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온라인 고객리뷰(OCR) 효과 결정요인에 관한 체계적 문헌연구

        한국식품유통학회 한국식품유통학회 2022 한국식품유통학회 학술대회 Vol.- No.하계

        이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고객리뷰(OCR)의 효과나 역할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소비자들에게 제품에 대한 태도 형성, 구매 의도, 또는 구매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OCR의 효과 결정요인에 대한 주요 연구결과를 분류하고 정리하고자 체계적 문헌연구(systemetic literature review)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문헌은 2011년부터 2022년 현재까지 국내에서 KCI에 게재된 문헌 457편 중에서 이 연구에 적합한 문헌들만 선정하여 최종적으로 23편의 경험적 연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방법은 체계적문헌검토 방법 중에서 투표방식(vote counting)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분석은 설명변수를 5개차원으로 분류하여 각 차원별로 OCR의 효과(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비유의, 유의(+),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세부적으로 리뷰어특성, 리뷰특성, 수용자특성, 채널특성의 설명변수별로 OCR의 효과(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고찰하였다. 연구결과는 이 분야의 연구자와 실무자에게 새로운 통찰력과 향후 연구에 대한 영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과제는 제품 관여도별, 또는 제품 카테고리별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기존 연구결과를 더욱 더 세분화 및 정교화해 나갈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체계적 분석 기법을 이용한 의미기반 이미지검색 분야 고찰에 관한 연구

        정은경,Chung, EunKyung 한국비블리아학회 2014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5 No.4

        디지털 기술과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이미지 생산, 유통, 이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미지 검색에 관한 연구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미지검색 분야는 내용기반과 의미기반으로 나뉘어 연구가 수행되어왔으며, 문헌정보학 관점에서는 특히 의미기반의 색인과 검색에 주목해왔다. 본 연구는 체계적인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의미기반 이미지검색 분야 연구 집적의 분석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는 Web of Science 수록된 문헌정보학(Information Science/Library Science)분야의 이미지검색 논문 및 학술회의 논문 총 282건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국내 연구와 비교를 위해서는 DBpia에 수록된 문헌정보학 분야의 이미지검색 논문 35건을 수집하였다. 데이터 분석 과정은 우선 개괄적인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서지사항을 분석하였고, 이와 함께 내용분석을 통한 체계적 분석 고찰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이미지 검색은 기존 연구에서 밝힌 바와 같이 의미기반 이미지 검색이 주된 흐름이며, 그 중에서도 이미지 색인과 기술 분야, 이미지 요구와 검색행태 분야의 연구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연구 경향으로 주목할 만한 분야는 집합적 색인, 다언어/다문화 환경에서의 색인과 이미지 요구, 감정색인과 접근 등이다. 이용자 중심의 이미지 검색 연구 측면에서는 특정 이용자 그룹 중에서 대학생이나 대학원생이 주된 연구 대상 이용자 그룹이며 이 외에도 이미지를 업무에 사용하는 이용자 그룹에 대한 연구가 주된 경향이다. 최근에는 일반 이용자를 대상으로 일상생활 환경에서 이미지검색에 관한 연구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국내 연구와 비교하면, 논문의 수적인 차이를 제외하면 세부 연구 주제에 있어서 상당히 유사한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금까지의 이미지 검색 분야의 연구 집적을 조명하며, 향후 발전적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어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With the increased creation, distribution, and use of image in context of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and internet, research endeavors have accumulated drastically. As two dominant aspects of image retrieval have been considered content-based and concept-based image retrieval, concept-based image retrieval has been focused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accumulated research of image retrieval from the perspective of LIS fiel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wo data sets were prepared: a total of 282 image retrieval research papers from Web of Science, and a total of 35 image retrieval research from DBpia in Kore for comparison. For data analysis, systematic review methodology was utilized with bibliographic analysis of individual research papers in the data se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wo sub-areas, image indexing and description and image needs and image behavior, were dominant. Among these sub-area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emerging areas such as collective indexing, image retrieval in terms of multi-language and multi-culture environments, and affective indexing and use. For the user-centered image retrieval research, college and graduate students were found prominent user groups for research while specific user groups such as medical/health related users, artists, and museum users were found considerably. With the comparison with the distribution of sub-areas of image retrieval research in Korea, considerable similarities were found. The findings of this study expect to guide research directions and agenda for future.

      • 메타분석 기반의 교통사고 영향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회전교차로를 중심으로

        윤병조,양승룡,백준혁,고은혁,이소연 한국재난정보학회 2018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1

        지체, 대기길이, 혼잡 및 포화도 뿐 아닌 사고심각도와 사고건수 감소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는 회전교차로 방식은 우리나라에 도입됨에 있어 적절한 설계지침이 함께 갖추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혼돈과 필 요치 않는 사고를 유발했다. 또한 회전교차로의 도입으로 인해 효과분석, 운영분석, 사고모형개발 등 많은 연 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개별 연구라는 한계로 통합되기 어렵고 연구결과를 실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 에서는 7개의 변수에 대해 총 120개의 효과크기를 추출하고 종합적인 리뷰를 통해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 게 사고건수에 영향의 정도를 알아보았다. 그 중 교통량의 효과크기가 23.45%로 가장 높았으며, 접근로 차로 수, 접근로 폭, 회전차로 폭, 중앙섬 직경, 접근로 수 그리고 회전차로 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 KCI등재

        유아의 공격성 감소 프로그램의 효과 : 체계적 리뷰 및 메타분석

        조하영,정정희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1

        This study aims to make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effect size of aggression reduction progra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Data was collected from December 2018 to February 2019 in accordance with the PICOS guidelines, and the keyword including ‘child aggression & program’, ‘child aggression & activity’ and ‘child aggression & decrease’ were used in four databases. Based on the PRISMA guidelines for research reporting a total of 45 articles were systematically reviewed, and 44 articles of which were reported in the meta-analysis. As a result, the overall effect size of aggression reduction program on aggression was –1.23(95% CI:–0.95∼-1.50), and substitute aggression appeared at –0.86, personal aggression was –1.14, verbal aggression was –0.95, and mixed aggression was –1.02. This suggested that the effect size was very large according to Cohen(1988)’s logic. Although the control variables affecting the average effect size were examined the type of publication, age, report type, frequency of activity, and duration of activit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the cause of heterogeneity was not verified in this study. However, the findings provided the basic data for helping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to better use the program and prevent child aggression in advance. 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공격성 감소 프로그램 효과크기에 대해 종합적인 분석을 하고자 한다. PICOS연구 선정 기준에 따라 2018년 12월부터 2019년 2월까지 자료 수집을 하였고, 총 4곳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유아 공격&프로그램’, ‘유아 공격&활동’, ‘유아공격&감소’ 키워드를 사용하였다. 연구 보고 기준인 PRISMA의 지침을 바탕으로 총 45편은 체계적 리뷰, 그 중 통계치가 보고된 44편 연구는 메타분석에 포함되었다. 그 결과 공격성 감소 프로그램이 공격성에 미치는 전체 효과크기 –1.23(95% CI: –0.95∼-1.50), 공격성 하위요인별로는 대물공격성 –0.86, 대인공격성 –1.14, 언어적공격성–0.95, 복합공격성–1.02으로 나타나 Cohen(1988)의 기준에 따르면 매우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평균 효과크기에 영향을 주는 조절변수를 살펴보았지만, 출판유형, 대상연령, 보고유형, 활동횟수, 활동기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이질성을 나타내는 원인이 무엇인지 밝히지 못했다. 그러나 연구결과는 현장에 있는 교사에게 유아공격성 감소를 위한 프로그램 활용에 도움을 주고 유아의 공격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근거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영·유아 부모 대상 STEP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체계적 리뷰 및 메타분석

        유지윤 ( Yoo Ji-yoo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3 아동교육 Vol.32 No.2

        본 연구는 체계적 리뷰 및 메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영 유아 부모 대상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 양육태도,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를 계량적이고 종합적인 결과로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총 4곳의 데이터베이스에서 발견한 연구 중 포함조건을 충족하여 통계치가 보고된 13편의 연구는 메타분석에 포함되었다. R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평균효과 크기를 산출한 결과,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부모 양육태도,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에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Cohen(1988)의 기준에 따라 매우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평균효과 크기에 영향을 주는 조절변수를 살펴보았으나 피 교육생 유형, 총 시행 회기수, 회기당 시행 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본 연구에서 이질성을 나타내는 원인이 무엇인지 밝히지 못했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는 영 유아 부모 대상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점검하고 공인된 프로그램이라 할지라도 유아기 특성과 우리나라 환경에 적합한 프로그램이 요구되는 근거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effects of STEP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infants on parent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as quantitative and comprehensive results using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13 of the studies found in a total of four databases were included in the meta-analysis in which statistics were reported to meet the inclusion conditions.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average effect size using the R program, the STEP parent education program showed a large effect size on parent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It can be seen that a very large effect size appeared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Cohen (1988). The regulatory variables affecting the average effect size were examined, but the type of trainee, the total number of implemented sessions, and the implementation time per session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o this study failed to reveal the causes of heterogeneity. Howe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checked the effectiveness of the STEP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infants parents and provided evidence that requires early childhood characteristics and programs suitable for the Korean environment.

      • KCI등재

        창업보육센터 운영성과에 관한 국내 연구의 체계적 고찰

        원지현(Jihyun Won),곽기호(Kiho Kwak) 한국기술혁신학회 2020 기술혁신학회지 Vol.23 No.6

        본 연구에서는 연구재단 등재지에 게재된 총 45편의 창업보육센터 성과 관련 연구에 체계적 문헌 리뷰 방법론을 적용함으로써 국내 연구흐름을 파악하고, 성과 결정 요인 및 이들 간 관계를 통합적으로 제시하였다. 그 결과, 관련 연구는 2002년 처음 등장하였으며 2010년대 벤처·창업 관련 학술지를 중심으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창업보육센터의 운영 성과를 크게 기업 경영 성과, 창업보육센터 운영성과, 창업보육센터 의존도 등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운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결정요인으로 1) 입주기업 특성, 2) 지원 서비스, 3) 창업보육센터 운영체계, 4) 매니저 특성임을 관찰하였다. 특히 매니저 특성은 2011년 처음 등장한 이후 최근 그 논의가 증가하고 있으며, 동시에 상기 4대 결정요인을 통합적으로 고려한 연구는 전무함을 확인하였다. 이로 인해 여러 연구에서 성과 결정 요인 간 인과성·역인과성 또는 매개·역매개 효과를 동시에 발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창업보육센터 운영 성과 결정 요인 간 통합적 관계가 향후 창업보육센터 지원 정책 개발과 성과관리·평가 지침이자, 후속 실증 연구의 기반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We comprehensively analyze and consolidate the relevant studies on the BI performance in Korea through conducting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Based on a content analysis of 45 articles that appeared since 2002, we first identified three types of BI-led performance: occupied start-up firms’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BI performance itself, and start-up firms’ dependence over BI from a negative perspective. We also found four antecedents of BI performance, i.e., characteristics of start-up firms, incubating service, BI operating system, and BI manager capabilities. Specifically, we observed that the BI manager capabilities first appeared in 2011 and are regarded as newly important antecedents for BI-led performance. We lastly propose an analytical framework that draws those findings together. In doing so, we suggest a comprehensive theoretical approach to clarify the causality and mediation among those antecedents and BI-led performance. For practice, we hope the approach provides a guideline for the BI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and policy development for accelerating the growth of occupied start-up firms.

      • KCI우수등재

        마음챙김명상과 자비명상이 친사회성 및 반사회성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 국내 연구의 체계적 리뷰 및 메타분석

        윤석인,박희영 한국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42 No.2

        In this study,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mindfulness meditation (MM) and loving-kindness & compassion meditation (LKCM) on healthy adult’s prosociality and antisociality,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by selecting 38 korean articles and dissertations up to October 3, 2022. Considering the three-arm design studies, 24 studies on MM and 19 studies on LKCM were selected. The quality of the study was evaluated for each of the MM study and the LKCM study, and the effect size of each meditation for prosociality and antisociality was synthesized. As moderating variables, publication status, control group type, semi-clinical group status, age, sex ratio within group, total intervention time (minutes), total intervention sessions (session), and total intervention period (weeks) were set. As a result of the meta-analysis, MM showed a large effect size in improving antisocial behavior, g = 0.876, but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size for prosociality, g = 0.407. In contrast, LKCM showed a moderate effect size in enhancing prosociality, g = 0.699, but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size for antisociality, g = 0.163. In this study, the differential effects of each type of meditation on prosociality and antisociality were discussed. As a result of the moderating effect analysis, all moderators were not significant. Additionally, the effect size of each type of meditation for each subcategory of prosociality (e.g., empathy, connectedness, forgiveness, and compassion) was synthesized. As a result, LKCM showed moderate effect sizes in enhancing all subcategories of prosociality, gs = 0.534 ∼ 0.795, but MM showed a small effect size only compassion, gs = -0.026 ∼ 0.473. Studies of MM on antisociality were found to be at high risk of publication bias, whereas the rest of the cases were not at high risk of publication bias. In the discu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interpreted an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addressed. 본 연구에서는 마음챙김명상과 자비명상이 일반 성인의 친사회성 및 반사회성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2022년 10월 3일까지의 국내 학술지 논문 및 학위논문 38편을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세 집단 연구 등을 고려했을 때 마음챙김명상 프로그램 연구는 24편이었으며, 자비명상 프로그램 연구는 19편이었다. 마음챙김명상 연구와 자비명상 연구 각각에 대해 연구의 질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친사회성 및 반사회성 각각에 대한 명상별 효과크기를 종합하였다. 조절변인으로는 출판 여부, 통제집단 유형, 준임상군 여부, 연령, 집단 성비, 총 개입시간(분), 총 개입회기(회), 총 개입기간(주)을 설정하였다. 메타분석 결과, 마음챙김명상은 반사회성 개선에 큰 효과크기를 보였지만, g = 0.876, 친사회성에 대해서는 유의한 효과크기를 보이지 않았다, g = 0.407. 반면, 자비명상은 친사회성 증진에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보였지만, g = 0.699, 반사회성에 대해서는 유의한 효과크기를 보이지 않았다, g = 0.163. 본 연구에서는 친사회성 및 반사회성에 대한 명상 유형별 차별적 효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조절효과분석 결과, 모든 경우에서 의미 있는 조절변인을 찾을 수 없었다. 추가적으로 친사회성의 하위범주(예: 공감, 연결성, 용서, 자비심) 각각에 대한 명상 유형별 효과크기를 탐색적으로 종합하였다. 그 결과 자비명상은 친사회성의 모든 하위범주 개선에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보였지만, gs = 0.534∼0.795, 마음챙김명상은 자비심 개선에만 작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gs = -0.026∼0.473. 반사회성에 대한 마음챙김명상 연구는 출판 편향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나머지 경우에서는 출판 편향 위험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연구 결과를 해석하고 시사점 및 한계점을 다루었다.

      • KCI등재

        메타분석을 이용한 감정코칭 부모교육프로그램 연구의 체계적 리뷰

        조하영 ( Jo Ha Yeong ),윤미승 ( Yun Mi Se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연구 Vol.42 No.2

        본 연구는 현재까지 축적된 감정코칭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2010년부터 2021년까지 수행된 ‘감정코칭 부모교육프로그램’의 개별 연구들을 메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총 13편의 분석 대상 연구물로부터 23개의 효과크기를 R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랜덤효과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감정코칭 부모교육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중간 이상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육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결과, 감정코칭 부모교육프로그램은 긍정적 양육태도가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하위요인에서는 내적요인의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효과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로는 회당 시간으로 나타나 감정코칭 부모교육그로그램을 120∼180분을 실시할 때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양한 부모교육 중에서 감정코칭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밝힌 것으로 감정코칭 부모교육프로그램의 구안 및 운영에 시사점을 제공한 것이다. In order to systematically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emotion coaching parent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integrated research papers that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emotion coaching parent education program. The program's empirical research papers accumulated from 2010 to 2021 were verified through meta-analysis. From a total of 13 studies, 23 effect sizes were analyzed by applying a random effect model using the R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emotion coaching parent education program was found to be above the middle level. Second, in respect to the effect on parenting attitude, the emotion coaching parent education program showed a high effect size of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the effect size of the internal factor was the highest among the sub-factors. Third, examining time per session as a modulating variable, the effect size was high when 120-180 minutes of emotion coaching parent education was conducted. This study revealed the effectiveness of the emotion coaching parent education program among various parent education programs, and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the emotion coaching parent education program.

      • KCI우수등재

        의학도서관 사서의 SR 지원에 관한 연구

        신은자 한국문헌정보학회 2020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4 No.2

        This study searched for the status of medical Systematic Review(SR) publications in Korea and elsewhere for last 10 years, closely analyzing SR research papers by co-authors of Korean librarians. Through interviews with Korean librarians participating in SR, the activities, roles, and difficulties of these librarians were identified, and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helped explore new ways to promote collaboration in SR research. The result of the studied showed that the number of domestic and foreign SR studies has recently increased, and the number of cases where Korean librarians participated in SR research being officially credited as a co-author or acknowledgment source was also grow. The SR librarians in the Korean medical libraries were not only search experts, data collectors, and reference writers, but also did various activities such as designing search strategies, SR search records with complete reproducibility, and DB search tutorship. To promote SR support librarians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suggested recruiting new librarians, retraining current librarians, and reformation course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s it is expected that the level of information demand of users and expectations for librarians would also increase in near future, SR librarians’ activities and contributions seem to offer a guideline for academic library services that the others should pursue. 이 연구는 최근 10년간 국내외 의학 Systematic Review(SR) 연구 현황을 살피고, 국내 사서가 공저자로 참여한 SR 연구논문을 면밀하게 분석하였다. SR 참여 사서와의 인터뷰를 통해 참여 사서의 활동, 역할, 애로사항을 파악하였고, SR 연구 참여 활성화 방안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국내외 SR 연구건수는 최근 증가세이고, SR 연구에 참여한 사서를 공저자로 등재하거나 사사표기함으로써 사서의 기여를 공식적으로 인정한 사례도 더불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의학도서관의 SR 참여 사서는 탐색 전문가, 자료 수집가, 참고문헌 작성자, 뿐만 아니라 탐색전략 설계, 완전한 SR 탐색 기록, 일대일 DB탐색 교육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었다. 인터뷰 참여 사서는 SR 참여 활성화 정책으로 사서 인력 충원, 재교육, 문헌정보학 교과목 개편 등을 제시하였다. 날이 갈수록 이용자의 정보요구 수준은 높아지고, 사서에 대한 기대 또한 커지고 있음을 감안할 때, 의학도서관 SR 참여 사서의 활동과 기여는 사서의 서비스를 심화하고 확장하려는 타도서관에게도 좋은 가이드라인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