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진왜란 중 조명관계의 실상과 조공책봉관계의 본질

        계승범(Kye, Seung-Bum) 한국사학사학회 2012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6

        임진왜란 때 명이 참전하고 조선의 내정에 간섭함에 따라 조선의 위상은 크게 낮아졌다. 조선은 작전・지휘권도 없이 일방적으로 명에게 휘둘렸으며, 강화협상 과정에서도 배제되었다. 세자의 책봉 주청도 전쟁 중에 세 번이나 거절되었고, 끝내 책봉을 받는 데 실패했다. 조명관계와 관련해 그동안 학계에서는 조선 국왕이 비록 명 황제에게 조공을 바치고 책봉은 받았으나 내정간섭은 거의 없었으므로 조선은 자주국이었다는 해석이 통설처럼 되어 있었고, 따라서 상기한 사례들을 전쟁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발생한 예외적인 것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강했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이런 통설에 이의를 제기하고, 전쟁 중의 사례들이 군신관계로 설명되는 조공책봉관계에서는 언제라도 일어날 수 있는 일로 해석한다. 이를 위해 먼저 전쟁 중에 명이 일방적으로 행사한 작전·지휘권 문제를 살피되, 명과 조선 사이에 형성된 상하관계에, 특히 상명하복 관계에 중점을 두어 고찰한다. 다음에 조공책봉관계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책봉 문제를 다루되, 전쟁 중에 조선의 세자 책봉 주청을 명이 계속 거절한 사실을 조공책봉관계의 본질과 관련해 분석하고 해석한다. 이런 작업을 통해 조선과 명 사이에 형성된 조공책봉관계 곧 군신관계가 단지 의례적이거나 형식적인 관계가 아니라, 현실에서 그 함의 그대로 작동하고 있었음을 밝힌다. With emphasis on the issues of the operational command authority and the investiture of the crown prince of Chosŏn during the war, this paper examines Ming-Chosŏn relations in connection to the so-called tribute system imposed by the Ming. On entering the war in Chosŏn against Hideyoshi, the Ming established operational command of the Chosŏn military, as the Chosŏn court had little option but to provide provisions and deploy its army as commanded by the Ming. By bypassing the King of Chosŏn, some Ming high officers discretionally summoned Chosŏn officials and officers and even punished them for failing to provide provisions in time. The Ming court also repeatedly refused to recognize and confer investiture on the crown prince of Chosŏn, who had already been installed and declared as crown prince by the King of Chosŏn. While Korean scholars tend to regard such situations as exceptional cases under the duress of war, this paper, however, argues that such experiences were common under the tribute system, or the lord-subject relationship between the Ming and the Chosŏn.

      • KCI등재

        4世紀 末 高句麗와 後燕의 關係

        李成制(Lee Seongje) 한국고대사학회 2012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68

        이 글은 『梁書』 高句驪傳의 396년 후연이 고구려 광개토왕을 책봉한 기록이 양국이 冊封朝貢關係를 맺게 되었음을 의미한다고 이해하고 그 배경과 새로운 관계의 내용에 대해 살핀 것이다. 당시 후연은 北魏와의 대결에서 守勢에 몰리고 있었기에, 이때의 책봉은 북위의 공세에 대비한 대책의 일환이었다. 후연은 책봉을 내세운 對高句麗外交로서 고구려와의 관계를 개선하고자 했던 것이다. 이러한 의도로 보아 후연의 책봉에 대해 고구려가 화답하지 않는다면 양국 관계의 개선은 무망하였다. 따라서 이 기사는 양국이 책봉조공관계를 맺게 되었다는 중요한 사실을 전해주고 있다고 생각된다. 한편 양국 관계의 개선이 소망스럽기는 고구려도 매 한가지였다. 남방의 百濟를 상대하기 위해 역량을 집중할 필요가 있었기에 후연과의 적대적 관계가 계속된다는 것은 부담스러운 일이었다. 이와 관련하여 후연의 책봉에 후속하여 광개토왕이 幕僚를 두었다는 것은 후연의 책봉이 그 전제가 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즉 광개토왕은 후연의 책봉을 수용하였던 것이다. 종래의 연구에서는 후연의 광개토왕 책봉은 고구려가 遼東을 차지하고 있다는 현실을 후연이 인정하는 조치라고 여겨왔다. 그러나 『양서』의 책봉 기록은 후연이 수여한 책봉 내용을 모두 전하는 것이 아니라 前 왕조인 前燕이 수여한 책봉을 전제로 바뀐 내용을 전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책봉의 변화 내용을 분석한 결과, 후연이 고구려의 요동 영유를 인정하였다면 당연히 들어가 있어야 하는 遼河 以東의 지역 즉 ‘平州’의 관할권이 불완전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구려의 요동 영유는 후연이 요동과 玄?2郡을 고구려에 상실했다는 것을 뜻한다. 하지만 이들 지역에서 고구려가 후연을 몰아냈다거나 후연의 전력이 약해졌음을 보여주는 기록은 찾을 수 없다. 도리어 平郭과 요동을 거점으로 군사력을 강화한 후연의 東方政策은 후연이 붕괴하던 시점까지 유지되었음을 살필 수 있다. 따라서 당시 요동 지역은 양국이 分點하고 있었고, 양국의 책봉조공관계는 이러한 현실을 그대로 인정하는 조치였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이러한 요동 지역의 분점 상황을 드러내고 있는 사료가 바로 〈廣開土王陵碑〉 永樂 5年條라고 본다. 광개토왕이 巡行한 경로 상에 마땅히 지나쳐야 했을 평곽과 요동이 보이질 않기 때문이다. 그 결과 광개토왕은 후연과의 관계가 개선된 뒤, 백제 공략에 나서서 커다란 전과를 거두었다. 고구려가 396년 후연과의 관계에서 이룬 책봉조공관계의 의미는 바로 여기에 있었다. This thesis is intended to understand that the Book of Liang (梁書 Liang Shu)"s record for the installation of King Gwanggaeto of Koguryo by the Later Yan in 396 indicates the installation and tribute relationship established between these two countries and examine its background and the details in this new relationship. At that time, the Later Yan was put in a defensive corner by the NorthernWei, so the installation of King Gwanggaeto was one of preventive measures for the Northern Wei"s attacks. The Later Yan intended to improve the relationship with Koguryo through the diplomatic means toward Koguryo. Seeing the Late Yan"s intention, if Koguryo had not been responding to the Later Yan"s diplomac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countries would have not been improved at all. Therefore, this record indicates an important fact that these two countries entered into the relationship of installation and tribute. On the other hand, Koguryo also wanted to improve the relationship with the Late Yan. Since Koguryo needed to gather all its powers to deal with Baekje of the south, it was difficult for Koguryo to maintain hostile relationship with the Later Yan. With regard to this, King Gwanggaeto had staff officers based on the installation of King Gwanggaeto by the Later Yan. That is, King Gwanggaeto accepted the installation by the Later Yan. In previous studies, the installation of King Gwanggaeto by the Later Yan is considered as the Later Yan"s measure which admitted the fact that Koguryo possessed the Liaodong Peninsula. But, the installation record in the Book of Liang does not deliver the whole details of the Later Yan"s installation but the modified contents based on the installation granted by the Former Yan which was the previous dynasty. The analysis result of changes in the installation shows that the dominion over Liao River area which is "Pingzhou(平州)" where it would have been incomplete if the Later Yan would accept the Koguryo"s Liaodong Peninsula possession. And also, Koguryo"s Liaodong Peninsula possession means that the Later Yan lost Liaodong Peninsula and Xuantu(玄?) Commandery to Koguryo. However, there is no record showing that Koguryo drove out the Later Yan from these areas or the Later Yan"s power weakened. Instead, the policy toward the east of the Later Yan that reinforced its military power based on Pingguo(平郭) and the Liaodong Peninsula maintained up to the point of the Later Yan"s collapse. Therefore, the Liaodong Peninsula was jointly possessed by both countries, and the relationship of installation and tribute between these two countries was the measure which admitted this fact as it was. And, the historical material that shows the shared possession circumstance of this Liaodong Peninsula is Article of Yongnak year 5(永樂 5年條) engraved on the King Gwanggaeto Stele(廣開土王陵碑). It"s because the path of King Gwanggaeto"s royal tour doesn"t show Pingguo(平郭) and the Liaodong Peninsula where he would have passed. As a result, King Gwanggaeto attacked Baekje and achieved significant wartime accomplishments after improv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Later Yan. This was why Koguryo entered into the relationship of installation and tribute with the Later Yan in 396.

      • KCI등재

        歲幣 ·方物을 통해 본 朝淸관계의 특징 : 인조대 歲幣 ·方物의 구성과 재정 부담을 중심으로

        홍선이(Hong Suuny) 고려사학회 2014 한국사학보 Vol.- No.55

        ‘朝貢-冊封관계’라고 하는 ‘중국적 세계 질서(Chinese World Order)’의 틀로 전통시대 동아시아 국제 질서를 설명하는 시각은 조선과 明・淸의 관계를 전근대 동아시아 ‘조공-책봉관계’의 ‘典型’으로 간주하는 동시에 조명관계와 조청관계의 유사성을 강조한다. 이 글의 목적은 조선이 청에게 부담해야 했던 歲幣와 方物을 통해 조청관계가 ‘전형적’인 ‘조공-책봉관계’가 아니며, 조명관계와도 차이가 있었다는 것을 논증하려는 것이다. ‘조공-책봉관계’는 ‘稱臣’과 ‘冊封’을 통해 군신관계로 설정된 두 국가가 ‘納貢’과 ‘下賜’를 통해 정기적으로 禮物을 주고받는 행위를 통해 유지된다. 조선이 명으로 보냈던 ‘方物’이 바로 이 예물에 해당하는 것으로, 방물은 계약이나 조약에 의해 강제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총액 규모가 크지 않았으며 구체적인 종류와 수량이 시기에 따라 변동하였다. 그러나 조청관계에서는 방물 외에 세폐가 추가되어 조공품이 歲幣・方物로 이원적으로 구성되었다. 세폐는 방물과 달리 품목과 수량을 청이 강제한 것이었고, 총액 규모도 대단히 컸다.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조선이 부담해야 하는 외교비용은 일찍이 유례가 없는 수준으로 증가하였다.특히 병자호란 직후 조선의 세폐・방물 마련 비용은 당시 조선의 호조 재정 규모를 훨씬 초과하는 것이었다. 조선정부는 다양한 재정보용책을 실시하기도 하였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는 없었다. 따라서 조선정부는 백성들에게 임시세를 추가로 징수하는 ‘결포’에 의지하는 수밖에 없었고, 다시 극심한 대민 폐해를 야기하였다. 이처럼 조청관계에서 조선이 감내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은 정상적인 국제관계에서 발생하는 외교비용과는 차원이 달랐다. 조청관계의 이와 같은 ‘비정상성’은 청과 조선이 전승국과 패전국의 위치에서 관계를 맺었기 때문이기도 하고, 보다 근본적으로는 중화세계와 유목세계를 아우르는 대청제국의 ‘이중적 국제관계’안에서 조선이 차지하고 있던 위치가 특수하였기 때문이기도 하였다. 전쟁에서 비롯된 ‘비정상성’은 청의 입관 이후 양국 관계가 안정되며 어느 정도 ‘정상화’되었다. 그러나 조선이 대청제국의 ‘이중적 국제관계’안에서 세폐와 방물을 ‘이중적으로’ 부담해야 하는 위치에 있었다는 특성은 19세기까지 그대로 지속되었다.

      • KCI등재

        고대 韓・日 사료에 보이는 〈盟約〉

        이재석(Lee, Jae-Seok) 한일관계사학회 2020 한일관계사연구 Vol.67 No.-

        고대 동아시아 지역은 유목과 농경, 나아가 海域의 주민이 서로 공존하고 있던 다원화된 세계였다. 고대 동아시아의 국제질서의 형성 또한 이러한 다원성에 기초를 두고 있었다. 종래 고대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유형으로서 가장 주목을 받은 것은 다름 아닌 朝貢-冊封 관계라고 할 수 있지만 본고에서는 고대 동아시아 국제관계 속에서 보이는 ‘盟約(誓・誓盟 등으로도 표기)’으로 표현되는 관계 유형에 주목해 보았다. 고구려・백제・신라・가야・왜(일본)에서는 국가 대 국가(지역, 종족) 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형태로서 왕권에 대한 복속의 논리를 수반한 맹약(맹세)의 유형이 존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고구려 광개토왕 비문에 분명하게 나타나듯이 때로는 조공을 수반하는 관계로 설정되기도 하였다. 고대 동아시아의 국제관계란 반드시 중원왕조와 주변 국가(지역・종족)의 관계만이 있는 것이 아니라 非중원권 간의 관계도 고대 동아시아를 구성하는 주요 관계였기 때문에 이러한 韓・왜(일본)의 맹약 관행은 그 자체로 고대 동아시아의 국제관계의 한 유형으로서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이 맹약은 중원왕조와 북방 유목민족의 관계에서도 종종 등장하는 표현이었음을 감안하면 ‘책봉’에 버금갈 수 있는 관계 유형의 하나로 자리매김해 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다. 여기서는 그러한 관점에 입각하여 주로 고대 한・일의 맹약 관련 사료를 소재로 하여 그 가능성을 모색해 본 試論的 성격의 고찰이다. Ancient East Asia was a pluralistic world in which nomads, farmers and inhabitants of fishermen coexisted. The formation of the international order in ancient East Asia was also based on this pluralism. The most noticeable type of international relations in ancient East Asia is the tribute-installation. However, in this article, I have focused on the type of relations expressed in the form of "compact (also referred to as swear)’ found in ancient East Asian international relations. In Goguryeo, Baekje, Silla, Gaya and Japan (Wa), it was confirmed there was a type of oath with the logic of subjugation to the kingship as a for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s (regions, races). As is clearly shown in the inscription of King Gwanggaeto in Goguryeo, it was sometimes set in relation to tribute. Such compact practices of Korea-Japan are, in themselves, worth noting as a type of international relations in ancient East Asia since it was not only related to the Chinese Dynasty and neighboring countries (regions and races), the relations between the non-Chinese societies were also the main components of the ancient East Asia. In particular, considering that the compact (pledge) was often express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nese Dynasty and the northern nomadic people, it can be established as one of the types of relations comparable to the ‘installation’. Based on such a perspective,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xploring the possibility mainly based on the historical sources of the Korea-Japan compact.

      • KCI등재

        유교문명권의 국제관계: 책봉제도를 중심으로

        권선홍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10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31 No.2

        This paper aims to grasp the actual fact of traditional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e Confucian world from East Asian world level, which is not based on a single nation. It considers the viewpoint of pre-modern, not modern, people. The fact that hierarchical order was common in medieval times is always taken into consideration. Also the hierarchy, not equality, is the more general in the long hist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First of all, in the Confucian world, the state was regarded as extended family and the family as miniature state. The li (禮) was the Confucian natural law and the criterion distinguishing the civilized from the barbarous. Secondly, investiture was the universal institution in medieval times, to say nothing of the Confucian world. And as has already been known, receiving investiture from the Son of Heaven (Emperor of China) was considered as a great honor or mark of civilization which the barbarous could not attain. Thirdly, Emperor’s investiture was the shortcut to attain legitimacy and full membership of kings in the Confucian world. The investiture system also gave many economic and cultural benefits to kingdoms and greatly contributed to maintain order and peace in traditional East Asia. Finally, the investiture system brought about the culturally homogeneous consciousness to some degree in the Confucian world, the literati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 Confucian world or norms rather than his own nation. In a word, Confucian international relations were viewed as hierarchical and non-equal, but on the other hand paternalistic and reciprocal. 이 논문은 유교문명권의 국제관계에 대해 책봉제도를 중심으로 그 실상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해보면, 우선 유교문명권의 국제관계는 기본적으로 사상∙이념 차원에서 중화∙화이사상과 함께 천명과 대일통사상 등을 포괄하는 유교사상을 바탕으로, 중국과 그 주변의 국가∙지역들 간의 관계를 사대자소의 예적 질서로 규정하고, 현실에서는 책봉∙조공제도가 운용되었다. 즉 유교 원리와 규범이 개인∙가정∙사회∙국가뿐 아니라 국가 간의 관계에까지 두루 통용되는, 이른바 국제관계의 명분이기도 하였다. 다음으로, 중세 각 문명권은 대부분 상하차등질서 속에서 보편종교의 이상적 질서를 책봉을 통해 현실세계에서 구현하려고 하였다. 즉 책봉은 중세시대의 보편적 제도로서, 유교문명권의 공동문자인 한문으로 작성된 국서와 금인 등 상징물 등을 내려줌으로써 이루어졌다. 책봉관계에서 벗어남은 자주성을 높이는 것이 아니라, 문명국으로 인정받지 못한다는 의미였다. 따라서 책봉 받음은 커다란 영예라서,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하였다. 셋째로, 책봉은 왕조국가 간의 상호연대를 이루어, 좁게는 왕조정권체제의 유지에 기여하고 넓게는 유교문명권의 질서 유지와 평화 보장에 기여하였다. 즉 책봉이 국왕을 국내외적으로 공인하는 절차이자 유교문명권의 정회원임을 공인하는 절차였으며, 유교문명권을 하나로 만들고 이어나가는데 필수적 요소였다. 끝으로, 책봉관계를 통하여 유교문명권의 유대의식을 가져다주었으며, 국가나 사직보다는 유교규범을 더 중시하고, 일가 내지 동류의식을 강조하였다. 요컨대 유교문명권의 국제관계는 대체로 ‘위계적이고 차등적이나, 온정적이며 호혜적인 관계’였다고 하겠다.

      • KCI등재

        14세기 후반 고려-원 관계의 연구

        이익주(Lee, Ikjoo) 동북아역사재단 2016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3

        이 논문은 고려가 반원운동에 성공한 1356년(공민왕 5)부터 북원이 멸망한 1388년(우왕 14)까지 고려와 원의 관계를 연구한 것이다. 이 시기의 고려-원 관계는 1219년부터 시작된 고려-몽골 관계의 대미에 해당하나 지금까지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근래 들어 고려의 반원운동 이후 고려-원 관계와 원-명 교체 이후 고려-북원 관계가 연구되고 있지만, 두 시기의 고려-원 관계를 종합하는 수준에 이르지는 못하고 있다. 14세기 후반 고려-원 관계는 고려의 반원운동으로 ‘세조구제’가 폐기된 이후 그것을 대신할 원칙을 수립하지 못했고, 새로이 명이 등장함으로써 다원적인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불안정해질 수밖에 없었다. 그에 따라 단기간에 급격한 변화가 나타나게 되었으므로 다음과 같은 몇 단계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첫 단계는 1356년 고려의 반원운동이 성공한 뒤로부터 홍건적의 침입을 받는 1359년(공민왕 8)까지의 시기이다. 이때는 고려가 원과의 관계를 일방적으로 주도하면서 형식적인 책봉 -조공 관계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홍건적의 침략으로 고려가 대원관계의 개선을 위해 원에 접근하고, 그에 따라 원의 입장이 다시 강화된 시기이다. 이에 대응하여 원은 고려와의 관계를 반원운동 이전으로 되돌리고자 했는데, 그러한 정책은 공민왕을 폐위하는 것으로 절정에 이르렀지만 결국 실패로 끝났고, 이후로는 고려의 주도권이 다시 회복되었다. 세 번째 단계는 1369년(공민왕 18) 이후의 시기이다. 중국에서 원-명 교체의 조짐이 보이자 고려는 원과 관계를 단절하고 명과 책봉 -조공 관계를 수립함으로써 정세 변화에 대응하였다. 그 뒤로도 북원이 건재하면서 명과 대립하였지만, 고려는 시종 친명·반원 정책으로 일관하였다. 네 번째 시기는 1374년(공민왕 23) 우왕이 즉위한 뒤로부터 북원이 멸망하는 1388년(우왕 14)까지의 시기이다. 공민왕 시해와 명 사신 살해사건을 계기로 고려와 명의 관계가 일시 중단되고, 그 사이에 고려는 북원과의 책봉 -조공 관계를 일시 회복하기도 했지만, 기본적으로는 친명반원 정책을 포기하지 않았다. 고려가 원-명 교체를 일찍부터 인정하고 친명 정책을 채택함에 따라서 북원과의 관계는 급속히 소원해지고, 북원의 존재가 고려-명 관계에서 중요한 변수로서 작용하지 못했다. 당시 고려가 친명 정책을 견지한 것은 공민왕의 반원운동 이후 양국 관계를 재정립하는 과정에서 원의 공민왕 폐위 등 무리한 정책에 대한 고려의 반원 감정과 더불어 당시 원-명 간의 대립에서 명이 우세하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하지만 실제로는 명과 북원이 대립하고 있었으므로 고려의 외교정책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것이었다. This paper investigates Goryeo’s relationship of with the Mongol Empire from its successful anti-Yuan movement in 1356 until the fall of the Yuan Dynasty in 1388. Despite the importance of this period, there have been only a few relevant studies. Some current research on the Goryeo-Mongol relationship after the anti-Yuan movement and the Goryeo-Northern Yuan relationship after the Yuan-Ming transition are insufficient to account for the entire relationship between Goryeo and the Mongol Empire. In the late 14th century, the Goryeo-Mongol relationship had no replacement for Sejoguje (世祖舊制) after its abolishment by the anti-Yuan movement. As a consequence, relations became unstable with the emergence of Ming China. The resulting significant short-term changes in the relationship are discussed in the following four stages. First, soon after the anti-Yuan movement succeeded, Goryeo was in the leading position over Yuan while establishing a perfunctory investiture-tribute relationship. However, during the Red Turban Invasion in 1359, Goryeo approached Yuan seeking a stronger relationship. Acquiring a reinforced position accordingly, Yuan demanded to restore the relationship to the pre-anti-Yuan movement level, but this did not continue beyond the dethronement of King Gongmin, and finally failed. The starting point of the third stage is the Yuan-Ming transition in 1369. Recovering its superiority again, Goryeo severed diplomatic ties with Yuan and created a new investiture-tribute relationship with Ming China, which it kept coherent despite Northern Yuan’s presence and antagonism against Ming China. The last stage is from the enthronement of King Wu in 1374 to the fall of Northern Yuan in 1388. During this period, the Goryeo-Ming relationship was severed for a time due to the assassination of King Gongmin and the murder of a Ming envoy. There once was a two-sided diplomacy as Goryeo temporarily restored the investiture-tribute relationship with Northern Yuan, but Goryeo maintained pro-Ming and anti-Yuan principle. Goryeo experienced a sinking in its relationship with Northern Yuan since its quick acceptance of the Yuan-Ming transition and the inclination toward Ming China. Although Goryeo could have profited through a two-sided diplomacy between Northern Yuan and Ming China, its unbalanced foreign policy of pro-Ming and anti-Yuan prevented this from working. In that sense, Goryeo’s foreign policies in the late fourteenth century can be evaluated as not having fully reflected the contemporary situation.

      • KCI등재

        고조선과 연(燕)·진(秦)·한(漢)의 외교 관계

        송호정(Song, Ho Jung) 한국사학회 2020 史學硏究 Vol.0 No.137

        고조선이 중국과 국제 관계를 맺는 것은 역사상 ‘중국(中國)’ 또는 ‘중화(中華)’라는 개념이 출현한 이후에야 가능하다. 중국에서 천하(天下)나 사해(四海)의 개념이 성립한 시점은 대개 전국시대(戰國時代) 이후부터이고, 진(秦)․한(漢) 제국의 통일 이후에야 체계적인 이론이 완성되었다. 따라서 동아시아가 중국 중심의 국제 질서에 들어가는 진(秦)․한(漢) 시기부터 고조선의 외교 관계를 명확히 할 수 있고, 그 이전 단계는 경제적 교역만을 이야기 할 수 있다. 전국시대에 저술된 문헌 기록에서는 고조선과의 국제 관계에 대해 언급하고 있지 않아 기원전 4세기 이전 고조선과 중국의 외교 관계를 말하기 어렵다. 단지 경제적 교역이나 문화적 교류를 이야기 할 수 있다. 전국시대의 고조선은 요동군(遼東郡)의 외곽에 위치하여 실질적으로 중국의 변군(邊郡)과 같은 국가로서 연(燕)에 사신을 파견하고, 요동군과 관계를 맺으면서 성장해 나갔다. 진대(秦代)에 이르러 고조선은 진(秦)에 내속(內屬)하여 간접적이고 집단적 지배 체제로 편입되었다. 영토는 진(秦)의 군현(郡縣)에 직접 편입되지 아니하였고, 고조선의 고유한 지배질서를 유지하였다. 기원전 2세기 초 위만(衛滿)의 등장 이후 고조선은 한(漢)의 외신(外臣)으로서 중국과 관계를 맺었다. 그 외교 형식은 한(漢) 황제로부터 관직(官職)과 인수(印綬)를 사여 받아 제후국(諸侯國)으로서 국가를 통치하는 형태였다. 당시 고조선은 한(漢) 왕실에 조공을 바치고 회사(回賜)라는 경제적 관계를 맺는 책봉(冊封) 체제에 편입되어 있었다. It is only possible for Gojoseon to have international relations with China after the concept of “China” or “Chinese” emerged in history. In China, the concept of the whole world(天下) was established after the Warring States, and only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Qin(秦) and Han(漢) empires, a systematic theory was completed. It is possible to clarify the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Gojoseon and Han since the Qin and Han periods, when East Asia enters the international order centered on China. The previous phase can only be talked about economic trade. Literature records authored in the Warring States do not mention international relations with Gojoseon, making it difficult to say th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Gojoseon and China before the 4th century B.C.. We can only talk about economic trade or cultural exchange. The Gojoseon of the Warring States was located on the outskirts of Liaodong County(遼東郡), and it grew up by sending envoys to Yan(燕) and establishing relations with Liaodong County. At the era of the Qin(秦), Gojoseon was incorporated into the system of indirect and collective control in Qin. Territories were not directly incorporated into the County of Qin (秦), but maintained a unique control order of Gojoseon. Since the emergence of Wiman in the early 2nd century B.C., Gojoseon has established relations with China as an feudal lords[外臣] for Han. The form of diplomacy was appointed by the emperor Han and ruled the country as an imperial power. At that time, Gojoseon made an economic relationship in which he offered tributes to the Han royal family and received gifts for them.

      • KCI등재

        高句麗와 北朝의 冊封朝貢關係 - 領護東夷中郞將·領護東夷校尉의 授受와 그 의미 -

        이성제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5 東洋學 Vol.58 No.-

        Since the first tributary appointment relationship was forged between Koguryeo and NorthernWei(北魏) in 435, Koguryeo received appointment titles including territory protection officer titlessuch as Dongi Jungnangjang and Dongi Gyowi from various Nothern Dynasties of China includingEastern Wei(東魏) and Northern Qi(北齊). In the studies so far, such appointment titles have beenunderstood as officially recognizing Koguryeo’s independent sphere of power. That is, theappointment titles were regarded as Northern Wei’s intention to have amicable relations withKoguryeo. However, Northern Wei had no intention to officially recognize Koguryeo’s sphere of power,given that the appointment titles of Northern Wei were a political scheme for the unification ofNorthern China. Such an understanding can be confirmed from Tuyuhun(吐谷渾)’s example, whichhad been regarded as another case of Northern Wei’s officially recognizing a strong country’sindependent sphere of power. Tuyuhun was a powerful nation in the west of Northern Wei, andreceived appointment titles in the same content as the appointment titles of Koguryeo’s KingJangsu(長壽王), which were only different in terms of the proper nouns of east and west. But,Northern Wei did not recognize Tuyuhun as the ruler of the west part. Due to Northern Wei’sintervention, Tuyuhun was in the position not to solve even the disputes with neighboringcountries independently. Meanwhile, although, the Northern Wei people’s taking office of Dongi Gyowi disappearedafter 470, such a situation appeared in the Koguryeo King’s appointment title again. This is alsoregarded as Koguryeo King’s succession of the role that Northern Wei’s Dongi Gyowi played. However, this actually ignored that the appointment title of Dongi Gyowi was different from theappointment title that a local official took in terms of its attributes. The case of Seoyung Gyowi(西戎校尉) similar in terms of function tells that the acceptance of Gyowi office appointment titlecannot be a proof recognizing a prominent position in the regional world. Therefore, it seems tobe later than those days that Koguryeo had friendly relationship with Northern Wei, and that itsindependent sphere of power was recognized by Northern Wei. Concerning Koguryeo’s international status as the ruler in the regional world, the author of thispaper thinks that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conversation between Northern Wei’s EmperorXuan Wen(宣文帝) and Koguryeo’s envoy in 503. Here, Northern Wei’s emperor declared thatKoguryeo should fulfil its responsibility, since he entrusted the responsibility for stability in theeastern regional world to Koguryeo. The appointment title, Dongi Gyowi, awarded subsequentlyby such a declaration, made the institutional meaning contained in the title significant. Amongmany countries that received the office of territory protection officer from Northern Wei, it can benewly ascertained that only Koguryeo’s independent sphere of power was recognized in line withits appointment title. 435년 高句麗와 北魏가 최초의 冊封朝貢關係를 맺은 이래, 고구려는 북위에 대해 당시 유례를 찾기 어려울정도로 빈번히 조공하였고, 북위는 동방의 여러 나라 가운데 고구려에게만 冊封號를 수여하였다. 東夷中郞將·東夷校尉의 領護軍官 職을 포함한 책봉호가 그것이다. 이들 영호군관의 영호대상이 동이라는 점에서 그동안의 연구에서는 책봉호의 수여를 고구려의 독자적 세력권을 공인하는 조치라고 이해해왔다. 북위가 다른 민족을 통제하기 위해 개설한 영호군관 직에는 동이교위 외에도 서융중랑장·서융교위 등 여럿이 있었고, 이들은 고구려와 같이 책봉호의 일부로 수여되기도 하였다. 특히 토욕혼은 북위 서방의 강국으로고구려 장수왕의 책봉호와 비교해 볼 때 ‘동서’의 고유명사만 다를 뿐 동일한 내용의 책봉호를 수여받았다. 이점에서 북위가 인접 강국에게 독자적 세력권을 공인해 준 또 하나의 사례가 되어야 하였지만, 실제 양국 관계를 검토한 결과 북위는 토욕혼을 서방의 패자로 인정하지 않고 있었다. 북위의 간섭으로 인해 토욕혼은 인접국과의 분쟁조차 독자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처지에 놓여 있었던 것이다. 한편 북위인이 동이교위를 역임한 모습은 470년 이후 사라지지만, 고구려 국왕의 책봉호에서 다시 모습을보인다. 이에 북위의 동이교위가 맡았던 역할을 고구려 국왕이 이어받은 것이라고 보기도 한다. 하지만 이는책봉호의 동이교위가 북위의 지방관이 역임한 동이교위와는 계통이 다르다는 사실을 간과한 것이다. 또한 기능에서 유사한 서융교위의 사례는 교위 직의 책봉호 수여 역시 지역세계에서의 우월한 지위를 인정한 증거가될 수 없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지역세계에서의 패자라는 고구려의 국제적 지위와 관련하여서는 503년 북위 宣文帝와 고구려 사신의 대화를주목해 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여기에서 북위 황제는 동방 지역세계의 안정을 고구려에 맡겼으니 그 책임을다하라고 선언하였다. 이 공언이 있음으로 해서 그에 후속하여 수여되었던 동이교위의 책봉호는 그 名號에 내포된 제도적 의미를 온전히 살릴 수 있었던 것이다. 여기에서 북위로부터 영호군관 직을 받았던 여러 나라들가운데 유독 고구려만이 그 명호에 부합하는 독자적 세력권을 인정받았다는 사실을 새롭게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제4회(第4回) 환황해(環黃海) 한중교섭사(韓中交涉史) 연구(硏究) 삼포지엄 : 14세기 후반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화와 고려-원,명-일본 관계

        이익주 ( Ik Joo Lee ) 진단학회 2012 진단학보 Vol.- No.114

        14세기 후반 중국에서 원·명 교체가 이루어졌고, 한국에서는 고려·조선왕조가 교체되었으며, 일본에서는 남북조 통일이 이루어졌다. 그와 더불어 그때까지 100년 동안 존속해왔던 몽골제국 중심의 세계질서가 붕괴되고 명 중심의 새로운 동아시아 국제질서가 수립되었다. 동아시아 국제질서를 배경에 놓고 본다면 한·중·일 삼국의 변화는 14세기 후반 국제질서의 재편과 연동하는 일국사적 변화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 글은 14세기 후반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화를 바탕에 두고 한·중·일 삼국의 상호 관계가 재정립되는 과정을 정리한 것이다. 고려에서 반원운동이 일어난 1356년(공민왕 5)부터 원·명교체, 조선건국, 일본의 남북조 통일을 거쳐 1404년(태종 4) 조선과 일본 사이에 국교가 성립하기까지 약 반 세기동안의 고려-원·명 관계와 고려·조선-일본 관계를 정리하였다. 그 사이에 고려와 명, 일본과 명 사이에 책봉-조공관계가 수립됨으로써 명을 중심으로 하는 동아시아 국제질서가 성립되었다. 국제관계사와 일국사의 연동성은 지금까지 우리에게 익숙했던 대외관계사의 한계를 생각하게 한다. 대외관계사는 주관적인 해석의 위험과, 복수의 관계를 설정하지 못하고 국제질서에 대한 구조적인 이해를 어렵게 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제질서에 대한 구조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국가 간의 관계를 연구하는 國際關係史의 연구 방법이 필요하다. 전근대에 한국이 포함되는 국제질서는 대체로 한국·중국·일본 세 나라가 포함되는 동아시아의 국제질서이므로 그 질서 속에서 삼국 상호 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전근대 국제관계사의 구체적인 모습이 될 것이다. In the late 14th century, there were historically important changes in three countries of East Asia; Korea, China, Japan. Regime changes occurred from Yuan(元) to Ming(明) in China, from Goryeo to Joseon in Korea, and the Muromachi-bakuhu unified the North and South Dynasties in Japan. With such changes in each country, the Mongolian- oriented world order which had lasted for 100 years collapsed and then a brand-new Ming-oriented order was established. Based on such East Asian order, the changes in Korea-China-Japan have a common thing in line with reorganization of the late 14th century. This writing is to analyze the change in mutual relationships among the three countries in East Asia based on the change in the world order in the late 14th century. Especially, it is about half a century relationship between Goryeo and Yuan-Ming and between Goryeo-Joseon and Japan; from 1356 when Anti-Yuan movement occurred in Goryeo; through regime change from Yuan to Ming, establishment of Joseon,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Dynasties in Japan; to 1404 when the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Muromachi-bakuhu was established. It is not, however, cov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Yuan-Ming and Japan, which is very critical within East Asian relationship. At the time of Yuan-Ming regime change, Goryeo succeeded to break away from Yuan`s interference through a radical Anti-Yuan movement. However, Goryeo did not deny the tributary-appointment relationship with Yuan and stayed in the Yuan-oriented East Asian order. Goryeo finally settled it in 1396, a year after Ming occupied Yuan`s capital, and then accepted the new Ming-oriented order by concluding a tributary-appointment. But actually the change from Yuan to Ming was completed in 1388 with collapse of North Yuan. After that Goryeo and Ming collided once over a case of Cheollyeong-Ui(鐵嶺衛) and then established a stable relationship, completing an axis of East Asian international order. Meanwhile, separated from Yuan and Goryeo, Japan was totally isolated from the Mongol-oriented world order in the 13-14th century. In the late 1350, Japanese pirates(倭 寇) appeared and attacked Goryeo and Yuan. It was a result of relaxation in Yuan-oriented order, and at the same time, they destroyed the order. Because of the Japanese pirates, Goryeo newly recognized the needs of negotiation with Japan; in 1366, they sent envoys to Japan to resume diplomatic relations. After Goryeo made a tributary-appointment relationship with Ming in 1369, Japan got appointment from Ming in 1371, forming the Ming-oriented East Asian order. However, the new order had a weakness that the government who was appointed was not the Muromachi-bakuhu; this problem was solved in 1392, when Muromachi-bakuhu unified North and South Japan and was proclaimed the King of Japan in 1404. The establishment of new tributary-appointment relationship between Ming and Japan means completion of another axis of the order;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Japan was made soon, and finally, a new East Asian world order including Joseon, Ming, and Japan was completed.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history and national history lets us think about a limitation in history of foreign affairs which has been familiar to us. History of foreign affairs makes it difficult to structurally understand international order and to set multiple relationships, and to avoid the danger of subjective interpretation. To solve such problems, we need a method of studying hist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hips based on structural understandings. Premodern international relationship including Korea also generally includes China and Japan. It might be a definite format of premodern hist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hip to synthetically study mutual relationships among three countries in East A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