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육임 고전 『대육임필법부』에서 고시⋅관직 이론의 음양오행사상 및 천문사상 연구

        이수동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22 동방문화와 사상 Vol.13 No.-

        Daliurenbifafu(大六壬畢法賦) is the Liuren classics written by Junfuzhi(凌福之) in the Southern Song Dynasty. As theories related to the examination⋅the official rank are scattered(散在) in many places of the classics, they are not organized manifestly and the idea which penetrate the theories of the examination⋅the official rank were not investigated in the Liuren’s precedent studies. Therefore, this thesis studied the ideas which penetrate the theories of the examination⋅the official rank in Daliurenbifafu with the method to collect(聚合) and analyze them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s the Oriental Taoistic yin-yang and Five Elements theory. Yukyangge is related to the yin-yang theory and Gwanseong(官星) is done to the Five Elements theory. Yukyang(六陽) of kechuan (課傳) is related to the yin-yang theory because it indicates yang. And Gwanseong of Ilgan is done to the Five Elements theory because it originated from Saenggeuk(生剋) of the five elements. Second, it’s the Oriental Heavenly Questions theory. 28 Fixed Stars divided the stars in north and south based on the equator of the sky into 28 sections, which is assigned to Terrestrial Branches. ‘Douguixiangjiage(斗鬼相加格)’ to pass the examination when Dou (斗) which is assigned to Chou(丑) and gui(鬼) which is done to Wei(未) are added to each other in Ilgan and Yeonmyeon(年命) and ‘Derutianmenge(德入天門格)’ to become top officials when Ildeokgwiin is added to hai (亥) all originated from the Oriental Heavenly Questions theory. And Noble One among the Twelve Heavenly Generals who rules the rest of the 11 Heavenly Generals as the head(首將) means ‘tianyi(天一)’ who serves under Great Heavenly Lord in Forbidden Purple Enclosure. It can be thought that Noble One among the Twelve Heavenly Generals and several ges(格) related to Vermilion Phoenix of them originated from the Oriental Heavenly Questions theory because it obeys his orders. 대육임필법부(大六壬畢法賦) 는 남송의 능복지(凌福之)가 저술한 육임 고전이다. 이 고전에는 고시⋅관직과 관련된 이론이 수 곳에 산재(散在)되어 있어서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지도 않거니와, 고시⋅관직론을 관통하는 사상이 앞선 육임의 선행 연구에서 규명되어 있지도 않다. 이러하므로 본고에서는 대육임필법부 에 흩어져 있는 고시⋅관직론을 취합(聚合)해서 그 이론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대육임필법부 의 고시⋅관직론을 관통하는 사상을 연구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양의 음양오행사상이다. 음양사상과 관련된 것에는 육양격, 오행과 관련된 사상에는 관성(官星)이 있다. 과전(課傳)의 육양(六陽)이 양을 가리키므로 음양사상과 관련이 있고, 일간의 관성은 오행의 생극(生剋)에서 비롯되었으므로 오행사상과 관련이 있다. 둘째, 동양의 천문사상이다. 하늘의 적도를 따라 남북에 있는 별들을 28개 구획으로 구분한 것이 28수이고 이 28수는 12지에 배속되어 있다. 丑에 배속되어 있는 두(斗)와 未에 배속되어 있는 귀(鬼)가 일간 및 연명(年命)에서 서로 가(加)하면 고시에 합격한다는 ‘두귀상가격(斗鬼相加格)’, 일덕귀인이 亥에 가하면 고위직 관리가 된다는 ‘덕입천문격(德入天門格)’은 모두 동양의 천문사상에서 비롯된 것이다. 또한 12천장의 수장(首將)으로서 나머지 11천장을 부리는 천을귀인이 자미원에서 천황대제를 보좌하는 ‘천일(天一)’을 뜻하고, 12천장의 주작이 천을귀인의 명령을 따르므로, 천을귀인 및 주작과 관련된 여러 격(格)들은 동양의 천문사상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천문사상(天文思想)과 대전의 산세 고찰

        김태오 ( Kim Tae-oh ),임병학 ( Lim Byeong-hak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학연구 Vol.60 No.4

        본 논문은 천문사상의 사신사(四神砂)를 중심으로 대한민국 6대 도시인 대전의 산세와 물의 흐름을 고찰하였다. 대전은 마이산(馬耳山)에서 대둔산(大芚山)을 거쳐 만인산(萬仞山)에서 식장산(食藏山)과 보문산(寶文山)으로 갈라지는 산세로 보문산이 주산이 되어야 한다. 대전은 보문산을 기준으로 백운봉과 도덕봉(금수봉), 갑하산, 구봉산 등이 성벽처럼 좌측을 둘러싸고, 식장산과 계족산(鷄足山)이 우측으로 길게 뻗어 명당을 보호하고 있다. 충남의 여러 지역을 대표하는 계룡산(鷄龍山)은 매우 뛰어난 산세를 자랑하고 있지만, 대전의 주산이 되기는 어려운 부분이 있다. 대전의 산세는 3개 하천에서 흘러가는 물과 함께 산도 같이 걸어가는 모습을 지니고 있다. 산과 물이 일치된 흐름의 기운을 가지며, 모두 금강에서 끝을 맺고 있다. 물이 고요히 흐르면 조용하고, 물이 바람을 만나 파도를 일으키면 우렁차듯이 대전은 조용하면서 우렁찬 기운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대전은 사신사의 형태를 갖추고 명당을 보호하고 있으나, 주작의 역할이 미비하여 명당지역의 물 흐름을 막아주지 못하는 단점이 나타나고 있다. 청룡은 성벽처럼 둘러싸고 백호와 더불어 좌우로 이어져 명당보국을 감싸고 있지만, 서로를 향해 손을 잡지는 못하는 형국이다. 특히 대전은 산세와 물의 흐름이 남쪽에서 북으로 흐르는 역방향이 되므로, 도심 건물의 위치도 모호한 점이 있다. 또 대전은 남쪽 방향을 등지고 분지로 형성되어 산세와 물의 흐름과 반대로 건축이 되고 있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대전지역의 도시발전을 위해서는 산과 물의 흐름을 살펴 건축의 방향을 정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considers the flow of mountains and water in Daejeon, one of the six largest cities in Korea, as a shrine to astronomical Thought. In Daejeon, Mt. Bomun is the main mountain, which divides from Mt. Manin to Mt. Sikjang and Mt. Bomun. Gyeryongmountain, which represents various parts of Chungcheongnam-do, boasts excellent mountains, but it is difficult to become the main mountain of Daejeon. Based on Bomunsan Mountain, Baegunbong Peak, Dodukbong Peak(Geumsubong Peak), Gaphasan Mountain, and Gubongsan Mountain surround the left side, and Sikjangsan Mountain and Gyejoksan Mountain extend to the right to protect the Myeongdang. The mountain is seen walking along the mountain along with water flowing from the three rivers. The mountain and the water have the same flow, all ending in the Geumgang River. When the water flows quietly, it is quiet, and when the water meets the wind and creates waves, Daejeon has a quiet and loud atmosphere at the same time. Daejeon protects the Myeongdang in the form of Sasinsa, but it has a disadvantage that it cannot prevent the flow of water in the Myeongdang area due to lack of Jujak. Cheongryong, like the fortress wall, is surrounding Daejeon and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along with the Baekho to create a Myeongdang, but they are unable to hold hands toward each other. In particular, the location of the building is ambiguous, as the flow of mountains and water flows from the south to the north. Daejeon is formed into a basin with its back facing the south,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its construction as opposed to the flow of mountains and wate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aejeon area,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architecture by looking at the flow of mountains and water. Although Daejeon does not have a full form of Sainsa, it is said that it should become a city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and the center of academic research because it contains water-like wisdom.

      • KCI등재

        소재도량(消災道場)을 통해 본 고려시대의 천문기양사상(天文祈禳思想)

        김수연 ( Soo Youn Kim ) 한국사상사학회 2013 韓國思想史學 Vol.0 No.45

        소재도량(消災道場)은 치성광여래(熾盛光如來)를 대상으로 하는 불교의례이다. 문종 원년(1047)에서 우왕 원년(1375)까지 약 330년 동안 150회 이상 개설되었는데, 고려시대 비정기적 불교의례 가운데 가장 높은 개설 빈도를 자랑한다. 소의경전은 『소재길상경(消災吉祥經)』과 『소제재난경(消除災難經)』이며, 개설 목적은 천변(天變)으로 예견되는 재앙을 막기 위함이었다. 고려시대에 소재도량이 개설될 수 있었던 사상적 배경으로는 발전된 점성학과 불교 성수신앙(星宿信仰)의 대표 존격(尊格)인 치성광여래에 대한 신앙을 들 수 있다. 고려는 요(遼)에서 점성학을 배워갈 정도로, 점성학의 수준이 높았다. 또한 소재도량의 의례 대상이었던 치성광신앙에 대한 전통도 뿌리가 깊었다. 14세기 경에는 고려의 성수신앙을 그림으로 구조화한 「치성광여래강림도(熾盛光如來降臨圖)」가 제작되기도 하였다. 이 그림은 단순히 불교 신앙 대상으로서의 치성광여래와 권속(眷屬)들을 표현한 데 그치지 않고, 도교적 성수신앙도 반영되어 있다. 이를 통해, 고려의 치성광여래 신앙이 도교신앙과 교섭하며 발전되어 갔음을 추정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소재도량에서 주목할 점은 성변뿐 아니라 지변(地變)도 기양 대상으로 삼고 있다는 점이다. 땅에서 일어나는 자연재해는 소의경전에는 언급되지 않은 내용이다. 즉, 확대해석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인데, 이는 천인감응설(天人感應說)로 설명이 가능하다. 고려시대에는 오성(五星) 및 일월성신(日月星辰)의 성변과 오행의 이상으로 인해 땅에서 발생하는 자연재해를 하나의 범주로 묶어서 파악하고 있었다. 성변을 막는다는 것은 문란해진 오행을 바로잡는 것이기 때문에 오행의 문란으로 발생한 기타 자연재해 역시 소재도량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천인감응설을 바탕으로 재해를 해석하였기 때문에, 그 재해를 기양하는 최선의 방식은 군주(君主)의 수덕(修德)이었다. 그러나 이 방식은 시간이 오래 걸리고 가시적이지 않기 때문에, 화려한 형식과 신비한 다라니를 갖추어 진행되는 밀교의례, 즉 소재도량을 차선책으로 개설하였던 것이다. Sojae-doryang was a Buddhist ceremony for Tejaprabha Buddha(熾盛光如來) and performed over than 150 times for approximately 330 years from the first year of King Munjong(文宗)`s reign(1047) to that of King Woowang(禑王, 1375). It boasts the highest frequency of performance of the irregular Buddhist ceremonies during Goryeo. This ritual used Sojae-gilsang-gyung(『消災吉祥經』) and Soje-jaenan-gyung (『消除災難經』) as a background of thought, and was established to prevent disasters predicted through extraordinary phenomena in the heavens. The ideological backgrounds behind the performance of Sojae- doryang during Goryeo were advanced astrology and the faith of Tejaprabha Buddha, the most representative Buddhist faith of maturity. Goryeo developed astrology to the level that even Liao(遼) Dynasty tried to learn it. The heritage of Tejaprabha faith, the object of the Sojae-doryang faith, was also deep-rooted. They even produced The Advent of Tejaprabha Buddha(「熾盛光如來降臨圖」) that structuralized Gorye`s constellation faith in the 14th century. Not only did the painting depict Tejaprabha Buddha and its dependents as the objects of Buddhist faith, but it also reflected the constellation faith of Taoism, which leads to an estimation that Goryeo`s Tejaprabha Buddha faith developed by interacting with Taoist faith. What is noteworthy about Sojae-doryang is that the extraordinary phenomena of both heaven(星變) and earth(地變) were the objects of worship. Natural disasters occurring on land were not mentioned in Relying-on Sutra. That is, there was a broad interpretation, which can be explained with the theory on respondency of Heaven-Man(天人感應說). In Goryeo, they understood natural disasters occurring on land as a single category according to the extraordinary phenomena of heaven and the abnormality of the five elements(五行). Blocking the extraordinary phenomena of heaven meant correcting the disturbed five elements right, which means that other natural disasters due to the disturbed five elements could be resolved through Sojae-doryang, as well. Since it was an interpretation of disaster based on the theory on respondency of Heaven-Man, the best way to pray for no disaster was the ruler`s ascetical virtue. The way, however, required long time and was not visible, which was why they installed Sojae-doryang, a ceremony of esoteric Buddhism equipped with gorgeous forms and mysterious dharani, as the second best option.

      • KCI등재

        <謝角傳>을 통해 본 天文星宿觀念의 수용 양상과 의미 지향

        곽정식 한국국어교육학회 2012 새국어교육 Vol.0 No.89

        <謝角傳>은 주인공 사각의 前身을 天上 角星으로 설정하고 있는데, 天文에서 각성은 道德과 戰爭을 주관한다고 하는 바, 이와 같은 천문사상의 수용 양상과 의미 지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주인공의 전신을 천상 각성으로 설정한 것은 그가 文武兼全의 자질과 능력을 갖춘 비범한 인물일 뿐더러 인간계에서의 삶이 천의의 수행 과정으로 예정되어 있음을 뜻한다. 이에 인간 사각은 문․무과에 장원급제하여 이부상서 겸 대원수에 오르고, 천자를 구원하여 부귀공명을 이룬 후 마침내 천상 각성으로 귀환하는 것으로 결구하였다. 한편 이와 같은 천문사상의 수용을 통해 인간 존재의 근원을 천상계에 두고 天人關係를 생명적 연관성에 입각하여 이해함으로써 인간 사각을 天命을 수행하는 인물로 그려내는 한편, 인간 사각이 다시 천상 각성이라는 본래의 자리로 귀환하는 것으로 결구하여 죽음의 不在, 곧 永生不滅을 지향하고 있으며, 끝으로 文武兼全의 자질과 능력으로 인간세상에서 부귀공명을 성취하는 것으로 그려놓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acceptant shape of astronomy-constellations thought and inclination of the meaning of <Sagakjeon>. First, I inspected the acceptant shape of astronomy-constellations thought of <Sagakjeon> by dividing the hero's lifetime into birth, learning, forming a relationship, establishment of himself in life, success, family reunion and an end. Sagak, as a hero is described as a person in exile of heavens Gaksung that supervises morality and war. therefore the birth of Sagak means appearance of a remarkable man who has both literary and military accomplishments. Secondly the actions of Sagak in the world of mortals are described as helping an Emperor of Yuan by driving away the bloody robbers. therefore it means accomplishing the divine will and resigning himself to Heaven's will. The other side, the visual angle of a narrator is focused on the marriage and return to the heavens Gaksung in part of the family reunion and an end. First, the family reunion is constructed Sagak's marriage and living in honor and wealth. Secondly, the end of Sagak and wives is described as returning to the heavens Gaksung, his native place. Lastly, I inspected inclination of the mean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discussion, <Sagakjeon> shows the thought of Heaven's will, immortality of a human being and wealth as inclination of the meaning.

      • KCI등재

        견우직녀 설화의 생성과 사회적 배경 고찰

        양충열 韓國世界文學比較學會 2012 世界文學比較硏究 Vol.38 No.-

        牽牛織女故事非但是古代中國的四大民間故事之壹, 而且是至今廣範流行於東亞洲的故事。國內學界從來關於這方面的系統硏究還不구, 而且於中國學界也흔難尋조。於是我將要探討牽牛織女說話的生成過程以及其社會背景。牽牛織女說話到後漢末葉初步萌芽,可是到六朝才具有說話的面貌。牽牛織女的愛情悲劇故事, 鵲橋和黃帝題材到六朝才完成。因此認爲六朝是牽牛織女說話的鼎立期。還有, 我從這三個角度來考察牽牛織女說話産生的社會背景。就說是古代天文思想和天人關系的影響, 古代男耕女織的農耕文化與農耕信仰的影響, 古代家父長制社會的影響。這樣形成的牽牛織女說話隨著時代變遷, 經過後代說話者的改編作業發展到些具有更多, 更豊富內容的故事。

      • KCI등재

        신라 "나얼(奈乙, 蘿井)" 祭天 유적에 나타난 “얼(井)” 사상

        정경희 ( Kyung Hee Jung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3 선도문화 Vol.15 No.-

        This study is on the Sundo仙道 thought in the relics of ‘Naeol’, the highest Sodo(蘇塗, the sacred place of Korean Sundo) of Silla noted for the first king Park-Hyeok-Keose朴赫居世`s birthplace and the national shrine site for Heaven天. In the theory of One-Three一?三論 or the theory of One-Three-Nine 一?三?九論, the core onthology of Korean Sundo, One Ki氣(Chun天? Ji地?In人, Eol?Ul?Al, Haneol?Hanul?Hanal Three Ki三氣) is the substance of all being and the cosmic life particle that is originated from Heaven nearby the Big Dipper and the Korean language of it is ‘Eol’. Also ‘井’, the Chinese character marking of ‘Eol’ is the pictograph to express the creativity of ‘Eol’. Not only the name of ‘Naeol’ keeps the idea of Eol but also the facilities of it was constructed by the idea of Eol. The column to Heaven 天柱 in the first facilities about B.C. 2C, the central column心柱 of the round shape shrine for Heaven in the second facilities during the reign of King Soji炤知 in A.D. 5C and the central column of the octagonal shrine for Heaven in the third facilities during the reign of King Munmu文武 in A.D. 7C all symbolize a sympathy with ‘One Ki(Three Ki) or Eol’ from Heaven. Besides the octagonal shrine for Heaven in the third facilities symbolizes the ‘井’ character. Generally the octagon is considered Buddhist facilities, but the present writer indicates the idea of Eol as the constructing theory and the ceremonial instrument for Heaven rituals祭天 of Hungshan Culture紅山文化 in Baedalkook倍達國 period as the historical origin. According to the idea of Eol, one has ‘One Ki(Three Ki) or Eol’ in one`s body. So one advances ‘Sungtong(性通, Eol’s awakening)→Kongwan (功完, Eol`s practice after awakening)→Jochun(朝天, Eol`s revolution to the origin) through the process of the union of Heaven`s Eol and human Eol(天人合一 or 人合一) gradually. Because the core theory of Sundo discipline, ‘Sungtong→Kongwan→ Jochun’ is kept in the idea of Eol like this, the name of ‘Naeol’ can be understood as ‘Eol`s awakening’. Also we get to understand that the facilities of ‘Naeol’ sodo function to intermediate one`s discipline as the symbol of the union of Heaven`s Eol and human Eol.

      • KCI등재

        북경성의 도시형성원리에 관한 연구

        신상화(Shin, Sang-Hwa) 한국주거환경학회 2014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2 No.4

        This study is about the city formation principle of the Beijing Castle.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1. Beijing Castle is based on the Astronomy thought. Especially, the name of Forbidden City itself is related to the Astronomy thought. 2. Beijing Castle has a central axis which is setted to across the Forbidden City. This central axis is the significant characteristic of Beijing City, which is related to the Astronomy thought. 3. The edifice of Forbidden City is also framed based on the Yin-Yang School. 4. Geographical features in Beijing Castle are analysed with Peng Sui. The space arrangement of the Forbidden City was affected by Peng Sui. 5. The Beijing Olympic Park is the typical case of grafting ancient theory-Peng Sui-into modern urban development. It is highly praised to applying Beijing"s history and tradition on urban development. Above all, Beijing is regenerating the city with its local history, tradition, and its valuable cultural heritage. I am looking forward to regenerate the city of Korea into attractive city, containing the story of local history and culture, like Beij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