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주 천연염색산업 활성화 방안

        김형길(Hyoung Gil Kim) 한국농어촌관광학회 2021 농어촌관광연구 Vol.24 No.1

        천연염색산업은 기술력과 디자인, 생산공정 등의 생산요소에 따라 부가가치의 차이가 크고,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감성, 기능성, 심미성 등을 고도화 시켜나가는 기술 ․ 지식집약형 산업이다. 천연염색 가치사슬은 염재 재배, 판매에서부터 천연염료 생산, 판매, 천연염색, 봉제, 완제품판매로 구성되는데, 우리나라는 전반적으로 가치사슬 단계별 전문화가 아직 이루어져 있지 못한 상황이다. 제주의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해서는 제주지역연고 산업으로 역사성과 문화성, 전통성을 가지고 있는 천연염색산업과 연계한 잠재 시장을 전략적으로 공략 할 필요가 있다. 특히 향토자원과 지역 문화가 공유되는 지속가능한 제주천연염색 6차 산업 확산을 통한 미래성장산업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국내외 관광객들의 지속적인 방문율과 재방문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천연염색 등 체험 관광과 웰니스관광의 요소를 가미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제주를 대표할만한 관광기념품 분야로서의 경쟁력과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제주 천연염색산업의 활성화 방안 연구를 위해 천연염색산업의 현황과 특성, 제주천연염색산업 SWOT 분석 등을 고찰하였다. 제주천연염색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로 천연염색산업 중요성 인식 확산과 제주문화산업으로 승화, 인증시스템 구축 및 강화, 기능성 상품 개발, 라이프스타일 트렌드에 부합되는 상품개발 시스템 구축, 공동마케팅 활성화, 원료생산, 제품생산, 유통 전문화시스템 구축, 제주 천연염색 업체 종사자 심화교육을 제안하였다. The natural dyeing industry has a large difference in added value depending on production factors such as technology, design, and production process, and is a technology/knowledge-intensive industry that advances sensibility, functionality, and aesthetics according to consumer demands. The natural dyeing value chain consists of the cultivation and sale of dye materials, production and sales of natural dyes, natural dyeing, sewing, and sales of finished products. However, in Korea, as a whole, specialization by distribution stage has not yet been achieved. In order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of Jeju, it is necessary to strategically target the potential market linked to the natural dyeing industry, which has historical, cultural, and traditional characteristics as the Jeju local ointment industry.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foster future growth industries through the spread of the sustainable 6th industry of natural dyeing in Jeju where local resources and local culture are shared.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continuous visit rate and revisit rate of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a new approach that incorporates the elements of experiential tourism and wellness tourism is needed. In this Study, the definition, classification, characteristics, and SWOT analysis of the natural dyeing industry in Jeju are considered in order to study the revitalization plan of the natural dyeing industry in Jeju, which has competitiveness and growth potential as a tourism souvenir sector that can represent Jeju. As a measure to revitalize the Jeju natural dyeing industry, sprea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natural dyeing industry and sublimate it to the Jeju cultural industry, establish and strengthen the certification system, develop functional products, establish a product development system that meets lifestyle trends, activate joint marketing, Establishment of a specialized system for product production and distribution, and in-depth training for employees of Jeju natural dye companies were suggested

      • KCI등재

        우리나라 기업의 동유럽 천연가스 플랜트시장 진출전략에 관한 연구

        박상철 ( Sang Chul Park ) 한국EU학회 2013 EU학연구 Vol.18 No.1

        천연가스는 매장량이 석유보다 풍부하고 청정성, 안정성, 편리성이 뛰어나 글로벌 시장에서 수요가 지속적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천연가스 소비량은 제 1차 글로벌 에너지시장에서 2010년 23%를 차지하고 있으며 석탄, 석유 다음으로 가장 중요한 에너지 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21세기에 천연가스는 신재생에너지와 더불어 가장 선호되는 에너지원으로서 급성장하고 있으며 향후 2030년까지 글로벌 에너지시장에서 천연가스 소비량이 급증하게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동유럽의 천연가스 소비량은 서유럽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매우 적은 규모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유럽 천연가스 시장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것은 북아프리카, 중동, 중앙아시아 등으로부터 수입되는 파이프라인 천연가스 및 액화천연가스 등이 동유럽 시장의 수요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서유럽 시장 공급에 지리적으로 매우 중요한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동유럽 내 천연가스 관련 시장진입은 상대적으로 낮은 신흥시장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2007년 이후에 새롭게 유럽연합 신규회원국으로 가입한 동유럽국가의 경제발전 및 서유럽으로의 천연가스 수송을 위해서는 동유럽국가에 액화천연가스 (LNG) 터미널 및 플랜트 시설을 건설하여야 한다. 타 지역에 비하여 시장규모는 작지만 서유럽이라는 거대규모의 배후시장의 존재로 인하여 잠재성이 매우 큰 시장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에너지기업의 동유럽시장 진입을 위한 전략적 접근방법 및 분석이 필요하다. The consumption of natural gas on the global market has continuously increased rapidly because it has an abundance of reserves compared to crude oil and is superior to the crude oil in terms of purity, safety, and conveniency. As a result, the total consumption of natural gas in the global primary energy market accounted for 23 percent in 2010 that ranked the third important energy resources in the world along with coal and petroleum. In the 21st century, natural gas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preferable energy resources along with renewable energy resources and its demand increases rapidly.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the demand of natural gas will increase continuously in the global energy market until 2030. The total consumption of natural gas in the Eastern Europe is rather little compared with the Western Europe``s consumption. Despite its small size of consumption of natural gas, the importance of natural gas market in the Eastern Europe emerged due to its geographical importance. The Eastern Europe plays a role of the gate to import pipeline natural gas (PNG) and liquefied natural gas (LNG) from Russia, North Africa, Middle East, and Central Asia on the one hand, and it also plays important roles to deliver natural gas further to the West Europe. Additionally, the natural gas market in the Eastern Europe is regarded as a low barrier market to enter. In order to secure a further economic development for the 10 EU member nations in the Eastern Europe since 2007 and to supply natural gas to the Western Europe,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build LNG terminals and plants in the Eastern European countries. It means that the market has a high potential to grow continuously that can be a huge business opportunity for South Korean corporations to enter the new marke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lore how to analyze the new market and to enter it strategically.

      • KCI등재후보

        국내 천연보호구역의 곤충상 현황

        안승락 국립문화재연구원 2009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2 No.1

        우리나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10개 천연보호구역 가운데 홍도, 설악산, 한라산, 대암산·대우산, 향로봉·건봉산 및 독 도천연보호구역에 대해 조사 및 문헌을 토대로 서식 곤충 다양성을 분석한 결과, 한라산천연보호구역이 22목 1,867종으로 종다양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설악산천연보호구역으로 19목 1,604종, 향로봉·건봉산천연보호구역이 18목 704종, 홍도천연보호구역 19목 474종, 대암산·대우산천연보호구역이 16목 468종, 독도천연보호구역 11목 114종 순 으로 각각 나타났다. 천연보호구역에서 출현한 곤충목들 가운데 나비목은 홍도, 설악산, 한라선, 향로봉·건봉산 등 4개 천연보호구역에서 우점분류군으로 나타났고 딱정벌레목은 아우점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대암산·대우산천연보호구역과 독도천연보호 구역에서는 반대로 딱정벌레목이 우점분류군, 나비목이 아우점부류군으로 출현하였다. 나머지 주요 목들의 출현 양상을 각 지역별로 비교하면 하루살이목은 25종이 출현한 설악산천연보호구역, 잠자리목은 28종이 출현한 한라산천연보호구역, 집게벌레목은 9종이 출현한 설악산천연보호구역, 메뚜기목은 51종이 출현한 한라산천연보호구역, 노린재목은 175종이 출 현한 한라산천연보호구역, 매미목은 126종이 출현한 설악산천연보호구역, 벌목은 183종이 출현한 한라산천연보호구역, 파 리목은 206종이 출현한 한라산천연보호구역에서 각각 가장 높은 종다양성을 보여주었다. 이들 가운데 천연보호구역별 학술조사 규모 및 횟수의 차이는 있으나 향로봉·건봉산천연보호구역, 대암산·대우산천 연보호구역 및 독도천연보호구역에서 곤충상이 빈약하게 나타난 것은 다른 원인도 있지만 다양한 종합조사 부족에 따른 결과가 가장 큰 것으로 사료된다. 더구나 성산일출봉천연보호구역, 문섬·범섬천연보호구역, 차귀도천연보호구역, 마라도 천연보호구역들은 지정당시 조사는 물론, 지정 후 지금까지 육상곤충에 대한 종합학술조사가 수행된 바가 없다. 따라서 이들 지역에 대한 곤충상 학술조사가 시급히 필요하며, 이들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관리 및 보전 기 본계획을 수립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research is insect diversity analysis on the basis of survey results and bibliographies of Hongdo Island, Mts. Seoraksan, Hallasan, Daeamsan & Daeusan, Hyangnobong peak & Geonbongsan nature reserves and Dokdo Protected Natural Area among 10 designated nature reserves. The Mt. Hallasan nature reserve has 1,867 species in 22 orders and shows the highest species diversity. The species diversities of Mt. Seoraksan, Mt. Hyangnobong peak & Geonbongsan, Hongdo Island, Mt. Daeamsan & Daeusan, and Dokdo Protected Natural Area reveal 1,604 species in 19 orders, 704 species in 18 orders, 474 species in 19 orders, 468 species in 16 orders, and 114 species in 11 orders, respectively, in descending order. The order Lepidoptera shows as dominant taxa in Hongdo, Seoraksan, Hallasan, Hyangnobong peak & Geonbongsan, whereas the order Coleoptera as subdominant taxa in these areas. On the other hand, in Mt. Daeamsan & Daeusan, and Dokdo Protected Natural Area, the order Coleoptera appears as dominant taxa whereas the order Lepidoptera as subdominant taxa. The order Ephemeroptera has been shown the highest species diversity in Seoraksan which is reported to 25 species, Odonata in Hallasan to 28, Dermaptera in Seoraksan to 9, Orthoptera in Hallasan to 51, Hemiptera in Hallasan to 175, Homoptera in Seoraksan to 126, Hymenoptera in Hallasan to 183, and Diptera in Hallasan to 206. The species diversity is generally poor in Daeamsan & Daeusan, Hyangnobong peak & Geonbongsan, and Dokdo Protected Natural Area. Maybe this result is caused by the lack of various academic surveys compared to the other areas. It is needed to study systematic academic investigation on insect in the nature reserve areas in Korea, and to plan appropriate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n natural environment considering biodiversity of each nature reserve area.

      • KCI등재

        인도네시아 발리의 천연염색 현황 연구

        이정은,권영숙 한복문화학회 2023 韓服文化 Vol.26 No.1

        Research on eco-friendly and sustainable natural dyeing is being actively conducted worldwide. Nevertheless, research on natural dyeing in Indonesia is insufficient due to geographical limitations. This study, thus, aim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 dyeing in Bali, Indonesia. The present problems and development plans of Bali's natural dyeing method are discussed, and this study seeks ways to collaborate with the domestic natural dyeing industry as primary data. As a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empirical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The empirical investigations were carried out in Bali from February 19 to February 23, 2018, and IKAT BATIK and two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producing natural dyeing products were conducted in Bali. Tarum, Seraya village, which operates a weaving cooperative, and Threads of Life in the form of a social enterprise were visit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natural dyeing. As a result, the natural dyes mainly used in Bali include Indigofera, Morinda, Pomegranate peel, Sappan Wood, Mongo leaves, and Ketapang. It is easy to find in daily life as a plant and can harvest in four seasons due to the nature of the tropical rainforest. However, due to the small size of the dyeing facilities, the quality of natural dyeing is not good, so it seems urgent to improve the quality and the dyeing environment. The natural dyeing industry has a high global market and sustainable growth potential. In the case of Korea,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transfer advanced dyeing technology to Indonesian natural dyeing companies and cooperatives, produces low-cost local production methods, and find solutions to utilize Indonesia's various natural dyeing. 전 세계적으로 환경친화적이면서 지속 가능한 천연염색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지리적 한계로 인해 인도네시아의 천연염색 현황에 대한 연구보고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 발리의 천연염색 현황에 대해 파악하고 이를 통해 발리의 천연염색 방법의 문제점 및 발전 방안을 제시하여 국내의 천연염색 산업과 협업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으로는 이론적 고찰과 실증적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실증적 조사는 2018년 2월 19일부터 2월 23일까지 발리를 방문하여 현지에서 천연염색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중소기업 2개소 IKAT BATIK과 Tarum, 직조협동조합을 운영하고 있는 Seraya village, 사회적 기업 형태의 Threads of Life를 방문하여 천연염색 현황을 조사하였다. 결과, 발리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천연염료는 인디고페라(Indigofera), 노니(Morinda), 석류껍질(Pomegranate peel), 소목(Sappan Wood) , 망고잎(Mongo leaves), 케타팡(Ketapang) 등의 천연식물로 실생활에서 구하기 쉬우며 열대우림의 특성상 4계절 수확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염색 환경의 영세성으로 인해 천연염색의 품질이 좋지 못한 단점을 가지고 있어 품질향상 및 염색 환경의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천연염색 산업은 글로벌 시장 잠재력과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이 높은 분야로 우리나라의 경우 인도네시아 천연염색 업체 및 협동조합을 상대로 발달된 염색기술을 전수하고 현지에서 저비용으로 생산하는 방법 및 인도네시아의 다양한 천연염료를 활용하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

        러시아 천연가스 의존도와 반복되는 EU에너지 위기

        한희진(Hee Jin HAN),안상욱(Sang Wuk AHN) 한국유럽학회 2022 유럽연구 Vol.40 No.2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전 세계 에너지시장은 급변하고 있다. 그러나 EU회원국은 러시아 천연가스 수입에 대해 다른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리고 그 배경으로 EU에서 러시아 천연가스 공급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러시아는 EU최대 천연가스 공급국가이다. 실제로 러시아 천연가스 공급문제에서 초래된 위기를 EU는 오래전부터 겪어 왔다. 실제로 2006년, 2009년, 2014년 러시아-우크라이나 간의 천연가스 분쟁으로 러시아로부터 EU회원국으로 천연가스 공급에 차질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우크라이나를 통과하는 천연가스 공급에서 불안정성을 해소하기 위해서, 폴란드, 발트국가들, 우크라이나 등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러시아로부터 독일로 직접 천연가스를 수송하는 천연가스관인 노드스트림I이 2011년에 개통되었다. 노드스트림I의 성공에 힘입어 노드스트림II가 2018년에 착공되었고 2022년에 개통이 예상되었다. 그러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후 EU와 미국은 러시아에 대한 경제제재를 실행하면서 노드스트림II의 2022년 개통은 불확실하게 되었다. 현재 EU와 미국이 러시아에 대해 실행하고 있는 경제제재 조치의 장기적인 실효성에도 의구심이 더해질 수 있다. 2014년 러시아의 크름반도(러시아명 크림반도) 강제병합 이후 EU는 러시아에 경제제재 조치를 실시하였고 이를 지속적으로 연장하였지만, 러시아에 대한 EU의 천연가스 의존도는 오히려 더 증가하였다. 또한 EU의 러시아 경제제재 연장에 대해서 EU회원국 간에 이견이 존재하기도 하였다. Energy markets are roiling with spikes in both oil and gas prices and a surge of instability related to the Russian invasion of Ukraine. However, EU member states are taking different stance on Russian natural gas imports. Russia is the largest supplier of natural gas in the EU. Indeed, the EU has experienced repeated crises caused by Russia’s natural gas supply problem. In fact, the natural gas disputes between Russia and Ukraine in 2006, 2009, and 2014 disrupted the supply of natural gas from Russia to EU member states. To address the instability of natural gas supply through Ukraine, Nord Stream I, a natural gas pipeline that transports natural gas directly from Russia to Germany, was commissioned in 2011 despite protests from Poland, Baltic countries and Ukraine. Due to the success of Nord Stream I, Nord Stream II construction was started in 2018 and it was expected to be commissioned in 2022. However, after Russia’s invasion of Ukraine, the EU and the United States implemented economic sanctions against Russia, making the commission of Nord Stream II uncertain. The long-term effectiveness of economic sanctions currently being implemented by the EU and the United States against Russia may also be questioned. After Russia’s illegal annexation of Crimea in 2014, the EU implemented economic sanctions on Russia and continued to extend them. However, the EU’s dependence on Russian natural gas increased further. In addition, the different positions between EU member states over the extension of Russian economic sanctions exist.

      • 지역자원시설세 과세대상 확대방안 : 폐기물 및 천연가스를 중심으로

        김행선,윤태연 한국지방세연구원 2016 한국지방세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Vol.2016 No.21

        □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폐기물 및 천연가스에 대한 지역자원시설세 부과에 따른 폐기물 처리 및 천연가스 원가 변화와 지방재정 및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폐기물 및 천연가스에 대한 지역자원시설세 도입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자 함 - 이를 위해, 폐기물 및 천연가스에 대한 지역자원시설세 도입 논거를 제시하고, 과세방안과 관련한 요금인상 및 이중과세 등의 문제 제기와 관련한 대응 논리를 경제학적 접근을 적용하여 제시하였음 □ 주요 내용 ○ 매립폐기물 처리시설 및 천연가스 생산시설은 해당 지역 주민, 지역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외부효과가 존재하여 위험혐오시설로 간주되고 있음 ○ 주변지역 지원제도가 시행되고 있지만, 직간접적인 폐해를 보상하고 주변영향 지역을 안전하고 친환경적으로 관리하는 데 한계가 있으므로, 외부불경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추가 세수 확보를 위해 지역자원시설세 과세대상에 폐기물 및 천연가스를 추가할 필요가 있음 ○ 폐기물 및 천연가스에 대한 지역자원시설세 과세방안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측면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선행적으로 이루어져야 함 - 폐기물에 대해 지역자원시설세를 부과하게 될 경우 폐기물 처리시설을 설치·운영하는 자에 대한 이중부담 또는 폐기물 처리시설 입지에 따른 중복지원 문제가 있을 수 있음 - 천연가스에 대한 지역자원시설세 과세방안과 관련해서는 지역자원시설세가 천연가스 요금인상을 초래함으로써 국민 부담이 증대되고 소비자 후생이 감소하는지의 여부를 검토해야 함 ○ (중복지원 및 이중부담 문제) 주변지역 지원금과 지역자원시설세는 도입 목적, 기본 성격 등에서 명확히 구분되므로, 주변지역 지원금과 구분되는 독자적인 제도로 존립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가지고 있으며, 중복지원 및 이중부담 문제는 제기되지 않음 ○ (요금인상 문제) 폐기물 및 천연가스에 대해 지역자원시설세를 부과함에 따라 매립폐기물업체와 한국가스공사에 요금인상 문제를 야기할 수 있음 - 지역자원시설세 부과 시 폐기물 매립량 톤당 5천원은 사업장폐기물 매립처리단가의 5.68%, 지정페기물 매립처리단가의 2.38~7.69%에 불과함 - 민간 폐기물처리업체의 수익성지표를 살펴보았을 때 지역자원시설세 부과에 따른 조세 부담은 폐기물 매립시설을 설치 운영하는 기업의 투자위축 및 경영 수지를 악화시킬 요인으로 작용하지 아니함 - 독점시장의 생산자에게 과세하는 경우 시장지배력을 가진 독점기업이 요금 인상을 통해 모든 조세부담을 소비자에게 전가시킬 수 있다고 우려하는 주장이 일부 있음 · 하지만 이론적으로 독점기업에게 과세하는 경우 소비자가 지불하는 가격 상승이 있을 수 있으나, 독점자가 받게 되는 가격이 감소하여 독점이윤이 감소하게 되므로 모든 독점사업자가 모든 조세부담을 소비자에게 전가 시키는 것은 아님 - 가스 생산량 1㎥당 1원의 지역자원시설세를 부과할 경우 한국가스공사의 실질조세부담 수준은 0.758원/㎥이며, 이는 도입단가 대비 0.082%, 생산단가 대비 0.076%에 불과하므로 소비자의 추가 비용 부담에 대한 우려는 과도한 것으로 분석됨 · 지역자원시설세 부과에 따른 조세부담액은 법인세법상 손비처리되어 법인세 및 법인지방소득세 공제 효과가 있음 - 또한, 독점이윤 감소 문제와 관련하여, 한국가스공사의 수익성지표를 살펴보았을 때 과세에 따른 조세부담은 한국가스공사의 투자위축 및 경영수지를 악화시킬 요인으로 작용하지 아니함 ○ 본 지방세법 일부개정법률안에 따라 지역자원시설세의 과세대상에 폐기물(생활폐기물 제외) 매립량 및 천연가스 생산량을 추가 신설하는 경우 지방세수의 증가가 예상됨(안「지방세법」제142조, 제143조, 제144조, 제146조) - 폐기물 매립량에 대해 톤당 5천원, 천연가스 생산량 세제곱미터(㎥)당 1원의 지역자원시설세 부과(제 146조제1항) - 지역자원시설세의 과세대상에 매립폐기물 반입량 및 천연가스 생산량을 추가 신설하는 경우 세수 추계는 `17년 기준 매립폐기물은 525억원, 천연가스는 353억원임 - 본 일부개정법률안으로 인해 지역자원시설세는 향후 5년 동안 4,484억원(연평균 897억원)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이와 같이 폐기물 및 천연가스에 대한 지역자원시설세 부과 징수된 세수는 폐기물 처리 직접비용의 부족분, 위험시설 관리 비용 등을 보전하기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음 □ 정책 제언 ○ 본 연구는 지역자원시설세 과세대상에 폐기물 및 천연가스를 추가하고, 폐기물을 매립의 방법으로 처분하는 자 및 천연가스를 제조·공급하는 자로 하여금 폐기물의 매립량 및 천연가스 생산량을 과세표준으로 하여 지역자원시설세를 납부 하도록 지방세법을 개정할 것을 제안함

      • KCI등재

        가지를 면과 대나무 섬유에 적용한 천연염색 고찰

        최정연(Choi, Jung Ye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3

        현대는 산업발전으로 인하여 인간의 삶에 편리성과 미래 지향적인 문화를 선사하고 있지만 이에 반해 현대인들은 친환경적인 문화를 갈망하고 있다. 이는 패션에도 영향을 미쳐 기업과 소비자 모두 자연 친화적인 패션 환경을 지향하고 있다. 이에 천연소재와 천연염재를 사용하는 천연염색은 환경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자연스러운 멋과 독특한 색감으로 현대인들의 개성에 부합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오늘날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오늘날 부각되고 있는 슬로 패션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이에 부합하는 천연염색에 대한 이론을 토대로 식물성 천연 섬유소재인 면과 대나무 소재를 선정하여 가지를 천연염색의 재료로 적용해 봄으로서 가지를 활용한 천연염색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면과 같은 대나무 섬유 소재의 활용방안에 대한 학문적 자료로서 이론을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친환경적 트렌드를 이해하고 현대의 천연염색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고 친환경 섬유의 대표적인 대나무 섬유의 활용방안과 가지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가지를 면과 대나무 직물에 적용한 천연염색의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실험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는 오배자, 구연산, 백반을 차별적으로 매염을 적용하여 같은 조건에서의 염색을 진행하다. 연구결과 차별화된 매염제의 활용으로 색상차이가 났으며, 면직물과 대나무 직물의 색상차이는 없었다. 또한 견뢰도 실험에서는 오배자와 백반의 매염제를 적용한 직물과 백반만 적용한 직물에서는 세탁 견뢰도의 변퇴색 측정이 가장 낮게 나왔으며 이외의 세탁, 땀, 마찰 견뢰도는 모두 높은 수치로 측정되었다. pH측정에서도 모든 시료가 안전성의 범위 내에 측정이 되어 가지를 활용한 천연염색의 실용 가능성을 제시 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친환경 패션에 부합되는 천연염색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면직물과 대나무 직물에 여름채소의 한 종류인 가지를 적용함으로서 가지에 대한 천연염재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매염제의 다각적인 적용을 통하여 차별화된 색감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살펴봄으로서 현대의 미학적 관점에서 천연염색 제품에 대한 발전 가능성과 친근한 접근을 위한 이론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modern world presents convenience to human living and future-oriented culture with industrial development but on the other hand, modern people desire environment-friendly culture. This is also affecting fashion and businesses and consumers are pursuing environment-friendly fashion. At this, natural dyes that use natural materials and natural materials are receiving recent interest as they can satisfy the individuality of modern people with natural style and unique color impressions without harming the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organizes concepts of slow fashion, which is recently being highlighted, makes observations of fitting natural dyes by selecting the fiber material of cotton and bamboo fibers which are human-friendly, and applies natural dying methods using the eggplant to present possibilities of natural dying and to provide theories as academic material for utilization plans of bamboo fabric such as cotton. With research methods, environment-friendly trends were understoo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research was conducted on natural dyes of today also observations were made of utilization plans for bamboo fiber, which is a representative environment-friendly fiber, together with a theoretical knowledge of eggplants. Next, experimental research was conducted to observe possibilities of eggplants being used as a natural dye applied to cotton and bamboo materials. The study conducted dyeing under the same conditions by deferentially applying mordant to gallnut, citric acid, and alum. As a result, there was a difference in color due to the use of a differentiated mordant, and there was no color difference between cotton and bamboo fabrics. Also, fastness tests showed that material that applied gallnut and alum mordant and material that only applied alum had the lowest color change measurements with color fastness to washing and washing, sweat, and friction fastness were all measured to have high figures. Measurements of pH were also within safe ranges, presenting practical possibilities for natural dye using eggplants. Through this study,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eggplant vegetable as a natural dye was presented within positive perceptions of natural dyes that aim for eco-friendly fashion and it attempted to provide theoretical data for familiar approaches to natural dying products from modern perspectives.

      • KCI등재

        천연가스 경유국, 수입국, 수출국의 교섭력 분석: 터키를 중심으로

        이아람,김정환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중동연구소 2023 중동연구 Vol.41 No.3

        2022년 발발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국제정치 및 지정학적 구도의 큰 변화를 초래했고, 터키는 국제정치적 측면에서 전쟁을 종식할 중제국으로 급부상하며 주목받고 있다(오종진·이주성 2022, 21). 하지만전쟁 이전부터 유럽과 아시아의 중간에 위치한 터키의 지정학적 위상과역할로 천연가스 교역에서 터키는 이미 많은 관심을 받은 국가였다. 터키는 지리적으로 러시아와 아제르바이잔에서 생산된 천연가스를 유럽으로운송하는 경로에 위치하여 중요한 경유국이자 수입국의 위상을 점하고있다. 특히 2022년 9월 노드스트림 폭발사고로 2023년 3월 기준 러시아-유럽 간 가스관을 통한 천연가스(PNG) 수출은 우크라이나 경유 가스관과 터키스트림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유럽은 이미 오래전부터 천연가스 수급구조 다변화의 필요성을 인지했고 중앙아시아 및 카스피해 연안국들을 유망한 공급국으로 파악했다. 지리적 제약으로 해당 지역의 천연가스는 가스관을 통해서만 유럽 수출이가능하고, 터키는 사실상 유일한 경유국 후보였다. 실제로 2020년 12월남부가스회랑(Southern Gas Corridor: SGC)의 마지막 구간인 아드리아횡단 가스관(Trans Adriatic Pipeline: TAP)이 상업적 운송을 개시함에따라서 아제르바이잔 샤데니즈 가스전(Shah Deniz gas field)에서 생산된 천연가스가 본격적으로 유럽에 공급되기 시작했다(Trans Adriatic Pi peline 2020). 2022년 러시아 천연가스 수출 물량 축소로 인한 공급부족을 겪은 유럽에게 아제르바이잔 천연가스와 이를 운송하는 터키 경로의가치와 역할은 증가했다. 아제르바이잔 관점에서 유럽과 터키는 자국의 천연가스의 대부분을 구한 핵심적인 경로에 위치한 국가다. 아제르바이잔에게 터키는 에너지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유럽의 지정학적 불안정성이 천연가스 공급 문제 발생 가능성을증가시키는 환경에서 불가리아는 터키의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 l Gas: LNG) 재기화설비를 활용하여 자국으로 LNG를 도입하기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 이와 같이 터키는 천연가스 경유국 혹은 에너지 허브의역할을 점차 확대해 나가고 있다. 본 연구는 지정학적 접근이라는 큰 틀에서 Muthoo(2010)이 제안한양자 간 협력요인을 다자간 협상 구도에 적용할 수 있도록 재구성하여 경유국(터키)을 중심으로 수출국(아제르바이잔, 러시아)및 수입국(유럽연합)간 역학 관계 속에서 파생되는 교섭력과 협력요인을 분석하고 평가한다.

      • KCI등재

        천연가스 수급 다변화를 위한 전략 제언

        김정환(Kim, Jeongwan),이아람(Lee, Aram)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3 No.2

        우리나라 에너지 전환정책 기조로 친환경연료에 대한 기대와 관심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이는 결코 에너지 수급에서 화석연료의 중요성을 감소시키지 않으며, 오히려 화석연료 중 탄소배출이 적은 천연가스 수요증대의 동기가 된다. 본 연구는 안정적인 천연가스 수급을 위해 한국정부 및 민간기업이 취해야 할 전략적인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천연가스 인프라와 도입방식을 살펴본 후 공급선 다변화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천연가스 공급확대를 위하여 유망한 파트너인 러시아는 동시베리아와 극동지역의 인프라 부족으로 보유한 천연가스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은 러시아 인프라구축사업에 참여하고 그 대가로 생산물인수계약 체결을 통한 천연가스도입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참여자본조달을 위해 국내적으로 대체투자 상품시장을 활성화시키고 이를 위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 Korean Government’s energy consumption change policy, so called ‘energy transition policy’, makes people to concentrate more on the renewable source of energy. However, it cannot decrease the importance of fossil fuel in country energy mix. It is more likely to boost natural consumption of natural gas that emits less green-house gases. This study discovers the strategic plan for stable natural gas supply that can be adopted by korean government and private companies. In order to figure out the direction of the plan, the study covers korean natural gas importing infrastructure and the process of import. One of the promising partner, Russia, finds difficult to utilize their valuable energy source due to absence of transporting infra. In this state, Korean government and companies should pushfully participate in infra projects in the territory of Russia, and in turn korean sides are able to make "off-take contract` so that Korea can acquire natural gas from Russia. In addition korean finance market should develop alternative investment in order to raise capital for overseas investment. Also,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make policy to make investment friendly environment in domestic capital market.

      • KCI등재

        천연소재를 이용한 지속가능 식품패키지디자인 연구 - 자연&가공소재를 중심으로 -

        홍도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1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9 No.1

        과학기술문명의 급속한 발달과 함께 생태계의 불균형이 환경오염을 초래하였고 또 사회 전반적으로 건강과 젊음, 그리고 행복을 함께 추구하는 웰빙문화의 확산으로 인해 삶의 만족도를 높이며 환경과 건강을 생각하는 생활방식이 부각되고 있다. 이런 생활방식은 환경에 대한 관심과 의식을 증가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친환경 상품들이 출시되고 친환경 패키지의 개발도 점차 증가되는 추세이다. 특히 소비자의 입에 직접 들어가는 식품패키지에 대한 관심이 주목을 끌었다. 본 연구는 천연소재를 이용한 국내외 식품패키지의 사례분석에 관한 내용이다. 기존의 선행연구, 문헌자료와 웹진, 인터넷 포털 사이트 등의 자료로서 이론적 근거를 살펴본 후, 디자인분석은 천연소재를 이용한 국내외 패키지의 소재별 분석을 하였고 소비자 설문조사를 통하여 천연소재의 자연 그대로와 가공을 거친 소재에 대해 살펴보았다. 수집된 설문지의 데이터 처리방법은 코딩(Cording :설문 내용들을 숫자화 하는 과정), 컴퓨터 입력 과정을 거쳐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13.0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통계방법은 빈도분석, 리커트척도법, 다중응답분석, ANOVA, T-test 등을 이용해 통계·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소비자들은 천연소재를 가공한 해외의 패키지가 자연친화적, 생산성, 구매욕구, 지속가능, 현대성 등 5개 요소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따라서 천연소재를 가공하기 전, 즉 자연 그대로의 소재는 특정한 지역의 문화전통을 살리기 위한 수작업으로 완성된 것이므로 대량생산이나 가격 면에서 제한성이 있다. 향후 식품패키지는 환경오염을 줄이고 건강지향 적이며 생산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다. As significant development of modern technology and damage to natural system are causing a lot environmental problems. Concepts of wellbeing culture which seeking for health, youth and happiness have been widely spread. This kind of lifestyle raised public awareness of protecting environment, along with it, markets release more environmental-friendly product and invest more on environmental-friendly package R&D. Food package that go directly to customers’ month attracts much more attention. This paper introduced domestic and oversea case studies about food package produced by natural material. Based on existing research, literature, webzine and internet portal sites, the research analyzed food package made by natural material and compared natural material with processed material. The collected questionnaire used cording, data entry used by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13.0. Statistical method analyzed on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Likert scaling method, multiple response analysis as well as ANOVA, T-test as so on. Analysis result showed that oversea packages using natural material get high mark in areas of environmental-friendly, productivity, intention of buying and modernity. Before processing natural material, it was completed manually which caused some limitation on price and mass production. Eventually, food package will move on the direction of reducing pollution, increasing produ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