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기 여학생의 월경전증후군 영향요인

        황은숙,강정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premenstrual syndrome among adolescent female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111 third grade girls from a middle school in J cit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to July 2017 to collect data on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premenstrual syndrome, menstrual pain, menstrual attitude, academic stress, and social support.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WIN 20.0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s test, Pe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participants’ premenstrual syndrome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menstrual attitude and academic stress. A total of 48.0% of variances in premenstrual syndrome were explained by dysmenorrhea and academic stress. In order to prevent or control premenstrual syndrome in adolescent girls, a strategy or an intervention program needs to be developed toward reducing menstrual attitude and academic stress. 본 연구는 청소년기 여학생의 월경전증후군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전북지역 일 중학교에서 편의표집한 3학년 재학생 111명을 대상으로 2017년 6월부터 7월까지 2개월 동안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지는 대상자 특성, 월경전증후군, 월경통, 월경태도, 학업스트레스, 사회적지지 등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는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Scheffe검정, Pearson‘s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들의 월경전증후군은 월경태도, 학업스트레스와 순상관 관계를 보였고, 대상자들의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월경통과 학업스트레스로 나타났으며, 이들 두 변수의 설명력은 48.0%이었다. 청소년기 여학생의 월경전증후군을 예방하거나 조절하기 위한 중재프로그램은 대상자들의 월경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학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KCI등재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신체이미지가 의복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기 여학생의 연령 집단별 차이 비교 the comparison of age difference in female adolescents

        고애란,조선명 한국의류학회 2001 한국의류학회지 Vol.25 No.7

        This study was based on social comparison theory, and the covariance structure model was designed, connecting sociocultural attitude, multifaceted body image, and clothing behavior under sociocultural influence. The practical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physical appearance on the affective aspect of body images, the cognitive/behavioral aspect of body images and clothing benefits sought, and to examine the age difference in the female adolescents. The results of this were as follows: 1)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physical appearance had a negative effect directly on the affective aspect of body images, and showed the highest value in the group of high school girls 2)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physical appearance had a positive influence directly on the cognitive/ behavioral aspect of body images, and high school girls' model showed the highest value significantly as well 3) High school girls' model showed the highest value significantly in the effect of the affective aspect of body images on the cognitive/behavioral aspect of body images. However, college group's model didn't show significant value 4) Middle school girls' model showed higher value positively than the other groups in the effect of the cognitive/behavioral aspect of body images on clothing benefits sought, and the high school girls' model showed higher value negatively in the effect of the affective aspect of body images on clothing benefits sought.

      • KCI등재

        청소년기 여학생의 학교 내 신체활동 평가기준치 설정

        김혜진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8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and to establish norm-refer- enced criteria of physical activity of adolescent girls. For the purpose of this, daily physical activities were measured by the accelerometer in hour and day for the female adolescents. The number of steps and exercise intensity were obtain from the accelerometer, and these data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t-test with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20.0. As results, there was marked difference between week and week- end in physical activity for girls. The youth of middle school did moderate to vigorous exercise in in- tensity for about 50 minutes, but the high-school female students did it for not more than 15minutes. Therefore, all of the middle-school and high-school girls have not satisfied the guideline of physical activ- ity as defined more than 60min moderate to vigorous physical activity. During the class of physical edu- cation the middle-school girls do physical activities two times more than the high-school girls. According to the physical activity guideline, the dose of physical activity after school was very lower than during the physical-education class. These results imply how to teach adolescent for appropriate dose and intensity of physical activity and to give effective feedback in the field of school.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 여학생들의 신체활동량을 파악하고 , 신체활동량 기준치를 설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 이를 위해가속도계를 활용하여 중 , 고등학교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일주일간의 신체활동량을 측정하였으며 , 요일별 , 시간대 ( 체육시간 ) 별신체활동량 ( 스텝수와 운동강도 ( 분 )) 을 평가하였다 . SPSS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 집단간 차이검증(t-test) 을 실시하고 5 단계 상대평가 기준치를 작성하였다 . 결과에 따르면 , 여학생들의 신체활동량은 주중과 주말에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 학교급에 따라서도 주중과 주말 , 그리고 체육시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 중학생이 고등학생에 비해 2 배이상 많은 신체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운동강도는 중학생은 중고강도 활동이 평균 50 분 정도를 보이고 있지만 고등학생의 경우 15 분 내외를 보이고 있다 . 두 집단 모두 신체활동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한 60 분 중고강도 활동에 못 미치는 결과이다 . 또한 스텝수를 이용하여 ‘ 매우높음 ’, ‘ 높음 ’, ‘ 보통 ’, ‘ 낮음 ’, ‘ 매우낮음 ’ 의 5 단계 상대평가 기준치를제시하였다 . 신체활동량 기준치에 따르면 , 체육시간의 경우 중학생이 고등학생에 비해 약 2 배 정도 높은 기준치를 나타내고있으며 , 주중 신체활동량은 고등학생이 중학생에 비해 4 배 이상 낮은 기준치를 나타내고 있다 . 고등학생의 경우 매우 적은신체활동량을 보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학교 현장에서 여학생들을 지도할 때 적정 신체활동량및 신체활동 강도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 추후 여학생들의 신체활동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기 여학생의 의복행동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 연령 지역 차이와 심리적 특성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 Effects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ge and Residence

        고애란,심정은,진병호 한국의류학회 2000 한국의류학회지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ere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clothing behavior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age and residence and to identify the relative effects of Korean female adolescent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the clothing behaviors. The instruments measuring 9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adolescent egocentrism, social and general self-efficacy, public and private self-consciousness, boredom susceptibility, optimal stimulation level, body attitudes-were adapted from previous studies. Clothing behavior measurement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pilot study results or adapted from previous studies. The data, collected from 2284 nationwide sample of Korean female adolescents(early, middle, late) was analyzed by frequency, two-way ANOVA, and LISREL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lothing behavior were factor analyzed and 6 factors were identified: dressing for others, conformity to peers, clothing interest, self-expression, psychological dependence and clothing exhibition. Effects of age were dominant in 6 out of 9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five clothing behavior factors except conformity to peers. Dominant main effect of residence was found only in boredom susceptibility. From the results of LISREL, adolescent egocentrism,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sensation seeking tendency were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female adolescents clothing behavior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기 여학생 신체활동 장애요인 척도개발 및 우선순위 탐색

        이성권,김혜진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8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2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 여학생들의 신체활동 장애요인 척도 개발과 상대적 중요도를 심층적으로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과 전문가집단(6명)의 델파이조사를 통해 신체활동 장애요인과 세부항목의 내용타당성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계층분석(AHP)에 의해 우선순위 및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체육전공교수 및 체육교사 전체 3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델파이조사는 3차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최종 델파이 결과를 이용하여 계층분석이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첫째, 문헌고찰과 전문가 회의를 거쳐 12개 범주, 33개의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둘째, 청소년기 여학생 신체활동 장애요인 척도 개발은 수집한 예비문항을 전문가 20명(체육전공교수 3명, 체육학박사 2명, 체육교사 15명)이 3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4요인(신체적, 정서적, 사회문화적, 환경적) 22문항으로 개발하였다. 셋째, 체육교사(11명)를 대상으로 계층분석을 실시한 결과, 신체활동 장애요인별 우선순위는 정서적(.468), 신체적(.265), 환경적(.143), 사회문화적(.125) 순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대한 일관성 지수(CI)는 .06으로 나타나 응답내용에 대한 일관성을 확보하였다. 이를 통해 청소년기 여학생들의 신체활동 장애요인을 다양한 집단에서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학교현장에서 여학생들의 신체활동을 증가시키는 프로그램 개발이나 참여율을 높이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basic data for the research and the promote about the physical activity in through understanding priorities of the factors barriers of physical activity and establishing the evaluation indicator of the factors for the adolescent girls. For this purpose,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of physical activity disabilities and sub - items were examined through Delphi survey of 20 experts. The priority and relative importance were analyzed by hierarchical analysis (AHP).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hysical activity disability factor of adolescent girls was developed by 22 factors of 4 factors (physical, emotional, socio - cultural, environmental). Second, as a result of hierarchical analysis, the priorities of the physical activity barriers were analyzed in the order of emotional (.468), physical (.265), environmental (.143), and socio-cultural. In this way, we can confirm the physical activity barriers of adolescent girls in various groups, and i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developing program to increase physical activityor participation rate in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