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플라노 드 카르피니의 『몽골인의 역사』에 보이는 몽골사 인식

        김장구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0 동국사학 Vol.49 No.-

        In 1234, Ögödei qa’an dispatched the second expedition to the west which was led by the supreme commander Batu and which conquered the Kipchak steppe, Eastern Europe, Russia, and etc. As a result of this expedition, Western Europeans were struck with ‘horror of Tartar (Mongγol) from hell’ and the Papal court had to look for ways to prepare for further Mongolian attacks. On April 6, 1245, John of Plano de Carpini departed Lyons and traveled to the Mongol Empire on a mission to take two Papal letters to the Mongol qa’an. After all the difficulties he faced during the trip, he could made it to Qara qorum on July 22, 1246 and attend the new Great qan Güyüg’s enthronement ceremony. Then he left Qara qorum on November 13, 1246 and arrived back at Lyons in the autumn of 1247. During the return trip, in Rus’, he compiled a report titled “Historia Mongalorum” in which the information he collected in Mongol Empire is recorded. He presented the report to the Pope. In the report, Carpini briefly described Mongolian nature, climate, religion, and custom. He also described the history of Činggis qan’s unification of Mongolian tribes, Mongolian military system, tactics, strict discipline, dignity of the Great qan, and how they governed countries under Mongol rule. Carpini observed and recorded domestic issues of the Mongol empire. He met high officials like Činqai, Qadaq, and Bala who held administrative responsibility of the empire. He met the Great qan Güyüg in person and recorded that the qan was a Christian quoting some person’s testimony. It is true that the qan was in amity with Christianity, but he did not actually treat Christianity with any special favors. There were a lot of foreigners in Qara qorum, the capital of the Mongol Empire which was embarking on great ventures abroad in Eurasia at the time. Carpini met people from Russia or Eastern Europe and learnt a lot of information about the Empire from them. It is noteworthy that Carpini mentioned envoys from Solangi, which means Koryo, six times in his record. In a current Mongolian language Solangi(Solonγos) still means Korea. When one considers the fact that Carpini did not have enough advance information of the Mongol Empire and he was the first person at the time to have visited the Empire, the various information he collected while he was staying in the Empire only for four months is quite impressive. Even though the record reveals Carpini’s lack of understanding on Mongolian history and language, it still has considerably objective validity. But, however, there are some exaggerated facts of Mongolian brutality and savageness in the record. Carpini was on a spy mission and he had to overstate the threat of the Mongol Empire against the west. He also had to stress the need that the Papal court should play a key role in opposition to Mongols. 1234년, 우구데이 카안은 바투를 총사령관으로 하는 ‘제2차 서방 원정군’을 파견하였다. 이 원정군은 킵차크 초원과 동유럽, 러시아 등을 정복하였다. 그 결과 서유럽은 ‘지옥에서 보낸 타르타르의 공포’에 휩싸이게 되었고, 교황은 다시 있을지 모르는 몽골의 공격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카르피니는 교황이 몽골의 군주에게 보내는 두 통의 편지를 들고, 1245년 4월 6일 리옹을 출발하였다. 험난한 여정에도 불구하고 1246년 7월 22일 카라코룸 근처에 도착해 새로운 대칸으로 선출되는 구육의 즉위식에 참석하는 행운을 누렸다. 그런 다음 같은 해 11월 13일 카라코룸을 출발해 1247년 가을 리옹에 도착했다. 그는 귀환 도중 루시에서, 그 동안 보고 들었던 것을 토대로 『몽골인의 역사』(Historia Mongalorum)라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교황에게 바쳤다. 보고서의 내용을 보면, 먼저 몽골의 자연과 기후, 종교, 관습 등에 대해 간명하게 서술하였다. 이어서 칭기스가 몽골고원의 유목민을 통합하는 과정, 몽골 군대의 편제와 구성 원리, 몽골 대칸의 위엄과 몽골군대의 엄격한 군율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그리고 몽골인의 전투방법, 정복지역에 대한 관리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카르피니는 대몽골국의 내부 문제에 대해서도 관찰하고 기록하였다. 제국의 행정을 책임지고 있던 친카이, 카닥, 발라 등 고위관리들을 만나기도 하였다. 카르피니는 구육 칸을 직접 만났으며, 다른 사람의 말을 통해 그가 기독교도라고 적고 있다. 물론 구육이 기독교에 우호적이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다른 종교에 비해서 특별대우를 해준 것은 결코 아니었다. 유라시아를 아우르는 세계 제국으로 웅비하고 있던 대몽골국의 수도인 카라코룸에는 다양한 이방인들이 존재하였다. 카르피니는 몽골에 체류하는 동안 러시아와 동유럽에서 오거나 끌려 온 사람들을 만났고, 그들로부터 몽골의 내부사정에 대한 정보를 얻어들었다. 특별히 언급해야할 것은 ‘솔랑기(Solangi)’에서 보낸 사신에 대해 여섯 차례나 언급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몽골 사람들은 지금도 한국을 ‘솔롱고스(Solonγos)’라고 부른다. 태어나서 처음으로, 그것도 사전정보조차 불충분한 상황에서 몽골에 다녀온 카르피니의 여행기록은 비록 4개월 정도의 짧은 체류기간이었지만, 예리한 눈으로 관찰하고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어떤 부분에서는 카르피니의 몽골어와 몽골 역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면이 보이지만, 비교적 객관적으로 기록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그들 ‘타르타르(몽골)’의 야만성과 폭력성, 파괴와 살육 등을 과장하여 기술한 측면도 부인할 수 없다. 게다가 카르피니의 사행 목적은 몽골 정탐과 몽골의 서방세계 위협론을 과장할 필요가 있었으며, 몽골에 대항할 연합세력은 로마 교황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당위성을 강조할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

        기획논문: 여행기를 통해 본 동서양의 교류와 소통 : 플라노 드 카르피니의 『몽골인의 역사』에 보이는 몽골사 인식

        김장구 ( Jang Goo Kim ) 동국사학회 2010 동국사학 Vol.49 No.-

        1234년, 우구데이 카안은 바투를 총사령관으로 하는 ‘제2차 서방 원정군’을 파견하였다. 이 원정군은 킵차크 초원과 동유럽, 러시아 등을 정복하였다. 그 결과 서유럽은 ‘지옥에서 보낸 타르타르의 공포’에 휩싸이게 되었고, 교황은 다시 있을지 모르는 몽골의 공격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카르피니는 교황이 몽골의 군주에게 보내는 두 통의 편지를 들고, 1245년 4월 6일 리옹을 출발하였다. 험난한 여정에도 불구하고 1246년 7월 22일 카라코룸 근처에 도착해 새로운 대칸으로 선출되는 구육의 즉위식에 참석하는 행운을 누렸다. 그런 다음 같은 해 11월 13일 카라코룸을 출발해 1247년 가을 리옹에 도착했다. 그는 귀환 도중 루시에서, 그 동안 보고 들었던 것을 토대로 『몽골인의 역사』(Historia Mongalorum)라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교황에게 바쳤다. 보고서의 내용을 보면, 먼저 몽골의 자연과 기후, 종교, 관습 등에 대해 간명하게 서술하였다. 이어서 칭기스가 몽골고원의 유목민을 통합하는 과정, 몽골 군대의 편제와 구성 원리, 몽골 대칸의 위엄과 몽골군대의 엄격한 군율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그리고 몽골인의 전투방법, 정복지역에 대한 관리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카르피니는 대몽골국의 내부 문제에 대해서도 관찰하고 기록하였다. 제국의 행정을 책임지고 있던 친카이, 카닥, 발라 등 고위관리들을 만나기도 하였다. 카르피니는 구육 칸을 직접 만났으며, 다른 사람의 말을 통해 그가 기독교도라고 적고 있다. 물론 구육이 기독교에 우호적이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다른 종교에 비해서 특별대우를 해준 것은 결코 아니었다. 유라시아를 아우르는 세계 제국으로 웅비하고 있던 대몽골국의 수도인 카라코룸에는 다양한 이방인들이 존재하였다. 카르피니는 몽골에 체류하는 동안 러시아와 동유럽에서 오거나 끌려 온 사람들을 만났고, 그들로부터 몽골의 내부사정에 대한 정보를 얻어들었다. 특별히 언급해야할 것은 ‘솔랑기(Solangi)’에서 보낸 사신에 대해 여섯 차례나 언급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몽골 사람들은 지금도 한국을 ‘솔롱고스(Solonγos)’라고 부른다. 태어나서 처음으로, 그것도 사전정보조차 불충분한 상황에서 몽골에 다녀온 카르피니의 여행기록은 비록 4개월 정도의 짧은 체류기간이었지만, 예리한 눈으로 관찰하고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어떤 부분에서는 카르피니의 몽골어와 몽골 역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면이 보이지만, 비교적 객관적으로 기록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그들 ‘타르타르(몽골)’의 야만성과 폭력성, 파괴와 살육 등을 과장하여 기술한 측면도 부인할 수 없다. 게다가 카르피니의 사행 목적은 몽골 정탐과 몽골의 서방세계 위협론을 과장할 필요가 있었으며, 몽골에 대항할 연합세력은 로마 교황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당위성을 강조할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In 1234, Ogodei qa`an dispatched the second expedition to the west which was led by the supreme commander Batu and which conquered the Kipchak steppe, Eastern Europe, Russia, and etc. As a result of this expedition, Western Europeans were struck with `horror of Tartar (Mongγol) from hell` and the Papal court had to look for ways to prepare for further Mongolian attacks. On April 6, 1245, John of Plano de Carpini departed Lyons and traveled to the Mongol Empire on a mission to take two Papal letters to the Mongol qa`an. After all the difficulties he faced during the trip, he could made it to Qara qorum on July 22, 1246 and attend the new Great qan Guyug`s enthronement ceremony. Then he left Qara qorum on November 13, 1246 and arrived back at Lyons in the autumn of 1247. During the return trip, in Rus`, he compiled a report titled “Historia Mongalorum” in which the information he collected in Mongol Empire is recorded. He presented the report to the Pope. In the report, Carpini briefly described Mongolian nature, climate, religion, and custom. He also described the history of Cinggis qan`s unification of Mongolian tribes, Mongolian military system, tactics, strict discipline, dignity of the Great qan, and how they governed countries under Mongol rule. Carpini observed and recorded domestic issues of the Mongol empire. He met high officials like Cinqai, Qadaq, and Bala who held administrative responsibility of the empire. He met the Great qan Guyug in person and recorded that the qan was a Christian quoting some person`s testimony. It is true that the qan was in amity with Christianity, but he did not actually treat Christianity with any special favors. There were a lot of foreigners in Qara qorum, the capital of the Mongol Empire which was embarking on great ventures abroad in Eurasia at the time. Carpini met people from Russia or Eastern Europe and learnt a lot of information about the Empire from them. It is noteworthy that Carpini mentioned envoys from Solangi, which means Koryo, six times in his record. In a current Mongolian language Solangi(Solonγos) still means Korea. When one considers the fact that Carpini did not have enough advance information of the Mongol Empire and he was the first person at the time to have visited the Empire, the various information he collected while he was staying in the Empire only for four months is quite impressive. Even though the record reveals Carpini`s lack of understanding on Mongolian history and language, it still has considerably objective validity. But, however, there are some exaggerated facts of Mongolian brutality and savageness in the record. Carpini was on a spy mission and he had to overstate the threat of the Mongol Empire against the west. He also had to stress the need that the Papal court should play a key role in opposition to Mongols.

      • KCI등재

        수도사 카르피니(Carpini)의 『몽골인들의 역사』 (Ystoria Mongolorum ) 연구 - 몽골 방문의 목적 및 저술의도 연구 -

        조용석 수원교회사연구소 2021 교회사학 Vol.- No.19

        교황 이노센트 4세가 공식적으로 파견했던 프란체스코회 수도사 플라 노 드 카르피니는 몽골제국을 여행했던 첫 번째 유럽인으로서, “우리가 타 타르인이라고 부르는 몽골인들의 역사”를 저술했다. 이는 연대기적이 아 니라, 주제별로 기술되어 있으며, 유럽인 최초로 아시아를 직접적-사실적 으로 묘사한 작품이라고 평가받고 있다. 『몽골인들의 역사』는 두 번의 편 집작업을 통하여 작성되었다: 그의 리옹 귀환 직후에 수행된 첫 번째 편집 작업을 통하여 몽골군의 유럽재침공을 대비하기 위한 정탐보고서로서 서문과 제1장부터 제8장이 작성되었다. 두 번째 편집작업은 약간의 휴식 후 에 진행된 두 번째 편집작업을 통하여 본문의 진정성에 대한 의심을 방지 하기 위한 시도로서, 제9장이 추가되었다. 카르피니에게 있어서 교황의 친서전달이 공식적인 몽골방문의 중요한 목적이었으며, 부수적으로 정탐의 임무를 부여받았다. 그에게 있어서 교 황친서의 전달은 그가 가지고 있었던 프란체스코회 수도사로서의 선교적 사명감과 부합했다. 그러나 교황대사로서 구육칸을 가톨릭 신앙으로 회심 시키지 못하고, 유럽재침공의 의도를 암시했던 구육칸의 매우 위협적인 친서를 받은 이후, 몽골인들의 차후 계획과 의도가 유럽 재침공이라는 것 을 확신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작성된 그의 몽골방문보고 서로서의 『몽골인들의 역사』는 유럽인들이 두려워했던 몽골에 대한 첫 번째 인상을 확립할 수 있도록 도와 주었으며, 전쟁준비를 위한 유익한 정보를 전달했다. John of Plano Carpini as a Franciscan friar is the first noteworthy European traveller in the Mongol Empire, to which he was sent on a formal mission by Pope Innocent IV. He wrote an excellent firsthand account of the Mongols called Ystoria Mongolorum (The History of the Mongols Whom We Call the Tartars). He successfully recorded a detailed account as the first direct authentic description of Asia based on his personal observation throughout the journey, which was formed not chronologically but thematically. Ystoria Mongolorum was written in two separate moments: the first redaction was realized shortly after his return to Lyon. The preface and Chapters 1-8 were written as a spy report to prepare for the reinvasion of Europe by the Mongols.; the second after some rest. Chapter 9 was entirely added in the second redaction and it looks like the attempt to reject the accusation of the text. The delivery of the papal letter was the official purpose of his visit to Mongolia. This purpose coincided with his sense of mission as a Franciscan friar. Incidentally. he was assigned a spy mission. But as the papal legate, John of Plano Carpini might not have accomplished the goal of converting Güyük Khan to Catholic faith or manifest the power of Almighty God and his supreme vicar, Pope Innocent IV. Furthermore, he received a very threatening letter from Güyük Khan hinting at the intention of reinvading Europe. It became clear that the Mongols’ intention was a reinvasion of Europe. Ystoria Mongolorum as the report of his visit to Mongolia written through this process helped Latin Christendom establish an initial impression on the Mongol Empire the Europeans feared, which was also beneficial for the preparation of a war.

      • KCI등재

        대몽골국 초기(1206~1259) 카라코룸으로 간 고려사신들

        김장구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학연구소 2018 梨花史學硏究 Vol.0 No.57

        Until now, studie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yŏ(高麗) and the Great Mongol Empire(Yeke Mongγol Ulus) have mainly focused on Mongol's invasions and Koryŏ's defense against them. However, Koryŏ did not always fight against Mongol before Koryŏ was conquered by Mongol. Koryŏ would send envoys to the imperial capital, Qaraqorum(和林), several times as well. In some travelogues by European envoys who had visited Qaraqorum to take a precaution, they were greatly surprised at Mongol’s invasions to Eastern Europe in the early period of the Great Mongol Empire. Few detailed records can be found on ‘the chief of Solangi(Koryŏ, 高麗)’ and ‘envoys of Solanga’. In particular, Plano de Carpini had mentioned Solangi 6 times in his book. One possibility of the identity of the chief envoy from Koryŏ whom Plano de Carpini had met is that he was the Duke of Sinan(新安公), Wang Jeon(王佺). He, at that time, left Koryŏ in tenth month in 1245 by lunar calendar and returned back in the second intercalary month of 1249. The other possibility is that he was the Duke of Yeongnyeong(永寧公), Wang Joon(王綧), who was sent to Mongol as ‘turqaγ(禿魯花)’, the hostage, in fourth month of 1241 by the lunar calendar, and returned back in the ninth month of 1255. So far, there have been various opinions about those ‘envoys of Koryŏ’ whom Carpini met with, in addition to the two mentioned above, other opinions are that he was Gojong(高宗), the Duke of Yeongnyeong, Wang Joon or the Duke of Sinan, Wang Jeon. However, in my opinion, it is much more likely that both of the Duke of Sinan, Wang Jeon and the Duke of Yeongnyeong, Wang Joon were the envoys whom Carpini had met with. William of Rubruck also recorded two notes of Koryŏ; ‘Solanga’ and ‘Caule’. One of ‘the ambassadors of Solanga’ he had encountered with, was the Duke of Yeongnyeong, Wang Joon, who attended the coronation ceremony of Güyük qa'an, mentioned as ‘the chief of Solangi’ by Carpini. The other one was the Duke of Angyeong(安慶公), Wang Chang(王淐). The Duke of Angyeong, Wang Chang was more like the chief of ‘the ambassadors of Solanga’ who Rubruk had encountered with. Nevertheless, there still remains a possibility that he could have met both of them, the Duke of Yeongnyeong, Wang Joon and the Duke of Angyeong, Wang Chang, because ‘the ambassadors’ is a plural form not a singular form. Marco Polo called Koryŏ ‘Cauli’ not Solangi or Solanga in his book, The Travels of Marco Polo. Since then, this name was spread to Europe through Western Asia and it is currently ‘Korea(Corée)’. On the other hand, the word of Cauli got forgotten among Mongolians but the word of Solanga remained as the name of dynasties existing in Korean Peninsular such as Koryŏ ‘Solonγo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