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글로벌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의 시장 및 경영 현황 분석

        이주호(Lee, Joo-Ho),원승환(Won, Seung-Hwan),최나영환(Choi, Na-Young-Hwan),윤원영(Yun, Won-Young) 한국항만경제학회 2016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32 No.3

        컨테이너 터미널은 한 번 건설되면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컨테이너 터미널과 관련된 의사결정은 항만 관리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컨테이너 터미널과 관련된 항만 관리의 초기 개념은 단순한 화물 연계 지점이었지만 운송 및 서비스의 중심지, 생산 및 유통 네트워크의 개념을 거치면서 진화하였고 최근에는 항만 관련 기업의 글로벌 운영으로 발전하였다. 본 연구는 글로벌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에 대한 최신 자료를 수집하여 시장 집중도와 경영 현황에 대한 분석을 집중적으로 수행하고자 한다. 먼저 글로벌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의 개념을 정립하고 글로벌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의 일반적인 현황을 정리한다. 이어서 글로벌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의 세계 시장에 대한 시장집중도를 분석하고, 글로벌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의 경영 현황을 수익성, 활동성, 안전성으로 나누어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의 경영 현황에 대한 포지셔닝 맵을 분석하여 군집화를 제안한다. Once it has been built, a container terminal is impossible to move to another location. It is hard to rectify wrong decisions in a container terminal. Thi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decision making for a container terminal. The port management about a container terminal has developed from a cargo interface location between sea and land transport, to the standardization of information and procedures due to globalization among global shipping and terminal operators.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current states of market and management for global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by investigating up-to-date data for them. The current market states for global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are analyzed by using by Herfindahl-Hirschman Index. The analyses of current management states for global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are divided into profitability analysis, activity analysis, and bankruptcy risk analysis. Finally, global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are clustered into three groups by the current management states.

      • KCI등재

        오버헤드 셔틀 컨테이너 터미널의 안전사고 대비 운영 전략

        원승환 ( Seunghwan Won ),조성우 ( Sungwoo Cho ),최상희 ( Sanghei Choi ) 한국로지스틱스학회 2017 로지스틱스연구 Vol.25 No.4

        컨테이너 터미널의 자동화는 1993년 네덜란드 로테르담항의 ECT Delta Terminal로부터 2017년 중국 칭다오항의 Qingdao Qianwan Container Terminal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진화하고 있다. 현재까지 컨테이너 터미널의 자동화는 보관 시스템의 자동화와 하위시스템 간 전달의 자동화가 주를 이루었고, 앞으로는 야드 자동화의 한계를 극복하여 터미널 내의 모든 작업을 자동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으로 예상된다.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은 운영, 안전·보안, 환경·지속가능성, 경제·재무 측면에서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이러한 장점을 획득하고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교하고 안정적인 운영이 전제되어야 한다. 특히 자동화 터미널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운영기술에 대한 투자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세계적인 자동화 추세에 맞추어 해양수산부에서 2013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저탄소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에 포함되어 있는 새로운 유형의 컨테이너 터미널의 안전사고 대비 운영 전략을 다루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안전사고는 터미널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하역장비 및 이송장비로 인한 사고, 작업자로 인해 발생하는 인사사고 및 물적 피해 사고, 자연재해 사고로 정의한다. 새로운 유형의 컨테이너 터미널 특히 자동화 터미널의 개발에서는 터미널의 위험 요인을 제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연구 대상인 오버헤드 셔틀 컨테이너 터미널의 개념과 구조를 소개한다. 그리고 기존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야드 하역장비의 안전사고를 분석하여 오버헤드 셔틀 컨테이너 터미널의 안전사고 분석에 참고한다. 그 후 본격적으로 오버헤드 셔틀 컨테이너 터미널의 안전사고 유형을 도출한다. 도출된 안전사고 유형별로 안전을 위한 기능과 세부 요구사항을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오버헤드 셔틀 컨테이너 터미널의 안전사고 대비 운영 전략으로 시스템 구성요소별 안전 요구사항, 유지보수 요구사항, 안전사고 처리방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부산항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운영을 담당하는 전문가 7인의 인터뷰를 통해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오버헤드 셔틀 컨테이너 터미널의 설계와 운영에 반영된다면 새로운 개념을 실용화하는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automation of container terminals has continuously evolved from ECT Delta Terminal, Port of Rotterdam, the Netherlands, 1993 to Qingdao Qianwan Container Terminal, Qingdao Port, China, 2017. Until now, the automation of container terminals has focused on the automation of storage systems and the automation of transfer between subsystems. In future, it is expected to recover the limitation of yard automation and to automate all the tasks in terminals. Automated container terminals have advantages from the several aspects - operation, safety and security, environment and sustainability, and economy and finance. In order to obtain those advantages and recover some disadvantages, the sophisticated and stable operations of terminals are required. Especially, it is very important to invest the operation technologies which can reduce the risks of automated terminals. This research discusses operation strategies to cope with safety accidents in a new type of container terminal involved in “Low-carbon Automated Container Terminals by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The safety accidents in the research are defined as the accidents by container handling and carrying equipment, the human accidents and physical damage by workers, and the accidents by natural disasters, in terminals. It is necessary to eliminate risk items to in automated container terminals. This paper, first of all, introduces the concepts and structures of overhead-shuttle container terminals. Next, it analyzes the safety accidents of typical yard equipment in conventional container terminals. Next, it deduces the safety accident types in overhead-shuttle container terminals. And then, it explains the functions and the specific requirements for safety, by the safety accident types. Finally, it proposes operation strategies to cope with safety accidents in overhead-shuttle container terminals. The operation strategies consist of the requirements for safety of system components, the requirements for maintenance and the processing procedures of safety accidents. The research results were verified by interviewing seven professionals in charge of the operation of container terminals in Busan Port. If the results are applied to the design and operation of overhead-shuttle container terminal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commercialization of overhead-shuttle container terminals.

      • KCI등재

        저탄소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 긴급상황 및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조성우(Sung Woo Cho),최상희(Sang Hei Choi),원승환(Seung Hwan Won)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17 전자무역연구 Vol.15 No.2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저탄소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의 긴급상황 유형, 이에 대한 대처방안 그리고 긴급상황 관련 비상운영 계획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제시하고자 한다. 논문구성/논리: 본 연구는 총 5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2장에서는 저탄소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의 개념 그리고 긴급상황의 정의 및 기존 컨테이너 터미널의 긴급상황 유형에 대해서 정리하였다. 3장에서는 기존 터미널의 긴급상황에 대해 정리한 내용을 바탕으로 저탄소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의 긴급상황 유형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저탄소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의 긴급상황 대처방안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제시하였다. 내용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방법은 온라인 설문과 1:1 인터뷰 방식을 병행하여 진행하였다. 마지막 장에서는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함의를 제시한다. 결과: 기존 컨테이너 터미널의 긴급상황 유형을 바탕으로 저탄소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 긴급상황 유형을 정리하였다. 설문조사를 기초로 정리된 내용을 바탕으로 2인의 자문위원을 직접 방문하여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결과를 최종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장비 혹은 설비의 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유형에 대한 부분이 완성도가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대처방안을 제시한 이후 제4장에서는 각각의 긴급상황 유형에 대해 사전 점검 사항을 정리하고 각 점검 사항을 6개 분야(전기, 제어, 기계, 토목, 운영, TOS)로 구분하여 제시함으로써 독자의 가독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독창성/가치: 2014년 발생한 세월호 참사 이후 안전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항만 터미널 안전에 대한 연구가 재조명되고 있다. 기존 컨테이너 터미널의 긴급상황 유형 및 대처방안을 제시하는 연구는 진행되고 있고 있는 반면 미래지향적 신개념 컨테이너 터미널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저탄소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을 포함하여 미래지향적 신개념 터미널을 설계하고 구축하는데 있어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긴급상황, 대처방안, 비상운영 계획(분야별 사전 점검 사항)을 참고한다면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emergency case s and propose management, contingency plan for a low-carbon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Composition/Logic: The paper is organized into five chapters. Chapter 2 deals with the concept of low-carbon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the definition of an emergency case, and the types of emergency cases in the existing container terminal. Then, it analyzes the emergency case and management plan for a low-carbon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based on an analysis of the existing container terminal. Chapter 4 describes the contingency plan, along with the decision criteria. Finally, the authors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present its implications. Findings: The study proposes the details of the emergency case of a low-carbon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xisting container terminal. In order to upgrade the quality, we surveyed 7 operational experts at the container terminal in Busan. The questionnaire-based survey was carried out using written inquiries and the interview method. The authors recognize that the types of emergency cases for a low-carbon,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are fully explained. However, the types of cases caused by shifting equipment and facilities are identified as dissatisfied in the accomplishment perspective. Originality/Value: A study on safety improvement has assumed greater significance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and industry experts have called for the need for safety at port. A lot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contingency plan for the existing container terminal. However, this study is future-oriented and focuses on new concepts and issues relating to the container terminal issues. It also offers a variety of practical suggestions and analyzes their implications.

      • KCI등재

        컨테이너 터미널에 적용 가능한 인더스트리 4.0 기반 제품/서비스의 개념 설계 및 중요성 분석

        웨이치 ( Qi Wei ),원승환 ( Seunghwan Won ) 한국로지스틱스학회 2018 로지스틱스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국제 컨테이너 무역의 증가, 선박 크기의 대형화, 항만 작업 안전에 대한 주목 증가, 인더스트리 4.0 기반 기술, 최신 물류 트렌드를 배경으로 컨테이너 터미널의 하역 생산성과 운영 안전성 향상을 위해 개발이 필요한 제품/서비스를 대상으로 한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이라고도 불리는 인더스트리 4.0 기반 기술은 미래의 인력 공급에 대한 불확실성을 더욱 가속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컨테이너 터미널은 미래의 발전 방향을 기반으로 새롭게 설계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인더스트리 4.0 기반 기술을 활용하여 컨테이너 터미널의 하역 생산성과 작업 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품/서비스의 개념을 새롭게 설계한다. 또한 제시한 제품/서비스의 중요성을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한다. 중요성 분석은 우선순위와 적용시기로 구성된다. 우선순위 분석에는 다요소 의사 결정 방법의 하나인 선형 할당법이 사용되며, 이를 통해 제품/서비스의 우선순위가 결정된다. 제품/서비스의 적용시기는 향후 5년 이내와 5년 이후로 나누어진다. 중요성 평가 결과, 우선순위가 매우 높고 적용시기가 5년 이내인 제품/서비스 개념으로는 고효율 장치장, 자동화 다중 센서, 지능형 컨테이너 식별 태그, 외부차량 출입 관리, 물류 마켓플레이스, 컨테이너 하역 사고 예방, 장비 운행 보호자, 지능형 무인운반차 등이 있었다. 우선순위가 매우 높고 적용시기가 5년 이후인 제품/서비스 개념으로는 스마트 안벽 크레인, 이동식 수리 로봇 등이 있었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특히 빅데이터, 디지털 식별자, 사물 인터넷, 센서 기술, 로봇 및 자동화, 자율주행차, 기계학습, 무인 항공기 등의 기술을 기반으로 설계한 제품/서비스가 컨테이너 터미널에 잘 활용될 것으로 전망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물류의 자동화와 스마트화는 거역할 수 없는 미래의 추세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특히 미래의 물류산업에서 겪을 것으로 예상되는 인력에 대한 불확실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로봇과 기계를 사용한 자동화와 스마트화가 필수적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현재 운영되고 있는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안벽 크레인 운용, 컨테이너 야드 운영, 반·출입 관리에서 많은 개선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컨테이너 터미널 내·외부 서비스의 통합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컨테이너 터미널의 문제점 개선, 미래 컨테이너 터미널의 설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ducts and services that need to be developed to improve the productivity and operational safety in container terminals, based on the increase of international container trade, the enlargement of vessel size, the increase of attention to port work safety, Industry 4.0 technologies, and the latest logistics trends. Industry 4.0 technologies, especially called the Fourth Industry Revolution, is expected to increase the uncertainty about future manpower supply. To respond to these changes, container terminals should be newly designed according to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esigns the concept of products and services for improving the productivity and safety in container terminals by utilizing Industry 4.0 technologies. We also analyze the importance of the products and services provided by the expert questionnaire. The importance analysis consists of the priority and the application period. For priority analysis, a linear assignment method, a type of multi-attribute decision making, is used and the priorities of products and services are decided. The application period of products and services is divided into 5 years or less and 5 years or more. As a result of the importance evaluation, the concept of products and services with a high priority and an application period of 5 years or less includes the high efficiency yard, the automated multi-functional sensor, the intelligent container identification tag, the external vehicle in-out control, the logistics marketplace, the container handling accident prevention, the equipment operation protector, and the intelligent unmanned vehicle. The concept of products and services with a high priority and an application period of 5 years or more includes the smart quay crane and the mobile repair robot.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products and services designed based on technologies such as big data, digital identifiers, internet of things, sensor technologies, robots and automation, autonomous vehicles, machine learning, and unmanned aerial vehicles. Through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automation and smartization of logistics are the future trends that can not be rebutted. In particular, the automation and smartization using robots and machines are necessary to solve the uncertainty problem of the manpower expected in the future logistics industry. In addition, we confirmed that many improvements are needed in the quay crane operation, the container yard operation, and the gate-in/out management in the currently operated container terminals. For this, the integration of in and out services of the container terminals should be don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present container terminal problems and the design of the future container terminal.

      • 컨테이너항만의 서비스품질이 항만의 고객만족도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상해항의 사례를 중심으로

        박승락 청주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15 경상논총 Vol.8 No.1

        본 논문에서는 SERVQUAL 모형을 활용하여 상해항 컨테이너터미널의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 하였다. 우선 컨테이너항만의 서비스 품질과 고객충성도에 대한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였고, 상해항 컨테이너터미널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컨테이너터미널의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도 및 충성도의 상관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 하였다. 컨테이너항만의 서비스 품질 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5개의 서비스 품질 요인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5개의 서비스 품질요인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위해 상해항 컨테이너 터미널의 주요 이용자인 선사, 화주 및 물류회사를 대상으로 항만으로부터 제공받는 서비스 성과에 대한 지각을 측정함으로써 항만컨테이너 터미널의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도 및 고객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초점을 두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해항 컨테이너 터미널의 항만 물류서비스 품질은 항만의 고객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둘째, 상해항 컨테이너터미널의 물류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도는 항만의 고객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해항의 고객만족도가 높아질수록 고객충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해항 컨테이너터미널의 경우 물적 시설 제공 중심의 유형성 품질요인과 대응성 품질요인 보다는 이 더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곧 상해항 컨테이너 터미널은 앞으로 고객들에게 유형성과 대응성 관련 물류서비스 품질 요인들 보다는 확신성, 신뢰성, 공감성 관련 서비스 품질요인에 우선적으로 노력을 경주해야 고객들로부터 보다 큰 만족과 충성도를 확보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그 동안 일반 서비스품질 연구에서 이용되어 오던 연구모델 및 연구가설을 컨테이너항만분야에 새롭게 적용하여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함으로써, 컨테이너항만 물류서비스 품질 연구 분야에서 과학적인 연구를 위한 하나의 방법론을 제시함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또한 본 연구의 시사점들은 부산 신항만을 중심으로 상해항만 같이 세계적인 허브항만을 목표로 하는 우리나라 부산항의 항만정책 수립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컨테이너 터미널 성능평가를 위한 대용량 이벤트 로그 정제 방안 연구

        박은정,배혜림 사)한국빅데이터학회 2019 한국빅데이터학회 학회지 Vol.4 No.1

        컨테이너터미널 경영환경이 악화됨에 따라 컨테이너터미널의 수익률은 점차 감소하고 있다.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자는 전반적인 컨테이너터미널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함으로써 컨테이너터미널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컨테이너터미널은 운영 중 생성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 및 저장하고 있으며, 운영자는 저장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운영 문제를 분석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본 연구에서는 컨테이너터미널 운영 프로세스의 특성을 분석하고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을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컨테이너 프로세스 및 CKO(container keeping object)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또한 TOS(terminal operating system)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본 연구에서 제안된 프로세스를 생성하기 위한 이벤트 로그를 정의한다. 제안된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비정상적인 프로세스를 만드는 불완전한 이벤트 로그가 어떻게 효과적으로 정제되는지 설명한다. 이벤트 로그를 쉽고 빠르게 수정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으며, 이를 검증하기 위해 python2.7을 이용하여 해당 프레임워크를 구현하였다. 또한 실제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로 사용하여 제안된 프레임워크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이벤트 로그 정제를 통해 컨테이너터미널의 비정상적인 프로세스가 크게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컨테이너터미널에서 On-Dock 시스템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차상현(Sang-Hyun Cha),노창균(Chang-Kyun Noh)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9 No.1

        최근 컨테이너터미널에서 물량유치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으며, 선사가 컨테이너터미널을 결정하는 요소는 입지조건, 하역능력, 보관, 운송에 연계된 모든 요소들에 사항을 참조하여 선사에게 유리한 조건의 컨테이너터미널을 선별 선택한다. 컨테이너터미널의 On-Dock 서비스 가능 여부 또한 선사가 컨테이너터미널을 선택을 결정짓는 요소의 한 부분으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On-Dock 시스템의 업무적 알고리즘, 엠 티 컨테이너 반출 알고리즘, 풀 컨테이너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On-Dock 시스템을 이용하여 작업 우선 순위 알고리즘, 출입 작업 우선순위 알고리즘, 엠티 컨테이너 야드 장치 할당 규칙 알고리즘을 통해서 컨테이너를 자동 할당 방식과 수동 할당 방식을 이용해서 컨테이너 반출 시간 및 컨테이너터미널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알아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반출 컨테이너 우선순위 지정 및 장치장의 블럭을 지정하여 반출 컨테이너 할당을 제어 한다. 즉, 최적 컨테이너 선정 알고리즘을 통해서, 컨테이너터미널은 엠티 컨테이너 반출 시간을 줄이고, 야드의 컨테이너에 대해서 불필요한 리핸들링을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장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Non On-Dock과 On-Dock 시스템의 작업 운영 결과는 실제 광양컨테이너터미널에서 운영되고 있는 반출 작업 운영(시나리오) 형태를 이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광양컨테이너터미널에서 On-Dock 시스템을 적용하게 되며, Non On-Dock 시스템을 적용 할 때 보다 시간이 약5분 정도 신속하게 반출이 가능하다. On-Dock 서비스를 이용하여 선사에서 수출 오더를 관리하기 위해서 엠티 컨테이너를 배정 하고, 수입 화물에 대해서는 D/O를 관리하며 반출 후 회수 관리와 컨테이너의 손상, 청소, 수리, 제어 등의 서비스를 지원하므로 대외 선사 서비스를 강화하여 컨테이너터미널 물량 유치 및 영업 증대를 꾀할 수 있을 것이다. These days Container Terminals are focusing on increasing the quantity of containers and shipping lines choose Terminals by referring to the key elements of a terminal to perform the overall operation the fastest such as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discharging ability, keeping environment, and other elements related to shipping in general. Container terminal is able to offer On-Dock service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for shipping lines to choose that terminal.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for On-Dock system work algorithm, the algorithm Empty container exports, Full Container algorithm and The aim of our study focus on both container's gate out time and search for the effective terminal operation which is using the general On-Dock system through several algorithm like container batch priority, gate in and out job priority and empty container yard equipment allocation rule based on the automatic allocation method and manual allocation scheme for container. Gathering these information, it gives the priority and yard location of gate-out containers to control. That is, by selecting an optimum algorithm container, container terminals Empty reduces the container taken out time, it is possible to minimize unnecessary re-handling of the yard container can be enhanced with respect to the efficiency of the equipment. Operations and operating results of the Non On-Dock and On-Dock system is operated by the out work operations (scenarios) forms that are operating in the real Gwangyang Container Terminal derived results. Gwangyang Container terminal and apply the On-Dock system, Non On-Dock can be taken out this time, about 5 minutes more quickly when applying the system. when managing export orders for berths where On-Dock service is needed, ball containers are allocated and for import cargoes, D/O is managed and after carryout, return management, container damage, cleaning, fixing and controlling services are supported hence the berth service can be strengthened and container terminal business can grow.

      • KCI등재

        컨테이너터미널에서 On-Dock 시스템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 광양항을 중심으로 -

        차상현,노창균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9 No.1

        최근 컨테이너터미널에서 물량유치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으며, 선사가 컨테이너터미널을 결정하는 요소는 입지조건, 하역능력, 보관, 운송 에 연계된 모든 요소들에 사항을 참조하여 선사에게 유리한 조건의 컨테이너터미널을 선별 선택한다. 컨테이너터미널의 On-Dock 서비스 가능 여부 또한 선사가 컨테이너터미널을 선택을 결정짓는 요소의 한 부분으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On-Dock 시스템의 업무적 알고리즘, 엠 티 컨테이너 반출 알고리즘, 풀 컨테이너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On-Dock 시스템을 이용하여 작업 우선 순위 알고리즘, 반출입 작업 우선순위 알고리 즘, 엠티 컨테이너 야드 장치 할당 규칙 알고리즘을 통해서 컨테이너를 자동 할당 방식과 수동 할당 방식을 이용해서 컨테이너 반출 시간 및 컨테이 너터미널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알아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반출 컨테이너 우선순위 지정 및 장치장의 블럭을 지정하여 반출 컨테이너 할당을 제 어 한다. 즉, 최적 컨테이너 선정 알고리즘을 통해서, 컨테이너터미널은 엠티 컨테이너 반출 시간을 줄이고, 야드의 컨테이너에 대해서 불필요한 리핸 들링을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장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Non On-Dock과 On-Dock 시스템의 작업 운영 결과는 실제 광양컨테이너터미널에서 운 영되고 있는 반출 작업 운영(시나리오) 형태를 이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광양컨테이너터미널에서 On-Dock 시스템을 적용하게 되며, Non On-Dock 시스템을 적용 할 때 보다 시간이 약5분 정도 신속하게 반출이 가능하다. On-Dock 서비스를 이용하여 선사에서 수출 오더를 관리하기 위 해서 엠티 컨테이너를 배정 하고, 수입 화물에 대해서는 D/O를 관리하며 반출 후 회수 관리와 컨테이너의 손상, 청소, 수리, 제어 등의 서비스를 지원 하므로 대외 선사 서비스를 강화하여 컨테이너터미널 물량 유치 및 영업 증대를 꾀할 수 있을 것이다. These days Container Terminals are focusing on increasing the quantity of containers and shipping lines choose Terminals by referring to the key elements of a terminal to perform the overall operation the fastest such as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discharging ability, keeping environment, and other elements related to shipping in general. Container terminal is able to offer On-Dock service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for shipping lines to choose that terminal.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for On-Dock system work algorithm, the algorithm Empty container exports, Full Container algorithm and The aim of our study focus on both container's gate out time and search for the effective terminal operation which is using the general On-Dock system through several algorithm like container batch priority, gate in and out job priority and empty container yard equipment allocation rule based on the automatic allocation method and manual allocation scheme for container. Gathering these information, it gives the priority and yard location of gate-out containers to control. That is, by selecting an optimum algorithm container, container terminals Empty reduces the container taken out time, it is possible to minimize unnecessary re-handling of the yard container can be enhanced with respect to the efficiency of the equipment. Operations and operating results of the Non On-Dock and On-Dock system is operated by the out work operations (scenarios) forms that are operating in the real Gwangyang Container Terminal derived results. Gwangyang Container terminal and apply the On-Dock system, Non On-Dock can be taken out this time, about 5 minutes more quickly when applying the system. when managing export orders for berths where On-Dock service is needed, ball containers are allocated and for import cargoes, D/O is managed and after carryout, return management, container damage, cleaning, fixing and controlling services are supported hence the berth service can be strengthened and container terminal business can grow.

      • KCI등재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야드 이송장비 자동화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차상현(Sang-Hyun Cha),노창균(Chang-Kyun Noh)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42 No.3

        세계 주요 컨테이너터미널들은 중심항만으로 성장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 속에서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 자동화 시설을 확충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최근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자동화 시스템의 완전 통합을 위해 시스템 설계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는 컨테이너터미널의야드 작업 효율성을 높이는 데 집중 할 수 있고 다른 컨테이너터미널 운영 프로세스와 통합이 쉬워지기 때문이다.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자동화 시스템은 고객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수익성을 향상시키는 데 필수적이다. 컨테이너터미널 가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결과적으로 생산성을 높이려면 Container Handling Equipment(CHE)의 실시간 위치와 상태확인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컨테이너터미널에 DGPS를 이용하여 컨테이너터미널 자동화 장비의 실시간 위치와 상태를 확인하고 자동화 시스템을 실제 개발, 적용, 운영하는 컨테이너터미널 야드 이송장비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요소와 기능을 살펴본 후 실제로 적용하여 기존 야드 이송장비 시스템과 야드 이송장비 자동화 시스템을 비교 분석 및 적용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또한, 컨테이너터미널의 핵심 장비인 이송장비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 최적의 야드 이송장비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하게 되면 컨테이너터미널의 생산성 및 이송장비의 효율성을 좀 더 높일 수 있다는 걸을 알 수 있었다. International major container terminals are trying to expand automation facilities in order to dominate the competition and grow as central harbors. Recently, system design and development were put underway to fully integrate automation systems in container terminals. This is because it can focus on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yard operations in container terminals and facilitates integration with other container terminal operation processes. Automation in the container terminal business today is essential to better serve customers and improve profitability. Real-time position and status of container handling equipment (CHE) have been required for more efficient terminal operations and consequently higher productivity. This study examined the real-time location and status of the container terminal automation equipment using DGPS in container terminals, and reviewed the components and functions of the container terminal automation yard equipment systems that developed, applied, and operated the automation systems. In addition, this study compared the existing yard system and the automation yard system and presented application methods. Also,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roductivity of the container terminal and the efficiency of the transportation equipment can be further increased when the optimal yard automation transportation equipment system is used to efficiently operate the transportation equipment, which is the core equipment of the container terminal.

      • KCI등재

        시스템품질이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컨테이너 터미널을 중심으로

        김진습,김하균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7

        Container terminals have grown into a global logistics base capable of various logistics services based on the relay function that connects the sea and the land in international trade. As the function of container terminals has expanded, the position of container terminals in international trade has become more important, and container terminals have become an important resource that has a great influence on national competitiveness. In Korea, international trade through import and export takes an absolute weight on national competitiveness. Therefore, the container terminals in Korea has become a very important factor that constitutes the competitiveness of the national economy and is an important research sub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system quality of container terminals on user satisfaction, business performance, and re-use inten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 the system quality types of container terminals were classified into convenience, flexibility, safety, and reactivity as the cause variables affecting user satisfac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15 days on users using the container terminal in Busan New Port, and 12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used for analysis. The SPSS 22.0 was used for elementary statistical examination of the questionnaire, and the structural equation package Smart PLS 3.0 was used for hypothesis testing. The outcom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ystem quality of container terminal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user satisfac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Second, user satisfac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use intention.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survival strategy of container terminals in the future by identifying that the system quality of container terminals is an important means of bringing competitive advantage. 컨테이너 터미널은 국제교역에 있어 해상과 육상을 이어주는 중계기능을 토대로 다양한 물류서비스가 가능한 글로벌 종합 물류기지로 성장하였다. 컨테이너 터미널의 기능이 확장됨에 따라 국제교역에서 차지하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위치는 더욱 더 중요해졌으며, 컨테이너 터미널은 국가차원의 경쟁력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자원이 되었다. 대한민국은 수출입을 통한 국제교역이 국가차원의 경쟁력에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컨테이너 터미널은 국가경제의 경쟁력을 구성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자리잡았으며, 중요한 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시스템품질이 사용자 만족도, 업무성과,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정보시스템 성공모형을 기반으로 사용자 만족도, 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변수로 컨테이너 터미널의 시스템품질 유형을 편리성, 유연성, 안전성, 반응성으로 구분하였다. 부산 신항의 컨테이너 터미널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15일간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지 12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기본통계분석은 SPSS 23.0을 사용하였다. Smart PLS 3.0은 가설검정을 위해 사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컨테이너 터미널의 시스템품질은 사용자 만족도와 업무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사용자 만족도와 업무성과는 재이용 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이 있다. 본 연구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시스템품질이 경쟁우위를 가져올 수 있는 중요한 수단임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컨테이너 터미널의 생존 전략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