 프랭크프르트의 견해에서 ‘소중히 여김’과 ‘의지적 필연성’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나타내는 근거가 된다는 것을 주장한다. 한 개인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의 성취가 행복이라고 할 때, 소중히 여기는 것을 하는 것과 의 지적 필연성에 의한 힘에 의해 행동하는 것은 행복해지는 길이라는 것이 프랭크프르트의 주장이다. 둘째 목표의 성취를 위해, 나는 ‘소중히 여김’과 ‘의지적 필연성’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잘 드러낼 수 없다고 주장한다. 프랭크프르트의 견해를 따르게 되면 한 개인이 불운으로 여기는 것이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드러내는 경우가 있게 된다는 것을 지적한다. 또한 가치 있다고 여기는 것과 소중히 여기는 것이 일치하지 않을 때 전자가 아닌 후자가 자신이 원하는바를 드러낸다고 할 설득적인 이유가 없다고 주장한다. 만약 소중히 여기는 것이 가치 있게 여기는 것이나 판단하는 것과 완전히 독립적이라면, 소중히 여기는 것이 한 개인의 진정한 욕구를 표현한다는 것은 이상할 수 있다. 의지적 필연성에 관해선, 의지적 필연성의 힘도 한 개인의 진정으로 원하는 바를 잘 표현한다고 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또한 의지적 필연성의 힘과 그 힘에 반대되는 것 중 어느 것이 진정한 욕구의 표현인지 결정하기 어렵다는 것을 주장한다. This article explores a possible account of happiness (a kind of desiresatisfaction theory) that I think Harry G. Frankfurt suggests. I pursue two aims in this paper, one of which is to explain some arguments that Frankfurt holds with respect to happiness. The other is to argue that Frankfurt’s arguments have some problems. My view is that two notions can illuminate Frankfurt’s view of happiness. The notion of ‘caring about something’ and the notion of ‘volitional necessity’ are the two notions. I argue that on Frankfurt’s view, happiness consists in getting or doing what one cares about. I also argue that Frankfurt’s view is that happiness can come from doing what the force of volitional necessity asks one to do In arguing against Frankfurt’s view of happiness, I explain why Frankfurt’s view of happiness is not completely acceptable. I argue that the notion of caring and of volitional necessity do not express very well what one really wants or one’s true self. I also point out that on Frankfurt’s view what one regards as a misfortune can be what one really wants. In addition, I argue that there is no compelling reason to think what one really wants can be expressed not by what one values but by what one cares about when they conflict with each other. I also argue that what one cares about cannot be completely independent of one’s valuing or judging. If caring can be independent of valuing or judging, it would be odd to think that what one cares about expresses what one really wants or one’s true self. With respect to volitional necessity, I argue that Frankfurt fails to convince us to accept that the force of volitional necessity expresses what one really wants. I also argue that it might be impossible to decide which higher-order desire expresses one’s true desire when one has lots of higher-order desires. In addition, I argue that notion of self-satisfaction cannot help us to decide which higher-order desire expresses what one really wants.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에 있어서의 필연성과 소위 아리스토텔레스적 본질주의

        이영환(Yungwhan Lee) 한국서양고전학회 2010 西洋古典學硏究 Vol.39 No.-

        아리스토텔레스의 필연성 개념과 관련하여 필자는 크게 두 가지 문제를 다룬다. 첫째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양상 실재론자인지 그리고 그가 양상 실재 론자라면 어떤 의미에서 그런 지이고, 또 하나는 콰인(W. V. O. Quine)이 de re 필연성을 부정하고 반(反)본질주의를 주장하면서 타겟으로 삼은 소위 ‘아리스토텔레스적 본질주의 (Aristotelian essentialism)’가 정말로 아리스토텔레스적인가 하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가 근본적으로 양상 실재론자라는 것은 많은 연구자들이 동의할 만한 주장이나, 구체적으로 그의 양상 이해가 어떤 의미에서 실재 론적인지에 대해서는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것은 많은 아리스토텔레스 연구자들이 콰인의 공격으로부터 방어하고자 한 소위 아리스토텔레스적 본질주의가 (필자가 이해하기에) 중요한 점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체/본질 이해에서 벗어나 있다는 것에도 잘 드러난다. 필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체/본질에 대한 하나의 이해를 바탕으로 양상성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입장이 물론 콰인식의 반본질주의가 아니지만, 마찬가지로 콰인이 비판하고 일군의 학자들이 콰인의 비판으로부터 옹호하는 소위 아리스토텔레스적 본질주의도 아닌 제 삼의 입장이라고 주장한다. 이 논의를 통해 또한 필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을 이해함에 있어서 현대 술어 논리를 끌어들이는 것이 부적절함을 주장하고,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형이상학적으로 중립적이라고 주장되어왔던 현대 술어 논리가 어떤 의미에서 근본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과는 다른 존재론적 가정을 끌어들이고 있는 것은 아닌지 조심스럽게 문제제기를 할 것이다. 필자는 마지막으로 아리스토텔레스가 이해하는 필연성 개념이 현대적인 이해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것이라고 주장하고 그러한 필연성 개념을 이해하는 한 시도로서 ‘능력으로서의 필연성’ (dynamic necessity) 개념을 소개할 것이다. I address two issues regarding Aristotelian modality. One issue concerns whether Aristotle is a modal realist. Is modality in Aristotle part of the objective world or is it somehow dependent on how we use our language or concepts? My answer is that Aristotle is a modal realist all right, but a peculiar kind, peculiar because his metaphysical stance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ours. Another issue is whether Quine’s so-called Aristotelian essentialism is really Aristotelian. My answer is negative. When I explain why so-called Aristotelian essentialism is not Aristotelian, I will have a chance to discuss Aristotle’s metaphysical stance. The picture emerging out of my discussion of Aristotelian substances shows that there is a third alternative beside anti-essentialism of Quine and what he and other scholars have characterized as Aristotelian essentialism. During the course, the difference between Aristotelian metaphysics and the metaphysics that dominates the modern mind is noted and the applicability of modern logical notions/devices to Aristotle’s philosophy questioned. I suggest that we should be very careful in approaching Aristotle’s philosophy with the modern logical notions/devices since modern philosophy and logic are, I believe, on a quite different metaphysical footing from that on which Aristotle’s philosophy stands. I suggest at the end the notion of dynamic necessity as a basic framework to understand Aristotelian necessity.

      • KCI등재

        헤겔의 실재적 양상 범주에 관한 논의

        고현범 한국헤겔학회 2020 헤겔연구 Vol.0 No.47

        This article discusses the relation of modal categories such as actuality, possibility, contingency, and necessity, focusing on real modal category. In Hegel’s Science of Logic, actuality is considered in the last section of essence logic. The actuality chapter in it especially lies in the course of the strict philosophical argument about “the passage from necessity to freedom, or from actuality into notion”(§159 Anm.). Hegel considers the modal category through the relation of modal categories in his Science of Logic. And such method is applied consistently to formal-real-absolute modal categories. Different to formal, in real modal category Hegel considers the relation through condition(s) and Sache. That is, these concepts are constitutive in the metaphysic of actuality. Actuality as contingency is grasped as conditions in the relation of real possibility. These are real possibility, which has Sache as other possibility. Such relations don’t only explicate the existing relation of conditions and Sache repeatedly and retrospectively, but the relation of total condition and Sache selbst lies behind them. This article intends to reveal such metaphysical implication through comparison with Kant’s Transcendental Idea. Real possibility has the meaning of real necessity through double Aufheben. First, real possibility cancels and preserves itself to full condition as real actuality. Second, it cancels and preserves itself to Sache selbst. In the course of double Aufheben, real necessity has three moments such as condition, Sache, activity. But this necessity is relative because of separate moments. On the other hand, absolute necessity penetrates all of formal differences, and characterizes contingency from itself. And it establishes the unity of the inner and the outer as the former essential relation. 이 글은 <<논리의 학>>과 <<엔치클로페디>>에서 헤겔이 현실성 범주와 함께 고찰하는 가능성, 우연성과 필연성이란 양상 범주들의 관계를 실재적 양상 범주를 중심으로 논의했다. <<논리의 학>>에서 현실성 범주는 본질논리의 마지막 편에서 논의된다. 양상 범주에 관한 현실성 장은 “필연성으로부터 자유로의, 또는 현실에서 개념으로의 이행”(§159 Anm.)에 대한 엄밀한 철학적 논변 과정에 놓여 있다. 헤겔은 <<논리의 학>>에서 양상 범주를 범주들 간의 상호 관계를 통해 고찰하며, 이는 형식-실재-절대적 양상 범주에서 일관되게 적용된다. 이때 실재적 양상 범주에선 형식적 양상 범주와는 달리 조건(들)과 사태 개념을 통해 양상 범주들 간의 관계를 논의한다. 다시 말하면 조건(들)과 사태 개념이란 현실성의 형이상학적 고찰에 구성적인 개념들이다. 우연적으로 현존하는 현실성은 실재적 가능성과의 관계에서 조건들로 파악된다. 이러한 조건들은 사태라는 다른 가능성을 갖는 실재적 가능성이기도 하다. 이러한 실재적 현실성과 실재적 가능성의 관계, 그리고 조건들과 사태의 관계는 단지 현존하는 조건들과 사태의 관계를 사후적으로 되풀이해서 해명하는 게 아니라 그 바탕에는 조건들의 총체성과 이에 대한 사태 자체의 관계가 놓여 있다. 이러한 형이상학적 함축을 칸트의 선험적 이념과의 비교를 통해 드러내고자 했다. 실재적 가능성은 지양을 통해 실재적 필연성의 의미를 갖는다. 이때 지양은 충돌에 의해 이중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글에선 완전한 조건으로서 실재적 현실성으로의 지양과 조건에서 사태 자체로의 지양으로 논의했다. 이러한 지양과정을 통해 실재적 필연성은 조건, 사태, 활동이라는 세 가지 계기를 갖는다. 그런데 이러한 계기들이 서로 분리된 필연성은 상대적 필연성이다. 반면 절대적 필연성은 모든 형식 구별들을 관통하고 자신으로부터 우연성을 규정한다. 그리고 이러한 절대적 필연성을 통해 본질적 관계인 내면과 외면의 통일이 확립된다.

      • KCI등재

        필연성과 오류가능성은 어떻게 양립가능한가?

        선우환(Hwan Sunwoo) 한국철학회 2008 철학 Vol.0 No.97

        한 명제의 필연성과 그 명제의 오류가능성은 일견 서로 상충하는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많은 명제들-예를 들어 ‘물은 H₂O이다’-에 대해 필연성과 오류가능성을 모두 귀속시키기에, 필연성과 오류가능성이 어떻게 서로 양립할 수 있는지를 설명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한 기존의 가장 잘 알려진 두 해결책은 각각 크립키(S. Kripke)와 차머스(D. Chalmers)에 의해 제시되었다. 이병덕 교수는 그의 논문 “필연성과 오류가능성”에서 이 두 해결책을 각각 비판하고 자신이 받아들이는 추론주의 의미론이 이 퍼즐에 대한 보다 성공적인 해결책을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필자는 필연성과 오류가능성의 양립가능성 문제에 대한 크립키와 차머스의 해결책들은 최소한 이병덕 교수가 생각한 것과 같은 심각한 난점을 갖지 않는다는 것을 보인다. 또한 이병덕 교수의 제안은 그 해결책을 제공해 주지 못한다는 것을 보이기 위해, 특히 그의 제안의 핵심적 부분 즉 오류가능성 문장을 개념 변화 가능성 문장으로 이해하는 방식이야말로 심각한 난점들을 가질 뿐이며 필연성과 오류가능 성의 양립가능성을 보이는 데에는 성공하지 못한다는 논의를 한다. 오류가능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우리는 어떤 식으로든 ‘변화’라는 시간적 개념이 아니라 ‘대안적 가능성’이라는 양상적 개념에 호소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현재의 ‘물’ 개념을 가지고 서술될 수 있는 대안적 가능성이 무엇인가를 통해서만 우리는 비로소 우리가 지금 사용하는 의미에서의 물에 대한 오류가능성 문제의 핵심에 접근할 수가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Two properties necessity and fallibility appear to be in a conflict with each other. But we sometimes have to ascribe these two properties to one and the same sentence. For example, we usually grant that the sentence 'Water is H₂O' is necessarily true and fallible at the same time. How can these two properties compatible with each other? Two well-known solutions to this puzzle are Kripke's and Chalmers' solutions. In a recent paper titled "Necessity and Fallibility," Byeong-Deok Lee criticizes their solutions and proposes his own solution. First, I argue that Kripke's and Chalmers' solutions are not subject to the charges Lee raised to them, and thus Lee's new solution is ill-motivated. Second, I argue that Lee's own solution generates new problems rather than solves the original puzzle.

      • KCI등재

        괴테의 『친화력』에 나타난 인간의 조건 - “이성자유”와 “열정적 필연성”의 긴장관계

        조성희 ( Cho Seonghee ) 한국괴테학회 2021 괴테연구 Vol.- No.34

        당대에 통용되던 화학 용어인 ‘선택친화성’을 소설의 제목으로 삼은 괴테는 직접 쓴 책광고문에서 이 개념을 “이성자유”와 “열정적 필연성”이라는 표현으로 풀어쓰면서 도덕성과 감각성, 의무와 경향성이라는 인간의 이중적인 조건을 강조하고 있다. 작가 자신의 이러한 해설을 출발점으로 삼아 본고에서는 소설 『친화력』에 드러나는 자유와 필연성의 관계를 이 양자의 긴장관계가 가장 극명하게 드러나는 인물인 오틸리에를 중심으로 해명한다. 이 소설에서 남녀 간의 사랑은 화학 원소들이 친화성에 따라 결합하고 분리되는 것처럼, 강력한 인력의 작용, 즉 자연필연성의 현상으로 묘사된다. 오틸리에는 특히 자연의 힘에 대한 독특한 감수성, 즉 석탄 같은 물질에 대한 반응성과 멀리 떨어져 있는 연인에 대한 텔레파시 등 예사롭지 않은 면모를 보이는데 이는 당대에 유행했던 동물자기설 또는 메스머리즘의 맥락에서 형상화된 것이며 그녀가 아주 특별한 자연필연성의 지배 아래 있다는 점을 뚜렷이 보여준다. 그녀는 에두아르트에 대한 열정적 사랑과 감각적 욕망, 즉 자연필연성으로 인해 과실치사의 죄를 짓게 되지만 이를 계기로 자신의 “궤도” 이탈을 깨닫고 도덕성을 지키기 위해 열정적 사랑을 단념한다. 그녀가 자기 성찰을 통해 자신의 행복을 추구하기 마련인 인간의 본성을 버리고 스스로 옳다고 생각하는 “법칙”을 따르기로 자율적으로 결단하는 모습에서 우리는 “청명한 이성자유”의 순간을 목격하게 된다. 에두아르트와의 결합을 단념한 오틸리에는 숙명론적인 자기인식을 바탕으로 봉사하는 삶을 살겠다고 천명하지만, 사랑하는 연인과의 재회는 단번에 이러한 결심을 무력화시키고 그녀는 사랑이라는 “흐린 열정적 필연성”에서 벗어날 수 없게 된다. 이렇게 도덕성과 감각성, 도덕적 결단과 숙명적 사랑 사이에서 헤어날 수 없는 아포리아에 빠진 오틸리에는 결국 단식으로 자신의 감각성을 서서히 소멸시킴으로써 살아있는 한 에두아르트를 사랑하는 동시에 자신의 결심을 지킨다. Goethe verwendet für den Titel seines Romans den Begriff ,Wahlverwandtschaft‘, einen gebräuchlichen Terminus aus der Chemie, den er in einer Selbstanzeige für sein Buch auch als „Vernunftfreiheit“ und „leidenschaftliche Notwendigkeit“ paraphrasiert. Damit betont er die doppelte Bedingtheit des Menschen: Sittlichkeit und Sinnlichkeit, Pflicht und Neigung. Ausgehend von der eigenen Erläuterung des Autors geht die vorliegende Arbeit auf die Beziehung zwischen Freiheit und Notwendigkeit im Roman „Die Wahlverwandtschaften“ ein und konzentriert sich dabei auf die Figur Otilie, bei der sich das Spannungsverhältnis zwischen den beiden Konzepten am offensichtlichsten zeigt. Im Roman wird die Liebe zwischen Mann und Frau als starke Anziehung, also als ein Phänomen der Naturnotwendigkeit beschrieben, so wie sich chemische Elemente entsprechend ihrer Verwandtschaft verbinden und trennen. Otillie ist besonders ungewöhnlich in ihrer einzigartigen Anfälligkeit für die Naturkraft, etwa in ihrer Empfindlichkeit gegenüber unbelebten Stoffen wie Kohle und ihrer telepathischen Verbindung mit ihrem weit entfernten Liebhaber. Dies wird im Kontext des damals populären ,animalischen Magnetismus‘ bzw. Mesmerismus thematisiert und zeigt deutlich, dass sie unter der Herrschaft einer ganz besonderen Naturnotwendigkeit steht. Wegen ihrer leidenschaftlichen Liebe und sinnlichen Begierde zu Eduard, also wegen der Naturnotwendigkeit begeht sie die Sünde der fahrlässigen Tötung, wodurch sie aber den Austritt aus ihrer „Bahn“ erkennt und daraufhin ihrer leidenschaftlichen Liebe entsagt, um ihre Sittlichkeit nicht zu gefährden. Wir beobachten den Moment der „heiteren Vernunftfreiheit“, als sie durch Selbstreflexion die menschliche Natur, das Streben nach dem eigenen Glück, aufgibt und sich autonom entschließt, dem „Gesetz“ zu folgen, das sie selbst für richtig hält. Demzufolge entsagt Ottilie ihrer Verbindung mit Eduard und erklärt, dass sie auf Grund einer fatalistischen Selbsterkenntnis ein Leben im selbstlosen Dienst führen wird, aber das Wiedersehen mit ihrem Geliebten setzt diesen Entschluss sofort außer Kraft, und sie kann sich nicht der „trüben leidenschaftlichen Notwendigkeit“ entziehen. Auf diese Weise gerät Otillie in eine Aporie von Sittlichkeit und Sinnlichkeit, moralischem Entschluss und schicksalhafter Liebe, der sie nicht entkommen kann. Solange sie lebt, liebt sie Eduard und gleichzeitig hält an ihrem Vorsatz fest, indem sie schließlich durch das Fasten allmählich ihre Sinnlichkeit vernichtet.

      • KCI우수등재

        오류가능성의 문제에 대한 잘못된 접근

        선우환(Hwan Sunwoo) 한국철학회 2011 철학 Vol.0 No.107

        필연성과 오류가능성의 양립가능성 문제는 그 두 가지가 어떻게 서로 양립할 수 있는가의 문제이다. 이병덕 교수는 이전의 한 논문에서 오류가능성에 대한 나름의 이론을 통해서 그 문제에 접근했다. 이에 대해 필자는 이전 논문에서 그의 오류가능성 이론이 그 자체로 심각한 문제들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오류가능성에 대한 올바른 이론이 될 수 없다는 것을 드러내는 논거들을 제시했고, 또한 그런 이론이 필연성과 오류가능성의 양립가능성 문제에 대해 이무런 설명도 제공해 주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결정적 반론들이 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병덕 교수는 자신의 기본적인 입장을 굽히지 않고 최근의 논문에서 여전히 자신의 이론을 구해내려는 시도들을 한다. 그러나 그의 새로운 시도들 역시 오류가능성의 문제들에 대해 여전히 잘못된 접근을 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다. 필연성과 오류가능성의 양립가능성 문제에 대해, 그 둘 간의 진정한 양립가능성을 보여주지 않으면서, 단지 특정 명제에 대해 그것을 우리가 필연적 참이라고 믿는다는 사실과 그 명제의 오류가능성 사이의 양립가능성만으로 충분하다고 이야기하는 접근은 필연성과 오류가능성의 양립가능성 문제의 핵심을 놓쳐 버린다. 이런 잘못은 오류가능성의 개념이 가진 인식적 가능성으로서의 성격에 대한 이해의 부족과 그 밖의 몇 가지 논리적 오류들에 기인한다. 또한 오류가능성을 개념이 수정될 가능성을 통해서 이해하고자 하는 이론은 그 이론을 자꾸만 어떤 식으로 변형시키든 간에 근본적 딜레마에서 빠져나오지 못한다. 그 이론은 그 자체로도 오류가능성에 대한 근본적으로 잘못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필연성과 오류가능성의 양립가능성 문제에 대해서도 여전히 아무런 설명을 제공해 주지 못한다. The problem of explaining how necessity and fallibility can be compatible with each other is an important philosophical problem. Philosophers attempt to solve the problem through various reflections and explications on the concept of fallibility. In an earlier paper, Byeong-Deok Lee proposed a solution based on his own theory of fallibility. In other papers, I argued that Lee’s theory generates new problems rather than solves the original problem. In a recent paper “Erroneous Belief by Virtue of Erroneous Concept”, Lee presented new attempts to save his approach from my objections. In this paper, I show that his new attempts still fail. Lee replaces the original problem by an easy problem of explaining how our beliefs about necessity can be compatible with fallibility. However, his approach misses the real point of the original problem. Moreover, his wrong approach is due to his misunderstanding of key notions and other logical fallacies. His approach to fallibility is wrong in itself, and it does not help to solve the problem of necessity and falli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