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방 신부 서한에서 확인되는 조선 지명 기록

        이석원 수원교회사연구소 2023 교회사학 Vol.- No.23

        현재까지 한국천주교회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교회사 전공 연구자들이 늘어나면서 한국천주교회사에 대한 연구도 계속 축적되고 있다. 각지의 교구와 교회사연구소에서 기초 사료의 수집·정리, 역주·간행 작업을 진행하고 있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이 다양한 주제에 걸쳐 연구 논문과 저서를 발표하고 있다. 필자가 재직하고 있는 수원교회사연구소도 ‘수원교구 역사총서’, ‘교회사 자료집’, ‘고전신심서적총서’, ‘교회사 번역총서’, ‘교회사 학술총서’, ‘선교사제 서한총서’를 기획, 편찬, 간행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서책이나 논저 중에는 나중에 오류로 확인되거나 명확하게 사실·인과 관계를 밝히지 못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오류임에도 불구하고 활자화된 저서를 통해 잘못된 정보가 고쳐지지 않고 확대·재생산되어 온 것이 교회사학계의 현실이고, 인터넷의 발전과 웹사이트의 확산으로 이러한 문제점은 더욱 심화되고 있 다. 따라서 현재까지 잘못 알려진 부분을 바로잡고 새로운 자료의 발굴이나 재해석을 통해 사실과 인과 관계를 재조명하는 작업은 매 우 필요하면서도 시급한 과제이다. 교회사학계의 일원으로서 필자 도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으며, 오류라는 문제에서 자유롭지 않기 때문에 이를 고쳐나갈 책임이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필자는 수원교회사연구소의 소식지인 『상교우서』와 학술등재지인 『교회사학』의 지면을 통해 기존의 연 구성과나 자료 해석에서 오류로 확인되는 내용을 찾아 수정하고, 새로 밝혀진 사실이나 이에 기반한 추론 등을 소개하는 작업을 하 고 있다. 그럼으로써 한국천주교회사에 관심 있는 신자나 연구자들 에게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새로운 자료와 시각[접근 방법]을 제 시하려고 노력 중이다. 이 글도 그러한 작업 중의 하나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수원 순교 성지의 성역화 조성 계획과 순교 신심의 고취

        김동욱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2005 교회사학 Vol.0 No.2

        Since the Korean-French Treaty in 1886, Catholicism was gradually allowed in Korea. In July 1888, the Wangrim(a.k.a. Gatdeung-i) community became a formal parish, and there were efforts to honor the martyrs from Suwon. In addition, coinciding with a large-scale exodus from agricultural areas, the urbanization process began in Korea. These conditions allowed the birth of the Suwon parish in 1923, and the arrival of Fr. Shim Desideratus Polly in 1931 further confirmed the Suwon church's formal status. The study by Fr. Kim Hakryeol on the martyrs from Suwon ignited a movement to consecrate the martyrs' holy ground. On September 20, 2000, Bishop Choi Dukgi declared the area of Suwon citadel around the Buksudong Church as Suwon Sacred Ground and since then the Suwon Diocese has celebrated the Exposition of Martyrs every year. Currently, the author is leading various initiatives to consecrate Suwon Holy Groud. It would be very fruitful if the Catholic Church worked together with Hwaseong Project Center which is presently working on gradual restoration of Suwon-Hwaseong citadel. If the consecration project can be integrated with the cultural restoration movement of Suwon-Hwaseong, it will create a valuable opportunity to educate both the Catholic and non-Catholic public about the regional history and Catholic martyrs. The location of the Suwon Holy Ground also has an unusual advantage: it is in downtown and is well connected by the mass transportation system. Therefore, various programs can be developed to encourage the visitors to attend a mass, participate in adoration of the Holy Body of Christ, or go to reconciliation. The author plans to investigate further the theological uniqueness that is shown in the conflation of filial love with Catholicism among early Suwon Catholics, and to encourage spiritual development of the public by publicizing the Suwon martyrs' exemplary devotion. 1886년 한불조약(韓佛條約)을 계기로 한국에서 천주교회가 점차 묵인되면서, 1888년 7월, 왕림(갓등이) 공소가 본당으로 승격되었고, 점차 수원읍내에서 순교자들을 기리는 노력이 계속되었다. 이러한 노력과 함께 당시한국사회의 전반에 걸친 광범위한 이농현상과 도시화의 진전이라는 시대적 상황에 맞추어 1923년 수원본당이 창설되었고, 1931년 부임한 폴리(데시데라도, 沈) 신부에 의해 본당으로써의 본격적인 자리매김을 하게 되었다. 1995년 김학렬 신부의 수원순교자에 대한 연구를 기점으로 수원순교성지의 성역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 2000년 9월 20일, 최덕기 주교에 의해 북수동 성당을 중심으로 한 수원성이수원성지로 선포되고. 그후 매년 수원지구 차원의순교자현양대회가 열리고 있다. 2005년 현재 김동욱 신부는 수원 성지를 본격적으로 성역화(聖域化)하고자 여러 가지 시도를 하고 있다. ‘문화경쟁시대’라는 세계적 추세에 발맞추어 수원순교성지의 성역화 작업은, ‘수원화성(水原華城)의 복원’을 순차적으로 진행 중인화성사업소와 상호 연대하여 화성문화 재개발과 병행추진한다면 신자․비신자에 모두에게 화성관련 역사와 천주교 순교역사를 동시에 널리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도심에 위치한 성지로써, 교통의 편리함을 적극 활용하여 신자들이 언제든지 미사에 참여하거나 고해성사, 성체조배 등을 할 수 있고 순교 신심을 고취시킬 수 있도록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실시하고자 한다. 특별히 ‘효(孝)’ 사상에 바탕을 둔 수원순교 성지만의 고유한 가톨릭 영성과 신심의 개발에 주력할 것이다.

      • KCI등재

        수원지역 가톨릭 신앙의 역사적 전개과정

        정종득 수원교회사연구소 2005 교회사학 Vol.0 No.2

        1801년 신유박해를 계기로 신자들은 전국으로 흩어지게 되었고, 수원 지역에도 신앙공동체의 모습이 드러난다. 1836년 유방제 신부의 보고에 따르면 수원 교구 지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교우촌은 11~13곳에 이르며, 모두 103~140명 정도의 신자들이 살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수원에서 생장(生長)했거나 또는 수원에서 활동하다가 순교하신 분들은 1866년 병인박해 이후에 가서야 비로소 나타난다. 한국 순교성인 103위 가운데 18~19세기 수원 고을과 연고가 있는 분은 장주기 요셉·조화서 베드로·정철염 카타리나·정의배 마르코·박후재 요한·허계임 막달레나·이매임 데레사·이정희 바르바라·이영희 막달레나·최경환 프란치스코·민극가 스테파노·정화경 안드레아로 모두 12명이다. 한편 현재 시복시성 추진 중인 124위 순교자 가운데 수원 지방 관련자는 장 토마스·신태보 베드로·이성례 마리아가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행적이 잘 드러나지 않은 순교자들 가운데서도 향후 시복시성을 추진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모범적인 행적과 신앙심을 발휘한 분들도 적지 않다. 지 다두·박의서 사바스·박원서 말구·박익서·원 방지거·윤 바오로·김사범·박 말구 등 여덟 분의 순교자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주로 효도(孝道)와 우애(友愛)로 성가정을 이루며 복음전파에 힘쓴 이들의 행적을 자세히 밝혀 신앙의 모범으로 삼고, 향후 수원교구 차원에서 시복시성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Since the Sinyu Persecution in 1801, Korean Catholics were dispersed throughout the country, and new Catholic communities were formed in Suwon as well as in other regions. Judging from a report written by the Chinese priest Yu Bangje(a.k.a. Pacifico) in 1836, there seems to have been 11 to 13 Catholic communities in the area currently known as the Suwon Diocese, and 130 to 140 Catholics lived in those communities. However, it was only after the Byeong-in Persecution in 1866, that the martyrs who had either grown up or lived and worked in Suwon region began to appear. Out of the 103 Korean saints, twelve were connected to the communities in Suwon region: these saints were Jang Jugi Joseph, Jo Hwaseo Peter, Jeong Cheolyeom Catharina, Jeong Euibae Mark, Bak Hujae John, Heo Gyeim Magdalene, Yi Maeim Teresa, Yi Jeonghee Barbara, Yi Yeonghee Magdalene, Choi Gyeonghwan Francis, Min Geukga Stephen, and Jeong Hwagyeong Andrew. Also, among the 124 martyrs who are currently in the process of beatification or canonization, Jang Thomas, Shin Taebo Peter, and Yi Seongrye Maria were also from Suwon area. In addition, there are quite a few lesser-known martyrs who made such remarkable contributions and exhibited such extraordinary faith that they may very well be beatified or canonized in the future. There are eight martyrs who are prime candidates for such a possibility: Ji Thaddaeus, Bak Euiseo Sabas, Bak Wonseo Mark, Bak Ikseo, Won Francis, Yun Paul, Kim Sabeom, and Bak Mark. They led holy family lives marked by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 and tirelessly evangelized. We should study their lives, make their endeavors known to public, and make them our models to emulate. In addition, the Diocese of Suwon should take the initiative to begin the process of canonization for these martyrs.

      • KCI등재

        수원교구 순교신앙의 역사적 맥락과 남한산성 순교 성지

        정종득 수원교회사연구소 2004 교회사학 Vol.0 No.1

        수원교구의 설정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정신과 부합하는 한국교회와 경기지역 교우들의 ‘방인교구 설정 요청’에 대한 교황청의 긍정적인 응답이 그 배경을 이루고 있다. 1963년 교구 설정이후 현재에 이르는 교구 사목의 바탕에는 박해시대에 남한산성을 비롯한 수원교구 내의 모든 땅에서 피 흘리며 숨져간 수많은 순교자들과 무수한 익명의 증거자들의 믿음과 행실을 본받고 계승하려는 정신이 관철되어 있다. 남한산성에서 순교하신 수원교구 선조들의 순교정신은 초창기 교회창설과 박해기 교회재건 및 신앙자유의 여명기와 오늘에 이르기까지 모든 교우들의 신앙공동체 조직과 확산의 정신적인 디딤돌이 되어왔다. 남한산성 순교자의 신심은 수원교구내 수원성지, 죽산성지, 남양성지 등 수많은 순교터에서 발원한 순교 정신과 연결되면서, 양근성지, 천진암성지, 단내성지, 어농성지 등에서 발원한 한국교회 창립과 확산의 의지를 순교의 피로 양육하였으며, 다시 그 순교정신으로 은이, 골배마실, 한덕골, 구산, 수리산, 손골, 부엉골 등지에서 교우촌과 공소와 본당을 건설하도록 선도하여 왔다. 그러므로 남한산성 순교성지는 21세기 수원교구 신앙공동체의 정신적 버팀목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The establishment of ‘Diocese of Suwon(水原敎區)’ originated from the affirmative answer for the catholics' demand in Suwon, it accords with the idea of the 2nd Vatican Council. From the beginning of the Diocese until to this days, such beliefs and wills for succeeding the martyrdom of numerous martyrs and for following the acts of witnesses are the basis of the pastrol works in Diocese of Suwon. The spirit of martyrs who had been died for Jesus Christ at Namhansanseung walled fortress(南漢山城), has become the foundation of organizing and spreading the catholic communities, from the beginning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church in the age of persecution, until to the early Age of religious freedom. Owing to the blood of martyrs, the beliefs of the martyrs' at Namhansanseung has brought up the willings for founding and spreading the Korean Catholic Church. The willings originated from the shrine of Yanggeun(楊根), Cheonjinam(天眞菴), Dannae(丹川), Eonong(於農), and they spread to the shrine of Sowon, Jooksan(竹山), Namyang(南陽) and the other districts, and finally led the organizing the catholic villages(敎友村), secondary stations(公所) and parishes(本堂) in such villages as Eunee(隱里), Golbaemasil, Handeoggol(閑德洞), Gusan(龜山), Soorisan(修理山), Sonkol, Booeonggol etc. Therefore Namhansanseug martyrs' shrine will accomplish the role of mantal support for catholic communities in Diocese of Suwon in the 21st century.

      • KCI등재

        박해기 수원지역 신앙 선조들의 삶과 죽음

        김학렬 수원교회사연구소 2005 교회사학 Vol.0 No.2

        조선후기 수원 유수부의 관할 구역은 현재의 수원시와는 전혀 달랐다. 현재의 수원시와 오산시 전체, 남양반도 지역을 제외한 화성시, 그리고 평택시의 대부분과 충남 아산시 인주면까지 포함하는 넓은 지역이었다. 그밖에도 정조 왕은 장용외용(수도 방어를 위한 친위군)을 수원에 설치하면서 군사협력체제의 일환으로 안산, 진위, 과천, 시흥, 용인까지 수원 유수부의 관할 하에 두게 하였다. 따라서 이들 지역이 모두 행정적으로 수원에 예속됨으로써, 수원 이외의 다섯 지역에서는 별도로 처형된 순교자들이 없다. 수원의 순교자들은 대부분 병인박해시의 순교자들이다. 내포지방의 아산만에서 경기도 지류 쪽으로 생겨나기 시작한 교우촌인 걸매, 양간, 샘골, 거니, 갓등이 등지를 중심으로, 한 동네에서 가족 단위로 집단적인 순교자가 생겨나게 되었다. 이들 가운데 중요한 인물은 한양이나 연고지로 끌려가서 순교하였다. 수원지역 출신의 순교자 143명 가운데 75명이 수원에서 순교하였고, 이들 중 대부분이 64대 유수인 이경하가 재임하던 1866년 10월에서 1869년 2월 사이에 집중되어 있다. 가장 오랜 기간동안 수원유수로 재직한 이경하는 처음부터 병인양요의 전투를 지휘하여 대원군의 신임을 받게 되었고, 병인양요와 관련된 내포지역의 신자들을 발본색원하기 위하여 수원에 파견된 것으로 보인다. 때마침 덕산에서는 굴총사건이 발생하였고, 이 사건까지 수원유수로서 마무리하게 된 것이다. The military district that was called Suwon County(Suwon yusubu) during the late Chosun period was quite different from Suwon city area as it is today. It was a vast district that included all of today's Suwon city, Osan city, Hwaseong city(excluding the Namyang peninsula), most of Pyeongtaek city, and the Inju district in Asan city, Chungnam Province. In addition, as King Jeongjo positioned a royal guard garrison(Jangyongoeyong) in Suwon, other townships such as Ansan, Jinwi, Gwacheon, Siheung, and Yongin were also placed under the military control of Suwon county in order to ensure effective cooperation among military units in the area. Because all of the above regions were part of Suwon local governance, there were no martyrs who were executed in any of the five regions, separate from Suwon. The martyrs from Suwon were mostly victims 'of the Byeong-in Persecution. The whole families were martyred in several Catholic villages such as Geolmae, Yang-gan, Saemgol, Geoni, and Gatdeungi, which were formed along the Asan bay in the Naepo area and spread inland into Gyeonggi Province. If martyrs were prominent or important people, they were often sent to the capital city or their hometowns to be executed. Out of the 143 martyrs from Suwon county, 75 were executed in Suwon, and most of these executions occurred during the regime of the 64th governor, Yi Gyeongha, between October 1866 and February 1869. Yi Gyeongha enjoyed the longest tenure as governor . He gained the confidence of Daewongun(King Gojong's father) for taking command during the battle with a French fleet(Byeong-in yangyo) in 1866, and was presumably assigned to his position in Suwon for the express purpose of eradicating Catholicis in the Naepo region. Incidentally, in the same year, an armed entourage of the German merchant, Ernest Oppert, raided villages in Deoksan, attempted to excavate the grave of Namyeongun(Daewongun's father), pillaged villages, and attacked Korean civilians. Yi Gyeongha was also in charge of investigating this major incident.

      • KCI등재
      • KCI등재

        수원 순교성지의 성역화 조성과정과순교신심의 고취

        김동욱 수원교회사연구소 2005 교회사학 Vol.0 No.2

        1886년 한불조약(韓佛條約)을 계기로 한국에서 천주교회가 점차 묵인되면서, 1888년 7월, 왕림(갓등이) 공소가 본당으로 승격되었고, 점차 수원읍내에서 순교자들을 기리는 노력이 계속되었다. 이러한 노력과 함께 당시한국사회의 전반에 걸친 광범위한 이농현상과 도시화의 진전이라는 시대적 상황에 맞추어 1923년 수원본당이 창설되었고, 1931년 부임한 폴리(데시데라도, 沈) 신부에 의해 본당으로써의 본격적인 자리매김을 하게 되었다. 1995년 김학렬 신부의 수원순교자에 대한 연구를 기점으로 수원순교성지의 성역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 2000년 9월 20일, 최덕기 주교에 의해 북수동 성당을 중심으로 한 수원성이 수원성지로 선포되고. 그후 매년 수원지구 차원의 순교자현양대회가 열리고 있다. 2005년 현재 김동욱 신부는 수원 성지를 본격적으로 성역화(聖域化)하고자 여러 가지 시도를 하고 있다. ‘문화경쟁시대’라는 세계적 추세에 발맞추어 수원순교성지의 성역화 작업은, ‘수원화성(水原華城)의 복원’을 순차적으로 진행 중인 화성사업소와 상호 연대하여 화성문화 재개발과 병행추진한다면 신자․비신자에 모두에게 화성관련 역사와 천주교 순교역사를 동시에 널리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도심에 위치한 성지로써, 교통의 편리함을 적극 활용하여 신자들이 언제든지 미사에 참여하거나 고해성사, 성체조배 등을 할 수 있고 순교 신심을 고취시킬 수 있도록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실시하고자 한다. 특별히 ‘효(孝)’ 사상에 바탕을 둔 수원순교 성지만의 고유한 가톨릭 영성과 신심의 개발에 주력할 것이다. Since the Korean-French Treaty in 1886, Catholicism was gradually allowed in Korea. In July 1888, the Wangrim(a.k.a. Gatdeung-i) community became a formal parish, and there were efforts to honor the martyrs from Suwon. In addition, coinciding with a large-scale exodus from agricultural areas, the urbanization process began in Korea. These conditions allowed the birth of the Suwon parish in 1923, and the arrival of Fr. Shim Desideratus Polly in 1931 further confirmed the Suwon church's formal status. The study by Fr. Kim Hakryeol on the martyrs from Suwon ignited a movement to consecrate the martyrs' holy ground. On September 20, 2000, Bishop Choi Dukgi declared the area of Suwon citadel around the Buksudong Church as Suwon Sacred Ground and since then the Suwon Diocese has celebrated the Exposition of Martyrs every year. Currently, the author is leading various initiatives to consecrate Suwon Holy Groud. It would be very fruitful if the Catholic Church worked together with Hwaseong Project Center which is presently working on gradual restoration of Suwon-Hwaseong citadel. If the consecration project can be integrated with the cultural restoration movement of Suwon-Hwaseong, it will create a valuable opportunity to educate both the Catholic and non-Catholic public about the regional history and Catholic martyrs. The location of the Suwon Holy Ground also has an unusual advantage: it is in downtown and is well connected by the mass transportation system. Therefore, various programs can be developed to encourage the visitors to attend a mass, participate in adoration of the Holy Body of Christ, or go to reconciliation. The author plans to investigate further the theological uniqueness that is shown in the conflation of filial love with Catholicism among early Suwon Catholics, and to encourage spiritual development of the public by publicizing the Suwon martyrs' exemplary devo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