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사회통일교육의 현황과 활성화를 위한 과제

        배영애 한국통일전략학회 2014 통일전략 Vol.14 No.2

        Unification education needs to be conducted steadily as a required preparatory stage, in order to minimize problems that might occur in the process of the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and to form a community between South and North ultimately rapidly. This is based on the Unification Education Support Act enacted in 1990 It broke the stereotypical form, introduced the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and demonstrated itself in various unification education ideas and ways. The current unification education conducted according to this change consists of the two types,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and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case of the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it can be unsystematic or incoherent because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political tendency or attitude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managers or experts. And the direction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needs to be decided by the society in advance and the quality of the education has to be managed challenges for the activation of social unification bring education social consensus of unification education direction, developed a variety of educational programs, management, network of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organization, financial support. 통일교육은 한반도의 통일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을 최소화하고, 하나의 민족공동체를 구현하기 위해 필수적인 준비단계이며, 지속적으로 추구되어야 하는 중대한 사안이다. 그러나 이런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통일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급격히 저하되고 있다. 1990년대에 접어들면서 정부주도의 일원화되어 있던 통일교육에 변화가 나타났다. 특히 1999년에 통일교육지원법이 제정된 이후 그 양상은 더욱 뚜렷해 졌다. 정형화된 형식의 탈피, 다양한 교육단체가 사회통일교육을 실시하고 있고, 교육대상의 다양화, 프로그램 개발, 교육방법 등 많은 진전을 이루어 왔다. 그러나 이런 사회통일교육의 양적, 질적 증가하고 있지만, 통일교육 담당자나 전문가들의 정치적 성향이나 태도에 따라 통일교육의 목적 및 방향이 좌우되는 등 일관성과 체계성 부족 등의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무엇보다 사회통일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통일교육의 방향에 대한 사회적 합의의 선결 및 다양한 교육운영 프로그램 개발 및 관리와 지속적 평가, 사회통일교육 단체 간의 상호협력 네트워크화, 재정상의 지원확충 등이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 KCI등재

        통일이후 동독여성이 겪는 사회ㆍ문화 갈등

        도기숙(Do Ki-Sook) 한국여성학회 2005 한국여성학 Vol.21 No.1

        통일독일에서 동독여성들이 겪은 사회적ㆍ실존적 갈등양상을 살펴보는 것은 통일 한반도에서 북한여성이 겪게 될 고통과 난관을 가늠케 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통일은 외형적 통합보다 내면적 통합이 훨씬 더 어렵고 지난한 일임을 독일통일은 깨닫게 해주고 있다. 독일통일이후 동독여성의 문제가 주는 교훈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경제적 이익 및 손실이 발생하는 통일과정에서 여성이 도구적 위치를 갖지 않기 위해서는 가부장적 억압구조에 대한 비판과 여성문제에 대한 공공의 인식이 고양될 수 있는 방안을 구체화해야 한다. 독일의 경우, 급속히 진행된 통일과정에서 여성정책을 위한 폭넓은 의견 수렴과 합의가 제대로 형성되지 못했고, 막대한 통일비용으로 인해 독일정부는 여성정책을 부차적인 과제로 다루었다. 그 결과, 동독여성들은 성차별의 관행에 의해서 ‘통일 최대의 희생적 집단’으로 전락하게 되었다. 남북한 통일을 대비할 때, 통일논의의 핵심은 통일의 ‘형식’이 아니라, 통일의 ‘내용’이 되어야 할 것이다. 사회의 철저한 민주화라는 목표와 더불어 통일의 방향을 잡아야 할 것이며, 그런 의미에서 통일은 남한에 팽배한 성차별을 혁신하고, 북한의 가부장적 사회주의를 개혁하는 기회이자 과정이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독일통일은 통일이 ‘제도’나 ‘체제’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인간’과 ‘정신’의 문제라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동독여성들이 사회주의 체제에서 비롯된 가치관과 정체성에 대한 배려 없이, 오로지 시장경제 체제와 문화에 스스로 적응하기를 압박 받는 그들의 고통스런 현실을 호소하고 있다. 아무것도 동독적인 것이 남아있지 않은 현실에서 동독여성들은 아주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만 하는 ‘자기 나라의 이방인들’이 되었다. 독일통일이 보여주듯, 이제 한반도에서도 논의의 초점은 통일의 찬반이 아니라, ‘어떤’ 통일을 이루어야하는지에 모아져야 한다. 무엇보다 서로에 대한 열린 마음과 존중이 남북한이 체득해야할 과제이며 통일의 ‘질’을 결정하는 열쇠가 될 것이다. 두 사회에서 자라나온 고유한 가치들을 상호 인정하고 슬기롭게 조화시키는 관용의 자세가 사회ㆍ문화적 통합에 가장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상이한 체제 속에서 다르게 형성될 수밖에 없었던 사고방식, 삶의 양식, 그리고 정체성의 획득 및 자기실현의 기준과 그 차이점을 서로가 받아들일 수 있도록 사회ㆍ문화 통합에 관한 통일담론이 지금부터 지속적으로 발전해야 한다. Looking into the social and existential conflicts that East German women suffered in United Germany is meaningful in the aspect that we can guess the sufferings and obstacles that North Korean women are supposed to experience in United Korean Peninsula. Unification of Germanies make us realize that the internal unification is much more difficult and arduous than the external one. The precepts suggested by East German women's troubles after its unification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he first is the necessity of continued criticism and alternatives on the restraining structure of patriarch system held by South Korean social structure. The reality of United Germany in which East German women remain “the greatest victims in the unification procedure” is stemmed from the fact that the share of damage due to restructuring was primarily directed to women. More than 30% of East German women lost their jobs and which brought about massive joblessness, occupying almost half of total unemployment ratio and they have been until now suffering from social and economical difficulties after unification. In case of reemployment, difficult job hunting makes it possible for East German women to succumb to cheap labor market or to be marginalized. Labor market condition of preferred male employment and social prejudices against East German women underestimate their abilities and make their employment difficult. Their workplace was the foundation on which women can support themselves economically, the core factor of self realization in socialistic system, and above all social and cultural space where they can establish their identity in community. Their joblessness is aggravating their existential crisis, needless to say economical downfall. The second shows that unity should not involve only problems to be solved about ‘system’ or ‘structure’ but also ones about ‘human beings’ and ‘ethos’. Without considering their view of values and identities stemmed from socialistic system, United Germany demands they should adapt themselves to market economic system and culture which they are undergoing in oppressive distress. In the reality that nothing ‘East German’ was left behind, they came to be ‘outsiders in their country’ where they have to restart from the first. As the example of United Germany implies, the issue is not limited to pros and cons on unification but is to be centered on whether to accomplish ‘a certain one’. The concrete effects which unity has on South and North Korean women should be carefully scrutinized and prepared for. The relationships between two Koreas, presently centered on the reunion of separated families, will be enlarged up to various cultural interchanges. The active researches should be made on North Korean cultures involving love, marriage and family relation and women's structure of consciousness and their daily lives, thereby seeking for the way of unification, not lateral absorption. For realization of a proper unification, the open-minds and mutual respects should be solutions to be implemented by two Koreas. The discussion on unity should be continuously developed for social and cultural unification so that the way of thinking, living styles, securement of identity and the standard of self-realization and the differences can be tolerated by each other, which could not help being separately formed in different regimes.

      • KCI등재

        통일신라 평탈공예 연구

        신숙(Shin Suk) 한국미술사학회 2004 美術史學硏究 Vol.- No.242·243

        平脫技法으로 장식된 器物은 통일신라시대에 크게 선호되었던 공예품으로, 금이나 은판을 이용해 문양을 만들어 금속이나 목재 등의 素地에 부착하고, 칠과 건조과정을 여러 차례 거친 후, 문양의 표면을 다듬어서 검은 바탕 위에 금은편 무늬가 돋보이게 한 장식기법이다. 평탈기법은 섬세하고 정교한 세공기술을 바탕으로 고가의 재료인 金 또는 銀과 옻칠을 이용하기 때문에 당시의 공예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또한 평탈의 유행과 선호는 중국의 唐에서 비롯되어 통일신라와 일본 奈良時代로 전해진 것으로 알려져 있어, 평탈유물에 대한 연구를 통해 동아시아 공예기법의 발전과 전개 과정에서 통일신라가 차지했던 위치를 살펴볼 수 있다. 따라서 통일신라 평탈공예의 의미와 역할을 조명하는 시도는 한국공예사의 일변을 파악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平脫’ 이라는 용어는 중국의 고대 문헌기록에 나타나며, 우리나라에서는 『三國史記』에 보이는 ‘平文’이라는 기록이 평탈을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현존하는 통일신라의 평탈공예품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2점의 銅鏡과 안압지에서 출토된 장식부재가 있으며, 호암미술관과 東京國立博物館에 각 1점의 盒이 보관되어 있다. 통일신라 공예품의 현존 유물이 적은 것과 마찬가지로 평탈공예품도 남아 있는 수량은 많지 않다. 그러나 평탈기법의 유입이 이미 삼국시대에 시작되었고 상대적으로 많은 유물이 전하는 중국 당의 평탈기물과 비교하여 통일신라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통일신라 평탈공예품의 종류는 동경과 합, 장식부재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종류는 현존하는 당의 평탈유물 가운데 거울과 합이 주류를 이루는 것과 유사하다. 그러나 佛龕과 악기의 일부로 추정되는 안압지 출토품과 육각의 형태를 가진 합, 그리고 자연 조개에 평탈을 응용한 貝盒 등은 唐代에 나타나지 않거나 매우 드문 경우로 통일신라의 독자적인 모습을 보여 준다. 당과 구별되는 통일신라 평탈공예품의 특징은 문양의 구성과 표현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먼저 거울의 경우, 당의 평탈경을 대략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지만 우리나라의 평탈경은 어느 유형에도 해당되지 않는 문양 구성임이 확인된다. 즉 2점의 거울은 모두 내구에 간략한 花文을 시문하고 그 사이에 작은 크기의 동물문양을 동반하고 있는데, 이러한 구성은 같은 시대 나전경에도 나타나지만 당의 평탈경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꽃무늬와 간단한 동물장식의 조합은 통일신라의 거울에 유행한 문양 패턴의 하나였을 것이다. 그 밖에 2점의 합과 안압지 출토품에 장식된 각종 문양의 구성과 배치, 세부 표현 등을 통해서도 통일신라의 평탈기물이 당의 영향을 받았지만 다양하게 변형되어, 주체적인 수용과 발전을 이루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통일신라 평탈기물의 특징을 바탕으로 正倉院에 소장된 평탈유물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고찰이 가능하다.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평탈기물이 적기 때문에, 正倉院의 유물과 직접적인 관련을 찾기는 쉽지 않지만 문양과 기법의 세부의 표현에서 통일신라 평탈공예의 특징이 반영된 유물을 찾아볼 수 있다. 평탈 공예품은 통일신라시대 말기에 금은 사용의 국가적 규제와 선호도의 변화에 따라 점차 제작이 줄어들게 된다. 이후 고려시대에는 나전이 중요한 장식기법으로 자리잡고 크게 번성하게 되면서, 평탈의 유행을 대신하게 되었다. 통일신라의 평탈기법은 옻칠을 통해 문양을 부착하고 장식한다는 측면에서 나전과 매우 흡사하기 때문에, 나전의 선구적인 기법으로 볼 수 있으며, 평탈기물의 제작기술과 문양의 특징은 고려시대 나전기법이 고도로 발달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되었다. 따라서 평탈을 통일신라시대 이후에 사라진 장식기법으로 인식하기보다는 고려시대 나전기법으로 계승되고 나아가 조선시대 화각기법으로 이어지면서 새롭게 발전한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Objects adorned with pyeongtal technique was one of the favored artefacts in the Unified Silla dynasty. Patterns are cut out from the gold or silver plates to be pasted on either metal or wooden surface, and after repeating the process of lacquer coating and drying a number of times the surface is finely finished up to reveal the gold and silver designs underneath. Pyeongtal technique serves as a Significant reference in understanding the level of craft art of the Unified Silla period, as it requires delicate craftsmanship and highly valued materials such as gold, silver and lacquer. The technique, which originated and flourished in Tang China, was transmitted to Korea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to Japan during the Nara period. Therefore, studies on pyeongtal works enable us to see where Unified Silla stood in terms of the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the pyeongtal technique in East Asia. It is also provides a chance to understand better a phase in the history of Korean craft by shedding a new light on the meaning and role of the pyeongtal craft in the Unified Silla dynasty. The term pyeongtal first appears in an ancient Chinese literature, and in Korea the word “pyeongmun”, recorded in Samguksagi (『三國史記』), has been understood to correspond to pyeongtal. The extant pyeongtal works from the Unified Silla dynasty include two bronze mirrors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ornamental parts excavated from Anap-ji (雁鴨池), and two boxes in the He-am Art Museum and the Tokyo National Museum. Only a small number of specimens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remain today. However. distinct characteristics of Unified Silla lacquer works are identifiable by comparing them with Chinese works, which are extant in large numbers. Pyeongtal artefacts from the Unified Silla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bronze mirrors, boxes and ornaments, and they coincide with the major types of Chinese pyeongtal objects, minors and boxes. Nevertheless, a portable Buddhist shrine excavated article from Anap-ji that is believed to be a musical instrument, a hexagonal box, and a clam box, which is a lidded case made of a natural clam decorated with pyeongtal technique, are this technique the independent development of distinct from Chinese examples, and this indicates in the Unified Silla. The distinctive features of pyeongtal artefacts of the Unified Silla period are apparent in the designs and composition. First for none of the pattern compositions of the Unified Silla mirrors, parallels are found in the three categories of Chinese Tang bronze mirrors. Two mirrors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have simple floral designs inside the inner circle with small animal figures placed between the flowers. While this type of composition is also seen in the contemporary najeon (螺鈿, lacquer with mother-of-pearl inlay) mirrors, it was not found amongst the pyeongtal mirrors of the High Tang. Therefore, it is speculated that the composition of the floral and simple animal designs was particularly popular in Unified Silla mirrors. It is also affirme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composition, arrangement, and detailed depiction of the ornamental patterns on other boxes and excavated articles from Anap-ji that although the lacquer objects were influenced by the Tang style, they were transformed into their own unique style evidencing their independent reception and development. An examination was also attempted on the relations with the pyeongtal objects in Sh?s?in (正倉院) on the basis of these characteristics of Unified Silla lacquer objects. By the end of the Unified Silla dynasty, the production of pyeongtal artefacts gradually decreased due to the state regulation of the use of gold and silver and a decline in its preference. In the succeeding Goryeo dynasty, najeon flourished and found its place as an important method of lacquer decoration replacing the prevalence of pyeongtal. The production process of pyeongtal in Unified Si

      • KCI등재

        통일환경과 통일담론의 지형 변화: 정부통일방안을 중심으로

        김병로 ( Philo Kim ) 평화문제연구소 2014 統一問題硏究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focusing on the government unification formula, is to examine how the unification environment and discourse have been changed over the last around 20 years, and what are the future prospects and tasks. Since the National Community Unification Formula established around 20 years ago, nature of inter-Korean relation has been drastically changed in various aspects; enhancement of statehood of both Koreas, limitations of functional spillover, increasing need for North Korea’s change, asymmetry of two Koreas, weakening of unification zeal in civil society, and necessity of considering regional integration in Korean unification process. In order to meet these changes, each administration has developed unification discourses for its own purpose; the Roh Tae-woo and the Kim Young-sam administrations specified the future value and basic philosophy of Korean unification, the Kim Dae-jung and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s stressed communication, exchange and cooperation, and the Lee Myung-bak and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s have expanded its discourses by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North Korea’s change. As for the complementary measures and upgrading the current unification formula into 3.0 version, this paper proposes four suggestions; It recommends to, firstly, devise the multi-layered concept of National Community, secondly, incorporate positively the strengthened statehood, thirdly, plan and promote the comprehensive strategy for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state, and lastly, pursue the Korean commonwealth as the interim final form of the unification. 본 논문의 목적은 우리 사회에서 지난 20여 년 동안 통일환경과 담론이 어떻게 변해왔고 현재의 지형은 어떠하며 앞으로의 전망과 과제는 무엇인지 정부의 통일방안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민족공동체통일방안이 수립된 이후 25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남북관계는 국가성강화, 기능주의적 파급효과의 한계, 북한변화 요구 증대, 비대칭성, 시민사회의 통일의식약화, 지역통합과의 연계 등의 요소를 적극적으로 반영ㆍ수용해야 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러상황적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 각 행정부는 통일방안을 활용 또는 변용하여 왔는바, 노태우ㆍ김영삼 정부는 통일국가의 미래가치와 기본철학을, 김대중ㆍ노무현 정부는 소통과 교류협력을, 이명박ㆍ박근혜 정부는 북한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통일담론을 확장시켜 왔다. 앞으로 통일방안보완하고 3.0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하려면 민족공동체 개념을 다층화하고, 강화된 국가성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며, 화해협력 전략을 종합적으로 기획ㆍ추진하고, 남북연합을 잠정적 최종단계로 추진하는 방안을 적극 제안한다.

      • KCI등재

        통일의 필요성에 관한 담론

        안교성(Kyo Seong Ahn)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6 선교와 신학 Vol.40 No.-

        2014년 박근혜 대통령의 드레스덴 선언에서 “통일은 대박”이라는 발언이 나온 이후, 통일에 관한 관심이 다시금 고조되었다. 이런 관심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통일 담론은 ‘왜’보다는 ‘어떻게’ 라는 질문을 다루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본 논문은 통일의 필요성에 관한 담론의 유형들과 발전에 대해서 조사하고자 한다. 특히 두 개의 상이한 시각 즉 역사적 시각과 주체별 시각의 관점에서 이 문제를 접근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이 같은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통일담론이 기독교 통일담론에 대해 지니는 함의를 요약코자 한다. 본 논문은 첫째, 역사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과거에는 통일국가의 전통과 건국의 숙원, 현재에는 정전 이후 평화와 통일, 미래에는 강대국의 염원 등이 중요한 주제였다. 이런 다양한 입장은 역사성, 정통성, 현실성, 실용성과 연관되었다. 둘째, 주체별 접근을 시도하면서, 개인, 사회, 국가, 국제사회 등을 살펴보았다. 개인에 있어서는 이주의 자유, 현재진행형의 분단 상황, 해외한인사회 등을 살펴보았다. 사회에 있어서는 분단, 민주화, 통일, 세대차와 통일인식, 단일민족 대 다민족, 통일의 꿈과 번영의 꿈(코리안 드림) 등을 살펴보았다. 국가에 있어서는 전쟁과 정전, 안보와 경제발전, 문화통합비용, 정부와 민간의 공조 등을 살펴보았다. 국제사회에 있어서는 냉전의 종식, 한국 이해의 파행 등을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기존의 통일담론이 기독교통일담론에 대하여 지니는 함의를 살펴보았다. 우선 기독교가 통일담론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를 역사적 이유, 선교적 이유, 교회적 이유의 분류를 통하여, 기독교의 중심지와 기독교의 단절, 기독교 재부흥, 교회일치와 사회일치 등을 살펴보았다. 기독교통일담론이 한국의 통일담론에 기여하는 방식으로 일치의 신학, 재건의 신학, 만민의 신학, 공공의 신학 등을 살펴보았다. 기독교통일담론은 고유한 목소리를 통하여, 또한 다른 목소리의 감시자 역할을 하는 예언적 목소리를 통하여 한국의 통일담론에 참여할 수 있다. Interest in re-unification has recently been rekindled in Korea, especially triggered by President Park’s remark that re-unification can hit the jackpot in her Dresden Declaration in 2014. In spite of such burning interest, most of the discourses on re-unification have dealt with the question of ‘how’ rather than ‘why’. In this context,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patterns and development of the discourses on the necessity of re-unification, by looking at the issue from two different perspectives: historical and of parties concerned. Based on the investigation, this paper also aims to summarize its implication for the Christian discourses on re-unification. From historical perspective this paper identifies primary reasons such as the legacy as a unified nation, the long-cherished hope for re-unification as the completion of nation-building, the desire for peace and re-unification in post-truce Korea, and the ambitions to become a big power. On the other hand, surveying various parties concerned ranging from individuals, to society, to nation, and to the international world, this paper recognizes a number of reasons including dispersed families, generation gaps regarding the re-unification issue, the transition from a homogeneous to multi-ethnic society, security and prosperity, social integration, the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and civil sectors, the end of the Cold War, and the overcoming of the imbalance in Korean studies, etc. By bearing in mind its identity regarding re-unification as a national, exile, universal and public church, the Korean Church, another important party concerned, is now demanded to produce its own salient discourse on re-unification, dealing with theological themes such as unity, reconstruction, universality, and publicity.

      • KCI등재

        한반도 주변 4강의 대한반도 정책과 우리의 통일외교전략

        이수석 한국통일전략학회 2002 통일전략 Vol.2 No.1

        탈냉전시대는 동맹관계에 있는 국가의 적대국가와도 외교관계를 수립하게 되면서 동맹관계가 불확실한 시대가 되었다. 불확실한 국제사회에서 한반도에 대한 주변 4강의 정책을 파악하여 우리의 통일외교전략을 신중하게 정립할 필요가 있다. 우리의 통일외교 전략목표는 먼저 한반도 당사자간의 신뢰회복을 통한 평화공존체제 확립이다. 그런 다음 평화공존단계를 기반으로 평화적 통일의 여건을 대내외적으로 조성하여 사실상의 평화공동체를 수립하는 것이다. 한반도 주변 4강의 한반도 정책의 특성은 첫째는 종속적·부차적이고, 둘째는 현상유지적이고, 셋째는 북한체제 변화유도라는 성격을 갖고 있다. 그리고 우리의 통일외교는 세 단계로 진행되었다. 첫번째 단계는 탈냉전외교를 통한 북방국가와 적대적 관계의 해소시기이며, 두번째 단계는 4자회담과 같은 평화체제 제의를 통한 한반도 평화정착 실현노력기간이다. 세번째 단계는 남북한 당사자 회담을 통한 적극적 통일외교시기로서 「국민의 정부」가 들어선 이후 대북포용정책이란 이름으로 진행되었다. 우리의 통일외교의 제약여건으로는 먼저 전통적 동맹정책과 탈냉전 정책간의 괴리에서 오는 정책혼선을 들 수 있고, 둘째는 북한의 대량살상무기의 존재이다. 셋째는 미국이 한반도문제를 그 자체로 보지 않고 국제적 수준과 연계할 때이며, 넷째는 중국 및 러시아와 북한의 군사안보 밀착이다. 다섯째는 북한의 성실하지 못한 대남태도이다. 마지막으로 대북퍼주기 비난이나 색깔논쟁과 같은 우리의 내부갈등을 들 수 있다. 한반도 주변 4강이 북한의 개혁개방으로의 변화를 원하면서 남북관계가 활성화되기를 바라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의 통일외교전략은 미국·일본과 같은 전통동맹국과 러시아·중국과 같은 새로운 동맹국가들을 만족시키는 전략을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아울러 우리내부의 통일역량을 강화하는데도 힘을 기울여야 한다. 소모적인 이념갈등이나 색깔논쟁에서 벗어나 주변 4강이 한반도의 통일에 도움이 되는 외교정책을 수립하는데 우리의 외교적 역량을 발휘해야 한다.

      • KCI등재

        통일문학교육 이념으로서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 연구

        임인화 ( Im In-hwa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6 문학교육학 Vol.0 No.52

        본 연구는 통일문학교육과정의 핵심인 교육목표를 설정함에 있어 그 바탕이 자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는 통일문학교육의 교육이념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계에서 논의되는 통일교육은 크게 통일 이전시기를 준비하는 ‘준 비교육’과 통일 이후를 준비하는 ‘대비교육’으로 나뉜다. ‘통일대비교육’이 통 일 이후 한반도에서 실제적으로 이루어질 교육이라면 통일대비 교육의 핵심인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이다. 통일문학교육과정의 여러 요소 중 본 연구자가 주목한 것은 교육이념이다. 일반적으로 교육이념은 교육목표 설정의 이론적 토대이자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방향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올바른 교육이념은 교육과정의 설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통일문학교육의 이념 모색을 위해 그동안 이루어진 통일교육의 변화양상과 함께 통일교육이 국어과에 어떤 모습으로 투영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통일문학교육 이념으로서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가 가진가능성 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통일문학교육의 이념으로서 ‘민족주의’와 ‘다문화주 의’가 가진 가능성과 한계를 살피고 두 이념의 한계를 보완-대체할 수 있는 ‘열린민족주의’와 ‘상호문화주의’를 통일문학교육의 이념으로 제시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 a ideals of reunification literary education which offer theoretical basis on Reunification literary education curriculum. There are two kinds of Preparing Unification Education. One is ``Preparing Educaton`` which is done before reunification. And The other is ``To Prepare Education`` Which will be done past reunification. Even though no one knows when it happen, It is essential to research about Reunification Literary Education curriculum. Among the Components of Education curriculum, What I give Attention is a ideals of education. The Ideals of education is a theoretical basis on educational objectives and is a standard of general aspects about its Curriculum. So it is important to set a good ideals of education When we design curriculum. To seek a ideals of reunification literary education, Examining aspect of transition about goals of reunification, and Checking a aspect of Korean education which is influnced by transition about goals of reunification. I checked its pros and cons between ‘Nationalism’ and ‘Multiculturalism’, To prevent those of Cons, I suggest ‘Open Nationalism’ and ‘Interculturalism’ in place of ‘Nationalism’ and ‘Multiculturalism’.

      • KCI등재

        1989-2019년 『통일문제연구』 논문 집필진이 분석한 지역과 주제의 변화

        김석향 평화문제연구소 2019 統一問題硏究 Vol.31 No.2

        This article aims to review the academic authors and their topics on history of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1989-2019. For the last 30 years of history,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printed 71 issues from vol. 1 to vol. 31. Over the years, 778 authors wrote 690 articles on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Who wrote which topics? Why the topics were chosen by those authors? Is there any academic trends over the 30 years of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history? These are the questions for this article to try to analyze. This articles, in that sense, shall be a serial follower of “Transition of Korean Unification Discourses during the Post-Cold War Era,” written by Kyung Jei-hee and Kim Chae-Han (2014) and “Who Wrote Academic Articles on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1989-2015: Review from a Perspective of Social Scientific Methodology,” written by Kim Seok Hyang (2015). This article will show who wrote those academic articles for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for the last 30 years, which topics they did analyze and why. It will also show if there would be any academic trends, from 1989 to 2019. By doing so, this article shall show the “when, where, who, what, how, and why” wrote those academic works for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1989-2019. 이 글은 통일 및 남북한 관련 분야의 전문학술지 『통일문제연구』 창간호인 1989년 제1권 제1호 이후 30년이 지난 시점인 2019년 제31권 1호에 이르기까지 이 학술지에서 게재했던 논문 총 690편을 대상으로 집필진이 관심을 가지고 분석했던 지역과 주제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 전체적인 동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 글은 앞서 『통일문제연구』 2014년 제26권 2호에 나왔던 경제희․ 김재한의 논문 “탈냉전시대 통일문제 논의의 변천: 『통일문제연구』 25년을 중심으로” 및 2015년 제27권 2호에 등장하는 김석향의 논문 “『통일문제연구』 논문에 나타나는 집필진의 특성과 사회과학방법론의 적용 및 활용 동향 분석” 등 두 편에 이어 지난 30년 동안 한국 사회에서 통일 및 남북한 관련 분야 학술 담론의 동향을 분석하는 성격을 지닌다. 이 글에서는 『통일문제연구』 30년의 역사를 되짚어 보면서 누가, 언제, 어느 지역을 분석하는 논문을 발표했는지, 또 어떤 유형의 주제를 분석하는 동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려 한다. 그리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통일문제연구』 집필진이 특정 지역과 주제를 분석하는 쏠림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지, 그 사회적 배경을 해석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한 걸음 더 나아가 1989년 이후 2019년에 이르는 30년 동안 『통일문제연구』 집필진으로 누가, 언제 활발하게 활동했는지, 그들의 특성이 논문의 주제를 선정하고 분석 대상 지역을 결정하는 과정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그 동향을 서술하는 작업도 병행하였다. 결국 이 글은 지나간 30년 동안 『통일문제연구』 논문을 매개로 삼아 1989년 이후 2019년에 이르는 기간 동안 우리 사회 내부의 통일 및 남북한 관계 분야에서 언제(when), 누가(who), 무엇을(what), 어떻게(how), 왜(why) 분석하고 글로 발표해 왔는지 되짚어 보는 의미를 지닌다고 하겠다.

      • 대학생들의 북한 및 통일에 대한 인식과 통일교육 활성화 방안 : 전남대 학생 254명의 사례

        김재기 한국시민윤리학회 2013 한국시민윤리학회보 Vol.26 No.2

        2013년 1월부터 2013년 6월까지 남북한은 어느 때보다도 적대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극한 대립 양상으로 보였다. 이러한 극단적 대립의 시기인 지난 4월 초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북한 및 통일에 대한 의식을 조사했다. 통일의 필요성, 북한관, 통일교육 만족도, 통일정책에 대한 평가 등 12항목에 대하여 학생 254명을 사례로 조사하여 분 석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에서 통일교육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했다. 통일교육은 통일 논의를 공론화하고 우리 사회 내부의 통일역량을 강화한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통일교육은 국민들의 통일 역량을 배양하고 나아가 남북한 사회의 문화적 통합을 이루는 데 매우 유용한 방법 중에 하나이다. 그런데 통일시대를 주도해 나가야 할 20대 청년학생들의 통일에 대한 관심은 다른 세대에 비해 매우 낮게 나타나 고 있다. 통일문제에 대한 청년학생들의 낮은 인식은 최근의 일이 아니지만, 각종 통일관련 의식조사에서도 다른 연령층에 비해 낮은 의식을 보여 왔다. 대학생들에게 통일에 대한 다양한 방법을 통한 체계적인 교육의 필요성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학에서 통일교육 활성화를 위한 방법으로 통일부 등에서 추진하고 있는 ‘통일논문’ 공모대회에 학생들이 참가 하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북한에 대한 실체를 충분히 이해시키기 위해서 각 대학에 설치된 ‘북한특수자료실’의 북한 원전을 활용하여 북한에 대한 교육을 하는 것도 의미가 있다. 2만 5천명 규모의 북한이탈주민들과 함께하는 방법도 효과가 있다. 분단현장을 체험하는 프로그램도 통일에 대한 관심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 한국의 20대들이 페이스북 등 SNS 활용비율이 높은데, 이를 활용한 통일교육 방법도 고려해 볼만하다.

      • 현행 역사교과서 통일한국 서술의 문제점과 대안 모색

        허은철 총신대학교 2022 總神大論叢 Vol.42 No.-

        현행 2015개정 역사과 교육과정에서 통일교육에 대한 방향은 통일한국을 위하여 노력했던 그 동안의 모습들을 다양하게 이해하고, 이를 통해 통일한국에 기여할 수 있는 태도를 기르도록 정하고 있으며 통일한국의 미래상을 그려보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통일한국에 대한 학생들의 이미지 형성은 통일한국을 주도할 이들인 학생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역사교과서 에서 통일한국을 어떻게 서술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보다 적절한 방향성을 세워 나가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연구를 통해 드러난 현행 역사교과서에서 통일 관련 서술의 문제점은 기술된 내용이 획일적이고, 북한에 대한 인식이 이중적으로 서술되어 있으며, 통일을 경제적 수단으로 여기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역사교과서에 학생들의 사고 활동을 자극하는 탐구 활동과 평가 문항 개발이 부족하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통일 한국의 의미와 필요성을 보여주는 서술을 확대하고, 학생들이 스스로 통일을 생각할 수 있게 교과서 서술을 바꿀 것을 제시하였다. 무엇보다 체험 수업과 융합 수업이 가능하도록 교과서를 개선하여 궁극적으로 통일의 현실적 간극을 줄이도록 제안하였다. 본고는 통일한국의 주역이 될 학생들에게 통일한국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심어주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토대로 기존의 형식적인 통일 교육에서 벗어나 실질적인 통일교육을 역사교과서에 제시함으로써 학교 안과 밖에서 다양한 통일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통일한국과 그 이후의 삶을 준비하기 위해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학생 대상 통일 교육이 보다 긍정적이고 실제적인 방향으로 변화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