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전 진단된 단독 태아 뇌실확장증의 임상적 고찰: 175예의 후향적 분석

        정의 ( Eui Jung ),오지영 ( Jee Young Oh ),김선권 ( Sun Kwon Kim ),심재윤 ( Jae Yoon Shim ),원혜성 ( Hye Sung Won ),이필량 ( Pil Ryang Lee ),김암 ( Ahm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6

        목적: 단독 태아 뇌실확장증의 자연 경과와 출생 후 예후 및 뇌실확장증의 정도와 발달 장애 여부와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산전 관리 및 상담에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방법: 1996년 10월부터 2004년 6월까지 본원 산부인과에서 시행한 산전 초음파 검사에서 단독 태아 뇌실확장증으로 진단된 175명의 단태임신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뇌실의 크기는 15㎜를 기준으로 경증 뇌실확장증과 중증 뇌실확장증으로 나누었으며 경증 뇌실확장증은 다시 12㎜미만인 경우를 추가로 비교하였다. 출생 후 뇌 초음파 검사 및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하였으며, 외래 추적 관찰과 보호자와 전화 면담을 통해 발달 장애 유무를 조사하였다. 결과: 단독 태아 뇌실확장증으로 진단된 총 175명 중 남아에서 더 빈도가 높았으며 1예에서 다운증후군으로 진단이 되었다. 임신 중 태아 뇌실확장증이 정상으로 회복된 군에서 평균 뇌실의 크기가 더 작았으며, 일측성인 경우가 많았다. 첫 진단 당시 뇌실의 크기가 15㎜이상인 경우는 단 1예도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지 않아 뇌실확장 정도가 심할수록 정상으로 회복되는 확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뇌실의 크기가 12㎜미만인 경우는 총 131명이 있었으며 출생 후 발달장애는 없었지만 뇌성마비와 유전 질환이 각각 2예씩 있었다 뇌실의 크기가 15㎜이상인 경우 임신을 종결한 1예를 제외한 16예 중 6예에서 발달 장애가, 1예에서 뇌성마비가 발생했고 유전 질환을 제외한 나머지 8예는 정상 발달을 보였다. 결론: 산전 초음파 검사상 단독 태아 뇌실확장증 중 경증 또는 일측성 뇌실확장증이거나 추적 검사시 뇌실의 크기 증가가 없는 경우는 예후가 좋으나, 유전 질환이나 증후군과의 연관성 및 대뇌 발달 장애의 한 표시일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natural course, postnatal outcome, and association between the degree of ventriculomegaly and neurodevelopmental delay in isolated fetal ventriculomegaly.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regnant women diagnosed with isolated fetal ventriculomegaly from October 1996 to June 2004. We defined mild ventriculomegaly as atrial width of 10-14.9㎜ and overt ventriculomegaly as 15㎜ or more. Neonatal brain ultrasonography was performed in all cases and brain MRI was performed as necessary. Neurodevelopmental outcome was evaluated by medical records and telephone interviews. We analyzed the final outcome of isolated fetal ventriculomegaly according to the ventricular width. Results: There were 175 cases of isolated fetal ventriculomegaly, with a large proportion of male fetuses (68.6%), and one case of trisomy 21. While the group with prenatally resolved ventriculomegaly (n=119) had a smaller ventricular width and more unilaterality, there was no resolution in cases with a ventricular width of 15㎜ or more. One hundred and thirty one fetuses with an initial ventricular width of 10 to 11.9㎜ had no developmental delay, however, there were 2 cases of cerebral palsy and 2 cases of genetic disorder. Seventeen fetuses had ventricular dilatation of 15㎜ or more, with 6 corresponding cases of developmental delay and one case of cerebral palsy. Conclusion: Among isolated fetal ventriculomegaly, mild, unilateral or stable ventriculomegaly seems to have a favorable neurological outcome, especially those cases with ventricular width of less than 12㎜. However, management of the condition and counseling of parents are still crucial, because it can be a marker of genetic disorder or brain developmental delay.

      • KCI등재후보

        모체 Thyroxine 투여가 태아알코올효과를 가진 흰쥐 뇌의 BDNF함유 신경세포 생후 발달에 미치는 영향

        강양수(Yang Soo Kang),정윤영(Yoon Young Chung),박영란(Young Lan Park),현영식(Young Sig Hyun),김종중(Jong Joong Kim),문정석(Jeong Seok Moon),문영민(Young Min Mun),오재욱(Jae Wook Oh),신성희(Sung Heui Shin),배춘상(Choon Sang Bae) 대한해부학회 2006 Anatomy & Cell Biology Vol.39 No.4

        임부의 알코올 남용은 태아 정신발육지연의 흔한 원인이며 특히 태아의 뇌 발생에 예민한 결정적 기간 (critical period) 동안에 지속적으로 음주하는 경우 태아알코올효과를 나타내기 쉽다. 본 연구에서는 임신 기간중 지속적으로 알코올을 섭취한 모체에 thyroxine을 투여하여 알코올의 유해한 영향으로 인한 태아알코올효과를 개선시킬 수 있는지를 관찰하기 위하여 흰쥐 뇌의 생후 연령에 따라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BDNF)함유 신경세포의 성숙 양상을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이용하여 관찰하였고 BDNF 함량을 측정하였다. 실험동물은 매일 35 칼로리 정도의 알코올을 섭취한 알코올군, 알코올 대신 dextrin이 첨가된 유동액을 섭취한 정상군 및 알코올을 섭취하고 thyroxine을 매일 5 μg/kg 피하 주사한 알코올+T4군으로 나누었으며 생후 0, 7, 14, 21, 28일에 희생시켰다. 본 연구 결과 BDNF 단백 양은 알코올+T4군에서 알코올군에 비해 생후 7, 14, 21일에 증가하였으며 특히 생후 7일의 알코올+T4군에서 가장 높았다. 알코올군은 모든 연령에서 정상군보다 감소하였다. 소뇌에서는 알코올+T4군에서 생후 14일부터 정상군과 유사한 BDNF함유 신경세포들이 조롱박세포층에 분포하였다. 알코올+T4군에서는 알코올군에 비해 대뇌겉질, 시상하부 및 해마에서 생후 7일에 성숙되고 두드러진 양성반응을 나타냈으며 해마에서는 생후 28일까지도 뚜렷한 양성반응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는 임신 중 알코올을 음용한 흰쥐 모체에 thyroxine을 투여하면 태아알코올효과를 가지고 태어날 수 있는 후손들의 뇌에 분포하는 BDNF함유 신경세포들이 생후 발달동안 정상군과 유사하거나 더 빠르게 발달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모체에 투여하는 지속적인 thyroxine 처치가 출생 초기에 BDNF 합성을 증가시켜 모체의 알코올 남용으로 야기되는 태아알코올효과와 같은 출생결함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Maternal alcohol abuse is thought to be the common cause of mental retardation. Especially, continuous alcohol consumption during critical period of brain development induce fetal alcohol effects. In this study,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aternal alcohol drinking on the postnatal changes of BDNF contents and patterns of BDNF-containing neuron in neonatal rat brain, and, the influence of maternal thyroxine treatment on the brain of pups of alcohol abused mother. Pregnant ra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lcohol-fed group (n=4) received 35 calories of liquid alcohol diet daily from gestation day 6; control pair-fed group (n=4) was fed a liquid diet in dextrin replaced alcohol isocalorically; alcohol+T4 group (n=4) received 35 calories liquid alcohol diet and exogenous thyroxine (5 μg/kg/day) subcutaneously. The amount of BDNF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lcohol+T4 group as compared to the alcohol group at P7, P14 and P21, especially, alcohol+T4-exposed pup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of BDNF at P7. The decrease in BDNF was found in alcohol group compared to control pair-fed group at all ages. In alcohol+T4 group, BDNF-containing Purkinje cells exhibited mature pattern and monolayer arrangement at P14. Alcohol+T4 group showed mature pattern and numerical increase of BDNF-containing cells in cerebral cortex, hypothalamus and hippocampus at P7. The BDNF immunoreactivity of hippocampus continued to show prominent configuration in alcohol+T4 group at P28.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crease of the BDNF-containing neurons and BDNF amount in pups of thyroxinesupplemented alcohol-exposed dams as compared to control pair-fed and alcohol-exposed pups at P7, presumably suggest the early postnatal growth stimulatory effect of the exogenously supplemented thyroxine. Therefore, the increase of BDNF synthesis caused by maternal administration of exogenous thyroxine may ameliorate fetal alcohol effects, one of the ill effects as a result of the dysthyroid state following maternal alcohol abuse.

      • KCI등재

        최신임상강좌 : 성인기 질환의 태중기원

        최규연 ( Gyu Yeon Choi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6

        성인기의 건강과 질병이 생애 초기 발달과정과 출생 후 초기 발달과정에 의해 결정되고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이론은 역학연구와 동물 실험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다. 이들 이론들을 바탕으로 태아기의 부적절한 환경에 대한 적응이 각 개체의 생존을 위한 방식으로 작용되는 형질 발현의 결과로 다양한 만성 성인병들이 발생한다는 발달프로그래밍 가설 (developmental programming hypothesis)이 제기되었다. 각 개체의 발달은 유전학적 인자뿐만 아니라 생애기 초기의 환경적 요인과 생활 습관 등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들 영향이 미치는 비정상적인 과정이 향후 성인기에 발병하는 질병의 중요한 원인이 된다는 기본적인 성인기 질병의 태중기원 (Fetal origins of adult disease, FOAD) 개념으로 정립되었으며, 저체중 출생아와 성인기의 심혈관계 질환, 고혈압, 제2형 당뇨병 등과의 관련성이 이 가설을 입증하고 있다. 임신 중 모체의 질병이나 불량한 영양상태, 심한 스트레스에 태아 발달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특히 모체의 영양 공급 환경에 따른 태아기 성장 저하와 질병형질 발현에 대해서 현재까지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와 함께 앞으로는 태아기 발달 기간 중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뿐만 아니라 출생 후의 외부 환경이 성인기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 성인질병의 예방 및 조기 중재를 통해 결과적으로 공중 보건을 향상시키는 적절한 방법을 모색하는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Human epidemiological and animal studies show that many chronic adult disease have their antecedents in compromised fetal and early postnatal development. Developmental programming is defined as the response by the developing mammalian organism to a specific challenge during a critical time window that alters the trajectory of development with resulting persistent effects on phenotype. Each individual`s phenotype is influenced by the developmental environment as much as their genes. Also, the term `fetal origins of adult disease` was coined on the basis of the inverse association between low birth weight and blood pressure, adult-onset diabetes, coronary heart disease, and stroke seen in numerous epidemiological studies. However, it seems unlikely that birth weight is involved in causal pathways underlying theses observations, and if it were then the significance to public health of these findings is very limited because of our inability to modify birth weight to a relevant extent in humans. There has been a major focus on maternal nutrition. Important targets for future research include distinction between the effects of different pregnancy conditions, such as maternal malnutrition, preeclampsia, and maternal infection, which may have dissimilar late-life consequences. This will be a crucial step when the associations that are currently emerging will be translated into disease prevention.

      • KCI등재

        유아발달에 따른 어머니의 태아기.영아기 육아

        김초롱 ( Kim¸ Cholong ),권미량 ( Kweon¸ Meerya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0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유아발달수준별로 어머니의 태아기·영아기 육아 차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어머니의 태아기·영아기 육아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2019년 9월∼10월 중 U시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원하고 있는 만3세∼만5세 원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 하여, 최종적으로 844부를 분석하였다. 또한, 그들 중 참여 의사를 표시한 어머니314명을 대상으로 유아기 자녀를 발달 검사 하도록 하였다. 해당 유아의 담임교사의 재검토 및 수정을 거친 검사지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발달수준에 따른 어머니 육아요소를 통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시험관 시술, 유산·사산 경험, 임신 스트레스, 분만방법 등의 태아기 육아요소와 이유식 시작 시기, 기저귀를 뗀 시기, 보행기 사용 여부, 처음 전자기기 노출 시기, 애착, 놀이 밀도 등의 영아기 육아요소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생애 초기에 어머니로부터 제공받는 육아의 중요성과 어머니 육아에 대한 지원 필요성에 대해 제고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fetal and infant care of mothers at different levels of infant development.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he mothers of children aged 3 to 5 who are enrolled in kindergartens located in U city between September and October 2019, and 844 copies were finally analyzed. Among them, 314 mothers who expressed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were required to conduct developmental tests on their infant childre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paper, which was reviewed and modified by the homeroom teacher of the infant, the mother’s nursery was statistically analyzed according to the level of infant development. As a result, fetal nurseries such as test tube procedures, miscarriage and stillbirth experience, pregnancy stress, baby food start time, diaper removal time, pedestrian use, first electronic device exposure time, attachment, and play density are significant. Through these results, we wanted to enhance the importance of parenting and the need to support the mother’s parenting at the beginning of her life.

      • KCI등재

        태교 독서 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및 운영 방안 연구

        양근영(Keunyoung Yang),전한성(Hansung Jeon) 한국학부모학회 2023 학부모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태교 독서’가 태아를 위한 예비 부모들의 독서 활동임을 전제로, 태교 독서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예비 부모들이 올바른 태교 독서를 실천하기 위한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선행 연구와 실태 조사를 통해 교육 목표를 설정하고, 기존 태교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분석한 후 2015 교육과정 독서 교과의 내용 체계를 근거로 설계하였다. 또한 이에 대한 세부적인 교육 내용과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내용은 기존 태교 독서 프로그램에 ‘독서 교육적 목표와 방법’이 미약하고, 흥미 위주로 치우쳐 있는 점을 보완하여 우선 태교 독서 프로그램을 목표를 설정하였다. 이를 성취하기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독서 교육의 내용 체계를 기반으로 태교 독서를 위한 ‘본질’, ‘분야’, ‘방법’, ‘태도’의 내용 체계를 설계하였으며, 세부 내용인 ‘독서 계획’, ‘도서 선택’, ‘독서 활동’. ‘독서 태도’ 에 해당하는 교육 내용을 학습활동의 예와 교재의 수준과 범위로 제시하였다.이를 토대로 운영 시에 고려해야 할 사항, 교수 전략과 피드백을 안내하였다. 태교독서프로그램은산모와 아이의 정서적 유대를 강화하고, 부부가 협력하여 주체적으로 태교 독서를 계획하고 실천하고 지속하는 것이다. 이러한 태교 독서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교수자가 태교 독서의 중요성을 산모에게 인지하도록 도와야 하며, 수업 이외의 시간에도 학습자와 소통하며 학습을도와야 한다. 수업 후에는 학습자의 자기 평가, 프로그램, 교수법 점검 등을 통해 태교독서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요구와 시의성에 맞게 수정·보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On the premise that "prenatal reading" is a reading activity undertaken by prospective parents for their unborn child, this study aimed to design prenatal reading education programs and present operational measures for prospective parents to practice correct prenatal reading. The research method was designed based on the content system of the 2015 reading curriculum after setting educational goals through prior research and fact-finding surveys and analyzing problems with existing prenatal programs. In addition, detailed education contents and operation plans were presented. The contents of the study first set the goal of the prenatal reading program by supplementing the weak "reading educational goals and methods" of the existing prenatal reading program and the bias toward interest. To achieve this, based on the content system of reading education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 content system of 'essence', 'field', 'method', and 'attitude' for prenatal reading was designed with the details of 'reading plan', 'book selection', and 'reading activity'. Educational content corresponding to 'reading attitude' was presented as examples of learning activities and the level and scope of textbooks. Based on this, matters to be considered for operation, teaching strategies, and feedback were provided. The prenatal reading program strengthens the emotional bond between a mother and her child, and couples work together to plan, practice, and continue prenatal reading on their own. To effectively implement these prenatal reading programs, instructors must help mothe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renatal reading, and communicate with learners to help them learn outside of class. After class, prenatal reading programs should be revised and supplemented to suit learners' needs and timeliness through self-evaluation, additional programs, and checking teaching methods.

      • KCI등재

        유교와 불교 태교관(胎敎觀)의 교육적 의미

        예철해 한국종교교육학회 2006 宗敎敎育學硏究 Vol.22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implication of the viewpoint of prenatal training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According to the aim of this study, I studied the meaning and purpose of the prenatal training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ferti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unborn child, and the practice of prenatal training.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the purpose of the prenatal training of Confucianism is to get a man of honor(君子) who is the ideal human being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is to bear a wise and merciful human being. Secondly, both of them emphasize the third element which is spiritual existence, namely Yu-Gi(遊氣) in Confucianism and Jung-Yu(中有) in Buddhism. Thirdly, in the case of the development of unborn child, Confucianism is more concrete than Buddhism. And the method of prenatal training in Confucianism is more specific than that of Buddh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