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은유로서의 포로 : 수용소의 삶과 ‘적/ 동지’의 구별 정치 - 한국전쟁 포로들의 UN군 관리 수용소 체험을 중심으로 -

        장세진 상허학회 2016 상허학보 Vol.46 No.-

        포로들을 어떻게 대우할 것인가의 문제는 어느 전쟁에서나 발생하지만, 한국전쟁에서 포로라는 사안은 좀 더 각별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실제로, 한국전쟁은 포로 개인의 자유의사를 존중하여 이들이 향후 국적을 선택할 수 있게 한 이른바 ‘자원송환(Voluntary Repatriation)원칙’이 국제적 논쟁 끝에 도입된 최초의 전쟁이었다. 그 결과 포로란 ‘정치적 망명권’이 부여된, “자유로운 의사를 가진 개인이라는 미국식 자유주의의 원칙”을 전면에 내세운 개념으로 규정되기에 이른다. 원칙적으로, 이제 포로들은 출신 국가에 자동 귀속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선택으로 미래 ‘국민’의 자격을 획득할 수 있는 존재가 되었다. 그러나 이 글은 외부에서 부과된 규정이 아닌 포로들의 시점을 취한 다양한 형태의 글쓰기 내부로부터, 말하자면 포로들 자신의 체험적 서사를 통해 한국전쟁 포로란 과연 어떤 존재였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해보려는 시도이다. 포로들 스스로에 의한 자기재현(self-representational)적 글쓰기는 포로에 관한 국제법적 개념이 정작 당사자인 포로들의 삶에서 어떤 의미를 가졌는지를 되묻고, 또한 해당 개념이 당시 현실 속에서 실제적으로 수행(performance)한 효과들을 비판적으로 성찰할 수 있게 만드는, 의미 있는 아카이브이다. 포로들의 체험적 서사를 통해 이 글이 밝히고자 한 것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포로들은 국제법과 UN의 권위에 의해 정의된 존재이기도 했지만, 동시에 그들은 은유적인 의미에서 남한 냉전 주체의 원형이라 할 만한 존재들이었다는 점이다. 그들은 절박한 ‘국민-되기’의 글쓰기를 생산함으로써 ‘자유로운 개인’이라는 이상적(ideal) 휴머니즘의 원칙이 냉전의 현실 정치 논리 속에서 굴절되고 습합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둘째, 이 글은 포로들의 시점을 취한 텍스트가 재현 작용 특유의 역량을 통해 상황을 ‘증언’하고 있다는 점 또한 강조했다. 이 글에서 사용하는 증언의 의미는 “망각에 대항해서 ‘학살’의 기억을 잊지 말자”는 식의, ‘망각’ vs ‘기억’의 대립 구도로 축소될 성질의 것은 아니다. 중언과 관련해 이 글에서 보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점은 오히려 ‘기억해야 할 것’과 ‘망각해야 할 것’을 지시하는 “발화 주체의 위치 설정”이며,“국민의 이야기와는 다른 위치 설정”을 읽어내려는 대안적인 독서와 해석의 가능성이다. The issue of appropriate treatment of POWs is a common topic of discussion in every war. Nevertheless, the issue of the POWs from the Korean War requires particular attention. In fact, after vigorous international discussion on the matter, the Korean War became the first to implement so-called “voluntary repatriation,” a principle stating that POWs’ free will should be respected by allowing them to choose their nationality at the end of the war. As a result, POWs came to be defined under the principle of American liberalism:individuals with free will and a “right of asylum.” In theory, POWs became individuals with a right to acquire the “citizenship” of their choice, rather than automatically returning to their country of birth. However, the present article attempts to answer the question of the identity of Korean War POWs by examining various forms of writing by the POWs themselves, that is, their own narratives of their experiences in the war, unadulterated by the definitions given to them by external agents. The POWs’ s elf-representational writings are meaningful archives that allow us to examine the ways the concept of POWs as defined by international law played out in their lives, as well as to critically reflect on the practical effects of this concept at the time. By examining the POWs’ experimental narratives, the present article sought to uncover two things. First, although the POWs were defined by the international law and authority of the UN, they were also the main agents of the South Korean cold war in analogical terms. By producing desperate writings about “becoming citizens,” they demonstrated the distortion and compromise of the principle of ideal humanism—the “free individual”—by political logic in the cold reality of the war. Second, the paper emphasized that the texts written from the POWs’ perspectives “testify” to the circumstances at the time through the typical effect of reproduction. The meaning of “testimony” used in this article is not to be reduced to a simple conflict between “oblivion” and “memory,” emphasizing the need “to fight against oblivion and not to forget the memory of the ‘massacre’.” By contrast, this article focuses on “setting the position of the speaker” who orders “things to be remembered” and “things to be forgotten” and the possibility of an alternative reading and interpretation that attempts to sense a “positional setting different from citizens’ stories.

      • KCI등재

        일제의 타이 연합군 포로수용소 한국인 동원 실태와 특성 - 「아유타야수용소 입소자 명단」을 중심으로 -

        서현주 역사와교육학회 2023 역사와 교육 Vol.37 No.-

        Korean prisoner of war guards mobilized during World War II accounted for the majority of those punished by the Allied Forces as BC class war criminals after the war, drawing attention for their complex status as both victims and perpetrators among Japanese and Allied prisoners of war. Regarding the BC class war criminals who were former POW guards, research and reports revealed the coercive nature of mobilization hidden behind the form of recruitment and the status of Korean POW guards at the bottom of the hierarchical organization within the Japanese military. In this paper, by expanding the subject from BC class war criminals to all POW guards,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list of men in the Ayutthaya concentration camp, the content of which is unknown, and comparing it with 『緬甸泰俘虜收 容所 留守名簿』,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v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overall situation of Korean POW guards who were mobilized to Thailand. The focus here is on the process of mobilizing Korean POW guards in Thailand and the control of Japanese forces. Through the analysis of recruitment process and the domicile of origin, it was found that the recruitment of POW guards conducted in May 1942 was carried out such as vertical allocation of personnel from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o Do(道)-BuGunDo(府郡島). In add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character types, I would like to point out the aspect of the division and control of Korean prisoner guards by Japanese imperialism using the positions (ranks) of Gowon(雇 員) and Yongin(傭人). 이 글은 아유타야수용소 입소자 명단을 기초 자료로 하여, 일제의 타 이 연합군 포로수용소 한국인 동원 실태와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아유 타야수용소는 1945년 9월 말에서 10월 초 사이에 설립되어, 방콕과 인 근 지역의 포로감시원과 군인, 군‘위안부’, 상인과 기자 등 천여 명을 수 용하였다. 수용소 입소자의 대다수를 차지한 것은 포로감시원들로, 이 들은 8월 19일 방콕에서 재태고려인회를 조직하고 대표를 선출하여 식 량 확보, 귀환을 위한 연합군과의 교섭에 나섰다. 포로감시원들은 일본 군의 최 저변에 위치해 차별받고 자주 폭행당한 그들의 열악한 처지를 설명했지만, 연합군은 한국인 포로감시원들이 연합군 포로를 학대하고 불필요하게 고문한 전범(용의자)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수용소 입소자 중 93명이 1945년 1월 1일 현재 타이포로수용소 포로 감시원으로 『유수명부』에 등재되어 있고, 그 중 28명은 한국 정부의 강제동원피해자(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소자 명단 과 『유수명부』 기재 포로감시원들은 출생연도, 본적지, 역종 비중에 서 동일한 양상을 보였다. 출생연도로 파악한 연령은 80% 전후의 20대 와 그 나머지 30대의 이원 구성으로, 소수이지만 40,50대가 포함된 수용 소 입소 남성 전체와는 차이가 있었다. 역종은 95% 내외의 용인과 4∽ 5%의 고원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본적지는 전남북이 1, 2위를 차지하 고, 경남북과 충남이 3-5위 안에 드는 동일한 양상을 보였다. 포로감시 원들의 본적지와 도별 남성 인구 비율, 일본어 해독률 사이에는 상호 관련성을 찾기 어려웠던 반면, 총독부가 실시한 노무조사결과 중 출가 및 전업 희망자 수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간 피해자들의 구술에 근거하여 포로감시원 모집 시 지역별 할당 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해 왔는데, 본고에서는 도와 부의 모집 정원이 있었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사전회의를 소집했다는 당시 신문 보도에 주목하여, 기사에 언급된 모집 정원은 총독부와 도 등이 관할 도와 부군 도에 할당한 모집 인원이며, 인원 할당의 기준은 노무조사결과의 출가 희망자 수일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하였다. 총독부에서 도, 부군도로 이 어지는 수직적 인원 할당은 포로감시원 동원의 강제성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요소의 하나이다. 한편 수용소 배치 시 모두 용인이었던 포로감시원 중 5% 내외의 극히 소수가 1945년 2차례에 걸쳐 고원이 되었다. 고원이 되면 판임관 대우로 의 임용 가능성이 있고 급료도 증가했는데, 일본군은 이러한 일부 포로감 시원의 고원 승격으로 한국인 포로감시원들의 불만을 달래는 한편, 일제 에 대한 충성심을 유발하는 이른바 분할 통제를 도모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광주상무대포로수용소 실태 현황과 포로석방 사건: ‘반공포로수용소’ 사례 연구

        정찬대 역사학연구소 2019 역사연구 Vol.- No.37

        In 1953, about 40 days before the July 27 Armistice Agreement, prisoners from seven concentration camps across the country escaped in unison. It is the release of the so-called June 18 anticommunist. Especially, out of 27,388 prisoners of exile nationwide, 38% of them escaped from the Gwangju Sangmudae prison camp.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olicies and current status of the anti-communist prison camps in the Korean War through the case study of the Gwangju Sangmudae prison camp where the largest number of prisoners escaped. It also wanted to prove that the June 18 prisoner release incident was a highly political act under the interests of Rhee and the U.S. At the end of the Korean War, the release of prisoners was possible due to the tacit consent of Rhee with US. This paper also examined the hegemony process of the Korean Anti-Communist Youth Group. It also described the status of prisoner releases that had not been covered in the past. In the process, nearly half of the released prisoners were re-enlisted in the Armed Forces. Anti-communist prisoners had to prove their allegiance to the state once again through military enlistment. This was because of the constant doubt of the authenticity of the conversion. Although they were already anti-communist prisoners who chose the southern government through conversion, they were still suspected as ‘Korean nationals’. 1953년 7·27 정전협정을 40여일 앞두고 전국 7개 수용소의 포로들이 일제히 탈출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른바 6·18 반공포로 석방사건이다. 특히 전국 탈출 포로 27,388명 가운데 38%에 달하는 10,432명이 광주상무대포로수용소에서 탈주했다. 본 논문은 전국 포로수용소 가운데 가장 많은 포로들이 탈출한 광주상무대포로수용소의 사례 연구를 통해 한국전쟁기 반공포로 수용소 정책과 실태, 현황 등을 살피고자 했다. 또 6·18 포로석방 사건이 이승만과 미국의 이해관계 속에서 이뤄진 고도의 정치적 행위였음을 논증하고자 했다. 한국전쟁 막바지, 정치·군사적 실리를 최대한 취하고자 했던 이승만과 체제 우위를 적극 선점하고자 했던 미국의 ‘암묵적 동의’가 있었기에 포로 석방은 가능했다. 본 논문은 대한반공청년단의 헤게모니 장악 과정도 주요하게 살펴봤다. 또한 그간 다뤄지지 않았던 석방 포로 처리 현황에 대해서도 기술했다. 이 과정에서 석방 포로의 절반 가까운 이들이 국군에 재입대한 것이 확인됐다. 반공포로들은 국가에 대한 충성심을 군 입대를 통해 다시 한 번 입증해야 했다. 이는 전향의 진정성을 끊임없이 강요받은 까닭이었다. 전향을 통해 이미 남쪽 정부를 택한 반공포로였지만 그들은 여전히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의심받고 있었다.

      • KCI등재

        ‘포로’라는 이념: 한국전쟁 ‘포로서사’와 ‘자기구성’의 가능성

        임세화 상허학회 2016 상허학보 Vol.46 No.-

        What kinds of beings were prisoners of war(P.O.W) in Korean War? This study examined which areas of practices and (im)possibilities their ‘ideologies’ and ‘writings’ belonged to, analyzing aspects that P.O.W, summoned as ‘ideological beings’ and historicized, have constructed ‘self-narrative’ under cold war order and the situation of division. ‘P.O.W narratives’ have changed constantly from 1952 until 2015. It means that the ways of ‘self-construal’, how they connect themselves to ideologies in historical structure where South Korea society imagined and called P.O.W, have been changed constantly. At first, P.O.W defined themselves as ‘P.O.W who are not P.O.W’ and complained of an injustice. However, they were reborned as ‘anti-communist young patriots’ in collusion with political project of Lee Seung-man government. They constructed their identities vibrating between existence as ‘human being’ and symbol as ‘P.O.W’. In this process, the word ‘P.O.W’ was combined with the modifier ‘anti communist/communist’ and was transformed to the term which involved ideological category. Many P.O.W could not accept that they were P.O.W but that they were anti-communist P.O.W. In this point they could join political project of S.Korea government. South and North Korea both appropriated selections of P.O.W about repatriation place as proof of legitimacy and ideological superiority. Internalizing their selection as ‘the ideological’ and trying to acquire self-legitimacy, P.O.W performed ‘being-nation’ of new-born-Korea obsessively. However, their selections were not only ‘ideological decision’ but also involved in complicated conditions and desires of each individual. Self-narratives of ‘P.O.W who chose neutral nation’ bring revelations to P.O.W. narratives in that way. Because ‘P.O.W who chose neutral nation’ were beings that escaped from ideological frame which tried to summon them as ‘fence sitters’ or ‘anti-communist’. P.O.W. wrote one’s stories as a stories of a whole ‘P.O.W group’. However they could be detached from their experience gradually. In this process, ideological frames with which P.O.W were overlaid have appeared as places of absence and contradiction. Because these points have showed conflicts between individual experince of P.O.W and officialized history in numerous cases. Bodies of P.O.W which embodied ideological conflicts in Korean War were another little battleground. But they were not only lives nationalized by ideological projects of nation completely but also complex beings of desire to construct ‘self-narrative’ constantly. Their works to testify and describe their ‘lives’ were not only a stories of the period but also areas of possibilities to create a world. Their ‘self-narratives’ were possibilities of earnest lives that stood against and colluded with a symbol-system named as ‘a nation’. 한국전쟁의 전쟁포로란 어떤 존재들이었는가? 이 글은 냉전적 질서와 분단 상황 속에서 ‘이념적 존재’로 소환되고 역사화된 ‘포로’들이 ‘자기서사’를 구축해나갔던 양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들에게 ‘이념’과 ‘글쓰기’가 어떤 실천과 (불)가능성의 영역이었는지를 살펴보았다. 1952년부터 2015년에 이르는 ‘포로서사’의 변화에서 알 수 있듯이, 남한 사회가 ‘포로’를 상상하고 호출했던 역사적인 구조 속에서 ‘포로’가 ‘이데올로기’에 자신을 접속시키는 양상과 ‘자기구성’의 방식은 끊임없이 변주되어왔다. 스스로를 ‘포로 아닌 포로’로 규정하고 억울함을 호소하던 포로들은, 이승만 정권의 기획과 공명하며 ‘반공애국청년’으로 다시 태어났다. 포로’들은 ‘인간’으로서의 실존과 ‘포로’라는 상징 사이에서 끊임없이 진동하며 자기정체성을 구축했고, 그 과정에서 ‘포로’라는 말은 ‘반공/친공’이라는 수식과 결합하면서 ‘반공포로/친공포로’라는 이념적 분류범주를 내포한 용어로 변형되었다. ‘포로’라는 정체성에 스스로를 승인하지 못했던 사람들이 ‘반공포로’라는 호명에 자신을 일치시킬 수 있었던 지점이 냉전 질서 속 국가의 기획과 맞아떨어졌던 것이다. 남북은 ‘포로’들의 송환지 선택을 국가의 정당성과 이념적 우월성의 증명으로 전유했고, 이 과정에서 포로들은 스스로의 선택을 ‘이념적’인 것으로 내면화하고 그로부터 자기정당성을 획득하는 방식으로 신생 대한민국의 ‘국민-되기’를 강박적으로 수행했다. 그러나 송환지의 결정은 ‘이념적 선택’만으로는 설명될 수 없는, 각 개인의 복잡다단한 조건과 욕망이 얽힌 문제였다. 그런 점에서 ‘중립국행 포로’는 ‘회색분자’나 ‘반공주의자’라는 이념의 틀로 그들을 소환하려는 기획의 바깥으로 미끄러지는 존재들이었고, ‘포로서사’에 새로운 열림을 가져올 수 있었다. 초기의 ‘포로서사’에서 포로는 ‘나’의 이야기를 쓰는 동시에 ‘포로집단’의 이야기를 써나갔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자신들의 체험에 대한 거리두기가 가능해졌다. 그 과정에서 ‘포로’들에게 덧씌워졌던 ‘이념’이라는 해석틀은 포로 개인의 체험―공식화된 역사와 충돌하며 서사상의 오류와 결락의 지점들로 나타났다. 국가 기획과 공명하면서 자신들의 생사여탈권을 찾아나갔던 포로들은 한국전쟁의 이념적 대립을 산 몸으로 구현하고 있는 또 하나의 작은 전장(戰場)이었다. 그러나 그들은 국가의 기획과 ‘이념’에 단일하고 일관되게 포섭된 생명으로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욕망을 지니고 끊임없이 ‘자기구성’을 시도하는 착종적인 욕망의 존재로서 ‘자기서사’를 구축해나갔다. 포로들이 자신의 ‘삶’을 증언하고 기술하는 작업은 시대의 이야기인 동시에 하나의 세계를 창출하는 가능성의 영역이었다. 포로들이 구성해낸 ‘자기서사’는 국가라는 상징체계에 맞서고 공명했던 주체들의 절실했던 ‘삶’의 가능성 바로 그것이었다.

      • KCI등재

        거제도포로수용소의 9ㆍ17폭동 연구

        성강현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6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86

        The number of N.K. prisoners during Korean War was about 140,000. It had rapidly increased after the Incheon on Sept. 15, 1950 landing and POW was constructed in Busan to hold the prisoners. But, POW had to be moved to Goeje the next year for security reasons. It was likely that ideological conflicts were around because a lot of prisoners were locked up at the same place regardless of their nationalities. There were a leadership struggle between anti-communists prisoners and pro-communists prisoners because POW was run autonomously by them. The opening of a cease-fire conference in July, 1951 caused an ideological conflict in pow camp. A struggle for leadership between pro-communists and anti-communists of POW brought about bloodsheds, one of which was ‘9ㆍ17 riot’. About 14 Cheondogyo POWs were killed in the riot of the 85 camp, according to the testimony of a witness. The full picture of the riot was revealed through the document of '9ㆍ17 riot' of NARA. 10 pro-communists including Kangmanin killed with poles of barracks 15 anti-communists including Parkchanho who were Cheondogyo POW because of their activities in Cheondogyo Cheongwoo Party and the writing of refusal of repatriation in blood. Cheondogyo formed united front with North Korean government in order to establish a sovereign state in North Korea, but N.K. government excluded it when a socialist regime was solidified. This was why Cheondogyo believers were killed by pro-communists for their anti-communist activities and the objection of the repatriation of POW. ‘9ㆍ17 riot’ which happened in 85 POW camp was a massacre in which pro-communists prisoner killed Cheondogyo prisoners for their anti-communists activities. Cheondogyo prisoners took the initiative for anti-communists movement. This point of view was different from the view that anti-communists movement by POW occurred with Rhee regimes’ superiority of liberalism and the US army’s humanitarian policies. Anti-communists movement of Cheondogyo resulted from the N.K. government’s exclusion of Cheondogyo under socialist system. In other words, Cheondogyo believers took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a socialist regime in N.K, but N.K. govenrment excluded them after the regime was builded firmly and killed leading believers. This was followed by anti-communists movement in POW camp. 6ㆍ25전쟁 기간 북한군 포로는 14만 명정도였다. 인천상륙작전으로 전세가 바꾸자 급증한 포로를 수용하고 관리하기 위해 부산에 포로수용소가 마련되었으나 보안상의 문제 등으로 인해 이듬해 거제도에 포로수용소를 옮겼다. 포로는 인민군, 중국군 등 원 소속에 따라 대단위로 수용되어 이념 갈등의 소지가 있었다. 수용소 운영이 포로들의 자치로 이루어져 단위 수용소를 장악하기 위한 친공 포로와 반공 포로의 주도권 다툼이 이루어졌고 이 과정에서 포로들은 친공과 반공으로 갈리게 되었다. 1951년 7월의 정전회담의 개시는 포로수용소를 이념 갈등의 장으로 만들었다. 수용소를 장악하기 위한 친공 포로와 반공 포로의 주도권 다툼은 유혈사태화 되었는데 ‘9ㆍ17폭동’은 그 중 하나였다. 구술 증언을 통해 85수용소에서 자행된 ‘9ㆍ17폭동’에서 천도교 포로 14명 내외가 살해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이 사건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가 NARA문서에서 ‘9ㆍ17폭동 사료’가 발견되어 사건의 진상을 밝힐 수 있었다. 이 사료에는 한 박찬호 등 15명의 포로가 강만인 등 친공포로에 의해 북한에서 천도교청우당 활동 등 반공활동을 빌미로 인민재판을 열고 막사 폴대 등으로 무참히 학살하였다. 천도교 포로가 학살된 이유는 송환거부 혈서 작성이었다. 천도교는 해방후 북한에서 자주국가 건설을 위해 북한 정권과 연합전선을 펼쳤지만 사회주의 체제가 공고화되면서 배제되었고 이것이 북한 천도교인의 반공 활동과 포로의 송환 반대로 나타나 친공포로에 의해 살해되었다. 85수용소에 발생한 ‘9ㆍ17폭동’은 천도교 포로의 반공 활동으로 인한 친공포로의 학살사건이었다. 그리고 천도교 포로들은 이를 기점으로 반공의 길에 앞장서게 되었다. 이는 지금까지의 반공포로의 발생이 이승만 정권의 자유주의적 우월성과 미군의 인도주의적 정책으로 이루어졌다고 보는 시각과는 다르다. 천도교 포로들의 반공 활동은 전쟁 이전에 이미 북한에서 사회주의 체제에 의한 천도교 세력에 대한 배제에 기인하였다. 북한 사회주의 정권 수립의 한 축을 담당했던 북한 천도교 세력이 사회주의 정권 확립 과정에서 배제되고 주도적 인물들이 사회주의 정권에 의해 제거되자 이에 대한 반발이 수용소에서의 반공 활동으로 구체화되었다.

      • KCI등재

        전쟁포로의 또 다른 경계 ― 한국전쟁기 빨치산 포로수용소 연구

        정찬대 ( Jeong Chandae ) 한국사회사학회 2021 사회와 역사 Vol.- No.132

        한국전쟁 발발 초기 북한 인민군은 각 지역을 빠르게 점령했다. 이후 전선이 북상하고 수복기가 되면서 군경에 의한 후방 토벌작전이 본격화됐다. 그리고 수많은 입산자들이 토벌과정에서 빨치산 포로로 분류·처리됐다. 이들은 작전지역 내임시수용소를 거쳐 광주중앙포로수용소로 모두 옮겨왔다. 한국전쟁기 포로수용소 연구는 거제포로수용소에 편중된 측면이 컸다. 빨치산 연구 역시 한국전쟁 전후 빨치산의 생성 과정과 입산 후 활동 등이 주요하게 다뤄졌다. 본 논문은 한국전쟁기 ‘빨치산 포로’ 자체에 집중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는 차이가 있다. 그들이 전쟁포로로서 어떤 처우를 받고, 어떻게 관리됐으며, 이후 포로처리는 어떤 식으로 이뤄졌는지 빨치산 포로수용소의 실태 분석을 통해 이를 면밀하게 살피고 자 했다. 본 논문은 구술 면담자의 증언을 중요하게 다뤘다. 이를 통해 빨치산포로들의 처우, 감찰, 신문 과정 등을 들여다본 것은 물론 광주중앙포로수용소의 시설도까지 복원이 가능했다. 또 미군 보고서 등의 분석을 통해 광주중앙포로수용소 현황 및 실태 등을 세밀하게 파악했다. 1952년 광주중앙포로수용소는 한 차례 명칭이 변경됐다. ‘포로’라는 이름을 빼 ‘광주중앙수용소’로 불린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사실에 주목하며 그 배경을 추적했다. 이 과정에서 전쟁 초 ‘민간인 억류자’들이 별도로 분류되지 않은 배경 또한 분석이 이뤄질 수 있었다. 빨치산 포로수용소는 그간 한국전쟁기 포로 연구에서 비켜나 있었다. 그런 측면에서 본 논문은 빨치산 포로를 분석하는 데 있어 또 하나의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At the beginning of the Korean War,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quickly occupied and controlled several areas of the peninsula. As the front moved north and the recovery period began, the rear subjugation operation by the military and police began in earnest. Many people who entered the mountain were classified and treated as partizan prisoner of war during the subjugation process. They were transferred to the Gwangju Central POW Camps through a temporary camp within the operation area. Studies on POW camps during the Korean War are often biased towards Geoje POW camp. Partisan research also focused on the creation process of partisan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and their activities after that. This thesis differs from previous studies by concentrating on the ‘partisan prisoner of war’ itself. The testimonies of interviewer serve as the main source of data. It then explores the treatment, inspection, and interrogation processes of partisan prisoner of war, and investigates the restoration of Gwangju Central Prison Camp facilities. The current state of the Gwangju Central Prison was identified in detail through the analysis of the US military report. In 1952, the name of the Gwangju Central POW Camp was changed. This work focused on this change and traced the background. In this process, the background in which ‘civilian internee’ were not separately classified at the beginning of the war could also be analyzed. Partisan POW camps have been neglected in Korean War POW research. In that respect, this paper presents another implication in analyzing partisan prisoners of war.

      • KCI등재

        4~7세기 삼국 간 전쟁포로의 동향과 그 의미

        장창은(Jang, Chang-Eun) 한국고대학회 2021 先史와 古代 Vol.- No.67

        삼국은 4~7세기 중반 상호 간 공방전을 전개하였다. 그에 따른 전쟁포로의 발생이 빈번하며, 『삼국사기』에는 그 숫자 정보가 남아 있다. 이 논문에서는 생포를 의미하는 ‘虜’ ㆍ‘獲’ㆍ‘掠’ㆍ‘俘’와 ‘虜掠’ㆍ‘虜獲’ㆍ‘虜得’ㆍ‘掠取’ㆍ‘俘虜’ㆍ‘俘獲’ 관련 기록을 순수 전쟁포로로 파악하였다. ‘殺虜~人’ㆍ‘殺掠~人’은 ‘죽이거나 사로잡음’으로 해석해 편의상50%만 포로 인원으로 산정하였다. 4~7세기 삼국 간 전쟁 포로 인원의 득실을 따져보면, 고구려는 15,611여 명 획득, 백제는 14,960여 명 획득, 신라는 31,571명 상실로 산정되었다. 고구려와 백제가 신라에 비해 전쟁포로의 획득에 우세하였다. 4세기에 고구려는 백제에게 1,011명의 전쟁포로를 획득하였고, 200명을 상실해 811 명의 전쟁포로를 더 얻었다. 5세기도 고구려가 백제로부터 9,500명의 포로를 얻었다. 광개토왕으로부터 이어진 백제에 대한 고구려의 우위가 장수왕대(412~491)까지 지속되었음을 알 수 있다. 고구려는 백제에 대한 우위를 이어가 6세기 초 1,300명의 전쟁포로를 빼앗아 갔다. 7세기대는 삼국 간에 본격적인 영역 쟁탈전이 전개되었다. 고구려는11,000명의 포로를 획득하였고, 7,000여 명을 상실함으로써 4,000여 명의 이득을 보았다. 백제는 1,300여 명의 포로를 획득하였고, 13,730명을 빼앗겨 12,430여 명의 손실을 입었다. 신라는 16,730여 명의 포로를 확보하였고, 9,300명의 포로를 상실해 7,430 명의 이득을 보았다. 전쟁포로의 신분은 전투원과 비전투원으로 나뉘며, 전투원은 일반 군인과 지휘관급으로 구분된다. 지휘관급으로 보면, 백제의 피해가 가장 컸다. 비전투원 대부분은 백성들이었다. 고구려가 획득한 포로는 백성 18,650명, 군인 4,150명이다. 반면에 백성 3,000 명, 군인 4,200명의 포로를 빼앗겼다. 곧 고구려는 백제 및 신라와의 전쟁에서 백성의손실을 거의 입지 않았다. 이는 전쟁포로가 발생한 삼국 간 전투가 주로 고구려의 선제공격으로 전개된 데 따른 결과였다. 백제가 획득한 전쟁포로는 백성 20,800명, 군인 19,700명이었다. 백제는 백성 10,650 명, 군인 14,871명의 손실을 입었다. 백제는 7세기 전반기까지 고구려에, 이후에는 신라에게 백성ㆍ군인을 가리지 않고 다수의 전쟁포로를 빼앗겼다. 특히 648년에 김유신군과 벌인 일련의 전투에서 군인포로 10,000명을 잃었다. 사비기 백제가 동원할 수 있는군사가 40,000명임을 감안할 때 큰 타격이었다. 신라가 획득한 전쟁포로는 백성 3,000 명, 군인 13,728명으로 군인이 많다. 이는 신라가 얻은 전쟁포로가 대부분 수세적 국면에서 발생한 전쟁 때 승리의 결과물로 얻은 군인포로임을 의미한다. 신라가 상실한 포로는 백성 28,800명, 군인 19,501명으로 백성의 손실 비중이 더 높다. 전쟁포로들은 생포해 온 국가의 일반 백성들보다 신분적 처지가 열악해 奴婢와 같은신분으로 살아갔다. 이들은 농민으로서 살아가거나 축성 등 각종 노역에 동원되었다. 대부분의 경우 국가에 귀속된 공노비로서 존재하였을 것이다 The Three Kingdoms launched a mutual battle in the 4~7th centuries. Consequently, the occurrence of prisoners of war is frequent. The number information remains in the Samguksagi. In this paper, records related to ‘虜’ㆍ‘獲’ㆍ‘掠’ㆍ‘俘’ and ‘虜掠’ㆍ‘虜獲’ㆍ‘虜得’ㆍ‘掠取’ㆍ‘俘虜’ㆍ‘俘 獲’ which mean capture, were identified as pure prisoners of war. ‘殺虜~人’ and ‘殺掠~人’ were interpreted as ‘killing or capturing’ and only 50% of the prisoners werecalculated. Considering the gains and losses of the prisoners of war between the Three Kingdoms in the 4~7th centuries, Goguryeo was calculated with 15,611 people, Baekje with 14,960 people, and Silla with 31,571 people lost. Goguryeo and Baekje dominated the acquisition of prisoners of war compared to Silla. In the 4th century, Goguryeo acquired 1,011 prisoners of war from Baekje, and lost 200 prisoners of war, resulting in 811 more prisoners of war. In the 5th century, Goguryeo acquired 9,500 prisoners from Baekje. It can be seen that Goguryeo’s dominance over Baekje from King Gwanggaeto lasted until King Jangsu. Goguryeo continued its dominance over Baekje and took 1,300 prisoners of war in the early 6th century. In the 7th century, a full-fledged battle for territory took place between the three kingdoms. Goguryeo acquired 11,000 prisoners and lost 7,000 people, resulting in 4,000 benefit. Baekje acquired 1,300 prisoners and lost 13,730 people, resulting in 12,430 losses. Silla acquired 16,730 prisoners and lost 9,300 prisoners, benefiting 7,430. The status of prisoners of war is divided into combatants and non-combatants, and combatants are divided into general soldiers and commanders. At the commander level, Baekje suffered the most. Most of the non-combatants were people. The prisoners obtained by Goguryeo were 18,650 people and 4,150 soldiers. Goguryeo lost 3,000 people and 4,200 soldiers. Goguryeo suffered little loss from the people in the war against Baekje and Silla. This was the result of the battle between the three kingdoms, where the prisoners of war occurred, mainly unfolded as a preemptive attack by Goguryeo. Baekje’s prisoners of war were 20,800 people and 19,700 soldiers. Baekje suffered losses of 10,650 people and 14,871 soldiers. Baekje lost large-scale prisoners of war to Goguryeo until the first half of the 7th century and later Silla, regardless of people or soldiers. In particular, 10,000 soldiers were taken away in a series of battles against Kim Yu-shin in 648. Considering that there are 40,000 soldiers that Baekjecan mobilize during the Sabi capital period, it was a big blow. Silla’s prisoners of war were 3,000 people and 13,728 soldiers, with many soldiers. This means that most of the prisoners of war obtained by Silla were soldiers prisoners obtained as a result of victory during the war that took place in a defensive phase. The number of prisoners lost by Silla was 28,800 people and 19,501 soldiers, with a higher proportion of the people’s losses. The prisoners of war lived as slaves because their status was inferior to the general people of the country they had captured alive. They were mobilized for various labor such as living as farmers or building castles. In most cases, it would have existed as a public slave belonging to the state.

      • KCI등재

        포로이해를 통해 본 예언서의 리더십: 대예언서를 중심으로

        배정훈 한국구약학회 2016 구약논단 Vol.22 No.3

        이 글의 연구목적은 예언서에 나타난 예언자의 리더십을 포로라는 상황에 비추어 연구하는 것이다. 하나님의 기준대로 살지 않는 백성들에 대한 심판의 결과가 포로이다. 포로 이후에는 포로기간이 주어지고, 포로가 끝난 다음에도 다시 회복을 통하여 새로운 삶이 주어진다. 그러므로 포로라는 주제가 담고 있는 심판-포로-회복이라는 시나리오가 예언서의 경우에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 글은 각 예언서에서 나타나는 포로의 다양한 단계에 관심이 있다. 역사적으로 심판으로서의 포로 선언은 북 예언자들로부터 시작하여 남 유다의 이사야, 예레미야, 에스겔을 통하여 선포된다. 심판으로서의 포로에는 새 언약, 성전환상 등 희망의 메시지가 담긴다. 다음 단계는 역사적 포로를 끝낸 공동체에게 포로는 회복의 메시지로 다가온다. 돌아온 자들에게 포로란 남은 자의 정체성에 필요한 필수 단계이다. 다양한 포로의 단계에서 예언자들은 어떠한 리더십을 발휘하였는가? 포로의 원인이 되는 죄의 임계점에 이르기 전에 정의를 행하며 바르게 나라를 통치하도록 격려하고 비판한다. 왕이 역할을 감당하지 못할 때는 메시아 신앙을 강조하며, 하나님의 대행자로서의 역할을 이해하도록 도왔다. 국가종교의 화려함에 취하여 윤리를 상실한 시대에 임박한 하나님의 진노를 발견한 예언자들은 위기로부터 구원을 위한 회개를 외치고, 심판의 임계점이 지난 후에는 철저한 심판을 부르짖는다. 예언자들은 심판의 선언 속에서도 하나님의 약속을 희망으로 붙들었다. 예레미야의 새언약, 에스겔의 제사장 나라에 대한 환상, 그리고 이사야가 전한 그루터기로부터 희망이 시작되게 하였다. 기원전 6세기 제2이사야는 심판이 끝나갈 때에 당대를 회복이 성취되는 시대로 이해하며 희망을 전했다. 새로운 출발이 어려움에 직면하였을 때 신학적 포로의 개념은 하나님이 임하실 종말을 기다리며 포로를 삶의 일부로 살아가도록 하여 팔레스틴 본토 백성만이 아니라 디아스포라 공동체를 향하여 희망을 제시하였다. 포로의 사건에 대한 예언자들의 다양한 반응을 통하여 오늘날 백성들의 위기에 직면한 지도자들이 어떻게 위기를 극복하고 백성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지를 배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leadership of prophets in the major prophetic books in the context of exile. Exile is the result of judgment against the people who did not obey God’s commandments. Once exile begins, it continues for a while, and after it is over, a new life is given through restoration. Thus, the scenario of judgment-exile- restoration, which the subject of exile includes, appears variously in the prophetic literature. This article is interested in various phases of the exile that appear in the prophetic books. The proclamation of the exile as a judgement historically came from the prophets of Israel in the North, and from Isaiah, Jeremiah, and Ezekiel of Judah in the South. The proclamation often included messages of hope, including previews of the new covenant and the temple vision. The exile is transformed into a message of restoration to the communities who would finish the historical exile. The exile is a necessary step for the identity of the remnant. What kind of leadership was accomplished by the prophets in the various phases of the exile? Just before the critical point of sin which causeed the exile, the prophets, as agents of God, criticized the kings and advised them to govern their empire with justice and righteousness. When the kings did not play their role properly, the prophets emphasized a Messianic vision and helped them understand their role as God’s agents. Encountering an imbalance between worship and ethics, the prophets proclaimed repentance in order to be delivered from God’s imminent judgment, and radical judgment after the chance of repentance was over. Prophets adhered to God’s promise of restoration in the midst of their proclamations of judgment. Hope is given in Jeremiah’s new covenant, Ezekiel’s vision of the priestly nation, and Isaiah’s remaining stump. The second Isaiah (Isa 40-55) proclaimed the promise of restoration as the exile was close to an end, understanding his time as the time when the restoration was being achieved. With the difficulties accompanying a new start being faced with difficulties, the theological concept of the exile gave hope not only to the remaining people in Palestine but also the Diaspora community, so that they would wait for the eschatological day of God’s return and endure the exile as part of their lives. From the various responses of the prophets to the event of the exile, today’s leaders can learn how to deal with the crises of people and how to give hope to them.

      • KCI등재

        탈경의 욕망과 월경의 봉쇄-포로 서사에 나타난 반공포로의 경계 포섭

        오태영 구보학회 2022 구보학보 Vol.- No.31

        In South Korean society, which has strengthened its identity as an anti-communist nation under the post-war Cold War-division regime, while the demarcating the ideological space was being carried out, the anti-communist prisoners of war tried to transcend the boundaries surrounding/penetrating themselves. The prisoners of war narratives that describe the movement of prisoners of war before and after the 1953 armistice agreement are primarily taking a narrative strategy that supports the legitimacy of the South Korean regime, which has been renewed as an anti-communist state. This is because the release of prisoners of war and such release converge to the process of becoming a citizen of South Korean society as a free Korea. However, in such a narrative, the reincarnation or entry of prisoners of war into South Korean society is not easy. Through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hift in ideology, identification, and anti-communist attitude in the process of choosing South Korea as a liberal democracy does not neutralize the governmental character that demarcates the boundaries of ideology, but rather reveals the violence of such governmentality. Because he was an anti-communist prisoner of war, he was released and allowed to stay in South Korea, but it did not cross the boundaries of the prisoner of war camp before his release, nor did he become entrapped in the new boundary of the people. In the end, South Korean society was like a prisoner of war camp before release. Therefore, release for freedom is impossible, and the desire to cross the border of the concentration camps is thwarted. 전후 냉전-분단 체제하 반공국가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강화해갔던 남한사회에서 이념 공간의 구획, 경계 긋기의 작업이 수행되는 가운데 반공포로들은 자신들을 둘러싼/관통한 경계를 넘어서고자 했다. 1953년 정전 협정을 전후해 전쟁 포로들의 이동을 서사화하고 있는 포로 서사들은 일차적으로 반공국가로 일신해간 남한 체제의 정당성을 뒷받침하는 서사 전략을 취하고 있다. 그것은 포로들의 석방과 그러한 석방이 자유 대한으로서 남한사회의 국민-되기의 과정으로 수렴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와 같은 서사에서 전쟁 포로들의 남한사회로의 생환이나 진입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를 통해 자유민주주의 국가로서 남한을 선택하는 과정에서의 사상의 전향, 신원 증명, 반공주의적 태도 등이 이념의 경계선을 구획하는 통치성을 강화시키기는커녕 오히려 그러한 통치성의 폭력성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반공포로였기 때문에 석방되어 남한에 잔류할 수 있었지만, 그것이 석방 이전 포로수용소의 경계를 넘어선 것은 아니었을 뿐만 아니라 국민이라는 새로운 경계 속에 포섭된 것도 아니었다. 결국 석방 포로에게 남한사회는 석방 이전의 포로수용소와 같은 공간이었다. 그러니 자유를 위한 석방은 불가능하고, 포로수용소의 경계를 넘는 월경의 욕망은 좌절되었던 것이다.

      • KCI등재

        6.25전쟁기 한,중 전시소설에 드러난 포로형상에 대한 비교 연구

        티엔즈윈 ( Zhiyun Tian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6 어문론총 Vol.68 No.-

        6.25전쟁기에 전의를 고양시키려는 전시소설이 대량으로 창작되었다. 당시 승전의식을 높이는 데 영웅적 인물의 창출이 필연적으로 요청되었다. 그러나 대립된 양쪽의 사상을 동시에 접할 수 있는 존재로서 포로형상도 이데올로기의 선전에 중요한 수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1949년 제네바조약이 체결된 이후 포로에 대한 처우가 중요한 문제로 부상되었는데, 뒤이어 발생한 한국전쟁에서 이 포로의 처우문제가 중요하게 적용되었다. 따라서 포로에 대한 소설적 연구는 문학적인 측면에서 한층 더 중요성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고는 이번 전쟁에 직접 참석한 나라인 한국(남한)과 중국의 전시소설에 드러난 포로형상에 대해 비교 연구하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포로를 일반포로와 귀순포로로 나누어 살펴봤다. 한·중 양국 전시소설에서 일반포로에 대해 부정적인 모습으로 묘사한 점에 있어서 유사점을 보이지만, 중국은 풍자적인 수법으로 포로를 묘사하는 것과 달리 한국은 직설적으로 ‘한’을 담아 적군포로를 묘사한다는 측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또, 양국의 소설은 아군으로 ‘전향’ 온 포로에 대해 공동적으로 관대한 태도를 보이며 그들에게 피해자의 형상을 부여한다. 마지막으로 포로수용소(혹은 갇혀 있는 수용 공간)에서 포로들 사이에 형성된 생존을 위한 ‘자아-타자’ 역학관계를 분석했다. 한국 전시소설에서는 자의든 타의든 자기 이외의 사람을 고발함으로써 ‘자아와 타자’의 긴장 관계가 이루어진 것이라면 중국 전시소설에서는 흑인과 백인 간의 인종차별에 의해 조성된 ‘자아-타자’관계가 존재한다.이번 논의를 통해 같은 시기에 창작된 한·중 소설에 나타난 포로형상에 대해 보다 체계적인 인식을 발전시키는 기회가 되었고, 이데올로기를 준수하는 전제 아래 양국 전시소설에서 포로를 어떻게 형상화하였는지 문학작품의 자율성을 다시 한 번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In the period of Korean war, lots of novels used to arouse the fighting spirit are created and here, the hero figures are needed. But as the one that can approach both of the oppositive ideologies , POW figure takes an important role in the war novels. Besides, after the conclusion of GPW, the treatment of POW is aroused again when comes to the Korea war. And it increased the necessity of novelistic stud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POW figure in Korea and China`s Korea war novel. In this paper, the POW is divided into the ordinary POW and defected POW to be studied. It`s familiar for south Korea and China to describe the ordinary POW in negative method. But China`s war novel describe POW in a satirical way, which is different to the Korea`s war novel putting sorrow into the POW figures. And both in Korea and China`s war novel, there is a generous attitude toward the defected POW figure who change their ideological direction to the friendly army. And mostly the defected POW figure is created as sufferer. Finally, I tired to analyzed the ``ego-other`` dynamics relationship among the POWs. In south Korea, the ``ego-other`` relationship is made by reporting comrades beside himself(herself) and in China`s war novel, it`s the ``racial discrimination`` between the white and the black. I hope that , according to this paper, we can have more understanding about the war novel which created in the same period between Korea and China. Though, it cannot be free of the ideology, but also the novel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rousing the victory in the war by creating a lot of figures. And we call this the autonomy of the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