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벽(開闢)』의 3·1독립운동 민족대표 담아내기

        성강현 동학학회 2021 동학학보 Vol.- No.58

        『개벽』 72호를 통털어 민족대표들이 직접 쓴 기사는 총 12건에 불과하다. 12편 가운데 최린이 4편, 권동진과 한용운이 3편, 오세창과 양한묵이 각각 1편씩 저술하였다. 이들 민족대표들의 글은 정치적 견해나 시사를 표출하는 글은 없었다. 1922년 1월 『개벽』이 조선총독부로부터 정치시사에 관한 글을 게재할 수 있는 허가를 받았다. 그렇지만 민족대표들이 자신의 정치적 의사를 표현하지 못하였다. 이는 『개벽』이 검열에 의해 몰수와 발간 정지 등의 압박을 받아온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런 상황에서 『개벽』의 편집진들은 은밀하고 위대하게 민족대표들을 담아내었다. 민족대표들의 글이 적었던 이유는 사회적으로 영향력이 큰 민족대표를 가미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는 최린과 권동진의 글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승훈의 경우처럼 회유 대상으로 삼았기에 민족대표들은 자신들의 의사 표출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었다. 『개벽』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민족대표는 손병희였다. 그는 1922년 5월 19일 사망하였는데 『개벽』은 손병희 사망 직후에 발간된 6월호인 『개벽』24호를 손병희 추모 특집호를 만들어 그의 업적을 기렸다. 『개벽』33호는 3·1운동 특집호로 간행되었다. 『개벽』33호는 1923년 3월 1일에 간행되었는데 개벽사의 편집인들은 33이라는 숫자와 3월 1일의 발간일은 연상해 3·1운동 특집호로 꾸몄다. 이러한 사실은 최린의 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개벽』33호는 권동진·오세창·최린·한용운의 글과 손병희·양한묵의 사진, 그리고 3·1운동의 만세 시위가 시작된 탑동공원 탐방기 등을 통해 3·1운동 5주년 기념호로 구성하였다. 이밖의 민족대표들은 종교 기사 등에서 단신으로 처리되었다. 『개벽』은 3·1운동의 역사적 의미를 문일평을 통해 담아냈다. 그는 3·1운동을 갑오동학혁명 이후 최대의 민중운동이며, 1차대전과 민족자결주의를 호기로 삼아 독립을 선언하고 임시정부를 수립한 성과를 이루었으며, 민족적 일치단결, 여성의 각성이라는 점에서 역사적 의의를 갖고 있다고 평가하였다. 이밖에 사상사적으로도 3·1운동은 일대 전환을 가져와 사회주의 확산의 계기가 되었다고 보았다. 일제는 민족대표들의 활동을 제약하였지만 『개벽』은 빈 틈을 찾아 그들을 통해 3·1운동과 조선독립을 떠올리려고 시도하였다. 『개벽』에서 민족대표들의 모습을 영웅시하지는 못하였지만 은밀하고도 위대하게 담아내었다. Throughout No. 72 of 『Gaebyeok』, there are only 12 articles directly written by national representatives. Of the 12, Choi Rin wrote 4, Kwon Dongjin and Han Yongun wrote 3, and Oh Sechang and Yang Hanmook wrote 1 each. The writings of these national representatives did not express political views or current events. In January 1922, 『Gaebyeok』 received permission from the Chosun Governor-General to publish an article on political current affairs. However, national representatives were unable to express their political intentions. This is not irrelevant to the fact that 『Gaebyeok』 has been under pressure from confiscation and publication suspension due to censorship. In this situation, the editors of 『Gaebyeok 』 contained national representatives secretly and greatly. The reason why the national representatives wrote less was because they had a national representative who had great social influence. This could be confirmed through the writings of Choi Rin and Kwon Dong-jin. In addition, as in the case of Lee Seung-hun, the national representatives had limited expression of their intentions because they were targeted for conviction. In『Gaebyeok』, the most common national representative was Son Byeong-hee. He died on May 19, 1922, and his achievements were commemorated by making a special issue in commemoration of Son Byeong-hee, the June issue of『Gaebyeok』, published immediately after Son Byeong-hee's death.『Gaebyeok』33 was published as a special issue of the March 1st Movement. The 33rd issue of『Gaebyeok』was published on March 1, 1923. The editors of Gaebyeoksa made it a special issue of the March 1st Movement, reminiscent of the number 33 and the publication date of March 1st. This fact can be confirmed in Choi Rin's article. 『Gaebyeok』33 was composed of the 5th anniversary of the March 1st Movement through writings by Dongjin Kwon, Sechang Oh, Rin Choi, and Yongwoon Han, photographs of Byeonghee Son and Hanmuk Yang, and a tour of Tapdong Park, where the demonstration for national independence of the March 1st Movement began. Other representatives of the nation were treated alone in religious articles. 『Gaebyeok』 captured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March 1st Movement through Mun Ilpyeong. He made the March 1st Movement the largest popular movement since the GaboDonghak Revolution, declared independence and established a provisional government with World War I and national self-determination as a good choice, and achieved national unity and women's awakening. Evaluated as having historical significance. In addition, in ideological history, it was considered that the March 1st Movement brought about a major transformation and was an opportunity for the spread of socialism. Although the Japanese colonial rule restricted the activities of national representatives, 『Gaebyeok』 attempted to recall the March First Movement and the independence of Joseon through them in search of gaps. In 『Gaebyeok』, the appearance of national representatives was not heroic, but it was secretly and greatly captured.

      • KCI등재

        강수의 입장에서 본 1871년의 영해 교조신원운동

        성강현 동학학회 2023 동학학보 Vol.- No.65

        This study examines the Younghae’s the movement vindicating the innocence of the founder of Donghakfrom the perspective of Kang Su, a key figure in the Donghak denomination. The significance of the Younghae’s the movement vindicating the innocence of the founder of Donghak can b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points. First, this movement was the first to socialize the ideas of Donghak. Second, the movement was carried out by the Donghak denomination and the forces of change. Third, based on the organization of the Donghak denomination, it has moved beyond regional limits. Fourth, this movement became the origin of the movement vindicating the innocence of the founder of Donghak that developed nationwide in 1892~3 and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of 1894. Because of these points, the territorial the movement vindicating the innocence of the founder of Donghak is receiving new light.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perspective of Kang Su, a key figure in the Youngyae’s the movement vindicating the innocence of the founder of Donghak and the Donghak denomination. The Younghae’s the movement vindicating the innocence of the founder of Donghak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was the first to socialize Donghak’s ideas. It is also significant that this movement was carried out by the Donghak denomination and the transformative forces together, so it went beyond regional limits and put forward an ideological orientation based on Donghak. Kang Su was a native of Yeongdeok, Gyeongsang Province, and after the purity of its founder, Choi Je-woo, he assisted Choi Si-hyung in expanding the religion. Choi Si-hyung and Kang Su initially objected when Lee Pil-je entered the Younghae and demanded the movement vindicating the innocence of the founder of Donghak. However, since Lee Pil-je had rallied the dynamics and transformation forces of Younghae and Yeongdeok, he was in favor of the last. Kang Su, along with Lee Pil-je, played a leading role in a series of processes such as mobilization of participating personnel, occupation of the Younghae, dispersal and flight. After the occupation of the Younghae, Kang Su strongly opposed Lee Pil-je’s attempt to advance into Yeongdeok. At this point, the position of precipitation was clearly visible. The reason for this was, first, that the original purpose of the Younghae’s the movement vindicating the innocence of the founder of Donghak had been altered. Second, it was because of the heavy casualties in the process of occupying the territorial sea department. Thirdly, on a personal level, his brother Kang Mun died during the occupation and had to be funeral. For these reasons, Kang Su opposed his entry into Yeongdeok, his residence. Kang Su joined the movement vindicating the innocence of the founder of Donghak under the direction of Choi Si-hyung, but opposed it when Lee Pil-je changed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to the transformation movement. In particular, when Lee Pil-je murdered the governor of Yeonghae and tried to advance into Yeongdeok, he decided that Lee Pil-je’s actions were outside his original purpose as a dogmatic believer, so he opposed it and stopped the transformation movement. In this respec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recipitation was intended for dogmatic purposes, unlike the Lee Pil-je. In other words, he had the characteristics of a religious man rather than a transformative activist, and this aspect of him is consistent in later denominational activities. 본 연구는 영해 교조신원운동을 동학교단의 핵심인물인 강수의 입장에서 살펴본 것이다. 영해 교조신원운동의 의의는 다음의 몇 가지로정리할 수 있다. 첫째, 이 운동은 동학의 사상을 최초로 사회화한 사건이라는 점이다. 둘째, 이 운동은 동학 교단과 변혁 세력이 함께 진행했다는 점이다. 셋째, 동학의 조직을 바탕으로 지역적 한계를 벗어났다는 점이다. 넷째, 이 운동은 1892~1893년에 전국적으로 전개된 동학교단의 교조신원운동과 1894년의 동학농민혁명의 기원이 되었다. 이러한 점들로 인해 영해 교조신원운동은 새롭게 조명받고 있다. 강수는 경상도 영덕 출신으로 교조 최제우 사후 최시형을 보좌해 교세 확장에 주력하였다. 최시형과 강수는 이필제가 영해로 들어와 교조신원운동을 요구하자 처음에는 반대하였다. 그러나 이필제가 영해와영덕의 동학도와 변혁세력들을 규합한 상황이어서 마지막에 찬성하였다. 강수는 이필제와 함께 참여 인원의 동원, 영해부 점령, 해산과 도피 등 일련의 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영해 점령 이후 강수는 이필제가 영덕으로의 진출하려는 것에는 강력하게 반대하였다. 이 지점에서 강수의 입장이 명확하게 드러났다. 그 이유는 첫째, 교조신원운동이라는 본래의 목적이 변질되었기 때문이었다. 둘째, 영해부 점령 과정에서 인명 피해가 컸기 때문이었다. 셋째, 개인적 측면으로 자신의 동생인 강문이 점령 과정에서 사망하여장례를 치러야 했던 점도 작용하였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강수는자신의 거주지인 영덕 진출을 반대하였다. 강수는 최시형의 지시로 교조신원운동에는 동참하였지만, 이필제가변혁운동으로 운동의 방향을 바꾸자 이에 반대하였다. 특히 이필제가영해부사를 살해하고 영덕 진출을 꾀하자 이필제의 행동이 교조신원이라는 본래의 목적을 벗어난다고 판단하고 반대해 변혁운동을 멈추게하였다. 이런 점에서 강수는 이필제와 달리 교조신원을 목적으로 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그는 변혁운동가라기보다는 종교인으로서의풍모를 갖고 있었고 이러한 그의 면모는 이후 교단 활동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난다.

      • KCI등재

        군대 해산 과정에서의 서소문전투 연구

        성강현 동학학회 2016 동학학보 Vol.0 No.38

        Joseon took some actions to modernize its army, but they had not worked as effectively as was expected under the intervention of China, Japan and Russia. It was because in the power balance of Russia and Japan, Emperor Gojong changed the name of his country from Joseon to Korean Empire and tried to enhance its military by strengthening its Siwidae(Royal Army), but Japan, after winning the war between Russia and Japan, reduced Siwidae and Jinwidae(Defense forces) of Korean Empire. The soldiers of Siwidae protested violently against the Japanese imperialists' pillage of sovereignty and disbanding the army. When Emperor Gojong was forced out of power, the soldiers of Siwidae deserted from barracks and fired Japanese police officers. And August 1, 1907 when the army was disbanded as a result of Jeongmi Treaty, Pak Seungwhan, the 1st battalion commander of the 1st regiment, kiled himself out of protest. This accident resulted in the armed uprising of the 1st battalions of the 1st and the 2nd regiment, and they fought street battles with Japanese army near the South Gate and Seoso Gate. Especially this battle has to be called Seoso Gate Battle after the last battle place, Seoso Gate. The armed uprising of Siwidae in Seoso Gate caused the armed uprising of Jinwidae. After that, the disbanded soldiers began to join patriotic soldiers and the struggle of the patriotic soldiers made progress militarily. Huh wi, the commander of patriotic soldiers since Eulmi battle, admitted the disbanded soldiers and fought fiercely against Japanese soldiers in Gyeonggi and Gangwon province. 조선은 개항 이후 군대의 신식화에 앞장섰으나 청, 일, 러의 간섭으로 군사적 자주화를 적극적으로 전개하지 못하였다. 청일전쟁 이후 러시아와 일본의 세력 균형속에서 대한제국을 선포한 고종황제는 시위대를 강화하여 군사력을 증강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나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대한제국의 군대인 시위대와 진위대를 축소시켰다. 이 과정에서 대한제국의 중앙군이었던 시위대는 국권피탈과 군대 해산에 맞서 격렬히 저항하였다. 1907년 고종이 강제퇴위를 당하자 일부 병력이 탈영하여 일본 경찰에 발포하는 등 항일활동을 전개하였다. 이어 정미7조약으로 1907년 8월 1일을 군대가 해산당하자 서소문 시위대의 제1연대 제1대대장 참령 박승환은 자결 순국으로 저항하였다. 이 소식은 제1연대 제1대대와 제2연대 제1대대의 무장봉기로 이어져 일본군과 남대문과 서소문 일대에서 시가전을 벌였다. 특히 시가전의 마지막은 서소문 시위대 병영에서 이루어져 이 전투의 명칭은 서소문전투로 명명되어야 한다. 서소문의 시위대 봉기는 지방의 진위대로 이어졌다. 이후 해산군인들은 의병에 가담하여 의병항쟁은 군사적으로 한 단계 발전하였다. 을미의병부터 활약한 의병장 허위는 해산군인들을 영입하여 경기도와 강원도 일대에서 의병운동을 전개한 대표적 의병장이었다.

      • KCI등재

        해월 최시형의 단양 은거 시기 연구

        성강현 동학학회 2016 동학학보 Vol.0 No.40

        Danyang in the history of Donghak’s is a place that has a special meaning. Danyang was perfect for Heawall to retreat even three Province(道) had to live in hiding in the border's face. Danyang was that the Donghak of religion made as soon as the propagation area. Min Sa-Hyeob was appointed as manager of Danyang Choe Je-u 1862 when the left middle managers, Jeobjoo(접주, 接主). He was a financial support when Choe Je-u are trapped in the prison of Daegu, and took care of the family is left behind after Choe Je-u’s death. But after he died suddenly sick summer 1865 the Donghak church was the organization of Danyang is declining. Choe Si-hyeong stayed in Danyang, about 10 years from April 1874 to June 1884 year. Sadong(사동) first, but later transferred to Songduduk(송두둑). Choe Sihyeong came after hiding in Gangwon Province, Danyang through the Younghae identity dogmatic movement(영해교조신원운동). After settling in Danyang Choe Si-hyeong it has left the following achievements as head of the church dynamics. First, the Church was unified around him. Choe Je-u post the Church of the followers was also a family of Choe Je-u. Choe Si-hyeong the death of Choe Je-u all the family settled in Danyang church was unified in Choe Si-hyeong center. Second, by Choe Je-u walked the ritual of resurrection Cheonje (天祭) ensure the legitimacy and allowed them to settle collective rites of the Church. Cheonje led until the enforcement Hyangahseolwi(향아설위) changes to the Indeung, Gocheonje and the like. Third, to some extent, the forces of the church was enlarged and structured organization of the church. Fourth, we summarized the history of the early church Donghak. After years of advocacy 김지하의 시에 나타난 생명사상과 글쓰기 방식 | 243 in Jeongsun Bang Si-hak’s house in 1879, around the whereabouts of Choe Je-u summarized the history of 20 years. Fifth, we published the scriptures left by Choe Je-u. 1880 the Chinese scriptures『Dongkyeongdaejeon』I nJe Gapdunri at the home of Kim Hyun-soo, the Scriptures published by publishing the Hangul Scriptures were completed in『Yongdamyusa』years in Danyang Saemgol 1881. Although the retreat was Choe Si-hyeong Danyang struggled to rebuild Chondoist not limited to Danyang. There were also works with the geographical advantage of Danyang. Choe Si-hyeong has made the development of a denomination based in Danyang. He was coming and going from Yeongwol and Jeongseon, Gangwon Province in the north to the south Gyeongsangbuk race. Published histories and scripture Choe Si-hyeong achieved in Danyang century retreat has entered into a nationwide spread of fruit Chondoist. The intelligentsia and the people who were opposed to Chondoist read the scriptures together as a booklet created. They acquired these movements Chondoist Gaebyeok ever accepted the idea of social reform movements were as Kojosinwon Movement(교조신원운동) and Donghak Peasant Revolution(동학농민혁명) instance 1890s. 동학의 역사에 있어서 단양은 특별한 의미를 가진 곳이다. 3개의 도(道)가 경계를 맞대고 있어 숨어 지내야 했던 해월에게는 은거하기에 안성맞춤이었다. 단양은 동학 창도 초기부터 포덕된 지역이었다. 민사엽은 1862년 수운이 접주제를 시행할 때 단양접주로 임명되었다. 그는 수운이 대구 수감시 경제적 후원을 아끼지 않았으며 수운 사후 남겨진 가족을 돌보았다. 하지만 그가 1865년 여름 갑자기 병사하여 단양의 동학조직은 쇠퇴하였다. 수운에 이어 동학의 교주가 된 해월은 1874년 4월 단양의 사동에 은거하였다가 이듬해인 1875년 2월 송두둑에 자리를 잡은 후 1884년 6월까지 약 10년간 단양에 머물렀다. 해월은 영해교조신원운동 이후 강원도를 거쳐 단양으로 은거하였다. 단양에 정착한 후 해월은 동학 교단의 책임자로 다음과 같은 업적을 남겼다. 첫째, 어려움에 처한 수운의 가족을 보살폈다. 그러나 이 시기에 수운의 가족이 모두 환원하자 교단은 자연스레 해월을 중심으로 일원화되었다. 둘째, 단양의 사동과 송두둑에서 수운이 행하던 제례인 천제를 부활하여 정통성을 확보하고 교인의 집단적인 종교 활동인 고천제를 만들어 교단의 의식을 제도화하였다. 셋째, 교세가 확장되자 도차주에 강수, 도접주에 유인상를 임명해 도주인-도차주-도접주-접주의 교단 조직으로 교단을 체계화하였다. 넷째, 1879년 수운의 행적을 정선 방시학의 집에서 저술해 창도 이후 20년의 역사를 정리하였다. 다섯째, 수운이 남긴 경전을 간행하였다. 1880년 인제 갑둔리 김현수의 집에서 한문 경전인 『동경대전』을 간행하고 1881년 단양의 샘골에서 한글 경전인 『용담유사』를 간행하여 경전 간행을 완성하였다. 해월은 단양에서 은거하던 10여 년간 교세의 확장과 조직화를 바탕으로 사적과 경전을 간행하여 교단 확장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특히 사적의 정리와 경전의 간행은 동학의 전국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동학을 이단시하던 지식층과 민중들은 동학의 경전을 통해 동학의 교리에 대해 알게 되었고 사회 변혁의 사상으로 받아들이면서 동학은 전국적으로 확산될 수 있었는데 이러한 기틀이 단양에서 마련되었다.

      • KCI등재

        옥천 지역의 동학의 전파와 확산

        성강현 동학학회 2020 동학학보 Vol.0 No.56

        본 연구는 옥천 지역의 동학 전파와 동학 조직의 확산을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 결과 충청도의 동학 유입은 최제우의 창도기 때부터 시작되었다. 그러나 본격적인 충청도의 동학 유입은 1874년 해월의 단양 이주로부터 본격화하였다. 해월은 단양을 거점으로 충청도와 전라도, 경기도까지 교세를 넓혀나갔다. 1883년을 시점으로 충청도의 도인들이 동학교단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기 시작하였다. 손병희·손천민·박인호·서인주·서병학·조재벽·임규호·권병덕 등이 당시 입도한 인재로 1892~3년의 4차에 걸친 교조신원운동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옥천의 동학 유입 시기는 임규호와 조재벽의 활동으로 보아 1886~1887년경으로 보인다. 옥천과 청산은 충청도의 다른 지역에 비해 비교적 늦은 시기에 동학이 전해졌지만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1890년대에 들어와서 옥천과 청산의 동학도들이 관의 수탈 대상이 될 정도로 교세가 급성장하였다. 옥천 동학의 중심인물은 박석규이고 청산의 중심인물을 박원칠이었다. 박석규와 박원칠은 1893년 2월의 광화문복합상소에서 봉소인으로 참여할 정도로 교단의 핵심적인 역할을 맡았다. 박석규는 보은 교조신원운동에서는 옥의대접주로, 박원칠은 청의대접주로 활약하였다. 이들은 동학농민혁명 2차 기포에 동참하여 손병희 휘하에서 우금치, 청주, 청산, 보은 북실, 영동 용산시전투 등의 참전하였다. 동학농민혁명의 실패로 박석규는 청주병영에 체포되어 참형되었으나 박원칠의 행적은 드러나지 않는다. 옥천 지역의 동학 세력이 성장함에 따라 교주 최시형을 정점으로 대접주-수접주-접주의 조직을 갖추었다. 각 접에는 접사와 성찰이 있었고 포덕을 담당하는 포덕장과 육임의 직책을 맡은 도집과 집강 등이 있었다. 그리고 동학농민혁명 시기에 포군, 운량도총감, 선봉장, 군자금 담당 등 군사 활동과 관련한 직책이 늘어났음을 동학농민혁명 참여자의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옥천 지역의 동학 조직은 동학농민혁명 이전에는 종교적 조직이었지만 동학농민혁명 시기에는 급격히 전투조직으로 변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pread of Donghak and its organization in Okche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nflux of Donghak in Chungcheong-do began from the opening period of Je-woo Choi. However, the influx of Donghak to Chungcheong-do began in earnest from Choi Si-hyung’s immigration to Danyang in 1874. Based in Danyang, Choi Si-hyung expanded his ties to Chungcheong-do, Jeolla-do and Gyeonggi-do. As of 1883, the church members of Chungcheong Province began to play a key role in the church. Byunghee Son, Cheonmin Son, Inho Park, Inju Seo, Byeonghak Seo, Jaebyeok Cho, Gyuho Lim, and Byeongdeok Kwon were talented people who entered the period at the time and played a key role in the four rounds of Gyojosinwon Movement(a movement to reinstate the unjust death of a religious founder) in 1892-3 years. Okcheon’s inflow of Donghak seems to be around 1886~1887 based on the activities of Gyuho Im and Jaebyeok Cho. Okcheon and Cheongsan showed rapid growth, although Donghak was passed on at a relatively late period compared to other areas of Chungcheong-do. In the 1890s, the relationship between Okcheon and Cheongsan became the targets of the exploitation of the pavilion. The central character of Okcheon Donghak was Park Seok-gyu, and the central character of Cheongsan was Park Won-chil. Park Seok-gyu and Park Won-chil played a key role in the denomination so that they participated in the Gwanghwamun Gyojosinwon Movement in February 1893 as Bongsoin(봉소인). Park Seok-gyu served as a Okeuidaejeobju(옥의대접주) in the Boeun Gyojosinwon Movement, and Park Won-chil served as a Chongeuidaejeobju(청의대접주). They participated in the second phase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participated in the battles of Woogeumchi, Cheongju, Cheongsan, Boeun Buksil, and Yongsan Market in Yeongdong under Son Byeong-hee. For the failure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Park Seok-gyu was arrested and sentenced to death by the Cheongju barracks, but Park Won-chil’s actions are not revealed. As the power of Donghak in the Okcheon region grew, the organization of serving Daejubju(대접주), Sujubju(수접주) and Jubju(접주) was established with the peak of the headmaster Choi Si-hyung. There were affixes and reflections at each side, and there were a Podeokjang(포덕장) in charge of spread and a Dojip(도집) and Jibgang(집강) in charge of the post of Yuk-im(육임). In addition, it can be confirmed from the records of participants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at the number of positions related to military activities such as artillery, Unryangdo Superintendent운량도총관), Seonbongjang(선봉장), and military funding increased during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e Donghak organization in the Okcheon area was a religious organization before the Donghak Peasants Revolution, but during the Donghak Peasants Revolution, it rapidly transformed into a combat organization.

      • KCI등재

        동학농민군의 전주성 점령과 전주화약에 관한 고찰

        성강현 동학학회 2019 동학학보 Vol.0 No.51

        19세기 조선 말기의 동학농민혁명은 조병갑의 학정에 반항한 고부기포가발단이 되었다. 안핵사 이용태의 만행은 고부기포를 동학농민혁명으로 확장시키는 촉매제 역할을 하였다. 전봉준 등 동학농민군은 3월 20일 무장에서 재기포하여 26일 백산 대회를 기점으로 혁명을 본격화하였다. 황토현 전투와 황룡촌 전투의 승리로 자신감을 획득한 동학농민군은 4월27일 호남의 수부인 전주성을 무혈입성해 동학농민혁명의 1차 목표를 달성하였다. 그러나 뒤이어 쫓아온 홍계훈이 이끄는 관군에 의해 연패하면서 위기감에 빠지게 되었다. 또 농사를 주업으로 하는 동학농민군은 농번기의 도래와오랜 타향생활에 따른 피로감도 쌓여갔다. 반면에 조정에서도 동학농민군 토벌을 위해 청국군의 차입을 요청하였고 이는 일본군의 출병으로 이어졌다. 양국 군대의 차입으로 정치불안이 고조되자 조정에서는 양국의 군대를 돌려보내기 위해서는 동학농민군의 해산이 필요했다. 또한 동학농민군을 진압하기에는 병력이 부족했고 관군의 오랜 숙영으로 인해 사기도 저하되어 있었다. 전주화약은 이러한 양측의 필요에 의해 맺어졌다. 동학농민군은 집강소의설치와 폐정 개혁의 실시를 요구했고, 조정에서는 무기의 회수와 동학농민군의 해산을 요구하였다. 양측은 이에 합의하여 전주화약을 맺고 동학농민군은전주성를 빠져나왔다. 조정에서도 중앙군의 일부만 전주에 남기고 철수하였다. 이후 동학농민군은 전라도 군현에 집강소 설치를 수용하여 표면적으로는화약의 내용을 실천하였다. 그러나 동학농민군과 정부군 모두에게 만족할 수없는 불완전한 합의에 불과했다. 전주화약은 우리 역사상 처음으로 관민상화의 기구인 집강소가 설치되어민의가 국정에 반영되는 첫 사례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이는왕조국가에서 보기 드문 사례로 이후 민의를 국정에 반영할 수 있는 계기를만들었다. 따라서 동학농민군의 전주성 전투를 통해 많은 희생자를 내었지만전주화약을 통해 민의를 국정에 반영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는 점에서 큰 역사적 의의가 있다. 동학농민군의 고부 기포에서 전주 화약까지의 실상을 밝히기 위해서는 관군의 기록과 동학농민군의 기록, 그리고 제3자의 기록을 상호 비교해서 서술해야 한다. 동학농민군의 기록은 기포에서부터 전주 입성까지의 기록을 상세하지만, 완산 전투와 전주 화약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서술되어 있다. 반면에관군의 기록은 황토현 전투와 황룡촌 전투 그리고 전주 입성 전투에 관해서는자신들의 과오는 기술하지 않고 간단하게 언급하고 있다. 반면에 승전을 한완산 전투에 관해서는 전과를 십여 배를 부풀리는 과장을 서슴지 않았다. 따라서 동학농민군의 기록이 부족한 상황에서 제3자의 기록은 초기 동학농민혁명의 실상을 밝혀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따라서 초기 동학농민혁명의실상을 면밀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관군과 동학농민군, 제3자의 기록을 종합적으로 상호 비교하여 서술하여야 한다.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became the beginning of the Kobu Rebellion which rebelled against the tyranny of Cho Bok-Kap. And Yi Tae 's atrocity became the driving force to develop the Kobu revolt into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e Donghak Peasant Army, such as Jeon Bongjun, was sewn on March 20, 1894 in the Armed Forces. The Donghak peasant army, which acquired confidence with the victory of the battle of Hwangtohyeon and the battle of Hwangryongchon, achieved the first goal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by entering the center of Honam, Jeonju Province, on April 27th. However, after the successor Hong, Gye-hoon led a losing streak to the government and fell into a sense of crisis. In addition, Donghak peasant army, which is mainly engaged in farming, has accumulated fatigue due to the arrival of the farming season and the long-time living. On the other hand, the court also asked the King Dynasty army to take down the Donghak peasant army, which led to the dispatch of the Japanese army. As the influx of the two countries led to political instability, the Donghak peasant troops needed to be dissolved in order to return the armies of the two countries. In addition, lack of troops to suppress the Donghak peasant army and long-term residents of the municipal government, the morale was lowered, and necessary reconciliation. The Jeonju Agreement was concluded by the needs of both sides. The Donghak peasant forces demanded the installation of the docking stations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demolition reforms, and demanded the return of weapons and dissolution of Donghak peasant army. The two sides concluded an agreement in the prefecture, and Donghak peasant troops exited Jeonju province. In the mediation, too, only a part of the Central Army left the poles and withdrew. The Donghak peasant army accepted the installation 동학농민군의 전주성 점령과 전주화약에 관한 고찰 | 169 of the docking station in Cholla province and performed the contents of the agreement on the surface. However, it was merely an incomplete agreement that could not be satisfied for the Donghak peasant and government forces. The Jeonju Agreement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case in which the establishment of an institute which is the institution that harmonizes the people and the people is establish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is is an uncommon example in the dynasty country, and it has created an opportunity to reflect the people in the aftermath. Therefore, although the Donghak peasant troops gave many casualties through the Jeonju battle, there is a great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at it opened the way to reflect the people to the national affairs through the Jeonju treaty. In order to reveal the facts from the Kobu to the Jeonju Agreement of the Donghak Peasant Army, the records of the Tribunal, the record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and records of third parties should be described in comparison with each other. The record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detail the record from the uprising to the entrance to Jeonju, but briefly describe the Battle of the Wansan Mountain and the Jeonju Treaty. On the other hand, the records of the Tribunal refer to the Hwangtohyeon battle, the battle of Hwangryongchon and the arrival of Jeonju without simply describing their mistakes. On the other hand, he did not hesitate to exaggerate the fact that he was a victorious battle. Therefore, in the situation that Donghak peasant 's records are lacking, the record of the third person is an important data that can reveal the reality of the early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conclusion, in order to grasp the reality of the early Donghak peasant revolutions, the records of the military units, Donghak peasant army, and third parties should be comprehensively compared and described.

      • KCI등재

        3·1운동에서 의암 손병희의 역할에 대한 재조명

        성강현 동학학회 2022 동학학보 Vol.- No.62

        일제강점기 동시대를 살았던 인물들의 손병희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민족의 영웅’, ‘조선 독립의 거인’ 등으로 높이 평가하고 있었다. 해방을 맞아 귀국한 김구를 비롯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간부들은 의암을 ‘독립운동의 근원지’라고 평가하였다. 이는 엄혹한 시절인 일제강점기에 누구도 나서기를 주저하던 상황에 맨 앞에서 조국의 독립을 이끌었던 그의 업적이 얼마나 위대한지를 자신의 눈으로 목격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해방 후 3·1운동을 주도한 손병희에 대한 평가는 시간이 지날수록 나빠졌다. 1950년대에는 같이 독립운동을 하던 인물들이 생존했기에 그는 3·1운동의 영도자로 인정받았다. 그 결과 1950년대 말 그의 기념사업회가 발족해 1960년대 묘비 건립, 탑골공원의 동상 제막. 일대기 출간 등의 성과를 내었다. 당시는 그를 민족의 지도자로 인정하는 분위기였다. 그러나 1970년대 후반 유신정권 시기 민중투쟁의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손병희의 활동은 독립운동사에서의 평가절하되었다. 이들은 손병희 대신 유관순을 3·1운동의 중심인물로 추켜세웠는데 여기에는 민중투쟁론자들의 종교적 성향도 관련이 있었다. 1990년대 들어 손병희에 관한 부정적 측면은 강조되었다. 이후 민중사의 관점에서의 3·1운동 연구를 통해 상대적으로 손병희와 3·1운동 민족대표의 역할도 평가절하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2006년의 민족문화상징의 독립운동 인물 선정에서 손병희가 배제되었고, 2019년의 3·1운동 100주년 여론조사에서는 단 한 명도 3·1운동을 대표하는 인물이나 이미지로 그를 답하지 않았다. 우리가 역사를 연구하는 목적은 과거의 역사적 사실을 “본래 있는 그대로” 발견하는 데 있다. 역사가가 현재의 관점을 지나치게 중시하면 과거의 역사적 사실이 변형된다. 따라서 역사적 사실을 현재적 관점이 아닌 있는 그대로의 과거의 사실로 복원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당대인들의 손병희에 대한 평가를 살피는 것이 그의 3·1운동에서의 업적을 재조명하는 출발점이다. 손병희와 같은 시대를 살았던 한용운, 김성수, 장도빈, 현상윤 등의 손병희에 대한 평가는 조선독립의 영웅이었다. 『개벽』지에서는 그를 “민족의 빛”이라고 하였다. 일제강점기부터 1970년대 초반까지 손병희는 최대의 민족운동가로 손꼽혔다. 그러나 1970년대 후반 민중투쟁론자에 의해 손병희의 민중적 이미지가 훼손되었다. 손병희에 대한 3·1운동에서의 역할에 관한 재조명은 그와 동시대를 살았던 인물들의 평가로부터 출발해야 한다. 일제강점기 민중을 대표하는 독립운동가로 평가받던 손병희가 아이러니하게도 민중투쟁론자들에 의해 도외시되고 있다는 점이다. 손병희에 대한 재조명은 3·1운동의 정당한 평가와 아울러 우리 독립운동사를 바로잡는 중요한 작업이다. The evaluation of the characters who lived in the same age as Son Byung-hee was generally highly regarded as ‘the hero of the nation’ and ‘the giant of independence of Korea’. Kim Gu, who returned home after liberation, and other executive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visited the mausoleum of Uiam and evaluated it as the sourc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 characters who had a rough time with Son Byung-hee praised his accomplishments. This was because he witnessed with his own eyes how great his accomplishments, which led the independence of his country at the forefront, were hesitant to come to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ich was a severe period. However, the evaluation of Son Byung-hee, who led the 3.1 Movement after liberation, deteriorated over time. In the 1950s, the people who were doing the independence movement survived, so he was recognized as the leader of the 3.1 Movement. As a result, his commemorative business association was established in the late 1950s, and it was successful in the construction of tombstones in the 1960s, the unveiling of statues of Topgol Park, and the publication of biography. At that time, he was recognized as a leader of the nation, but in the social atmosphere of the popular struggle during the Yushin regime in the late 1970s, Son Byeong-hee was devalued. Instead of Son Byung-hee, they tried to make Yu Gwan-soon the central figure of the 3.1 movement, which also related the religious tendencies of the people’s strugglers. In the 1990s, the negative aspect of Son Byung-hee was emphasized, and the role of Son Byung-hee and the national representative of the 3.1 Movement was also devalued relatively through the study of the 3.1 Mov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eople’s history. This social atmosphere was excluded from the selection of independence movement figures in the 2006 national cultural symbol, and in the 100th anniversary poll of the 3.1 Movement in 2019, no single person answered him with the person or image representing the 3.1 Movement. The purpose of our study of history is to discover the historical facts of the past “as they are”. When a historian distorts historical facts from his point of view, he is only trying to use history for his own purposes. Therefore, examining the evaluation of Son Byung-hui of his time is the starting point of re-illuminating his achievements in the 3.1 Movement. The evaluation of Son Byeong-hee, such as Han Yong-woon, Kim Seong-su, Jang Do-bin, and Hyun Sang-yun, who lived in the same era as Son Byeong-hee was a hero of Joseon’s independence. In the paper of ‘Gaebyeok’, he was called “the light of the nation.“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e early 1970s, Son Byung-hee was considered the greatest national activist. However, in the late 1970s, the popular image of Son Byung-hee was damaged by the people’s struggle theorists. A re-examination of Son Byeong-hee’s role in the 3.1 Movement should start from the evaluation of those who lived at the same time. It is ironic that Son Byung-hee, who was evaluated as an independence activist representing the peopl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s ironically neglected by the people’s struggle theorists. Re-illuminating Son Byung-hee is an important work to correct the history of our independence movement as well as a fair evaluation of the 3.1 Movement.

      • KCI등재

        동학농민혁명 이후 해월 최시형의 피신과 교단 수습

        성강현 동학학회 2018 동학학보 Vol.0 No.49

        The Donghak peasant, defeated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disbanded in the Taein battle. Hae-wol, who was watching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Jeonbuk Imsil, met Son Byeong-hee, a so-called ‘BUKJUBKUN’(北接軍). The Donghak leadership succeeded in hiding from the Jeolla province, Chungcheong province, and Gyeonggi province through Inje, Gangwon province, overcoming the government forces and the Japanese army.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was at the risk of being collapsed, but the leadership centered on Haewol devoted to reconstruction of Donghak denomination. For about four years from 1895 until his arrest in April 1898, he established the basis for the reconstruction of Donghak. Major activities during this period were: First, renovating the denomination by introducing young leaders such as Son Byeong-hee, Kim Yeon-guk, and Son Cheon-Min into the front of the denomination. In the end, Son Byeong-hee was given responsibility for the denomination. Second, he extended the influence to the north region of Hwanghae province, Pyeongan province, and Hamkyung province, which have not been affected by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s a new prospect of propagation. Third, he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Donghak doctrine. The law that Haewol presented at this time became an important basis for the subsequent consciousness doctrine of Donghak. The law of ‘MANSAJI(萬事知) is a bowl of rice’ has become a law that represents Donghak ‘s life idea, and the law of’ HYANGASULWI(向我設位)’ has been the ritual that best deals with Donghak’ s ideology. 반외세를 목적으로 9월에 총기포한동학농민군은 공주 점령을 위한 우금치전투에서 패배하고 연패를 거듭하다 태인전투 후 호남과 호서의 동학군은분리하였다. 전북 임실에서 동학농민혁명을 주시하던 동학교주 해월 최시형은 호서동학군, 소위 ‘북접군’ 지휘부인 손병희를 만나 관군과 일본군의 포위망을 뚫고 전라도에서 충청도, 경기도를 거쳐 강원도 인제로 피신하는데 성공하였다. 동학농민혁명의 실패로 인해 동학교단은 존폐의 위기에 처하였으나해월은 강원도와 경기도 등지에 은거하면서 동학농민혁명으로 와해된 교단조직을 재건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1895년부터 1898년 4월 체포될 때까지의 약 4년간 해월은 동학 재건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 시기의 주요 활동으로는 첫째, 첫째, 교인들의 단합을 위해 노력하였다. 동학농민혁명이 인력으로 된 일이 아니라 천명에 의한 사건이라고 규정하여 공과에 대한 논쟁을 불식시키고 교인들의 단합을 꾀하였다. 둘째, 결국 1897년 손병희에게 도통을 전수하여 교단을 책임지웠다. 셋째, 동학의 새로운 포덕 대상지로 동학농민혁명의 피해를 입지 않은 평안도와 황해도 등 북부 지방을 삼아 교세를 확장시켰다. 넷째, 동학 교리의 정립에 기여하였다. 해월이 이 시기에 설파한 법설은 이후 동학의 의식과 교리 정립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만사지(萬事知)는 식일완(食一碗)’의 법설은 동학의 생명사상을 대표하는 법설이 되었고, ‘향아설위(向我設位)’의 제례는 동학의 사상을 가장잘 담은 제례법으로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동학농민혁명 이후 해월 최시형은 은신하면서 붕괴 직전의 교단을 정비하고 후계 체제를 정립하여 이후 손병희가 천도교로 교명을 바꾸고 국내 제일의교단으로 성장하는데 밑거름이 되었다.

      • KCI등재

        춘암 박인호의 동학 수행과 동학농민혁명 활동

        성강현 동학학회 2023 동학학보 Vol.- No.68

        Chunam Park In-ho was born in 1855 in Deoksan, Chungcheong Province, as a poor peasant of middle status. In the Naepo area where he lived, most of the land was owned by the Yangban landlords in Seoul, so the life of the peasants was difficult, and Park In-ho could not escape it. Park In-ho, who had entered adolescence, was lost in the difficult world of the transition at the time, and entered Donghak in 1883. He agreed with Donghak’s philosophy of pursuing equality and creating a new world. Under the direct guidance of Choi Si-hyung, Park In-ho, who grew up to be a leader of Donghak in the Naepo region, participated in the Gyojosineon Movement(A Movement to Pardon the Founder’s Wrongful Death) in February 1893 as an appealer, and played a key role in the Boeun Gyojosineon Movement(A Movement to Pardon the Founder’s Wrongful Death) in March as a Dukeuidaejoebjoo. Whe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broke out in 1894, he led the Donghak Army in the Naepo area of Chungcheong Province to defeat the Japanese army at the Battle of Sungjeongok Valley after the September gun fire and won the victory of the Government Forces at the Battle of Sinryewon. However, after being defeated in the Battle of Hongju Castle, he fled and struggled to survive. The Donghak Army of Naepo ended with the defeat of the Battle of Haemi Castle by the Kwan’s army. Chunam Park In-ho was a representative Donghak leader in the Naepo region, and later served as the supreme leader of the Cheondo Church as the 4th Daedoju of Cheondogyo.

      • KCI등재

        거제도포로수용소의 9ㆍ17폭동 연구

        성강현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6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86

        The number of N.K. prisoners during Korean War was about 140,000. It had rapidly increased after the Incheon on Sept. 15, 1950 landing and POW was constructed in Busan to hold the prisoners. But, POW had to be moved to Goeje the next year for security reasons. It was likely that ideological conflicts were around because a lot of prisoners were locked up at the same place regardless of their nationalities. There were a leadership struggle between anti-communists prisoners and pro-communists prisoners because POW was run autonomously by them. The opening of a cease-fire conference in July, 1951 caused an ideological conflict in pow camp. A struggle for leadership between pro-communists and anti-communists of POW brought about bloodsheds, one of which was ‘9ㆍ17 riot’. About 14 Cheondogyo POWs were killed in the riot of the 85 camp, according to the testimony of a witness. The full picture of the riot was revealed through the document of '9ㆍ17 riot' of NARA. 10 pro-communists including Kangmanin killed with poles of barracks 15 anti-communists including Parkchanho who were Cheondogyo POW because of their activities in Cheondogyo Cheongwoo Party and the writing of refusal of repatriation in blood. Cheondogyo formed united front with North Korean government in order to establish a sovereign state in North Korea, but N.K. government excluded it when a socialist regime was solidified. This was why Cheondogyo believers were killed by pro-communists for their anti-communist activities and the objection of the repatriation of POW. ‘9ㆍ17 riot’ which happened in 85 POW camp was a massacre in which pro-communists prisoner killed Cheondogyo prisoners for their anti-communists activities. Cheondogyo prisoners took the initiative for anti-communists movement. This point of view was different from the view that anti-communists movement by POW occurred with Rhee regimes’ superiority of liberalism and the US army’s humanitarian policies. Anti-communists movement of Cheondogyo resulted from the N.K. government’s exclusion of Cheondogyo under socialist system. In other words, Cheondogyo believers took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a socialist regime in N.K, but N.K. govenrment excluded them after the regime was builded firmly and killed leading believers. This was followed by anti-communists movement in POW camp. 6ㆍ25전쟁 기간 북한군 포로는 14만 명정도였다. 인천상륙작전으로 전세가 바꾸자 급증한 포로를 수용하고 관리하기 위해 부산에 포로수용소가 마련되었으나 보안상의 문제 등으로 인해 이듬해 거제도에 포로수용소를 옮겼다. 포로는 인민군, 중국군 등 원 소속에 따라 대단위로 수용되어 이념 갈등의 소지가 있었다. 수용소 운영이 포로들의 자치로 이루어져 단위 수용소를 장악하기 위한 친공 포로와 반공 포로의 주도권 다툼이 이루어졌고 이 과정에서 포로들은 친공과 반공으로 갈리게 되었다. 1951년 7월의 정전회담의 개시는 포로수용소를 이념 갈등의 장으로 만들었다. 수용소를 장악하기 위한 친공 포로와 반공 포로의 주도권 다툼은 유혈사태화 되었는데 ‘9ㆍ17폭동’은 그 중 하나였다. 구술 증언을 통해 85수용소에서 자행된 ‘9ㆍ17폭동’에서 천도교 포로 14명 내외가 살해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이 사건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가 NARA문서에서 ‘9ㆍ17폭동 사료’가 발견되어 사건의 진상을 밝힐 수 있었다. 이 사료에는 한 박찬호 등 15명의 포로가 강만인 등 친공포로에 의해 북한에서 천도교청우당 활동 등 반공활동을 빌미로 인민재판을 열고 막사 폴대 등으로 무참히 학살하였다. 천도교 포로가 학살된 이유는 송환거부 혈서 작성이었다. 천도교는 해방후 북한에서 자주국가 건설을 위해 북한 정권과 연합전선을 펼쳤지만 사회주의 체제가 공고화되면서 배제되었고 이것이 북한 천도교인의 반공 활동과 포로의 송환 반대로 나타나 친공포로에 의해 살해되었다. 85수용소에 발생한 ‘9ㆍ17폭동’은 천도교 포로의 반공 활동으로 인한 친공포로의 학살사건이었다. 그리고 천도교 포로들은 이를 기점으로 반공의 길에 앞장서게 되었다. 이는 지금까지의 반공포로의 발생이 이승만 정권의 자유주의적 우월성과 미군의 인도주의적 정책으로 이루어졌다고 보는 시각과는 다르다. 천도교 포로들의 반공 활동은 전쟁 이전에 이미 북한에서 사회주의 체제에 의한 천도교 세력에 대한 배제에 기인하였다. 북한 사회주의 정권 수립의 한 축을 담당했던 북한 천도교 세력이 사회주의 정권 확립 과정에서 배제되고 주도적 인물들이 사회주의 정권에 의해 제거되자 이에 대한 반발이 수용소에서의 반공 활동으로 구체화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