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패션플랫폼의 청바지 구매후기에 나타난 구매 특성 분석 -무신사와 W컨셉의 구매후기를 중심으로-

        강은미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9 No.3

        본 연구는 패션플랫폼의 청바지 구매후기에 대한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청바지 구매에서 소비자들이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구매 결정 요인들을 확인하고 패션플랫폼의 청바지 시장 활성화 방안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자료수집채널은 무신사와 W컨셉의 구매후기로 Python을 이용한 웹크롤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정제 과정을 거친 후 텍스트마이닝과 워드클라우드, N-gram을 분석하였고, Ucinet 6.0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시각화와 CONCOR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단어를 중심으로 카테고리별로 분류해보면 청바지의 사이즈, 색상, 핏, 디자인, 계절, 브랜드, 가격, 코디, 코디 아이템, 소재 등이 나타났다. 둘째, 빈도와 TF-IDF는 핏, 색상, 바지, 사이즈, 기장, 와이드 등의 순서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N-gram 분석한 결과, 소비자들은 청바지를 구매할 때 바지 기장수선과 와이드 바지의 핏과 색상, 허리 사이즈 등을연결하여 생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CONCOR 분석 결과, 청바지 소재/색상/계절, 청바지 사이즈, 청바지 핏/브랜드/가격, 청바지 길이의 4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즉, 패션플랫폼에서 청바지를 구매하는 소비자들은청바지의 핏, 색상, 사이즈, 기장, 가격, 소재 등의 순으로 중요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특히 청바지의 경우 다른 제품과는 달리 청바지의 소재-색상- 계절, 사이즈, 핏-브랜드-가격, 길이 등을 연관하여고려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한국과 몽골여대생의 청바지 착용현황 및 선호디자인과 맞음새 연구

        오순 ( Soon Oh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9 한국디자인포럼 Vol.24 No.1

        연구배경 본 연구는 몽골의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한국패션에 대한 몽골의 관심도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과 몽골여대생의 청바지 착용과 선호디자인 및 맞음새를 비교함으로써 몽골 패션시장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여 향후 한국 패션상품의 몽골시장 진출의 토대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를 위해 선정된 조사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에 재학중인 19-25세의 여자 대학생 170명과 몽골 울란바토르에 거주하는 19-25세의 여자대학생 115명을 무선표집방법으로 연구대상을 선정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최종 분석된 자료는 총 257명의 설문자를 분석하였다. 설문지에서 채택된 최종 설문 문항은 청바지 구매실태, 선호디자인 , 구매시 치수 만족도, 보유정도 및 착용횟수, 대표 부위의 치수 만족도, 맞음새 관련 문항, 수선부위에 대한 문항 등 총 2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몽골 여대생보다 한국 여대생이 상대적으로 다양한 스타일의 청바지를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 여대생이 청바지 구매시 고려하는 요인 중 가장 많이 고려하는 요인에서 한국여대생은 디자인을 가장 우선시하였으며, 몽골여대생은 착용감 및 편안함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였다. 또한 청바지 사이즈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한 한국, 몽골 간 여대생의 인식을 비교해 본 결과에서 사이즈선택에서 몽골여대생이 훨씬 적극적인 인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새로운 패션시장으로 집중되고 있는 몽골의 청바지 착용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분석하고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우리시장이 몽골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몽골소비자의 감성적 요구를 만족시켜 줄 수 있는 청바지 패션디자인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 This study focuses on the interest of Mongolia in Korean fashion as the Mongolian economy grows, and aims to provide basic data on Mongolian fashion market by comparing jeans wear, preference design and fit of Korean and Mongolian female university students have. Methods The subjects selected for the study were 170 female university students aged 19-25 years living in Seoul Gyeonggi area and 115 female university students aged 19-25 years living in Ulaanbaatar, Mongolia.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170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including 157 questions that can be handled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100 questions that can be analyzed among 115 students answered by Mongol university students. A total of 257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Results Analysis of the survey on the preferred jeans style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nd Mongolia showed that Korean female university students prefer Jeans to a variety of styles than Mongolian female college students.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Korean university students consider when purchasing jeans are Korean female university students' design priority, while Mongol university students consider wearing comfort and comfort most importantly. Also, comparing the perceptions of Korean and Mongolian university students about how to choose jeans size, Mongolian university students showed a much more positive perception in size selection.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nalyzing and presenting objective data about wearing jeans in Mongolia which is concentrated on a new fashion market. By doing so, we will develop a jeans fashion design that will satisfy the emotional needs of Mongolian consumers in order to enter the Mongolian market It is expected to help.

      • KCI등재

        한국과 중국 여대생의 청바지 착용실태 및 선호디자인과 맞음새 연구

        오순 ( Oh Soon ),임정순 ( Yim Jeoung-soo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2 한국디자인포럼 Vol.34 No.-

        청바지는 남녀노소가 편안하게 착용하는 실용적이며, 일상적인 의류로 인식되어 왔다. 본 연구는 청바지를 착용하는 한국과 중국 여대생의 디자인 선호도에 따른 착용실태 및 체형, 맞음새에 대해 조사, 분석하여 비교함으로써 청바지의 중요한 요소인 스타일별 선호도와 청바지의 맞음새를 어느 부분에 중점을 두는가의 결과를 설문지를 사용하여 연구 내용을 조사 하였다. 설문 결과 한국 여대생이 청바지 맞음새와 디자인, 실루엣을 중시하는 태도를 보여 좁은 바지통에 기본 허리선 보다 낮은 허리선을 선택하는 경향이 컸다. 중국 여대생의 체형이 한국보다 한 사이즈 정도 컸으며 청바지 사이즈와 맞음새의 정도도 중간 허리선 위치를 선호하여 편안함을 선택하는 경향을 보였다. 양국 모두 치수, 가격의 항목에서 유의사항이 없었으며, 체형의 분포와 보유 벌수를 감안하여 청바지를 선택하는 중요 요인으로는 디자인 요소가 공통적으로 우선시 되었으며, 다음으로 한국은 실루엣을 추구하고, 중국은 착용감 및 안정감을 더 추구하는 결과를 보였다. 한국과 중국여대생의 청바지에 대한 태도는 유행성과 심미성을 중시하고 구매 행동에 있어서 경제적 이고 실리적 구매패턴을 보였으며, 맞음새가 좋은 고품질의 제품을 원하고 있다. Regardless of age or sex, blue jeans are considered a practical and everyday item of clothing.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and analyse via questionnaire the design preferences of Korean and Chinese fe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regards to blue jeans. It is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changes in their attitudes towards size and fit, and how this affects choice of blue jeans. According to the research, female students in Korean universities are highly considering the design and fit of jeans. Therefore, they tend to prefer tight and low-rise jeans. The average jean size of Chinese female students is about one size bigger than that of Korean students. Compared to the preferred jeans of Korean students, Chinese students are more likely to prefer relatively bigger sizes and high-waisted jeans, which indicates that Chinese female students place more value on comfort. In this research, female students of both countries didn`t have outstanding requirements regarding the size and price of jeans; however, their first consideration of choosing the right jeans is dependent on design regardless of nationality. Students from the two countries have different opinions about the second consideration: Korean students place more value on style and fit of jeans other than the design, while Chinese students tend to prefer comfort as their second consideration on choosing the jeans. The purchasing attitudes toward jeans by both Korean and Chinese female students indicates that they place more value on fashion trends and aesthetics, and at the same time, they pay more attention to the price and its practicality. In addition to this, they also tend to prefer jeans that fit perfectly and are of a high quality.

      • KCI등재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선호 청바지형태 및 맞음새에 관한 연구

        이진희(Jin Hee Lee),도월희(Wol Hee D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 트랜드를 잘 반영하고 다양한 연령층에서 계절 및 성별에 상관없이 착용하는 의류 품목으로서의 청바지에 대해 선호 유행 스타일을 알아보고, 구매요인 및 착용횟수를 파악하며, 성별에따라 신체부위별 맞음새를 설문지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대학생들을 위한 미적인 면과 기능적인 면을 모두개선할 수 있는 청바지 제작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익산의 18세에서 29세의 대학생 31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여자는 63.2%가 분포하고, 남자는 36.8%가 분포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으로는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설문지 문항은 총1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각 항목에 대한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으며, t-test와 교차분석(CrossTabs)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청바지 착용 횟수에서는 여자의 경우는 일주일에 1-2회 착용이 41%로 가장 크게 나타난 반면, 남자의 경우 3회 이상 착용하는 경우가83%로 높게 나타났다. 청바지 구매 시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하는 것으로는 남녀모두 디자인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호하는 청바지 형태에 있어서는 여자의 경우 타이트형(스키니진, skinny jean)을 92.3%가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자의 경우는 61.5%가 일자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부위별 맞음새의 경우 넙다리 둘레와 바지 길이에서 맞음새에 가장 문제가 되는 신체부위로 빈도가 많이 분포했다. 바지 길이가 길다고 응답한 경우가 남·여 각각 53.2%, 54.3%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엉덩이부위의 맞음새에 대해서는 성별에 따른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어 여자의 경우 엉덩이주위가너무 조인다고 응답한 경우가 33.9%를 나타내었으며,남자의 경우 너무 헐렁하다가 20.6%를 나타내어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how to improve wearing sensation and wearing fit of blue jean through analysis of actual wearing fit and favorite style. This paper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of the wearing times per one week, opinions when it was purchased, favorite style according to the gender in blue jean, Th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316 college students (female 63.2%, male 36.8%) from the age of 18 to 29 living in Seoul and Iksan.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d CrossTab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 First, in the wearing times per one week, female showed 41% of 1-2 wearing time per one week, male showed 83% over 3 wearing time per one week. The important factor when it was purchased showed design factor in the female and male. Second, in the favorite jean style, female(92.3%) preferred tight jean style(skinny jean) in mostly. Male(61.5%) preferred straight jean style. Third, in the fit of body parts, thigh girth and pants length showed the most fit problem body part. The fit problem of hip according to the gender, while female(33.9%) perceived very tight, male(20.6%) perceived very loose. Denim jeans manufacturers should take those gender characteristics into account to produce in different fit and preferred style.

      • KCI등재

        소비행위의 사회문화적 의미와 상징적 가치: 인류학적 관점의 리뷰와 청바지 사례에 대한 시론적 검토

        이응철(Lee, Eungchel) 한국소비문화학회 2013 소비문화연구 Vol.16 No.4

        이 글에서는 소비는 문화적 현상이자 사회적 관계 속에 위치한 행위로 보고 소비행위의 사회문화적 함의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몇 가지 선행연구들에 대한 인류학적 관점의 리뷰를 통해 소비와 문화의 관계를 소개하고 소비자 연구를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들 몇 가지를 제언하고자 하였다. 즉 소비행위를 관찰하고 분석하는 데 있어서 문화를 고려하는 것이 어떤 중요성을 갖는지에 대해 논의하고 그것이 소비연구라는 학문적 영역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이유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 사례로 청바지라는 상품의 사회문화적 의미를 검토하였다. 소비는 특정한 문화적 맥락 속에서 이루어지는 행위이며 소비자는 소비행위를 통해 자신이 속한 사회의 문화에서 용인되고 이해될 수 있는 의미를 만들어낸다. 우리가 소비하는 상품이 ‘공적인’(public) 의미 전달 체계 안에 있다는 점에서 소비는 사회적 행위이다. 또한 소비는 화폐로 환원될 수만은 없는 상징적 가치를 드러내기도 하고 특정 상품은 구체적인 맥락에 따라 상이한 가치를 위해 소비되기도 한다. 소비를 통해 어떤 가치를 획득하고 그 가치를 어떻게 재현하는가의 문제는 소비자의 정체성과 연결된다. 즉 소비는 자신이 누구인지를 보여주는 상징적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특성은 청바지에서도 볼 수 있다. 청바지는 세대별로 다른 사회적 의미를 부여하기도 하는데 그 의미는 고정되지 않고 계속 변화한다. 또한 사회적 관계 속에서 정체성을 드러내거나 감추는 상징적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 글은 소비문화에 대한 기존의 일부 연구들이 실제로는 소비자를 마케팅의 대상으로 놓고 마케팅의 영향력 확산을 위한 수단으로만 여겨왔던 점을 비판적으로 보고 소비는 그것을 통해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재현하거나 드러내고 소비자들은 그 의미들을 상품에 연결시킨다는 점에서 특정 상품의 구매로 완결되는 것이 아니라 그것으로부터 비로소 시작되는 것임을 지적하고자 하였다. 소비와 문화의 관계에 대한 이해란 그렇기 때문에 이야기의 결론이 아니라 분석을 위한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 This article suggests that consumption is a cultural phenomenon of a society, and that it is necessary to explore its socio-cultural meanings. Consumption is situated in the particular cultural context, and through consumption a consumer makes socio-cultural meanings that can be approved and understood in his/her own society. In this article I’ve reviewed some documents from the anthropological viewpoint, and through the preliminary case study of blue jeans I try to address some cultural issues of consumption. Consumption is a social activity, and the consumer goods are situated in public meaning system. Moreover, consumption reveals some symbolic value which cannot be reducible to the monetary value. Some goods are consumed to generate particular symbolic value in the concrete cultural context. Sometimes, the fact that people obtain symbolic value via consumption is connected to the issue of their identity. In this respect, consumption is a cultural symbol manifesting the consumer’s status, social position, his/her cultural attitude and so on. Wearing blue jeans shows these socio-cultural traits, too. Some different social meanings about blue jeans can be found in different generations and they are unceasingly changing. Moreover, blue jeans can reveal or conceal the wearer’s social identities. It can be said that the fact that consumers can represent or reveal various symbolic meanings in their consumption and that consumption and culture has a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is showing that consumption is not an end product which is completed by purchasing goods, but a start point of analytical interpretation.

      • KCI등재
      • KCI등재

        Hipbone 청바지의 밑위길이 변화에 따른 여대생의 청바지 착용 실태 및 인지 비교 조사 연구

        김선희,김혜수,전미선 복식문화학회 2008 服飾文化硏究 Vol.16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is to conduce the survey of three groups of college women living in different residential districts, Seoul, Gyeonggi-do and a district, each other,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wearing blue jeans, comparative investigate actual condition in each residential district of wearing blue jeans and cognition by change of crotch length and trend through comparison of cognition on dressed blue jeans with short crotch length. By which investigation, it was intended to understand their condition and propose of blue jeans as may offer fit with short crotch length.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presented college women had hipbone blue jeans in order of 2~3 and more than 4 in all of residential districts, they purchased hipbone blue jeans with crotch length in order of for middle crotch(23 ㎝) and short crotch(21㎝) commonly in all of residential districts, and they care a lot for exposing back waist and hip of hipbone blue jeans without reference to residential district. They had a bad feeling for exposure, and as an alternative to deal with this, they answered mostly on ‘wearing hipbone underwear’ or ‘wearing long upper garment’,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esidential districts in silhouette and exterior fitness of crotch length among important factors when wearing hipbone blue jeans.

      • KCI등재

        이윤택의 『청바지를 입은 파우스트』 극작법 연구

        김용상(Kim, Yong-Sang)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6 No.1

        The rule of Lee Yun Taek"s playwriting lies in representation and contemporaneity. He insists that a work should be able to serve as text for performance and at the same time to gain the sympathy of contemporaries. For this aim, Lee Yun Taek uses such techniques as disorganization and reorganization. Disorganization and reorganization do not conflict with each other but are complementary concepts which separate and reorganize the elements of a play to make a new work having new significance. Lee Yun Taek borrowed the format of the "play in a play" in his work『Faust in Blue Jean』in a try to secure Korean contemporaneity by citing the contents of the original in a reduced form. He transformed the spatial and timely background of the original to the Korean version in the 90s, placing focus on critical events of the then times. The writer even ventured to reconstruct the figures of the original for the purpose of intensifying the dramatic meaning and fun. He didn"t change the names of the figures in the original to Korean ones to heighten the effect of strangeness or "Verfremdungseffekt". Usage of the names that are not well-matched with locality was designed to keep a certain distance from criticism concerning behaviors or awareness of the characters in the play. By typifying the plots of figures and characters of the play, the reality and sociality of the play could be amplified and their action became more predictable. 『Faust in Blue Jean』is an example of Lee Yun Taek"s playwriting technique <Now-Here-We> showing his efforts to detail in the drama the structures of Korean timely situation as well as political and social life by paraphrasing the original『Faust』. The writer pursued significance and fun simultaneously in his recreation of Western classical dramas. It is his unique approach to set himself free from sentimental realism which seeks for cheap and meaningless fun and from immature copycat playwriting which pursues only meaning with no fun.

      • KCI등재

        청바지의 소재별 쾌적감에 관한 연구

        이미식,홍문경,권계화,전정애 한국의류학회 2001 한국의류학회지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omfort sensation depending on four different kinds of denim blue jeans: cotton, cotton/tencel, tencel, cotton/pp.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measure the comfort of blue jeans. To investigate the objective comfort, physical properties related to thermal insulation, moisture properties and hand were measured. For subjective comfort measurement, 5 healthy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taken as subjects. The outcomes of the experiments are as follows: The higher the air permeability and bulk density of the denim, the lower the thermal insulation, the thicker the denim, the higher the thermal insulation. Tencel blending denim showed the higher bulk density, the lower air contents, and consequently the lower thermal insulation than the other denims. Tencel showed the highest moisture regain, and cotton/tencel blend showed the highest water vapor permeability. Tencel denim had relatively better flexibility, shape stability and elastic recovery than the other denims. The total hand values of the denims by KES-FB system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tton and cotton/pp denims raised the subjects' body temperature after excercise more than tencel or cotton/tencel denims. Average skin temperature was found to have a correlation with micro climate temperature and micro climate humidity.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0.749 and 0.767, respectively. However, average skin temperatur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materials. Pulse rate was found to be the highest when wearing cotton/pp and the lowest in case of cotton/tencel denim. The energy was consumed in order of cotton > cotton/pp > tencel > cotton/tence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ference before excercise, but, after the excercise, the order of preference changed as the following; cotton/tencel > tencel > cotton/pp > cotton.

      • KCI등재

        청바지의 취급상 주의표시에 관한 연구

        홍지명,신혜원 한국의류학회 1998 한국의류학회지 Vol.22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washing methods specified on care labels of blue jeans and to exa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specification. In the study, the present condition of care labels on 100% cotton blue jeans was investigated and the consumers' washing methods of blue jeans were surveyed. Also, the shrinkage of blue jeans after washing was measured.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spite of the fact that same materials of 100% cotton denim were used in all cases, washing signs on care labels showed very differently and the symbols of hand wash, using light duty detergent, no wring, drying in shade, and warm ironing with a covering cloth were seemed to be unsuitable. It means that manufacturers stick careless unsuitable care labels demanding too high level of care for the protection of blue jeans. 2. Almost all consumers didn't follow instructions proposed on care labels because they didn't anticipate problem. In reality, most consumers washed blue jeans by machine in cold water with heavy duty detergent at standard course, dried under the sun, and didn't iron. The 40.8% of consumers didn't have problems even if they didn't follow instructions. Most problems happened after washing were shrinkage in length, but in shrinkage test after 15 times washing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erious shrinkage problem. 3. For ideal care of blue jean, it is necessary for manufacturer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are label and to stick correct appropriate care label. Also, consumers have to trust and follow instructions on care lab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