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가 재난관리체계와 표준화의 필요성

        류지협(Ji Hyeob Ryu),김우혁(Woo Hyeok Kim),황의진(Eui Jin Hwang) 한국방재안전학회 2008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1 No.1

        This study analyzes the present state of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Korea and th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trend of disaster management systems in advanced nations. ISO has developed inter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tandards in ISO/TC 223 Societal Security Technical Committee, and the advanced nations such as U.S.A., U.K. and Japan are in competition with each others to reflect their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tandards in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Each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 in Korea separately carries on the disaster management standardization and activities because national standards for the disaster management is not established yet. The national standardization efforts for disaster management system have to be executed in Korea to raise efficiency in disaster management activities and to cope with th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f disaster management.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재난관리체계를 고찰하고 국제 재난관리표준화 동향, 선진국의 재난관리표준화 활동 및 국내 재난관리표준화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국제표준화기구(ISO)는 ISO/TC 223 Societal Security을 통하여 국제 재난관리규격을 개발하고 있으며, 미국, 영국 및 일본과 같은 선진국들은 자국의 재난관리표준을 국제 표준화 하기위해 경쟁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국가 재난관리표준이 제정되지 않아 재난관리 책임 기관별로 별도의 표준화를 추진하고 이에 따른 재난관리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재난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국제적인 재난관리표준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서 우리나라에서도 국가재난관리표준의 제정과 재난관리시스템의 표준화가 구축되어야 한다.

      • KCI등재

        대량 맞춤옷장 표준화 유닛 캐비닛의 기능 모듈 및 구조 디자인에 관한 연구 : 한샘(HANSSEM) 맞춤옷장을 중심으로

        곽란(Guo, Lan),강재철(Kang, Jae Cheol)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0 한국디자인리서치 Vol.5 No.1

        대량 맞춤(Mass Customization, 약칭 MC )가구는 표준화 유닛 캐비닛 + 비표준화 맞춤 캐비닛 으로 조합된 디자인 방식으로 구성되었으며 그 맞춤화한 상품과 서비스, 대량 생산방식, 공간과 완전 통일된 접합 형태는 신속히 정보시대 주된 가구제작 방식으로 되었다. 이를 기초로, 본 논문은 대량 맞춤옷장 중 표준화 유닛 캐비닛의 디자인을 중심으로 모듈화 디자인방법을 이용하여 표준화 유닛 캐비닛의 기능 모듈과 디자인의 조합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에서 맞춤옷장 표준화 원칙의 계열화, 통용화와 조합화 원칙에 근거하여 모듈화 디자인방법과 결합하여 표준화 유닛 캐비닛의 표준화, 기능 및 구조 간의 관계 구조도를 구축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가구브랜드인 한샘 의 맞춤옷장을 사례로 하여 기능과 연결구조의 측면에서 현존하는 두 개의 표준화 계열에 대해 모듈 분석하였으며 표준화 유닛 캐비닛의 기능과 구조 디자인에 대해 연구하였다. 결론적으로 대량 맞춤옷장은 기능 모듈의 배치를 통해 디자인과 결합하여 상품의 내부적 다양화를 줄이고 외부적 다양화를 증가하는 표준화된 디자인 목적에 도달하는 동시에 맞춤옷장의 표준화 유닛 캐비닛 디자인에서 기능 모듈과 구조 디자인에 적응성 관계가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를 통해 대량 맞춤가구의 실천과 맞춤옷장 기능 모듈화의 개발에 일정한 참고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Mass Customization (MC) wardrobe is the design which through the combination of standardized unit cabinet + non-standardized customized cabinet . It has rapidly developed as the manufacturing mainstream mode in the information age furniture for its customized products and services, mass production mode, complete and unified space joint form. This paper studies the design and combination of functional modules in the standardized unit cabinet with the modular design method, centering on the design of standardized unit cabinet in the mass customization closet.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serialization, generalization and combination of the standardization principle of customized wardrobe, the structural diagram of the function, structure and standardization of the cabinet of standardized unit is established by combining the modular design method. Finally, taking the customized wardrobe of Korean furniture brand Hanssem company as an example, this paper divided the modules of its two existing standardized series from the dimension of function and connection structure, and studied the functional and structural design of standardized unit cabinet. Conclusion: Hanssem can make use of the configuration combination design of functional modules to achieve the standardized design purpose of reducing the internal diversification of products and increasing the external diversification of products. In addition, there is an adaptiv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modules and structural design in the standardized unit cabinet body design of customized wardrobes.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can have certain reference value to the practice of mass customization furniture and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wardrobe function module.

      • KCI등재

        표준화 교육 실태 및 표준화 교육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노용휘,정원호,최동현 기술경영경제학회 2015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3 No.1

        글로벌 경쟁시대로 접어들면서 산업 분야를 막론하고 표준화의 중요성은 날로 증대되고 있다. 세계화가 진척됨에 따라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국가 간 무역에서도 표준화를 통한 호환성 확보는 수출 경쟁력을 결정하는 필수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러한 표준 및 표준화에 대한 교육 실태와 표준화 교육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우리나라 정보통신 및 전기전자 기업을 샘플로 하여 표준화 교육의 실태를 확인하였다. 또한 기업의 표준 및 표준화 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기업 의 특성, 업종, 업력, 그리고 교육에 대한 필요성 인식의 측면에서 확인하였다. 그 결과 기업 의 특성과 표준화 교육에 대한 필요성의 인식에 따라서 표준 및 표준화 교육의 수준이 양적 으로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표준 및 표준화 교육의 실시 수준이 기 업의 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표준화 교육의 횟수 및 교육인원은 기업의 R&D 수행과 생산 및 품질 개선으로 대표되는 기업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글로벌 경쟁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방편으로 표준화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함의를 가진다. As global competition has become keener, importance of standardization has increased due to international trade between firms and countries. Since standardization provide compatibility for parts or products, maintaining a good level of standardization is one of key success factors. This paper studies impact of standardization status and educational effort of standardization on performance of the firm. Also, characteristics of the firm, industry, history, acknowledge of need for education of standardization of the firm are considered as antecedents of standardization status and educational effort on standardization. Data was collected from information and technology and electronics industries. This paper found that characteristics of the firm and acknowledge of need for education on standardization have positive impact on the number of education on standardization. Results of this study also show that the number of education classes and of employees participated in the class positively affect R&D performance and production and quality improvement.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fi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mportance of standardization education and competitiveness of the firm in global market

      • KCI등재

        파렛트 표준화의 효과평가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김현승,도화용,박동주,최창호 대한교통학회 2009 대한교통학회지 Vol.27 No.1

        It is expected that logistics standardization have an great effect on industry and national economy due to cost saving and improving efficiency. Therefore all countries of the world make a strenuous effort to take a lead of logistics standardization. Despite such efforts of every country, our country remained a lukewarm attitude about logistics standardization. Especially, our country remained a lukewarm attitude about logistics standardization effect quantify. We have to suggest the necessity of standardization and the effect for carrying out logistics standard. So, this study performed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for development of effect valuation method. Also, this study developed effect valuation standard for quantifiable standardization effect and drew the effect valuation standard model. First, the measure of preliminary effectiveness was chosen for MOE selection. As a results, vehicle load ratio, delivery cost, keeping space efficiency, warehouse automation ratio, etc. were selected. Then, vehicle/truck load ratio, warehouse keeping efficiency, up․unloading hour, packaging cost, consistency transportation ratio were chosen for MOE of pallet standardization. 물류표준화는 표준화에 따른 비용절감 및 효율성 제고 등으로 인해 산업 부문뿐만 아니라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세계 각국은 물류부문의 글로벌 표준화를 선도하기 위하여 국가별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물류 분야의 표준화가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물류표준화의 효과를 측정하는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며, 특히 물류표준화의 근간이 되는 파렛트 표준화의 효과평가 및 평가척도 개발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전무한 실정이다. 물류표준화가 시행되기 위해서는 우선 표준화의 필요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명확히 제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물류표준화의 효과 측정 및 효과 평가방법을 명확히 하여 물류표준화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제시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관수송 중심의 물류표준화의 근간이 되는 일관수송용 파렛트 표준화의 효과평가방안에 대해 살펴보고, 표준화에 따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효과평가척도(MOE)를 선정하였다. 효과평가척도 선정을 위해 우선 예비효과평가척도를 선정하였는데, 그 결과 차량적재율, 수․배송 비용, 창고보관효율, 창고 자동화율, 상․하역 소요인력 등 12개의 척도가 선정되었다. 이와 같이 선정된 예비효과평가척도를 이용하여 전문가 평가와 업체 대상 응답가능성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효과평가척도를 선정한 결과, 차량/트럭 적재율, 창고보관 효율, 상․하역 시간, 포장비용 비중, 일관수송 비율이 파렛트 표준화에 따른 효과평가를 위한 척도로 선정되었다.

      • KCI등재

        컨벤션 표준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근거이론적 접근 -

        이혜련,윤유식 한국관광학회 2013 관광학연구 Vol.3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tandardization in the Korean convention industry by adopting qualitative research. Specifically, this research was to conceptualize industry experts' perception of convention standardization with a grounded theory approach. Data were collected by the three focus group interviews with 17 professionals in convention industry. Results of open and axial coding showed that standardization needs such as areas and contents of standards was core phenomenon. In addition, data analysis suggested gaps between awareness and adoption of standards were causal conditions, while trends of standardization were contextual conditions. Results also showed that urgencies of standardization were intervening conditions, while integral and systematic standardization were counted as strategies. And outcome of standardization turned out to be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for convention standardiz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컨벤션 표준화에 관하여 탐색하는 것으로 관련 기초 이론이 아직 정립되지 않은 점을 고려하여 자연주의적 연구 패러다임의 근거이론을 적용하였으며,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먼저 자료 정리 단계에는 인터뷰에 의한 자료수집과 분석, 개방코딩을 통해 컨벤션 표준화의 개념을 범주화하였다. 다음 근거자료 제시 단계에는 축코딩의 결과로 컨벤션 표준화에 관한 논의가 중심 현상인 ‘표준화 부문’, ‘부문별 표준화 필요성과 내용’ 등의 ‘ 컨벤션 표준화의 수요’를 중심축으로 전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과적 조건은 ‘표준 인지’, ‘표준 활용’, ‘표준 만족’ 등의 ‘컨벤션 표준 인지와 활용의 차이’이며, 맥락적 조건은 ‘국내 표준화 동향’과 ‘국외 표준화 동향’ 등 ‘컨벤션 표준화 동향’으로 구분되었다. 중재적 조건은 ‘전반적 표준화 시급성’과 ‘부문별 표준화 시급성’ 등의 ‘컨벤션 표준화의 시급성’으로 구성되었으며, 전략은 ‘표준화 주체’, ‘표준화 로드맵’, ‘표준화 추진 방향’ 등의 ‘통합적 · 체계적 표준화 추진’으로 나타났다. 결과는 ‘직접적 성과’와 ‘간접적 성과’ 등의 ‘컨벤션 표준화의 성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 결론 도출 단계에는 선택코딩의 결과로 컨벤션 표준화의 핵심범주는 ‘컨벤션산업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표준 개발과 이행을 위한 이해관계자 공동참여의 체계적 활동’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기업의 표준화활동 결정요인 : 우리나라 서비스기업에 대한 실증연구

        성태경 대한경영정보학회 2009 경영과 정보연구 Vol.28 No.2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서비스기업에 있어서 표준화활동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표준화활동을 유형(혹은 범주)에 따라 기업의 전사적 표준경영, 국내표준화활동, 국제표준화활동 등으로 구분하였고, 그 결정요인으로 기술혁신활동(R&D와 특허출원), 기업규모, 수출, 네트워크(산업특성), 기업조직특성 등을 고려하였다. 분석된 표본은 서비스업에 속한 102개 기업으로 정성적 분석방법인 로지스틱 회귀모형(logistic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R&D집약도는 전사적 차원에서의 표준경영과 국내표준화활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국제표준화활동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 서비스기업들이 국제적 표준화과정에의 참여를 기술이전의 수단으로 활용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하였다. 둘째, 특허출원은 전사적 차원에서의 표준경영에 부(-)의 유의한 효과를 보여 주었다. 즉 특허활동이 활발한 서비스기업일수록 표준화를 기술혁신의 관점에서 중시하지 않고, 자사 기술정보의 유출이나 특허침해의 요인으로 간주하는 현상을 발견하였다. 셋째, 기업규모변수는 서비스기업의 경우 표준화 활동과 연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표준화에 대한 경영진의 관심은 표준화활동의 유형에 관계없이 표준화활동의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분석되었다.

      • 표준 및 표준화 정책에 관한 소고

        성태경(Sung, Tae-Kyung) 계명대학교 산학연구소 2012 經營經濟 Vol.45 No.2

        연구목적 - 본 연구는 표준 및 표준화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는 최근 상황에서 표준화 정책에 관한 경제이론을 고찰하고 다양한 표준화 정책수단을 제시하였다. 특히 표준화과정에서 정부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찾아보았다. 시사점 - 우리나라에 대한 주요 시사점으로는, 첫째 표준화정책은 단지 표준화의 시장실패를 보전하는 수준이나 시장 선도적 접근방법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속가능한 하나의 기술시스템(technological system)이 되도록 하고, 둘째, 중소기업에 대한 표준화 지원정책이 각별히 요청되며, 셋째 표준화 과정에서 정부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즉 제품생애주기, 산업특성 및 시장구조, 규제 및 구매정책, 기술혁신의 속도, 표준제정과정, 국제적 요인, 표준화 대상 등에 대한 인식과 이를 반영하는 표준화 정책이 필요하다. 특히 기술혁신의 속도, 표준화의 속도, 그리고 표준의 질 간의 적절한 조합을 유도하는 정책이 필요하며, 최근 무역의 글로벌화로 국가표즌의 역할이 감소하고, 국제표준의 역할 증대하는 상황 하에서 국가표준과 국제표준과의 적절한 균형을 이루어야함을 강조하였다. Purpose - This paper surveys the economic theory of standardization policy and suggests various policy tools for standardization. Especially, we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on government standardization policy. Implications - We find some policy implications of the Korean government. First, standardization policy should focus on establishing a sustainable technological system rather than remedying market failure or reinforcing market-led approach. Second, the support for ‘SMEs(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tandardization is needed. Third, government should recognize the factors influencing on standardization policy, which are product life cycle, industry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regulation, procurement policy, Innovation speed, standardization process, globalization, targets for standardization, etc. More specitically. government should design the optimal mix among innovation speed, standardization process, and the quality of standards. Lastly, as the international standards has been more important than the national standards due to globalization and network economy, we emphasize the balance between national standards and international ones.

      • 한국적 포장표준화 추진 방법에 대한 연구

        한종구 東國專門大學 1994 金龜論叢 Vol.2 No.1

        포장은 물적유통의 첫번째 단계로서 보관, 수송, 하역, 정보 등 물적유통의 제반요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물적유통의 합리화는 포장의 표준화와 하역의 기계화를 축으로 하여 추진하는 것이 원칙이다. 본 연구에서는 물류와 포장에 관련된 공공기관의 최근 설문조사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우리나라 현황을 알아보았고, 한국산업규격 중 포장물류관련 규격을 횡적으로 상호 분석함과 아울러, 세계 각국의 표준화 현황을 종합하여 합리적인 포장표준화 방향을 제시코자 하였다. 표준화 추진을 위해서는 포장물류 관련 업무 종사자의 획기적인 인식 전환이 필요하며, 포장물류시스템이라고 하는 총합적인 입장에서의 한국산업규격의 검토가 시급하고, 국가적인 차원에서는 표준화를 강력하게 추진할 수 있는 조직을 갖추어야 하며, 국제적인 표준화 동향에 신속하게 대용할 수 있는 자세를 갖추어야 한다. 포장은 물류의 기본단위로써, 포장치수의 모듈화, 포장자재 품질관리의 강화, 포장치수를 감안한 제품설계기법의 도입, 포장의 전산화가 표준화의 선결과제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 지명의 표준화 역사와 경향

        김순배 한국지명학회 2013 지명학 Vol.19 No.-

        Korean geographical names have been purified and ordered according to the zeitgeist and the spirit of the age. In other words, they have been unified and standardized as times change and geographical scale on which the social subject of renaming geographical names has imprinted their ideology and identity on naming process. That is Korean geographical names have been revised in accordance to their prefered way of the renaming subject from the revision of ‘Six Communities (六部)’ in the Early Period of Silla Kingdom to the naming like ‘Digital Media City Station’, ‘Sejong City (世宗市)’ etc. in the present. Most of renaming by an official institution is characterized by two major features, centripetalism and monologism.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the historic process on the standardization of Korean geographical names, and then to analyse the tendencies of the standardization. For analysing this aim, I divided the time sections into five periods, that is, Before Unified Silla Kingdom (B.C.57-A.D.935), Goryeo Dynasty (918-1392), Joseon Dynasty (1392-1910),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and After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45-2013). Based on the historic survey, I deduced the following six tendencies on the standardization of Korean geographical names: ① naming with two Chinese letters, ② unifying a generic name, ③ blending naming, ④ naming with foreign word, related to a morphemic standardization, and ⑤ ruling ideological naming, ⑥ abstract naming of material name, related to a semantic standardization. 한국의 지명은 시대 의식과 정신에 맞춰 순화되고 질서 지워 왔다. 지명 개정의 주체가 추구하는 이데올로기와 정체성에 걸맞게 한국 지명은 다양한 시대와 지리적 스케일에 따라 통일되고 표준화되어 온 것이다. 멀게는 신라 유리니사금 9년(32년)의 ‘六部’의 지명 개정으로부터 가까이로는 경의선 철도 ‘디지털미디어시티’ 역과 ‘世宗市’ 등과 같이 시대별 명명 주체들이 선호하는 방식에 따라 구심적이고 단성성과 독백주의의 목소리로 해당 지명을 바꾸어 왔다. 본 연구는 한국 지명의 표준화 역사를 이해하기 위해 연구의 시간 단면을 통일신라시대 이전, 고려시대, 조선시대, 일제강점기, 해방 이후의 5시기로 나누어, 각 시간 단면에서 이루어진 지명 개정과 표준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한국 지명의 표준화 경향을 분석하는 작업은 지명의 형태 표준화와 의미 표준화로 구분하여 지명 표준화 역사에서 드러나는 경향성을 6가지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즉 한국 지명이 경험한 5시기별 지명 표준화와 개정 역사를 통해서 6가지의 표준화 경향들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6가지의 표준화 경향을 지명의 형태와 의미로 대별해 보면, 지명의 형태 표준화 경향에는 ① 중국식 2자 지명화, ② 속성(분류) 요소의 통일화, ③ 혼성 지명화, ④ 외래어 지명화가 있고, 지명의 의미 표준화 경향으로는 ⑤ 지배 이념적 지명화, ⑥ 물질적 지명의 추상적 지명화 경향 등이 해당된다.

      • KCI등재

        중학교 ‘기술․가정’의 기술 영역 단원(‘기술 활용’ 영역)을 위한 로봇 표준화 체험 활동 과제 개발

        김성애(Sungae Kim),이상봉(Sangbong Yi) 표준인증안전학회 2016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6 No.1

        이 연구는 중학교 ‘기술․가정’교과의 기술 영역 단원에서 표준화를 체험하기 위해 미래 사회의 국가 경쟁력의 화두로 자리잡고 있는 로봇기술과 표준화를 통합하여 로봇 표준화 체험활동 과제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준비, 개발, 평가의 단계를 거쳐 체험활동 과제를 개발하였다. 준비 단계에서는 중학교 교육과정의 표준 관련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을 분석하였으며 표준 체험 활동 과제 개발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다. 또한, 표준 관련 성취기준에 부합하는 체험 활동 과제의 주제를 선정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구체적인 표준화 체험 활동 과제를 개발하였다. 총 10차시로 개발된 표준화 체험 활동 과제는 교수 학습과정안, 학습활동지, 평가도구로 구성되었다. 평가 단계에서는 내용 전문가와 현장 전문가의 내용 검토 및 학생에 의한 평가를 바탕으로 체험 활동 과제의 개선할 점을 확인하여 수정․보완하였다. 개발된 체험 활동 과제는 ‘생활 용품의 스마트한 변신’이며, 과제는 문제 인식, 연구와 개발, 실현, 평가의 교수학습활동 과정에 따라 구성되었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표준화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개발된 최신 기술을 표준화 전략과 함께 경험하도록 함으로써, 바람직한 표준화의 방향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가르칠 수 있다. 표준은 국가경쟁력을 강화하는 필수적인 요소인 만큼 기초적인 표준 체험 활동 과제와 함께 최신 기술과 관련된 표준 체험 활동 과제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robot and standardization’ hands-on activity in order to experience standardization in the “technology utiliy” domain under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Technology & Home Economics” Subject Curriculum. So, We integrates robotics and standardization, which have become the issues of 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future society. The hands-on activity was developed in the following stages: preparation, development and improvement. Especially, the improvement stage is pilot-test and field-test to the students and the result were used to modify and improve the hands-on activity assignment. The developed hands-on activity assignment was “smart transformation of the living supplies,” and consisted of 4 stages : problem recogni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realization and evaluation. Specially, In this study, it is taught to understand the direction of desirable standardization by experiencing the latest technology developed based on the basic understanding of standardization with the standardization strate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