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관계적 공간과 포용의 지리학

        최병두(Choi, Byung-Doo) 대한지리학회 2017 대한지리학회지 Vol.52 No.6

        이 논문은 포용의 지리학이 포용의 개념을 진정하게 포용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발전하기 위한 4가지 핵심 논제들을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포용의 개념에 내재된 공간적 측면을 이해하기 위하여, 관계적 공간에 관한 단순한 형태적 유형화에서 나아가 철학적 성찰을 통한 개념화가 필요하다. 둘째, 포용과 배제의 개념을 현실적 배경 속에서 규정하기 위하여 포용과 배제를 동시적으로 작동하는 2개의 모멘텀으로 이해하고 그 구조적 메커니즘들을 고찰해야 한다. 셋째, 사회공간적 포용의 개념이 이데올로기로 동원되는 것을 가능한 차단하면서 진정한 규범적 개념으로 재정립될 수 있도록, 관련된 여러 윤리적 개념들, 예로 관용, 상호인정, 환대, 시민성 등의 개념을 검토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포용성장이나 포용도시에 관한 지표개발의 의의와 한계를 살펴보고, 포용의 거버넌스 구축과 배제된 집단들의 역량강화 방안을 논의한다. 이와 같이 포용의 개념을 지리학적으로 재구성하고 이를 정책과 사회실천에 반영함으로써, 포용의 지리학은 지리학의 학술적 발전뿐 아니라 현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is to discuss and argue for 4 key issues for geography of inclusion to be a new paradigm - to include authentically the concept of socio-spatial inclusion. First of all, a deeper philosophical reflection rather than mere formal typology of relational space is needed to see the spatial aspect inherent in the concept of inclusion. Secondly, it is highly important to see inclusion and exclusion as two momentums operating simultaneously, and to explore structural mechanisms through which those momentums are operated. Third, several ethical concepts such as tolerance, mutual recognition, hospitality, citizenship, etc. can be reappraised to conceptualize inclusion as a true normative term, while preventing the concept of inclusion from ideological mobilization by dominant powers. Finely, considering som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indicator approach to inclusive growth and inclusive city, and suggesting hegemonic governance of inclusion initiated by leadership of excluded and alienated groups in civil society, it is expected that geography of inclusion would be a new academic and policy paradigm which can contribute to both resolution of socio-spatial problems and to development of geography.

      • KCI등재

        포용성 담론의 전개와 재편: 신자유주의와 포용성의 관계를 중심으로

        정현일 동양사회사상학회 2023 사회사상과 문화 Vol.26 No.2

        이 연구는 포용성 담론의 전개와 재편을 분석하여 포용성이 어떤 내용과 의미를 지니는지, 신자유주의에 의한 불평등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적 가치인지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신자유주의라는역사적 배경에서 포용성 담론이 등장하여 구체화·현실화하는 과정을 검토했으며, 그 결과 포용성 담론이 어떻게 재편되었는지, 그리고 이와 같은 포용성이 제안하고 의도하는 사회적 변화의 방향성과 의미가 무엇인지 확인했다. 20세기 말 신자유주의가 초래한 경제적·사회적 불평등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적 가치로 포용성이 주목받았다. 하지만 포용성은 단순히 비(非) 배제에 국한되지 않는 풍부한 의미를 담고 있었고, 연대주의, 사회적 시민권, 도덕적 최하층 계급, 재분배 담론, 사회적 통합 담론 등 포용성에대한 다양한 관점이 나타났다. 이들 관점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있다. 먼저 ‘시혜적-성장 지향적 포용성’은 사회적 배제의 원인을 개인에게 찾고 배제된 주체의 도덕성 개선과 자유주의 노동시장에의 참여를포용으로 이해했고, 이를 통해 경제를 성장시키려 했다. 두 번째로 ‘참여적-분배 지향적 포용성’은 사회적 배제의 원인과 해법을 사회경제적 구조에서 찾고 정치적 참여와 재분배에 기초한 급진적 대안을 모색했다. 다음으로 신자유주의에 의한 문제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포용성 담론이 구체화·현실화하는 것을 살펴봤다. 20세기 말에 접어들며, 자본의 반격으로 묘사되는 ‘신자유주의 세계화’가 쇠퇴해도 기존의 지배적 권력관계는 유지되고 있었으며 현실의 경제적·사회적 질서에도 여전히 신자유주의 통치성이 작동하고 있었다. 이런 상황 속에서 대안적 가치인 포용성이 주목받았지만, 이를 구체화하고 현실화하는 과정에서 포용성은 유럽연합과 국제기구, 탈복지국가의 중도주의, 초국적 자본, 종교계의 주도로 그 내용과 의미가 특정한 방향으로 재편되었다. 그 결과 재편된 포용성은 ‘참여적-분배 지향적 포용성’의 수사법을 구사해도, 그 이면에는 사회적 배제를 개인의 도덕적 결함이나 자유주의 노동시장에서의 실업과관계지어 이해하고 있었다. 또한 자기조정적 시장을 위한 사회정책을 제안하면서 급진적 변화를 초래할 수 있는 정치의 가능성을 축소하고 ‘시혜적-성장 지향적 포용성’의 내용을 핵심으로 삼고 있었다. 다시 말해‘재편된 포용성’은 기존의 경제적·사회적 질서를 유지하면서 신자유주의통치성과 친화성을 갖는 신자유주의 포용성의 형성을 보여준다.

      • KCI등재

        메를로-퐁티(M. Merleau-Ponty)의 ’살’(flesh)의 존재론에 입각한 실존철학적 변증법: ’배제’와 ’포용’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정병화(Chung, ByungHwa)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21 문화와 정치 Vol.8 No.4

        필자는 ‘배제’와 ‘포용’에 대한 이분법적인 가치평가의 틀에서 벗어나 ‘배제’와 ‘포용’을 ‘살’의 분열과 증식이라는 ‘살’의 운동성의 틀 속에서 바라보고자 한다. ‘살’에 의해서 추동되는 ‘살’의 운동성은 하나가 둘이 되는 ‘살’의 분열과 둘이 하나가 되는 ‘살’의 증식의 배타적 순환 구조의 틀 속에서 이루어지는 자기완성을 위한 로고스적 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살’의 분열의 원리인 ‘배제’와 ‘살’의 증식의 원리인 ‘포용’ 역시 서로 단절된 채로 작동하는 개별적인 두 가지 원리가 아니라 서로 이어진 채로 작동하는 생명변화의 하나의 쌍으로 규정된다. ‘배제’와 ‘포용’의 상관성에 대한 필자의 이러한 관점은 ‘배제’와 ‘포용’이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성과 무관하지 않음을 시사한다. 이것은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성과 결부되어 그 시대성이 요구하는 태도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우리는 애매하고 결핍되어 있기에 ‘배제’를 통한 타자출현을 통해서 자기 자신의 한계를 목격할 수 있고, 그러한 자기 자신의 한계를 포용함으로써 자기 자신을 확충하고 확장할 수 있다. Not estimating between ‘exclusion’ and ‘inclusion’ in dichotomous thinking, the author analyzes the relation between ‘exclusion’ and ‘inclusion’ on the basis of Merleau-Ponty’s flesh. Flesh’s movement moved by flesh is likely to be logocentric movement for self-perfection in exclusive circulation structure of ‘flesh’s division’ and ‘flesh’s proliferation’. In this context, the ‘exclusion’ as the principle of ‘flesh’s division’ and ‘inclusion’ as the principle of ‘flesh’s proliferation’ are not the individual two principles but a paired thing for life change. This author’s position about the relation between ‘exclusion and ‘inclusion’ suggests that ‘exclusion’ and ‘inclusion’ are related with the trend of the times when we live. This has the meaning as the attitude demanded by the trend of times when we live. In other words, a possibility given us as ambiguous and lack being is likely to be the practice of the attitude in coordinate with life change movement for life perfection.

      • KCI등재

        포용도시

        박인권(Park In Kwon) 한국공간환경학회 2015 공간과 사회 Vol.25 No.1

        이 논문은 현대사회의 도시에서 발생하는 다차원적이고 복합적인 사회적 배제를 극복할 도시비전으로서 '포용도시'의 개념을 정립하고, 이와 관련된 한국의 도시 정책들을 평가ㆍ재해석하고 있다. 이를 위해 사회적 배제, 포용, 사회통합에 관한 이론과 문헌들을 검토해서 포용도시의 맥락과 정의, 차원, 지리적 스케일을 규명한다. 특히 포용도시의 세 가지 차원으로 공간적 포용성, 참여, 상호의존성을 제시해, 구체적 도시 정책의 분석틀로 사용한다. 한국의 포용도시 관련 정책으로는 저렴주택 의무비율과 공공임대주택 건설, 마을공동체 지원사업의 사례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는 임대주택 의무비율제도와 공공임대주택 건설ㆍ공급은 공간적 포용성 확대에 기여했고, 마을공동체 지원사업은 참여와 상호의존성 확대에 기여했음을 보여준다. 종합적으로 한국의 포용도시 정책은 이제 막 시작단계에 있으므로, 포용도시의 정착을 위해서는 관련 정책들을 지속적으로 확대해나갈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ims to conceptualize the inclusive city as a city vision for overcoming multi-dimensional and complex social exclusion and to evaluate and reinterpret the related urban policies in Korea. For this purpose, I inquire into the context and definition, dimensions, and geographical scale of the inclusive city based on literature review. Specifically, I propose three dimensions, spatial inclusion, participation, and interdependence to use as a framework for analyzing specific urban policies. The Korean urban policies analyzed include affordable housing quota systems(AHQS), public rental housing, and community support projects(CSPs). The results of analysis show that AHQS tenure regulation and the rental housing supply have contributed to spatial inclusion, while CSPs have contributed to participation and interde-pendence. Overall, the Korean policies related to the inclusive city are just in the beginning stage, and thus the country needs to continue to expand on the related policies in order to achieve the vision of the inclusive city.

      • KCI등재후보

        문화예술교육의 접근성 강화를 위한 신기술과의 결합과 실천 방안에 대한 고찰

        류승완,김수환,서영덕,이민하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2020 문화예술경영학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혁신적 포용국가 달성과 서울어젠다에 의한 미래 문화예술교육 정책 개발, 역할 정립 그리고 새로운 비전 제시를 위해 포용적 관점의 문화예술교육 구도와 실천모델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문화예술교육의 보편적접근 관점에서 ‘포용과 배제’에 대한 문제 정립과 포용적 관점의 문화예술교육 구도 정립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포용’ 은 ‘사회적 배제’에 대한 상대적 개념으로서 기존의 사회 갈등에 대해 ‘빈곤’으로 접근하던 것과는 달리, ‘배제’ 개념을적용한 것으로, 이와 같은 맥락에서 문화예술교육에 ‘포용’의 개념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배제를 인식하고 극복하는것으로서, 좁은 의미로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접근성의 문제로, 넓은 의미로는 사회적 배제 현상에 대한 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대응의 문제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과 신기술의 결합 및 실천을 통해 교육 과정을 촉진하고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교육 과정은 접근, 학습, 수행의 세 단계로 구성되며, 각 단계에서의 신기술 적용은 문화예술 교육에 대한 접근성, 학습의 용이성 및 예술적 표현의 우수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기술혁신은 문화예술교육에 긍정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영향도 미칠수 있음을 인지하고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보편적 접근을 위해서는 포용적 문화예술교육의 정의와 조건을 구체적으로정립하고 각 과정에서 필요한 요소 파악을 바탕으로 ICT 융합의 전략 수립과 실행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포용적 문화예술교육의 목적은 사회적 배제를 극복하고 연령, 성별, 장애, 사회적 지위, 경제적 상황, 거주지 등과 관계없이 동등한 기회를 보장하는 것이기 때문에 참여자들의 구체적인 욕구를 적극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new vision for future arts education policies and programs to implement the Seoul Agenda as well as to further achieve the administration's goal of an innovative, inclusive nation. Especially, it focuses on the issue definition of inclusion and exclusion, and the creation of an arts education model based on the perspective of the universal and sustainable access to arts education. While the issue of social discrimination or inequality has been primarily concerned with poverty or economic disadvantage, this study addresses the disrespect of the differences in culture and thoughts as the main reason for social exclusion. Therefore, ‘inclusion’ is basically the opposite concept of ‘social exclusion’, characterized by a situation in which individuals or communities are fully involved in society. In the same context, the meaning of inclusion in arts education refers to 1) access to arts education in a narrow sense, and 2) a new approach of arts education to address social exclusion in a broad sense. In “Technology conversion and implementation for expanding access to arts education”, we expected that the integration of ICT into classroom settings can facilitate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and can improve the quality of access.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consists of three stages including access, learning and performance. At each stage, new technology can help improve access to arts education, ease of learning, and excellence in artistic expression. However, a new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may have both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n arts education. In order for universal access to arts education, the creation and implementation of ICT convergence strategy must be completed after the definition and condition of inclusive arts education are established in detail, and all necessary elements at each procedural stage are identified. Since the purpose of inclusive arts education is to overcome social exclusion and to guarantee equal opportunities regardless of age, gender, disability, social status, economic circumstances, place of residence, it is important to deeply understand the specific needs of participants in a proactive manner.

      • 포용적 민주시민교육의 탐색과 제도화

        허영식 한독정책연구소 2021 한독정책연구소 학술대회 Vol.2021 No.04

        본 연구는 포용사회의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포용적 민주시민교육의 탐색과 제도화에 관해 살펴보 는 데 주된 목적을 두었다. 이 글에서 내세우고자 하는 핵심명제는 다음과 같이 진술할 수 있다. 첫째, 포용사회는 국민 전체를 다양하고 포용적인 공동체로 간주하는 사회를 지칭한다. 지금보다는 더 포용 적인 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와 전제조건에 관한 계몽을 통하여 민주시민교육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둘째, 포용적 민주시민교육은 모든 사회적 생활영역에서 모든 사람에게 그의 개인적인 필요 에 기초하여 접근․참여․자기결정을 가능하게 만드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셋째, 포용적 민주시민교육 과 친화성이 강한 교수학습지향으로는 특히 참여자지향, 활동지향, 생활세계지향, 다양성지향, 통합지 향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교수학습지향을 고려하면서 포용적 관점에서 교육적 실천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넷째, 포용적 접근방안의 출발점이 인권과 기본권이지만, 거꾸로 포용적 접근방안의 한계 를 설정하는 기준도 역시 인권과 기본권이라는 점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다섯째, 앞으로 포용사회 형성을 위한 포용적 민주시민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특히 포용적 민주 시민교육의 가능성과 한계를 의식하면서, 이론과 실제의 연결문제와 더불어 제도화 문제에 더 많은 주 의와 관심이 요청된다.

      • KCI등재

        천막을 넓혀라: 교회 보편성 실현을 위한 배제 극복

        최현순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23 神學展望 Vol.- No.221

        This study is motivated by the phenomenon of exclusion and the demand for overcoming it by God’s people. This study is found in the Working Document for the Continental Stage of the Synod process and in the Report of Synod by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Among the three types of exclusions according to Miroslav Volf, namely the exclusions of elimination, domination and abandonment, the exclusions of domination and of the abandonment are evident in these two documents. Since the distinction between ‘I’ and ‘other’ for identity is necessary, Volf distinguishes the boundary for establishing identity, using the word ‘differentiation’ from the exclusive exclusion considered as evil. On the other hand, some exclusions can be found in the Bible. For example, the exclusion such as selection and the expulsion from the community. However, these types of exclusion are not the exclusive exclusion. Selection by God is the guarantee of God’s universal salvation, and is at the same time is the mission, that is, the calling to be the instrument of God’s universal salvation. And the expulsion aims at the eschatological salvation of sinners, and has the meaning of a medicinal remedy. Based on these understandings of exclusion, this study has sought to deepen the meaning of inclusion, as manifested in the expression ‘enlarge the space of your tent.’ This metaphor contains the extension and openness of the Church as the place of communion. It goes out into the new worlds and environments. It is welcoming and inclusive of others and otherness of others. The firmness of faith is also the center that makes the identity of the Church stand firm. This research has shown that such inclusion is not only to respond to the request of God’s people on inclusion, but precisely it is the necessary requirement for the realization of the Catholicity of the Church. Catholicity, the gift and task of the Church, is the fullness of Christ’s salvation that is to be realized in all times and all cultures. It can be achieved through the inclusion of diversity in unity. Therefore, differences are not to be excluded but are the source of richness for the realization of Catholicity. Moreover, this process of inclusion is also the path of the synodal Church. 본고는 제16차 세계주교시노드(2023-2024)를 향한 여정 중에, 2021-2022년 전 세계 각 지역 교회의 시노드 의견서를 종합하여 작성된 대륙별 단계 작업 문서 와 한국 교회 종합 의견서 에 나타난 교회 내 배제 현상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 문서에서 배제에 대한 미로슬라브 볼프의 구분, 곧 제거와 지배 그리고 유기에 의한 배제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개인이나 공동체의 정체성을 위하여 타자와의 구별은 필요하지만, 악한 것으로서의 배타적 배제는 극복되어야 한다. 한편 성경 안에 나타난 선택으로서의 배제와 공동체로부터 추방이라는 형태는 배타적 배제로 볼 수 없다. 성경에서 선택은 분리되고 분열된 사회에서 배제된 이들이 하느님에 의해 선택됨으로써, 이들이 하느님의 연대의 표징이요 보증이 되게 할 뿐 아니라 보편적 구원을 위한 도구라는 사명을 받게 한다. 또한, 죄인을 공동체로부터 추방하는 것은 처벌보다는 궁극적 구원을 위한 치료의 의미가 크다. 본고는 이로부터 대륙별 단계 작업 문서 가 ‘천막 터를 넓혀라’라는 은유를 통해 제안한 포용의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로 나아간다. 이 은유는 친교의 장인 교회의 확장과 개방성, 새로운 환경과 세상으로 나아감, 타자와 타자성에 대한 환대와 포용의 의미를 담고 있으며, 이러한 포용이 교회 정체성의 해체가 되지 않게 하는 중심으로서 신앙의 견고함을 말하고 있다. 본고는 시노달리타스 실현을 위해 배제를 넘어 포용으로 가는 이 메커니즘이 단순히 현재 하느님 백성의 요구에 응답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교회의 본질적 특성인 ‘보편성’ 실현의 근본적 요청임을 드러냈다. 교회에 주어진 선물이자 과제인 보편성은 모든 시대와 문화 안에서 이루어지는 구원의 충만함이며, 이러한 충만함은 일치 안에서 다양성의 포용을 통해 도달된다. 그러므로 교회 안에서 정당한 ‘다름’이란 배제의 대상이 아니라 오히려 보편성 실현을 위한 풍요로움의 원천이다. 다름의 포용 과정은 보편성의 실현이요 시노달리타스를 살아가는 교회의 여정이다.

      • KCI등재

        노인의 사회적 배제 결정요인 분석: 다중적 배제의 잠재집단 유형화를 중심으로

        최재성,김혜진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9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63 No.-

        This study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re are various types of social exclusion in older adult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subgroups of social exclusion in older adults,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We expect this study to provide suggestions to overcome social exclusion and achieve social inclusion. The data were gathered from the “2017 National Profile Survey of Older Adults,” which was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Respondents were 65 years or older (N=10,070) and latent class analysis was applied to identify the optimal subgroups by using Social Exclusion Indicators that comprised six domains (income, consumption, social activities, social relationship, health, and housing status). We also performe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sult identified five different subgroups of social exclusion: non-exclusion (46%); consumption exclusion (16.3%); health exclusion (17.0%); health, social activities, and social relationship exclusion (7.5%); and high-risk multiple exclusion (13.2%). Of all the respondents, 20.7% appeared to belong to multiple social exclusion groups under two or more domains. Findings also showed that the social demographic factors, health factors, socio-economic factors, and community factors affect the subgroups differently. Meanwhile, education and logged annual household income level were significant predicting factors associated with each subgroup. This provided us with new implications in terms of practice and policy.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적 배제 상태가 다양한 모습을 가질 수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연구목적은 노인의 사회적 배제 하위 집단의 유형분류 및 각 집단 유형의 특성을 파악하고 나아가 영향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사회적 배제’(social exclusion)를 극복하고 ‘사회적 포용’(social inclusion)으로 연결하기 위한 정책함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분석방법으로는 잠재계층 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분석자료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조사한 ‘2017년 노인실태조사’이며, 만 65세 이상 노인 10,070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사회적 배제 지표는 다차원성을 고려하여 소득, 소비, 사회적 활동, 사회적 관계, 건강, 주거 등 6차원으로 구성되어 측정되었다. 각 사회적 배제 유형별 특성과 사회적 배제 유형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의 사회적 배제는 비배제형(46.0%), 소비배제형(16.3%), 건강배제형(17.0%), 건강⋅교류제한형(7.5%), 고위험다중배제형(13.2%)의 5개 유형으로 나타났고, 응답노인 중 20.7%의 노인은 동시에 두 개 이상의 차원에서 중복적으로 사회적 배제 상태를 보이는 다중배제형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사회경제적 특성, 건강 특성, 사회적 관계특성, 지역사회 특성 등에 따라 유형간 차이를 보였으며, 교육수준, 로그연가구소득이 사회적 배제 유형에 대한 공통된 주요 예측 요인으로 확인되었고, 성별, 연령, 건강변인, 사회적 관계 만족도 변인, 거주지는 특정 사회적 배제 유형에서만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사회적 배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천적⋅정책적 개입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한국사회의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유형

        정현일 동양사회사상학회 2023 사회사상과 문화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ypes of perception’ and ‘types of attitudes’ toward social minorities in Korea. The research method adopted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research data used questions on minority inclusion and values in the 2022 Social Integration Survey. The research process is as follows. First,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on questions about inclusion of the disabled, children of broken families, foreign immigrants and workers, ex-convicts, sexual minorities, and North Korean defectors. Through this, it was analyzed what groups each minority is grouped into and distinguished to confirm how minorities are recognized and categorized in Korean society. Next, through cluster analysis and discriminant analysis of the ‘type of perception’ of minorities, the ‘type of attitude’ toward minorities was identified, and the proportion of each "type of attitude" in Korean society was identified. Finally, chi-square analysis and ANOVA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attitude toward minorities to confirm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cial status and economic satisfaction, policy orientation on welfare and immigration, and value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ype of perception of minorities, the disabled and children of broken families were grouped into the same factors, ex-convicts and sexual minorities were grouped into the same factors, and foreign immigrants, workers, and North Korean defectors were grouped into the same factors.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s constituting each factor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three types of minority perceptions in Korean society: the vulnerable(the disabled, children of broken families), the norm violators(ex-convicts, sexual minorities), and the strangers(foreign immigrants and workers, North Korean defectors). Second, a total of three clusters were identified: “exclusion attitude” for all minorities, “norm-compliant attitude” that shows an exclusionary attitude only toward norm violators, and “inclusive attitude” for all minorities, and the validity of cluster analysis was also confirmed through discriminant analysis. Among the total respondents, 39.1% of the respondents were exclusion attitude, 42.7% were norm-compliant attitude, and 18.2% were inclusive attitude, confirming that exclusion of norm violators was severe in Korean society.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attitude" toward minorities, differences in gender, occupation, age, education, and household income were identified, but differences according to residential areas (urban, rural areas) were not identified. and differences were not identified by residential area (urban, rural). On the other h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found in questions about social status, satisfaction with economic conditions, policy orientation, and values. Those who showed an inclusive attitude were generally close to low-age, high-educated, and high-income people and remained optimistic about their social status and economic conditions. In terms of policy orientation and values, they agreed to increase taxes for low-income people, emphasizing distribution rather than growth, and being open to foreigners, and thinking that individual interests are more important than communities. Those who showed such an inclusive attitude showed a new image of individualists, distinguished from traditional communitarian and collectivists in that they valued welfare and human rights and valued individual interests more than communities. In other words, they were aiming for 'solidarity of free individuals'. Lastly, this study proposed 'improvement of social capital and social trust' and 'promotion of information accessibility' for minorities as ways to increase inclusive attitudes.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에서 소수자가 어떤 유형으로 인식되고 있는지, 그리고 소수자에 대한 태도 유형이 어떠한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통계분석을 채택했으며, 연구자료는 2022년 사회통합실태조사의 소수자 포용에 관한 문항, 가치관에 관한 문항 등을 활용했다. 연구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소수자 인식 유형을 확인하기 위해 장애인, 결손 가정 자녀, 외국인 이민자⋅노동자, 전과자, 성적 소수자, 북한이탈주민을 포용할지에 관한 문항에 대해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수행했다. 이를 통해 각 소수자가 어떤 집단으로 묶이고 구별되는지를 분석하여 한국사회에서 소수자들이 어떻게 인식되고 유형화되는지를 확인했다. 다음으로 소수자 인식 유형에 대한 군집분석, 판별분석을 통해 소수자에 대한 태도 유형을 확인하고, 한국사회에서 이들 태도 유형이 차지하는 비중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소수자에 대한 태도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교차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수행하여 인구학적 특성, 사회적 지위 및 경제상황 만족도, 복지 및 이민에 관한 정책 지향, 가치관의 차이를 확인했다. 먼저 소수자에 대한 인식 유형을 분석한 결과, 장애인과 결손 가정 자녀가 같은 요인으로 묶였으며, 전과자와 성적 소수자가 같은 요인으로 묶였고, 외국인 이민자ㆍ노동자와 북한이탈주민이 같은 요인으로 묶였다. 각 요인을 구성하는 문항의 신뢰도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이를 통해 한국사회에서는 ‘취약자(장애인, 결손 가정 자녀)’, ‘규범위반자(전과자, 성적 소수자)’, ‘이방인(외국인 이민자ㆍ노동자, 북한이탈주민)’이라는 3가지 소수자 인식 유형이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둘째, 소수자에 대한 태도 유형을 확인한 결과, 모든 소수자에 대해 배제적인 태도를 보이는 ‘배제형 태도’, 규범위반자에 대해서만 배제적인 태도를 보이는 ‘규범준수형 태도’, 모든 소수자에게 포용적인 태도를 보이는 ‘포용형 태도’라는 총 3개 군집이 도출되었으며, 판별분석을 통해 군집분석의 타당성도 확인했다. 전체 응답자 중에서 배제형 태도가39.1%, 규범준수형 태도가 42.7%, 포용형 태도가 18.2%를 차지하고 있어서 한국사회에서 규범위반자에 대한 배제가 심각하다는 점을 확인했다. 셋째, 소수자 태도 유형별로 어떤 특성을 보이는지를 분석한 결과, 성별, 직업, 연령, 학력, 가구소득의 차이는 확인되었지만 거주지역(도시, 농어촌)에 따른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한편 사회적 지위, 경제상황 만족도, 정책 지향, 가치관을 묻는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포용형 태도를 보이는 사람들은 대체로 낮은 연령, 고학력, 고소득자였고 자신의 사회적 지위나 경제 상황에 낙관적인 입장을 견지했다. 정책 지향 및 가치관에서는 저소득층을 위한 증세에 동의하고 성장보다는 분배를 중시했다. 또한 외국인에게 개방적이면서 공동체보다는 개인의 이익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처럼 포용형 태도를 보이는 이들은 복지와 인권을 중시하면서 공동체보다 개인의 이익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공동체주의자, 박애주의자, 집단주의자와 구별되는 새로운 개인주의자의 상을 보여주고, 자유로운 개인들이 연대하는 사회를 지향하고 있었다. 끝으로 이 연구는 포용형 태도를 늘리는 방안으로 사회적 자본 및 사회적 신뢰의 개선, 소수자에 ...

      • KCI등재

        사회복지조직 구성원의 다양성 특성, 포용-배제인식, 조직성과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지역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안소영,조상미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22 사회복지정책 Vol.4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ether the diversity characteristics of employees are sufficiently included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to examine how the employees’ perception of inclusion-exclusion affects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r this purposes 853 workers at community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cross the country were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results of exploring the diversity characteristics, first, the men were more inclusive than women in social welfare where women could be represented as the mainstream group because of the high proportion and experienced parental leave were more exclusive within the organiz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employees who majored in social welfare at the undergraduate level and those with first-class social welfare had a higher perception of inclusion. Third the higher position and regular employees,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inclusion. These majorly explored diversity characteristics mediate perception of inclusion-exclus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ositively affects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other words, it was revealed that diversity characteristics, which had no direc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had an in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by increas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the inclusive perception. Through this study,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t was possible to explore the diversity characteristics that make a difference in inclusive perception with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empirically revealed that the employees’ perception of inclusion-exclusion is a major factor in enhanc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본 연구는 인간의 존엄성과 다양성 존중을 기치로 하는 사회복지조직에서 임직원들의 다양성특성이 충분히 포용되고 있는지 진단하고, 임직원들이 조직 내 포용되어 있다는 인식이 조직성과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 살펴보는 데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해 전국 지역사회복지관 종사자 852 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조직 내 다양성 특성을 포용-배제인식으로 진단한 결과 첫째, 여성 비중이 높아 여성이 주류집단으로 대표될 수 있는 사회복지조직 내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포용되고 있다고 인식하였고, 육아휴직 경험자가 조직 내 포용되고 있다는인식이 낮았다. 둘째, 학부에서 사회복지를 전공한 임직원과 사회복지 1급 소지자가 그렇지 않은임직원보다 조직 내 포용되고 있다는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근무상태에서 직급이높을수록, 정규직 임직원이 포용되어 있다는 인식이 높은 것으로 보였다. 이렇게 주요하게 탐색된 다양성 특성은 포용-배제인식과 조직몰입도를 매개하여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경로가 나타났다. 조직성과에 직접 영향이 없던 다양성 특성은 조직 내 포용되어 있다는 인식을통해 조직몰입도를 높여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 영향이 드러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최초로 사회복지조직 내 다양성 특성을 탐색할 수 있었고, 임직원들의 조직 내 포용되어 있다는인식은 조직몰입과 조직성과를 높이는 주요한 요소임을 실증적으로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