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류 문화유산으로 남기 위한 태권도 현안과 제언

        김헌일(Kim, Hun-il) 한국무예학회 2022 무예연구 Vol.16 No.4

        이 연구는 태권도의 문화·산업적 가치 확인과 한민족 자원으로서의 지속적인 성장 지원과 협력의 필요, 나아가 인류 문화유산으로 남기 위한 태권도의 현안을 살펴보고 미래 과제를 찾기 위한 것이다. 태권도는 한민족의 독특한 문화적 정체성과 전통성을 내재하고 있으면서도 국제 메가 이벤트에 설 만큼 글로벌 대중적 스포츠로서의 상품적 가치도 지녔다. 이는 20세기 말 등장한 새로운 주요 경제 패러다임으로서 융복합을 통한 문화 자원의 산업화 경제 개념인 ‘창조경제’가 추구하는 국가 자원에 부합하는 최적의 콘텐츠라 할 수 있다. 대한민국 국제적 위상과 더불어 성장한 ‘한류’는 대한민국 성장의 주요 원동력을 담당하고 있으며, 태권도는 한민족을 세계에 알리는데 일조한 한류 1세대라 할 수 있다. 한류로서 태권도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남북한 각 정부는 물론 각 지방자치단체의 노력이 지속되고 있으며, 최근 UNESCO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태권도의 지속적인 생존과 성장을 위해서는 UNESCO 세계문화유산 등재 성공을 떠나 미시적, 거시적 관점 모두에서 성공적인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미시적 우선 과제로, UNESCO 세계문화유산 등재 요건에서 밝히는 핵심 사안과 같이, 태권도 주요 주체인 WT와 ITF의 ‘상호 존중’이 절대 요구되며, 이를 기반으로 한 공동 협력이 이루어져야 하고 더불어 이들 두 단체 이외의 다양한 태권도 단체와의 상생 협력이 반드시 수반되어야만 한다. 다른 한편으로 거시적 전략과제로서, UNESCO 세계문화유산 등재가 내포하는 의미인 ‘소멸 위기’문화가 아니어만 한다. 즉, 글로벌 대중적 스포츠로서 지속 성장하여 세계 각국에 확산하며, 나아가 궁극적으로는 태권도가 각 문화 민족, 국가 토양에서 지역과 융복합하여 새로운 문화 가치로 재창조될 수 있는 수준에 오름을 지행 과제로 삼아야 한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issues and proposal of Taekwondo to remain as a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Taekwondo has the unique cultural identity and tradition of the Korean people. And also, Taekwondo has a commercial value as a global popular sport enough to stand in an international mega sports event. Taekwondo can be considered as the optimal content that matches the national resources pursued by the Creative Economy that is a new major economic paradigm. The Korean Wave’, which has grown along with Koreas international status, is the important driving force for Koreas growth, and Taekwondo is the 1st generation of the Korean Wave’. Fo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aekwondo, the effort of each local government, as well as the both in Republic of Korea and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are continuing. And recently, they try process of being listed as a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ut, it is need to set a successful direction must be established from both micro and macro perspective, where or not it was successfully registered as a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order to surviv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Taekwondo. For this, as a micro priority tasks, as the key issues identified in the UNESCO World Heritage Listing requirements, it joint cooperation should be based on the Mutual Respect’ between the WT and ITF, the major Taekwondo organization is absolutely required, in addition, win-win cooperation with carious Taekwondo organizations other than these two organizations must be accompanied. On the other hand, as a macro strategic tasks, it must not be a culture that is in danger of extinction, which is the meaning of UNESCO World Heritage listing. In other words, it continuous to must be grow as a global popular sport and spread to countries around the world. Furthermore, ultimately, it is necessary to make it the next task for Taekwondo to rise to a level where it can be recreated as a new cultural value by convergence with the region in each culture, nation, and country.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태권도 수련의 영향 및 한국어 문화 교육 방안 고찰

        고준호(Ko Junho),이선희(Lee Sunhee)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문화와 융합 Vol.41 No.3

        본고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태권도 수련의 한국어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태권도를 활용한 문화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재까지 태권도학계에서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수련 효과에 대한 연구 중, 한국어 교육적 효과에 대해서는 논의되지 않았으며, 한국어학계에서도 문화 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교육 제재가 논의되었지만 태권도를 활용한 연구는 모색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재까지 다루어지지 않은 소재인 태권도를 활용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태권도 수련의 한국어 교육적 효과에 대해 조사를 실시한 결과 태권도 수련은 일상생활문화, 성취문화에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어 학습에 동기를 유발하고 태권도 용어가 주로 수사, 신체어, 방위사로 구성됨으로 인해 언어문화 학습에도 도움이 됨을 밝혔다. 아울러 태권도 기술 용어에서 사용되는 어휘는 모두 한자어나 외래어가 아닌 고유어로 구성됨을 알 수 있었는데 이를 통해 태권도 고유의 민족 문화성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고는 태권도를 활용한 문화 교육 방안으로 교재 및 시청각 자료를 통한 방법, 문화 수업을 통한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더불어 더 효과적인 태권도 문화 교육을 위해 동영상 콘텐츠 개발을 제안하였다. 최근 한국어교육에서 문화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여러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 고유의 민족성을 지닌 동시에 세계스포츠로 자리매김하며 세계성을 지닌 태권도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가 한국어 문화 교육 활용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 evaluate the educational effects of Taekwondo training as an approach to teaching Korean culture and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o foreigners, and to examine the contents and methods applied. Thus far, there have been no studies on the efficiency of Taekwondo training in Korean language teaching to foreign learners. Although various educational resources related to the cultural education have been discussed in the context of Korean language teaching, the research on incorporating Taekwondo to cultural education has not been studied. Therefo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stems from addressing Korean cultural education through Taekwondo teaching, which thus far has not been examined. The main poi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effectiveness of Taekwondo training in Korean language teaching to foreign students, Taekwondo training has a positive effect in daily and cultural life, bringing a sense of fulfillment. Moreover, Taekwondo terminology, which comprises numerals, body parts vocabulary, and localizers, motivates foreigners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It was also foun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aekwondo consist of Korean words that neither originate from Chinese nor are loanwords; thus establishing the unique ethnic Korean Taekwondo culture. Correspondingly, the study outlined the methodology of cultural education by applying Taekwondo via textbooks, audiovisual resources, and in cultural class curricula. It further proposed the incorporation of video content in order to provide a more effective Taekwondo cultural education. As the importance of the cultural element in teaching Korean has been emphasized,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and it is, therefore, expected that this research on Taekwondo, which reflects Korea’s unique ethnicity, will be utilized in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s Taekwondo has become a global sport.

      • KCI등재

        이슬람문화 내에서 태권도의 역할과 가치

        전상호,안용규 한국체육철학회 2015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3 No.2

        Role and Value of Taekwondo in Islamic Culture Jeon, Sang-Ho·Ahn, Yong-Kyu(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This study is based on experience in diffusion of Korea as a civil nongovernmental diplomat for sixteen years in Syria, where there is no treaty of amity with Korea. Syria was in a close relationship with Democratic Republic of N, Korea and was not very cooperative with Republic of S, Korea, diffusion of Taekwondo has been under sanctions. However, diffusion of Taekwondo at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Taekwondo and Islamic culture was not hampered with such political elements. Rather, additional result of political communication through diffusion of Taekwondo as culture has been obtained. Previous studies on comparison of Taekwondo culture and Islamic culture, Taekwondo spirit in autocratic states and Islamic culture like Syria cannot exist. However, the reason behind successful diffusion of Taekwondo in Syria are basic respect, patience, and opening to international community with Taekwondo training. That is, the researcher obtained a conclusion that transformation of Taekwondo to the degree where its originality is not damaged, can be a successful element in diffusion of culture according to cultural and political characteristic. In Islamic culture, muslims believe that there is no god but Allah, and they do not bow to anyone but Allah. Yet, Taekwondo trainees, even muslims, bow to each other at Taekwondo Dojangs. For muslims, it is very rare to bow to anyone other than Allah, and this applies to Taekwondo trainees as well. Moreover, although Taekwondo is a martial art that cannot be easily accepted by muslims, Taekwondo is continuously developing in Islamic culture. Also, 'cha-ryut' (attention) and 'kyung-rye' (bow) that are used at the Olympic Games as formal terms, are also accepted by muslim Taekwondo trainees. Taekwondo is becoming an opportunity for a new culture to settle down in Islamic culture beyond politics, religion, economy, and society. Taekwondo training might be physical activity organized by many physical movements, it has a great value of diffusing Korean culture to Islamic culture through spiritual education and cultivation of body and mind. ※ Key words: Islamic, culture open, culture cross, Taekwondo value, Syria, Hijab 이 연구는 시리아에서 16년 동안 민간 외교 사절단으로서 태권도를 직접 보급한 경험의 구술사적 내용을 토대로 철학적 논의를 진행하였다. 친북한 성향이 짙고 우리나라와 미수교국인 시리아의 태권도 보급은 태권도 수련을 통해 획득될 수 있는 예의정신, 극기정신, 평화정신, 조화정신 등이 문화교차, 즉 문화충돌과 문화공존을 통해 이슬람 정신에 부합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문화가 다르고 종교가 다르고 정치적 성향에 차이가 있을지라도 태권도의 원형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용성을 발휘하는 것이 태권도의 전파에 성공적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계기도 되었다. 이슬람 문화는 알라신만을 섬기고 그 이외 누구에게도 허리를 숙여 인사하지 않는다. 알라신 이외에 허리를 굽히며 목례를 한다는 것은 이슬람문화에서는 이례적인 일이고, 이슬람 국가에서는 매우 낯선 문화임에도 불구하고 태권도에서의 ‘차렷’, ‘경례’ 등의 용어와 함께 시리아에서 태권도가 남녀노소 누구나 수련하는 태권도가 될 수 있었다. 특히 시리아 태권도선수들이 국제무대에 출전하게 되면서 시리아 문화개방의 촉매역할을 하게 되었다. 결국 태권도의 이러한 역할이 이슬람 문화에서는 전혀 고려될 수가 없었던 새로운 문화를 정착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태권도 수련은 비록 하나의 몸동작에서 출발하고 있지만 대한민국의 태권도는 이슬람문화의 벽을 넘어 시리아인들에게 그들의 조화로운 삶을 위한 훌륭한 도구이자 국위선양의 커다란 가치를 지닌 문화가 되었다. ※ 주제어: 시리아, 이슬람문화, 문호개방, 문화교차, 태권도, 가치

      • 태권도를 활용한 넌버벌 퍼포먼스의 공연 포맷 발전방안 연구

        이지은(Lee, ji eun) 한국문화콘텐츠학회 2010 문화예술콘텐츠 Vol.- No.5

        21세기에 이르러 기존의 공연예술이 급격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국내외의 많은 공연작품들은 과거 전통적인 무대 요소들을 해체하고 고전예술에서 첨단과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무대 기호들을 과감하게 도입하고 있다. 이러한 무대예술의 특성을 가장 잘 살리면서 대중들에게 인기를 얻은 것이 바로 넌버벌 퍼포먼스 장르이며 이는 언어적 한계를 넘어 우리의 문화를 상품화할 수 있는 효과적 장르라 할 수 있다. 공연문화산업이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세계를 대상으로 한 만큼 보편성을 가지고 자국의 성격이 담겨 있는 독창적 소재에 주목해야 할 때다. 넌버벌 퍼포먼스 장르를 통한 태권도의 문화상품화는 우리의 국기이며, 문화자산인 태권도를 알리는 데 있어 무엇보다 효율적인 방안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넌버벌 퍼포먼스의 개념과 현재 활용되고 있는 넌버벌 퍼포먼스의 공연포맷 유형들을 점검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핵심이 되는 태권도에 대한 창작소재로서의 가치를 점검하고 태권도를 활용한 대표적 넌버벌 퍼포먼스인 〈점프〉와 〈더문〉 시리즈의 공연사례를 분석해 세계화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한국전통 스포츠인 태권도가 문화콘텐츠산업의 고부가가치 창출에 기여할 산업적 가치가 있는가의 여부를 검토하고 한국 전통문화와 문화정체성을 전제로 한 태권도 넌버벌 퍼포먼스 개발의 중요성과 향후 발전과제를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첫째, 국기 태권도는 문화콘텐츠 창작소재로서 가장 한국적인 것이며 무한한 고부가가치를 내재한 한국문화의 원형으로서, 둘째, 문화상품으로서 한국의 가치관, 문화 등의 정서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의 문화전파 및 이미지 제고에 큰 기여를 하게 되며, 단순한 경제적 효과뿐만 아니라 국가이미지 제고 및 국가 경쟁력 향상으로 연결되며, 셋째, 태권도를 소재로 한 다양한 고부가가가치의 문화콘텐츠 창출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여 태권도 연계 산업의 인프라 구축 및 수익창출을 통해 국기 태권도 발전에 재투자 되는 선순환적 경로가 구축되어야 한다. 넷째, 이를 위해서 태권도 넌버벌 퍼포먼스를 세계적 수준의 문화상품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독창성과 보편성을 기반으로 한 공연포맷의 개발과 세계진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과 관광 상품으로서의 연계를 위한 전용관 확보 등이 우선되어야 할 과제로 전망된다. Existing performing arts are rapidly changing by 21C. Internal and external many works introduce various signs of stage from traditional art to high technology, destructing factors of old traditional stage. Nonverbal performance is one of the most favorite genres highlighting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s, and it is the effective genre which can commercialize Korean culture crossing the language line. Creative, universal material is to be concentrated with nation’s own character and world’s universality so that performing arts business can be competitive. It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commercialize Taekwondo by nonverbal performance genre for introducing Taekwondo, the Korean national sport and cultural asset. Therefore this study is about defining nonverbal performance, and checking nonverbal performance formats. Based on that, the core of this study, the value of Taekwondo as creative material is confirmed with 〈Jump〉 and 〈the Moon〉’s cases, which are the typical nonverbal performances using Taekwondo, analyzed for possibility of globalization. It could be reviewed if Korean traditional sport, Taekwondo, has the industrial value for creating high value product in cultural contents business. So the importance and development plan of Taekwondo nonverbal performance based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cultural identity are followed. First, Korean sport, Taekwondo is the archetype of Korean culture, which has unlimited high value as the creative material for cultural contents. Second it can contribute to introducing Korean culture and improving Korean image, and connects to improving national image and competitiveness as well as economic effect, as it includes Korean value, culture and emotion as cultural product. Third, recursive course should be constructed, that the foundation is to be made for creating various high value cultural contents using Taekwondo, Taekwondo connected business is to make it’s own infra and profit, and be reinvested for development of Taekwondo. Fourth, the performance format based on creativity and universality should be developed and government should support for global expansion and finally the theater only for nonverbal performance is necessary for connecting to tourism product, so that Taekwondo nonverbal performance can be the world-class cultural product.

      • KCI등재

        외국인 태권도 지도자의 한국 태권도 문화 변용: Berry의 2차원적 문화 변용 모델을 중심으로

        나윤호(Ra, Yoon-Ho),장익영(Chang, Ik-Young)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22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35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태권도 지도자가 한국 유학 과정에서 습득한 태권도 문화를 모국에서 어떻게 변용하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태권도 종주국인 한국에서 최소 1년 이상 유학을 한 후 모국에서 태권도 지도자로서 활동하고 있는 외국인 태권도 지도자 7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문헌고찰과 심층면담, 추가자료 수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분석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외국인 태권도 지도자는 통합태도를 가지고 태권도 시설문화, 수련문화, 예식문화를 변용하였다. 둘째, 외국인 태권도 지도자는 동화태도를 가지고 태권도 용구문화, 역할문화, 수단문화, 의미문화, 도덕적 규범문화를 변용하였다. 셋째, 외국인 태권도 지도자는 분리태도로 태권도 수련문화와 제도적 규범문화를 변용하였다. 이와 같은 결론을 통해 외국인 태권도 지도자와 이들에게 영향을 받는 수련생에게 있어 한국의 태권도 문화 중 어떠한 것을 선호하고 있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해외에서 적용하는데 실패한 태권도 문화 또한 파악할 수 있었다. 향후 이러한 점을 고려한다면 국내로 유입되는 외국인 태권도 유학생에게 보다 질 높은 유학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정책, 프로그램 마련, 그리고 해외 파견 태권도 지도자에 대한 질 높은 교육이 이루어지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제공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they reproduce the Taekwondo culture they acquired in Korea after returning to their home country based on Berrys (1980) Acculturation model.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in-depth interviews, and additional data. We have selected a total of 7 participants who are now working as Taekwondo instructors in their home country after studying abroad in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inductive categorization. The veracity and ethics of the study were continuously verifi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The Taekwondo culture reproduced by foreign Taekwondo masters’ with an integration attitude emerged as facility cultures, training cultures, and ceremony cultures. 2)The Taekwondo culture reproduced by foreign Taekwondo masters’ with an assimilation attitude is expressed through equipment cultures, role cultures, method culture, semantic cultures, and moral norm culture. 3)The Taekwondo culture reproduced by foreign Taekwondo masters’ with an separation attitude is expressed through training cultures and institutional norm culture.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태권도 문화의 역할

        김나혜(Kim, Na-Hye) 한국무예학회 2021 무예연구 Vol.15 No.3

        이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에 따른 태권도 문화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초연결, 초지능, 초융합이라는 기술적 환경 변화를 이끌어내는 4차 산업혁명은 사회 문화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 속에서 한국의 주요 신체 문화인 태권도의 변화 흐름을 예측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4차 산업혁명 기술에 따른 사회 변화 양상과 태권도 문화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나아가 4차 산업혁명에 대한 태권도계의 인식과 변화가 예상되는 주요 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태권도 문화는 무예 문화, 스포츠 문화 및 한국 문화적 특징을 지니며, 이러한 문화가 태권도 고유의 문화를 바탕으로 융합되어 자체적인 태권도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둘째, 태권도 전문가들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의 도입과 적용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영세한 태권도 산업의 구조와 태권도 프로그램 및 지도법의 변화가 더디게 나타나는 점을 들어 태권도 문화에서 활용 가능한 4차 산업혁명 기술 도입과 프로그램 개발 등을 위한 투자와 지원이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태권도 문화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의 도입으로 태권도 관련 정보의 디지털화를 바탕으로 문화 전반의 효율화 및 자동화와 문화 영역 및 구성원의 역할 등이 재구성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러한 과제를 수행할 경우 합리적이고 창의적인 문화를 형성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미래 지도자 양성 교육 및 기술 도입에 따른 제도 개선을 실시하는 등 태권도 문화의 전반적인 흐름과 4차 산업혁명 기술 도입과의 관계에 대한 지속적 관심과 활용이 제안된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changes in Taekwondo culture following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o this end, by conducting literature research and in-depth interviews, we looked into the aspects of social chan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aekwondo culture in accordance with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furthermore, we have drawn up the perception of the Taekwondo world abou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major challenges that are expected to be changed. The key findings from the analysis conduct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aekwondo culture has the characteristics of martial arts culture, sports culture, and Korean culture, and these cultures are combined based on the culture unique to Taekwondo to form its own culture. Second, Taekwondo experts had been aware of the need for the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of the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t the same time, they had the perception that it is difficult to invest and support for the introduction of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that can be utilized in Taekwondo culture for reasons of the reality of the structure of the small Taekwondo industry and the slow change in the Taekwondo program and teaching methods, Third, carrying out such tasks is expected to create a reasonable and creative culture as the overall efficiency and automation of Taekwondo culture and the role of cultural areas and members are expected to be reorganized based on the digitalization of Taekwondo-related information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KCI등재

        무형문화재 평가지표로 본 태권도 지정 가능성

        남덕현 ( Nam Duck-hyun ) 국기원 2020 국기원태권도연구 Vol.11 No.3

        태권도는 국가 무형문화재 지정으로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공인받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태권도 선행연구와 무형문화재 제도를 참고하여 태권도의 무형문화재적 의미를 확인하고자 한다. 국가 무형문화재 가치를 인정받기 위해서는 문화재청 심의위원회 평가에서 기준 점수 이상을 얻어야 한다. 항목은 크게 역사성, 학술성, 예술 및 기술성, 대표성, 무형문화재 형태 지속성, 전수 활성화 정도를 중심으로 볼 수 있다. 역사성에선 초기 태권도 도장이 형성된 1944년부터의 과정이 신뢰도를 얻고 있다. 학술성에서는 정부 정책지원과 대중문화 인지도와 연구성과를 볼 때 우수 평가를 받을 것으로 보았다. 예술성 및 기술성에서는 이미 태권도가 독창적 기술 수련체계를 보이나 한국 전통무예로서의 태권도 기본을 발굴해야 하며 태권도 상업화에 대한 보완책이 마련되면 우수한 평가를 받을 것이다. 태권도 역사는 다른 문화재에 비해 짧다고 평가되나 그간의 태권도 발전과정을 살펴보면 전통문화로의 대표성 평가는 긍정적일 것으로 보았다. 태권도 역사는 100년이 넘지 않기 때문에 지속정도에서는 낮게 평가될 수 있으나, 태권도는 공인된 국내외 발전 결과가 많아 스포츠화되었다는 부정논리를 극복하고 집단 문화적 정체성, 다양성, 창의성에서 좋은 평가를 얻을 수 있다. 태권도의 사회적 빈도 및 범위는 다른 무예보다도 지속 가능성 면에서 우수하며 전승 활성화도 같은 맥락에서 볼 때 최상의 등급을 확보할 수 있다고 보았다. 결과적으로 볼 때 태권도의 무형문화재 지정 평가는 최상 등급을 확보할 수 있으나 전승과정에서의 독창성, 역사성, 고유성 면에서 논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일본 가라테를 주체성 없이 수용하였다는 논란, 한국 전통무예의 수용력이 부족한 태권도 상황은 긍정과 부정이 첨예하게 대립할 것이며 스포츠화되는 경향을 어떻게 수용하느냐도 논란이 될 수 있다. 만일 태권도가 무형문화재로 지정된다면 종목, 전수단체, 전수기능자 순서로 진행되어야 한다. Taekwondo intends to be recognized as a UNESCO heritage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mean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Taekwondo by referring to preceding research and related systems. In order to be recognized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t is necessary to obtain a score higher than the standard score in the evaluation of the cultural heritage committee. the items can be largely centered on history, scholarship, art and technology, representativeness, continuity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nd vitalization of transmission. in history, the period since 1944 when the early Taekwondo Dojo was formed is trusted. in the academic field, it is expected to receive excellent evaluations given government policy support, popular culture awareness, and research results. in the art and technology fields, Taekwondo showed an original skill training system, but it is necessary to further discover the basics of Taekwondo as a Korean martial art, and it will receive excellent evaluation if a supplementary plan for commercialization of Taekwondo is prepared. Taekwondo history is evaluated to be shorter than other cultural assets. however, if we look at the development process of Taekwondo, the evaluation of representativeness to traditional culture would be positive. since Taekwondo history is less than 100 years old, it can be underestimated in sustainability. however, Taekwondo can overcome the negative logic that it has been sported due to the many results of the developed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and get a good evaluation in group cultural identity, diversity and creativity. the frequency and scope of Taekwondo are superior to other martial arts in terms of sustainability, and the activation of tradition can secure high grade in the same context. as a result, the evaluation of the designation of taekwondo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can secure the best grade, but controversy may arise in the originality, historicity, and uniqueness of the tradition. the controversy over the karate acceptance and the lack of Korean martial arts traces may lead to a sharp conflict between affirmations and negatives. if Taekwondo is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t should proceed in the order of sport, training organization, and training skill.

      • KCI등재

        신한류 콘텐츠로써 태권도 시범문화: 세계화를 위한 성공요인 탐색

        권경상 ( Kwon Kyung-sang ),권헌수 ( Gwon Heon-su ) 국기원 2017 국기원태권도연구 Vol.8 No.4

        이 연구는 신한류 콘텐츠의 성공요인을 분석하여, 태권도 시범문화의 세계화를 위한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다. 이를 위해 태권도시범단 지도교수, 지도자, 기관 담당자 등 10년 이상 경력의 연구참여자 총 6명을 선정하였다. 체계적 문헌고찰과 심층 면담을 실시함으로써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질적 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수행된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신한류 콘텐츠로써 태권도 시범문화에 대한 문화정책은 태권도 시범문화의 문화콘텐츠화 그리고 외교정책과의 연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다음으로 신한류 콘텐츠로써 태권도 시범문화의 유통방식은 미디어를 통한 노출과 소셜 미디어의 활용이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신한류 콘텐츠로써 태권도 시범문화의 특성은 문화콘텐츠 제작방식 그리고 K-Culture와 같은 문화콘텐츠의 확대가 필요하였다. 이상의 결론에서와 같이 태권도의 세계화는 태권도의 스포츠화를 통한 올림픽 정식종목의 채택과 더불어 태권도의 기술보다는 태권도의 정신에서 비롯된 가치를 바탕으로 생활체육으로써 전 세계에 뿌리내리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태권도 시범단의 역할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또한 태권도 시범영역은 사회전반의 지배적인 가치로 인해, 점차 대중 친화적으로 변모하고 있다. 따라서 세계화된 태권도를 더욱 발돋움시키고 한국문화를 강건하기 위해서, 태권도 시범문화의 세계화를 올바르게 정착시켜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uccess factors of new Hallyu contents and to examine the possibility for the globalization of the Taekwondo demonstration culture. For this purpose, a total of 6 research participants who have more than 10 years experience including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teaching professors, leaders, and agency personnel were selecte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in depth interview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performed as above are as follows. First, culture policy on Taekwondo demonstration culture as new Hallyu content should make Taekwondo demonstration culture as cultural contents and should link it with foreign policy. Next, the distribution method of the Taekwondo demonstration culture as a new Hallyu content should have exposure through media and utilization of social media. Final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ekwondo demonstration culture as a new Hallyu content required culture content production method and expansion of culture content like K-culture. As shown in the above conclusion, globalization of Taekwondo can be rooted all over the world as a sport for everyday life based on the value derived from the spirit of Taekwondo rather than the technique of Taekwondo, together with the adoption of Taekwondo as an Olympic sporting event through sportization of Taekwondo. This was possible because of the role of the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In addition, the Taekwondo demonstration area is gradually becoming more publicly friendly due to the dominant values of society as a whole. Therefore, the globalization of the Taekwondo demonstration culture should be settled properly to make the globalized Taekwondo more prominent and to strengthen the Korean culture.

      • KCI등재후보

        다문화 시대에서의 민족문화콘텐츠 ‘태권도’: 가치와 전망을 중심으로

        강재원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3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sound theoretical basis for traditional Korean cultural contents. This was done by finding ideal values and possibilities of taekwondo as ethno-cultural content in global and multicultural contexts. The functional, educational and social values of taekwondo have become core elements of traditional and modern products of taekwondo around the world. The study also concluded that a number of taekwondo values as ethno-cultural contents that can be very useful for developing (1) a new paradigm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s between local and global dimensions; (2) national economic growth through global taekwondo families and the Korean diaspora networks; and (3) international education contents. 민족문화콘텐츠인 태권도는 다문화 시대에서 희석되어 가고 있는 민족문화 정체성 유지와 고유문화로 계승 발전된 한국의 문화가치를 세계화하는데 있어 독창적이며 창의적인 자산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태권도의 세계화에 따른 기능적, 교육적, 사회적인 측면에서 민족문화콘텐츠로서 태권도의 가치는 세계적 성장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태권도콘텐츠는 세계화와 다문화 시대에서 세계문화와 한국문화의 가치를 동시에 포용하며 글로벌 경쟁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새로운 한국문화 발전 패러다임을 창출해 나갈 수 있는 시너지역할이 가능하다. 둘째, 전 세계 7천만 이상의 태권도인들과 700만 한인 디아스포라 등 충분한 글로벌 인적 네트워크는 태권도콘텐츠의 지속적인 생산 보급을 촉진하고 유통·마케팅 비용절감에 실효를 거둘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하다. 또한 무주 태권도원(園)과 국기원 등의 태권도관련 문화시설콘텐츠와 이벤트콘텐츠는 전통문화와 역사 체험 및 관광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한국문화 보급과 국가경제 활성화에 큰 가능성을 열어 두고 있다. 셋째, 이미 미국과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태권도가 정식교과과목을 채택되어 운영되고 있는 시점에서 인성 교육의 가치를 지향하는 태권도는 전 세계 태권도교육콘텐츠와 에듀테인먼트 및 캐릭터 개발 사업에 큰 파급 효과를 줄 것으로 전망된다.

      • KCI등재

        태권도 시범문화에 발현된 내셔널리즘

        권경상 ( Kwon Kyung-sang ),권헌수 ( Gwon Heon-su ),권구명 ( Kwon Goo-myeung ) 국기원 2018 국기원태권도연구 Vol.9 No.2

        이 연구는 태권도 시범문화에 발현된 내셔널리즘을 규명하기 위해 내셔널리즘을 개념적 준거틀로 태권도 시범문화를 분석하였다. 태권도 시범문화는 과거로부터 국가 주도적으로 사용되어져 왔으며, 이는 국가주의와 민족주의를 작동하게 만들었다. 태권도의 긍정적인 이미지는 국가의 이미지와 동일시되었고, 결국 국민들이 태권도는 우리 민족의 정체성이라고 인식하게 되었다. 태권도 시범문화에는 국위선양을 전제로 한 내셔널리즘이 발현되는데, 이는 국가의 지속적인 정책들 때문이었다. 이로 인해 태권도 시범문화는 수련의 가치를 입증할 수 있는 문화 예술적형태로 변모하게 되어, 국가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도록 용이하게 되었다. 태권도 시범문화는 상업적 가치와의 결합보다는 정치와의 결합적 형태가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태권도 시범문화를 외교적 수단으로써의 활용 측면에서 개인의 성취가 문화외교사절로 상징화와 동일화 단계를 반복하여 거치게 됨으로써 올림픽 종목으로의 진입, 유지, 정착의 성과들이 나타나는 것으로 설명된다. 결국 태권도 시범문화와 내셔널리즘이 결합하였을 때 반드시 부정적인 요소만을 지니고 있지는 않다. 내셔널리즘은 태권도의 세계화를 거치면서 태권도 시범문화의 기동력이 되는 이념이었으며, 절대적 권력을 차지하기 위한 이념적 도구로써의 내셔널리즘이 아닌 세계인의 공통분모로써의 태권도와 태권도 시범문화가 될 수 있어야 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Taekwondo demonstration culture with the conceptual standard of sports nationalism in order to investigate the nationalism manifested in the Taekwondo demonstration culture. The Taekwondo demonstration culture has been used as a national initiative since past, which made statism and nationalism work. The positive image of Taekwondo is identified with the image of the nation. The nationals of the Republic of Korea recognize Taekwondo as the identity of their nation. Taekwondo demonstration culture is more connected with politics than commercial value. The Taekwondo demonstration culture is based on the nation's sustained policies, which are based on the assumption of national prestige. As a result, Taekwondo demonstration culture is transformed from a speculative character that can demonstrate the value of training to culture and art form, making it easier to enhance the image of the nation. It is explained that the achievements of entry, maintenance, and settlement of Olympic events are showing the achievement of the individual is repeatedly symbolized and equalized in terms of the use of Taekwondo demonstration culture as diplomatic means. Ultimately, the combination of Taekwondo demonstration culture and nationalism does not necessarily have negative factors. Nationalism was an ideology that became the driving force of the Taekwondo demonstration culture through the globalization of Taekwondo and should serve as a Taekwondo and Taekwondo demonstration culture as a common denominator of the world, not of nationalism as an ideological tool to take absolute pow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