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컴퓨터보조 자기장학이 초임교사의 교수기술과 교수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김경현 한국교원교육학회 200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컴퓨터보조 자기장학이 초임교사의 교수기술과 교수효능감 향상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동시에 교수기술 및 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과 절차를 따라야 하는지에 대한 처방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컴퓨터보조 자기장학을 초임교사에게 적용하면 초임교사의 교수기술과 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음이 밝혀졌으며, 초임교사의 교수기술과 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수업장학보다 컴퓨터 수업분석 중심의 장학이 요구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또한, 인터넷을 활용한 자기장학의 적극적인 지원은 교사 자신의 수업 수행에 대한 자신감과 신념을 향상시키며, 사이버장학 요원에 의한 컴퓨터보조 자기장학의 지원은 교사의 수업기술 수준과 요구를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학교 현장에서 초임교사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해서는 컴퓨터보조 자기장학의 도입을 적극 권장할 필요가 있으며, 임상장학, 자기장학, 동료장학, 약식장학, 교내연수 등을 종합적으로 실시하는 전통적인 수업장학의 형태보다 수업기술과 교수효능감 향상을 중심으로 한 컴퓨터보조 자기장학의 실시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초?중등학교의 교사 교육에만 한정할 것이 아니라 인간의 학습을 다루는 분야, 예를 들면, 학원강사, CEO, 사이버 튜터, 교수 등으로 그 영역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KCI등재

        컴퓨터 보조 수업과 웹기반 수업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

        이경국 한국상업교육학회 2007 상업교육연구 Vol.16 No.-

        본 연구는 상업계 고등학교의 전문 교과 수업 시 활용되고 있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웹기반 수업(WBI)과 컴퓨터 보조 수업(CAI)에 관한 학습자의 태도를 연구했으며, 학습자의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교육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두 수업을 전문 교과 수업 중에서 전산회계 실무 과목에 한정 보다 바람직한 수업의 모델을 제시하고, 학업 성취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업 방안을 연구 했다. 본 연구의 결과 컴퓨터 보조 수업의 경우 학습자 태도 및 학업 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웹기반 수업도 학습자 태도와 학업 성취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효과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 주목할 점은, 컴퓨터 보조 수업의 학습자 태도에 미치는 요인은(0.361), 학업 성취에 미치는 요인은 (0.466)으로 나타나 웹기반 수업의 학습자 태도(0.191), 학업 성취(0.390)보다 높게 나타나 두 수업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학습자 태도는 학업 성취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학습자 중심의 수업 진행과 새로운 수업 형태를 개발 응용함으로서 정보화 사회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한 맞춤형 교육을 학습자에 제공하는 능동적 수업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따라서 수업의 형태를 교과목의 특성에 맞게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연구에서는 특정 과목만을 연구 했으나 향후 전문교과 전체에 대한 학습자 태도 및 학업 성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This study researched on the attitude of the students on internet-based Web-based Instruction and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which are internet-based and utilized during instructions on specialized subjects at commercial high school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the format of the 2 types of instructions on the attitude of students during instructions on specialized subjects. Positive effect on the effect of learning has been confirmed by presenting more desirable model for instructions during instruction on specialized subjects through research on effect of the formats of aforementioned 2 instructions that are generalized in commercial high school and ordinary high schools on the academic performances of students. It has been found through the research that; firstly,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illustrates positive effect on study attitude and effect at about 1% significance level for each; secondly, it has been found that web-based instruction has significant effect on the study attitude and effect with study attitude imparting significant effect on the study effect.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format of study to the students with consideration for the characteristics of specialized subjects through the research.

      • KCI등재후보

        컴퓨터 보조수업의 활용실태에 대한 분석

        최택영,박용길,조원종,Choi Taeg Young,Park Yong Kil,Cho Won-Jong 한국학교수학회 2005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8 No.2

        본 연구는 중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컴퓨터 보조수업의 활용실태를 알아보고, 컴퓨터 보조수업에 대한 수학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설문지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학 수업에서 컴퓨터 보조수업의 교육적 효과 및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활용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 보조수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코스웨어의 개발, 컴퓨터 사용 환경개선 및 교사 연수 등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과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This study is aimed at checking on the extent of practical use of CAI in mathematical classes in secondary schools, thus seeking a way of activating the practical use of CAI, with computer networks being widely used for education.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mong some 120 mathematics teachers and 350 stud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City of Kunsan, with questionnaires designed to survey the extent and effectiveness of the use of CAI, the teachers and students' awareness of CAI. In consequence, this research shows the following: The use of CAI was of considerable help in conducting mathematics classes, along with CAI used in a more effective way, but education materials concerning CAI were poorly managed and not a few teachers was negative toward the use of CAI in mathematics classes. In short, the practical use of CAI was unsatisfactory, probably due to the lack of application ability on the part of teachers caused by the perfunctory teachers' training. In conclusion, the practical use of CAI in classes can be activated as follows: CAI apparatuses and other teaching aids should be systematically managed by experts; high-quality CAI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to help teachers conduct effective classes; teachers should be positively encouraged to make practical use of CAI through teachers' training and a plan of obligating teachers to use CAI for one or two fixed class hours in a week may be strongly recommended.

      • The application and effect of the computer on handicapped child education

        장내찬 대불대학교 1999 論文集 Vol.5 No.1

        컴퓨터는 이이디어를 전달하고 새로운 지식에의 접근 가능성을 높여 주는 역할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인지적으로 사고하는 방식을 제공해 준다. 따라서 컴퓨터는 학습자의 심리적, 사회적 발달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컴퓨터는 지루해 하거나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 학습자에게 반복적 학습기회를 줌으로써 그 자신의 학습진도에 따라 학습하는 개별학습을 가능토록 해준다. 특히 CAI (컴퓨터 보조 수업)은 낮은 수준의 학습자에게 그들의 학습 진도에 따라 수업을 가능하도록 하기 때문에, 학습능력향상은 물론 학습으로부터 생기는 심리적, 사회적 압박감을 줄일수 있게 해준다. 컴퓨터에 여러 시각 및 청각 보조 장치를 설계, 부착시킴으로써 시각 혹은 청각 장애자들로 하여금 효과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예로써 Kurzwill Reading Machine, Microwriter or Quinkey, IVSET등 특수아 교육을 위해 특별 제작된 학습 자료들은 장애자들이 학습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보를 그들에게 알맞은 형태로 변형시켜준다. CAI는 학생들로 하여금 개인차에 따른 개별화 학습을 가능케함으로써 지나친 경쟁심과 극단적인 동기를 피할 수 있게 해주어 정신적 신체 결합으로부터 생길 수 있는 열등감을 줄일 수 있도록 해준다. 그들은 자신들의 학습 속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기 때문에 인지적 학습능력뿐만 아니라 정서적 발달도 성취할수 있다.

      • KCI등재

        상황맥락적인 피드백을 활용한 CAI가 화학 학습에 미치는 효과

        김경순,정경진,차정호,강이영,노태희,Kim, Kyung-Sun,Chung, Kyoung-Jin,Cha, Jeong-Ho,Kang, Yi-Young,Noh, Tae-Hee 대한화학회 2007 대한화학회지 Vol.51 No.2

        이 연구에서는 컴퓨터 보조 수업에서 상황맥락적인 피드백의 활용이 학생들의 개념 이해도, 과학 학습동기, 컴퓨터 보조 수업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인천시의 한 남녀 공학 중학교에 있는 1학년 114명의 학생들을 상황맥락적 피드백 CAI, 피드백 CAI, CAI 집단에 배치하고, 8차시 동안 ‘물질의 세 가지 상태'와 ‘분자의 운동'에 대하여 수업을 실시하였다. 구획변인은 중간고사 과학 성적을 사용하였다. 이원 공변량 분석 결과, 사전 과학 성취 수준에 관계없이 상황맥락적 피드백 CAI 집단의 개념 이해도 점수가 다른 CAI 집단에 비해 높았고, 그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상위 학생들의 경우 피드백 CAI 집단의 과학학습 동기 점수가 CAI 집단의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으나, 하위 학생들의 경우에는 세 집단 간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컴퓨터 보조 수업에 대한 인식의 경우, 상황맥락적 피드백 CAI 집단과 피드백 CAI 집단의 상위 학생들은 CAI 집단의 상위학생에 비해 컴퓨터 보조 수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피드백 CAI 집단의 하위 학생들은 다른 두 CAI 집단보다 부정적인 인식이 약간 높았다. 교육학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ituational context feedback in CAI upon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the perception of CAI. Seventh graders (N = 114) from a coed middle school in Incheon were assigned to the situational context feedback CAI (SCF-CAI), the feedback CAI (F-CAI) and the CAI groups, and were taught about ‘three states of matter' and ‘motion of molecules' for 8 class hours. Prior science achievement test score used as a blocking variable. Two-way ANCOVA results revealed that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test scores of the SCF-CAI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For the higher achievers, the scores of the F-CAI group i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tes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AI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lower achievers of three groups. The higher achievers in the SCFCAI and the F-CAI groups perceived the CAI more positively than those of the CAI group. The lower achievers in the FCAI group perceived the CAI more negatively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미래 교육에 대한 불안과 오해의 분석 및 해결 방안

        박상준 全州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22 初等敎育硏究 Vol.33 No.1

        이 논문은 미래 교육에 대한 불안의 실태를 분석하고 미래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요즘 언론과 소셜 미디어, 교육부와 교육청이 미래 교육에 대한 불안감을 조장하고 있다. 이런 불안은 미래 교육을 에듀테크, AI, 메타버스 같은 첨단 기술을 활용한 교육으 로오해한것에발생한다. 그러나주의깊게살펴보면,1990년대를기준으로하더라도컴퓨터보조수업은슬라이 드 또는 실물 화상기를 통해 교육내용이나 학습자료를 보여주던 것을 컴퓨터와 빔프로젝 터를 활용해 보여주는 것으로 바꾸었을 뿐이고, 기존의 교육 방식과 다른 미래 교육이었 다고할수없다.2000년대시작된인터넷활용수업도마찬가지이다.인터넷을활용해수 업 관련 영상을 보여주거나 자료를 검색하는 것 이외에 기존의 교육 내용이나 방법과 별 로달라진것이없다. 2020년 4월 코로나19로 온라인 수업(원격 수업)을 2년간 실시했는데, 첨단 기술을 활용 한온라인수업이미래교육의효과를거두지못하고오히려학력저하와학습격차를더 심화시켰다. 이런 점에서 온라인 수업이 미래 교육이라고 하기 어렵다. 그리고 최근 인터 넷 세상을 넘어 새로운 가상 세계인 메타버스(metaverse)가 유행하면서, 메타버스 활용 수업이 미래 교육의 방향으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인터넷이나 온라인 교육 플랫폼을 활용한수업이곧미래교육이아닌것처럼,메타버스를활용한수업이곧바로미래교육 이되는것은아니다.그것들은미래교육을위한환경이나매체일뿐이다. 또한 역량 교육이 강조되면서, 역량을 지식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잘못 이해하여 지식 대신에 역량의 교육에 초점을 맞추는 것을 미래 교육으로 오해하는 교사들이 많다. 하지 만 ‘역량’은 단지 사고 능력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와 관련된 지식, 가치에 기초 하여다양한문제를창의적으로해결하고그에따라행동하고책임지는것을모두포함한 다. 즉, 역량은 지식, 가치, 기능, 행위 수행이 종합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총체적 개념’이 다. 종합하면, 미래교육은첨단기술이나매체를활용해수업하느냐가아니라미래사회에 서요구되는역량을얼마나효과적으로교육하느냐에의해규정된다. 미래교육의핵심은 교사 중심 수업 패러다임을 학생 중심 수업 패러다임으로 바꾸어, 학생이 주도성을 가지 고미래역량을주체적이고능동적으로학습하도록지원하는것에달려있다.

      • SCOPUSKCI등재

        사전 성취 수준에 따른 협동적 컴퓨터 보조 수업의 효과

        노태희(No, Tae-Hui),차정호(Cha, Jeong-Ho),윤선애(Yun, Seon-Ae),강석진(Gang, Seok-Jin) 대한화학회 2002 대한화학회지 Vol.46 No.4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사전 성취 수준에 따른 협동적 컴퓨터 보조 수업의 쇼과를 개념 이해도, 개념 적용력, 학습 동기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서울시의 중학교 2개 학급을 대상으로 분자 운동 단원에 대해 5차시 동산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 처치 전, 학습 동기 검사를 실시하여 공변인으로 사용하였다. 사전 학업 성취도 검사 점수는 개념 관련 변인의 공변인으로 사용하였다. 중간고사 과학 성적을 조사하여 구획변인으로 사용하였다. 수업처치 후 , 개념검사, 개념 적용력 검사, 학습 동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원 공변량 분석 결과 개념 검사와 개념 적용력 검사 점수에서는 처치 집단과 통제 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학습 동기 검사에서는 처치 집단의 점수가 통제 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높았다. In this study, the effect of cooperative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upon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application ability, and learning motivation were investigated by a previous achievement level. The treatment and the control groups (2 classes) were selected from a middle school in Seoul, and taught about the motion of molecule for 5 class periods. Prior to the instructions, a learning motivation test was administered and used as covariate. The scores of a previous achievement test were also used as covariate. The scores of the mid-term science examination were used as blocking variable. After the instructions, the conceptions test, the application test, and the learning motivation test were administered. Two-way ANCOVA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the con-ceptions test and the application test. However, the scores of the treatment group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the learning motivation test.

      • KCI등재

        전기화학적으로 형성된 알파 상 니켈 수산화물의 층간 거리에 미치는 음이온의 영향 연구

        김광범,배상원,이재성,남경완,Kim, Gwang-Beom,Ganesh Kumar, V.,Bae, Sang-Won,Lee, Jae-Seong 대한화학회 2006 대한화학회지 Vol.50 No.2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화학II 교과서의 ‘용액' 단원에 대한 내용을 입자 수준으로 표현한 컴퓨터 보조 수업자료를 개발하고 그 효과를 고등학교 1학년과 2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개발된 내용은 교과서에서 제시한 ‘용액' 단원의 주요 내용으로 용해, 증기압, 끓는점과 어는점의 변화, 삼투현상 등으로 구성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애니메이션과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자료를 개발하였다. 이 자료에서는 특히 용액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대한 주요 개념을 입자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중점을 두었 다. 용액의 여러 현상들을 용액의 총괄성으로 단순화하지 않고, 용매와 용질 사이의 인력 개념으로 설명하였다. 용액과 관련된 자료의 제작은 플래시 5.0과 플래시 6.0의 Action Script를 이용하였다. 개발한 자료를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투입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개념 향상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고등학교 1학년은 과도기와 형식적 조작기 학생들에게, 그리고 고등학교 2학년의 경우에는 형식적 조작기 학생들과 자연계열 학생들에게서 그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In this study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materials for the ‘Solution' chapter in high school chemistry II textbook were developed based on a view of particle and analyze the effect of the materials on 10th and 11th high school students. The contents of developed materials are dissolution, vapor pressure, the change of boiling point and freezing point, osmosis, and so on which are the major contents of Solution chapter in high school chemistry II textbook. Materials were developed with using animation and simulation for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a with a particle view point. Many phenomena in a solution were not simplified by colligative property of solution, but tried to explain by the concept of attraction between solute and solvent molecules. This computer assisted learning materials were developed using Flash 5.0 and Flash 6.0 Action Script. Educational effects of the materials on 10th and 11th grade students represented statistically meaningful increase of concept understanding. Especially the materials were effective to the transition stage or formal stage students in 10th grade and formal stage or the natural science major students in 11th grade.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시각적 학습 선호도에 따른 정화상 CAI와 애니메이션 CAI의 효과 비교

        차정호,김경순,노태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04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7 No.5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시각적 학습 선호도에 따른 정화상을 이용한 CAI와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CAI의 효과를 학습자의 개념 이해도, 개념 응용력, 학습 동기의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서울시에 소재한 중학요에서 1학년 59명을 대상으로 분자의 운동에 대하여 4차시 동안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원 공변량 분석 결과, 학습자의 시각적 학습 선호도와 관계없이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CAI 집단이 정화상을 이용한 CAI 집단 보다 개념 검사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그러나 개념 응용력 검사와 학습 동기 검사 결과는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visual learning preference levels in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CAI) using static graphics and animations on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s, application abilities and learning motivations. Fifty-nine seventh graders were selected from a middle school in seoul, and they were taught about the motion of molecule for 4 class hours. Two-way ANCOVA results revealed that the scores of the conception test of the animations group, regardless of student's visual learning preference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static graphics group.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scores of application test and learning motivation t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