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정치사상(2)

        박은구 숭실사학회 2013 숭실사학 Vol.0 No.31

        『신학대전』가운데 법률론(ST IaIIae. 90-97)은 신의 존재 증명에 관한 담론(ST Ia. 2)과 더불어 아마도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부분일 것이다. 성 토마스 아퀴나스는 법률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1) 법률은 공동체 의 관리를 책임진 자에 의해 공포된 공공 선을 이루기 위한 이성의 명령 이다. (2) 법률이 이성의 명령이니만큼 법률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합리 이다. (3) 법률의 기반은 무엇보다도 공동체이다. (4) 법률은 공동체의 공 공 선이라는 목표를 이루기 위한 합리적 명령이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법률의 유형을 신법, 영원법, 자연법, 인정법으로 구 분하고, 영원법을 ‘우주의 통치자인 신의 입장에서 행하는 모든 사물들에 대한 합리적 관리’라고 규정하였으며, 또한 자연법을 영원법 바로 아래 위 치시키면서, 이를 ‘합리적 피조물에 의한 영원법에의 참여’로 그 개념을 정의하였다. 성 토마스의 자연법 이론의 독창성은 매우 분명하다. 인간은 본성적 성향을 통해서 직관적으로 자연법을 알게 되며, 자연법에 관한 이 지식이 합리적 보편적 용어로 체계화한 것이 만민법이고, 이 만민법은 시 민법과 함께 인정법의 유형들로써, 인정법도 자연법에서 유래된 만큼 만 약 인정법이 자연법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그것은 결코 정당한 법률이 될 수 없다는 등이 그것이다. 토마스 아퀴나스에 따르면, 인간 이성은 ‘인간의 본성적 성향이 명하는 바에 따라’ 무엇이 인간에게 유익한지를 깨닫는 능력으로서, 실제로 인간 이성은 ‘유익한 것은 행하고, 악한 것은 피하라’는 본성적 명령을 모순 없 는 자명한 원리 즉 자연법적 규범으로 간주하였다. 특히 성 토마스의 자 연법 논의에 탄력성을 부여한 요소가 분별력(prudentia)과 형평(epieikeia)의 개념이었다. 예를 들면 그는 만물을 공유하고 보편적 자유를 누리는 것이 자연법적 규범의 일부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동시에 그는 ‘사유재 산과 노예제가 자연법에서 직접 유래된 것은 아니지만, 그러나 이들은 인 간 생활의 유익을 위해서 인간 이성에 의해 만들어졌다’라고 해명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사유재산제도와 노예제도에 현세적 정치적 합법성을 부여 함과 더불어, 굶주린 사람의 생존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경우 부과될 수 도 있는 사유재산에 대한 규제 조치에도 자연법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토마스 아퀴나스의 자연법에 대한 목적론적 접근방식은 ‘정의로운 전쟁 론’에서도 분명하게 확인된다. 그는 정의로운 전쟁의 조건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였다. (1) 자신의 의무가 공화국의 방어인 통치자에 의해 선포된 경 우, (2) 정당한 명분 특히 자기방어적 명분을 가진 경우, (3) 올바른 의도 와 목적을 가진 경우, (4) 필연적으로 불가피한 최소한의 폭력만을 사용하 는 경우 등이 그것이다. 토마스의 이 같은 견해는 오늘날 핵전쟁의 도덕 성에 관한 논의 등과도 결부되고 있는 실정이다. 사회와 정치에 관한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견해는 오늘날 많은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그의 군주정부론, 노예제론, 유대인관, 여성관, 이단에 대 한 태도 등은 사실상 수용되기 어렵다. 실제로 프로테스탄트 이론가들은 성 토마스의 낙관적 윤리관과 과도한 합리주의를, 그리고 과격파는 사회 제도란 인간의 규제와 경제적 구조들에 의해 제한받는 동시에 ‘본성적 제 도’이기도 하다는 토마스의 시각을 비판하였으며, 또한 자유주의자들도 그 의 사상에 포함된 성직자주의, 함의적 권위주의, 남성우월주의, 계서적 사 회관 등이 기본적으로 자유보다는 질서를 우선시한다고 비판하였다.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사회적 정치적 견해는 1960년대 2차 바티칸 공 의회 이후 현저한 위상의 하락을 가톨릭교회 내에서조차 경험하였다. 그 럼에도 불구하고 20세기 네오토미스트들은 토마스의 사회/정치사상을 민 주주의, 자유, 인간의 기본권, 종교적 다양성에 대한 변론으로 재해석하였 고, 오늘날도 그것은 많은 가톨릭 사회이론가들로 하여금 폭 넓은 분배에 기초한 사회 질서, 노동조합의 결성, 노동자에 대한 최저임금제 보장 등과 같은 인간중심적 대안들을 모색케 하는 근거가 되고 있으며, 여전히 그것은 과도한 자본주의적 개인주의와 사회주의적 집산주의의 폐해를 동시에 극복하는 공동체주의적(communitarian) 사회이론의 논리적 근거로서 변 함없는 영감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토마스 아퀴나스가 수용했던 신의 섭리에 대한 그리스도교적 신 앙과 그가 충실히 따랐던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론적 논리의 융합은, 인 간 특히 개인의 삶이 의미를 가지며, 그 의미는 인간 이성에 의해 해명될 수 있다는 신념을 구체화시켰다. 그는 이성의 역할이 가지는 한계와 그 가능성의 모델을 협량한 경험적 논리적 지평에서가 아니라, 증거에 근거 하여 충실하게 검증되고 또한 자신의 가설에 입각하여 명료하게 진술된 폭넓고 방대한 추론의 지평에서 구축하였다. 이 같은 토마스류의 사회정 치적 가설과 신념이 오늘날도 사회적 정치적 법률적 구조들을 평가하고 개혁하는 토대 바로 그것이다. 여기에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사상을 그의 추종자들이 영원한 철학(philosophia perennis)이라 부르는 이유가 있다. St. Thomas Aquinas responded to the challenge which was posed to medieval Christianity by the rediscovery of the full corpus of Aristotle’s works including <Politics>, which had not been available to the West before 13th century. Thomas Aquinas, as a christian aristotelian, believed faith and reason were both valid and divinely legitimated sources for ‘true’ human knowledge and admitted the legitimacy of temporal rule in the sacral age. In addition to re-legitimizing political life, Thomas discussed about the best form of government, and defended the admixture of constitutional and republican elements in the basically monarchic system. “The Treatise on Law”(ST IaIIae 90-97) is probably best known part of <Summa Theologiae>. Thomas defined law as an ordination of reason for the common good, and natural law as the participation in the eternal law by rational creatures. Thomas built his theory of natural law by taking a number of Aristotelian concepts such as prudentia, epieikeia and combining them in a unique way. He shared with his mentor Aristotle a belief in human capacity to identify goals, values, and purposes(“teleology”) in the functioning of human person within the structure of society. St. Thomas Aquinas’ social, political, legal theory is important for 3 reasons. (1) It reasserts the value of politics by drawing on Aristotle to argue that politics and political life are morally positive activities that are in accordance with the intention of God for man. (2) It combines traditional hierarchical and feudal views of the structure of society and politics with emerging community-oriented and incipiently egalitarian views of the proper ordering of society. (3) It develops an integrated and logically coherent theory of natural law that continues to be an important source of legal political and moral norms. These accomplishments have become part of the intellectual heritage of the West, and have inspired political, legal theorists and social, religious movements down to the present day. In short, St. Thomas Aquinas’ christian belief in the providence of God and his Aristotelian doctrine of teleology combine to convince him that life has meaning, and that meaning is partially at least comprehensible to the human reason. Still we can share St. Thomas’ central belief, that man should use his intellect critically to resolve human problems of individual and social conduct. This basic assumption is an important reason of the continued attraction to the St Thomas Aquinas’ political thought and to “philosophia perennis”, what his followers like to call.

      • KCI등재

        연구논문 :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양심(良心)"에 관한 연구 -제이퍼와 암스트롱의 이해를 중심으로-

        이상일 ( Sang Iii Lee ) 한국동서철학회 2014 동서철학연구 Vol.74 No.-

        코플스톤(F. C. Copleston), 고티에(R. A. Gauthier), 브레들리(. M. Bradley)를 비롯한 몇몇 학자들은 기본적으로 이교도로 대표되는 아리스토텔레스와 그리스도교로 대표되는 아우구스티누스 사이의 조화에 대한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시도가 단지 외관상의 조화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 이들의 이러한 입장의 이면에는 그리스도교의 ‘계시’의 문제가 그 중심에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양심의 교설에 관한 제이퍼(Harry V. Jaffa)의 견해도 이와 같은 그의 기본적인 입장의 범주 안에 있다. 왜냐하면 언뜻 보기에도 양심이라는 용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용어가 아닌 그리스도교의 계시와 관련된 용어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몇몇 학자들의 양심의 개념은 불행한 전개를 가지고 있다.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은 계시와 관련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는 양심을 하나의 판단하는 그리고 자책하는 기능으로 간주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양심에 관한 개념은 상당히 다른 관점들로부터 전개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몇몇 학자들 중에서 특히 제이퍼의 양심에 관한 이러한 중심적인 주장들과 이에 대한 반론에 관해서 두 가지로 나누어서 전개할 것이다. 첫째,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양심과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과의 관련성에 관한 문제이다. 이에 관하여 연구자는 성 토마스의 양심과 계시의 관련성을 주장함으로써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양심이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과의 관련성에 관하여 제이퍼와 머켄(P. Mercken)이 지적한 내용들을 먼저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나서 연구자는 웨스트버그(D. Westberg), 랭스턴(D. C. Langston), 파츠(T. C. potts), 넬슨(D. Nelson) 등의 주장들을 중심으로 해서 성 토마스의 양심과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 사이의 밀접한 관련성들을 제시함으로써 그들의 주장에 대한 반론을 전개할 것이다. 둘째, 성 토마스의 양심의 진리 됨에 관한 증거의 문제이다. 이에 관하여 먼저 연구자는 이에 관한 제이퍼의 주장을 소개할 것이다. 그리고 나서 본 연구자는 크로우(M. Crowe)와 암스트롱(R. A. Armstrong)의 주장들을 중심으로 해서 이에 대한 반론을 제시할 것이다. 그리하여 연구자는 비록 아리스토텔레스가 양심에 관하여 명확하게 언급하고 있지는 않을지라도, 성 토마스의 교설 안에서 실천적 지혜, 덕들, 그리고 의지의 연약함과의 관련성 가운데 논의 되고 있는 성 토마스의 양심에 관한 교설은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들을 기반으로 하여 행위에 관한 교설을 하나의 실용적인 관점에서 설명함으로써 더 풍성한 공헌을 하고 있다는 것을 밝힐 것이다. 이어서 성 토마스 아퀴나스는 양심이라는 용어를 ‘자명’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함으로써 양심의 진리 됨에 대한 증거를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다는 것을 드러낼 것이다. 결론적으로, 연구자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가 언뜻 보기에는 그리스도교의 계시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는 양심에 관한 교설을 가능한 한 아리스토텔레스적으로 해석하려고 시도함으로써 그의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과 그리스도교의 양심에 관한 교설과 화해 및 발전시키려는 노력은 성공적이었다는 것을 단언할 것이다. Some scholars including F C. Copleston, R. A. Gauthier and J. M. Bradley basically insist that St. Thomas Aquinas’s attempt to achieve harmony between Aristotle who be represented as a pagan and Augustine who be represented as a Christian is just a external harmony. At the inside of their position, there is a subject of ‘revelation’ in the center. His view on St. Thomas Aquinas’ teaching of conscience is in the category of his basic position as such. Because seemingly, a term of conscience seems to be a term which relates not to Aristotelian terms but to Christian revelation. Like this, some scholars’s conception of conscience has an infelicitous evolution. Today, most of people regard the conscience which seem to relate to revelation as a judgeable and the function of self-accusation. But this conception of St. Thomas Aquinas’ conscience has been discussed from the rather different viewpoint. I will discuss especially about Jaffa’s cardinal assertion upon conscience among some scholars. First, there is the question of the relation between St. Thomas Aquinas’s conscience and Aristotle’s teaching. Concerning this, I will scrutinize the contents which Jaffa and mercken insist upon St. Thomas Aquinas’ conscience and revelation. and then, I will bring forth counterarguments on this by presenting the intimate correlation between St. Thomas Aquinas’s conscience and Aristotle’s teaching revolving around D. Westberg, D. C. Langston, T. C. Potts and D. Nelson’s assertion. Second, there is the question of evidence for St. Thomas Aquinas’s truthfulness of conscience. In this behalf, I will examine Jaffa’s insistence on this, And then, I will refute against his assertion on the basis of M. Crow and R. A. Armstrong’s assertion. And now, I will elucidate that although Aristotle doesn’t refer distinctly to conscience which is debated revolving around relation with prudence, virtues and weakness of will makes more opulent contributions to his teaching of action which is on the basis of Aristotle’s teaching in a practical viewpoint. And then, I will reveal that St. Thomas Aquinas presents clearly evidence for the truthfulness of conscience by elucidating the term of conscience as the conception of self-evidence. In conclusion, I will assert that St. Thomas Aquinas’s effort which intends to reconcile Aristotle’s teaching with the teaching of Christianity about conscience is successful by attempting to interpret his teaching of conscience which seemingly seems to relate intimately to the revelation of Christianity as an Aristotelian teaching so far as possible.

      • KCI등재

        우정의 정치학

        유지황(Lew, Jiwhang)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6 철학탐구 Vol.42 No.-

        토마스 아퀴나스와 자끄 데리다의 우정 이해는 제각기 아리스토텔레스의 우정 이해에 다른 의미의 뿌리를 둠과 동시에 비판적 입장을 취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상호 공통의 관계에 기초한 형제애와 법의 형이상학적 가치를 전제한 정의의 합법성을 통해 공동체적 삶에 기여할 수 있는 우정의 정치를 주장한다. 그러나 토마스 아퀴나스는 우정을 신과의 합일을 향한 신앙적 덕성 함양 과정으로 해석함으로써 공동체적 삶을 향한 우정의 정치적 효과를 크게 중시하지 않는다. 바른 공동체적 삶을 향한 정의 구현이 정치라면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우정은 좋은 정치적 원리로서의 시민적 우정이지만, 토마스 아퀴나스에게 우정은 현실 정치보다 내세의 복락을 지향하는 신앙적 덕성 함양 과정이다. 이것은 아리스토텔레스와 토마스 아퀴나스 모두 정의의 잣대로서 법의 정당성을 인정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와 달리 아퀴나스는 정의 구현을 위한 우정의 능력을 제한적으로 보았음을 뜻한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우정의 정치성은 법과 정의 실현을 위한 현실의 문제였지만 토마스 아퀴나스에게 그것은 내세에서 완성되는 신앙의 문제였다. 이와 관련해 자끄 데리다는 동질적 형제애에 기초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우정 이해와 그것을 신앙적으로 재해석한 토마스 아퀴나스의 우정 이해가 갖고 있는 법의 폭력성을 비판하면서 인간 삶을 구체적으로 배려하는 다원적 우정의 정치를 주장한다. 동시에 그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역설한 우정의 정치적 가능성과 토마스 아퀴나스가 주장한 우정에 깃든 사랑의 힘을 비판적으로 수용한다. 그는 상대적 권력 조직에 의해 획일적으로 적용되는 법의 폭력성을 해체하고 저마다 특수한 인간 삶의 여러 문제를 구체적으로 살피고 유연하게 해결할 수 있는 정의로운 우정의 정치를 제기한다. 이것은 늘 친구로 남을 수 있는 상호 동등성과 불변의 배타적 우정이 아닌 언제라도 적이 될 수 있는 다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그 안에서 부단히 탄력적인 접촉 대화와 사랑의 연대를 추구하는 우정의 정치로서 고대 그리스와 기독교 전통의 우정 이해를 넘어선 시민 우정의 다원적 정치성을 보여준다. Thomas Aquinas and Jacque Derrida have respectively posed their own understanding of friendship as a way of both acknowledging and criticizing Aristotle"s view on friendship. Aristotle argued the political possibility of friendship for the good communal life through fraternity based on the mutual common relationship and the presupposed legitimacy of justice founded on the metaphysical value of law. But Thomas Aquinas has taken little of the political effect of friendship in such a way that he interpreted friendship as a process of virtue formation for the ultimate union with God. Supposed politics to be the realization of justice for the good social life, friendship for Aristotle is a good political principle while friendship for Thomas Aquinas is a limited principle of politics in the real life of this world. Thomas Aquinas thought of, unlike Aristotle, the actual power of friendship for justice as being imperfect, despite Aristotle and Thomas Aquinas both accepted the legitimacy of law as the actual criterion of justice. The politics of friendship through the realization of law and justice is, for Aristotle, a real matter, yet it for Thomas Aquinas is a theological matter. In this regard, Jacque Derrida criticizes Aristotle"s exclusive idea of fraternal friendship and Thomas Aquinas" concept of friendship as a theological formation of virtues, and points out the problems of their cannonical ideas of friendship. However surprisingly, Derrida suggests the politics of friendship significantly in relation not only to Aristotle"s argument about the politics of friendship but also to Thomas Aquinas" emphasis on charity as the crucial element of friendship. He asserts the realization of justice through the politics of friendship that deconstructs the violence of law actualized by finite and relative power realities, and that tries to see and solve the specific particular problems of human social life. His politics of friendship rejects the exclusive form of friendship grafted on homogeneous mutuality, yet tries to contact and talk and thereby forms the solidarity of love in spite of difference on the constantly emerging brink of friend and enemy. This is the politics of friendship by which Derrida both critically overcomes and critically reconstructs the ideas of Aristotle and Thomas Aquinas on friendship.

      • 토마스 아퀴나스의 자연법 사상에 대한 저메인 그리세이의 해석 - 『신학대전』 제2부의 1, 제94문 제2절을 중심으로 -

        윤지훈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법이론연구센터 2022 기초법학연구 Vol.- No.1

        고전적 자연법 이론의 체계적 완성자로 불리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자연법 사상은 오랫동안 진지한 철학적 기획으로 간주되기에 어려움을 겪었다. 주된 이유는 그의 이론이 오늘날 받아들이기 어려운 신학적·형이상학적 전제들에 연루되어 있으며, 윤리학에 입법자로서의 신, 책임, 의무와 같은 개념들을 중심으로 하는 법적 구상을 도입함으로써 윤리학을 경직된 규칙준수와 법체계 지향적 색채를 띠는 것으로 만든데다, 사실과 가치의 구분과 관련하여 오류를 범하고 있다는 것 등에 있다. 그러나 저메인 그리세이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원전을 새롭게 해석함으로써, 위와 같은 혐의들로부터 토마스가 자유롭다는 점을 보이려 시도했고, 그 결과 토마스의 자연법 사상은 다시 학문 세계에 소환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오늘날 누구든 아퀴나스의 자연법에 관해 이야기하려면 그의 해석에 대한 입장을 내놓지 않으면 안 될 만큼 그리세이의 해석은 토마스 이해에서 단단한 시금석으로 자리 잡았다. 물론 그리세이의 해석에 비판하는 입장도 여러 방향에서 제기되고 있기는 하지만, 이 논문에서는 그 비판에 가담하기에 앞서 토마스 연구사에서 그리세이의 해석이 어떻게 하여 이와 같은 반향을 일으킬 수 있었는지를 성실히 추적하는 것을 우선적인 목표로 한다. 글쓴이의 이해에 따르면, (1) 그리세이는 실천이성의 제1원리에 대한 해석을 통해 자연법이 본성에 대한 사변적 탐구에서 도출되는 것이 아님을 보이고, 이를 통해 사실과 가치의 이분법과 관련한 혐의를 피하는 방식으로 토마스의 자연법론을 해석한다. (2) 또, 이러한 해석 가운데 자연적인 것과 도덕적인 것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있음을, 즉 우리 행위가 실천적으로 합리적이면서도 도덕적으로 선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이론적으로 해명하는 데 성공한다. 또 (3) 토마스 자연법 사상에 대한 주의주의적 해석은 본성을 그렇게 창조한 입법자로서의 하느님의 의지를 최후의 근거로 들지만, 이는 오히려 본성을 알수록 자유가 줄어드는 결과를 함축한다는 점을 보이고, 이것이 자연법에 금지와 명령뿐 아니라 권고와 충고까지도 포함하는 토마스의 더 넓은 자연법 구상에 대한 해석으로서 부적합하다는 것을 드러낸다. (4) 마지막으로 그리세이의 해석은 주어진 것이기에 완전히 무제약적인 것은 아니지만, 우리가 행위를 통해 가꾸어 나갈 삶의 재료로 이해될 때 본성을 살피는 일이 어떤 점에서 우리 실천적 삶을 위해 중요한지를 보임으로써, 인간 본성에 관한 탐구 일반이 여전히 호소력을 지닐 수 있는 지평이 아퀴나스 사상에 깃들어 있음을 열어 보여 준다.

      • KCI등재

        논문 : 토마스 아퀴나스의 여성관 -『요한복음 주석』에 나타난 "페미니즘"-

        손은실 ( Eun Sil Son ) 한국중세철학회 2014 중세철학 Vol.0 No.20

        본고의 주된 목표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요한복음 주석』에 나타난 ‘페미니즘’을 규명하고 그 유래를 밝히는 것이다. 이 주석서에서 4장의 사마리아 여인과 20장의 막달라 마리아가 나오는 본문을 주석한 부분이 본고의 주된 분석 대상이다. 이본문 주석에서 토마스는 두 여인이 ‘사도의 직무’를 수행했다고 해석한다. 사마리아 여인에 대해서는 특별히 그녀의 설교의 방식과 열매를 섬세하게 분석하고, 막달라 마리아에게는 ‘사도들의 사도’라는 호칭을 부여한다. 이 본문들에 대한 재해석을 시도한 20세기의 페미니스트 성서학자들은 이 텍스트들이 남성지배적인 주석과 설교 전통 속에서 왜곡되거나 하찮은 것으로 치부되어 왔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토마스는 이들보다 훨씬 앞서서 요한복음에 나타난여성의 사도적 역할에 주목하고, 그 어떤 현대 페미니스트 성서 해석학자 못지않은 페미니스트적 감수성을 보여준다. 그렇지만 토마스가 여성을 다루는 모든 텍스트에서 이와 같은 태도를 보여주는 것은 아니다. 본고에서 비교를 위해 분석한 바울서신 주석과 『신학대전』의 병행구절은 오히려 그가 속했던 시대의 가부장적 여성관을 반영하고 있다. 이렇게 상이한 심지어 모순되는 여성관을 보여주는 토마스의 텍스트를 이해할 수 있는 길은 토마스의 신학에서 성서의 권위가 가지는 위상을 기억하는 것이다. 그에게 성서는 신학적 사유의 최종적 근거이자 절대적인 권위를 가진다. 따라서 그에게 성서의 텍스트인 바울서신에 나오는 여성은 침묵하고 가르치지 말라는 주장이 오류일 수 없다. 마찬가지로 요한복음에 나타난 여성의 사도적 직무 수행과 설교도부인할 수 없는 성서의 증거이다. 따라서 토마스는 두 성서 텍스트의 주장을 모두 수용한다. 이러한 토마스의 태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토마스가 자기 시대 문화와 사회적그리고 종교적 맥락에 따라 성서를 읽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그 시대문화 속에서 여성의 종속은 기정사실이었고, 아리스토텔레스의 생물학적 이론과 사회구조는 여성의 종속적 지위를 강화했다. 이런 맥락에서 토마스가 바울서신에 나타난 여성은 침묵하고 가르치지 말라는 구절에 문제를 느끼지 않았던 것은 어쩌면 자연스러운 일이었을 것이다. 반면에 『요한복음 주석』에서 토마스가 남녀 차별을 넘어서는 복음적 여성 이해를 보여준 것은 자연스럽다고 보기 어려우며 놀라운 일이다. 토마스의 다른 텍스트에서 발견할 수 없었던 페미니즘이 이 주석서에서 거침없이 드러날 수 있었던 이유는 복음서 자체가 증언하는 내용, 즉 그리스도가 당대의 가부장적 사회 구조를 뛰어 넘어 여성에게 사도의 직무를 맡기는 내용에 토마스가 겸손히 귀를 기울인 것에서 비롯된다. 이를 통해 그는 사마리아 여인이 수행한 사도의 직무를 감탄할만한 방식으로 분석하고, 부활의 첫 증인이 된 막달라 마리아에게 ‘사도들의 사도’라는 호칭을 부여하며 자기시대의 가부장적 여성관을 과감하게 뛰어 넘을 수 있었던것이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show the “feminism” in Thomas Aquinas’ Commentary on the Gospel of St. John and identify its origin. The object of the analysis is his interpretation of the pericopes containing Samaritan woman(chapter 4) and Mary Magdalene(chapter 20). Thomas commented that these women carried the “ministry of the apostles”. Particularly he dedicated a fine analysis to the method and the fruit of Samaritan woman’s sermon, and gave the title of “the apostle of apostles” to Mary Magdalene. Feminist biblical scholars of the 20th century attempted to reinterpret these texts and insisted that they have been distorted or dismissed as trivial in the male-dominated tradition. But Thomas payed attention to women’s apostolic roles found in the Gospel of St. John, and showed no less feminist sensibility than any other modern feminist biblical scholar. However, such an attitude is not found in any other text of Thomas dealing with women. His commentaries on some passages of Paul’s letters and their parallel passage in Summa Theologiae rather reflect the patriarchal view of women popular in the era to which he belonged. A way to understand this different or even contradictory views of women in the diverse works of Thomas is to remember his respect for the authority of the Bible. Indeed, the Bible has the absolute and ultimate authority in his theological reasoning. Therefore, for him neither Paul’s letters nor the Gospel of John can contain an error. So Thomas hold all the claims of the two biblical texts. In order to understand this attitude of Thomas, we must keep in mind that Thomas read the Bible according to the culture and the social and religious context of his time. Subordination of women in the era was an established fact, and the biological theory of Aristotle and the social structure strengthened the dependent status of women. In these circumstances, it is natural that the pauline phrase like “I do not permit a woman to teach, … she must be silent”(I Tim. 2: 12) did not appear to Thomas problematic. On the contrary, the evangelical view of women in the Commentary on the Gospel of John is not natural and surprising at that time. The reason why “feminism”, is found in the Commentary, contrary to other works of Thomas, is that Thomas humbly listened to the witnesses of the Gospel itself, that is, Christ entrusted the office of Apostle to women beyond the contemporary patriarchal social structure. Through his listening to the God’s word, Thomas could observe the apostolic office accomplished by women and surpass drastically the patriarchal view of women of his day.

      • KCI등재

        성 토마스 아퀴나스 정치사상(1)

        박은구 숭실사학회 2012 숭실사학 Vol.0 No.28

        성 토마스 아퀴나스 정치사상(1) 박 은 구 교황 레오 13세가 회칙 <영원한 아버지(Aeterni Patris)>를 반포한 이후 성 토마스 아퀴나스에 대한 연구는 오랫동안 그 ‘공식성’으로 인해 외경적 권위주의적 풍토로부터 충분히 벗어나지 못했다. 정치사상의 영역 에서 이 ‘우둔한 황소(the Dumb Ox)’에 대해 자유롭고 비판적인 연구가 시도된 것은 1960년대 이후의 일이다.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를 요약한다면, (1) 아퀴나스는 그리스도교적 아 리스토텔레스주의자(Christian Aristotelian)로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 적 자연주의(naturalism) 및 합리주의(rationalism)를 가톨릭적 서유럽 사회에 최초로 소개하였다. (2) 한편 성 토마스는 교회와 국가의 협업을 변론했던 정치적 병행주의자(Political Parallelist)였다. (3) 그러나 그의 정치적 견해를 충분히 아리스토텔레스적이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는 넓 은 의미에서 그리스도교라는 편견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했고, 그가 제공했 던 세속 정치권력의 자율성도 교회와의 보완적 분업체계를 그 조건으로 한 것이었다. (4) 성 토마스는 당대의 현안들에 관해 체계적인 정치적 담 론을 제시하지 않았다. 또한 그의 중요한 정치적 견해들조차 기본적으로, ‘편의에 따라 부분적으로 재조직된’ 아리스토텔레스의 반복이다. 따라서 그를 독창적인 정치사상가라고 보기는 어렵다. (5) 강한 목적론적 오리엔 테이션을 가졌던 성 토마스가 유럽 정치사상사에서 점하는 위상은 결국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등이 대표적인 평가들이다. 그러나 필자는 바로 여기에 성 토마스의 정치적 담론이 가지는 고유한 위상이 있다고 생각한다. 사실 그의 공동선 이론(theory of common good), 법률적 정의론(theory of legal justice), 혼합정부론(theory of the mixed constitution), 정치적 관용론(theory of political magnanimity) 등은 진 정 미래지향적인 정치적 화두들이다. 특히 그의 법률 및 덕성에 관한 논 리들은 사회적 시민적 삶의 토대 그 자체에 깊이 뿌리박고 있어서, 국가, 자유, 정의, 평화 그리고 공익성 등에 대한 그의 담론들은 오늘날 우리들 에게 정치적 행위의 목표와 가치에 대한 새로운 지평의 이해와 성찰을 제 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성 토마스의 정치적 견해들이 실천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분별력 있는 성찰의 원리”(principle of prudential calculation)는 오늘날 우리들에게 무엇보다도 절실히 요구되는 정치적 담론의 지평이 아닐 수 없다. 또한 그가 완강하게 추구했던 지적 원리, 즉 이성 대 계시(reason versus revelation)가 아니라 이성과 계시(reason and revelation)의 원리야말로 오늘날 위기에 처한 시장합리주의에 대한 치유책의 한 진정한 토대가 아 닐까 하는 것이다. 요컨대 필자는 아퀴나스의 정치적 견해가 오늘날의 정치이론가들에게 도 매우 유용하며, 아마도 관건적인 중요성조차 가진다고 생각한다. 냉혹 하고 무분별해서 대수술이 불가피해 보이는 현대 문명과 시장합리주의에 대한 정치적 성찰의 고전적 근거를 어디서 찾을 것인가 하는 문제의식, 여기에 13세기 신학자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정치적 견해들을 검토해 보 려는 이유가 있다. St. Thomas Aquinas’s Political Thought(1) Park, Eun Koo Since Pope Leo XIII announced the decree “Aeterni Patris”, research on St. Thomas Aquinas had remained pretty ‘official’ due to the authoritative tradition. It was only the 1960s that historians of political thought began to study ‘the Dumb Ox’ from a comprehensive and critical perspective. The agreements of recent studies, I guess, might be summarized as follow. (1) Aquinas, as a Christian Aristotelian, firstly introduced aristotelian political naturalism and rationalism to the western catholic society. (2) Aquinas, as a Political Parallelist, was supporting the system of cooperative role between the church and the state. (3) Despite St Thomas’ novel attempts to defend the autonomy of secular political power pursuing Aristotle, his political views are basically bound up by Christian faith and partial reorganization of Aristotle. In short, St. Thomas’s political views are not fully aristotelian, and not necessarily creative. (4) Aquinas did not seriously engage in the political discourses on major issues of his time. Thus it is hard to regard him as an independent and systematic political thinker, who has any real logical insistences on contemporary political themes. (5) As a political theoretician, Aquinas’ status has a place as akind of beginner for modern political philosophy. As far as futuristic political discourses are concerned, his status evidently has limits due to his strong teleological orientation. However, I believe that Aquinas’ political thought proves to be of great value. His views on the law, morality and life are deeply based on the socio-civic foundations of universal human life. And his theory of common good, legal justice, mixed constitution, and political magnanimity are, in particular, on future oriented political themes. Futhermore, our current understanding on political acts and their value can greatly benefit from Aquinas’ insights on the nation, freedom, justice, public utility, and peace, even though they are on the teleological conviction. Most importantly, St Thomas practically carried out the principle of prudential calculation, demonstrating its value to our current political arena. It also seems to me that his unique attitude on “reason and revelation”, instead of “reason vs revelation”, can shed light on the current crisis of market-rationalism, which is apparently blind, heartless, and indiscriminate. In conclusion, I argue that St Thomas Aquinas’s political ideas can be of pivotal importance to political discourses of our time. Because I think that the political views of “the Dumb Ox” of the 13th century would deepen our understanding on the various problems which have been inevitably brought about by blind human avarice, heartless market-rationalism, and indiscriminate modern civilization.

      • KCI등재

        21세기 한국에서 왜 토마스 아퀴나스를 읽어야 하는가? - 이재룡 신부의 연구 여정에서 받은 영감 -

        박승찬 ( Park Seung-chan ) 한국중세철학회 2023 중세철학 Vol.- No.29

        근대 이후 과학과 기술은 놀랄 만한 진보를 이루었지만, 최근 들어, 특히 코로나19 이후에 과학과 기술 덕분에 행복해지리라는 진보에 대한 순진한 믿음은 사라졌다. 교황 프란치스코의 회칙 「신앙의 빛」 은 보편적인 진리를 의심하는 회의주의, 현세적 행복에 대한 집착, 무신론적 인본주의, 과학의 발전을 절대시하는 과학주의 등이 인간 자신의 존엄한 가치마저 위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렇다면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현대 과학 및 사상의 발전 앞에서 그리스도교 지식인들은 어떤 입장을 취해야 할까? 본 연구에서는 이에 답해 줄 멘토로 ‘스콜라 철학의 완성자’라 불리는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를 선택하고, ‘21세기 한국에서 왜 토마스 아퀴나스를 읽어야 하는가?’ 하는 이유를 찾아보았다. 워낙 방대한 답변 가능성을 구체화시키기 위하여 토마스를 평생에 걸쳐서 소개하고 연구해 온 이재룡 신부의 연구 여정에서 받은 영감을 통해 주요 요소를 압축해 보았다. 우선 토마스 아퀴나스가 신앙과 이성의 조화를 위해 노력한 모습을 요약한 후, 근대 철학이 대두하면서 제기된 문제점에 대한 응답으로 발전한 신-토마스주의의 명암을 평가해 보았다.(제II장) 이어서 토마스가 제시한 ‘신앙과 이성의 조화’를 현대 사회에서 새롭게 이루기 위한 기본자세로서, 다른 사상과 학문에 대한 개방성, 영원한 진리에 대한 지속적인 추구, 은총에 대해 신뢰하면서도 인간의 자유를 존중해야 함을 밝혔다.(제III장) 이를 토대로 토마스 아퀴나스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현대 가톨릭 철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즉 우리는 토마스를 본격적으로 읽음으로써 철학의 지혜적 차원을 회복할 수 있고, 진정한 형이상학을 복원하며, 그리스도교의 통합적인 인간관을 계승함으로써 풍부한 인격 개념에 근거한 진정한 지혜를 발굴할 수 있다. 이로써 현대사회의 윤리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토대가 마련될 것이다.(제IV장) 이와 같은 목표를 추구하는 후배 학자들의 귀감이 되는 이재룡 신부가 이룬 업적을 높이 평가하며, 현대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한국 가톨릭 철학이 맡아야 하는 새로운 과제들에 대해서도 성찰해 보았다. While science and technology have made remarkable advances in modern times, recent events, especially after the COVID-19 pandemic, have diminished the naïve belief that progress will make us happier. In his encyclical Lumen Fidei, Pope Francis highlighted the argument that the threat of skepticism, which doubts universal truths, and the preoccupation with temporal happiness, atheistic humanism, and scientism, which absolutizes scientific progress, threaten the dignity of human beings. This raises the question of how Christian intellectuals should navigate the rapid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and thought. In this study, we turn Thomas Aquinas, known as the “perfecter of scholastic philosophy,” to answer the question, “Why should we read Thomas Aquinas in 21st century Korea?” To address this, we draw inspiration from Father Jae-Ryong Lee’s lifelong dedication to introducing and studying Thomas. We begin by summarizing Thomas Aquinas’s efforts to reconcile faith and reason, and then assess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Neo-Thomism, which emerged in response to the challenges posed by the rise of modern philosophy.(Chapter II) Next, we then identify St. Thomas’s “reconciliation of faith and reason” as a fundamental stance for renewal in the modern world. This stance involves openness to different ideas and disciplines, the ongoing search for eternal truth, and respect for human freedom while placing trust in grace.(Chapter III) Building on this foundation, we emphasize that the serious study of Thomas Aquinas points the way forward for contemporary Catholic philosophy. By delving into Thomas’s work, we can reclaim the wisdom dimension of philosophy, restore authentic metaphysics, and discover genuine wisdom rooted in a rich conception of personhood by adopting the intergrated Christian view of man. This provides crucial foundation for adressing the ethical challenges of the modern world.(Chapter IV) Finally, in recognition of Father Lee’s accomplishments as an example for younger scholars pursuing these goals, we reflect on the new responsibilities that Korean Catholic philosophy must undertake to overcome the contemporary crises.

      • KCI등재

        토마스 아퀴나스의 정의론: 사적 소유권의 한계와 빈민의 권리를 중심으로

        손은실 한국교회사학회 2015 韓國敎會史學會誌 Vol.42 No.-

        “모든 부는 불의한 부, 즉 불공평한 부라고 일컬어진다. 왜냐하면 그것 은 모든 이에게 공평하게 분배되지 않고, 한 사람에게는 부족하게, 다른 사 람에게는 필요 이상으로 풍부하게 분배되기 때문이다.”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에 나오는 이 인용문은 부의 불공평한 분배가 불의하다는 관념 을 뚜렷하게 표현하고 있다. 이것은“정의는 동등을 함축한다”는 명제로 요 약될 수 있는 토마스 정의론의 핵심적인 관념에 속한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토마스의 정의론에 비추어 보면, 자본주의 사회에서 허용되어 온 심각한 수준의 경제적 불평등은 부정의를 내포하는 것으로 보 인다. 본고는 현대자본주의의 경제 질서가 양산해 온 불평등 문제를 재평 가할 수 있는 하나의 윤리적 준거점으로서 토마스 아퀴나스의 정의론을 고 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해서 본고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에 나타난 정의론을 사적 소유권의 한계와 빈민의 권리에 초점을 맞추어 철저 한 원전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한다. 이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것 을 밝힌다. 토마스는 외적 사물의 관리와 분배에 있어서 효율성, 질서, 평 화를 이유로 사적 소유가 허용됨을 인정한다. 하지만 그는 외적 사물의 사용에 있어서는 공적 소유를 주장하며, 사적 소유권에 우선하는 자연법의 규정에 근거하여 사적 소유권의 한계를 분명히 한다. 즉 사적 소유권은 생 존에 필요한 것이 결핍된 빈민의 자기보존이라는 자연권에 종속되어야 한 다는 것이다. 이처럼 자연법에 토대를 둔 소유권 이해에 따라 토마스는 빈 민의 권리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부의 불평등 문제에 접근한다. 본고의 연구결과는 토마스의 정의론에 따른 소유권 이해가 무한한 재산 의 축적을 정의로운 것으로 본 현대 자본주의 정치경제학의 전제를 윤리적 으로 재평가할 수 있는 하나의 관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All riches are called riches ‘of iniquity’, i.e., of ‘inequality’, because they are not distributed equally among all, one being in need, and another in affluence.”(ST II-II, 32, 7, ad1). This phrase cited from Thomas Aquinas' Summa Theologiae clearly expresses the idea that the unequal distribution of wealth is unjust. This is a key idea of Aquinas's doctrine of justice, which is summed up in the proposition “justice implies equality.”(ST II-II, 57, 1, ad3). In light of this conception of justice, it seems that an excessive degree of economic inequality in capitalist society implicates all of an injustice. This paper aims to examine Aquinas’s doctrine of justice as a point of ethical reference in order to re-evaluate the problem of inequality produced in the modern capitalist economic order. To this end, the paper examines Aquinas’s doctrine of justice, focusing on the limits to private ownership and the rights of the poor by using a thorough analysis of the related texts of Summa Theologiae. This analysis shows that Aquinas recognizes, based on the arguments of efficiency, order and peace, that private ownership of external things is legitimate and even necessary as respects their care and distribution. However, he claims common ownership regarding the use ofexternal things based on natural law, which takes precedence over private ownership and clearly restricts private ownership. That is, private ownership should be subordinate to every substance’s natural right to the preservation of its own being. Natural law commands the owner of external things to communicate them to others in their need. Aquinas approaches the problem of wealth inequality by this doctrine of ownership based on natural law, primarily taking into account the rights of the poor.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quinas's doctrine of justice can offer a point of ethical reference to re-evaluate the premise of modern capitalist political economy, which considers the unlimited accumulation of wealth just.

      • 토마스 아퀴나스의 미 이론 연구

        문한나 이화여자대학교여성신학연구소 2014 여성신학논집 Vol.11 No.-

        This work is about the aesthetic theory of Thomas Aquinas(1224~1274). Aquinas is the first philosopher who overcame the long habitual thinking according to which the aesthetic is in the same line with the good and revealed the unique meaning of the aesthetic. He laid the foundation for theological thinking through the aesthetic. Aquinas had looked at the aesthetic in the metaphysical and theological dimension rather than in the sensual dimension. In his theory, the aesthetic is the reflection of a form existing in the spirit of God and appears in the characteristic of a substantial form(forma), the existence principle of an object. It is considered that something that has a form, or something that exists, is beautiful. He dealt with the aesthetic in the relation between the truth and the good, which are considered to be transcendentals that all entities have on their own. In so doing, philosophically and theologically, he maintained that the aesthetic is not any specific position of an object, but the value that an object has on its own as a creature of God. Aquinas defines the aesthetic as things that give pleasure to the eye(quae visa placent), or things that satisfy a desire when recognized. The aesthetic tradition in the Middle Ages saw the aesthetic in the same way as the good. But, by distinguishing the aesthetic from the good, Aquinas considers the good to be that the good itself is desired, and the aesthetic to be that recognition is desired. Pleasure goes with the activities originating from natural instinct. Nevertheless, he also referred to the possibility of another type of pleasure only human beings have, which is the pleasure attendant upon the recognition. Aquinas regarded the indifferent pleasure experienced in the recognition itself, regardless of the purpose of self-preservation, in the same light with the aesthetic pleasure. The aesthetic pleasure is gained by, the acceptance of an object’s form regardless of any actual profit or availability. According to Aquinas, the aesthetic has the characteristic of the truth as the recognition object of the intellect. The aesthetic recognition, or vision(visio), is not the immediate reaction of the sense, but the cognitive reaction in which the intellect intervenes. The aesthetic pleasure is not the sensual pleasure without the intellect, but the pleasure gained through the recognition reaction to accept an object’s form. When human beings try to recognize an object itself as a purpose, rather than follow the object’s availability and purpose, they come to realize the object’s beauty and experience pleasure. Through the beauty of a form, he overcame the long-existing dualism according to which the world is regarded as inferior and materialistic one, established the aesthetic value of the real world and the beauty of existence itself, and regarded the beauty as the value that a creature of God has. His theory of the aesthetic is not the outcome of speculative interest or romantic sensitivity, but the outcome of the sincere theological thinking about the world he faced. The esthetic theory of Thomas Aquinas provides significant insight which is essential in establishing the theological aesthetic, despite the changes in the aesthetic thinking appearing in the modern aesthetic. 미에 대한 관심이 과열된 시대다. 여러 해 전 상영했던 영화 <친절한 금자씨>에서 붉게 칠한 눈매를 하고선 여상한 목소리로 “예뻐야 돼. 무조건 예뻐야 돼.”하고 읊조리던 금자 씨의 모습은 미에 대한 현대인의 욕망을 인상적으로 표상해준다. 모두가 예쁜 것, 아름다운 것을 추구하는 것 같지만 실상은 자본의 논리에 복속하는 획일화된 미적 기준만 존재할 뿐이다. 바우만의 지적처럼 아름다움의 초월적 힘, 우리를 이미 존재하는 세상 너머로 이끄는 이상으로서의 힘이 사라지고 있는 것이다.1) 공동화(空洞化)된 미적 수사가 넘쳐나는 시대에 기독교 신학은 아름다움에 대한 진지한 성찰로 응답할 필요가 있다. 기독교 신앙에는 하나님과 창조세계의 아름다움에 대한 근원적인 확신이 내재한다. 이러한 믿음은 하나님이 세상을 지으시고 보기에 좋다고 하셨다는 창세기의 보도를 비롯하여 성서 곳곳에 경탄의 언어로 표현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미적 감수성이 신학적 사유로충분히 발전하지는 못했는데, 이는 많은 부분 악의 문제에 대한 기독교 신학의 철저한 인식과 관련된다. 인간이 맞닥뜨리는 고통과 세상의 모순 앞에서 진이나 선이 더욱 절실해질 뿐 미에 대해 생각할 여유가 없었던 것이다. 그러나 미는 간과할 수 없는 하나님의 성품이며 창조세계에 내재한 속성으로서 기독교 신학에서 배제될 수 없는 부분이다. 시대에 대한 응답이라는 실천적 관심과 기독교 신학의 통전성 회복이라는 이론적 목적 모두를 위해 미에 대한 신학적 사유가 요청되는 것이다. 이러한 지점에서 토마스 아퀴나스의 미 이론은 하나의 사상적 자원으로서 주목할 만하다.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1224 ~ 1274)는 미를 선과 동일한 것으로 여겨온 오랜 관습적 사유를 극복하며 미의 독자적 의미를 밝힌 최초의 사상가로서 미를 통한 신학적 사유의 중요한 토대를 형성했다. 아퀴나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방식에 따라 경험적이고 개별적인 존재자에서 존재 자체로 나아가는 구조 속에서 자신의 형이상학 탐구를 전개시킨 것처럼, 미 사유 역시 구체적인 존재자의 아름다움으로부터 시작하여 모든 미의 근원인 미 자체에 도달하는 방식으로 펼친다. 그의 미 사유는 가시적인 자연사물의 아름다움을 토대로 하고 있으나 유비적 방법에 따라 물체의 아름다움에서 정신적 아름다움으로 확대되며 창조 세계의 아름다움에서 출발하여 초자연적 아름다움으로 향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아퀴나스는 아름다움을 사물의 존재원리이자 인식근거인 실체적 형상(forma,形相)과의 긴밀한 관계 속에서 파악했다. 그는 사물의 아름다움이 형상에 있다고 보았다. 형상이 아름답다는 생각은 아퀴나스 미 사유의 기본적 입장 두 가지와 관련된다. 먼저 아퀴나스의 미 이론을 이해할 때 중요한 것은 그에게 미는 엄연히 실재하는 것이라는 점이다. 근대 이후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미를 주관적 판단의 문제로 생각하는 것에 익숙하다. 그러나 아퀴나스가 생각하는 미는 주관적 반응으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실재하는 사물 자체가 지닌 속성이었다. 이러한 도식에서 사물은 주체가 사물을 보고 아름답다고 느낄 때야 비로소 미적 실체가 되는 것이 아니라 주체가 아름답다고 느끼기 이전에 이미 미적 실체로서 존재한다. 이러한 세계의 미의 실재성은 신적 미의 확실성으로부터 보장받는다. 아퀴나스는 모든 피조세계를 아름답게 하는 미의 궁극적인 원인이 되는 미 자체(ipsa pulchritudo)가 있어야 한다고 보았고 이것을 하나님에게로 돌렸다. 그는 하나님이 삼라만상의 조화(consonantiae)와 광채(claritas)의 원인으로서 아름답다고 표명한다. 하나님은 아름다움 자체로서 피조세계의 물질적이고 정신적인모든 아름다움의 근원이고, 사물은 하나님의 피조물로서 그의 완전한 미를 분유받기 때문에 아름답다는 것이다. 이렇듯 미를 실재하는 사물의 문제로 보는 관점은 아퀴나스 미 이론의 두 번째 특징인 미의 초월성에 대한 사유와 연관된다. 이때 ‘초월’이란 감각적 경험의 차원을 넘어서는 신적인 차원을 의미하는 개념이 아니라 존재자가 존재하는 한 그 자체로 지니는 가치, 모든 사물이 공통적으로 지니는 보편적 속성을 의미하는 스콜라적 개념이다. 미의 본질에 대한 아퀴나스의 정의는 존재자, 진, 선과 같이 전통적으로 초월적 특성으로 간주되었던 개념들과의 연관 속에서 논의된다. 이 개념들을 보편성이 아닌 초월성이라 말하는 것은 그 가치의 근원이 초월자인 하나님께 있다고 본 것과 관련된다. 모든 존재자는 하나님의 창조물로서 그의 진, 선, 미를 부여받았고 또한 끊임없이 공급받는다는 점에서 참되고 선하고 아름답다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아름다움이란 존재자의 특정 부분에만 해당되거나 어떤 존재자만이 지니고 있는 특성이 아니라, 미 자체인 하나님의 피조물로서 모든 존재자가 그 자체로 지니는 보편적이고 불변하는 특성이었다. 즉 존재자는 존재하는 한 아름답다.

      • KCI등재후보

        13세기 토마스 아퀴나스의 『이교도 대전』(Summa contra Gentiles)에서 드러난 이교도(Gentiles)에 대한 이해 및 라이문두스 룰루스 등의 선교 전략을 통한 현재의 다문화에 대한 접근

        정원래(Jeong, Won Rae) 개혁신학회 2013 개혁논총 Vol.27 No.-

        21세기의 한국교회에서 가장 깊숙한 영향을 미치는 한 부분이 문화다. 그러나 오늘날 문화는 매우 다양하고, 또 변화가 급속하여 기독교인들로 하여금 가치관과 정체성의 혼란을 야기함은 물론, 복음 증거의 사역에도 비기독교인들에 대한 접근과 복음 전달의 방법들에 대한 새로운 태도가 요청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과제 앞에서, 필자는 13세기 서구 기독교 세계와 이슬람 세계의 만남에서 드러난 기독교인들의 태도들을 통해서 오늘날 다문화 상황을 살펴보고, 우리의 태도와 행동들에 대한 유익을 얻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토마스 아퀴나스의 『이교도 대전』(Summa contra Gentiles)에서 이교도(gentiles)에 대한 이해와 접근의 방법들을 살펴보고, 실제로 복음 사역에 종사했던 라이문두스 룰루스(Reimundus Lullus)의 선교 전략을 고찰하였다. 이 둘은 문화적 만남에서 소극적이거나 방어적이라기보다는, 적극적인 태도를 취한다. 즉 그들을 만나고, 대화하고, 이해하며, 오류와 편견을 바로잡고자 시도한다. 그들은 상대방을 청취하며, 동시에 기독교 신앙을 이교도들에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를 노력하였고, 인간의 이성을 넘어서는 신앙의 내용들에 대해서는 겸손한 자세를 요청한다. 이러한 ‘열린 마음’들이 기독교 세계와 이슬람 세계의 문화가 만나던 13세기를 살아가던 이들의 태도였다. 하지만 “열린 마음”이 그들에게 타 문화와 종교에 대한 무조건적인 수용이 아님은 분명하다. 이들은 누구보다도 ‘기독교 신앙의 진리’를 확증하는데도 열중하였기 때문이다. 이들은 이성적 고찰을 신뢰하되, 기독교 신앙의 진리에 대해서도 열렬히 변증한 인물이며, 이러한 변증을 위해 기독교 진리를 누구보다도 열심히 연구한 자들이다. 이러한 논리를 전개하기 위해 필자는, 먼저 토마스 아퀴나스의 『이교도 대전』의 저술 동기와 목적을 살펴보며, 토마스가 “이교도”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를 드러내었다. 실상 이교도에 대한 정의가 곧 그들에 대한 토마스의 접근 방법을 내포하기 때문이다(Ch. II). 이어서 토마스가 신앙적 진리를 이성적 탐구의 대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한 것과 이성의 영역을 초월하는 것을 구분한다. 전자에서 토마스는 이교도들과 서로 대화의 장을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후자에서는 신앙적 진리를 둘러싼 오류와 편견을 바로잡으려 수고한다. 즉 이성을 초월적 부분에 적용하는 이성의 사용의 한계를 지적하며, 신앙적 진리에 대한 공격과 오해를 변호하고 있음을 드러내었다(Ch. III). 이어서 라이문두스 룰루스의 선교 전략에서는 실제로 이슬람을 향한 선교를 어떻게 진행되어 나타났는지를 설명하였다(Ch. IV). The christians approach to the mordern multicultural society is to be considered in these study. For this purpose, I examined the cultural conflict in the 13th. century, because Christian culture and Islamic culture were conflicting with each other greatly then. Specially, I focused on the understanding of gentiles in Thomas Aquinas’ Summa contra Gentiles as well as the missions-strategy of Reimundus Lullus. They showed well the christians approach in the context of cultural conflict. Most of all, I researched the definition of gentiles by Thomas Aquinas' umma contra Gentiles, then what his attitude about gentiles is, how he discuss with them, which Topics, etc. Thomas was divided into the two kinds of divine knowledge. The one is knowledge of God what can be known by natural reason, the other is knowledge of God that can only be known in the light of Christian revelation. Therefore, the former is pursued by means of reason, the latter does not depend on rational criteria. The judgement of knowledge is limited. In the case of the first. it is possible for us to discuss with gentiles. In the latter, we must be humble in the teaching of the Church. According to Reimusdus Lullus showed I the Missionsstrategy in the 13th. century. This revealed, how the people the gospel to the Muslims gave. Thomas Aquinas and Reimundus Lullus, both lived in a culture clash, but they were not hostile or closed. Rather with an open mind, they tried to talk with genti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